표범고양이
Leopard cat표범고양이 | |
---|---|
인도 표범 고양이 (P. b. 벵갈렌시스) | |
아무르표범고양이(P. b. 엡틸루라) 파르크 데 페를린에서 둘 다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젖꼭지 |
주문: | 육식동물 |
서브오더: | 펠리폼리아 |
패밀리: | 멧돼지과 |
서브패밀리: | 펠리아과 |
속: | 프리오나일루스 |
종류: | 벵갈렌시스 |
이항명 | |
벵갈나무 (Kerr, 1792) | |
레오파드 고양이 분포, 2015[1] |
표범 고양이(Prionailurus 벵갈렌시스)는 동남아시아 대륙,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원산의 작은 야생 고양이입니다.2002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1] 서식지의 일부에서 서식지 감소와 사냥으로 위협받고 있지만 널리 분포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아시아 대륙의 표범 고양이는 순다 표범 고양이와 같은 종으로 여겨졌다.2017년 현재, 후자는 분류명 Prionailurus javanensis와 [2]함께 별개의 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표범 고양이 아종은 털 색깔, 꼬리 길이, 두개골 모양, 카나시얼의 [3]크기가 매우 다르다.고고학적 증거는 표범 고양이가 약 5,000년 전 산시성과 허난성에서 중국 [4]신석기 시대에 길들여진 최초의 고양이 종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성.
표범 고양이는 집고양이와 비슷한 크기이지만, 더 날씬하고 긴 다리와 발가락 사이에 뚜렷한 거미줄이 있다.작은 머리에는 두 개의 눈에 띄는 검은 줄무늬와 짧고 좁은 흰 주둥이가 있다.눈에서 귀까지 이어지는 두 개의 어두운 줄무늬와 눈에서 코까지 이어지는 작은 하얀 줄무늬가 있다.적당히 길고 둥근 귀의 뒷면은 검은색이며 가운데 흰 반점이 있다.몸과 팔다리는 크기와 색깔이 다른 검은 반점으로 표시되며, 등을 따라 2-4줄의 길쭉한 반점이 있다.꼬리는 머리-몸길이의 약 절반 크기이고 검은 끝 근처에 불분명한 고리 몇 개가 있다.얼룩덜룩한 털의 배경색은 황갈색이며 가슴과 배는 흰색이다.하지만, 그들의 거대한 범위 내에서, 그들은 몸의 크기와 무게뿐만 아니라 반점의 색깔과 크기에서 너무 많이 달라서 처음에는 여러 다른 종으로 생각되었다.털 색깔은 남부 개체군에서는 황갈색이지만 북부 개체군에서는 연한 은회색을 띤다.검은 반점은 아종에 따라 눈에 띄거나, 로제트되거나, 심지어 점무늬 줄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다.열대지방에서 표범고양이의 몸무게는 0.55~3.8kg이고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는 38.866cm(15.3~26.0인치), 꼬리는 17.2~31cm(6.8~12.2인치)이다.중국 북부와 시베리아에서는 몸무게가 7.1kg(16파운드)에 달하며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75cm(30인치)에 이른다.일반적으로 겨울 전에는 체중이 늘었고 [5]봄까지는 더 얇아진다.어깨 높이는 약 41cm(16인치)[citation needed]입니다.
분류법
펠리스 벵골렌시스는 1792년 로버트 커가 [6]벵골 출신의 표범 고양이를 위해 제안한 학명이다.이후 수십 년 동안 다음을 포함하여 [7]20개의 표범 고양이 표본이 추가로 설명되고 이름이 붙여졌다.
- 네팔에서 온 Felis nipalensis (Horsfield & Vigors, 1829)
- 중국 광둥성에서 온 Felis chinensis(회색, 1837년)
- 봄베이 대통령 지역 출신의 레오파르도스 엘리엇(그레이, 1842)
- 부탄에서 온 펠리스 호스필디 (그레이, 1842)
- 테나세림 출신의 펠리스 와가티(회색, 1867년)와 펠리스 테나세리멘시스(회색, 1867년)
- 북경 지역에서 온 Felis microtis(Milne-Edwards, 1872년), 그리고 쓰시마 [8]섬에서도 왔습니다.
- 시베리아에서 온 두 개의 가죽을 바탕으로 한 Felis euptilura(엘리오트, 1871년).하나는 Gustav Radde의 야생 고양이 그림 및 묘사에 묘사되었고, 다른 하나는 리젠트 공원 동물원에 소장된 컬렉션의 일부였다.두 마리 모두 연한 갈색과 노란색을 띠며 회색과 강하게 혼합되고 적갈색 반점으로 덮여 있으며,[9] 머리에는 회색과 뺨을 가로지르는 짙은 붉은 줄무늬가 있다.엘리엇이 제공한 최초의 이항 엡틸루라는 이후 일부 저자에 의해 "엡틸루루스"로 잘못 변경되었지만, 국제동물명칭법 31.2.1항에 따르면 명사와 명사 구문은 성별 합의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현재 두 용어 모두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철자 "엡틸루라"만 정확하다.[10]
- 만주 묵든 부근의 펠리스 만주리카(Mori, 1922년)는 옅은 회색 반점이 있는 [11]피부였다.
1939년 Reginald Innes Pocock은 그들을 Prionailurus속으로 종속시켰다.런던 자연사박물관의 수집품은 여러 지역의 표범 고양이 두개골과 많은 수의 가죽으로 구성되었다.이 광범위한 피부 종류를 바탕으로, 그는 벵골만의 서쪽과 동쪽의 따뜻한 위도에 사는 남부 아종 P. 벵골렌시스 벵골렌시스와 히말라야 산맥의 북부 P. 벵골렌시스 호스필디를 남부보다 겨울 털이 더 많은 남부 아종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했다.Trinomen Prionailurus 벵골렌시스 treveyani 아래의 길깃과 카라치 지역의 표범 고양이들에 대한 그의 설명은 히말라야 산맥의 고양이들보다 더 길고 창백하며 회색빛 털을 가진 7개의 가죽에 바탕을 두고 있다.그는 트레벨랴니가 [12]벵갈렌시스와 호스필디보다 바위가 많고 숲이 덜 우거진 서식지에서 산다고 추정했다.
2종의 아종이 추가로 제안되어 기술되었다.
- 하이난[13] 섬에서 온 P. b. Alleni(Sody, 1949년)
- 일본 [14]열도의 류큐 제도 중 하나인 이리오모테 섬에서 온 이리오모테 고양이 P. b. 이리오모텐시스(이마이즈미, 1967년)처음에 이리오모테 고양이는 다른 종으로 인식되었지만, 1990년대 mtDNA 분석에 따라 표범 고양이 [15]아종으로 간주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러시아 동물학자 젭트너, 그로모프, 바라노바는 이 분류에 동의하지 않았다.이들은 피부와 해골의 자유자재성을 강조해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해골과 아무르 숲고양이([16][17]Amur forest cat)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1987년 중국 동물학자들은 중국 북부에서 온 레오파드 고양이, 아무르 고양이, 남위도에서 온 레오파드 고양이의 친화성을 지적했다.형태학적 유사성 때문에 아무르 고양이를 [18]종으로 분류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았다.
39개의 표범 고양이 조직 샘플에 대한 분자 분석 결과 북부 혈통과 남부 혈통 1과 2의 세 개의 분지군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북쪽 혈통은 쓰시마 열도, 한반도, 극동 대륙, 대만, 이리오모테 섬에서 온 표범 고양이입니다.동남아시아 인구로 구성된 남부 혈통 1은 유전적 다양성이 더 높았다.남부 혈통 2는 유전적으로 다른 [19]혈통과는 거리가 멀다.
2017년 Felidae 분류법이 개정됨에 따라 분자분석, 형태학적 차이, 생물지리학적 [2]분리에 기초하여 두 종의 표범고양이가 인식되었다.
- 본토 표범 고양이(P. 벵갈렌시스)는 파키스탄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러시아 극동까지 아시아 본토에 널리 분포한다.
- 순다 표범 고양이(P. javanensis)는 자바, 발리, 보르네오, 수마트라, 팔라완, 네그로스, 세부, 파나이, 그리고 말레이 반도가 원산지입니다.
현재 2종의 본토 표범 고양이 아종이 [2]알려져 있다.
- P. b. 벵갈렌시스(Kerr, 1792)는 남아시아와 동아시아, 파키스탄에서 중국, 그리고 아마도 말레이 반도에 분포한다.
- P. b. 엡틸루라(Elliott, 1871)는 러시아 극동, 만주, 한국, 대만, 이리오모테, 쓰시마 섬이 원산지입니다.
계통발생학
모든 Felidae 종의 조직 샘플에서 핵 DNA의 계통학적 분석 결과, Felidae의 진화 방사선은 약 1445만 년에서 838만 년 [20][21]전 마이오세에 아시아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모든 Felidae 종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약 1676만646만년 [22]전 방사능이 검출됐다.
프리오나일루스는 816만453만 년 [20]전, 876만703만 년 [22]전 사이에 공통의 조상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두 모델 모두 녹슨 반점이 있는 고양이(P. rubiginosus)가 유전적으로 갈라진 이 진화적 계통의 첫 번째 고양이였고, 납작머리 고양이(P. planiceps)와 낚시 고양이(P. verrinus)[20][22]가 그 뒤를 이었다는 점에서 일치한다.431만174만 년[20] 전, 425만102만 년 [22]전 사이에 표범 고양이와 함께 갈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아래 분지도는 핵 [20][21]DNA 분석을 통해 도출된 표범 고양이의 계통학적 관계를 보여준다.
|
분포 및 서식
표범 고양이는 아시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작은 야생 고양이이다.분포 지역은 러시아 극동 아무르 지역에서 한반도, 중국, 인도차이나, 인도 아대륙, 파키스탄 북부까지 이른다.열대 상록수 우림 및 해수면 플랜테이션, 히말라야 산맥 기슭의 아열대 낙엽성 및 침엽수림에서 서식한다.[5]식물이 덮인 인간이 개조한 경관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고, 기름 야자수나 사탕수수 농장 [5][23]등 농업에 이용되는 지역에 서식합니다.
2009년 네팔의 마칼루바룬 국립공원에서 표범 고양이가 3,254m(1,676피트)의 고도에서 카메라에 갇혔다.진달래, 참나무, [24]단풍나무가 주로 서식하는 조사지역에는 최소 6마리가 서식하고 있다.가장 높은 고도 기록은 2012년 9월에 칸첸중가 보존 [25]지역의 4,474m(14,678ft)에서 획득되었습니다.
분포 지역의 북동쪽에서는 강, 계곡, 협곡 숲에 살지만 10cm(3.9인치) 이상의 적설량을 [26]가진 지역은 피한다.파키스탄의 나무가 없는 건조한 지역에서는 [27]드물다.아프가니스탄에서는 1970년대 쿠나르 계곡의 잘랄코트와 노르굴, 다레페치의 [28]웨이굴 숲에서 보고됐다.
태국의 푸키아오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는 1999년과 2003년 사이에 20마리의 표범 고양이가 무선으로 포획되었다.수컷은 2.2km2(0.85평방마일)에서 28.9km2(11.2평방마일)까지, 암컷은 4.4km2(1.7평방마일)에서 37.1km2(14.3평방마일)[29]까지 집안에 분포했다.중국에서는 2002년부터 [30]2008년 사이에 친링 산맥의 창칭 국립자연보호구역, 민 산맥의 탕자허 국립자연보호구역, 월롱 자연보호구역 및 기타 보호구역에 기록되었습니다.
일본 열도에서 표범 고양이는 현재 이리오모테 섬과 쓰시마 [14][31]섬에 한정되어 있다.플라이스토세 시대에 발굴된 [32]화석은 과거에 더 많은 분포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생태 및 행동
표범 고양이는 번식기를 제외하고는 혼자 산다.일부는 낮에 활동하지만, 대부분은 밤에 사냥하며, 쥐, 말괄량이, 산토끼 등을 좋아한다.그들은 민첩한 등반가이며 습관은 꽤 수상적이다.나무에서 쉬기도 하지만 땅 위의 [29]빽빽한 가시덤불 속에 숨기도 한다.그곳에서 표범고양이는 숲이 우거진 [23]지역에 비해 많은 양의 쥐를 먹고 산다.
표범 고양이는 수영은 할 수 있지만, 수영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그들은 집고양이와 비슷한 범위의 발성을 낸다.남녀노소 모두 소변을 뿌리고 대변을 노출되는 곳에 두고 머리를 문지르고 [5]긁힘으로써 그들의 영역을 표시한다.
다이어트
표범 고양이는 육식 동물로 포유동물, 도마뱀, 양서류, 조류, 곤충을 포함한 다양한 작은 먹이를 먹는다.그들의 서식지의 대부분에서, 쥐와 쥐와 같은 작은 설치류는 종종 풀, 알, 가금류, 그리고 수생 먹이로 보충되는 그들의 식단의 주요 부분을 형성합니다.그들은 사냥감을 빠르게 공격하고 물어뜯는 활발한 사냥꾼이다.다른 많은 작은 고양이들과 달리, 그들은 먹이를 가지고 놀지 않고, 동물이 죽을 때까지 발톱으로 꽉 움켜쥐고양이들은 먹이를 가지고 놀지 않는다.이것은 [5]식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의 새들이 설치류보다 놓아주었을 때 탈출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재생산 및 개발
표범고양이의 번식기는 기후에 따라 다르다.열대 서식지에서 고양이들은 일년 내내 태어난다.더 북쪽의 추운 서식지에서 암컷은 봄에 새끼를 낳는다.임신 기간은 60-70일입니다.새끼를 낳는 크기는 2마리에서 3마리 사이이다.포획된 아기 고양이들은 태어났을 때 몸무게가 75에서 130 그램 이었고, 15일이 지나서야 눈을 떴다.2주 안에 그들은 몸무게가 두 배로 늘었고 생후 5주 만에 태어난 몸무게의 4배가 되었다.생후 4주가 되면 그들의 영구 송곳니가 부러져 고기를 먹기 시작합니다.포획된 암컷은 생후 1년이면 가장 빨리 성적으로 성숙하고 생후 13~14개월이 되면 첫 새끼를 낳는다.포획된 표범 고양이는 13년까지 [5]살았다.
발정 기간은 5~9일 [citation needed]지속된다.
위협
중국에서 표범 고양이는 주로 털 때문에 사냥된다.1984년과 1989년 사이에 매년 약 200,000개의 가죽이 수출되었다.1989년 주요 모피 상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80만 장 이상의 가죽 재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88년 유럽연합(EU)의 수입금지 조치 이후 일본은 주요 수입국이 돼 1989년 [33]5만 장의 스킨을 받았다.비록 상업 거래가 많이 줄었지만, 표범 고양이는 모피, 먹이, 그리고 애완동물로 팔기 위해 대부분의 지역에서 계속 사냥되고 있다.그것은 가금류 절도범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1]보복으로 죽임을 당한다.
미얀마에서는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조사된 4개 시장에서 최소 443명의 신체 부위가 483개 관찰되었다.그 수는 멸종위기에 처하지 않은 종보다 훨씬 많았다.조사 대상 시장 중 세 곳은 중국 및 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비록 표범 고양이는 미얀마의 국가 법률에 의해 완전히 보호되고 있지만, 국제적인 구매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CITES의 실시와 집행은 [34]불충분하다고 생각된다.
보존.
Prionailurus 벵갈렌시스는 CITES 부록 II에 기재되어 있습니다.홍콩에서는 야생동물보호조례 170장에 따라 보호되고 있다.개체수는 5만 마리가 훨씬 넘고 감소하기는 하지만 멸종위기에 [1]처해 있지는 않다.
쓰시마 표범 고양이는 일본 멸종위기종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35] 1995년부터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보호 프로그램의 초점이 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76년부터 멸종위기종법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돼 있다.허가가 없는 한 주 간 [36]상거래에서 표범고양이를 수입, 수출, 판매, 구매 및 운송하는 것은 금지된다.아시아 레오파드 고양이의 수출입에는 허가증이 필요합니다.CITES 허가 없이 수출입하는 사람은 고액의 [37]벌금을 내야 한다.
애완용으로 표범 고양이와 잡종
표범 고양이의 화석은 2001년 중국 중부의 신석기 마을에서 발굴되었다.이 뼈들의 방사성 연대 측정 결과 최소 5,000년 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발견들은 표범 고양이가 인간에 상응하는 것이었거나 신석기 시대 중국에서 길들여진 것임을 보여준다.그들은 나중에 당나라 [38]이전인 중동에서 유래한 길들여진 고양이들로 대체되었다.
벵골 고양이는 표범 고양이와 길들여진 고양이의 교배종이다.그것은 1970년대에 고양이 쇼에 소개되었다.5세대는 표범 [39]고양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이 잡종은 보통 면허 없이 애완 동물로 기르는 것이 허용된다.F1-F3 세대에 걸친 교배에서 태어난 부모들은 보통 사육 가축이나 전문 애완견 가정 [40]환경을 위해 남겨져 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Ghimirey, Y.; Petersen, W.; Jahed, N.; Akash, M.; Lynam, A.J.; Kun, S.; Din, J.; Nawaz, M.A.; Singh, P.; Dhendup, T.; Marcus, C.; Gray, T.N.E. & Phyoe Kyaw, P. (2022). "Prionailurus bengalensi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2: e.T18146A212958253. doi:10.2305/IUCN.UK.2022-1.RLTS.T18146A212958253.en. Retrieved 22 July 2022.
- ^ a b c Kitchener, A. C.; Breitenmoser-Würsten, C.; Eizirik, E.; Gentry, A.; Werdelin, L.; Wilting, A.; Yamaguchi, N.; Abramov, A. V.; Christiansen, P.; Driscoll, C.; Duckworth, J. W.; Johnson, W.; Luo, S.-J.; Meijaard, E.; O’Donoghue, P.; Sanderson, J.; Seymour, K.; Bruford, M.; Groves, C.; Hoffmann, M.; Nowell, K.; Timmons, Z.; Tobe, S. (2017).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PDF). Cat News. Special Issue 11: 26–29.
- ^ Groves, C. P. (1997). "Leopard-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Carnivora: Felidae) from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subspecies". Zeitschrift für Säugetierkunde. 62: 330–338.
- ^ Vigne, J.D.; Evin, A.; Cucchi, T.; Dai, L.; Yu, C.; Hu, S.; Soulages, N.; Wang, W.; Sun, Z.; Gao, J.; Dobney, K.; Yuan, J. (2016). "Earliest "Domestic" Cats in China Identified as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PLOS ONE. 11 (1): e0147295. Bibcode:2016PLoSO..1147295V. doi:10.1371/journal.pone.0147295. PMC 4723238. PMID 26799955.
- ^ a b c d e f Sunquist, M. & Sunquist, F. (2002).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Kerr, 1792)". Wild Cats of the Worl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225–232. ISBN 978-0-226-77999-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4-17. Retrieved 2020-11-14.
- ^ Kerr, R. (1792). "Bengal Tiger-Cat Felis bengalensis". The Animal Kingdom or zoological system of the celebrated Sir Charles Linnaeus. Class I. Mammalia. Edinburgh & London: A. Strahan & T. Cadell. p. 151−152.
- ^ Ellerman, J. R.; Morrison-Scott, T. C. S. (1966). "Felis bengalensis Kerr, 1792 Leopard Cat".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Second ed.). London: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pp. 312–313.
- ^ Thomas, O. (1908).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 VII List of mammals from the Tsushima Islands".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908 (January–April): 47–54. doi:10.1111/j.1096-3642.1908.tb01833.x.
- ^ Elliott, D. G. (1871). "Remarks on Various Species of Felidae, with a Description of a Species from North-Western Siberia". Proceedings of the Scientific Meet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765–761.
- ^ "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 www.nhm.ac.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2-26. Retrieved 2017-03-07.
- ^ Mori, T. (1922). "On some new Mammals from Korea and Manchuri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Ninth. X: 609–610.
- ^ Pocock, R. I. (1939). "Prionailurus bengalensis".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 Volume 1. London: Taylor and Francis, Ltd. pp. 266–276.
- ^ Sody, H. J. V. (1949). "Notes on some Primates, Carnivora and the babirusa from the Indo-Malayan and Indo-Australian regions". Treubia. 20: 121–190.
- ^ a b Imaizumi, Y. (1967). "A new genus and species of cat from Iriomote, Ryukyu Islands". Journal of Mammalian Society Japan. 3 (4): 74.
- ^ Masuda, R.; Yoshida, M. C. (1995). "Two Japanese wildcats, the Tsushima cat and the Iriomote cat, show the same mitochondrial DNA lineage as the leopard cat Felis bengalensis". Zoological Science. 12 (5): 655–659. doi:10.2108/zsj.12.655. PMID 8590833. S2CID 31111378.
- ^ Heptner, V. G. (1971). "[On the systematic position of the Amur forest cat and some other east Asian cats placed in Felis bengalensis Kerr, 1792.]". Zoologicheskii Zhurnal (in Russian). 50: 1720–1727.
- ^ 그로모프, I.M., 바라노바, G.I., 바리슈니코프, G.F.(1981년)Katalog mlekopitaŝih SSR : pliocen--sovremennostʹ Zoologicheskij Institut "나우카".레닌그라드스코에오델레니에
- ^ 가오, Y; 왕, S; 장, M.L; 예, Z.저우, J.D., ed.(1987년)[Fauna Sinica]포유동물 8: 육식동물.]사이언스 프레스, 베이징.(중국어)
- ^ Tamada, T.; Siriaroonrat, B.; Subramaniam, V.; Hamachi, M.; Lin, L.-K.; Oshida, T.; Rerkamnuaychoke, W.; Masuda, R. (2006). "Molecular Diversity and Phylogeography of the Asian Leopard Cat, Felis bengalensi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NA Sequences" (PDF). Zoological Science. 25 (2): 154–163. CiteSeerX 10.1.1.332.7592. doi:10.2108/zsj.25.154. PMID 18533746. S2CID 1605732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1-07-21. Retrieved 2011-02-19.
- ^ a b c d e Johnson, W. E.; Eizirik, E.; Pecon-Slattery, J.; Murphy, W. J.; Antunes, A.; Teeling, E. & O'Brien, S. J. (2006).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Science. 311 (5757): 73–77. Bibcode:2006Sci...311...73J. doi:10.1126/science.1122277. PMID 16400146. S2CID 416728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0-04. Retrieved 2020-04-30.
- ^ a b Werdelin, L.; Yamaguchi, N.; Johnson, W. E. & O'Brien, S. J. (2010). "Phylogeny and evolution of cats (Felidae)". In Macdonald, D. W. & Loveridge, A. J. (eds.).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p. 59–82. ISBN 978-0-19-923445-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9-25. Retrieved 2020-04-30.
- ^ a b c d Li, G.; Davis, B. W.; Eizirik, E. & Murphy, W. J. (2016).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Genome Research. 26 (1): 1–11. doi:10.1101/gr.186668.114. PMC 4691742. PMID 26518481.
- ^ a b Chua, M. A. H.; Sivasothi, N.; Meier, R. (2016). "Population density, spatiotemporal use and die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human-modified succession forest landscape of Singapore". Mammal Research. 61 (2): 99–108. doi:10.1007/s13364-015-0259-4. S2CID 142691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4-17. Retrieved 2019-02-15.
- ^ Ghimirey, Y.; Ghimire, B. (2010). "Leopard Cat at high altitude in Makalu-Barun National Park, Nepal". Cat News (52): 16–17.
- ^ Thapa, K.; Pradhan, N. M. B.; Barker, J.; Dahal, M.; Bhandari, A. R.; Gurung, G. S.; Rai, D. P.; Thapa, G. J.; Shrestha, S.; Singh, G. R. (2013). "High elevation record of a leopard cat in the Kangchenjunga Conservation Area, Nepal". Cat News (58): 26–27.
- ^ Heptner, V. G.; Sludskij, A. A. (1992) [1972]. "Amur, or Far Eastern Forest Cat".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ume II, Part 2. Carnivora (Hyaenas and Cats)].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pp. 328–355.
- ^ Roberts, T. J. (1977). "Leopard cat". The mammals of Pakistan. London: Ernest Benn.
- ^ 하비비, K. (2004년)아프가니스탄의 포유류.인도 코임바토레, 동물원 봉사 단체.
- ^ a b Grassman Jr, L. I.; Tewes, M. E.; Silvy, N. J.; Kreetiyutanont, K. (2005). "Spatial organization and die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north-central Thailand". Journal of Zoology. 266: 45–54. doi:10.1017/s095283690500659x.
- ^ Li, S.; Wang, D.; Lu, Z.; Mc Shea, W. J. (2010). "Cats living with pandas: The status of wild felids within giant panda range, China". Cat News (52): 20–23.
- ^ 환경성 쓰시마 야생동물보호센터(2005년).국립 멸종위기종 쓰시마 표범 고양이 - 2013-01-05년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영문판.
- ^ Ohdachi, S.; Ishibashi, Y.; Iwasa, A.M.; Fukui, D.; Saitohet, T.; et al. (2015). The Wild Mammals of Japan. Shoukadoh. ISBN 978-4-87974-69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9-16. Retrieved 2016-05-19.
- ^ Nowell, K.; Jackson, P. (1996).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Kerr 1792): Principal Threats".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Gland, Switzerland: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4.
- ^ Shepherd, C. R.; Nijman, V. (2008). The wild cat trade in Myanmar (PDF). Petaling Jaya, Selangor, Malaysia: TRAFFIC Southeast Asia.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0-07-04. Retrieved 2011-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