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인류학 소개
Introduction to Kant's Anthropology작가 | 미셸 푸코 |
---|---|
나라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제목 |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류학 |
출판사. | 세미오텍스트(e) |
발행일자 | 2008 |
매체형 | 인쇄(페이퍼백) |
페이지 | 124 |
ISBN | 978-1-58435-054-5 |
OCLC | 153578160 |
칸트의 인류학에 대한 소개(프랑스어: 소개 ab l'L'Holphologie)는 미셸 푸코가 임마누엘 칸트의 1798년 저서 인류학을 실용적[1] 관점에서 번역한 입문 에세이로, 1772년/73년 - 1795년/96년 사이에 매년 그가 행한 강연에서 파생된 교과서다.[2]두 작품 모두 그의 2차 논문[3](전공 폴리에 외 데레이슨: Histoire de la folie a l'ge classique), 비록 푸코의 인류학 번역은 1964년 브린이 별도로 출판하였다.이 서론은 2003년 아리안나 보브가 generation-online.org에 번역한 영문 번역서로 출간됐다.
개요
푸코는 칸트의 인류학에서 경험의 가능성 조건(투과적 주관성)을 대상의 경험적 존재로 다시 언급한다고 주장한다.즉,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칸트는 우리 자신을 경험적 대상으로 연구하는 사상을 시작하게 된다.그러나 칸트는 순수이성비평에서 초월주체는 연대기 내에 존재할 수 없다고 분명히 밝혔기 때문에 (사물이 일어난다는 의미에서 시간 내에 존재하지만 현상들 사이의 인과적 변화는 우리의 초월적 인식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시간 외적인 것이다.연대순) 그러면 초월주제가 지식의 한계를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가능성에 관한 모순이 발생한다.
…인류학에서 주어진 것과 선행의 관계는 비평에서 드러난 것과 역방향 구조를 취한다.지식의 순서에 따른 선행은 시간적으로 먼저가 아니라, 나타나자마자 이미 존재하는 것처럼 자신을 재발견하는 기초적인 존재가 된다.[4]
따라서 사상의 기초가 모든 경험적 지식의 기초가 되는 궁극적인 선험자로서(존재한다고 알려지기 위해 어떠한 경험적 연구도 요구하지 않음) 초월적 주체(인간)는 지식의 기초가 될 수 없는 것이 동시에 그 지식의 대상으로서 연구될 수 있다면 지식의 기초가 될 수 없다.만약 그것이 지식의 대상이라면, 그것은 지각되어야 할 사물들 안에 만성적으로 존재하며, 따라서 우리의 인식에 의한 질서를 요구한다.만일 그렇다면, 그것은 지속적으로 존재하며 존재하지 않으며, 기존의 조사와 조사 내에 존재하며, 따라서 알 수 있는 대상과 알 수 있는 대상 사이의 진동으로 이어진다.
이는 현상학, 실존주의, 마르크스주의, 형이상학 등에 전반적으로 분명한 함의를 갖고 있는데, 이 모든 것이 푸코의 청년 시절 프랑스 철학과 사회과학을 지배했다.현대철학의 기초석 중 하나인 칸트의 초월적 이상주의-를 인류학의 개념과 동시에 모순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비평 앞에서 그 자체와 외부 세계 사이에 일관성 있는 관계를 갖는 근본적 자아성의 개념에 대한 의존은 훼손된다.y. 따라서 푸코는 인간에 대한 형이상학적 설명을 제공하려는 인류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경고한다.
한 가지 목표는 인류학을 비평적 사상의 지배하에 머물러야만 근본의 영역에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선험주의 편견과 죽은 무게에서 해방된 비평으로서 비평으로서 헤아리게 하는 것이었다.또 다른 (그것은 같은 과실의 또 다른 버전일 뿐) 인류학을 모든 인간 과학의 기초와 가능성으로 작용하는 긍정적인 분야로 변화시키는 것이었는데, 반면에 사실 그것은 한계와 부정성의 언어만을 말할 수 있다: 그것의 유일한 목적은 비판적 사고의 활력에서 전이까지의 전달이다.치과의학 기초,[5] 정밀도의 우선 순위
인류학에 대한 이러한 우려는 "한계성과 부정성"으로서 푸코의 향후 작업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다.명령은 사물과 개체 탄생은 진료소 또는의 광란과 문명 모두 윤곽 같은"분석 Finitude의"[6]는 동안 일의 형태로 학과 인간의 두배에 대한 비평은 계속될 것 물체로서, 규정 및 회신으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부정적인 인간을 주문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인류학적 기관의 출현.세인트그러나 칸트의 인류학 서론의 끝은 1970년대와 80년대에 중요해 질 니체와의 관계를 보여주기도 하는데, 푸코는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우베르멘슈의 개념에 의해 무력화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기 때문이다: "문제의 궤적은 데르 멘슈인가?철학은 그것에 도전하고 무장해제하는 반응에서 그 목적에 도달한다: 데어 우베르멘슈."[7]칸트와 니체의 관계는 1984년 에세이 "계몽주의란 무엇인가?"에서 확장될 것이다.
칸트에 대한 푸코의 견해에 대한 철저한 비판적 평가는 여전히 빠져 있다.예를 들어, 푸코 대부분 칸트의 인류학의 올바른 역사 상황:크리스티안 볼프, 알렉산더 바움가르텐, 데이비드 흄, 또는 요한 니콜라스 Tetens, 그는 결과로 개발한 인문 과학의 독특한 개념 같은 작가의 견해가 그의 논의에 기초하였다 수업은 모르고 있는 것 같다.[8]푸코는 이러한 수치들을 많이 언급하고 있다.
칸트는 그것들을 알고 있었고 그의 인류학에서 그것들을 이용했다.이 목록의 맨 위에 테텐스의 베르수치 über die menschliche Natur(1777), 플라트너의 인류학(1772), 그리고 물론 바움가르텐의 정신이상자 엠피리카(1749)를 놓아야 할 것이다.[9]
참고 항목
참조
- ^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본 인류학, 에드.로버트 B.Louden, 2006년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의 Manfred Kuehn 소개
- ^ 라인하르트 브랜트 & 베르너 스타크, „ 아인레이퉁."임마누엘 캉스 게사멜테 슈리프텐, 아카데미판, vol. XXV (Göttingen 2007), 페이지 7. 7-cli.http://www.online.uni-marburg.de/kant/webseitn/gt_inde3.htm을 참조하십시오.
- ^ 1959년과 1960년 사이에 함부르크에서 쓰여진 그의 주 박사학위 (Sam Binkley, Jorge Capetillo (eds.), A Foucault for the 21세기: New Millennium의 정부성, 생물학 및 규율, 2009, 페이지 81 참조)
- ^ Michel Foucault, 칸트의 인류학 소개(로스앤젤레스:Semiotext(e), 2008년, 페이지 60.
- ^ 푸코, 칸트의 인류학 소개, 121페이지.
- ^ 케임브리지 컴패니언 투 푸코(Cambridge, 2007), 페이지 176-209에서 베아트리체 한(Beatrice Han), '친밀도의 분석과 주관성의 역사'를 참조한다.
- ^ 푸코, 칸트의 인류학 소개, 124페이지
- ^ 토마스 스터름, 칸트 und die Wissenschaften은 멘센을 토해낸다(Paderborn: Mentis Verlag, 2009).
- ^ 푸코, 칸트의 인류학 소개, 1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