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내 림프구
Intraepithelial lymphocyte뇌내 림프구(IEL)는 포유류 점막 라이닝의 상피층에서 발견되는 림프구로 위장(GI)관, 생식관 등이 있다.[1]소장의 상피에는 장세포 10개당 약 1개의 IEL이 포함되어 있다.[2]그러나 다른 T세포와 달리 IEL은 프라이밍이 필요하지 않다.항원과 마주치면 즉시 사이토카인을 방출하고 감염된 표적세포를 죽인다.GI 트랙에서 그것들은 장과 관련된 림프조직(GALT)의 성분이다.[3]
αβ T세포 수용체(TCR) 또는 Δ TCR IEL T세포의 발현을 바탕으로 두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생쥐의 경우 두 그룹은 거의 동일한 비율로 유지된다.[4]인간에게 있어서, IEL의 대다수는 알파 베타 T 세포다.IEL의 15%는 감마 델타 T 세포이므로 인간 IEL의 부요소를 나타낸다.그러나 실조증과 같은 특정 조건에서 IEL은 현저하게 증가한다.[1]
표현형
IEL의 대다수(80%)는 CD3+이며, 이 중 75% 이상이 CD8을 표현하기도 한다. IEL은 CD8 코어셉터 표현에 기초하여 2개의 주요 하위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4]IEL의 한 부분집합은 일반적으로 활성화 마커 CD8αα를 표현하고 일부 IEL은 CD8αβ+ 마커를 표현한다(CD8αβ는 TCR 활성화를 촉진하는 반면 CD8αα는 TCR 신호를 억제한다).
인간과 마우스 모두에서 IELs는 CD103, 활성화 표식기 CD69, granzyme B 및 천공 세포성 과립의 더 높은 수준을 표현한다.CD25 식은 이펙터 메모리 T 셀에 비해 낮다.[5][6]
CD8αα
CD8αα의 표현은 IELs의 중요한 표현형 표식이지만, 모든 IELs 하위 집단이 이 분자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CD8αα 호모디머는 기존의 CD8 T 셀에 표현되는 고전적인 CD8αβ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적 이질체다.CD8αα는 주로 이펙터나 내장에서 성숙한 항원 경험이 있는 세포에 의해 발현된다.이 분자는 MHC I을 결합할 수 있지만 CD8αβ의 기능과 반대로 CD8αα는 항원에 대한 TCR의 민감도를 감소시킨다.따라서 MHC I을 인식할 때 CD8α는 활성화 억제제 역할을 한다.[7]
CD8αα는 흉선과 장내 상피로 표현되는 비전통 MHC I 분자인 흉선 백혈병(TL) 항원도 인식할 수 있다.TL과 CD8αα의 상호작용은 상피로 IEL을 이동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지만, IEL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8]TL과 CD8α의 교차 대화가 IEL의 생존과 확산을 규제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보다 정확히 말하면, TL은 약한 TCR 자극이 동반될 때 IEL의 확산을 방지한다.[8]
개발
유도 IEL(TCRαβ+ CD8αβ+)은 면역반응 중 순진한 T세포에서 생성된다.TCRαβ+ CD8α(자연 IEL) 세포는 흉선에서 분화한다.[5][9]
발달과 세포질 활성화는 살아있는 미생물과 독립되어 있지만 내장에 살아있는 미생물이 아닌 외생적인 항원 물질에 반응하여 세포질이 된다.IEL T 세포는 주변부에서 마주치는 항원에 대응하여 그들의 활성화된 기억 표현형을 시전후로 획득한다.[10]
함수
면역체계에 있어서 그들의 역할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IELs는 외부 세계와의 이 광범위한 장벽에서 첫 번째 방어선을 제공하기 때문이다.모든 IEL T세포는 항원 경험이 있는 T세포로, 일반적으로 세포독성 기능 표현형을 나타낸다.IELs는 항원 특이 지연형 과민성(DTH) 반응을 중재하고 바이러스 특이 CTL 기능을 발휘하여 자연 킬러(NK)와 같은 활동을 표현하며 반유전자 호스트로 전이될 때 국소 이식 대 숙주 반응(GVHR)을 생성한다.또한 IEL은 T1-형과h T2형h 세포가 특징적으로 생산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생산할 수 있으며 B세포 반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5][9][10]
병리학
조직검사에 의해 결정되는 높은 IEL 집단은 일반적으로 점막 내에서 염증이 진행 중임을 나타낸다.셀리악 스프루와 같은 질병에서, 소장에 걸친 IEL 상승은 많은 특정한 표시들 중 하나이다.[1]IELs는 IBD와 같은 염증성 질환을 유발하거나 암 발생과 진행을 촉진하거나 [11]셀리악 스프루의 합병증인 림프종인 장막병 관련 T세포 림프종의 악성세포가 될 수 있는 활성 상태를 높였다.[12][13]
대안적으로, 높은 IEL 인구는 자궁경부암과 전립선암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조직 내 신엽증후군, 특히 린치 증후군과 관련된 일부 대장암(계속 비종양성 대장암 <HNPCC>)[14]의 징후가 될 수 있다.IELs 자체는 만성적으로 활성화되면 림프종을 유발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겪을 수 있다.[15]
분류
IEL은 분자표지표식, 주로 TCR과 CD8α의 표현, 그리고 기원별로 다른 하위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유도 TCR+ IEL
유도 IEL의 모집단은 기존의 주변 CD4+ T 셀로부터 나온다.그들은 TCR의 발현에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장내 상피로 이주한 후에 유도되는 CD8αα를 표현할 수도 있다.
TCRαβ+CD4+ IELs
TCRαβCD4++ IEL은 기존의 주변 CD4+ T세포에서 발생한다.이 세포들은 이펙터나 조직에 상주하는 기억 T 세포로서 장내 상피 세포로 이동한다.
마우스에서는 이러한 IEL의 최대 50%가 TGF-β, IFN-γ, IL-27, 레티노산 등의 외부 자극 후 장내 상피에서 획득하는 CD8αα 호모디머를 표현할 수 있다.TCRαβ+ CD4+ CD8α+ ⅠLs의 기능이 불분명하다.화강암을 표현하고 세포질 성질을 갖고 있지만 만성 장염의 맥락에서 규제 특성도 가질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2][16]
TCRαβ+CD8αβ+ IELs
이들 IEL은 주변으로 활성화된 기존의 CD8+ T세포에서 나와 이펙터나 기억세포의 기능을 하는 장내 상피세포의 본거지 역할을 한다.그들은 β7, granzyme B, CD103 및 CD69의 집적체를 지속적으로 표현하고 기존의 CD8+ T 셀과는 반대로 TNF-α와 IFN-matrix를 더 적게 생산한다.[17]
이 세포들 중 일부는 CD8α 호모디머를 표현하기도 하며, 인간에게 있어 코엘리악병 발생 시 병원성이 될 수 있다.[2]
자연 TCR+ IELs
천연 IEL은 또한 TCR을 표현하고 개발 직후 상피에 CD8αα의 표현을 획득한다.
TCRαβ+ IELs
쥐의 경우, 이 IEL은 태어날 때 가장 풍부하고 나이가 들수록 수가 감소한다.인간에게 있어, 이 세포들은 임신 중에 존재하지만 성인기에는 매우 드물다.TCRαβ+ IEL은 흉선에서 발달하여 작용제 양성 선택을 받게 되고 따라서 자가 반응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동물 실험에서 규제 속성을 가지고 있고 대장염으로부터 보호한다.이들 세포는 항원이 세포를 제시함으로써 발현되는 정상적인 장내 미생물 및 비타민 D. NOD2 수용체의 영향을 받는다 장내 상피세포는 미생물을 인식하여 TCRαβCD8α1++ ⅠLs를 촉진하는 IL-15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발시킨다.[2]
TCRγΔ+ IELs
TCRγΔ+ IELs는 흉선 밖에서 발달하며 장내 상피에서의 유지와 기능은 장내세포와의 교차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게다가 상피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피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18]이러한 세포의 대부분은 쥐에서는 Vγ7을, 인간에서는 Vγ4를 표현한다.그들의 기능은 감염 초기에 병원균에 대한 장내 장벽을 보호하는 데 상주하며 나중에는 염증을 해소하고 조직 손상으로부터 장벽을 보호한다.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지만 TCRγΔ+ IELs는 세포독성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토카인 TGF-β, TNF-α, IFN-γ, IL-13, IL-10 및 항균 펩타이드 등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이 다양한 기능에 기여할 수 있다.[2]
이러한 세포들이 초기에 병원성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대장염의 맥락에서 유사한 기능이 발견되어 왔으나, 나중에는 조직 손상으로부터 상피를 보호해 준다.[16]
TCR− IELs
TCR을 표현하지 않는 IELs.
ILC 유사 IELs
이 세포들은 NK 세포의 특성을 보여준다.인간에게는 크론병 때 상승하고 쥐에게는 대장염 때 병원성이 있다.[17]
iCD8α
이러한 선천적인 림프구는 호모디머 CD8α와 CD3를 표현하고 흉선 밖에서 발달한다.그들은 세포독성 및 혈소판성 성질을 가지고 있고, MHC II를 표현하며, 따라서 기존의 CD4+ T세포에 항원을 나타낼 수 있다. iCD8α는 박테리아 감염을 방지하고 실험적인 대장염을 촉진한다.[2]
TCR−iCD3+CD8αα− IELs
이 세포들은 iCD8α 모집단과 매우 유사하며 이것이 다른 세포의 서브셋인지 iCD8α의 전구체인지 불분명하다.[2]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Hopper AD, Hurlstone DP, Leeds JS, McAlindon ME, Dube AK, Stephenson TJ, Sanders DS (November 2006). "The occurrence of terminal ileal histological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coeliac disease". Digestive and Liver Disease. 38 (11): 815–9. doi:10.1016/j.dld.2006.04.003. PMID 16787773.
- ^ a b c d e f g Olivares-Villagómez D, Van Kaer L (April 2018). "Intestinal Intraepithelial Lymphocytes: Sentinels of the Mucosal Barrier". Trends in Immunology. 39 (4): 264–275. doi:10.1016/j.it.2017.11.003. PMC 8056148. PMID 29221933.
- ^ DeFranco AL, Locksley RM, Robertson M (2007). The Immune Response in Infection and Inflammatory Disease. London: New Science Press. pp. 218–219. ISBN 978-0-19-920614-8.
- ^ a b Sheridan BS, Lefrançois L (December 2010). "Intraepithelial lymphocytes: to serve and protect". Current Gastroenterology Reports. 12 (6): 513–21. doi:10.1007/s11894-010-0148-6. PMC 3224371. PMID 20890736.
- ^ a b c Mayassi T, Jabri B (September 2018). "Human intraepithelial lymphocytes". Mucosal Immunology. 11 (5): 1281–1289. doi:10.1038/s41385-018-0016-5. PMC 6178824. PMID 29674648.
- ^ Lambolez F, Mayans S, Cheroutre H (2013). Lymphocytes: Intraepithelial. eLS. American Cancer Society. doi:10.1002/9780470015902.a0001197.pub3. ISBN 9780470015902.
- ^ a b Cheroutre H, Lambolez F (February 2008). "Doubting the TCR coreceptor function of CD8alphaalpha". Immunity. 28 (2): 149–59. doi:10.1016/j.immuni.2008.01.005. PMID 18275828.
- ^ a b Olivares-Villagómez D, Van Kaer L (November 2010). "TL and CD8αα: Enigmatic partners in mucosal immunity". Immunology Letters. 134 (1): 1–6. doi:10.1016/j.imlet.2010.09.004. PMC 2967663. PMID 20850477.
- ^ a b Sim GK (1995-01-01). "Intraepithelial lymphocytes and the immune system". Advances in Immunology. 58: 297–343. doi:10.1016/s0065-2776(08)60622-7. ISBN 9780120224586. PMID 7741030.
- ^ a b McGhee JR (1998-01-01).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In Delves PJ (ed.). Encyclopedia of Immunology (Second ed.). Elsevier. pp. 1774–1780. doi:10.1006/rwei.1999.0448. ISBN 9780122267659.
- ^ Cheroutre H (2015-01-01). "Chapter 35 - Intraepithelial TCRαβ T Cells in Health and Disease". In Mestecky J, Lefrancois L, Strober W, Russell MW, Kelsall BL (eds.). Mucosal Immunology (Fourth ed.). Academic Press. pp. 733–748. doi:10.1016/b978-0-12-415847-4.00035-5. ISBN 9780124158474.
- ^ Ondrejka S, Jagadeesh D (December 2016). "Enteropathy-Associated T-Cell Lymphoma". Current Hematologic Malignancy Reports. 11 (6): 504–513. doi:10.1007/s11899-016-0357-7. PMID 27900603.
- ^ Chander U, Leeman-Neill RJ, Bhagat G (August 2018). "Pathogenesis of Enteropathy-Associated T Cell Lymphoma". Current Hematologic Malignancy Reports. 13 (4): 308–317. doi:10.1007/s11899-018-0459-5. PMID 29943210.
- ^ Bellizzi AM, Frankel WL (November 2009). "Colorectal cancer due to deficiency in DNA mismatch repair function: a review".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16 (6): 405–17. doi:10.1097/PAP.0b013e3181bb6bdc. PMID 19851131.
- ^ Meresse B, Malamut G, Cerf-Bensussan N (June 2012). "Celiac disease: an immunological jigsaw". Immunity. 36 (6): 907–19. doi:10.1016/j.immuni.2012.06.006. PMID 22749351.
- ^ a b Ma H, Qiu Y, Yang H (February 2021). "Intestinal intraepithelial lymphocytes: Maintainers of intestinal immune tolerance and regulators of intestinal immunity".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109 (2): 339–347. doi:10.1002/JLB.3RU0220-111. PMC 7891415. PMID 32678936.
- ^ a b McDonald BD, Jabri B, Bendelac A (August 2018). "Diverse developmental pathways of intestinal intraepithelial lymphocytes". Nature Reviews. Immunology. 18 (8): 514–525. doi:10.1038/s41577-018-0013-7. PMC 6063796. PMID 29717233.
- ^ Hoytema van Konijnenburg DP, Reis BS, Pedicord VA, Farache J, Victora GD, Mucida D (November 2017). "Intestinal Epithelial and Intraepithelial T Cell Crosstalk Mediates a Dynamic Response to Infection". Cell. 171 (4): 783–794.e13. doi:10.1016/j.cell.2017.08.046. PMC 5670000. PMID 28942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