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근육 주사

Intramuscular injection
근육 주사
Bracing for a short, sharp jab.jpg
근육내 주사를 통해 백신을 투여할 준비를 하는 의료 종사자
ICD-10-PCS3E023
ICD-9-CM99.1
메슈D007273
CPT96372

흔히 IM이라고 줄여 부르는 근육내 주입근육에 물질을 주입하는 것이다.의학에서는, 그것은 의약품을 자궁경부 투여하는 몇 가지 방법 중 하나이다.근육은 피하조직보다 더 크고 많은 혈관을 가지고 있어 피하 주사나 피하 주사보다 흡수가 빠르기 때문에 근육내 주사를 선호할 수 있다.[1]: 751 근육내 주사를 통해 투여되는 약물은 구강약에 영향을 미치는 1차 통과 대사 효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근육내 주입을 위한 일반적인 부위는 상팔의 델토이드 근육과 엉덩이의 활공근이다.유아에서는 허벅지의 광대근육이 흔히 쓰인다.주사를 투여하기 전에 주입 부위를 세척해야 하며, 주입을 빠르고 다트 동작으로 실시하여 개인에 대한 불편함을 줄인다.근육에 주사할 부피는 주사 부위에 따라 보통 2~5밀리리터로 제한된다.감염 또는 근육 위축의 징후가 있는 부위는 선택하지 말아야 한다.근육내 주사는 근위병 환자나 응고에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근육내 주사는 일반적으로 주사부위 주변에 통증, 홍조, 부어오르거나 염증을 유발한다.이러한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경미하고 기껏해야 며칠밖에 지속되지 않는다.드물게 주사 부위 주변의 신경이나 혈관이 손상돼 심한 통증이나 마비가 올 수 있다.적절한 기법을 따르지 않으면 근육내 주입으로 종기, 괴저 등 국부적인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역사적으로 흡인, 즉 주사기 주입 전에 주사기를 잡아당기는 것은 의도치 않게 정맥으로 투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권장되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더 이상 대부분의 주사 부위에 권장하지 않는다.

사용하다

근육내 주입은 일반적으로 약물 투여에 사용된다.근육에서 투여되는 약물은 일반적으로 혈류에서 빠르게 흡수되며, 구강 투여와 함께 발생하는 첫 번째 통과 신진대사를 피한다.[2]이 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근육에서 흡수되어야 하기 때문에 100% 생체이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3]: 102–103 근내주사는 정맥주사보다 침습성이 적고 주사부위(근육 대 정맥)가 훨씬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간이 덜 걸린다.근육에 투여되는 약들은 장기간의 약의 느린 연속적인 방출을 제공하는 디포 주사로도 투여될 수 있다.[4]케타민을 포함한 특정 물질은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근육내 주입될 수 있다.[5]근육내 투여의 단점으로는 필요한 기술과 기술, 주사로 인한 통증, 불안감이나 공포감(특히 어린이), 외래진료에서 사용을 제한하는 자가 투여의 어려움 등이 있다.[6]

특히 비활성화된 백신인 백신은 일반적으로 근육내 주입을 통해 투여된다.[7]그러나 근육내 주입되는 백신마다 약물을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해 20개의 주사를 맞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7]여기에는 항생제, 면역글로불린 등의 약물과 테스토스테론과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과 같은 호르몬이 포함될 수 있다.[6]알레르기 반응이 심한 경우, 또는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의 경우 근육에 있는 자가 에피네프린에 에피네프린 자동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다.[8]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근육내 주입은 많은 종류의 약물을 투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금지는 투여되는 약물에 상당 부분 의존한다.[9]약물 주입은 반드시 구강이나 국소 투여와 같은 다른 형태의 투여보다 더 침습적이며 적절한 수행을 위한 훈련이 필요하다. 단, 투여되는 약에 관계 없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이러한 이유로, 특정 상황에서 흡수율, 시작 시간 또는 기타 약동학 파라미터에 원하는 차이가 없는 한, 덜 침습적인 형태의 약물 투여(대개 구강별)를 선호한다.[9]

혈소판 수치가 낮거나 응고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는 일반적으로 근육내 주사를 피하여 주사하는 동안 혈관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어 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그들은 또한 약물의 흡수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혈액 쇼크에 있거나 근병증이나 근육 위축증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6]근육주사로 인한 근육 손상은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사람에 대한 특정 심장검사의 정확성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다른 투여 방법을 선호한다.[6]심근경색이 활발한 사람의 경우 혈액순환의 감소로 인해 IM 주사로 인한 흡수가 느려질 수 있다.[10]: 368–369 원하는 주사 부위에 감염, 붓기 또는 염증이 있는 경우 특정 투여 부위도 억제할 수 있다.[10]: 368–369 특정 투여 부위 내에서 자극이나 홍조, 선천적 표시나 두더지 또는 흉터 조직이 있는 부위보다 직접 주사를 놓아서는 안 된다.[10]: 368–369

위험 및 합병증

한 번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안전바늘과 우발적인 주입을 사용하면 불임이 보장되고 바늘에 찔리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주사를 맞으면 피부를 뚫어야 하기 때문에 주사 전 환경이나 피부에 존재하는 박테리아나 다른 유기체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이러한 위험은 투여 전 주입 준비 및 주입 현장 소독 시 적절한 무균 기법을 사용하여 최소화한다.[10]: 369 또한 근육내 주입은 특정 약물과 투여량에 따라 주사 부위에 종기나 괴저균을 유발할 수 있다.주사 중 부주의로 신경이나 혈관을 맞으면 신경이나 혈관 부상의 위험도 있다.1회용 또는 멸균 장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간에 감염병이 전염될 위험이 있거나, 사용 바늘로 부주의로 부상을 입은 시술자에게 감염될 위험이 있으며, 이를 니들스틱 상해라고 한다.[6][10]: 372

현장별 합병증

팔의 델토이드 부위로 주사하면 방사선과 축신경에 의도치 않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드물지만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주사를 맞으면 어깨 이상이 생길 수 있다.[11]델토이드 주사의 가장 빈번한 합병증은 주사부위 주변의 통증, 홍조, 염증 등이 있는데, 거의 항상 온화하고 기껏해야 며칠밖에 지속되지 않는다.[12]

도르소글루탈 주사 부위는 피부와 조직의 외상, 근육섬유화 또는 수축, 혈종, 신경마비, 마비, 종기, 괴저와 같은 감염의 위험이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13]게다가 글루테알 근육의 주사는 좌골신경에 손상을 입힐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해 사격통증이나 화끈거리는 느낌이 들 수 있다.좌골신경 손상은 또한 사람의 발에 영향을 받는 쪽, 그리고 신체의 다른 부분이 신경에 의해 조절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좌골신경 손상은 대신 환구부위를 사용하고, 주사할 바늘의 적절한 크기와 길이를 선택하여 예방할 수 있다.[14]

테크닉

근육내 주입은 피부에 수직으로 90도 각도에 가깝게 시행된다.
다른 주입 유형과 근내 주입 각도의 비교.

근육주사는 신체의 여러 다른 근육에 투여될 수 있다.근육내 주입을 위한 일반적인 부위는 델토이드, 도르소글루탈, 직장페모리스, 바스투스 측면환기구근이다.[13][15]멍이 들거나, 연약하거나, 붉거나, 붓거나, 염증이나 흉터가 있는 부위는 일반적으로 피한다.[1]투여되는 특정 약물과 양은 주입을 위해 선택한 특정 근육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주사 부위는 먼저 항균제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도록 한다.주사는 72도에서 90도 사이의 각도에서 피부에 수직으로 빠르게 다트기 동작으로 수행된다.시술자는 다른 손을 사용하여 플런저를 눌러 천천히 약물을 주입하는 동안 한 손으로 바늘을 안정화시킨다. 즉, 빠른 주사는 더 많은 불편함을 야기한다.바늘은 삽입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당겨진다.출혈이 발생할 경우 가즈에 완만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16]주사 후 근육의 압력이나 부드러운 마사지는 고통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17]

흡인

혈관에 주입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혈액을 흡인하는 것은 주사 부위에 큰 혈관이 없고 흡인하면 더 큰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국 CDC, 캐나다 보건청, 노르웨이 공중 보건 연구소에서 권장하지 않는다.[18][19][20]흡인력이 도르소글루탈 부지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주입할 때 근육내 주입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유용하다는 증거는 없다.[7]

그러나 덴마크 보건 당국은 응고 및 출혈의 잠재적 희귀 위험을 줄이기 위해 COVID-19 백신에 대한 포부를 권고한다.[21][22]

Z선로법

Z트랙 방법은 피하조직으로 약물이 추적되지 않도록 하는 IM주사를 관리해 근육에 약물을 봉합하고 약물에 의한 자극을 최소화하는 방식이다.Z트랙 기법을 이용해 주사 전 주사 부위에서 떨어진 횡방향으로 피부를 당긴 다음 약물을 주사하고 바늘을 빼낸 뒤 피부를 풀어준다.이 방법은 겹치는 조직을 치환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23]

주입부위

상팔의 바깥쪽에 있는 델토이드 근육은 작은 부피 주사용으로 사용되며, 보통 2ml 이하가 된다.이것은 대부분의 근육내 예방접종을 포함한다.[13]델토이드는 면적이 작아 서로 간격을 두기가 어려워 반복 주사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13]델토이드 부위는 아크로미온 공정의 하단 가장자리를 위치시키고, 아크로미온 공정의 밑부분과 겨드랑이에 맞춰 중간점을 가지고 거꾸로 삼각형을 이루는 부위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위치한다.[1]델토이드 근육에 주사하는 것은 보통 1인치 긴 바늘을 사용하여 시행되지만, 아마도 이 주사제를 사용할 것이다.58 인치 길이의 바늘은 젊은 사람이나 매우 연약한 노인을 위한 것이다.[12]

엉덩이의 환기구 부위는 1ml 이상의 큰 부피를 투여해야 하는 주사 및 자극성, 점성 또는 기름기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 약물에 사용된다.또한 마약류, 항생제, 진정제, 항임신제를 투여하는 데도 사용된다.[13]복측골 부위는 앞쪽 상부 장골 척추장골 볏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 안에 위치하며, 손을 가이드로 사용하여 위치할 수 있다.[1]환기구 부위는 델토이드 부지와 같은 다른 부지에 비해 주입 시 통증이 적다.[17]

바스투스 측두엽 부위는 생후 7개월 미만의 유아와 걷지 못하거나 근육의 톤을 잃은 사람들을 위해 사용된다.[13]정면 대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3분의 1로 나누어 9개의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바깥 가운데 정사각형에 주사를 놓는다.[1]이 부위는 외측대퇴부에 쓰이는 에피네프린 오토인젝터(Epinephrine autoinjector)의 통상적인 투여 현장이기도 하며, 광각근의 위치에 해당한다.[24]

엉덩이 부위의 도르소글루탈 부위는 주요 혈관신경 부근의 위치뿐 아니라 지방 조직의 깊이가 일정하지 않아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25]이 부위의 많은 주사들은 근육에서 정확하게 투여될 수 있을 만큼 피부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지 못한다.[13][26]현재의 증거 기반 관행은 이 사이트 사용을 권장하지만, 많은 의료 제공자들은 주입을 위한 대체 사이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여전히 이 사이트를 사용하고 있다.[27]이 부위는 교차 형상을 이용하여 부록을 4개로 나누고 상부 외측 사분면에 주입을 실시함으로써 위치한다.이 부위에서 실수로 정맥주사를 투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사기 주입 전에 흡인기를 권장하는 유일한 근육내 주사 부위다.[13]그러나, 흡인력은 어떤 근육 주사에도 구시대적이라고 생각하는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권장되지 않는다.[16]

근육내 주입 관리 사이트
Deltoid site
근육내 주입을 위한 델토이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Ventrogluteal site
근육내 주입을 위한 환기구 및 직장 대퇴골 부위
Vastus lateralis site in adult
성인에서 행정 구역인 바스투스 측방 부위
Vastus lateralis site in child
유아 또는 소아에서 바스투스 측면부 투여 부위

특수인구

일부 모집단에서는 주입 부위, 바늘 길이 또는 기법의 변경이 필요하다.예를 들어, 매우 젊은 사람이나 연약한 노인들의 경우, 정상적인 길이의 바늘은 원하는 근육에 안전하게 주사하기에는 너무 길 수도 있다.이런 이유로 이런 사람들에게서는 너무 깊이 주입될 위험을 줄이기 위해 더 짧은 바늘이 권장된다.[28]또한 만 1세 미만 영유아에서는 횡방향 대퇴부를 주사부위로 사용하는 것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28]

미국의 예방접종실천자문위원회는 영유아들이 주사행정에 협조할 수 있도록 산만함을 이용하고, 달콤한 것을 주며, 아기를 좌우로 흔들도록 권고하고 있다.과체중인 사람에서는 1.5인치 바늘을 사용하여 주사를 피부 피하층 이하로 맞도록 하는 반면, 58 인치 바늘은 60 킬로그램(130 lb) 미만인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다.어떤 경우든 적절한 길이의 바늘을 사용할 때는 주사하기 전에 피부를 꼬집어 놓을 필요가 없다.[29]

역사

근육 조직에 대한 주사는 AD 500년 이전에 일어났을 수 있다.1800년대 후반부터, 그 절차는 더 상세하게 설명되기 시작했고, 의사들에 의해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했다.근육내 주사 초기에는 거의 의사들이 독점적으로 시술했다.[9]20세기 중반 항생제가 도입된 이후 간호사들은 의사로부터 위임받은 임무의 일환으로 근육주사를 위한 장비를 준비하기 시작했고, 1961년까지 "본질적으로 절차를 넘겨받았다"[9]고 했다.이 대표단이 사실상 보편화되기 전까지는 근육내 주사를 제대로 투여하는 간호사에 대한 획일적인 절차나 교육이 없었고, 부적절한 주사로 인한 합병증이 일반적이었다.[9]

1923년 디프테리아 백신을 투여하기 위해 근육내 주사를 맞기 시작했으며 1926년에는 백일해, 1927년에는 파상풍 주사를 맞기 시작했다.[30]1970년대까지 연구자와 강사들은 주사 합병증과 통증 등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주사부위 지도와 기법을 구성하기 시작했다.[9]또한 1970년대 초에는 보툴리눔 독소가 근육에 주입되어 치료상의 이유로 의도적으로 마비시키기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미용상의 이유로 보툴리눔 독소가 근육에 주입되기 시작했다.[31]2000년대까지만 해도 바늘을 꽂은 후 흡인하는 것이 안전대책으로 권장되어 주사를 근육으로 투여하고 있고, 정맥에서 무심코 주입하는 것이 아니었다.다만 증거가 안전상의 이점이 없고 주사시간이 길어지면서 통증이 더 심해진다는 점에서 더 이상 권하지 않는다.[29]

수의학

동물에서 근육내 주사를 맞는 흔한 부위는 사두근, 요통근, 삼두근 등이다.[32]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Taylor C (2011). Fundamentals of nursing : the art and science of nursing care (7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 an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0781793834.
  2. ^ Saxen, Mark A. (2016-01-01), Dean, Jeffrey A. (ed.), "Chapter 17 – Pharmacologic Management of Patient Behavior", McDonald and Avery's Dentistry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Tenth Edition), St. Louis: Mosby, pp. 303–327, doi:10.1016/b978-0-323-28745-6.00017-x, ISBN 978-0-323-28745-6, retrieved 2020-11-25
  3. ^ Spruill W, Wade W, DiPiro JT, Blouin RA, Pruemer JM (5 March 2014). Concepts in clinical pharmacokinetics (Sixth ed.). Bethesda, MD: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ISBN 9781585283873.
  4. ^ Wright JC, Burgess DJ (29 January 2012). Long acting injections and implants. Springer. p. 114. ISBN 978-1-4614-0554-2.
  5. ^ Lankenau SE, Clatts MC (June 2004). "Drug injection practices among high-risk youths: the first shot of ketamine".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81 (2): 232–48. doi:10.1093/jurban/jth110. PMC 1852476. PMID 15136657.
  6. ^ a b c d e Polania Gutierrez JJ, Munakomi S (January 2020). "Intramuscular Injection". StatPearls. PMID 32310581. {{cite journal}}: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도움말)
  7. ^ a b c Sisson H (September 2015). "Aspirating during the intramuscular injection procedu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DF).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4 (17–18): 2368–2375. doi:10.1111/jocn.12824. PMID 25871949.
  8. ^ Mylan Specialty L.P. "EPIPEN®- epinephrine injection, EPIPEN Jr®- epinephrine injection" (PDF). FDA Product Label.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4. Retrieved 22 January 2014.
  9. ^ a b c d e f Nicoll LH, Hesby A (August 2002). "Intramuscular injection: An integrative research review and guideline for evidence-based practice". Applied Nursing Research. 15 (3): 149–162. doi:10.1053/apnr.2002.34142. PMID 12173166.
  10. ^ a b c d e Eckman M, ed. (October 9, 2015). Lippincott Nursing Procedures (Seven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1469853031.
  11. ^ Cook IF (4 May 2015). "Best vaccination practice and medically attended injection site events following deltoid intramuscular injection". Human Vaccines & Immunotherapeutics. 11 (5): 1184–1191. doi:10.1080/21645515.2015.1017694. PMC 4514326. PMID 25868476.
  12. ^ a b Martín Arias L, Sanz Fadrique R, Sáinz Gil M, Salgueiro-Vazquez M (September 2017). "Risk of bursitis and other injuries and dysfunctions of the shoulder following vaccinations". Vaccine. 35 (37): 4870–4876. doi:10.1016/j.vaccine.2017.07.055. PMID 28774564.
  13. ^ a b c d e f g h 조안나 브릭스 연구소.권장 프랙티스.주입:근육내.JBI@Ovid 데이터베이스의 조안나 브릭스 연구소 EBP 데이터베이스는 2019; JBI2138을 발행했다.2020년 9월 12일 접속.
  14. ^ Jung Kim H, Hyun Park S (August 2014). "Sciatic nerve injection injury".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42 (4): 887–897. doi:10.1177/0300060514531924. PMID 24920643.
  15. ^ Bolger, Gordon T. (2018-01-01), "Routes of Drug Administration", Reference Module in Biomedical Sciences, Elsevier, doi:10.1016/b978-0-12-801238-3.11099-2, ISBN 978-0-12-801238-3, retrieved 2020-11-25
  16. ^ a b Lynn P, Taylor C (2019). Lippincott photo atlas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Sixth ed.). Philadelphia, PA: Wolters Kluwer. pp. 39–40. ISBN 978-1975121365.
  17. ^ a b Şanlialp Zeyrek A, Takmak Ş, Kurban NK, Arslan S (December 2019).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hysical‐procedural interventions used to reduce pain during intramuscular injections in adul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5 (12): 3346–3361. doi:10.1111/jan.14183. PMID 31452229.
  18. ^ JoEllen Wolicki, BSN, RN and Elaine Miller, RN, BSN, MPH (25 September 2019). "Vaccine Administration". The Pinkbook. CDC. Retrieved 12 September 2020. Aspiration is not recommended before administering a vaccine.{{cite book}}: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19. ^ "Vaccine administration practices: Canadian Immunization Guide". www.canada.ca. 2020-12-02. Retrieved 2021-05-25. Aspiration before injection of vaccine is not recommended, as there are no large blood vessels at the recommended immunization sites and not aspirating before injection has been demonstrated to reduce pain.{{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0. ^ "Praktisk info om vaksinasjon". Folkehelseinstituttet (in Norwegian). Retrieved 2021-05-25. However, it is not recommended to aspirate before intramuscular and subcutaneous vaccine injection provided that the vaccine is placed in the appropriate place … does not involve the risk of injecting intravenously because there are no large blood vessels in these sites. Aspiration can cause the vaccination to be more painful because it takes longer to give the vaccine{{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1. ^ "Covid-19 vacciner skal gives med aspiration før injektion". Politik og nyheder, DSR (in Danish). 2021-03-20. Retrieved 2021-05-25. The Danish Health and Medicines Authority's guidelines have long recommended this, and now the Statens Serum Institut is following suit.{{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2. ^ name. "Intramuskulær injektion på børn og voksne". www.ssi.dk (in Danish). Retrieved 2021-05-25. Usually one does not need to aspirate before injecting a vaccine. However, in connection with the investigation of a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injection of covid-19 vaccine from AstraZeneca and the occurrence of rare but severe cases of blood clots and bleeding, SSI recommends, for the time being, on a precautionary principle, to aspirate before administration. This applies to all the approved covid-19 vaccines{{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3. ^ Doyle, Glynda Rees; McCutcheon, Jodie Anita (2015-11-23). "7.4 Intramuscular Injections". {{cite journal}}: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도움말)
  24. ^ "Epinephrine Injection". MedlinePlus. 2017년 3월 15일 최종 개정
  25. ^ Zimmermann PG (February 2010). "Revisiting IM Injection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0 (2): 60–61. doi:10.1097/01.NAJ.0000368058.72729.c6. PMID 20107407.
  26. ^ Farley HF, Joyce N, Long B, Roberts R (December 1986). "Will that IM needle reach the muscle?".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6 (12): 1327, 1331. PMID 3641525.
  27. ^ Cocoman A, Murray J (October 2010). "Recognizing the evidence and changing practice on injection sit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9 (18): 1170–1174. doi:10.12968/bjon.2010.19.18.79050. PMID 20948472.
  28. ^ a b Beirne PV, Hennessy S, Cadogan SL, Shiely F, Fitzgerald T, MacLeod F (9 August 2018). "Needle size for vaccination procedur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8 (8): CD010720. doi:10.1002/14651858.CD010720.pub3. PMC 6513245. PMID 30091147.
  29. ^ a b "ACIP Vaccine Administration Guidelines for Immunization Recommendations CDC". 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1 June 2019. Retrieved 12 September 2020.
  30. ^ Hebert CJ, Hall CM, Odoms LN (May 2012). "Lessons learned and applied: what the 20th century vaccine experience can teach us about vaccines in the 21st century". Human Vaccines & Immunotherapeutics. 8 (5): 560–8. doi:10.4161/hv.19204. PMC 3495718. PMID 22617834.
  31. ^ Monheit GD, Pickett A (1 May 2017). "AbobotulinumtoxinA: A 25-Year History". Aesthetic Surgery Journal. 37 (suppl_1): S4–S11. doi:10.1093/asj/sjw284. PMC 5434488. PMID 28388718.
  32. ^ https://ouv.vt.edu/content/dam/ouv_vt_edu/sops/small-animal/sop-dogs-and-cats-injections.pdf[bare URL PDF]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