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의 인권

Human rights in Latvia

미국 국무부와 프리덤 하우스에 따르면 라트비아의 인권은 일반적으로 정부에 의해 존중된다고 한다.[1][2]라트비아민주주의,[3] 언론자유,[4] 사생활[5] 보호, 인간개발 등에서 세계 주권국가들 사이에서 평균 이상의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6]이 나라는 러시아 민족 공동체가 비교적 큰 편으로 라트비아 정부가 비준한 헌법국제 인권법에 따라 보장된 기본권을 갖고 있다.[1][7]

그러나 인권단체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고했다.특히 무국적자를 포함비시민권자들은 광범위한 권리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거나 제한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다.또한 억류자체포자에 대한 경찰의 학대, 열악한 교도소 환경과 과밀화, 사법부 부패, 여성에 대한 차별, 소수 민족에 대한 폭력 사건, 동성애자에 대한 사회적 폭력과 정부 차별 사건 등의 문제도 있었다.[1][8][9]

2020년 3월, 라트비아는 COVID-19 발병을 언급하면서 [11]ECHR과[10] ICCPR에 따른 의무 중 일부를 회피했다.

국제 인권 제도의 라트비아

2019년 말 현재 유럽인권재판소는 라트비아를 상대로 한 소송(2001년부터 시작)에서 144건의 판결을 내렸고, 115건의 소송에서 유럽인권협약이나 그 의정서 위반이 적발됐다.[12]

유엔 인권위원회는 2020년과 마찬가지로 라트비아와 관련된 3건의 사례에서 ICCPR(레이흐만 대 라트비아이그나타네 대 라트비아) 위반을 발견한 2건의 사례에 대해 의견을 채택했다.[13]2001년에 라트비아는 유엔 인권이사회의 특별 절차에 대한 상임 초대를 연장했다.[14]1990년, 라트비아는 비정형적인 움직임으로 UDHR에 익숙해졌는데, 이는 법학적으로 그 선언을 구속력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이해된다.[15]

기본 인권 조약 참여

유엔의 핵심 조약[16] 라트비아의 참가 CoE 핵심 조약[17] 라트비아의 참가
모든 형태의 인종 차별 철폐에 관한 협약 1992년 가입, 개별 민원을 허용하는 선언은 하지 않는다. 유럽인권협약 1997년 비준
시민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1992년 가입 프로토콜 1(ECHR) 1997년 비준
번째 선택 프로토콜(ICCPR) 1994년 가입 프로토콜 4(ECHR) 1997년 비준
보조 옵션 프로토콜(ICCPR) 2013년 가입 프로토콜 6(ECHR) 1999년 비준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1992년 가입 프로토콜 7(ECHR) 1997년 비준
모든 형태의 여성 차별 철폐 협약 1992년 가입 프로토콜 12(ECHR) 2000년 서명
옵션 프로토콜(CEDAW) 서명되지 않음 프로토콜 13(ECHR) 2012년 비준
유엔 고문방지협약 1992년 가입, 개별 민원을 허용하는 선언은 하지 않는다. 유럽 사회 헌장 2002년 비준
옵션 프로토콜(CAT) 서명되지 않음 1988년 추가 프로토콜(ESC) 1997년 서명
아동권리협약 1992년 가입 1995년 추가 프로토콜(ESC) 서명되지 않음
CRC(군사분쟁 아동 참여에 관한 프로토콜) 선택사항 2005년 비준 개정된 유럽 사회 헌장 2013년 비준
아동, 아동 성매매 및 아동 포르노(CRC) 판매에 관한 선택적 프로토콜 2006년 비준 고문 및 비인간적 또는 모욕적인 치료 또는 처벌을 위한 유럽 협약 1998년 비준
모든 이주노동자 및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협약 서명되지 않음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 서명되지 않음
장애인권리협약 2010년 비준 국민소수자보호기본협약 2005년 비준
CRPD(옵션 프로토콜) 2010년 비준 인신매매방지협약 2008년 비준

보고 절차에서 가장 최근에 게시된 문서

전문가체 국가보고서 전문가 본문별 문서 상태 응답
인권 위원회 2012[18] 2014[19]
경제사회문화권위원회 200?[20] 2021[21] .
인종 차별 철폐 위원회 2017[22] 2018[23] .
고문방지위원회 2018[24] 2019[25] .
아동권리위원회 2013[26] 2016[27] .
여성차별철폐위원회 2018[28] 2020[29] .
유럽 사회 권리 위원회 2020[30] 2020[31] .
고문방지위원회 예상하지 못한 2016[32] 2017[33]
FCNM 자문 위원회 2016[34] 2018[35] 2014[36]
인종차별과 편협에 반대하는 유럽 위원회 예상하지 못한 2018[37] 2019[38]

인권단체별 개요

국제사면위원회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무국적자를 포함한 비시민들은 정치적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그리고 공무원과 민간 부문에서 고용할 수 있는 권리 등 광범위한 권리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그들 중 대다수는 라트비아에서 태어나거나 거의 평생을 살았다.비시민들도 재산 소유에 제한이 있다.[8]

국제사면위원회는 로마니 사람들에 대한 인종적 동기가 부여된 공격을 보고했다.라트비아는 모든 형태의 차별을 다루는 포괄적인 국가 입법이 부족하다.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LGBT) 사람들은 언어 폭력에 의한 차별에 직면해 있다.교도소 직원들의 고의적인 신체적인 학대 혐의가 보도되었다.[8]

휴먼 라이츠 워치

휴먼라이츠워치는 2006년 7월 28일 리가에서 평화로운 레즈비언과 게이 프라이드 운동가들에 대한 공격을 보도했다.앞서 리가 시의회는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LGBT) 단체의 '리가 프라이드 2006' 신청에 대해 부인했다.금지된 행진은 동성애 반대 시위대의 표적이 되었다.[9]2009년 리가 행정법원에 의해 동성애 행진이 허용되었다.[39]

프리덤 하우스

프리덤 하우스에 따르면, 라트비아는 폭넓은 시민적 자유를 가지고 있다.2007년 동안 세간의 이목을 끄는 부패 스캔들을 겪었지만, 정치적 권리 또한 높은 수준이다.정부는 일반적으로 언론의 자유, 언론의 자유, 종교의 자유를 존중한다.학문적 자유는 법과 실천에서 존중된다.집회결사자유는 법률과 실제에 의해 보호된다.[2]경쟁이 치열한 라트비아 대중 매체는 정부의 권력 남용을 막기 위한 정보와 감시 기구의 믿을 만한 출처임이 입증되고 있다.[7]

헌법상 독립성이 보장되는 사법부 독립성은 대체로 존중되는 반면 사법·사법 집행체계의 비리는 계속 문제가 되고 있다.구속 전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수사가 길어지고, 경찰이 구속수감자에게 과도한 무력을 행사하며, 교도소는 과밀과 부적절한 의료로 고통을 겪고 있다.여성은 남성과 같은 법적 권리를 누려도 고용차별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다.[2]

러시아어권 공동체가 겪고 있는 차별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의회는 정부와 관련하여 개인의 권리를 보호할 책임이 있는 옴부즈만을 임명했다.2007년 1월 르완다 시민을 공격한 혐의로 두 명의 남자가 징역형을 선고받았다.이 사건은 인종혐오 선동 금지법에 따른 첫 판결이었다.[2]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의 인권보고서에 따르면, 라트비아는 일반적으로 시민들과 대규모 거주민 비시민 공동체의 인권을 존중한다.그러나 심각한 경찰의 억류자 및 체포자 학대, 경찰 구금시설에서의 열악한 환경, 열악한 교도소 환경과 과밀화, 사법농단, 적법한 절차의 장애,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라는 공무압박, 여성에 대한 폭력, 아동학대, 인신매매 등의 문제가 있었다.소수 민족, 사회 폭력과 동성애자에 대한 정부 차별 사건을 야기한다.[1]

라트비아의 특정 이슈

1991년 독립이 복원된 후, 1940년 소련 점령 이전까지 라트비아의 시민이 아니었던 자 또는 그 조상이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부여받지 못했다.2011년 1월 현재 비시민권자는 인구의 14%를 넘는다.러시아어는 2000년 인구조사에 따라 주민의 37% 이상이 모국어인 것으로 공식언어법에서는 외국어로 간주되고 있으며, 1991년 이후 당국과의 의사소통 및 공교육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많은 사회주의 후 국가들처럼, 부동산의 환수는 라트비아에서 일어났다.따라서, 공공 주택의 전 세입자 중 상당수는 더 높은 임대료로 개인 주택에 거주하고 있다.그러한 주택에 대한 임대료 통제는 여러 차례 연장된 후 2007년에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다.

2003년 이후 집회 자유에 관한 갈등은 종종 발생하는데 LGBT의[40] 집회와 [41]반상회, 라트비아 군대[42] 과 반상회,[43] 러시아 학교[44] 보호 본부 회의가 금지되거나 제한되었다.

자격 제한과 그 시행은 몇몇 ECT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라트비아(아담슨 대 라트비아, ons다노카라트비아, 포드콜지나 대 라트비아)에 대한 HR 판단과 이그나타네 대 라트비아에 대한 유엔 인권위원회의 견해.

참여,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숫자)

2009년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참의원 선거의 경우 79.7%가 라트비아 민족으로, 65.5%가 남성이었다.[45]201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100명의 선출직 하원의원 중 81명이 남성이었으며 71명이 라트비아 민족으로서 그들의 민족성을 나타냈다.[46]비교하자면, 2010년 초의 라트비아 민족은 인구의 59.4%(시민 중 71.8%),[47] 여성은 53.9%[48]로 나타났다.

2021년 1월 현재 최저월급은 500유로, 최저노령연금은 149.6유로다.[49]

2020년 10월 평균 계산된 연령연금은 403.41유로였다.[50]2019년 평균 순급여는 793유로(라트갈레 565유로에서 리가 883유로)이다.[51]

주 고용청에 따르면 2020년 11월 말 실업률은 7.4%로 리가 지역의 5.7%와 라트갈레의 15.1% 사이에서 차이가 났다.[52]소수 민족과 민족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들이 2014년 12월 말 실업자의 45.5%를 차지했다.[53]

출생시 기대수명은 2020년 75.4세로 추정됐다.[54]2011년에는 1인당 6.3명의 외래환자가 방문했으며, 인구 10,000명당 58.8명의 병원병상, 39.1명의 의사가 방문하였다.[55]

취학 전 교육과 9년 기본교육은 필수다.공립학교에서는 중등교육(형식 10-12)이 무료다.그러나 옴부즈맨에 따르면, 무상교육의 헌법적 원칙은 학부모들이 교과서를 구입해야 하는 관행으로 인해 위반된다고 한다.[56]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령자 중 13.9%가 고등교육을 받았다.[57]2011년에는 기초학력(9년) 졸업자의 94.6%가 학업을 계속했으며, 중등 졸업자의 63.6%가 학업을 계속한 것으로 나타났다.[58]

인권법령 및 사무소

국법

인권은 헌법[59] 8장에 의해 부여된다—"1998년 채택된 '기본적 인권'은 28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그것은 1세대와 2세대 인권뿐만 아니라 일부 3세대 인권, 즉 소수민족에 속하는 사람들의 권리, 그리고 자애로운 환경에서 살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한다.제116조는 특정 인권의 한계를 허용하는 목표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타인의 권리, 국가의 민주적 구조, 공공 안전, 복지 및 도덕이다.

이 장을 채택하기 전까지 인권 분야의 핵심 법은 1991년에 채택된 헌법 "시민과 사람의 권리와 의무"였다.[60]

기관

  • 1990년 이후 라트비아의 의회에 인권 위원회가 존재한다(초기에는 인권 및 민족 문제 위원회라고 불렸다,[61] 현재-).인권공보위[62])
  • 1996년부터 헌법재판소는 존재한다.민간인은 2001년부터 헌법상의 권리에 관한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63]
  • 1993년—1995년, 국무부 인권장관 사무실이 존재했었다.[64][65]1998년, 국제인권기구가 설립되기 전의 정부대표부 사무소가 설립되었다.[66]
  • 1995년 국가인권사무소가 만들어지면서 2007년부터 옴부즈만 사무소로 탈바꿈했다.[67]
  • 몇몇 NGO들도 라트비아의 인권 상황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데, 그 중 라트비아 인권 센터라트비아 인권 위원회도 이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국제 랭킹

참고 항목

문학

  • Poleshchuk, Vadim, ed. (2009). Chance to Survive: Minority Rights in Estonia and Latvia (PDF). Aleksei Semjonov. Estonia, Moscow, Paris: Institute of Democracy and Cooperation, Foundation for Historical Outlook and Legal Information Centre for Human Rights. ISBN 978-9949-18-818-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March 2011. Retrieved 18 April 2010.

참조

  1. ^ a b c d "2008 Human Rights Report: Latvi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9-02-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26. Retrieved 2009-06-09.
  2. ^ a b c d e "Map of Freedom 2008". Freedom House.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15. Retrieved 2009-06-06.
  3. ^ a b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s Index of Democracy 2008" (PDF). The Economist.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3-24. Retrieved 2009-06-05.
  4. ^ a b "Press Freedom Index 2010".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1. Retrieved 2011-03-03.
  5. ^ a b "The 2007 International Privacy Ranking". Privacy International. 2007. Retrieved 2009-06-05.
  6. ^ a b "Statistics of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8. Retrieved 2009-06-05.
  7. ^ a b c "Country Report 2008 Edition". Freedom House.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24. Retrieved 2009-06-06.
  8. ^ a b c "Amnesty International Report 2009". Amnesty International.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6-10. Retrieved 2009-06-08.
  9. ^ a b "Latvia: Investigate Attacks on Gay Activists". Human rights watch. 2006. Retrieved 2009-06-08.
  10. ^ 노트 버베일
  11. ^ 입금통보
  12. ^ 조항 및 주별 위반 - 1959-2019
  13. ^ "UN Treaty Body DJurisprudence". Retrieved 2020-03-31.
  14. ^ 특별 절차에 대한 스탠딩 초대를 연장한 국가
  15. ^ 버버그스 M, 쿠치스 A.Vispaējai Cilvēktieszu deklarai – 60 // Jurista vards, 23.12.18.
  16. ^ 유엔 인권 조약 데이터베이스
  17. ^ CoE 인권 조약 데이터베이스
  18. ^ "report CCPR/C/LVA/3"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1-25. Retrieved 2013-02-23.
  19. ^ 라트비아, CCPR/C/LVA/CO/3차 보고서에 대한 인권위원회의 결론적 관찰
  20. ^ 상태 보고서
  21. ^ "Treaty bodies Download". tbinternet.ohchr.org. Retrieved 2021-07-14.
  22. ^ 상태 보고서
  23. ^ 인종차별철폐위원회 참관기 마무리
  24. ^ "Report CAT/C/LVA/6". Retrieved 2020-04-02.
  25. ^ 결론 관측치 CAT/C/LVA/CO/6
  26. ^ 보고서 CRC/C/LVA/3-5
  27. ^ CRC별 관측치 결론
  28. ^ CEDAW, 2018년 국가 보고서
  29. ^ CEDAW, 2020년 의견수렴
  30. ^ 제6조 ESC(R)에 따른 국가 보고서, 제1조, 제9조, 제10조, 제15조, 제18조, 제18조, 제4조, 제20조, 제24조 및 제25조
  31. ^ ECSR 결론도 2019년 라트비아(2020년 채택), 제7조, 제8조, 제16조, 제17조, 제19조, 제27조 및 제31조
  32. ^ 유럽 고문방지위원회(CPT)가 2013년 9월 12일부터 9월 17일까지 수행한 라트비아 방문에 대해 라트비아 정부에 보고
  33. ^ 2016년 4월 12일부터 22일까지 라트비아를 방문한 유럽 고문방지위원회(CPT)의 보고서에 대한 라트비아 정부의 반응
  34. ^ FCNM에 대한 3차 상태 보고서
  35. ^ 제3차 FCNM 자문위원회 의견
  36. ^ 제3차 FCNM 자문위원회 의견에 대한 정부 의견
  37. ^ ECRI 5차 라트비아 보고서
  38. ^ 라트비아 ECRI 5차 보고서에 대한 정부 논평
  39. ^ 국경 없는 게이: 법원, 의회 금지 해제 후 구출된 발틱 프라이드
  40. ^ "Neatļauj rīkot gājienu "Rīgas praids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17. Retrieved 2009-02-16.
  41. ^ 자우누푸 접시 파이 앳빌드바스, 울미 – ne
  42. ^ Cilvēktiesības Latvija 2004. g.—Rīga: LCESC, 2005.ISBN 9984-9707-7-9—35. 파운드.2009년 1월 17일 웨이백 머신보관
  43. ^ "Антифашисты возложат венки".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0. Retrieved 2009-02-16.
  44. ^ Cilvēktiesības Latvija 2004. g.—Rīga: LCESC, 2005.ISBN 9984-9707-7-9—34.—35. 파운드.2009년 1월 17일 웨이백 머신보관
  45. ^ 표 PR10을 선택하십시오. 라트비아 중앙통계국사이트에서 보관된 2012-11-29년 연령, 성별, 민족성 교육 자격별 라트비아 공화국의 선출된 지방 정부 구성원
  46. ^ 2014년 선출된 하원의원 통계자료(라트비아어)
  47. ^ 민족별, 국적별 라트비아 인구, 01.01.101(라트비아어)
  48. ^ 라트비아 중앙통계국 웹 사이트 시작 시 표 IE03 성별 모집단 선택
  49. ^ Izmaiņas society arlaja joma 2021. gada 복지부(라트비아)
  50. ^ [=1&ies=2020 Pensiju (파발스투) vidējais pieshirtis apmmrs pa mēneshiems », Socialara apdrossina, 2019] (라트비아에서)
  51. ^ DSG050. 통계 지역별 월평균 임금 및 급여 (영어)
  52. ^ 베즈다바 스타티카(라트비아어)
  53. ^ 참고 항목 2. Bezdarbnieka statistiskais portrets 참조(라트비아어)
  54. ^ 라트비아//세계 팩트북
  55. ^ "VA15, VA17, VA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1-15. Retrieved 2009-02-14.
  56. ^ Latvijas Republikas tiesībsarga ziņojums par tiesību iegūt pamata un vispārējo vidējo izglītību bez maksas nodrošināšanu pašvaldības dibinātās izglītības iestādēs[영구적 데드링크](라트비아어)
  57. ^ "인구조사 2000 결과 요약" 및 "인구교육 달성" "웨이백머신에 2008-03-21 보관"을 선택하십시오.
  58. ^ "See IZ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1-15. Retrieved 2009-02-14.
  59. ^ "Constitution (Satversme) of the Republic of Latv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7-28. Retrieved 2008-11-07.
  60. ^ 헌법 "시민과 개인의 권리와 의무" 2009-03-05년 웨이백 머신/B보관. 1994년 FIDHBar of England and Wales HRC를 대신하여 라트비아 공화국에 파견된 두 번째 임무의 Bowring 보고서—부록 4, 페이지 71 (PDF 문서의 페이지 41)
  61. ^ 의회 홈페이지에 있는 제1위원회 위원장 홈페이지 2009-03-21 웨이백머신보관(라트비아)
  62. ^ 새이마 위원회
  63. ^ 헌재에 대하여
  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