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죽이는 홈 테이핑

Home Taping Is Killing Music
오리지널 로고

'홈 테이핑 이즈 킬링 뮤직'은 영국 음악산업 무역그룹인 영국음반산업(BPI)의 1980년대 저작권 침해 반대선전운동의 슬로건이었다. 카세트 녹음기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BPI는 라디오에서 카세트로 음악을 녹음하는 민간인의 능력이 음반 판매량 감소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콤팩트한 카세트의 실루엣으로 형성된 졸리 로저로 구성된 로고에는 '그리고 그것은 불법이다'라는 글귀도 적혀 있었다. 이 캠페인은 1981년 10월 28일 당시 BPI 회장이었던 크리스 라이트에 의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1][2]

2000년대에 IFPI(국제음반산업연맹)의 노르웨이 지부가 '해적복음 음악 죽이기'라는 새로운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캠페인은 부활을 경험했다. 이 캠페인은 정확히 같은 메시지와 이름 그리고 비슷한 로고를 가지고 있다. 이 캠페인은 많은 논란과 함께 "최고의 인터넷 전략"으로 노르웨이 2008 Gultaggen 상을 받았다.

홈 테이핑의 초기 지지자는 말콤 맥라렌이었다. 말콤 맥라렌은 당시 영국의 신예 밴드 보우 와우를 관리하고 있었다. 1980년, 밴드는 구매자가 자신의 음악을 녹음할 수 있는 빈 B면이 특징인 카세트에 카세트 싱글 "C·30 C·60 C·90 Go"를 발매했다. 이 밴드의 음반사인 EMI는 이 싱글 앨범이 홈 테이핑을 홍보했다는 이유로 이 밴드를 탈퇴시켰다.

패러디

원본 로고를 패러디한 예
나이트클럽에 있는 DJ 세트의 각인된 비닐이 mp3 산업을 죽인다. (2014)

이 슬로건은 종종 패러디되었는데, 한 예는 부록이고, 이제 네덜란드 아나코펑크 밴드인 The Ex가 사용했던 것이다. 몇몇 팬진들은 이 단어를 홈 테이핑이 음악 산업을 죽이고 있다고 바꾸었고 이 단어들을 추가했다. 그러니 로고 아래에 당신의 역할을 확실히 하도록 하라. 또 다른 예는 샘플링리믹스의 전조인 초기 믹스테이프를 언급하는 1980년대 초의 카운터슬로건 홈 태핑은 음악에서의 기술이다. 카세트 & 크로스본 이미지는 1982년 밴드 데보가 발표한 '재미있는 시간 외우기' 영상의 배경으로 잠깐 전시됐다. 베놈의 1982년 앨범 블랙메탈은 '홈 테이핑 이즈 킬링 뮤직; 소 아 베놈'이라는 글자와 함께 로고를 사용했다. 피터 원리가 자체 제작한 1988년 앨범 '톤'의 뒷표지에 '홈 테이핑이 음악을 만들고 있다'는 문구가 등장한다. 미국 펑크 밴드 '크립트의 로켓'은 테이프와 뼈와 "홈 태핑이 음악 산업을 죽이고 있다: 킬링은 틀리지 않다"는 문구가 적힌 티셔츠를 팔았다. 소닉 유스에는 카세트가 들어간 티셔츠와 그 밑에 '소닉 유스'가 적혀 있다.[3][better source needed] 빌리 브랙의 앨범 "Workers Playtime" 표지에는 "자본주의가 음악을 죽이고 있다 – 이 음반에 대해 4.99파운드 이하를 지불하라"[4]는 공지가 붙어 있었다. 미치 벤은 또한 앨범 라디오페이스의 "Steal This Song"에서 "홈 테이핑은 음악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음악이 자연적인 원인으로 죽어가고 있다"고 언급한다. 1980년대 중반 폴란드에서는 특정 앨범의 일부(PRONIT 라벨) 비닐 프레스에는 '홈 테이핑...'이라는 제목의 패러디 스탬프가 들어 있었다. 매우 재미있다"고 말했다.

데드 케네디 e.p.의 카세트 버전. God We Trust Inc.는 "홈 테이핑은 기록적인 산업 수익을 죽이고 있다!"라는 메시지로 인쇄된 빈칸 면을 가지고 있었다. 자네가 도와줄 수 있도록 이쪽을 비워두었네."[5]

1980년대 동안 록 그룹 더 비트는 라이브 쇼에서 빈 카세트 테이프를 상품으로 팔았다. 이 밴드는 팬들과 콘서트 후원자들이 그들의 스튜디오 앨범을 불법 복제하는 대신에 그들의 라이브 공연을 녹음하도록 종종 격려했다. 이 그룹의 리더인 폴 콜린스는 이 연습이 그들의 앨범 판매가 줄어드는 것을 막으면서 즉각적인 만족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것이라고 믿었다.

프랑스의 La Route du Rock 2년마다 열리는 음악 축제에서는 이 행사의 로고의 일부로 테이프 이미지를 사용한다.[6]

카세트와 크로스본으로 된 해적만 로고

더 최근에는 친p2p 파일공유 그룹 활강전투가 티셔츠에 '홈 태핑은 음악산업을 죽이고, 재미있어'라는 슬로건을, 비트토렌트 웹사이트 해적만은 돛이 '테이프와 뼈'를 달고 있는 해적선의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영국 해적당은 "저작권이 음악을 죽이고 있다-그리고 그것은 합법이다"라는 로고가 있는 테이프와 뼈의 버전을 가지고 있고 스웨덴 피라트빈도 그들의 로고와 같은 테이프와 뼈를 사용하고 있다.

1982년 잭 발렌티VCR영화 산업에 미칠 예상 효과보스턴 스트링러터에 비유했고, 2005년 RIAA미치 베인월CD 굽기가 음악 판매를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7][8]

2010년 3월, TalkTalk는 영국 정부의 파일 공유 제안에 반대하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홈 태핑은 음악을 죽인다"라는 제목의 스푸핑 비디오를 만들었다. 이 곡은 가수 겸 작곡가 댄 불(Dan Bull)이 작사, 공연했으며, 이 곡에 마돈나, 조지 마이클, 아담 앤트(Adam Ant)가 립싱크한 룩앨릭스를 선보였다.[9]

참고 항목

참조

  1. ^ Annie Zaleski (25 October 2016). "35 Years Ago: The U.K. Launches the 'Home Taping Is Killing Music' Campaign". diffuse.fm.
  2. ^ Nick Robertshaw (7 November 1981). "U.K. Industry Fights For Blank Tape Tax". Billboard. p. 1,71,74.
  3. ^ "[Sonic Youth T-shi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December 2012. Retrieved 16 October 2012.
  4. ^ "Music Review: Billy Bragg Volume II". Community Ca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08.
  5. ^ Alex Sayf Cummings (2013). Democracy of Sound: Music Piracy and the Remaking of American Copyright in the Twentie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p. 202. ISBN 9780199858224.
  6. ^ Hervaud, Alexandre (1 September 2009). "Rock & Pirates à Saint Malo #1 : introduction" (in French). Libération.
  7. ^ Aaron., Schwabach (2007). Intellectual property : a reference handbook. ABC-CLIO, Inc. ISBN 9781598840452. OCLC 163587594.
  8. ^ "CD-burning threatens music sales". Cincinnati Post. 16 August 2005 – via Newsbank.
  9. ^ Heaney, Andrew (12 March 2010). "Dan Bull takes us back to the 80s when "home taping was killing music"". TalkTalk blogblo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December 201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