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전염

Hemionitis
혈전염
Hemionitis palmata - Botanischer Garten München-Nymphenburg - DSC08176.JPG
식물원 뮌헨-Nymphenburg혈액염 팜파타
과학적 분류 e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구분: 폴리포다이오피아속
클래스: 다포도엽충류
순서: 폴리포디알목
패밀리: 프테리다과
하위 패밀리: 제일안토아과
속: 혈전염
L.[1]

텍스트를 참조하십시오.

혈우병(Hemionitis)은 프테리두과(Pteridae)의 하위과에 속하는 양치류 속이다.[1] 양치류 분류 체계에 따라 그 둘레가 크게 다르다. 2016년(PPG I)의 프테리도피테 필로제니그룹 분류에서는 서브패밀리 제일탄토이데아에서 20여 종 중 하나였으며, 5종이 있다고 한다.[1] 다른 출처에서는 아과에 속하는 유일한 속종으로 취급하고 있으므로 약 450여 종을 수용한다.[2] 제한적인 할례로, 종은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다.[1]

분류학

헤미온염 속은 1753년리나에스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3] 속명은 리네안 이전의 것으로 호르투스 클리프포르티아누스에서 예를 들어 사용되고 있으며,[4] 그리스어wordμμοννος ( ((헤미오노스)에서 유래하여 식물이 불임이라는 믿음을 가리킨다.([5]리네우스는 아스플레늄 혈막염이라는 이름에서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

하위가족인 제일안토이데아를 제네라로 나누는 것은 2020년 1월 기준으로 소스마다 크게 다르다. Christenhusz et al.(2011), 2016년의 프테리도피테 프릴로겐 그룹 분류(PPG I), 그리고 세계의 펜스와 리코피테스 체크리스트는 20개 이상의 제네랄로 하위 패밀리를 나누는데, 그 중 하나는 헤미온염 센슈스(Hemion sensu strito)이다.[6][1][7] 반면 크리스텐후스 외 연구진(2018)과 월드온라인 식물군은 아과에 속하는 모든 어획물로 헤미온염감지(Hemionitis sensus lato)를 사용, 약 450여종이 발생하였다.[8][2]

PPG I 접근방식을 이용하여 2020년 1월 현재 세계의 양치류 리코피테스 체크리스트는 엄격한 혈우병 감작에서 다음과 같은 종(그리고 하나의 잡종)을 받아들였다. 모두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다.[7]

참조

  1. ^ a b c d e PPG I (2016),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6): 563–603, doi:10.1111/jse.12229
  2. ^ a b "Hemionitis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retrieved 2020-01-06
  3. ^ "Hemionitis L.",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retrieved 2020-01-06
  4. ^ Linnaeus, Carl (1753), "Hemionitis", Species Plantarum 2, p. 1077, retrieved 2020-01-06
  5. ^ Hyam, R. & Pankhurst, R.J. (1995), Plants and their names : a concise dictiona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235, ISBN 978-0-19-866189-4
  6. ^ Christenhusz, Maarten; Zhang, Xian-Chun & Schneider, Harald (2011), "A linear sequence of extant families and genera of lycophytes and ferns", Phytotaxa, 19: 7–54, retrieved 2013-08-11
  7. ^ a b Hassler, Michael & Schmitt, Bernd (January 2020). "Hemionitis". Checklist of Ferns and Lycophytes of the World. 8.20. Retrieved 2020-01-02.
  8. ^ Christenhusz, M.J.M.; Fay, M.F. & Byng, J.W., eds. (2018), "GLOVAP nomenclature. Part 1", The global flora : a practical flora to vascular plant species of the world, 4: 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