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레스 리포베츠키

Gilles Lipovetsky
길레스 리포베츠키
LipovetskyITESM15.JPG
시대현대 철학
지역서양 철학

길레스 리포베츠키(Gilles Lipovtsky, 1944년 9월 24일 출생)는 프랑스의 철학자, 작가, 사회학자, 프랑스 아우베르그뉴-르네-알페스 그레노블에 있는 스텐달 대학교 교수다.

인생과 경력

리포베츠키는 1944년 밀라우에서 태어났다.au에서 태어났다. 그는 그르노블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프랑스 교육 모델을 바꾸기 위해 1968년 파리에서 일어난 학생 봉기에 참여했다. 그러나 그는 그 모델에서 나온 것이 쾌락주의와 즉각적인 만족감으로 인해 정서장애를 일으키기 쉬운 성격으로 소외된 사람들을 양산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1][2]

그는 모교와 함께 학업을 시작했다. 첫 책의 성공으로 그는 세계 여러 곳에서 유명해졌고 20세기 후반의 가장 중요한 프랑스 지식인 중 한 명이 되었다.[3][4]

종신 재직과 함께 퀘벡(캐나다)의 셔브룩 대학소피아뉴불가리아 대학, 프랑스 정부의 콩세일 다날리스 데 라 소시에테 회원, 레지오넬라 훈장, 전국 프로그램 평의회 회원 등 2명의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ASS의 자문위원이다.경영진행상황의 보고.[2][5] 2015년, 2016년, 2017년 베르사유 심사위원단 멤버였다.[6]

아이디어들

리포베츠키는 1960년대의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철학적 경력을 시작했는데, 이 철학적 경력을 세계에 변혁하지 말고 오히려 '살포하라'고 요구했던 '소셜리즘 어 바바리(Socialisme ou Barbarie)'에 소속되어 있었다.[2][7] 그러나 이후 자본주의를 '유일한 합법적 경제모델'로 받아들이는 등 그의 철학이 크게 달라졌다.[1] 마르크스주의자의 시작부터 그의 입장 변화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그는 "바보들만이 결코 의견을 바꾸지 않는다"[7]고 대답한다.

리포베츠키의 작품은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현대 세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이 시기를 '마르크시스트적 자기 비판'(1965~1983)과 포스트 모던(1983~1991) 그리고 1991년부터 초현대적 시기의 세 시기로 나눠왔다. 이는 그가 1983년에 쓴 책으로, 극단적 개인주의와 정당에 기초한 정치의 해체가 특징인 포스트모더니즘을 선언하면서 민주주의사회주의가 의존하는 강한 사회적 의무감에 등을 돌린 데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말까지 그는 이 용어가 구식이 되어 1991년 이전의 세계를 묘사할 수 없게 되었다고 제안했다. 이어 포스트모던과 비슷하지만 초연적이고 막을 수 없는 의미를 지닌 '하이퍼 모던(hyper-modern)'을 제안해 신기술, 시장, 글로벌 문화에 초점을 맞췄다.[2][5]

리포베츠키는 그를 두각을 나타내게 한 1983년 저서에서 근대성, 세계화, 소비주의, 현대문화, 시장, 페미니즘, 패션, 미디어 등의 주제에 대해 계속 글을 써 왔지만 개인주의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3] 그는 개인주의를 전통과 과거와 결별하고 미래와 우리 자신의 쾌락을 지향하려는 욕망으로 정의한다.[8] 1987년에 그는 L'Empire de l'épémér: la'mode et son dans les societé modernes를 썼는데, 개인주의와 초소비주의의 반영으로서 패션에 초점을 맞춘 1983년 작품의 주장을 이어갔다. 그것은 또한 영원히 젊어지고자 하는 열망과 현재에 있는 것만이 존재함을 나타낸다.[2] 1992년에 그는 Le Crépuscula du devoir를 출판했다. 이 작품에서 그는 세속적인 세계의 비전이 마르틴 루터가톨릭교회에 대한 반란을 시작으로 르네 데카르트, 칸트,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비어: 이것은 불가능해, 토마스 아퀴나스는 마틴 루터보다 2세기 이상 전에 살았기 때문에, 반드시 오해가 있었음에 틀림없기 때문이지]신의 한 가지 목적이 개인의 권리를 정의하고 보호하는 것이라는 생각. 1997년 라 트로이시엠 팜므에서 그는 여성이 명품의 주 고객인 만큼 여성 해방 운동이 초소비주의와 강하게 연결돼 있다는 생각을 주장한다.[2] 2002년 메타모르포세 문화 리베랄레 – 에티크, 메디아스, 엔트리에이티브에서, 그는 초현대 민주주의의 역설들을 개인화, 지역화 대 세계화, 개방화 및 폐쇄적인 사회와 사회 모두를 강조하면서, 상호의존적인 것으로 결론짓고 있다. 2003년르룩스 에테르넬은 인류 역사보다 사치라는 개념을 고찰한다. Le bonheur 역설. 2006년 에사이 수르 라 하이페르콘소메이션은 주요 브랜드의 곱셈과 세계화, 그리고 초소비주의의 근간인 패션과 럭셔리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라 societé de déception(2006)에서 그는 욕망이 공백을 만들고 결코 채워질 수 없다는 자크 라칸의 작품에 따른 실망의 개념을 분석한다. L'écran global에서. 문화-메디아 시네마 라게 하이퍼모데른(2007)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종말을 선언하는 '제2의 현대 혁명'을 분석하면서 현대 생활의 복잡성 때문에 역설들이 배가되고 있다고 주장한다.[2] 그의 2013년 책, L'esthétisation du monde: vivre ar l'l'l'age du capitalisme artiste는 자본주의와 그 자본주의의 예술, 특히 영화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5][9]

리포베츠키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지적 경향과 종종 대립되어 왔던 현대 생활과 그것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해 도발적인 발언을 해 왔다. 그는 유행을 민주주의와 불안정하고 덧없으며 피상적인 것으로 비교해왔지만, 유행을 보다 상호의존적인 사회보다 긍정적이고 실행 가능한 사회라고 말한다.[2][10] 그는 현대 생활의 초점은 새로운 것이라고 말하는데, 그것은 곧 새로운 것이 되고 우리는 다른 것을 찾는데, 인터넷소셜 미디어의 시대에 새로운 것에 대한 필요성이 더 빨라지면서 그의 "하이퍼"라는 개념으로 이어지고, 이것은 또한 국가나 가족 같은 전통적인 제도도 무너뜨린다.[3] 심지어 "문화"도 교육보다는 관광객으로 박물관에 더 많이 가기 때문에 이에 굴복한다고 그는 말한다.[4] 새로운 것의 필요성은 사람들이 유행을 따라가려고 애쓰고, 따라갈 수 없는 가난한 사람들 사이에 좌절감을 야기하는 초소비주의를 촉발한다.[11] 그러나 그는 초소비주의와 소비주의를 구별한다. 그는 후자를 비판하지 않는데, 후자는 생활수준이 상승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말한다. 소비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보고 생태와 같은 우려가 자본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고 본다.[1][11]

리포베츠키는 철학자는 물론 심리학자나 사회학자와 비슷한 말투에 따라 종종 힘있게 제스처를 취하면서 달라지는, 잘 정의된 발표 스타일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의 방법론 또한 다양하며, 종종 역설들을 다룬다. 그의 문제에 대한 접근법은 인식론적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소설을 쓰지는 않지만 프랑스 문학에서 나온 그의 글에도 강한 영향력이 있다.[1][2]

출판목록

  • L'ére du 비디오 : Essais sur l'개인주의 동시대인 Gallimard, 1983.
  • L'Empire de l'épémér : La'mode et son destin dans les societés modernes, Gallimard, 1987
  • 1992년 갈리마드 주, 르 크르푸스큘 두 데부아르
  • 1997년 갈리마르 주 라 트로이시엠 팜므
  • Métamorpose de la culture libérale – Ethique, Médias, Entreprise, Montréal, Edition Liber, 2002
  • 르룩스 에스테르넬(엘리엣 루스 포함), 에데스 갈리마르, 2003년
  • 레 템스 하이퍼모데르네, 2004년 영화 그라세트
  • Le bonheur 역설. Essai sur la societé d'hyperconsommonation, édations Gallimard, 2006년
  • La societé de déception, éditions Textuel, 2006년.
  • 레크란 글로벌 문화-메디아 외 시네마 아 라게 하이퍼모데른 (Jean Serroy와 함께), 수일, 2007
  • 라 컬쳐몽드. Réponse a societé désorientée, 파리, Odile Jacob, 2008년 (Jean Serroy와 함께)
  • L'Ooccident mondialisé: 논쟁 sur la culture planétaire, 파리, 그라셋, 2010 (Hervé Juvin과 함께)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Gilles Lipovetsky, defensor del capitalismo" (in Spanish). Guadalajara: El Informador. August 31, 2009. Retrieved August 20, 2013.
  2. ^ a b c d e f g h i Raul Corral Quintero (October–November 2007). "Gilles Lipovetsky: Una sociología del presente pos(hiper)moderno" (PDF). Casa del Tiempo (in Spanish). Universidad Autónoma Metropolitana. IV (4 pages 41–46). Retrieved August 20, 2013.
  3. ^ a b c "El exceso domina la sociedad actual; se perdieron los límites". La Jornada (in Spanish). Mexico City. March 28, 2012. p. 9. Retrieved August 20, 2013.
  4. ^ a b Jesus Alejo (March 23, 2012). "Gilles Lipovetsky: vivimos un tiempo en que la cultura no tiene influencia". Milenio (in Spanish). Mexico C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7, 2013. Retrieved August 20, 2013.
  5. ^ a b c "Gilles Lipovetsky volverá a México". El Universal (in Spanish). August 14, 2013. Retrieved August 20, 2013.
  6. ^ Free 베르사유 웹사이트
  7. ^ a b Alberto Sauret. "Gilles Lipovetsky, el Imperio de lo efímero" (in Spanish). Instituto Tecnologico Autonoma de Mexi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0, 2013. Retrieved August 20, 2013.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8. ^ Jesus Alejo (August 10, 2007). "Visitará Gilles Lipovetsky el Tecnológico de Monterrey". Cronica Intercampus (in Spanish). Mexico: Tec de Monterr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8, 2010. Retrieved August 20, 2013.
  9. ^ "Reflexionarán sobre la pantalla global con Gilles Lipovetsky" (in Spanish). Tec de Monterr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0, 2013. Retrieved August 20, 2013.
  10. ^ Ellis Cashmore (January 20, 1995). "Free style -- The Empire of Fashion by Gilles Lipovetsky and translated by Catherine Porter". 8 (336). New Statesman & Society: 37.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11. ^ a b "Entrevista / Gilles Lipovetsky / No sólo de marcas vive el hombre" (in Spanish). Mexico City: Reforma. October 5, 2008. p. 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