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팔원숭이
Gibbon긴팔원숭이[1][2] 시간적 범위: 미오세–최근 PRE ꞓ ꞓ N 후기 | |
---|---|
서로 다른 속의 긴팔원숭이 종; 위에서부터 왼쪽, 시계 방향으로: 긴팔원숭이 (Hylobates pileatus), 서부 긴팔원숭이 (Hoolock hoolock), 노랑뺨 긴팔원숭이 (Nomascus gabriellae), 시아망 (Sympalangus syndactylus) | |
과학적 분류 | |
도메인: | 진핵생물 |
킹덤: | 애니멀리아 |
문: | 초르다타 |
클래스: | 포유류 |
순서: | 영장류 |
하위 순서: | 하플로르히니 |
인프라오더: | 유사체 |
파보더: | 카타르히니 |
슈퍼패밀리: | 호미노이데아과 |
가족: | 히로바티과 그레이, 1870년 |
활자속 | |
하이로바츠 일리거, 1811년 | |
속 | |
동남아시아의 분포 |
긴팔원숭이(//ːb ˌnz/)는 긴팔원숭이과에 속하는 유인원입니다. (/ɪ하 əˈb æt ɪ디 ə/)역사적으로 이 과는 하나의 속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현존하는 4개 속과 20종으로 나뉩니다.긴팔원숭이는 방글라데시 동부부터 인도 북동부, 중국 남부와 인도네시아(수마트라, 보르네오, 자바 섬 포함)에 이르는 아열대 및 열대 우림에서 살고 있습니다.
또한 작은 유인원이라고도 불리는 긴팔원숭이는 큰 유인원(보노보,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 인간)과는 더 작고, 낮은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둥지를 만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릅니다.[5]모든 유인원들처럼 긴팔원숭이도 꼬리가 없습니다.대부분의 큰 유인원들과는 달리 긴팔원숭이는 종종 장기적인 쌍의 결합을 형성합니다.이들의 주요 이동 방식인 '브라키에이션(brachiation)'은 최대 시속 55km(34mph)의 속도로 최대 15m(50ft)의 거리를 가지에서 가지로 스윙하는 것을 포함합니다.그들은 또한 8미터까지 도약할 수 있고, 균형을 잡기 위해 두 팔을 들고 이족보행을 할 수 있습니다.그들은 나무에 서식하는 날지 않는 포유동물 중에서 가장 빠릅니다.[6]
종과 성별에 따라 긴팔원숭이의 털 색깔은 어두운 갈색부터 밝은 갈색까지 다양하고, 검은색과 흰색 사이의 어떤 색도 있지만, 완전히 "흰" 긴팔원숭이는 희귀합니다.
어원
영어 단어 "gibbon"은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원래 오랑 애슬리(Orang Asli) 단어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습니다.[7]
진화사
전체 게놈 분자 연대 분석 결과, 긴팔원숭이 혈통은 약 1,680만 년 전(Mya)에 유인원의 혈통에서 벗어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95% 신뢰 구간: 1,590-1,7.6 Mya; 구세계 원숭이로부터 29 Mya의 차이를 감안할 때).[8]염색체 재배열과 관련된 적응적 발산은 5-7 Mya속 4개의 빠른 방사로 이어졌습니다.각각의 속들은 명확하고 잘 묘사된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속들 간의 차이의 서열과 시기는 방사상의 종별과 광범위한 불완전한 계통 분류로 인해 전체 게놈 자료를 가지고도 해결하기 어려웠습니다.[8][9]형태학에 근거한 분석은 4개 속을 (심팔랑구스, (노마스쿠스, (훌록, 힐로바테스))[10]로 분류할 것을 시사합니다.
호미노상과 (호미노상과, 유인원) |
| |||||||||||||||||||||||||||||||||||||||||||||||||||||||||||||
게놈 규모의 데이터 세트에 대한 연합 기반 종 트리 분석은 (Hylobates, (Nomascus, (Hoolock, Symphalangus))[11]로 분류되는 4개 속에 대한 계통발생을 시사합니다.
호미노상과 (호미노상과, 유인원) |
| |||||||||||||||||||||||||||||||||||||||||||||||||||||||||||||
종 수준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체 분석의 추정치는 Hylobates pileatus가 H. lar와 H. agilis에서 약 3.9 Mya, H. lar와 H. agilis에서 분리되었음을 시사합니다.[9]전체 게놈 분석은 H. moloch 1.5–3.0 Mya로부터 H. pileatus의 발산을 시사합니다.[8]멸종된 부노피테쿠스 세리쿠스는 긴팔원숭이 또는 긴팔원숭이와 유사한 유인원으로 최근까지 훌록 긴팔원숭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2]
분류학
이 과는 이배체 염색체 수에 따라 4개 속으로 나뉩니다.Hylobates (44), Hoolock (38), Nomascus (52), 그리고 Symphalangus (50).[2][12]또한, 현재 3개의 멸종된 속이 인정되고 있습니다.부노피테쿠스, 준지, 위안모피테쿠스.[2][13][14][3][15]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 긴팔원숭이[1][12][16]
- 훌록속
- 서부후룩긴팔원숭이, H. hoolock
- 동부홀록긴팔원숭이, 류코네디스
- 스카이워커 훌록 긴팔원숭이, H. tianxing[17]
- 난쟁이긴팔원숭이속
- 심팔랑구스속
- 샤망, S. 신닥틸러스
- 뿔긴팔원숭이속 (Nomascus): 뿔긴팔원숭이
- 북부완충볼긴팔원숭이, N.annamensis
- 콘컬러 또는 검은볏긴팔원숭이, N. 콘컬러
- 동부검은볏긴팔원숭이 또는 카오비트검은볏긴팔원숭이, N. nasutus
- 하이난검은볏긴팔원숭이 (N. Hainanus)
- 북부흰뺨긴팔원숭이, N. 류코네시스
- 남방흰뺨긴팔원숭이
- 노랑뺨긴팔원숭이
멸종속
잡종
많은 긴팔원숭이들은 털 색깔을 바탕으로 식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노래나 유전학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19]이러한 형태학적인 모호성은 동물원의 잡종으로 이어졌습니다.동물원은 종종 기원을 알 수 없는 긴팔원숭이를 받기 때문에 종과 아종의 이름을 지정하기 위해 확인이 불가능한 형태적 변화 또는 라벨에 의존하기 때문에 별도의 긴팔원숭이 종들은 일반적으로 잘못 식별되고 함께 수용됩니다.한 속에 속한 종간의 잡종들은 범위가 겹치는 야생 긴팔원숭이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의심됩니다.[20]그러나 야생이든 사육 중이든 서로 다른 긴팔원숭이 속 사이의 비옥한 잡종에 대한 기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8]
묘사
긴팔원숭이 해부학의 한 가지 독특한 측면은 손목인데, 손목은 2축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공과 소켓 관절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이는 팔과 몸통 위쪽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감소시키는 동시에 어깨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긴팔원숭이는 또한 긴 손과 발을 가지고 있으며, 손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손가락 사이에 깊은 갈라진 틈이 있습니다.그들의 털은 보통 검은색, 회색 또는 갈색을 띠며, 손, 발 그리고 얼굴에 하얀 점이 종종 있습니다.시아망과 같은 몇몇 종들은 목낭이 넓어져 있는데, 이것은 동물들이 부를 때 부풀어 올라 공명하는 방의 역할을 합니다.이 구조는 어떤 종에서는 꽤 커지기도 하며, 때로는 동물의 머리 크기와 같아지기도 합니다.그들의 목소리는 기껏해야 사람 키의 반이지만, 그 어떤 사람 가수의 목소리보다도 훨씬 더 강렬합니다.[21]
긴팔원숭이의 두개골과 이빨은 유인원과 닮았고, 코는 모든 카타린 영장류와 비슷합니다.치과 공식은 2.1.2.32.1.2.3입니다.[22]18종 중 가장 큰 샤망은 각 발에 두 개의 손가락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어서 종명은 심팔랑구스, 신닥틸루스입니다.[23]
행동
모든 영장류처럼 긴팔원숭이도 사회적 동물입니다.그들은 강력한 영토성을 가지고 있고, 왕성한 시각적 그리고 목소리적인 표현으로 그들의 경계를 지킵니다.종종 1km(0.62mi)까지의 거리에서 들을 수 있는 보컬 요소는 짝을 이룬 커플 사이의 듀엣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때때로 그들의 어린 아이들도 합류합니다.대부분의 종에서 수컷과 암컷은 자신들의 영역을 광고할 뿐만 아니라 짝을 유혹하기 위해 솔로를 부릅니다.[24]이 노래는 긴팔원숭이가 어떤 종의 긴팔원숭이가 노래하는지 뿐만 아니라, 그 노래가 나오는 지역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25]
긴팔원숭이는 종종 평생 같은 짝을 유지하지만, 항상 성적 일부일처제로 남아있지는 않습니다.추가적인 짝짓기 외에도, 쌍으로 연결된 긴팔원숭이는 때때로 "이혼"을 합니다.[26][27]
긴팔원숭이는 자연계 최고의 브라키터 중 하나입니다.그들의 볼과 소켓 손목 관절은 나무 사이를 스윙할 때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속도와 정확성을 가능하게 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이동 방식은 나뭇가지가 부러지거나 손이 미끄러질 때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긴팔원숭이들이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뼈 골절을 겪는 것으로 추정합니다.[28]그들은 나무에 서식하는 날지 않는 포유동물 중에서 가장 빠릅니다.[28]땅 위에서 긴팔원숭이는 두 발로 걷는 경향이 있고, 그들의 아킬레스건 형태는 다른 어떤 유인원의 형태보다 인간의 형태와 더 비슷합니다.[29]
다이어트
긴팔원숭이의 식단은 약 60%가 과일이지만,[30] 나뭇가지, 잎, 곤충, 꽃, 그리고 때때로 새알을 먹기도 합니다.
유전학
긴팔원숭이는 인간과 유인원의 공통 조상에서 갈라진 최초의 유인원이었습니다.긴팔원숭이는 인간과 96%의 유사성을 가진 게놈으로 마카크 원숭이와 유인원 같은 구세계 원숭이들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합니다.긴팔원숭이와 인간 게놈의 합성(같은 염색체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분열을 지도로 나타낸 연구에 따르면, 인간과 유인원은 긴팔원숭이를 가진 같은 슈퍼 패밀리(Hominoidea)의 일부입니다.그러나 긴팔원숭이의 핵형은 다른 유인원들보다 일반적인 호미노이드 조상으로부터 훨씬 더 빠른 속도로 갈라졌습니다.
호미노이드의 공통 조상은 긴팔원숭이 조상으로 추정되는 핵형으로부터 최소 24개의 주요 염색체 재배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오늘날 살아있는 다양한 종의 긴팔원숭이로부터 일반적인 긴팔원숭이 조상의 핵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최대 28개의 추가적인 재배열이 필요합니다.덧붙여, 이것은 공통의 호미노이드 조상을 오늘날의 긴팔원숭이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52개의 주요 염색체 재배열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독립적인 재배열에서 공통적인 특정 시퀀스 요소는 발견되지 않은 반면, 긴팔-인간 합성 중단점의 46%는 분절적 복제 영역에서 발생합니다.이것은 인간과 긴팔원숭이의 이러한 주요한 차이점들이 가소성 또는 변화의 공통적인 원천을 가졌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연구자들은 긴팔원숭이와 같은 작은 유인원에 특이적인 염색체 재배열의 비정상적인 높은 비율은 염색체 파괴율을 증가시키는 요인들 또는 다른 포유류에서는 대부분 소실되지만 파생 염색체가 동형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요인들에 기인할 수 있다고 봅니다.[31]
동남아시아 긴팔원숭이의 전체 게놈은 다른 국제적인 연구자들과 함께 Christian Roos, Markus Brameier, 그리고 Lutz Walter를 포함한 독일 영장류 센터에 의해 2014년에 최초로 염기서열이 밝혀졌습니다.게놈 배열을 한 긴팔원숭이 중 하나는 아시아(Asia)라는 이름의 흰뺨긴팔원숭이(Nomascus leucogenys, NLE)입니다.연구팀은 LAVA transposon (긴팔원숭이 특유의 레트로 트랜스포손이라고도 불리는)이라는 이름의 뛰는 DNA 요소가 인간과 유인원을 제외한 긴팔원숭이 게놈의 독특한 점을 발견했습니다.LAVA 트랜스포존은 돌연변이율을 증가시켜 진화 발전에 중요한 근연종에 비해 긴팔원숭이의 급격하고 큰 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이 큰 DNA 세그먼트의 이동으로 인한 염색체 장애 및 재배열(예: DNA의 큰 부분의 복제, 삭제 또는 반전)의 매우 높은 비율은 긴팔원숭이 게놈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LAVA 트랜스포손의 특별한 특징은 세포 분열 동안 염색체 분리와 분포에 관여하는 유전자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한다는 것이며, 이는 전사의 변화를 초래하는 조기 종결 상태를 초래합니다.염색체 복제와 관련된 유전자 근처의 점프 유전자의 이러한 통합은 게놈의 재배열을 더욱 가능성 있게 만들고, 긴팔원숭이 속에서 더 큰 다양성으로 이끌 것으로 생각됩니다.[32]
게다가, 긴팔원숭이 게놈의 몇몇 특징적인 유전자들은 긍정적인 선택을 거쳤으며 긴팔원숭이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특정한 해부학적 특징들을 낳도록 제안되고 있습니다.그 중 하나가 TBX5인데, 이것은 긴 팔과 같은 앞다리나 앞다리의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입니다.다른 하나는 COL1A1으로, 결합 조직, 뼈, 연골 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의 발달을 담당합니다.[32]이 유전자는 긴팔원숭이의 더 강한 근육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33]
연구원들은 약 5백만년 전 동남아시아의 주요 환경 변화 사이에 일치하는 점을 발견했는데, 이는 긴팔원숭이 속들이 겪고 있는 방사능의 한 예로, 그들의 숲 서식지의 확장과 축소의 순환적인 역동성을 발견했습니다.이것이 그들의 거대한 유인원 친척들과는 구별되는, 그들의 빽빽한 캐노피 숲의 서식지에 적응하기 위한 신체적인 특징들의 세트의 개발로 이어졌을지도 모릅니다.[32]
유전학에서 이러한 중요한 발견들은 긴팔원숭이를 염색체의 파괴와 융합을 위한 유전적 모델로 사용하는데 기여했습니다.DNA와 염색체 재배열의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의 구조적 변화는 일부 종에서 문제가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34]하지만 긴팔원숭이들은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변화가 그들이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따라서 긴팔원숭이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한 암과 같은 염색체의 변화와 관련된 인간의 질병에 대한 영향을 넓히기 위해 유전학 연구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유기체입니다.[35][36]
보전여부
대부분의 종들은 주로 숲 서식지의 악화나 상실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했거나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37]태국 푸켓섬에서 자원봉사자를 기반으로 한 긴팔원숭이 재활 센터가 감금되어 있던 긴팔원숭이들을 구조하여 야생으로 돌려보내고 있습니다.[38]칼라윗 프로젝트에는 보르네오와 수마트라에 긴팔원숭이 재활 센터도 있습니다.[39]
IUCN 종 생존 위원회 영장류 전문가 그룹(IUCN Specialist[40] Group)은 2015년을 긴팔원숭이의 해로 발표하고 긴팔원숭이의 상태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 세계 동물원에서 개최되는 행사를 시작했습니다.[41]
중국의 전통문화에서
중국학자 로버트 반 굴릭(Robert van Gulik)은 긴팔원숭이가 적어도 송나라 시대까지는 중국 중부와 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고, 나아가 중국 시와 다른 문헌에서 영장류에 대한 언급과 중국 회화에서의 묘사에 대한 분석에 근거하여,긴팔원숭이는 14세기경에 서식지 파괴로 인해 대부분의 나라에서 멸종되기 전까지 猿(중국어: yuán)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그러나 현대의 용법에서 yuán은 유인원의 총칭입니다.초기 중국 작가들은 나무 꼭대기에서 우아하게 움직이는 "고귀한" 긴팔원숭이를 인간의 음식에 끌리는 탐욕스러운 마카크 원숭이와는 대조적으로 숲의 "신사" (준즈 ǐ, 君子)로 보았습니다.도교들은 긴팔원숭이가 수백 년을 살 수 있고 인간으로 변할 수 있다고 믿으면서, 긴팔원숭이의 신비한 특성을 부여했습니다.[42]
중국에서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 정도의 긴팔원숭이 조각상이 발견되었습니다.후에 긴팔원숭이는 중국 화가들에게 인기 있는 주제가 되었는데, 특히 송나라와 원나라 초기에 ì과 므ù크 ī ǎ이 유인원을 그리는 데 뛰어났기 때문입니다.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일본 미술에서도 긴팔원숭이가 자연적으로 발생한 적은 없지만, '물에 비친 달의 모습을 움켜쥐는 긴팔원숭이'라는 선 모티브가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43]
참고문헌
- ^ a b Groves, C. P. (2005). Wilson, D. E.; Reeder, D. 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178–181.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a b c d Mootnick, A.; Groves, C. P. (2005). "A new generic name for the hoolock gibbon (Hylobatidae)".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26 (4): 971–976. doi:10.1007/s10764-005-5332-4. S2CID 8394136.
- ^ a b c Ji, Xueping; Harrison, Terry; Zhang, Yingqi; Wu, Yun; Zhang, Chunxia; Hu, Jinming; Wu, Dongdong; Hou, Yemao; Li, Song; Wang, Guofu; Wang, Zhenzhen (2022-10-01). "The earliest hylobatid from the Late Miocene of China". Journal of Human Evolution. 171: 103251. doi:10.1016/j.jhevol.2022.103251. ISSN 0047-2484. PMID 36113226. S2CID 252243877.
- ^ "Appendices CITES". cites.org. Retrieved 2022-01-14.
- ^ "Gibbon Conservation Center Working to Save South Asia's Hoolock Gibbons & Other "Small Apes"". National Geographic =. Retrieved 14 February 2016.
- ^ "Gibbon". a-z animals. Retrieved 26 March 2015.
- ^ Lim, Teckwyn (2020). "An Aslian origin for the word gibbon". Lexis. 15.
- ^ a b c d Carbone, Lucia; et al. (2014). "Gibbon genome and the fast karyotype evolution of small apes". Nature. 513 (11 September 2014): 195–201. Bibcode:2014Natur.513..195C. doi:10.1038/nature13679. PMC 4249732. PMID 25209798.
- ^ a b Matsudaira, K; Ishida, T (May 2010).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gence dates of the whol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among three gibbon genera". Mol. Phylogenet. Evol. 55 (2): 454–59. doi:10.1016/j.ympev.2010.01.032. PMID 20138221.
- ^ Geissmann, Thomas (2003). "Taxonomy and evolution of gibbons". Evolutionary Anthropology: Issues, News, and Reviews. 11: 28–31. CiteSeerX 10.1.1.524.4224. doi:10.1002/evan.10047. S2CID 36655075.
- ^ Shi, Cheng-Min; Yang, Ziheng (January 2018). "Coalescent-Based Analyses of Genomic Sequence Data Provide a Robust Resolu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Major Groups of Gibbon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5 (1): 159–179. doi:10.1093/molbev/msx277. PMC 5850733. PMID 29087487.
- ^ a b Geissmann, Thomas (December 1995). "Gibbon systema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 (PDF). International Zoo News. 42: 467–501. Retrieved 2008-08-15.
- ^ Weintraub, Karen (2018-06-21). "Extinct gibbon found in tomb of ancient Chinese emperor's grandmother".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21-01-13.
- ^ Bower, Bruce (8 September 2020). "A stray molar is the oldest known fossil from an ancient gibbon - Ancestors of these small-bodied apes were in India roughly 13 million years ago, a study suggests". Science News. Retrieved 8 September 2020.
- ^ Sonstige, Wilson, Don E. 1944- Hrsg. Cavallini, Paolo (2013).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Lynx Edicions. ISBN 978-84-96553-89-7. OCLC 1222638259.
{{cite book}}
: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 ^ Geissmann, Thomas. "Chapter 3: "Adopting a Systematic Framework". Gibbon Systema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 Retrieved 2011-04-05 – via gibbons.de.
- ^ Brown, Georgia (11 January 2017). "New species of gibbon discovered in China". The Guardian. Retrieved January 13, 2021.
- ^ a b Sonstige, Wilson, Don E. 1944- Hrsg. Cavallini, Paolo (2013).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Lynx Edicions. ISBN 978-84-96553-89-7. OCLC 1222638259.
{{cite book}}
: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 ^ Tenaza, R. (1984). "Songs of hybrid gibbons (Hylobates lar × H. muelleri)".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8 (3): 249–253. doi:10.1002/ajp.1350080307. PMID 31986810. S2CID 84957700.
- ^ Sugawara, K. (1979). "Sociological study of a wild group of hybrid baboons between Papio anubis and P. hamadryas in the Awash Valley, Ethiopia". Primates. 20 (1): 21–56. doi:10.1007/BF02373827. S2CID 23061688.
- ^ Lull, Richard Swann (1921). "Seventy Seven". Organic Evolu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pp. 641–677.
- ^ 마이어스, 2000쪽.Hylobatidae과, 동물 다양성 웹2011년 4월 05일 접속.
- ^ Geissmann, T. (2011). "Typical Characteristics". Gibbon Research Lab. Retrieved 17 August 2011.
- ^ Clarke E, Reichard UH, Zuberbühler K (2006). Emery N (ed.). "The Syntax and Meaning of Wild Gibbon Songs". PLOS ONE. 1 (1): e73. Bibcode:2006PLoSO...1...73C. doi:10.1371/journal.pone.0000073. PMC 1762393. PMID 17183705.
- ^ 글로버, 힐러리.긴팔원숭이들의 지역 억양을 인식하기 위해, BioMed Central, EurekAlert.org , 2011년 2월 6일.
- ^ Reichard, U (1995). "Extra-pair copulations in a monogamous gibbon (Hylobates lar)". Ethology. 100 (2): 99–112. doi:10.1111/j.1439-0310.1995.tb00319.x.
- ^ Briggs, Mike; Briggs, Peggy (2005). The Encyclopedia of World Wildlife. Parragon. p. 146. ISBN 978-1405456807.
- ^ a b 애튼버러, 데이비드포유류의 삶, "에피소드 8: 나무에서의 삶", BBC Warner, 2003.
- ^ Aerts, P.; d'Août, K.; Thorpe, S.; Berillon, G.; Vereecke, E. (2018). "The gibbon's Achilles tendon revisited: consequences for the evolution of the great ap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85 (1880): 20180859. doi:10.1098/rspb.2018.0859. PMC 6015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