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박해사건의 동부 가톨릭 피해자.
Eastern Catholic victims of Soviet persecutions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박해 가톨릭 교회의 |
---|
가톨릭 포탈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
---|
1585년 브레스트 연합 |
1839년 폴로츠크 공의회 |
1875년 켐 에파치의 개종 |
1946년 리비프 공의회 |
종교문제협의회 |
소비에트 연방의 반카톨릭주의 |
소련 박해사건의 동부 가톨릭 피해자. |
동방 가톨릭의 소련 박해 피해자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무신론의 국가이념 아래 1918년부터 1980년경까지 소련의 박해 피해 수만 명 가운데 주교 등을 포함한다.
1917년부터 1939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오 12세는 1939년 5월 12일 선출된 지 두 달 만에 동양교회 성스러운 회중에게 보낸 교황 서한인 신골라리 애니미에서 소련에 대한 가톨릭 신앙의 박해를 다시 보고했다. 그로부터 3주 후, 세례 950주년을 맞아 세인트 블라디미르에 대한 추모의 뜻을 표하면서 루테니아 신부와 주교, 로마에 있는 러시아 식민지의 일원을 영접하고, 주님이 오시는 때를 눈물로 기다리며 조국에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기도했다.[1]
스탈린에 의한 동방 가톨릭 교회 탄압
루테니아 교회
제2차 세계 대전 후 러시아 정교회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무신론 교리를 고수하던 요셉 스탈린의 무신론 정부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를 얻었다. 그러나 로마와 단결된 동방 가톨릭(동양) 교회는 박해를 받았다. 정교회 지도자들은 로마와 결별하고 모스크바와 단결해야 한다는 거센 압력에 직면했다. 교황 피오스는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루테니아 가톨릭 교회에 구체적으로 연설했다. 일부 루테니아 가톨릭 신자들은 스스로를 루신스라고 부른다. 그들은 우크라이나어의 사투리를 말한다. 전통적인 루신 고향은 슬로바키아 북동부와 폴란드 남동부의 렘코 지역으로 확장된다. 1922년까지 이 지역은 대체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역의 일부였다. 라틴어 의례를 따르는 폴란드에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추가된 후 폴론화 및 모든 정교회 및 유니테 기독교인들의 중요한 문제가 발전했다.[2][3] 일부 루테니아인들은 폴로니화에 저항하며 바티칸으로부터 버림받은 기분으로 교황 비오 11세 때 러시아 정교회로 돌아왔다.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1945년 이후 브레스트 연합은 우크라이나 그리스 카톨릭 교회의 동양 문화를 지배하고 말살하려는 폴란드인의 음모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라틴 종교와 폴로네이션의 폴란드 주교 밑에서 유니테와 정교 신자들과 사제들이 고통을 겪어야 했다. 그러나 이제 그들은 비할 데 없는 요셉 스탈린 원수님의 지도 아래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어 로마와의 지속적인 유대관계는 더 이상 필요치 않다.[4]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 역할
모스크바의 새 총대주교 알렉시우스 1세는 소련의 모든 가톨릭 신자들에게 로마로부터의 분리를 요구했다.
- 자신을 해방시켜라! 그대는 자신을 오류와 어둠과 영적 부패의 심연 속으로 내던져 버리는 바티칸 사슬을 끊어야 한다. 서둘러, 당신의 진정한 어머니인 러시아 정교회로 돌아가라! [5]
교황 비오 12세는 "알렉시우스 1세 총대주교가 최근 러시아의 반체제 주교들에 의해 선출된 것을 누가 알 수 없느냐"고 반문했다. 최근 루테니아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적지 않은 박해에 기여했던 편지?"[6]
오리엔탈레스 오므네스 에클레시아스
오리엔탈레스 오므네스 에클레시아스는 종교적 박해가 없는 관용 세계의 유엔 결의안을 가리킨다 피오 이는 우리에게 평화와 참된 자유가 가톨릭 교회 어디에나 부여될 것이라는 희망을 주었다 교회가 항상 법도에 순종하는 것을 가르치고 가르쳤기 때문이다 확립된 시민권력은 그 권위의 범위 내에서 양심의 의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우리가 언급한 사건들은 루테니아인들의 땅에 관한 한, 우리의 희망과 자신감을 거의 파괴하고, 몹시 약화시켰다.[7]
교황은 유니테 교회와 로마를 분리하려는 시도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백과사전 동양인들이 에클레시아스보다 몇 달 앞서 우크라이나 교회의 모든 가톨릭 주교들이 체포되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 Josyf Sliffyj, Gregory Chomysyn, John Laysevkyi, Nicolas Carneckeyi, Josaphat Kocylovskii. 니케타스 부드카 주교를 포함한 몇몇은 시베리아에서 죽었다.[8]
평가판 표시
스탈린주의 쇼 재판에 회부되어 그들은 모두 중형을 선고받았다. 나머지 위계 지도자들과 모든 반정부 및 성공회 사무소의 수장들은 1945년과 1946년에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1945년 7월 1일, 300여 명의 연합교회 사제들이 화염병에게 편지를 썼다. 그들은 모든 주교들과 가톨릭 성직자들의 체포에 항의했다.[9] 이리하여 교회가 모든 지도력을 강탈당한 후, 로마로부터 분리를 위한 '자발적 운동'이 전개되었고, 러시아 정교회와의 통일도 진전되었다. 성직자들의 집단 체포가 뒤따랐다. 렘코에서는 1945년[10] 500여 명의 사제들이 수감되거나 굴라크에 보내졌는데, 공식적으로 "정치적 이유로 행선지를 알 수 없다"[11]고 불렀다.
후속 재산 몰수
카톨릭 교회는 전멸되었고, 교회 기관들은 몰수당하고 수용되었다. 교회, 수도원, 신교도들은 문을 닫고 약탈당했다.[12] 전쟁이 끝난 후, 상주하는 주교들과 사도교 행정가들이 모두 1946년 3월 6일 체포된 후, 카톨릭 통일교회는 모스크바 가부장제 하에 통합되었다.[13] 우크라이나의 가톨릭 교회는 이렇게 청산되었다. 모든 재산은 모스크바 총대주교 휘하의 정교회에 넘겨졌다.
몇몇 박해받는 주교들
박해에 관한 교황 백과사전
백과사전 동양인 에클레시아스는 1945년 박해 전까지 Unified(동부) 교회와 로마 사이의 관계를 요약한 것이다. 교황 비오 12세는 많은 시련과 피비린내 나는 박해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의 신자들에게 연합의 장점을 보여주기 위해 재결합에 대한 포괄적인 역사적 검토를 제시한다. 사크로 베르젠테에서 이 역사는 일반적으로 러시아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반복된다. 그는 다시 공산주의를 배척하지만 공산주의자는 배척하지 않는다. 잘못을 저지르는 자는 언제나 환영한다.[14] 성 요사밧 대학에서 그는 러시아에서 지난 20년 동안 주교들이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어 집에서 금지되고 감옥에서 죽임을 당했던 끔찍한 변화를 애도한다. 단 한 가지 이유 때문에 그들은 교황청에 충실하다.[15]
오리엔탈레스 에클레시아스는 바티칸이 동양교회와의 관계개선을 위해 노력한 것을 평가한다. 교황 비오 12세는 그레고아르-피에르 아가지안 동양 추기경의 호칭과 동방 캐논법 개혁을 두 가지 예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요즘 가장 번성하고 있는 기독교 공동체는 흔적도 없이 전멸된다. 그는 많은 주교와 성직자들이 알려지지 않은 목적지, 강제수용소, 감옥으로 추방되는 반면 일부는 가택연금되고 있다는 것 외에는 자세한 내용을 알지 못한다. AAS 1952년, 오리엔탈레스 에클레시아스 5 불가리아에서는 보실코프 주교가 다른 많은 사람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그러나 불가리아만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장 기본적인 자연권과 인권을 빼앗기고, 가장 극단적인 방법으로 학대를 받는다. 우크라이나의 고통은 엄청나다.[16] 교황은 특히 동양교회 주교들에 대한 키예프 쇼 재판을 언급하고 있다. 그래도 위로와 희망에는 이유가 있다. 신자들의 힘.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께서 주신 자유를 이용하여 정의와 단결의 명분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를 위해 일하는 더 나은 시민을 만든다.[17] 교황은 박해받는 사람들을 위해 전세계적인 대중 기도를 요청함으로써 결론을 내리고, 그들이 감옥을 열고 그 나라들의 사슬을 풀어주기를 희망한다.
노비무스 노스는 동양 의례의 주교들에게 믿음, 힘, 희망을 묻는 편지다. 교황은 모든 동양의 기독교인들이 서양 교회와 단결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염원을 표현하고, 성경에 대한 믿음과 충실함으로 감옥이나 미지의 장소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로한다. 성모 마리아 불멸의 개념의 독마 100주년을 기념하는 풀겐스 코로나에서 교황 비오스는 러시아의 고통과 박해를 전 세계에 상기시키고, 그녀를 그렇게 많은 러시아 추종자들을 거느린 메리의 특별한 보호를 위해 헌신한다.
- 1. 사도성 편지, 1939년 5월 12일, AAS 1939, 258
- 2. 디스코르시 1939년 세인트블라디미르 세례 950주년 기념일, 163년
- 3. 동양인은 에클레시아스, 백과사전, AAS 1946, 33
- 4. Sempiternus Rex, 백과사전, 1951년 9월 8일, AAS 1951, 624
- 5. 사크로 베르젠테, 사도교 서신, 1952년 7월 7일, AAS 1952년, 505년
- 6. 1952년 12월 15일 성 요사팟 대학 연설, AAS 1952, 876
- 7. 오리엔탈레스 에클레시아스, 백과사전, 1952년 12월 15일, AAS 1953, 5
- 8. 노비무스 노즈, 사도 서신, 1956년 1월 20일, AAS 1956, 260
- 9. 풀겐스 코로나 백과사전, 1954년 9월 8일, AAS 1954년, 577년
소멸기
1953년 요셉 스탈린이 사망한 후 '평화 공존'은 수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1954년 그의 크리스마스 메시지에서 비오 12세는 평화 공존을 위한 가능성과 전제조건을 정의했다. 그는 교황청이 신자들을 위해 가능하면 언제나 실질적인 협력을 할 용의가 있음을 시사했다. 1956년 이후 폴란드와 유고슬라비아에서 다소 개선된 것 외에 느린 속도로 진행된 탈탈린화와 헝가리 혁명에 대한 소련의 탄압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58년 1월, 안드레이 그로미코 소련 외무장관은 세계 평화와 평화적 목적을 위한 원자력의 사용에 대한 교황 비오 12세의 입장에 비추어 바티칸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을 용의가 있다고 밝혔는데, 이 입장은 크렘린 정책과 동일하다고 그가 주장했다.[18] 바티칸은 공식적으로 응답하지 않았으며, 보고된 비공식 접촉은 2028년 바티칸 문서보관소가 비오 12세의 모든 문서에 대한 접근을 개방해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citation needed]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후 박해
참고 항목
참조
- 악타 사도세디스(AAS), 로마, 바티카노 1922-1960
- 오웬 채드윅, 런던 냉전의 기독교 교회 1993
- 리처드 쿠싱 추기경, 교황 비오 12세, 세인트 폴 에디션, 1959년 보스턴
- VII, Herder Freiburg, 1979년, 355-380, Handbuch der Kirsungeschicte, VII, Herder Freiburg,에 있는 Oldengemeinschaften und Sakularinstitute.
- Galter, Rotbuch der Verfolgten Kirchen, Paulus Verlag, Lecklinghausen, 1957,
- 알베르토 조반네티, 피오 12I 파라 알라 치사 델 실렌지오, 에디트리스 안코나, 밀라노, 1959, 독일어 번역, 더 파프스트 스프리히트 주르 드 슈바이겐스, 파울루스 베를라크, 레클링하우젠, 1959
- 헤르더 코르응답즈 오르비스 카톨릭, 프라이부르크, 1946–1961
- 피오 13세 디스코르시 이 라디오메사기, 로마 바티카노 1939-1959,
- 얀 올라브 스미트, 교황 비오 12세, 런던 번즈 오이스 & 워시본 LTD,1951
원천
- ^ AAS 1939, 165
- ^ 조반네티로112번길
- ^ 위키백과 폴론화
- ^ 조반네티로112번길
- ^ 조반네티, 페이지 115
- ^ AAS 1946, 오리엔탈레스 에클레시아스, 57
- ^ AAS 1946, 오리엔탈레스 에클레시아스, 58
- ^ 조반네티로131번길
- ^ 굴리엘모 데 브리스, 오리엔트 크리스티아누, 이리 에 오기, 로마, 270-275
- ^ 조반네티, 90년
- ^ 스밋로174번길
- ^ 아드리아니로517번길
- ^ 아드리아니로518번길
- ^ AAS,1952,509
- ^ AAS,1952,877
- ^ AAS 1952, 오리엔탈레스 에클레시아스 12
- ^ AAS 1952, 오리엔탈레스 에클레시아스 19
- ^ 조반네티로88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