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대륙
Antarctica지역 | 14,200,000 km2 5,500,000 평방미터[1] |
---|---|
인구. | 1,300~5,100(seasonal) |
인구밀도 | 0.00009/km² ~ 0.00036/km² (seasonal) |
나라들. | 7개의 영유권 주장 |
시간대 | 모든 시간대 |
인터넷 TLD | .aq |
최대 정착지 | |
UN M49 코드 | 010 |
남극대륙(/ æ ˈ ɑːrtkt ɪk ə/ )은 지구 최남단에 위치한 대륙으로 인구가 가장 적습니다. 남극권의 거의 완전히 남쪽에 위치하고 남빙양(남빙양이라고도 함)에 둘러싸여 있으며, 지리적으로 남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남극대륙은 유럽보다 약 40% 더 크고 면적은 14,200,000 km (52,500,000 sqmi)입니다. 남극대륙의 대부분은 평균 두께가 1.9 km (1.2 mi)로 남극 빙상으로 덮여 있습니다.
남극대륙은 평균적으로 대륙 중에서 가장 춥고 건조하며 바람이 가장 많이 부는 지역으로 평균 고도가 가장 높습니다. 주로 극지방 사막으로 해안을 따라 연간 강수량이 200mm가 넘고 내륙은 훨씬 적습니다. 전 세계 담수 매장량의 약 70%가 남극에 얼어붙어 있는데, 녹으면 전 세계 해수면이 거의 60m(200피트) 상승할 것입니다. 남극대륙은 지구상에서 가장 낮은 온도로 측정된 기록인 -89.2 °C (-128.6 °F)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안 지역은 여름에 10°C(50°F) 이상의 온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토종 동물에는 진드기, 선충류, 펭귄, 물개, 완족류 등이 있습니다. 식생이 일어나는 곳은 대부분 이끼나 이끼의 형태입니다.
남극 대륙의 빙붕은 아마도 1820년에 파비안 고틀립 폰 벨링하우젠과 미하일 라자레프가 이끈 러시아 탐험 중에 처음으로 발견되었을 것입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프랑스, 미국, 영국 탐험대의 추가 탐험이 있었습니다. 최초의 확인된 착륙은 1895년 노르웨이 팀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20세기 초에는 대륙 내부로 몇 번의 탐험이 있었습니다. 1909년 영국 탐험가들이 최초로 남극에 도달했고, 1911년 노르웨이 탐험가들이 남극에 처음 도달했습니다.
남극은 1959년 남극조약 체제의 당사국인 약 30개국이 통치하고 있습니다. 이 조약의 조건에 따르면 남극에서는 군사 활동, 채굴, 핵폭발, 핵폐기물 처리 등이 모두 금지되어 있습니다. 관광, 어업 및 연구는 남극과 그 주변에서 인간의 주요 활동입니다. 여름에는 약 5,000명의 사람들이 연구소에 거주하는데, 이 수치는 겨울에는 약 1,000명으로 떨어집니다. 대륙이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염, 오존층 파괴, 기후변화 등을 통해 인간의 활동이 대륙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큽니다.
어원
이 대륙에 붙여진 이름은 남극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단어는 중세 프랑스의 antartique 또는 antarctique ('북극의 반대'), 그리고 차례로 라틴 남극에서 유래했습니다. 남극대륙은 그리스 ἀντι - ('anti-')와 ἀρκτικός - ('곰의', '북쪽')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50년에 "남극 지역"에 대해 기상학에서 썼습니다.[5]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리스의 지리학자 티레의 마리누스는 지금은 사라진 서기 2세기의 세계 지도에 그 이름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로마의 작가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와 아풀레이우스는 1270년에 증명된 고대 프랑스의 폴 안타르티크(현대의 폴 앙트란티크)에서 유래한 [6]로마자 그리스어 이름 폴루스 남극(polus anctarus)을 남극에 사용했고, 여기서 중세 영국 폴 안타르티크는 영국 작가 제프리 초서가 쓴 논문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4]
유럽인들은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북쪽 땅과 균형을 이루기 위해 지구의 먼 남쪽에 있는 거대한 대륙인 테라 오스트랄리스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고전 고대부터 지적인 개념으로 존재해 왔습니다. 그런 땅에 대한 믿음은 유럽에서 호주를 발견할 때까지 지속되었습니다.[7]
19세기 초, 탐험가 매튜 플린더스는 호주 남쪽(당시 뉴홀랜드라고 불림)에 독립된 대륙의 존재를 의심했고, 따라서 호주를 대신하여 "테라 오스트랄리스"라는 이름을 사용할 것을 주장했습니다.[8][9] 1824년 시드니의 식민지 당국은 공식적으로 뉴홀랜드 대륙을 호주로 이름을 바꾸었고, "Terra Australis"라는 용어는 남극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지리학자들은 "남극 대륙"과 같은 문구를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울티마(Ultima)와 안티포데아(Antipodea)와 같은 이름을 제안하면서 더 시적인 대체물을 찾았습니다.[10] 남극대륙은 1890년대에 채택되었으며, 이 이름의 첫 번째 사용은 스코틀랜드 지도 제작자인 존 조지 바르톨로뮤(John George Bartholomew)의 것입니다.[11]
지리학
남극 주변과 남극권(세계 지도를 표시하는 위도 5대 원 중 하나)의 대부분 남쪽에 비대칭적으로 위치한 남극은 남빙양에 둘러싸여 있습니다.[note 2] 강은 남극에 존재합니다; 가장 긴 것은 오닉스 강입니다. 남극대륙은 호주 면적의 거의 두 배인 1,420만 km2 (5,500,000 sq mi) 이상의 면적을 가지고 있어 다섯 번째로 큰 대륙입니다. 해안선의 길이는 거의 18,000km(11,200마일)입니다.[1] 1983년[update] 현재 4개의 해안 유형 중 해안의 44%는 빙붕 형태로 떠다니는 얼음이고 38%는 암석 위에 있는 얼음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3%는 얼음 흐름 또는 빙하의 가장자리이며 나머지 5%는 노출된 암석입니다.[13]
대륙 빙하의 바닥에 놓여 있는 호수들은 주로 맥머도 드라이 밸리(McMurdo Dry Valley)나 다양한 오아시스에서 발생합니다.[14] 러시아의 보스토크 기지 아래에서 발견된 보스토크 호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아빙하 호수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 중 하나입니다. 한때 그 호수는 수백만 년 동안 폐쇄되었다고 믿어졌지만, 과학자들은 현재 그 호수의 물이 13,000년마다 만년설이 천천히 녹고 얼리는 것으로 대체된다고 추정합니다.[15] 여름 동안, 호수의 가장자리에 있는 얼음이 녹을 수 있고, 액체 해자가 일시적으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남극에는 염수 호수와 담수 호수가 있습니다.[14]
남극대륙은 빅토리아랜드에서 로스해까지 뻗어있는 남극 횡단 산맥에 의해 서남극과 동남극으로 나뉩니다.[16][17] 남극 대륙의 대부분은 평균 1.9 km (1.2 mi) 두께의 남극 빙상으로 덮여 있습니다.[18] 빙상은 몇 개의 오아시스를 제외한 모든 오아시스로 확장되는데, 맥머도 드라이 밸리(McMurdo Dry Valley)를 제외하고는 해안 지역에 위치합니다.[19] 여러 남극 얼음 흐름은 많은 남극 빙붕 중 하나로 흘러갑니다. 이 과정은 빙상 역학으로 설명됩니다.[20]
남극 동쪽은 코츠 랜드, 퀸 모드 랜드, 엔더비 랜드, 로버트슨 랜드, 윌크스 랜드, 빅토리아 랜드로 구성됩니다. 이 지역의 작은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동반구에 있습니다. 남극 동쪽은 대부분 남극 동쪽 빙상으로 덮여 있습니다.[21] 남극대륙을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섬들이 있는데, 대부분은 화산이고 지질학적 기준으로 볼 때 매우 젊습니다.[22] 이에 대한 가장 두드러진 예외는 케르구엘렌 고원의 섬들이며, 그 중 가장 이른 시기는 마 40년경에 형성되었습니다.[22][23]
엘스워스 산맥에 있는 빈슨 마시프(Vinson Massif)는 남극에서 가장 높은 4,892m(16,050피트)의 봉우리입니다.[24] 로스 섬에 있는 에레부스 산은 세계 최남단 활화산으로 하루에 10번 정도 분화합니다. 화산 분화구에서 300km 떨어진 곳에서 분출된 화산재가 발견되었습니다.[25] 얼음 아래에 많은 화산이 있다는 증거가 있는데, 이것은 활동 수준이 상승할 경우 빙상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26] 남극 동쪽에 있는 돔 아르구스(Dome Argus)로 알려진 얼음 돔은 4,091m(13,422피트)로 남극 대륙에서 가장 높은 얼음 지형입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춥고 건조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기온은 -90 °C (-130 °F)까지 내려갈 수 있고, 연간 강수량은 1-3 cm (0.39–1.18 인치)입니다.[27]
지질사
신원생대 말부터 백악기까지 남극대륙은 초대륙 곤드와나의 일부였습니다.[28] 183년경부터 곤드와나가 서서히 갈라지면서 현대 남극 대륙이 형성되었습니다.[29] 고생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남극 대륙은 열대 또는 온대 기후였고, 숲으로 덮여 있었습니다.[30]
고생대 (540–250 Ma)
캄브리아기 동안 곤드와나는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31] 서남극은 부분적으로 북반구에 있었고, 그 시기에 많은 양의 사암, 석회암, 셰일이 퇴적되었습니다. 남극 동쪽은 열대 바다에서 해저 무척추동물과 삼엽충이 번성했던 적도에 있었습니다. 데본기(416Ma)가 시작될 무렵, 곤드와나는 남위에 더 있었고, 기후는 더 시원했지만, 육상 식물의 화석은 그때부터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의 엘스워스, 호릭, 펜사콜라 산맥에 모래와 실트가 깔렸습니다.
남극 대륙은 데본기 말기(360Ma)부터 후기 고생대 빙하기 동안 빙하화가 이루어졌지만, 석탄기 후기에는 빙하화가 상당히 증가할 것입니다. 그것은 남극에 더 가까이 표류했고, 기후는 냉각되었지만, 식물상은 남아있었습니다.[32] 초기 페름기 후반 동안 석회화가 제거된 후 이 땅은 글로스옵테리드(가까운 살아있는 친척이 없는 멸종된 종자 식물 그룹)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가장 두드러지게 글로스옵테리스(Glossopteris)는 물에 잠긴 토양에서 자라는 것으로 해석되어 광범위한 석탄 퇴적물을 형성했습니다. 페름기 동안 남극에서 발견된 다른 식물에는 코다이탈레스, 스페놉시드, 양치식물, 그리고 리코피테스가 있습니다.[33] 페름기 말기에 기후는 곤드와나의 많은 지역에서 점점 더 건조해지고 더 더워졌으며, 페름기 말기 대멸종의 일부로 글로소프테리드 숲 생태계가 붕괴되었습니다.[33][34] 고생대에 네발동물이 남극에 살았다는 증거는 없습니다.[35]
중생대 (250–66 Ma)
계속된 온난화는 곤드와나의 많은 지역을 말랐습니다. 트라이아스기 동안 남극 대륙은 나무로 자라는 디크로이듐속에 속하는 씨 양치식물(pteridosperms)이 지배했습니다. 다른 관련 트라이아스기 식물군에는 은행나무, 사이카도피테스, 침엽수, 그리고 스페놉시드가 포함되었습니다.[36] 네발동물은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남극에 처음 등장했으며, 가장 초기에 알려진 화석은 남극 횡단 산맥의 프레모우 지층에서 발견되었습니다.[35] 시냅시드("포유류 파충류"라고도 함)는 라이스트로사우루스와 같은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흔했습니다.[37]
남극 반도는 쥐라기 (2억 6,600만년 전에서 1억 4,600만년 전) 동안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38] 은행나무, 침엽수, 베네트이탈리아, 말꼬리, 양치식물, 그리고 사이카드는 그 시기에 풍부했습니다.[39] 남극 서부에서는 백악기(146–66 Ma) 동안 침엽수림이 우세했지만, 백악기 말 무렵에는 남부 너도밤나무(Nothofagus)가 두드러졌습니다.[40][41] 암모니테스는 남극 주변의 바다에서 흔했고, 공룡들 또한 존재했지만, 극소수의 남극 공룡 속들(남극횡단 산맥의 초기 쥬라기 핸슨 지층의 Cryolophosaurus와 Glacialisaurus,[42] and Antarctopelta, Trinisaura)만이 존재했습니다. 백악기 후기 남극 반도의 모로사우루스와 임페로바토르)에 대해 설명했습니다.[43][44][45][46]
곤드와나 해체 (160–15Ma)
아프리카는 쥐라기 시대에 남극에서 160Ma 정도 떨어져 나갔고, 백악기 초기(약 125Ma 정도)에는 인도 아대륙이 뒤를 이었습니다.[47] 초기 고생대 동안 남극대륙은 남아메리카는 물론 호주 남동부와도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에오세 시대의 남극 반도의 라 메세타 층의 동물군은 유대류, 크세나트란, 리토프톤, 아스트라포테리아 유제류뿐만 아니라 곤드와나테레스 및 아마도 메리디올레스티단과 동등한 남아메리카 동물군과 매우 유사합니다.[48][49] 유대류는 에오세 초기에 남극대륙을 거쳐 호주로 분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50]
53년경 호주-뉴기니는 남극에서 분리되어 태즈메이니아 통로를 열었습니다.[51] 드레이크 통로는 지난 4월 30일쯤 남극과 남미 사이에 열렸고, 그 결과 남극 대륙을 완전히 고립시키는 남극 원극류가 탄생했습니다.[52] 남극 지리학의 모델들은 CO2 수치를 낮추면서 발생하는 피드백 루프뿐만 아니라 이 전류가 작지만 영구적인 극지방 만년설의 생성을 일으켰다고 제안합니다. CO2 수치가 더 낮아지면서 얼음이 빠르게 퍼지기 시작했고, 그 때까지 남극 대륙을 덮고 있던 숲을 대체했습니다.[53] 툰드라 생태계는 약 1,400만~1,000만 년 전까지 남극에 계속 존재했고, 그 때 더 냉각되면 멸종됩니다.[54]
현재
대륙 빙하에 의해 대부분 가려진 [55]남극의 지질은 원격탐사, 지상침투 레이더, 위성사진 등의 기술로 밝혀지고 있습니다.[56] 지질학적으로 서남극은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과 매우 비슷합니다.[57] 남극 반도는 지질학적 융기와 해저 퇴적물이 변성암으로 변화하면서 형성되었습니다.[58]
서남극은 여러 대륙판들이 합쳐지면서 형성되었는데, 이 대륙판들은 이 지역에 많은 산맥을 만들었고,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엘스워스 산맥입니다. 서남극 리프트 시스템의 존재는 남극 서부와 동남극 사이의 경계를 따라 화산 활동을 일으켰고, 남극 횡단 산맥을 만들었습니다.[59]
남극 동쪽은 지질학적으로 다양합니다. 그것의 형성은 아르케아인의 언 (4,000 Ma–2,500 Ma) 동안 시작되었고 캄브리아기 동안 중단되었습니다.[60] 선캄브리아기 방패의 기초가 되는 바위 위에 지어졌습니다.[61] 기지 위에는 남극 횡단 산맥을 형성하기 위해 데본기와 쥐라기에 깔린 석탄과 모래석, 석회암, 셰일이 있습니다.[62] 섀클턴 산맥과 빅토리아 랜드 같은 해안 지역에서는 일부 단층이 발생했습니다.[63][64]
석탄은 1907년 님로드 탐험대의 프랭크 와일드에 의해 비어드모어 빙하 근처 남극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저등급 석탄은 남극 횡단 산맥의 여러 지역에 걸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5] 프린스 찰스 산맥은 철광석의 퇴적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66] 로스해에는 유전과 천연가스전이 있습니다.[67]
기후.
남극대륙은 지구의 대륙들 중에서 가장 춥고, 바람이 많이 불고, 가장 건조합니다.[1] 1983년 7월 21일 남극의 러시아 보스토크 기지에서 기록된 자연 공기의 최저 온도는 -89.2 °C (-128.6 °F)였습니다.[68] 2010년 위성에 의해 -94.7 °C(-138.5 °F)의 낮은 기온이 기록되었지만, 지상 온도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으며 공식적인 기온 기록에 필요한 것처럼 지표면 위 2 m(7 피트) 높이에서 기록되지 않았습니다.[69] 겨울에는 대륙 내륙에서 최저 -80 °C (-112 °F), 여름에는 해안 근처에서 최고 10 °C (-50 °F)에 이를 수 있습니다.[70]
남극대륙은 강수량이 거의 없는 극지방 사막입니다. 남극대륙은 매년 평균 약 150mm(6인치)의 물을 받으며, 대부분 눈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내부는 건조기로 연간 50mm(2인치) 미만인 반면 해안 지역은 일반적으로 200mm(8인치) 이상입니다.[71] 몇몇 블루 아이스 지역에서는 바람과 승화가 강수로 쌓인 눈보다 더 많은 눈을 제거합니다.[72] 메마른 계곡에서는 암반 위에서도 같은 효과가 일어나 척박하고 건조한 풍경으로 이어집니다.[73] 남극대륙의 대부분이 해발 3,000m(9,800ft) 이상으로 대기 온도가 더 춥기 때문에 남극대륙은 북극 지역보다 더 춥습니다. 북극해의 상대적 온기는 북극 해빙을 통해 전달되며 북극 지역의 적당한 온도를 유지합니다.[74]
지역별 차이
남극 동쪽은 더 높은 고도 때문에 서쪽보다 더 춥습니다. 전선이 대륙으로 멀리 침투하는 경우는 드물고, 중심부는 차갑고 건조하며, 풍속은 중간 정도입니다. 48시간 동안 최대 1.22m(48인치)의 적설량이 기록된 남극 해안 지역에 폭설이 내리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그 대륙의 가장자리에서, 극지 고원의 강한 카타바틱 바람이 종종 폭풍력으로 불어옵니다. 여름 동안, 적도보다 더 많은 태양 복사가 남극의 표면에 도달하는데, 이는 매일 그곳에서 받는 24시간의 햇빛 때문입니다.[1]
기후변화
20세기 후반에 걸쳐 남극 반도는 지구에서 가장 빨리 따뜻해진 곳이었고, 서남극이 그 뒤를 바짝 쫓았지만, 21세기 초에는 기온이 덜 빠르게 상승했습니다.[75] 반대로 남극 동쪽에 위치한 남극은 20세기 대부분 동안 거의 따뜻하지 않았지만 1990년과 2020년 사이에 기온이 지구 평균의 3배로 상승했습니다.[76] 2020년 2월 대륙 최고 기온은 18.3°C(64.9°F)로 2015년 3월 기록한 종전 기록보다 0.8°C(1.4°F) 높았습니다.[77]
남극의 기후 변동성의 주요 구성 요소는 남반구의 저주파 대기 변동성 모드(남반구의 대기 변동성 모드)로, 20세기 후반 여름 남극 주변에 강한 바람이 불었고, 이는 대륙의 더 시원한 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추세는 지난 600년 동안 전례가 없는 규모였습니다. 변동성 방식의 가장 지배적인 동인은 대륙 위의 오존층 고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78]
빙하와 유빙
남극의 강수는 눈의 형태로 발생하는데, 눈이 쌓이면서 대륙을 덮고 있는 거대한 빙상을 형성합니다.[79] 중력에 의해 얼음은 해안 쪽으로 흐릅니다. 그런 다음 얼음은 바다로 이동하여 종종 거대한 떠다니는 얼음 선반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선반은 녹거나 빙산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빙산은 더 따뜻한 바다에 도달하면 결국 분해됩니다.[80]
해빙 및 빙붕
해빙의 범위는 남극 겨울 동안 매년 확장되지만 여름에는 대부분 녹습니다.[81] 얼음은 바다에서 형성되고 해수면의 변화에 기여하지 않습니다.[82] 남극 주변 해빙의 평균 범위는 1978년 위성이 지구 표면을 관측하기 시작한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급격한 해빙 손실이 있었던 북극과 대조적입니다. 가능한 설명은 열염 순환이 따뜻한 물을 남대양의 더 깊은 층으로 운반하여 표면이 비교적 시원하게 유지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83]
빙붕이 녹는 것은 해수면 상승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데, 이는 떠다니는 얼음이 그 자체의 물 덩어리를 대체하기 때문이지만, 빙붕은 육지 얼음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따뜻한 물에 취약해서 큰 빙붕이 바다로 무너졌습니다.[84] 빙붕 '벗트레싱'의 손실은 서남극 빙상의 얼음 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확인됐지만 동남극 빙상 주변에서도 관측됐습니다.[85]
2002년 남극 반도의 라센-B 빙붕이 무너졌습니다.[86] 2008년 초, 한반도 남서부의 윌킨스 빙붕으로부터 약 570 km2 (220 평방 마일)의 얼음이 붕괴되어, 나머지 15,000 km2 (5,800 평방 마일)의 빙붕이 위험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이 얼음은 2009년 붕괴되기 [87][88]전까지 폭이 약 6 km (4 mi)에 달하는 얼음의 "실"에 의해 막혀 있었습니다.[89] 2022년[update] 현재 가장 빠르게 얇아지는 두 개의 빙붕은 파인 아일랜드와 트웨이츠 빙하 앞 빙붕입니다. 두 빙붕 모두 빙하에 공급되는 빙하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90]
빙상 손실 및 해수면 상승
남극대륙은 전 세계 얼음의 약 90%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모든 얼음이 녹는다면, 세계 해수면은 약 58미터 상승할 것입니다.[91] 게다가 남극은 전 세계 담수의 약 70%를 얼음으로 저장하고 있습니다.[92] 이 대륙은 바다를 향한 빙하의 증가된 흐름 때문에 질량을 잃고 있습니다.[93] 남극대륙의 얼음층에서 생기는 질량 감소는 눈이 추가로 그 위로 떨어지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상쇄됩니다.[94] 2018년 체계적 검토 연구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02년까지 대륙 전체의 얼음 손실은 연평균 43기가톤(Gt)이었으나 2012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연평균 220Gt으로 가속화됐습니다.[95] 남극대륙의 해수면 상승에 대한 총 기여는 8~14mm (0.31~0.55인치)로 추정되었습니다.[94][93]
얼음 손실의 대부분은 남극 반도와 남극 서부에서 발생했습니다.[96] 남극 동쪽 빙상 전체의 질량 균형 추정치는 약간 긍정적인 것에서 약간 부정적인 것까지 다양합니다.[93][97] 남극 동쪽 일부 지역, 특히 윌크스랜드에서 얼음 유출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93]
얼음 손실의 미래 예측은 기후 변화 완화 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불확실합니다. 어떤 임계 온난화에 도달하면, 빙상의 일부 부분은 상당히 더 빠른 속도로 녹기 시작할 수 있고, 미래에 사라질 것에 전념할 수 있습니다. 만약 평균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한다면, 얼음은 즉시 회복되지 않을 것입니다.[98] 일부 연구(2020)에 따르면 온난화가 남극 대륙의 빙하를 일정 수준까지 감소시키면 이러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은 지구 온도를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C(1.8°F), 즉 2020년 온도보다 2°C(3.6°F) 아래로 낮추는 것입니다.[99] 2023년에 발표된 한 연구는 해양 온난화가 역사적인 비율의 약 3배로 21세기에 피할 수 없을 것 같다고 예측했습니다. 중거리 배출 시나리오와 파리 협정의 가장 야심 찬 목표 달성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이는 온실가스 감축이 서남극 빙상의 붕괴를 방지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음을 시사합니다.[100]
이러한 온난화 의존적이고 효과적으로 되돌릴 수 없는 변화는 기후 시스템의 티핑포인트의 예입니다. 2022년에 주요 검토에서 남극 3개를 포함하여 16개의 가능성 있는 티핑포인트가 확인되었습니다. 서남극 빙상은 약 1.5°C(2.7°F)에서 완전히 붕괴(해발 상승에 약 3.3m(10피트[102])가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세 가지 중 가장 취약합니다. 기껏해야 3 °C (5.4 °F)까지는 붕괴가 불가피하지 않을 수 있지만 최악의 경우 지구 온난화가 0.8 °C (1.4 °F)를 지난 후에 이미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일단 촉발되면 붕괴는 약 2000년 동안 진행되며, 절대적으로 최소 500년, 잠재적으로는 최대 13,000년입니다.[103][104]
남극 동쪽에서, 빙하의 가장 취약한 지역은 지구 온난화의 약 3°C (5.4°F) 정도에 붕괴될 가능성이 있는 윌크스 분지와 같은 소위 아빙하 분지입니다: 그것들의 완전한 붕괴는 기껏해야 6°C (11°F)를 필요로 할 수 있지만 최악의 경우 2°C (3.6°F)이면 충분할 수 있습니다. 일단 온난화 수준이 이 빙하 하부 분지들을 붕괴시키기에 충분하다면, 그것들이 사라지기까지 500년에서 10,000년이 걸릴 수 있으며, 가장 가능성 있는 연대는 2000년입니다.[103][104] 서남극 빙상과 동남극 아빙하 유역을 잃음으로써 빙하가 완전히 사라지면 해수면이 약 6미터에서 12미터 (20에서 39피트) 상승할 것입니다.[105] 마지막으로, 매우 높은 온난화만이 남극 대륙의 빙하 전체를 붕괴시킬 것입니다: 가장 가능성 있는 수준은 7.5°C (13.5°F)이고, 5°C (9.0°F)와 10°C (18°F) 사이이며, 완전히 사라지려면 적어도 10,000년이 걸릴 것입니다.[103][104] 또 다른 추정치는 부피의 3분의 2가 사라지면 최소한 6 °C의 온난화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제안했습니다.[99]
오존층 파괴
과학자들은 1970년대부터 남극대륙 위 대기의 오존층을 연구해왔습니다. 1985년, 브런트 빙붕의 핼리 연구소에서 그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연구하던 영국 과학자들은 남극대륙 위의 낮은 오존 농도의 넓은 지역을 발견했습니다.[106][107] '오존 구멍'은 거의 모든 대륙을 덮고 있으며 2006년 9월에 가장 컸으며 [108]가장 오래 지속된 사건은 2020년에 발생했습니다.[109] 고갈은 대기 중에 클로로플루오르카본과 할론이 방출되어 오존이 다른 가스로 분해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합니다.[110] 남극의 극심한 추위는 극지방의 성층권 구름을 형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구름은 화학 반응의 촉매 역할을 하며, 이는 결국 오존의 파괴로 이어집니다.[111]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는 오존층 파괴 물질의 배출을 제한했습니다. 남극대륙 위의 오존 구멍은 서서히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2060년대까지 오존의 수치는 1980년대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수치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112]
오존층 파괴는 성층권에서 약 6 °C (11 °F)의 냉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냉각은 극소용돌을 강화시켜 남극 근처의 찬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이는 다시 동남극 빙상의 대륙 질량을 냉각시킵니다. 남극 주변 지역, 특히 남극 반도는 더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얼음이 녹는 것을 가속화합니다.[107] 모델들은 오존층 파괴와 향상된 극소용돌 효과가 1970년대 후반부터 관측이 시작된 2014년까지 지속되는 해빙 범위의 증가 기간도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후 남극 해빙의 커버리지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113][114]
생물다양성
남극대륙의 대부분의 종들은 수백만 년 전 그곳에 살았던 종들의 후손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여러 번의 빙하 주기에서 살아남았을 것입니다. 이 종은 지열이 있는 지역이나 추운 기후 동안 얼음이 없는 지역과 같은 고립된 따뜻한 지역에서 극도로 추운 기후 기간 동안 살아남았습니다.[115]
동물들
남극의 무척추동물 생물에는 Alaskozetes astarctus, lice, 선충류, 완두콩, 로티퍼, 크릴 및 스프링테일과 같은 미세한 진드기 종이 포함됩니다. 극소수의 육상 무척추동물들은 아남극 섬에 국한되어 있습니다.[116] 남극대륙에서 가장 큰 순수 육상동물인 날지 못하는 벨기에 남극대륙이 크기는 6mm(⁄ 4인치)입니다.
큰 학교에 모여 사는 남극 크릴은 남대양 생태계의 핵심 생물로 고래, 물개, 표범 물개, 물개, 오징어, 빙어, 펭귄, 알바트로스와 같은 많은 조류 종의 중요한 먹이 생물입니다.[118] 해양 동물의 일부 종은 직간접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존하며 존재합니다. 남극 바다 생물에는 펭귄, 흰긴수염고래 또는 범고래, 거대한 오징어 및 물개가 포함됩니다.[119] 남극의 물개는 미국과 영국의 물개 사냥꾼들에 의해 펠트로 인해 18세기와 19세기에 매우 심하게 사냥되었습니다.[120] 표범 물개는 남극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이며 먹이를 찾아 남대양을 가로질러 이동합니다.[121]
남극대륙이나 남극대륙 근처에서 번식하는 조류는 페트렐, 펭귄, 가마우지, 갈매기 등 약 40종입니다. 북극에 주로 서식하는 몇몇 새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새들이 남극 주변의 바다를 방문합니다.[122] 황제펭귄은 남극에서 겨울동안 번식하는 유일한 펭귄입니다; 그것과 아델리펭귄은 다른 어떤 펭귄보다 남쪽에서 더 멀리 번식합니다.[119]
국제 극지방의 해 동안 약 500명의 연구자들에 의한 해양 생물 개체수 조사가 2010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12,000 킬로미터 (7,456 마일)의 간격을 메운 채, 235개 이상의 해양 생물들이 두 극지방에 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일부 고래류와 새와 같은 큰 동물들이 매년 왕복을 합니다. 해삼이나 자유롭게 헤엄치는 달팽이와 같은 더 작은 형태의 생명체들도 극지방의 바다에서 발견됩니다. 분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극지방의 심해와 적도 사이의 온도 차이와 알과 유충을 운반할 수 있는 주요 전류 시스템 또는 해양 컨베이어 벨트가 있습니다.[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