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오루

Duolu
두올루의 땅은 일리강 유역에 있었다.

두올루(Wade–Giles: To-lu; c. 603-651)는 서부 투르크 카가나테(c. 581-659)의 부족 연합국이었다. 투르게시 카가나테(699-766)는 두올루 잔당들에 의해 세워졌을지도 모른다.

transcript陸(중간 중국어 *tuɑ̚-lukuk > > 만다린 두울 >), ((MC. *tuɑtɨ-l̚uk mand > Mand) 등이 여러 차례 있었다. 둘리li), 都陸(MC. *tuo-lɨuk̚ > 맨드. 도울ù), 都六(MC. tuo-lɨuk̚ > 맨드. 두올리히." *Tör-ok,[1] *Tuuk,[2] *Tuğluq,[3] Tölük,[4] Türük,[5] 그리고 가장 최근에 Tuğluğ (𐱃𐰍𐰍𐰞)은 "기가 있고, 표준을 가지고 있다"[6]와 같이 그 뒤에 있는 Old Turkic 이름은 다양하고 불확실성과 함께 재구성되었다.

이전의 오노구르족과 혼동하거나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오노구르족 역시 '10개 부족을 의미한다. 또한 두올루의 불가르족 둘로족과의 관계는 가능하지만 증명되지는 않았다.

처음에 서투르크인들은 시리아크와 그리스 작가들의 진술과 일치하여 8개 종족으로 조직되었을지도 모른다: 에페소스의 존이스테미 외에 터키인들의 8개 지배자를 언급했고 메난데르 프로텍터는 이스타미의 죽음에서 서투르크 왕국이 8개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언급했다. 이후, 누시비 두 부족인 악시와 게슈가 개혁하여 각각 두 개의 서브트리브로 분할되어 총수가 10개로 늘어났다. 따라서 서투르크는 오노크 또는 '10개의 화살'이라고도 불렸는데, 그것은 '10개의 부족'이며, 5개는 두올루 초르(추오 啜),[a] 5개는 누시비 에르킨스(시진 俟斤)에 의해 이끌어졌다.[b]

그들은 발카시 호톈산 산맥 사이에 살았다. 그들의 서쪽 이웃은 시르 다리아 서쪽과 남쪽으로 뻗은 누시비 연합국이었다. 두 사람의 경계는 일리 강과 추 주변, 즉 발카시 호 남서쪽 구석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선 부근이었다. 누시비족은 문맹인 소그디아 상인들과 남서쪽에 연줄이 있었다. 두오루는 아마도 더 목회적이었을 것이다. 톈산강에서 흘러내려온 강들은 농업과 마을을 지탱했고 따라서 자연적인 캐러밴 항로가 되었다. 두오루는 아마도 이 사람들에게 세금을 부과했을 것이다. 서투르크 카간족은 두올루누시비 경계 부근의 수야브에 일종의 수도를 가지고 있었다.

적어도 헤샤나 카간(603) 시대부터 새로운 카간들은 대개 두올루나 누시비파 중 어느 한쪽의 지지를 받았다. 638년에는 일리강을 따라 두 파가 갈라졌다.

중국 소식통(통디안 당고서)은 두올루 부족의 이름과 직함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한지 피닌 옛 투르크어 재구성
處木昆 (屈)律 啜 ùù쿤[c] (qu)lǜ 츄ò *초무쿤 쿨리[e] 초르
胡祿屋[f] 闕 啜 훌루 퀘 츄 *Uluğ oq kül chor
摄舍提 暾 啜 슈셰티투엔추시[g] *차프샤타톤초르
突騎施 賀羅施 啜 투키쉬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i] *튀르헤시칼라치초르
鼠泥施 處半 啜 슈니쉬 시반 *슈히시 처판 초르

참고 항목

메모들

  1. ^ 이란 출신일 가능성이 높은데 "나가서 사냥하라"고 했었죠 골든, 피터 B. (1992년)의 베일리, H.W. "Khotanese Texts, VII"를 보라. "투르크 민족의 역사 소개" 오토 하라소위츠, 비에스바덴.
  2. ^ 뿌리 irk- "수집 또는 조립하기 위해(things Ac.)"로부터 "한곳에 모아졌다"; 아나톨리안 irkin ~ irkim "사재기, 매장된 보물"을 비교한다. 클로스온, 제라드. (1972) 13세기 이전 터키어 에티모어 사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영어로 221, 225페이지
  3. ^ 토건(apud Babayarov 2003)에 따르면 이는 소그디아 자묵(cf)을 반영한다. 昭武 *tɕiᴇu-mɨoX > 자오우ŭ)
  4. ^ "물 속에 묻힌 것", "더듬은 것"; 쵸-우크- '죽는 것'(중간 음성), <초- "물에 가라앉는 것 (물 등). 로크"(Clauson, 1972: 422) + - (X)k- + - Xn. Zuev는 *chumulqun(1962:119), 나중에 chumuqqun(1967:18; 1981:66)을 재구성했다.
  5. ^ 카사이(2014:126)에 의해 재건, 치신(2018:109)에 의해 재건된 뮐뤼그
  6. ^ 또는 胡居居훌ù(지우탕슈)
  7. ^ 아마[7] 투툰의 전집일 것이다.
  8. ^ from Sogdian šāw/u (š’w) “black” & xšēδ (xšyδ) ‘chief, commander’ (< Avestan *xšaēta) & plural suffix ; cf. the “king of the Turks” Šāba ﺵﺍﺏﺓ mentioned by al-Ṭabarī, or Sāwa Šāh ﺱﺍﻭﻩ ﺵﺍﻩ , mentioned by Ferdowsī. 주브 (1998: 91-92) 여기서 재건 *제브셰드. 주브(2002:143-146)는 11세기 카라카니드의 학자 마흐무드카슈가리(Mahmud al-Kashgari)가 언급한 흑태자 슈(Sogdian-Türgesh 신화에 나오는 흑태자 )와 아베스타(Avesta)와 샤나메(Shaname)에서 언급된 전설적인 이란 시야바시를 연결한다.
  9. ^ 스타크(2007년 & 2016년)는 古木(후루끼)가 부족명 칼라를 필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10. ^ Atwood (2013) also linked the personal name Shŭnĭ 鼠匿 *Šünrik, of a Türk ruler who'd conquered Ferghana, to 鼠泥施 *Šüŋiš and 蘇尼 *Süŋiš (or *Soni), all derivatives from süŋü and *süŋüš ~ süŋiš “soldier, war”, which are derived presumably with a variant šüŋi of the root.

참조

  1. ^ 주브(1960). 페이지 126.
  2. ^ 주브 (2004년). 페이지 55-56
  3. ^ 바우머로205번길
  4. ^ 황금(2012). 페이지 167
  5. ^ 클랴쉬로니, S. G. (1986) 페이지 169
  6. ^ 켄자흐메트 페이지 302-304
  7. ^ 도브로비트, 페이지 81

원천

  • Alemany, Agustí (2009). "From Central Asia to the Balkans: the title *ču(b)-pān". In Allison, Christine; Joisten-Pruschke, Anke; Wendtland, Antje (eds.). Daēnā to Dîn: Religion, Kultur und Sprache in der iranischen Welt. pp. 3–12. ISBN 9783447059176.
  • Atwood, Christopher P. (2013). "Some Early Inner Asian Terms Related to the Imperial Family and the Comitatus". Central Asiatic Journal. 56.
  • Baumer, Christoph (2012).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the Steppe Warriors. 2. Bloomsbury. p. 205.
  • Babayarov, Gaybullah (2003). "Sogd under Turkish Rule during VIth-VIIIth centuries (On Sogdian and Turkish Symbiosis)". Transoxiana Journal Libre de Estudios Orientales.
  • 2003년 중앙아시아의 역사아틀라스 유리 브레겔은 7번과 8번을 텍스트로 지도한다.
  • Dobrovits, Mihály (2014–2015). "On the Titulature of Western Turkic Chieftains". Archivum Eurasiae Archivi Aevii. Wiesbaden: Otto-Harassowitz Verlag. 21.
  • 통디안, 제199권
  • 당고서, 194B
  • Golden, Peter B, "Oq and Oğur ~ Oğuz", 투르크어, 16/2 (2012) 155-199 페이지
  • Stark, Sören. "Türgesh Khaganate, in: Encyclopedia of Empire, ed. John M. McKenzie et al. (Wiley Blackwell: Chichester/Hoboken 2016)".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Kenzheakhmet, Nurlan (2014). ""Ethnonyms and Toponyms" of the Old Turkic Inscriptions in Chinese sources". Studia et Documenta Turcologica. II: 287–316.
  • Kasai, Yukiyo (2014). "The Chinese Phonetic Transcriptions of Old Turkish Words in the Chinese Sources from 6th-9th Century Focused on the Original Word Transcribed as Tujue 突厥". Studies of Inner Asian Languages. 29: 57–135.
  • 클랴쉬로니 S.G. (1986) "Genealogiya i Khronologiya zapadno-tyurkskikh I tyurgeshskikh Kaganov VI-VIIi vekov." Iz istorii dorevolyutsionnogo Kirgizstana에서. 프런제: 일림, 164~170쪽.
  • 블라디미르 치신(2018). "Kimäk and Chù-mù-kūn (处木昆): Notes on an Identification"
  • 유리 주브 바살 프린세돔의 탐가스 (8~10세기의 중국 구성 "탕후이야오" 번역), 카자흐스탄 SSR 과학 아카데미, 알마아타, 1960, 페이지 93–139 (러시아어)
  • 유리 주브, 얼리 튀르크스: 역사와 이념의 스케치, 알마티, 다이크-프레스, 2002년(러시아어)
  • 유리 주브 가장 강한 부족, 2004년 32-61 알마티(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