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edicurus
DoedicurusDoedicurus 시간 범위:Pleistocene-Holocene(Uquian-Lujanian)[1] | |
---|---|
그는 완전히 사람 해골의 그림은 명료하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애니멀리아 |
망울: | 코다타 |
클래스: | 포유류 |
순서: | 비틀이 고둥 |
패밀리: | Chlamyphoridae |
하위 패밀리: | †Glyptodontinae |
속: | †Doedicurus Burmeister, 1874년 |
종: | †D. clavicaudatus |
이항식 이름 | |
†Doedicurus clavicaudatus 오웬, 1847 | |
동의어[2] | |
리스트
|
glyptodont의 남 아메리카에서 Doedicurus, 또는 Dædicurus,는 멸종된 속 한종, Dclavicaudatus되어 있다.글리토돈은 클라미포르과(Chlamyphorae)과에 속하는 것으로, 일부 현대 아르마딜로 종도 포함하며, 나무늘보, 개미핥기와 함께 제나르스라 순서로 분류된다.글리토돈트로서, 그것은 무거운 갑옷과 캐러피스를 가진 로툰드 동물이었다.평균적으로 약 1,400 kg(3,100 lb)의 무게로, 그것은 지금까지 살았던 것 중 가장 큰 글리토돈 중 하나이다.비록 글리토돈은 4각형이었지만, 도디쿠루스와 같은 큰 것들은 다른 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두 발로 설 수 있었을 것이다.그것은 특히 스파이크가 달린 꼬리 몽둥이를 자랑스럽게 만들었는데, 이 몽둥이는 40kg이나 65kg(88파운드 또는 143파운드)의 무게였을 수도 있고, 포식자들에 대한 방어나 11m/s(40km/h; 25mph)의 속도로 다른 도디쿠루스와의 싸움에서 이것을 휘둘렀을 수도 있다.
도디쿠루스는 잡초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글리토돈과 마찬가지로 이빨과 입이 풀을 효과적으로 씹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신진대사가 더딘 것을 나타낼 수 있다.도디쿠루스는 플레이스토세 시대에 존재했다.그 이전에는 남미가 다른 세계로부터 고립되어 있었지만, 파나마의 이스무스가 형성되면서 북미 동물들도 큰 고양이, 곰, 코끼리, 낙타, 말 등 그레이트 아메리칸 인터체인지에서 남미를 침공할 수 있었다.도디쿠루스는 파타고니아 북동부의 비교적 춥고 습한 차코-팜팡 평야에 서식한 것으로 보인다.최근 생존한 글리토돈일 수도 있는데, 이 날짜들이 의문시 되긴 했지만, 중간 홀로세 기간 동안 8,000–7,000년 전으로 추정되었다.그것은 인간의 사냥과 기후 변화의 어떤 결합으로 인해 멸종되었을지도 모른다.
분류학과 진화
이 동물은 1847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는데, 글리토돈 클라비페스, G. 레티쿨라투스, G. 투베르쿨라투스(현재의 파노크투스), G. 오르나투스(현재의 네오스클레오칼립투스) 다음으로 묘사된 다섯 번째 글리토돈 종이다.활자 표본은 거대한 클럽을 가리키는 듯한 부분적인 꼬리였기 때문에, 오웬은 G. clavicaudatus("클럽꼬리"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파생된 종 이름)라는 이름을 할당했다.1874년 독일의 동물학자 헤르만 버마이스터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속명인 도디쿠루스 클라비카우다투스(Daedicurus clavicaudatus)로 그 자체 속성으로 분류했다.[3]
도디쿠루스는 글리토돈으로, 현대의 아르마딜로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이 있어, 남미 고유의 슈퍼오더인 Xenarthra의 멤버(나무늘보, 개미핥기들과 함께)가 되었다.글리토돈은 글리토돈트과로 분류되었다.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면서 미세하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는 차이에 근거하여 새로운 종과 제네라가 설명되었고, 총 다양성은 220종 65세대에 달했다.[4][5]1997년, 말콤 C. 맥케나와 수잔 K.포유류 분류법의 포괄적인 개정에서 벨은 모든 글리토돈타이를 팜파테리과, 팔래오펠트과, 글리토돈타과와 같은 슈퍼패밀리 글리토돈타이드과에는 팜파테리과, 팔래오펠트과, 글립토돈타과가 포함된다.도디쿠루스는 엘레우테로세르쿠스, 프로데디쿠루스, 코마포루스, 카스텔라노시아, 시푸로이데스, 다이디쿠로이데스, 플라사풀루스와 함께 도디쿠리네아과에 속하는 글리토돈티과로 분류되었다.[6]
2016년 12,000년 된 도디쿠루스 시료의 캐러페이스에서 고대 DNA를 추출해 거의 완전한 미토콘드리아 게놈(76배 커버리지)을 재구성했다.현대의 아르마딜로들과 비교한 결과, 약 3,400만년 전 에오세네 후기에 톨리페우틴과 클라미포린 아르마딜로에서 글리토돈스가 분리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7][8]이것은 그들을 그들 자신의 가족인 글리토돈티과에서 현존하는 클라미포리에 있는 하위 가족인 글리토돈티네로 이동하게 했다.[8]이것과 화석 기록을 바탕으로 볼 때 글리토돈트는 그들의 특징적인 형태와 큰 크기(기가니즘)를 상당히 빠르게 진화시켰을 것이며, 아마도 냉방, 건조 기후, 개방된 사바나의 확장에 대응했을 것이다.[7]
설명
글리토돈은 하이프소돈의 의치를 가지고 있으며, 치아 또한 생명에 있어서 성장을 멈추지 않기 때문에 주로 풀을 먹였을 것으로 추정된다.그러나 그들은 다른 포유류의 그것들에 비해 특이한 치아를 가지고 있는데, 세 개의 랍을 가지고 있다(평소 두 개의 랍을 가지고 있는 처음 두 개의 이빨은 제외한다).치아코어는 치아교정 층으로 둘러싸인 골수덴틴으로 만들어졌고 에나멜 대신 시멘텀으로 덮었다.시멘텀이 닳아 없어지면서 치과 교정의 일부가 노출되어 딱딱한 틀니나 시멘텀이 결국 말과 소 이빨의 에나멜을 통해 튀어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파일처럼 생긴 표면을 만들어 잔디 처리를 더 좋게 했다.글리토돈은 8개의 광대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보바인처럼, 송곳니와 근간이 완전히 부족하다.그러나 도데디쿠루스와 다른 큰 글리토돈은 현저히 줄어든 입 모양이며, 치아는 갈린 표면이 비교적 작아서 음식을 완전히 씹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이는 이 지역의 갑옷이 점점 무거워짐에 따라 머리와 목을 지탱할 근육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씹는 근육을 기계적으로 덜 효율적인 위치로 대체했기 때문일 것이다.이는 풀을 철저히 갈아 먹는 것이 영양소 흡수를 극대화하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상하며, 그러한 비효율성은 신진대사가 느리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겉보기에 강한 혀는 부분적으로 다시 작용하여 불완전하게 씹은 음식을 위나 체쿰으로 밀어 넣었을지도 모른다.[9]
Doedicurus, on average, had a height of 1.5 m (4 ft 11 in), an overall length of around 3.6 m (12 ft),[10] and a weight of about 1,400 kg (3,100 lb), but an 8,000 year old specimen was calculated to have been 1,900 to 2,370 kg (4,190 to 5,220 lb), which could indicate Doedicurus grew much larger in the Holocene just before going extinct.이것은 Pa. mederus, Pa. submedius, G. munizi, G. elonggatus, Plaxhaphlous와 함께 알려진 가장 무거운 글리토돈 종들 중 하나이다.[11]도데디쿠루스는 돔 모양의 거대한 캐러피스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캐러피스는 현대의 친척인 아르마딜로들과 다소 비슷한 수 많은 것들이 빽빽이 들어차 있었다.그것의 꼬리는 유연한 뼈의 껍질로 둘러싸여 있었고, 가장자리를 따라 얕은 움푹 패인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아마도 삶에서 뾰족했을 것이다.캐러피스는 골반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었지만 어깨 주위로 느슨하게 풀려 있었다.그 캐러피스는 낙타의 혹과 비슷한, 지방이 가득 찬 공간이었을지도 모르는 돔을 특징으로 했다.[12]꼬리 클럽의 길이는 최대 1m(3피트 3인치)에 이를 수 있다.0.25(척추 동물을 위해 전형적), 3x105 Nm−2(최근 죽은 동물의 근육에서 측정할 지에 따라)의 스트레스 운동, 최대 긴장과 100L(22 작은 도깨비 여자;26미국 gal)의 꼬리 근육을 위해 볼륨을 가정할 때, Doedicurus 2500명의 J주먹 크기의 포구 kinetic로( 같은 순서를 운반할 수 있었을 수 있다. en사냥용 소총 발사체의 에너지),[13] 비록 이것은 과소평가일 수 있다.클럽의 수명 중 총 중량이 40kg(88lb)이라고 가정할 때, 최대 속도는 11m/s(40km/h; 25mph)에 도달했을 수 있다.[a][14]꼬리의 끝은 15m/s(54km/h; 34mph)에 도달했을 수 있다.클럽이 생애 65kg(143lb)이라고 가정했을 때 타악기 중심(최대의 힘을 발휘하고 자신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했을 클럽에 미치는 영향 지점)은 팁에서 약 77cm(2.5ft) 정도 떨어져 있었을 것이다.[15]
다른 글리토돈트나 이종사슴과 마찬가지로 질량의 중심은 앞다리보다 뒷다리에 더 가까웠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대다수를 나타내며, 어떤 경우에는 거의 모든 무게가 뒷다리에 걸렸다는 것을 나타낸다.이것은 글리토돈의 몸무게가 꼬리 쪽으로 더 많이 이동되었을 때, 비록 반드시 꼿꼿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 다리로 서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16][17]현대의 외국인들은 일반적으로 방어, 관찰, 또는 먹이기 위해 이런 방식으로 서 있다.강한 뒷다리도 꼬리 몽둥이를 가속시키고 맞고도 자세를 유지하는 데 중요했을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리토돈트는 강력한 팔뚝을 가지고 있었다.앞다리가 무게를 지탱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현대의 아르마딜로처럼 많이 파냈을 가능성이 있지만, 카르파이스와 척추는 아르마딜로보다 훨씬 단단했다.또는 꼬리 몽둥이를 휘두르기 위해 몸을 회전하는 동안 앞다리가 맞물렸을 수도 있다.[17]이전에 작은 글리토돈은 유사한 체중 분포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두발 자세의 채택은 신체 크기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6][17]
고생물학
도데디쿠루스는 광견병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하이포도티와 주둥이의 넓이는 그것이 벌크피더임을 나타낼 수 있었다.[18]
글리토돈트 종은 그레이트 아메리칸 인터체인지와 새로운 포유동물이 이전에 고립되었던 대륙으로 이주한 후 특히 크기가 커졌으며, 도디쿠루스를 포함한 가장 큰 글리토돈트 중 일부는 이 사건 이후 플리스토세로부터 알려져 있다.이것은 증가하는 거대주의가 새로운 포유류 육식동물에 대한 대응으로 반프레데이터 적응이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7][11]스밀로돈이 도디쿠루스를 먹였다는 증거가 있다.[19]후기 플리스토센과 홀로센에서는 아마도 냉각기후(대사가 감소하여 크기가 증가했을 것)에 대응하거나 최근에 이민을 온 인간 사냥꾼들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크기가 급격히 증가했다.[11]
그러나, 갑옷과 체구의 증가는 대신에 도디쿠루스 개인들간의 싸움에서 주로 특정되지 않은 경쟁에 의해 추진되었을지도 모른다.만약 그렇다면, 수컷은 아마도 암컷보다 훨씬 더 무겁게 짓눌렸을 것이다.꼬리 클럽 충돌에 대해 계산된 힘과 일치하는 캐러페이스 골절의 증거가 지적되었다.도디쿠루스의 시력은 포식자 방어를 할 때 꼬리 몽둥이를 사용하기에는 너무 형편없었을지도 모른다.[12]곤봉으로 목표물을 타격하는 데 필요한 정확성은 포식자 방어보다는 의례적인 전투에 더욱 도움이 되는 정지된 적수에게만 달성할 수 있었을 것이다.[15]
Paleoecology
약 2.8 mya의 파나마 지스무스가 형성된 이후, 남미의 오랜 고립된 나머지 세계로부터의 고립은 끝났고, 그레이트 아메리칸 인터체인지의 일부로 북아메리카 종에 의해 침략당했다.글리토돈츠는 짧은 얼굴의 곰, 스밀로돈과 호모테리움 같은 검둥이를 가진 고양이, 재규어와 같은 새로운 큰 포유류 육식동물과 마주쳤을 것이다.[7][11]이것들은 이전의 고질적인 최상위 포식자들 즉, 세베키드 악어, 미친소리드 뱀, 테러 새, 유대류 같은 스파라소돈트들을 대체했다.[20]곰과 고양이 외에도 남미 이민자 중에는 말, 낙타, 사슴, 타피르, 코끼리(곰팡이), 타피르, 신세계 쥐 등이 있다.플레이스토세 남미의 토종 포유류로는 글리토돈트, 지반나무늘보, 개미핥기, 아르마딜로 등의 이종사르스란과 유대류, 대형 톡소돈트, 신대륙고슴도치와 같은 토종 설치류 등이 있다.[21]
도디쿠루스는 글리토돈, 네오스클레오칼립투스, 호프로포루스, 네우리쿠루스, 파노크투스와 함께 플리스토센의 가장 흔히 확인되는 글리토돈트 생성물이다.[22]글리토돈은 일반적으로 온화한 기후에서 시원한 기후로 개방된 초원에 서식한다.[11]춥고 습한 파타고니아 북동부의 차코-팜팡 평야에 제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18]화석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에서 발견되었다.[1]플리스토센은 잦은 냉/온도 주기(글래시알과 간빙)로 특징지어졌으며, 파타고니아에서는 15회 이상의 빙하 주기 기록을 기록하는데, 이는 (빙하 중에 퇴적된) 암자에서 (간빙하 중에) 팔레오솔로의 전환으로 나타난다.[23]빙하는 사바나가 증가했을지 모르지만, 간빙하는 열대우림의 확장에 의해 특징지어진다.[21]
도디쿠루스(Dodicurus)는 가장 최근에 생존한 글리토돈트 종으로, 비록 G. 쇄골 표본은 약 4,300년 전으로 만족스럽게 날짜가 잡혔지만, 가장 최근의 화석은 팜파스에서 약 8,000–7,000년 전으로 추정되었다.[11][24]도디쿠루스는 전 세계의 다른 많은 메가파우나들과 마찬가지로 4월 멸종 사건에서 멸종되었는데, 이것은 인간의 지나친 사냥과 기후변화의 어떤 조합에 의해 일어났을지도 모른다.아르헨티나 라 모데르나 유적지의 늪 가장자리에 있는 이 지역에서 7,500–7,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살충제 표본은 도데디쿠루스가 남미 최초의 정착민들에 의해 사냥되어 수천 년 동안 그들과 공존했다는 것을 보여준다.왜냐하면 다른 많은 남미 메가파우나 역시 아르마딜로 에우타투스, 거대한 땅바닥 나무늘보 메가테리움, 미국 말, 그리고 개 뒤시콘 아부스 등 이 지역에서 플레이스토세네가 폐교된 후 한동안 버텨온 것 같기 때문에 팜파스는 데클리에 있을 것 같은 생산적인 초원을 제공하는 피난 지대였을지도 모른다.대륙의 다른 [25]곳그들의 최종 종말은 인간의 사냥에 의해 발생했거나 단순히 가속화되었을지도 모른다.[26]그러나, 더 최근의 연구는 팜페안 지역의 이러한 홀로세네 연령대가 아마도 허미산에 의한 오염 때문일 가능성이 있는 과소평가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 사이트들은 아마도 후기 플레스토세까지 거슬러 올라갔을 것이라고 시사했다.[27]
참고 항목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도디쿠루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메모들
참조
- ^ a b "Doedicurus in the Paleobiology Database". Fossilworks. Retrieved 17 December 2021.
- ^ Lydekker, R. (1887). Catalogue of the Fossil Mammalia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The group Tillodontia, the orders Sirenia, Cetacea, Edentata, Marsupialia, Monotremata, and Supplement.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pp. 122–123.
- ^ Fariña, R. A.; Vizcaíno, S. F.; De Iuliis, G. (2013). Megafauna: Giant Beasts of Pleistocene South America. Life of the Past. Indiana University Press. pp. 224–226. JSTOR j.ctt16gzd2q.
- ^ Zurita, A. E.; Oliveira, E V.; Toriño, P.; et al. (2011). "On the taxonomic status of some Glyptodontidae (Mammalia, Xenarthra, Cingulata) from the Pleistocene of South America". Annales de Paléontologie. 97 (1–2): 63–83. doi:10.1016/j.annpal.2011.07.003.
- ^ Delsuc, F.; Gibb, G C.; Kuch, M. (2016).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Current Biology. 26 (4): 155–156. doi:10.1016/j.cub.2016.01.039. PMID 26906483.
- ^ McKenna, M. C.; Bell, S. K. (1997). Classification of M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86–91. ISBN 978-0-231-52853-5.
- ^ a b c d Mitchell, K.J.; Scanferla, A.; Soibelzon, E.; Bonini, R.; Ochoa, J.; Cooper, A. (2016). "Ancient DNA from the extinct South American giant glyptodont Doedicurus sp. (Xenarthra: Glyptodontidae) reveals that glyptodonts evolved from Eocene armadillos". Molecular Ecology. 25 (14): 3499–3508. doi:10.1111/mec.13695. PMID 27158910.
- ^ a b Delsuc, F.; Gibb, G.C.; Kuch, M.; Billet, G.; Hautier, L.; Southon, J.; Rouillard, J.-M.; Fernicola, J.C.; Vizcaíno, S.F.; MacPhee, R.D.E.; Poinar, H.N. (2016).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Current Biology. 26 (4): R155–R156. doi:10.1016/j.cub.2016.01.039. PMID 26906483.
- ^ Fariña, R. A.; Vizcaíno, S. F. (2001). "Carved teeth and strange jaws: How glyptodonts masticated" (PDF).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46 (2): 219–234.
- ^ Defler, T. (2018). "The Xenarthrans: Armadillos, Glyptodonts, Anteaters, and Sloths". History of Terrestrial Mammals in South America. Topics in Geobiology. Vol. 42. Springer. p. 127. doi:10.1007/978-3-319-98449-0_6. ISBN 978-3-319-98449-0.
- ^ a b c d e f Soibelzon, L. H.; Zamorano, M.; Scillato-Yané, G. J.; Piazza, D.; Rodriguez, S.; Soibelzon, E. &; Beilinson, E. (2012). "Un Glyptodontidae de gran tamaño en el Holoceno temprano de la Región Pampeana, Argentina" [A glyptodont of great size in the early Holocene of the Pampas, Argentina] (PDF). Revista Brasileira de Paleontología, Sociedade Brasileira de Paleontología, Rio de Janeiro, Brazil (in Spanish). 15 (1): 105–1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5 May 2020.
- ^ a b Alexander, R. M.; Fariña, R. A.; Vizcaíno, S. F. (May 1999). "Tail blow energy and carapace fractures in a large glyptodont (Mammalia, Xenarthra)".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26 (1): 41–49. doi:10.1006/zjls.1997.0179.
- ^ https://www.chuckhawks.com/rifle_ballistics_table.htm, 1 피트 파운드는 1 피트-파운드 = 1.35 joule과 비슷하다.
- ^ a b Alexander, R. M. (2001). "Mechanics of fighting". Physics Education. 36 (5): 415–418. doi:10.1088/0031-9120/36/5/308.
- ^ a b Blanco, R. E.; Washington, W.J.; Rinderknecht, A. (2009). "The sweet spot of a biological hammer: the centre of percussion of glyptodont (Mammalia: Xenarthra) tail club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76 (1675): 3971–3978. doi:10.1098/rspb.2009.1144. PMC 2825778. PMID 19710060.
- ^ a b Fariña, R. A. (1995). "Limb bone strength and habits in large glyptodonts". Lethaia. 28 (3): 189–196. doi:10.1111/j.1502-3931.1995.tb01422.x.
- ^ a b c Vizcaíno, S. F.; Blanco, R. E.; Bender, J. B.; Milne, N. (2011). "Proportions and function of the limbs of glyptodonts". Lethaia. 44 (1): 93–101. doi:10.1111/j.1502-3931.2010.00228.x.
- ^ a b Varela, L.; Tambusso, P. S.; Patiño, S. J.; et al. (2017). "Potential Distribution of Fossil Xenarthrans in South America during the Late Pleistocene: co-Occurrence and Provincialism". Journal of Mammalian Evolution. 25 (4): 539–550. doi:10.1007/s10914-017-9406-9. S2CID 25974749.
- ^ Scanferla, A.; Bonini, R.; Pomi, L.; Fucks, E.; Molinari, A. (2013). "New Late Pleistocene megafaunal assemblage with well-supported chronology from the Pampas of southern South America". Quaternary International. 305: 97–103. doi:10.1016/j.quaint.2012.08.005.
- ^ Prevosti, F. J.; Forasiepi, A.; Zimicz, N. (2013). "The Evolution of the Cenozoic Terrestrial Mammalian Predator Guild in South America: Competition or Replacement?". Journal of Mammalian Evolution. 20: 3–21. doi:10.1007/s10914-011-9175-9. S2CID 15751319.
- ^ a b Woodburne, M. O. (2010). "The Great American Biotic Interchange: Dispersals, Tectonics, Climate, Sea Level and Holding Pens". Journal of Mammalian Evolution. 17 (4): 245–264. doi:10.1007/s10914-010-9144-8. PMC 2987556. PMID 21125025.
- ^ Zurita, A. E.; Soibelzon, L. H.; Soibelzon, E.; et al. (2010). "Accessory protection structures in Glyptodon Owen (Xenarthra, Cingulata, Glyptodontidae)". Annales de Paléontologie. 96 (1): 1–11. doi:10.1016/j.annpal.2010.01.001.
- ^ Soibelzon, E.; Tonni, E. P. (2009). "Early-Pleistocene Glaciations in Argentina (South America) and the Response of Mammals: The Case of the Pampean Region". Paleoenvironments: Vertebrates and Invertebrates.
- ^ Prado, J. L.; Martinez-Maza, C.; Alberdi, M. T. (2015). "Megafauna extinction in South America: A new chronology for the Argentine Pampa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425: 41–49. doi:10.1016/j.palaeo.2015.02.026.
- ^ Politis, G.; Gutierrez, M. (1998). "Gliptodontes y Cazadores-Recolectores de la Region Pampeana (Argentina)" [Glyptodonts and hunter-gatherers in the Pampas (Argentina)]. Latin American Antiquity. 9 (2): 111. doi:10.2307/971990. JSTOR 971990.
- ^ Borrerro, L.A.; Zárate, M.; Miotti, L.; Massone, M. (1998). "The Pleistocene-Holocene transition and human occupations in the Southern Cone of South America". Quaternary International. 59: 191–199. doi:10.1016/S1040-6182(97)00063-3.
- ^ Politis, Gustavo G.; Messineo, Pablo G.; Stafford, Thomas W.; Lindsey, Emily L. (March 2019). "Campo Laborde: A Late Pleistocene giant ground sloth kill and butchering site in the Pampas". Science Advances. 5 (3): eaau4546. doi:10.1126/sciadv.aau4546. PMC 6402857. PMID 30854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