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피그 국립공원

Curtain Fig National Park
커튼피그 국립공원
퀸즐랜드
Curtain Fig National Park is located in Queensland
Curtain Fig National Park
커튼피그 국립공원
가장 가까운 마을 또는 도시융가부라
좌표17°16′57″S 145°34′22″E/17.2850°S 145.57278°E/ -17.28250; 145.57278좌표: 17°16′57″S 145°34′22″E / 17.2850°S 145.57278°E / -17.2850; 145.57278
확립된2008년 11월 28일
면적1.95km2(0.753 sq mi)
방문연 100,000
관리 권한퀸즐랜드 공원 및 야생동물 서비스
웹사이트커튼피그 국립공원
참고 항목퀸즐랜드 주의 보호 구역

커튼피그 국립공원은 오스트레일리아 극북 퀸즐랜드애더튼 테이블랜드에 있는 국립공원이다.국립공원은 융가부라 근처에 있다.[1]그것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한때 지역적으로 흔했던 멸종 위기에 처한 마비 인데, 이 숲은 커튼피그 나무라고 알려진, 매년 10만 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거대한 목졸러 무화과, 그리고 이 보호구역[2] 안에서 피난처를 찾는 거의 위협을 받고 있는, 국부적인 토종 나무 캥거루 종, 즉, Lumholtz의 나무 캥거루가 이 보호구역 안에서 피난처를 발견한다.

박씨는 해발 720미터에 위치해 있다.[3]

지질학

커튼피그 국립공원은 35만년 이상 전에 7개의 환기구에서 화산활동이 현무암을 분출하여 현재 국립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7개의 씨스터로 알려진 7개의 씨더콘[4] 형성했던 지역에 있다.세븐 시스터즈에서 현무암이 분출된 것은 국립공원의 바닥과 [1]국립공원의 부유하고 비옥한 토양을 방불케 하는 큰 현무암 바위의 원인이 되었다.[4]

플로라

이 커튼피그 국립공원의 비옥한 현무암토양은 현재 마비 숲으로 알려진 이 지역의 풍토, 멸종위기에 처한 고지대 반녹색 노토필 넝쿨 숲으로 자란다. 즉, 관련 침전지가 있는 탁 트인 삼림과 연관된 초원이 있는 탁 트인 숲이 있다.[2]

국립공원은 한때 유명한 마비 숲인 아더톤 테이블랜드의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레이스우드(Firmiana papuana)와 핑크색 잎인 하플로스티찬투스(Haplostichantus)[5]와 취약한 워라타(Alloxylon flammeum)와 붉은색을 띤 사우로푸스(Sauropus macranthus)를 보호한다.[1]

국립공원의 이름을 딴 커튼 무화과나무는 낙엽이 지고 한 해 중반(더 서늘한 달)에 잎을 떨어뜨리는 녹색 목졸라 무화과(Ficus virens)로 무화과의 붉은 열매와 살찐 잎을[1] 먹고 즐기는 새, 박쥐, 곤충, 주머니쥐, 그리고 다른 포유류들도 많이 볼 수 있다.

파우나

공원에 있는 동물들 중에서 다양한 종류의 곤충, 포유류, 파충류들을 발견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잎꼬리 도마뱀붙이, 럼홀츠 나무캥거루, 그리고 주머니쥐가 많다.[6]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Curtain Fig National Park". Queensland Government Parks and Forests. Queens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 & Science. Retrieved 8 December 2019.
  2. ^ a b Queensland Department of National Parks; Recreation; Sport and Racing (June 2013). Yungaburra and Curtain Fig national parks Management Statement 2013 (Report). State of Queensland.{{cite report}}: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3. ^ Science, jurisdiction=Queensland; sector=government; corporateName=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20 October 2009). "Visiting safely Curtain Fig National Park". Parks and forests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Science, Queensland. Retrieved 11 March 2022.
  4. ^ a b Whitehead, P. W.; Stephenson, P. J.; McDougall, I.; Hopkins, M. S.; Graham, A. W.; Collerson, K. D.; Johnson, D. P. (2007). "Temporal development of the Atherton Basalt Province, north Queensland".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54 (5): 691–709. doi:10.1080/08120090701305236. ISSN 0812-0099.
  5. ^ "Haplostichanthus". WetlandInfo. Queens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Science. Retrieved 10 December 2019.
  6. ^ Science, jurisdiction=Queensland; sector=government; corporateName=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20 October 2009). "About Curtain Fig National Park". Parks and forests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Science, Queensland. Retrieved 11 March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