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트로박터프룬디

Citrobacter freundii
시트로박터프룬디
Citrobacter freundii.jpg
과학적 분류 edit
도메인: 박테리아
문: 슈도모나도타속
클래스: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주문: 장내세균
패밀리: 엔테로박테리아과
속: 시트로박터
종류:
C. freundi
이항명
시트로박터프룬디
(1928년) Werkman and Gilen[1] 1932년

Citrobacter freundii는 Enterobacteriaceae의 통성 혐기성 Gr-음성 세균의 한 종류로 현재 인정된 1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1~5 μm 길이의 막대 모양을 하고 있다.대부분의 C. freundii 세포는 이동에 사용되는 여러 편모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비이동성 분류군은 그렇지 않다.C. freundii는 흙에 사는 미생물이지만 물, 하수, 음식, 그리고 동물과 인간의 장에서 발견될 수 있다.시트로박터속은 1932년 Werkman과 Gillen에 의해 발견되었다.C. freundii의 배양물은 같은 해에 토양 추출물에서 분리 및 식별되었다.

세포 형태 및 특징

C. freundi의 엑소다당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2]히드록실 래디칼을 표적으로 한다.이러한 항산화 특성은 많은 다른 물리적, 화학적 [2]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C. freundii는 또한 일부 암의 치료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그것은 자궁경부암을 [2]죽이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C. freundii의 특정 분리된 변종은 자궁경부암 [2]세포에서 유래한 불멸의 인간 세포주인 Hela 세포에 대해 독성을 가지고 있다.

C. freundii는 염소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공격적인 부착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염소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은 [3]감염의 보장은 아니다.

생체막 형성은 부착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3]생체막 형성을 포함한 다양한 감염 모드를 나타내는 C. freundii의 감염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강한 생체막 접착은 또한 항균 유전자의 내성을 위한 저장소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경우 접착이 직접적으로 감염을 유발하지 않더라도, 접착이 [3]내성을 만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장상피세포에 [3]대한 집합패턴의 부착으로 형성되는 비세포독성 다제내성 균주 C. freundi에 의해 25℃에서 대형 바이오필름을 형성한다.투과전자현미경법을 통해 집합성 균주는 표면에 보이는 균열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바이오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피임브리아 발현은 일부 [3]장내세균과 유사하게 온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습니다.바이오필름 형성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온에서 성장한 후, 더 많은 C. freundii 균주가 병원과 같은 환경에서 이 균주의 지속성을 돕는 강력한 바이오필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이 변종들이 [3]숙주에서의 질병 성공과 지속성에 관한 한 성공하기 위해 다른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이는 생체막의 형성이 온도 [3]차이에 의해 매우 강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계통발생과 게놈 진화

C. freundii 대장균 살모넬라균분류군보다 계통학적으로 다양하며, C. freundii가 다계통속임을 [4]나타낸다.C. freundii가 포함하는 표현형 다양성 때문에, 그것은 특히 항원 및 병원성 행동뿐만 아니라 세포 [4]형태학에서도 다재다능하기 때문에 식별을 매우 어렵게 한다.

C. freundii[5]분류군 내에서 깊은 분리를 가진 두 개의 서로 다른 계통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뉴클레오티드 다양성을 포함한다.계통학적 정보에 근거해, 이러한 계통분할은, 선택성에 관한 [5]중요성을 나타내는 지리 및 숙주종에 관한 정보와 완전하게 관련지어진다.각각의 유전자에 관해서, 종은 다양한 분류군들 사이에서 다를 수 있고, 어떤 나무들의 다른 가지들은 다른 나무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이러한 계통분열에도 불구하고, C. freundi의 모든 변종들은 [5]구연산염을 사용한다.

또한 C. freundii의 2종류의 베타-락타마아제 CMY-2AmpC 베타-락타마아제와 TEM-1 베타-락타마아제로부터 진화의 증거를 얻을 수 있다.둘 다 베타락탐에 대한 내성이 없고 자연적으로 [6]발생하는 저항성을 가진 대립 유전자를 전달하지 않습니다.시험관내 진화는 CMY-2와 TEM-1 [6]모두에 대해 세페파임과 관련하여 저항성 진화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CMY-2와 TEM-1에 의해 얻어지는 내성은 그램 음성 박테리아에 [6]대한 것이다.미진화 CMY-2는 TEM-1보다 더 많은 저항(량의 4배)을 나타내지만, 둘 다 [6]진화했을 때 TEM-1은 CMY-2보다 더 높은 저항 수준을 보였습니다.

대사상세

C. freundii글리세롤을 기반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글리세롤을 탄소와 에너지의 유일한 공급원으로 사용합니다.그 유기체는 프로판디올을 처리할 수 있는 박테리아 미세 구획을 가지고 있다.C. freundii는 양성 카탈라아제 및 음성 산화효소 테스트와 함께 양성 MR 및 음성 VP 테스트를 생성합니다.C. freundii는 녹말, 지질, [7]젤라틴을 가수분해할 수 없다.C. freundii태닝[8]사용되는 탄닌산생분해도 조사되었습니다.

C. freundii펜발레이트 분해균주 CD-9을 포함한다.CD-9에 의한 펜발레이트 분해는 중간 생성물의 분해도 포함한다.이는 궁극적으로 이 균주가 에스테르를 완전히 대사하고 펜발레이트 [9]분해를 위한 완전한 대사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의 마지막에 중간물질의 축적을 막는다.CD-9의 최적 조건은 펜발레이트 농도 77mg/L, pH 6.3, 접종량 6%(v/v)[9]이다.이러한 조건은 72시간 [9]내에 88% 펜발레이트 분해에 유리하다.펜발레이트 분해의 원인이 되는 효소는 세포내 [9]효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독특한 적합 유전자는 많은 대사 경로, 즉 타트 의존성 단백질 분비, DNA 재조합, 복구 과정이 순환계에서 [10]C. freundii의 생존에 모두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이러한 연구결과는 주요 숙주 탄소 선원을 식별할 필요성 또는 [10]숙주 환경에서 개별 탄소 소비 경로의 상실을 조정할 수 있는 C. freundi의 능력을 나타낸다.C. freundii의 tatC 돌연변이는 야생형 변종에 비해 수영운동성이 약 절반 감소했으며, 트랜스유전자보완성으로 수영운동성이 완전히 회복되었다.이러한 결과는 tatC 기능이 없는 경우의 운동성 결함을 강조합니다.그러나 tatC 돌연변이에서는 수영이 거의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편모함수는 [10]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다.

광범위한 시스템과의 관련성

C. freundii는 또한 일반적으로 토양 마이크로바이옴의 일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미생물은 환경 내 질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C. freundii는 또한 질소 고정 박테리아로, 사사프라 나무의 생체 조직에서 증명되었습니다.이 과정은 그들이 환경에서 [8]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키는 데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C. freundii는 또한 다양한 환경적 원천에서 온 인간과 다른 동물들의 장에서 발견될 수 있다.C. freundii건강[11]인간의 내장 미생물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이다.대부분의 균주는 유익하지만,[12] 게놈의 99% 이상을 공유하는 균주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표현형 변이가 있다.건강한 사람과의 C. freundii 상호작용은 보통 비병원성으로 간주되지만, 혈류에서 C. freundii는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그 결과, C. freundii는 의료 환경에서 자주 접하는 제한된 그램 음성 세균 종에 속하며 다양한 기초 [10]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톡소제닉 C. 프룬디는 드문 것으로 보이며, 인간의 건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회주의 병원체이다.[10]이와 같이, C. freundii는 면역 결핍 [10][13]환자의 비뇨기계, 호흡기, 상처, 순환 및 기타 부위의 감염을 포함한 광범위한 질병을 일으킨다.북미 의료 기관에 따르면, 시트로박터속은 엔테로박터과 감염의 3~6%를 차지하며 인간 [10]감염과 관련된 가장 빈번한 변종 중 하나이다.

살모넬라뿐만 아니라 대장균 병원형에서 확인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동적인 독성 유전자도 C.[4] freundii에서 확인되었다.비정형 C. freundi의 부모 변종에서 되돌릴 수 있는 표현형 변화는 변화하는 [4]환경의 결과로 확인되었다.이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4]어려운 조건에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박테리아 균주의 자손들이 다양한 정도의 표현형 변화를 가지고 생산될 것이라는 가설이다.자연 박테리아 집단에서 게놈 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이러한 변화들 중 많은 것들이 유해해져서 자연 선택 [4]압력 조건 하에서 인구의 작은 부분에서만 생존을 야기한다.

레퍼런스

  1. ^ LPSN lpsn.dsmz.de
  2. ^ a b c d Choudhuri, Indranil; Khanra, Kalyani; Maity, Prasenjit; Patra, Anutosh; Maity, Gajendra Nath; Pati, Bikas Ranjan; Nag, Anish; Mondal, Soumitra; Bhattacharyya, Nandan (2021). "Structure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exopolysaccharide isolated from Citrobacter freundii".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168: 537–549. doi:10.1016/j.ijbiomac.2020.12.063. PMID 33316341. S2CID 229180023.
  3. ^ a b c d e f g Ramos-Vivas, José; Chapartegui-González, Itziar; Fernández-Martínez, Marta; González-Rico, Claudia; Barrett, John; Fortún, Jesús; Escudero, Rosa; Marco, Francesc; Linares, Laura; Nieto, Javier; Aranzamendi, Maitane (2020). "Adherence to Human Colon Cells by Multidrug Resistant Enterobacterales Strains Isolated From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With a Focus on Citrobacter freundii". Frontiers in Cellular and Infection Microbiology. 10: 447. doi:10.3389/fcimb.2020.00447. ISSN 2235-2988. PMC 7525035. PMID 33042855.
  4. ^ a b c d e f Delgado, Gabriela; Souza, Valeria; Morales, Rosario; Cerritos, René; González-González, Andrea; Méndez, José Luis; Vázquez, Virginia; Cravioto, Alejandro (2013). Webber, Mark Alexander (e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Atypical Citrobacter freundii". PLOS ONE. 8 (9): e74120. Bibcode:2013PLoSO...874120D. doi:10.1371/journal.pone.0074120. ISSN 1932-6203. PMC 3771896. PMID 24069274.
  5. ^ a b c Wertz, J. E.; Goldstone, C.; Gordon, D. M.; Riley, M. A. (2003). "A molecular phylogeny of enteric bacteria and implications for a bacterial species concept". Journal of Evolutionary Biology. 16 (6): 1236–1248. doi:10.1046/j.1420-9101.2003.00612.x. ISSN 1010-061X. PMID 14640415. S2CID 5755222.
  6. ^ a b c d Barlow, Miriam; Hall, Barry G (2003). "Experimental Prediction of the Evolution of Cefepime Resistance From the CMY-2 AmpC β-Lactamase". Genetics. 164 (1): 23–29. doi:10.1093/genetics/164.1.23. ISSN 1943-2631. PMC 1462546. PMID 12750318.
  7. ^ Pang, Allan; Warren, Martin J.; Pickersgill, Richard W. (2011). "Structure of PduT, a trimeric bacterial microcompartment protein with a 4Fe–4S cluster-binding site".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D: Biological Crystallography. 67 (2): 91–96. doi:10.1107/S0907444910050201. ISSN 0907-4449. PMID 21245529.
  8. ^ a b Snihur, H.; Petrenko, S.; Kot, T.; Shevchenko, O.; Polischuk, V. (2018). "Widespread Viral Diseases Endangering Cereal Crops in Ukraine". Mikrobiolohichnyi Zhurnal. 80 (3): 103–116. doi:10.15407/microbiolj80.03.103. ISSN 1028-0987. S2CID 134413047.
  9. ^ a b c d Tang, Jie; Lei, Dan; Wu, Min; Hu, Qiong; Zhang, Qing (2020). "Biodegradation and metabolic pathway of fenvalerate by Citrobacter freundii CD-9". AMB Express. 10 (1): 194. doi:10.1186/s13568-020-01128-x. ISSN 2191-0855. PMC 7599292. PMID 33125615.
  10. ^ a b c d e f g Anderson, Mark T.; Mitchell, Lindsay A.; Zhao, Lili; Mobley, Harry L. T. (2018). "Citrobacter freundii fitness during bloodstream infection". Scientific Reports. 8 (1): 11792. Bibcode:2018NatSR...811792A. doi:10.1038/s41598-018-30196-0. ISSN 2045-2322. PMC 6081441. PMID 30087402.
  11. ^ Schloissnig, Siegfried; Arumugam, Manimozhiyan; Sunagawa, Shinichi; Mitreva, Makedonka; Tap, Julien; Zhu, Ana; Waller, Alison; Mende, Daniel R.; Kultima, Jens Roat; Martin, John; Kota, Karthik (2013). "Genomic variation landscape of the human gut microbiome". Nature. 493 (7430): 45–50. Bibcode:2013Natur.493...45S. doi:10.1038/nature11711. ISSN 0028-0836. PMC 3536929. PMID 23222524.
  12. ^ Morowitz, M. J.; Denef, V. J.; Costello, E. K.; Thomas, B. C.; Poroyko, V.; Relman, D. A.; Banfield, J. F. (2011). "Strain-resolved community genomic analysis of gut microbial colonization in a premature infa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 (3): 1128–1133. Bibcode:2011PNAS..108.1128M. doi:10.1073/pnas.1010992108. ISSN 0027-8424. PMC 3024690. PMID 21191099.
  13. ^ Whalen, Jason G. (2007). "Spontaneous Citrobacter freundii Infection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Archives of Dermatology. 143 (1): 124–125. doi:10.1001/archderm.143.1.124. ISSN 0003-987X. PMID 1722456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