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마그
Cammag캄마그(Manx 발음: [ˈkʰamaɡ])[1]는 맨섬에서 유래한 팀 스포츠다. 스코틀랜드의 신트 게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아일랜드의 허우적거림 게임과 비슷하다. 한때 맨에 가장 널리 퍼졌던 스포츠였던 이 스포츠는 21세기에 부활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협회 축구가 도입된 후 1900년경에 중단되었다.[2]
장비에는 스틱(Manx: camman, "작은 곡선"이란 뜻)[2]과 4~2백 명의 선수가 있는 공(crick or crig)이 들어간다. 때때로 마을과 마을 전체가 참여하거나 심지어 서로 놀기도 했다. 캠맨은 끝이 구부러진 어떤 막대기도 될 수 있으며, 칼날이 없는 아일랜드 카만과 달리 신티에서 카만과 디자인이 비슷하다. 적당한 크기와 모양이라면 고레스 목재 캠맨은 매우 귀중한 소유물이었다. 이 크릭은 코르크 마개나 나무로 만들 수 있으며, 둘레가 약 2인치에서 '주먹의 크기'에 이르는 원형부터 달걀 모양까지 다양하다. 오래된 설명에 따르면 그 쥐는 때때로 천이나 가죽으로 덮여있었다고 한다.[3]
현대의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어 카만에서와 같이 맨스어 캠마그는 구부러짐을 의미하는 게일어 루트 워드 캠에서 유래되었다.[4]
캠마그 시즌은 워렌데이(12월 26일) 헌트부터 시작해 겨울 동안 (모든 연령대의) 남자들만 출전했다. 코리스의 클로즈(지금의 아솔 스트리트)는 필 마을의 주경기장이었다.
현대에는 세인트 존스에서 매년 캠마그의 경기가 열린다.
캠마그가 웨일스 반도와 강한 유대관계를 가졌다는 증거가 있으며 웨일즈에는 20-30명의 남자들을 한쪽에 두고 사방에서 경기를 하고 200미터 길이의 피치 위에서 경기를 했을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한 해에 한 번 수백 명이 한 팀에 참가하는 가장 큰 경기가 있었을 것이고, 숫자는 집계되지 않고 모두를 위한 무료가 되었을 것이다.
기록 및 최근 일치 항목
킷 가운은 저서 '맨하키의 섬'에서 캠마그 게임이 선교사들에 의해 맨섬에 소개되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이 게임의 가장 초기의 서면 기록은 1760년으로, 일요일 캠마그로 세 명의 남자와 한 명의 소년이 교회 코트에 끌려갔다.[5]
세인트존스 틴왈드 경기장에서 열린 캠마그 경기는 복싱 데이/런 데이 헌트(12월 26일)에 열린다. 섬의 북쪽과 남쪽 사이에 경기가 열린다. 만스 국립유산 기록 보관소에 있는 데이비드 피셔의 연구는 북부 노선이 역사적으로 그랜드 아일랜드 호텔에서 펠 남쪽의 나이아빌까지 운행했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경기는 보통 오후 2시에 시작되며, 20분 동안 3번 이상 진행된다.
팀들은 비공식적이고 규제되지 않으며, 종종 경기장에 50명 이상(남녀 모두)을 기록하기도 한다. – 역사적인 논평은 400명에서 200명 사이의 선수들과 함께 하는 경기를 인용한다.[6] 최근 몇 년간, 이 경기는 최근 몇 년 동안 경기를 부활시킨 국내 라디오 진행자 존 케인(John Kaneen)에 의해 검토되었다. 놀이 기구는 디자인에 많은 변화가 있지만 구부러진 막대기로 구성된다. 이 게임은 신체적으로 까다로운 컨택 스포츠로, 보호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경기는 보통 많은 선수가 좁은 공간에 갇혀 있는 중앙 팩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공이 큰 거리를 움직일 수 없다. 경기장 중앙에서 선수들이 대거 포진한 탓에 외곽에서 올라온 골문을 공략하기 어렵지만 열린 날개를 타고 내려오는 브레이크아웃 공격은 가끔 벌어진다.
연도 | 점수(북남) | 메모들 |
---|---|---|
2005 | 4–2 | 필이 두 번째로 포함된 남부의 수적에서 크게 밀렸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센터팩(상대적으로 볼에 접근할 수 있는 선수가 적은 곳)에서 공을 잡고 탄탄한 수비 경기를 펼치며 가까스로 경기를 통제했다. 북한의 득점자는 데이비드 피셔(2), 이안 래드클리프, 로이 케노였다. |
2006 | 4–4 | 북한은 2차 시기 말 4 대 2의 적자에서 벗어나 경기 수준을 끌어올렸다. 존 케인 주심은 2007년 경기까지 남한이 우승컵을 들어줘야 한다고 판단했다. |
2007 | 1–5 | |
2008 | 5–4 | 북한은 이날 경기 마지막 3회전에서 4-1로 뒤진 채 풀타임으로 수위를 끌어올린 뒤 돌연사 기간에 득점을 올리며 승기를 잡았다. 북측의 득점왕에는 이안 래드클리프(푸소버 골), 롭 티어, 폴 로저스, 욜 피셔(2골) 등이 포함됐다. |
2009 | 4–3 | 한국은 1차 시기 말에 2-0으로 앞섰지만 선두를 고수하지 못했다. 결승전이 끝날 무렵 3-3으로 비겨 연장전까지 갔다. 북한은 골을 넣어 4 대 3으로 이겼다. 그 경기는 많은 그라운드 마울들이 포함된 격렬한 육체적 경기였다. |
2010 | 2–3 | 그 게임은 데이비드 피셔, 존 케인, 스튜어트 베넷에 의해 검토되었다. 이 경기는 한 포인트에 4명의 골키퍼를 포함한 훨씬 더 큰 남쪽 측면에 의해 지배되었지만, 북한은 3차 시기 말에 2-2 무승부를 유지했다. 북쪽의 득점자는 쥘 피셔와 이안 래드클리프였으며, 잘 알려진 존 "독" 콜리스터는 골문을 지켰다. 그 경기는 급사까지 갔고, 이것은 한국이 밀어내기 골을 넣기 위해 미사를 지었던 것에 의해 승리되었다. |
2011 | 0–3 | 남쪽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남한이 훨씬 많은 것은 북쪽이 경기 대부분을 수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7] |
2012 | 9–4 | 최근 기억으로는 가장 큰 점수인 북한의 압승. 폭우는 도전적인 조건을 의미했지만 경기 대부분을 상대 진영에서 균등하게 맞췄고, 3차전까지 스코어는 4-4로 유지됐다. 북한은 마지막 기간 5골 연승으로 승리를 지켰다. 북측의 채점자에는 올리 트레인터와 이안 래드클리프(3)가 포함됐다. |
2013 | (2–3) | 2 남쪽의 목표들 의심의 눈초리. 캠마그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득점이 논란이 되면서 다시 한 번 논란에 휩싸였다. 비록 남한이 북한의 2골에 3골을 넣었지만, 폴 캘리스터 심판은 너무 높은 키퍼로 인해 남한의 조기골을 허용했어야 하는지는 불분명했고, 늦은 골은 골키퍼에게 허용해야 하는 것이라고 판결했다. 한국은 모든 득점이 스틱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실격될 수 있는 라인 너머로 차였다. 북한의 득점왕은 남한의 뛰어난 골잡이 앞에서 존 패러거와 이안 래드클리프가 차지했는데, 이것은 북한이 또 한번의 압도적인 승리를 부정했다. 2012년 경기에서 북측이 일방적인 승리를 거둔 뒤 한 해 동안 우승컵을 들어줘야 한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
2014 | 1–3 | |
2015 | 7–1 | 다년 만에 상대편이 수적으로 고른 편이지만 폭우로 인해 선수 수가 많이 줄었다. 능숙한 북측이 경기 초반부터 선두로 나섰고, 3교시 후반에 남측이 만회골을 터뜨렸다. 북측의 득점왕에는 데이비드 피셔도 포함되었는데, 그는 또한 경기를 심판하고 있었다. |
2016 | 5–1 | |
2017 | 6–1[8] | 북한은 "맨 오브 더 매치" 상을 받은 남부 골키퍼 라이언 데이비스의 뛰어난 골키퍼에도 불구하고 우위를 점했다.[8] 이 경기는 2017년 12월 27일 사망한 북부의 인기 선수와 위대한 만스맨 로이 케노의 백조였다.[9] |
2018 | 3–5 | |
2019 | 3–4[10] | |
2020 | 4–2[11] |
맨섬 캠마그 협회
2014년 1월, 맨섬 캠마그 협회가 이 게임의 관리 기구로 활동하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발표되었다. 2015년 7월 5일 첫 경기가 열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7개 팀의 리그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기대했던 협회는 구체화되지 않았고, 리그도 한 번도 마련되지 않았다. 캠마그는 통치 기구도 없이, 형식적인 규칙도 없이 남아 있다.
참조
- ^ 무어 & 모리슨 1924년 C 밑에서 "CAMMAG [카마그] (Mx.), 갈고리 막대, 목발, 하키 막대; 하키 게임"
- ^ a b 길 1934년, 만스 사투리 "캠마그, 신티 - 보다 단순한 형태의 하키. 이전에는 맨스 전국 경기였지만 지금은 축구로 대체되었다."
- ^ 만닌 제8권 pp486/488 민속 전승 노트 1916
- ^ 브로데릭, G. 후기 구어 맨스(1984) 니메이어 편람 ISBN3-484-42904-6
- ^ "Health & Sports :: isleofman.com". www.isleofman.com. Retrieved 27 July 2021.
- ^ 가우네, 킷아일랜드 맨하키(2010)
- ^ Manx Independent, 신문, 2010년 12월 31일
- ^ a b "The north wins the 2017 Cammag Cup". IOM Today. 29 December 2017. Retrieved 30 December 2019.
- ^ 2017년 12월 29일 맨스 라디오 "위대한 맨스맨의 손실" 맨스 라디오, 맨섬, 맨스 라디오 2017년 12월 29일 회수
- ^ "The South win annual Boxing Day cammag match". Manx Radio. 27 December 2019. Retrieved 30 December 2019.
- ^ "The north reclaims cammag trophy". IOM Today. 31 December 2020. Retrieved 6 January 2021.
원천
- Gill, W. Walter (1934), Manx Dialect Words and Phrases, Bristol: J. W. Arrowsmith
- Moore, Arthur William; Morrison, Sophia (1924), A Vocabulary of the Anglo-Manx Dialect, 1924]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