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빈 플랜

Bevin Plan
팔레스타인의 미래를 위한 제안– 1946년 7월– 1947년 2월 CMD 7044; 베빈 계획은 세 가지 제안 중 세 번째였다.

베빈-빌리[1] 계획으로도 묘사된 베빈 계획은 20세기 중반 팔레스타인 [2]의무지역에서 아랍인과 유대인 사이에 전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국의 마지막 시도였다.

이 계획은 모리슨-그레이디 계획이 부결된 후 1946-47년 런던 회의에서 영국 외무장관 어니스트 베빈이 제안했다.베빈은 외교관 해롤드 [1]비엘리의 조언을 받았다.

그것은 또한 모든 [3]정당에 의해 거부되었다.

베빈과 비엘리는 이후 이스라엘 전설에서 [4]"국가 탄생 시 사악한 산파"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캐스팅되었다.부결 이후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 문제를 유엔에 회부했고, 유엔 팔레스타인 [3]특별위원회 설립으로 이어졌다.

베빈 계획의 많은 요소들은 1948년 3월 미국이 제안한 팔레스타인에 대한 신탁 통치 제안과 유사했다.이 제안은 [5]유엔 팔레스타인 분할 계획 4개월 후에 제안되었다.

계획

이 계획은 모리슨 그레이디 계획에서 제안된 광둥화 원칙을 유지한 반면 팔레스타인은 5년간의 신탁 통치 [3]체제 하에 둘 것을 제안했다.

해리슨 보고서에서 제안된 "10만 명의 난민"의 입국은 2년 [3]동안 매달 4,000명의 이민자의 비율로 허용될 것이다.

시오니스트의 관점에서, 이 계획은 신탁 통치 기간 말에 분할을 제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리슨-그레이디 계획보다 더 나빴다.대신, "헌법 의회"의 선출을 제안했는데, 이 결정을 위해서는 "유대인 대표 과반수와 아랍 대표 과반수"[1][6]가 필요하다.

레퍼런스

  1. ^ a b c Jonathan David Fine (1 March 2018). A State Is Born: The Establishment of the Israeli System of Government, 1947–1951. SUNY Press. pp. 4–. ISBN 978-1-4384-6797-9.
  2. ^ Graham Jevon (27 April 2017).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63. ISBN 978-1-316-83396-4. Britain's final attempt at solving the problem, in what became known as the Bevin Plan, was a five-year trusteeship ...
  3. ^ a b c d Ellen Jenny Ravndal (2010). "Exit Britain: British Withdrawal From the Palestine Mandate in the Early Cold War, 1947–1948". Diplomacy & Statecraft. 21 (3): 416–433. doi:10.1080/09592296.2010.508409.
  4. ^ 비엘리 부고
  5. ^ 카우프만, 메나헴배신당한 신뢰:1948년 팔레스타인에 대한 미국 신탁통치 제안"유대인 사회학 저널 25:1(1983년 6월):5 ~ 32
  6. ^ 베빈 계획, 제16조 "신탁계약의 종료"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