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 주
Armenian Oblast아르메니아 주 Հայկական մարզ | |
---|---|
Армянская область | |
나라 | 러시아 제국 |
정치적 지위 | 주 |
지역 | 코카서스 |
설립된 | 1828 |
폐지되었다 | 1840 |
지역 | |
• 합계 | 31,672km2(12,229평방마일) |
인구. (1832) | |
• 합계 | 164,500 |
• 밀도 | 5.2/km2(13/140mi) |
루마니아의 역사 |
---|
타임라인 • 기원 • 어원 |
아르메니아 주()는 1828년부터 1840년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의 [1][2][3]주이다.그것은 오늘날 대부분의 중앙 아르메니아, 터키의 이드르 주, 아제르바이잔의 나히치반 지역에 해당한다.행정 중심지는 러시아어로 [4]에리반이라고 불리는 예레반이었다.
역사
아르메니아 주는 1826-1828년 [5][6]러시아-이란 전쟁 이후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따라 이란에 의해 러시아에 양도된 옛 에리반 칸국들과 나키반 칸국의 영토로 만들어졌다.우크라이나 태생의 군사 지도자이자 전쟁의 영웅인 이반 파스케비치는 이 주가 [3][5]창설된 해에 "에리반 백작"이 되었다.아르메니아 주 창설은 러시아-이란 [7]전쟁 동안 러시아의 대의를 지지했던 아르메니아인들에게 보상하기를 원했던 친아르메니아 성향의 러시아 관리들에 의해 장려되었다.러시아인들은 또한 기독교 조지아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의 통치를 선호한다"고 믿었고 코카서스의 [7]많은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러시아의 통제를 지지할 것이라고 믿었다.
역사학자 조지 부르누티안에 따르면, 러시아인들은 "모든 면에서" "옛 이란 행정 구조"[8]를 바꾸는 것을 자제했다.이전의 이슬람교도들 중 상당수는 그들의 임무를 계속 수행하도록 허락받았고, 일부는 심지어 러시아군 계급까지 부여받아 이란인들의 [8]나예브 계급에 해당하는 부지사로서 행동했다.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을 통해 이란이 "전적인 항복"을 강요받았기 때문에, 러시아인들은 앞으로 일어날 [8]수 있는 카자르족과의 어떠한 새로운 분쟁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따라서 이란과 국경을 맞대고 있던 아르메니아 주는 티플리스(트빌리시)에 본부를 둔 러시아 코카서스 행정부에 의해 의도적으로 무시당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 [8]위치한 러시아 중앙정부에도 무시당했다.
1829년, 도르파트 대학의 발트 독일 탐험가 프리드리히 패럿은 아라라트 산을 등반하기 위한 탐험의 일환으로 이 주를 여행했다.아르메니아 작가 하차투르 아보비안과 다른 4명과 함께, 앵무새는 역사상 최초로 아르메니아 수도원의 성에서 아라라트를 등정했다. 악후리의 하코브(현재의 예니도안).[9]
1840년에, Armenians[를]와 경기의 무슬림 관리자의 고압적인 수단에 대해 러시아 관리들의 작은 팩에서 불만 때문에 러시아 정부는"모든 현지의 법과 관습 차치하고 기록은 모든 사업 러시아에 러시아인들은 모든 행정 부처 staff 실시될 수 있을 것"강제한 포고령을 발표했습니다.[8]동시에 러시아인들은 아르메니아 주의 분리 지위를 폐지하고 새로 설립된 그루지야-임레티아 [3][8]주에 합병했다.
새로운 사단은 오래가지 못했다.4년 후인 1844년, 북카프카스와 [8]남카프카스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코카서스 부왕령이 다시 설립되었고, 그곳에서 옛 아르메니아 주는 티플리스 주의 하위 구역을 형성하였다.5년 후인 1849년, 티플리스 [11]주와는 별도로 에리반 주가 설치되었다.그것은 이전의 에리반 [12]칸국들과 나크치반 칸국들의 영토를 포함했다.
인구 통계
배경
1826-1828년 러시아-이란 전쟁 직후, 러시아인들은 "예레반과 나키체반을 새롭게 형성된 아르메니아 지방으로 통합했다."[13]이반 쇼팽이 18291832년 실시한 러시아 조사에 따르면 이란 통치 말년 에리반 칸국의 무슬림(타타르 [b]쿠르드 이란) 인구는 전체 칸국 인구의 [13][16]4만9875명(71.5%)에 달했다.같은 [13]해 에리반 칸국의 아르메니아 출신은 20,073명(28.5%)이었다.나히체반 칸국의 무슬림 인구는 24,385명(83%)인 반면, 아르메니아인은 5,078명(17%)[13]이었다.1829~1832년 러시아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정복 전날 러시아령 아르메니아 주(에리반 칸과 나키체반 칸의 합산 인구)의 총 주민 수는 99,411명이었고, 그 중 74,260명(75%)이 이슬람교도였고, 2515명이 아르메니아인이었다.부르누티앙은 집권 카자르 계급과 전쟁 후 떠난 유목민까지[c] 합치면 전체 인구가 10만 [18]명을 조금 넘었을 것으로 추산한다.아르메니아 민족은 에리반 칸국의 15개 마할 중 3개(키르크-불라그, 사르다라바드, 카르비-바사르)에서 다수였고, 나키체반 [19]칸국의 10개 마할 중 1개(아굴리스/아쿨리스)에서 다수였다.
18세기 초부터 러시아, 그루지야, 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계 유명 인사들은 동포들을 이슬람 통치로부터 해방시키고 그들을 러시아의 [20]보호 아래 두기 위해 러시아의 지지를 모으기 위해 노력해왔다.그루지야와 카라바흐에서 온 아르메니아 지원병들도 러시아-이란 전쟁 [20]때 러시아군에 합류했다.러시아와 이란의 평화 협상 동안,[20] 카프카스 산맥의 기존 러시아-오스만 국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독교 방어선"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5조가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추가되었다.이 기사가 포함된 또 다른 이유는 아르메니아인과 [20]그들을 지지하는 러시아 계급 내 사람들의 동경을 따르기 위해서였다.제15조에 따르면 아자르바이잔 지방에 거주하는 모든 이란인은 러시아 제국에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었고, 자신과 [20]가족을 수송할 수 있는 기간이 1년 주어졌다.부르누티앙이 설명하듯이, 그들은 또한 "정부나 지방 당국이 그들의 길에 최소한의 장애물을 두거나,[20] 그들이 판매하거나 수출하는 상품과 물건에 세금을 부과하거나 관세를 부과할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이주자들의 부동산에 관해서는, 5년의 기간이 주어졌고, 그 기간 동안 그들은 "원하는 대로"[20] 부동산을 팔거나 처분할 수 있었다.러시아령 아르메니아에 새로 부임한 러시아 행정관들도 [20]이주민들에게 물류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부르누티안은 투르크메니스탄 조약 제15조가 사파비드 [20]시대인 17세기 초에 이란으로 강제 이주된 아르메니아인들의 송환만을 위한 것이라고 지적한다.부르누티안은 러시아인들이 아르메니아인 마을에 아르메니아어로 발표를 하고, 그들 중 일부는 아르메니아인 출신이며, 코사크인들과 함께 이란을 [20]떠나기를 주저하는 아르메니아인들을 강하게 설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주의 수
투르크멘차이 조약이 체결된 1828년부터 1831년까지 35,560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이란의 아자르바이잔 주를 떠나 아르메니아 주로 이주하였고, 곧 아르메니아를 터키 [20]아르메니아와 구별하기 위해 러시아령 아르메니아로 개명하였다.러시아-터키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승리한 지 2년 후인 1831년까지, 바야지드와 카르스의 오스만 통치 파샬리족 출신의 21,666명의 아르메니아인들이 아르메니아 주(러시아 아르메니아)[20]로 이주했다.부르누티안은 러시아 조사에 따르면 1832년까지 아르메니아 [20]주에는 82,377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있었다고 말한다.1826-1828년 러시아-이란 전쟁 중 영토를 떠난 7,813명의 타타르족과 쿠르드족 유목민들도 1832년까지 그들의 목초지로 돌아갔고, 이로 인해 아르메니아 주의 총 이슬람 인구는 82,073명으로 [20]늘어났다.부르누티안은 따라서 1832년 아르메니아 주 전체 인구는 164,450명이었고 아르메니아인은 50.09%, 무슬림은 49.91%[20]라고 결론지었다.사파비드 샤 아바스 r.대왕(1588-1629년)에 의해 강제 이주된 지 2세기 만에 아르메니아인들은 "역사적인 [20]조국의 일부에서만 이슬람교도들과 동등한 지위를 얻었다"고 말했다.
러시아 통치하의 생활에 불만을 품은 일부 아르메니아인들은 나중에 고국을 떠나 이란으로 돌아가 압바스 미르자 왕세자와 그의 [21]후계자들의 환영을 받았다.
아르메니아 주 무슬림의 대부분은 [14]시아파였다."타타르"라는 용어는 러시아인들이 사용했으며, 자캅카시아의 [14]터키어 회교도(시아와 수니파)를 지칭했다.아르메니아인이나 조지아인들과 달리 타타르인들은 그들만의 알파벳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14]페르소아랍 문자를 사용했다.1918년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이 수립되고 "특히 소련 시대" 이후 타타르 그룹은 스스로를 "아제르바이잔"[14]이라고 칭했다.1918년 이전에는 "아제르바이잔"[22]이라는 단어는 이란의 아자르바이잔 지방을 지칭했습니다.
행정부.
아르메니아 주에는 소수의 러시아 관리들만 있었고 그들은 이란인 밑에서 [8]일했던 전 이슬람 행정가와 통역사들에게 의존했다.부르누티안은 "토지 점유권, 세금, 사법제도는 사실상 변하지 않았고 페르시아어나 터키 현지 사투리가 많은 행정청에서 계속 사용됐다"[8]고 언급했다.
문학.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이란에서 이주한 사람들은 특히 불행했고 이란에서 [10]더 나은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 ^ "타타르"라는 용어는 러시아인들이 사용했으며, 자캅카시아의 [14]터키어 회교도(시아와 수니파)를 지칭했다.아르메니아인이나 조지아인들과 달리 타타르인들은 그들만의 알파벳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14]페르소아랍 문자를 사용했다.1918년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이 수립되고 "특히 소련 시대" 이후 타타르 그룹은 스스로를 "아제르바이잔"[14]이라고 칭했다.1918년 이전에는 "아제르바이잔"[15]이라는 단어는 이란의 아자르바이잔 지방을 지칭했습니다.
- ^ 대부분의 유목민들은 이란이 러시아에 [18]영토를 양도한 후 돌아왔다.
레퍼런스
- ^ Tsutsiev, Arthur (2014). Atlas of the Ethno-Political History of the Caucasus. Translated by Nora Seligman Favorov.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 15. ISBN 9780300153088.
- ^ Panossian, Razmik (2006). The Armenians: From Kings and Priests to Merchants and Commissar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22. ISBN 9780231139267.
- ^ a b c Bournoutian, George A. (1992). The Khanate of Erevan Under Qajar Rule, 1795-1828. Costa Mesa: Mazda Publishers. p. 26. ISBN 9780939214181.
- ^ 츠치예프, 페이지 16
- ^ a b King, Charles (2008). The Ghost of Freedom: A History of the Caucasu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50–51. ISBN 978-0195177756.
- ^ Atkin, Muriel (1980). Russia and Iran, 1780–1828.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158–159. ISBN 9780816609246.
- ^ a b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7.
- ^ a b c d e f g h i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8.
- ^ Parrot, Friedrich (2016) [1846]. Journey to Ararat. Translated by William Desborough Cooley. Introduction by Pietro A. Shakarian. London: Gomidas Institute. p. 139. ISBN 9781909382244.
-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11 (note 13).
- ^ 츠치예프, 페이지 20
- ^ Hewsen, Robert H. (2001). Armenia: A Historical Atla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73. ISBN 9780226332284.
- ^ a b c d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19.
- ^ a b c d e f g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35 (note 25).
-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xiv.
- ^ 부르누티안, 페이지 48
-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p. 19–20.
- ^ a b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34 (note 6).
-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p. 19–20, 35 (note 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20.
-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p. 20, 35 (note 12).
-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x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