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 주

Armenian Oblast

좌표:41°N 44°E/41°N 44°E/ 41; 44

아르메니아 주
Հայկական մարզ
Армянская область
ArmenianOblast.jpg
나라러시아 제국
정치적 지위
지역코카서스
설립된1828
폐지되었다1840
지역
• 합계31,672km2(12,229평방마일)
인구.
(1832)
• 합계164,500
• 밀도5.2/km2(13/140mi)

아르메니아 주()는 1828년부터 1840년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1][2][3]주이다.그것은 오늘날 대부분의 중앙 아르메니아, 터키이드르 주, 아제르바이잔나히치반 지역에 해당한다.행정 중심지는 러시아어[4]에리반이라고 불리는 예레반이었다.

역사

아르메니아 주는 1826-1828년 [5][6]러시아-이란 전쟁 이후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따라 이란에 의해 러시아에 양도된 옛 에리반 칸국들과 나키반 칸국의 영토로 만들어졌다.우크라이나 태생의 군사 지도자이자 전쟁의 영웅인 이반 파스케비치는 이 주가 [3][5]창설된 해에 "에리반 백작"이 되었다.아르메니아 주 창설은 러시아-이란 [7]전쟁 동안 러시아의 대의를 지지했던 아르메니아인들에게 보상하기를 원했던 친아르메니아 성향의 러시아 관리들에 의해 장려되었다.러시아인들은 또한 기독교 조지아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의 통치를 선호한다"고 믿었고 코카서스의 [7]많은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러시아의 통제를 지지할 것이라고 믿었다.

역사학자 조지 부르누티안에 따르면, 러시아인들은 "모든 면에서" "옛 이란 행정 구조"[8]를 바꾸는 것을 자제했다.이전의 이슬람교도들 중 상당수는 그들의 임무를 계속 수행하도록 허락받았고, 일부는 심지어 러시아군 계급까지 부여받아 이란인들의 [8]나예브 계급에 해당하는 부지사로서 행동했다.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을 통해 이란이 "전적인 항복"을 강요받았기 때문에, 러시아인들은 앞으로 일어날 [8]수 있는 카자르족과의 어떠한 새로운 분쟁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따라서 이란과 국경을 맞대고 있던 아르메니아 주는 티플리스(트빌리시)에 본부를 둔 러시아 코카서스 행정부에 의해 의도적으로 무시당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8]위치한 러시아 중앙정부에도 무시당했다.

1829년, 도르파트 대학발트 독일 탐험가 프리드리히 패럿아라라트 산을 등반하기 위한 탐험의 일환으로 이 주를 여행했다.아르메니아 작가 하차투르 아보비안과 다른 4명과 함께, 앵무새는 역사상 최초로 아르메니아 수도원의 성에서 아라라트를 등정했다. 악후리의 하코브(현재의 예니도안).[9]

1838년 아르메니아 주 에리반에서 열린 이란 왕세자 나세르 알딘 미르자(나중에 샤)와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스 1세의 만남을 기념하는 거울 케이스 내부 패널.중앙의 장면은 7살 왕자가 수행원과 함께 차르의 무릎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1854년 테헤란에서 Mohammad Esmail Esfahani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1840년에, Armenians[를]와 경기의 무슬림 관리자의 고압적인 수단에 대해 러시아 관리들의 작은 팩에서 불만 때문에 러시아 정부는"모든 현지의 법과 관습 차치하고 기록은 모든 사업 러시아에 러시아인들은 모든 행정 부처 staff 실시될 수 있을 것"강제한 포고령을 발표했습니다.[8]동시에 러시아인들은 아르메니아 주의 분리 지위를 폐지하고 새로 설립된 그루지야-임레티아 [3][8]에 합병했다.

새로운 사단은 오래가지 못했다.4년 후인 1844년, 북카프카스[8]남카프카스대한 러시아의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코카서스 부왕령이 다시 설립되었고, 그곳에서 옛 아르메니아 주는 티플리스 주의 하위 구역을 형성하였다.5년 후인 1849년, 티플리스 [11]주와는 별도로 에리반 주가 설치되었다.그것은 이전의 에리반 [12]칸국들과 나크치반 칸국들의 영토를 포함했다.

인구 통계

배경

1826-1828년 러시아-이란 전쟁 직후, 러시아인들은 "예레반과 나키체반을 새롭게 형성된 아르메니아 지방으로 통합했다."[13]이반 쇼팽이 18291832년 실시한 러시아 조사에 따르면 이란 통치 말년 에리반 칸국의 무슬림(타타르 [b]쿠르드 이란) 인구는 전체 칸국 인구의 [13][16]4만9875명(71.5%)에 달했다.같은 [13]해 에리반 칸국의 아르메니아 출신은 20,073명(28.5%)이었다.나히체반 칸국의 무슬림 인구는 24,385명(83%)인 반면, 아르메니아인은 5,078명(17%)[13]이었다.1829~1832년 러시아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정복 전날 러시아령 아르메니아 주(에리반 칸과 나키체반 칸의 합산 인구)의 총 주민 수는 99,411명이었고, 그 중 74,260명(75%)이 이슬람교도였고, 2515명이 아르메니아인이었다.부르누티앙은 집권 카자르 계급과 전쟁 후 떠난 유목민까지[c] 합치면 전체 인구가 10만 [18]명을 조금 넘었을 것으로 추산한다.아르메니아 민족은 에리반 칸국의 15개 마할 중 3개(키르크-불라그, 사르다라바드, 카르비-바사르)에서 다수였고, 나키체반 [19]칸국의 10개 마할 중 1개(아굴리스/아쿨리스)에서 다수였다.

투르크멘차이 조약 체결 당시 이반 파스케비치와 압바스 미르자

18세기 초부터 러시아, 그루지야, 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계 유명 인사들은 동포들을 이슬람 통치로부터 해방시키고 그들을 러시아의 [20]보호 아래 두기 위해 러시아의 지지를 모으기 위해 노력해왔다.그루지야와 카라바흐에서 온 아르메니아 지원병들도 러시아-이란 전쟁 [20]때 러시아군에 합류했다.러시아와 이란의 평화 협상 동안,[20] 카프카스 산맥의 기존 러시아-오스만 국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독교 방어선"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5조가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추가되었다.이 기사가 포함된 또 다른 이유는 아르메니아인과 [20]그들을 지지하는 러시아 계급 내 사람들의 동경을 따르기 위해서였다.제15조에 따르면 아자르바이잔 지방에 거주하는 모든 이란인은 러시아 제국에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었고, 자신과 [20]가족을 수송할 수 있는 기간이 1년 주어졌다.부르누티앙이 설명하듯이, 그들은 또한 "정부나 지방 당국이 그들의 길에 최소한의 장애물을 두거나,[20] 그들이 판매하거나 수출하는 상품과 물건에 세금을 부과하거나 관세를 부과할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이주자들의 부동산에 관해서는, 5년의 기간이 주어졌고, 그 기간 동안 그들은 "원하는 대로"[20] 부동산을 팔거나 처분할 수 있었다.러시아령 아르메니아에 새로 부임한 러시아 행정관들도 [20]이주민들에게 물류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부르누티안은 투르크메니스탄 조약 제15조가 사파비드 [20]시대인 17세기 초에 이란으로 강제 이주된 아르메니아인들의 송환만을 위한 것이라고 지적한다.부르누티안은 러시아인들이 아르메니아인 마을에 아르메니아어로 발표를 하고, 그들 중 일부는 아르메니아인 출신이며, 코사크인들과 함께 이란을 [20]떠나기를 주저하는 아르메니아인들을 강하게 설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주의 수

1833년 러시아 코카서스 지도

투르크멘차이 조약이 체결된 1828년부터 1831년까지 35,560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이란의 아자르바이잔 주를 떠나 아르메니아 주로 이주하였고, 곧 아르메니아를 터키 [20]아르메니아와 구별하기 위해 러시아령 아르메니아로 개명하였다.러시아-터키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승리한 2년 인 1831년까지, 바야지드와 카르스의 오스만 통치 파샬리족 출신의 21,666명의 아르메니아인들이 아르메니아 주(러시아 아르메니아)[20]로 이주했다.부르누티안은 러시아 조사에 따르면 1832년까지 아르메니아 [20]주에는 82,377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있었다고 말한다.1826-1828년 러시아-이란 전쟁 중 영토를 떠난 7,813명의 타타르족과 쿠르드족 유목민들도 1832년까지 그들의 목초지로 돌아갔고, 이로 인해 아르메니아 주의 총 이슬람 인구는 82,073명으로 [20]늘어났다.부르누티안은 따라서 1832년 아르메니아 주 전체 인구는 164,450명이었고 아르메니아인은 50.09%, 무슬림은 49.91%[20]라고 결론지었다.사파비드 샤 아바스 r.대왕(1588-1629년)에 의해 강제 이주된 지 2세기 만에 아르메니아인들은 "역사적인 [20]조국의 일부에서만 이슬람교도들과 동등한 지위를 얻었다"고 말했다.

러시아 통치하의 생활에 불만을 품은 일부 아르메니아인들은 나중에 고국을 떠나 이란으로 돌아가 압바스 미르자 왕세자와 그의 [21]후계자들의 환영을 받았다.

아르메니아 주 무슬림의 대부분은 [14]시아파였다."타타르"라는 용어는 러시아인들이 사용했으며, 자캅카시아[14]터키어 회교도(시아와 수니파)를 지칭했다.아르메니아인이나 조지아인들과 달리 타타르인들은 그들만의 알파벳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14]페르소아랍 문자를 사용했다.1918년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이 수립되고 "특히 소련 시대" 이후 타타르 그룹은 스스로를 "아제르바이잔"[14]이라고 칭했다.1918년 이전에는 "아제르바이잔"[22]이라는 단어는 이란의 아자르바이잔 지방을 지칭했습니다.

행정부.

아르메니아 주에는 소수의 러시아 관리들만 있었고 그들은 이란인 밑에서 [8]일했던 전 이슬람 행정가와 통역사들에게 의존했다.부르누티안은 "토지 점유권, 세금, 사법제도는 사실상 변하지 않았고 페르시아어나 터키 현지 사투리가 많은 행정청에서 계속 사용됐다"[8]고 언급했다.

문학.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이란에서 이주한 사람들은 특히 불행했고 이란에서 [10]더 나은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2. ^ "타타르"라는 용어는 러시아인들이 사용했으며, 자캅카시아[14]터키어 회교도(시아와 수니파)를 지칭했다.아르메니아인이나 조지아인들과 달리 타타르인들은 그들만의 알파벳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14]페르소아랍 문자를 사용했다.1918년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이 수립되고 "특히 소련 시대" 이후 타타르 그룹은 스스로를 "아제르바이잔"[14]이라고 칭했다.1918년 이전에는 "아제르바이잔"[15]이라는 단어는 이란의 아자르바이잔 지방을 지칭했습니다.
  3. ^ 대부분의 유목민들은 이란이 러시아에 [18]영토를 양도한 후 돌아왔다.

레퍼런스

  1. ^ Tsutsiev, Arthur (2014). Atlas of the Ethno-Political History of the Caucasus. Translated by Nora Seligman Favorov.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 15. ISBN 9780300153088.
  2. ^ Panossian, Razmik (2006). The Armenians: From Kings and Priests to Merchants and Commissar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22. ISBN 9780231139267.
  3. ^ a b c Bournoutian, George A. (1992). The Khanate of Erevan Under Qajar Rule, 1795-1828. Costa Mesa: Mazda Publishers. p. 26. ISBN 9780939214181.
  4. ^ 츠치예프, 페이지 16
  5. ^ a b King, Charles (2008). The Ghost of Freedom: A History of the Caucasu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50–51. ISBN 978-0195177756.
  6. ^ Atkin, Muriel (1980). Russia and Iran, 1780–1828.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158–159. ISBN 9780816609246.
  7. ^ a b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7.
  8. ^ a b c d e f g h i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8.
  9. ^ Parrot, Friedrich (2016) [1846]. Journey to Ararat. Translated by William Desborough Cooley. Introduction by Pietro A. Shakarian. London: Gomidas Institute. p. 139. ISBN 9781909382244.
  10.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11 (note 13).
  11. ^ 츠치예프, 페이지 20
  12. ^ Hewsen, Robert H. (2001). Armenia: A Historical Atla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73. ISBN 9780226332284.
  13. ^ a b c d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19.
  14. ^ a b c d e f g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35 (note 25).
  15.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xiv.
  16. ^ 부르누티안, 페이지 48
  17.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p. 19–20.
  18. ^ a b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34 (note 6).
  19.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p. 19–20, 35 (note 8).
  20.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20.
  21.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p. 20, 35 (note 12).
  22. ^ Bournoutian, George (2018). Armenia and Imperial Decline: The Yerevan Province, 1900-1914. Routledge. p. x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