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바이러스제
Antiviral drug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1]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품이다.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는 특정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하지만 광범위한 항바이러스제는 광범위한 [2]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입니다.대부분의 항생제와 달리, 항바이러스제는 그들의 목표 병원체를 파괴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들은 그것의 발달을 억제한다.
항바이러스제는 항생제(항균제라고도 함), 항진균제 및 항기생제 [3]또는 모노클로널 [4]항체를 기반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더 큰 그룹이다.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는 숙주에 비교적 무해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감염 치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것들은 약물이 아니라 몸 안이나 밖에서 바이러스 입자를 비활성화하거나 파괴하는 살인과는 구별되어야 한다.천연 살충제는 유칼립투스나 호주 티트리 [5]같은 식물에 의해 생산된다.
의료 용도
현재 구할 수 있는 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는 HIV, 헤르페스 바이러스,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그리고 A형 및 [6]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되도록 고안되었다.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를 복제하기 위해 사용하며, 이것은 숙주의 유기체의 세포에 해를 끼치지 않고 바이러스를 방해하는 약의 표적을 찾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게다가 백신과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은 바이러스 [7]변이 때문이다.
항바이러스제의 출현은 생물 의학 연구자들이 바이러스의 구조와 기능, 새로운 약을 찾기 위한 기술의 주요한 진보, 그리고 인간 면역체프를 다루기 위해 의료계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유기체의 유전과 분자 기능에 대한 매우 확장된 지식의 산물이다.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의 원인인 장간 바이러스(HIV).
첫 번째 실험용 항바이러스제는 주로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다루기 위해 196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전통적인 시행착오 약물 발견 방법을 사용하여 발견되었다.연구자들은 세포 배양물을 배양하여 표적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그리고 나서 그들은 바이러스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화학물질을 배양균에 도입하여 배양균의 바이러스 수치가 상승하는지 또는 하락하는지 관찰했다.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화학물질은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해 선택되었다.
이것은 매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정이었고, 대상 바이러스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잘 알지 못한 상태에서, 부작용이 거의 없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를 발견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았다.바이러스의 완전한 유전자 배열이 밝혀지기 시작한 1980년대에야 연구자들은 바이러스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정확히 어떤 화학물질이 그들의 생식 [8]주기를 방해하기 위해 필요한지를 배우기 시작했다.
항바이러스제 설계
항바이러스 타겟팅
현대 항바이러스제 설계의 이면에 있는 일반적인 생각은 바이러스성 단백질, 즉 단백질의 일부를 확인하는 것이다.이러한 "표적"들은 부작용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인간의 단백질이나 단백질의 일부와 달라야 한다.표적은 또한 바이러스의 많은 변종이나 심지어 같은 계열의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들 사이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약물은 광범위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연구자는 바이러스가 합성한 중요한 효소를 목표로 삼을 수 있지만, 환자가 합성하지 않은 중요한 효소를 목표로 삼을 수 있으며, 이는 균주 전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바이러스의 작동을 방해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볼 수 있다.
일단 대상이 식별되면, 적절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약품에서 또는 실제로 컴퓨터 지원 설계 프로그램으로 후보를 설계함으로써 후보 약품을 선택할 수 있다.
표적 단백질은 박테리아나 다른 종류의 세포에 표적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삽입함으로써 후보 치료법으로 실험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제조될 수 있다.그리고 나서 그 세포들은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해 배양되고, 그 세포들은 다양한 치료 후보자들에게 노출될 수 있고 "신속 스크리닝" 기술로 평가될 수 있다.
바이러스 라이프 사이클 단계별 접근법
바이러스는 게놈과 때로는 단백질로 만들어진 캡슐에 저장된 몇 개의 효소로 구성되어 있고, 때로는 지질층으로 덮여 있다.바이러스는 스스로 번식할 수 없고 대신 숙주세포를 정복해 복제품을 만들어 다음 세대를 만든다.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기 위해 이러한 "합리적인 약물 설계" 전략을 연구하고 있는 연구원들은 바이러스의 수명 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바이러스를 공격하려고 시도해왔다.버섯의 일부 종은 비슷한 상승효과를 [9]가진 여러 항바이러스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각종 버섯의 자실체나 여과액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광범위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화합물의 생산과 가용성은 [10]요원하다.바이러스의 라이프 사이클은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세부 사항은 다르지만, 모두 일반적인 패턴을 공유합니다.
- 호스트 셀로의 접속.
- 바이러스 유전자와 효소의 숙주 세포로의 방출.
- 숙주 세포 기계를 사용한 바이러스 성분 복제.
- 바이러스 성분을 완전한 바이러스 입자로 조립하는 것.
- 새로운 숙주 세포를 감염시키기 위한 바이러스 입자의 방출.
셀 입력 전
한 가지 항바이러스 전략은 바이러스가 표적 세포에 침투하는 능력을 방해하는 것이다.바이러스는 이것을 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숙주 세포의 표면에 있는 특정 "수용체" 분자에 결합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세포 안에서 바이러스가 "코팅되지 않고" 내용물을 방출하는 것으로 끝나게 됩니다.지질 외피를 가진 바이러스는 또한 그들의 외피를 표적 세포나 세포 안으로 운반하는 소포와 융합해야 한다.
바이러스 복제의 이 단계는 두 가지 방법으로 억제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관련 단백질(VAP)을 모방하여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는 약물을 사용한다.여기에는 VAP 항이형 항체, 수용체의 천연 배위자 및 항수용체 [clarification needed]항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세포 수용체를 모방하여 VAP에 결합하는 약제 사용.여기에는 항VAP 항체, 수용체 항이형 항체, 외부 수용체 및 합성 수용체 모방체가 포함됩니다.
이 약품 설계 전략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항이형 항체를 생성하는 과정은 부분적으로 시행착오이기 때문에, 적절한 분자가 만들어질 때까지 상대적으로 느린 과정이 될 수 있다.
진입억제제
바이러스 감염의 매우 초기 단계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부착되어 들어가는 바이러스 침입이다.HIV와 싸우기 위해 많은 "진입 금지" 또는 "진입 차단" 약들이 개발되고 있다.HIV는 '도움T세포'로 알려진 면역체계의 백혈구를 가장 많이 목표로 하고 있으며, 'CD4'와 'CCR5'로 불리는 T세포 표면 수용체를 통해 이들 표적 세포를 식별한다.HIV와 CD4 수용체의 결합을 방해하는 시도는 HIV가 도우미 T세포에 감염되는 것을 막지는 못했지만,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CCR5 수용체에 HIV가 결합하는 것은 더 효과적이기를 바란다.
HIV는 세포막과의 융합을 통해 세포에 감염되는데, 세포막은 CD4와 케모카인 수용체(세포 유형에 따라 확산) 두 개의 다른 세포 분자 참여자를 필요로 한다.이 바이러스/세포 융합을 차단하기 위한 접근법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하는 것을 막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진입 억제제 중 적어도 하나는 Enfuvirtide라고 불리는 생체 모방 펩타이드, 또는 브랜드명 Fuzeon으로 불리며 FDA 승인을 받아 한동안 사용되어 왔다.잠재적으로 효과적인 진입 차단제 또는 진입 금지제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 중 하나는 감염된 개인 내에서 바이러스의 확산을 잠재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염된 개인에서 감염되지 않은 개인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바이러스 진입을 차단하는 치료적 접근법의 한 가지 가능한 장점은 바이러스가 효소 프로토콜을 변형시키거나 진화시키는 것보다 바이러스가 이 치료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키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비코팅 억제제
코팅을 해제하는 억제제 또한 [11][12]조사되었다.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은 독감과 싸우기 위해 도입되었다.이러한 작용제는 침투 및 [13]비코팅에 작용합니다.
플레코나릴은 코팅을 해제하는 과정을 조절하는 바이러스 표면의 주머니를 차단함으로써 일반적인 감기를 일으키는 라이노바이러스에 대항한다.이 주머니는 설사, 뇌수막염, 결막염,[14] 뇌염을 일으킬 수 있는 대부분의 비염과 장바이러스 변종에서 비슷하다.
일부 과학자들은 일반적인 감기의 주요 원인인 라이노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달성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여러 종류의 라이노바이러스를 한 번에 결합하는 백신은 생쥐와 원숭이들의 항바이러스 항체를 자극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가 [15]2016년 보도했다.
라이노바이러스는 일반적인 감기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호흡기 합성 세포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그리고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들도 [16]라이노바이러스를 일으킬 수 있다.라이노바이러스는 또한 천식 발작을 악화시킨다.라이노바이러스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은 정도로 표류하지는 않는다.50개의 불활성화 라이노바이러스의 혼합물은 이들 모두에 [17]대해 어느 정도 중화 항체를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바이러스 합성 중
두 번째 접근법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한 후 바이러스 성분을 합성하는 과정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역문자 변환
이것을 하는 한 가지 방법은 RNA 또는 DNA의 구성 요소처럼 보이는 뉴클레오티드 또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개발하는 것이지만, 유사체가 통합되면 RNA 또는 DNA를 합성하는 효소를 비활성화하는 것이다.이 접근법은 "정상" 전사효소(DNA 대 RNA)보다 역 전사효소(RNA 대 DNA)의 억제와 더 일반적으로 관련이 있다.
첫 번째 성공적인 항바이러스제인 아시클로버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이며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적입니다.HIV 치료에 승인된 최초의 항바이러스제인 디도부딘(AZT)도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이다.
역전사효소의 작용에 대한 개선된 지식은 HIV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더 나은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들로 이어졌다.이 약물들 중 하나인 라미부딘은 복제 과정의 일부로 역전사효소를 사용하는 B형 간염을 치료하도록 승인되었다.연구자들은 더 나아가 뉴클레오시드처럼 보이지 않지만 역전사효소를 차단할 수 있는 억제제를 개발했다.
HIV 항바이러스제의 또 다른 표적은 RNase H이다.RNase H는 원래 바이러스 RNA에서 합성된 DNA를 분리하는 역전사효소의 구성요소이다.
인테그레이스
또 다른 표적은 합성된 DNA를 숙주 세포 게놈에 통합하는 인테그라아제이다.인테그라아제 억제제의 예로는 랄테그라비르, 엘비테그라비르 및 도루테그라비르가 있다.
문자 변환
일단 바이러스 게놈이 숙주 세포에서 작동하게 되면, 그것은 바이러스 단백질의 합성을 지시하는 메신저 RNA 분자를 생성한다.mRNA의 생산은 전사인자로 알려진 단백질에 의해 시작된다.몇몇 항바이러스제는 현재 바이러스 DNA에 대한 전사 인자의 부착을 막기 위해 고안되고 있다.
번역/안티센스
유전체학은 많은 항바이러스제의 표적을 찾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항감각" 분자에 기초한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약물에 대한 기초를 제공했습니다.이것들은 바이러스 게놈의 중요한 부분을 보완하는 분자로 설계된 DNA나 RNA의 세그먼트입니다.이러한 안티센스 세그먼트가 이러한 게놈의 작동을 방해합니다.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에 의한 에이즈 환자의 기회성 안구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포미비르센이라는 이름의 인광소산염 항바이러스제가 도입되어 다른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고 있다.연구에서 특히 가치 있는 것으로 증명된 안티센스 구조 유형은 모르포리노 안티센스입니다.
모르포리노올리고는 실험적으로 많은 바이러스 유형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번역/리보자임
그러나 유전체학에서 영감을 받은 또 다른 항바이러스 기술은 리보자임을 기반으로 하는 일련의 약물이다. 리보자임은 선택된 부위에서 바이러스 RNA나 DNA를 분리하는 효소이다.리보자임은 자연적인 과정으로 바이러스 제조 순서의 일부로 사용되지만, 이러한 합성 리보자임은 그들을 무력화시킬 부위에서 RNA와 DNA를 절단하도록 설계됩니다.
C형 간염에 대처하기 위한 리보자임 항바이러스제가 [23]제안되었고,[24] HIV에 대처하기 위해 리보자임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고 있다.이 아이디어의 흥미로운 변형은 맞춤형 리보자임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세포의 사용이다.이것은 바이러스 라이프 [citation needed]사이클의 다양한 단계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차단하는 특화된 단백질을 생성함으로써 병원균을 공격하기 위해 숙주에 주입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세포를 만들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부이다.
단백질 처리 및 타겟팅
번역 후 수정 또는 세포 내 바이러스 단백질 표적화 간섭도 가능하다.[25]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
어떤 바이러스들은 단백질 분해 효소로 알려진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바이러스 단백질 사슬을 분리하여 최종 구성으로 조립할 수 있다.HIV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라이프 [26]사이클의 단계에서 HIV를 공격하는 「단백질 억제제」를 발견하기 위해서, 상당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습니다.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는 1990년대에 사용 가능해졌고, 특이한 곳에 지방이 [27]축적되는 등 특이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지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개량된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가 현재 개발 중이다.
프로테아제 억제제 또한 자연에서 발견되었다.표고버섯(Lentinus [28]edodes)에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가 분리되었다.이것의 존재는 표고버섯의 시험관내 [29]항바이러스 활성을 설명할 수 있다.
장기 dsRNA 나선 타겟팅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전사 및 복제 중에 긴 dsRNA 나선을 생성합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비감염 포유류의 세포는 일반적으로 전사 중에 24개 미만의 염기쌍의 dsRNA 헬리스를 생성한다.DRACO(이중 가닥 RNA 활성화 카스파아제 올리고머라이저)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최초로 개발된 실험용 항바이러스제 그룹이다.세포 배양에서 DRACO는 뎅기 플라비바이러스, 아마파리, 타카리브 아레나바이러스, 구마 분야바이러스, H1N1 인플루엔자, 라이노바이러스를 포함한 많은 감염성 바이러스에 대해 광범위한 스펙트럼 유효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젖을 뗀 쥐의 인플루엔자 내 인플루엔자에 대해서도 추가로 유효성이 발견되었다.바이러스에 감염된 포유동물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빠른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한편, 감염되지 않은 세포는 손상되지 [30]않은 상태로 두는 것으로 보고되었다.DRACO는 세포 내 아포토시스 신호 전달 분자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동시에 여러 프로카스피제와 결합하는 아포토시스 경로의 마지막 단계 중 하나를 통해 세포 사멸에 영향을 미친다.프로카스파아제는 분열을 통해 트랜스활성화되고, 캐스케이드 내의 추가적인 카스파아제를 활성화하며, 다양한 세포단백질을 분해하여 세포를 죽인다.
어셈블리
릴리스 단계
바이러스의 라이프 사이클의 마지막 단계는 숙주 세포에서 완성된 바이러스가 방출되는 것이며, 이 단계는 또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자들에 의해 표적이 되었다.최근 인플루엔자 치료를 위해 도입된 자나미비르(Relenza)와 오셀타미비르(Tamiflu)라는 이름의 두 가지 약은 독감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뉴라미니다아제라는 이름의 분자를 차단해 바이러스 입자의 분비를 막고 다양한 독감 변종에서 일정한 것으로 보인다.
면역 체계 자극
바이러스를 직접 공격하는 것보다,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한 두 번째 범주의 전술은 인체의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공격하도록 장려하는 것을 포함한다.이런 종류의 항바이러스제는 특정 병원체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다양한 병원체를 공격한다.
이러한 종류의 약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하나는 감염된 [32]세포에서 바이러스 합성을 저해하는 간섭체이다.B형 간염과 [33]C형 간염의 표준 치료법의 일부로서 "인터페론 알파"라는 이름의 인간 간섭자가 잘 확립되어 있고, 다른 간섭자들도 다양한 질병의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접근법은 병원체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단백질 분자를 합성하고 면역체계의 다른 요소들에 의한 공격을 표시하는 것이다.일단 연구자들이 병원체에 대한 특정 표적을 식별하면, 그들은 그 표적을 연결하기 위해 동일한 양의 "단일" 항체를 합성할 수 있다.아기들의 [34]호흡기 합성세포 바이러스와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모노클로널 약물이 현재 판매되고 있으며, 감염된 사람들로부터 정제된 항체들도 [35]B형 간염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항바이러스제 내성
항바이러스 내성은 바이러스 유전자형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약물에 대한 감수성 감소로 정의될 수 있다.항바이러스 내성의 경우, [36]표적 바이러스에 대한 약물의 효과가 감소했거나 효과가 없습니다.이 문제는 [37]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한 거의 모든 특이하고 효과적인 항균제로 발전했기 때문에 항바이러스 치료에 있어 필연적으로 큰 장애물로 남아 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6개월 이상 누구에게나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H1N1)와 H3N2)와 최대 2개의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36]접종에 따라 다름)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매년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포괄적 보호는 예방접종이 최신이고 완전한지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그러나 백신은 예방적이며 환자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또, 이러한 백신의 이용은, 집단 면역의 효과를 막을 수 있는 재정적인 이유나 입지적인 이유에 근거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36]필요하게 된다.
CDC가 권장하는 미국에서 FDA가 승인한 세 가지 항바이러스 독감 약물은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 자나미비르(렐렌자), 페르아미비르(라피밥)[36]를 포함한다.인플루엔자 항바이러스 저항성은 종종 바이러스 표면의 뉴라미니다아제 및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의 변화에서 발생한다.현재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NAIs)는 인플루엔자 A와 B 모두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장 자주 처방되는 항바이러스제이다.그러나 뉴라미니다아제 단백질에 대한 돌연변이가 NAI [38]결합을 방해하면 항바이러스 내성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는 2009년 [36]H1N1 균주에 대한 오셀타미비르 내성을 담당한 H257Y 돌연변이에 나타났다.NA 억제제가 바이러스에 결합할 수 없는 것은 이 내성 돌연변이를 가진 바이러스의 변종이 자연 선택으로 인해 확산되도록 했다.또한 2009년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된 연구는 자나미비르(Relenza)를 포함한 추가적인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여 오셀타미비르(Tamiflu) 비축량의 증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이 연구결과는 2009년 H1N1 'Swine Flu' 뉴라미니다아제(NA)가 계절성 H1N1 [39]균주에 현재 널리 퍼져 있는 타미플루 내성(His274Tyr) 돌연변이를 획득한다고 가정한 이들 약물의 성능 평가에 기초했다.
항바이러스 내성 발생원
바이러스의 유전자 구성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바이러스가 현재 이용 가능한 [40]치료법에 내성을 갖게 할 수 있다.바이러스는 항바이러스 [36]치료 과정 전반에 걸쳐 자발적이거나 간헐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내성을 가질 수 있다.폐렴으로 입원한 면역 결핍 환자는 치료 중에 [36]오셀타미비르 내성이 생길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독감에 다른 사람에게 노출된 후, "노출 후 예방"을 위해 오셀타미비르를 투여받은 사람들은 또한 [41]내성의 위험이 더 높다.
항바이러스 내성 개발 메커니즘은 문제의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C형 간염이나 인플루엔자 A형 같은 RNA 바이러스는 RNA 중합효소의 교정활성이 [42]부족하기 때문에 게놈 복제 시 오류율이 높다.RNA 바이러스는 또한 일반적으로 30kb 미만의 작은 게놈 크기를 가지고 있어 높은 빈도의 [43]돌연변이를 지속할 수 있다.HPV나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같은 DNA 바이러스는 복제 중에 교정 기능을 제공하는 호스트 세포 복제 기계를 납치합니다.따라서 DNA 바이러스는 RNA [42]바이러스보다 오류가 적고, 일반적으로 덜 다양하며, 더 느리게 진화하고 있습니다.두 경우 모두 바이러스가 번식하는 속도에 따라 돌연변이의 가능성이 악화되어 연속 복제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감염 과정 동안 매일 수십억 개의 바이러스가 생산되며, 각각의 복제는 내성을 코드하는 돌연변이가 [44]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한다.
한 번에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체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종 중 일부는 항바이러스 내성을 [37]일으키는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쿼시스종 모델이라고 불리는 이 효과는 주어진 바이러스의 샘플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고, 바이러스가 새로운 [45]숙주로 퍼질 때마다 가장 적합한 바이러스 변종을 자연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또한, 재조합, 두 개의 다른 바이러스 변이체의 결합, 그리고 재촉진, 같은 세포 내의 바이러스들 사이의 바이러스 유전자 세그먼트의 교환은, 특히 [43]인플루엔자에 대한 내성에 역할을 한다.
항바이러스 내성은 헤르페스, HIV, B와 C형 간염,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 보고되었지만 항바이러스 내성은 모든 [37]바이러스에 대한 가능성이다.항바이러스 내성의 메커니즘은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항바이러스 내성 검출
CDC는 현재 FDA가 승인한 항바이러스 독감 [36]약물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국내 및 국제 감시를 수행한다.공중 보건 관계자들은 이 정보를 독감 항바이러스제 사용에 대한 현재 권고사항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WHO는 내성 바이러스의 잠재적 전염을 억제하고 향후 [46]진행을 막기 위해 심층적인 역학조사를 권고하고 있다.항바이러스 내성에 대한 새로운 치료와 검출 기술이 강화됨에 따라 항바이러스 [47]내성의 불가피한 출현에 대항하기 위한 전략 수립도 강화될 수 있다.
항바이러스 내성 병원체 치료 옵션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동안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치료는 바이러스 집단에서 내성을 선택하는 병목 현상을 일으키고, 저항성 균주가 [48]숙주를 다시 채울 가능성이 있습니다.따라서 바이러스 치료 메커니즘은 내성 바이러스의 선택을 설명해야 한다.
내성 바이러스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복합 치료법인데, 이것은 한 치료법에 여러 개의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다.이것은 칵테일의 항바이러스제가 바이러스 라이프 [49]사이클의 다른 단계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하나의 돌연변이가 항바이러스 저항을 일으킬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이것은 HIV와 같은 레트로바이러스에 자주 사용되지만,[50] 많은 연구에서 인플루엔자 A에 대한 효과도 입증되었다.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이 있는지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이를 통해 불필요한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하면 환자 결과가 개선되고 알려진 [48]돌연변이에 대한 일상적인 스캔 중에 새로운 저항 돌연변이를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는 현재 치료 시설에서 일관되게 시행되지 않았다.
예방접종
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가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지만, 백신은 병원균에 대한 선제적인 방어책이다.예방접종은 개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기 위해 소량의 전형적으로 비활성화되거나 약화된 항원물질의 도입(주사를 통한)을 수반한다.면역체계는 백혈구를 발달시켜 특별히 도입된 병원체와 싸움으로써 반응하며, 결과적으로 적응성 [51]면역이 생기게 된다.집단에서 백신을 접종하면 집단 면역이 생기고 바이러스 감염과 질병이 [52]현저하게 감소하며 집단 건강이 크게 개선된다.
예방접종 방침
미국의 예방접종 정책은 공공 및 민간 예방접종 요건으로 구성된다.예를 들어 공립학교는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DTaP),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MMR), 수두(닭머리), B형 간염, 로타바이러스, 소아마비 등과 같은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 대한 백신 접종을 요구한다.민간 기관은 매년 독감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질병통제예방센터는 신생아에 대한 정기적인 예방접종을 통해 매년 약 4만2천명의 사망자와 2천만건의 질병 사례를 예방하고 약 136억 [53]달러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예방접종 논란
그들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는 백신 접종을 불완전하게 하는 많은 오명이 존재한다.예방접종에서 이러한 "틈새"는 불필요한 감염, 사망, 그리고 [54]비용을 초래한다.예방접종이 불완전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 백신은 다른 치료법과 마찬가지로 일부 개인에게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백신은 미국 [55]질병통제예방센터, [56]미국 의학연구소, 영국 국민건강서비스와[57] 같은 국가 보건기관에서 밝힌 바와 같이 자폐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 집단 면역의 결과로 예방 가능한 질병의 낮은 비율은 또한 백신이 불필요해 보이게 하고 많은 백신을 접종하지 않게 만든다.[58][59]
비록 미국 소아과학회가 보편적 [60]예방접종을 지지하지만, 그들은 의사들이 충분한 조언 후 그들의 자녀에게 예방접종을 거부하는 것을 존중해야 하며 아이가 심각한 감염의 위험에 직면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부모들은 또한 공립학교 백신 접종을 피하기 위해 종교적인 이유를 들 수 있지만, 이것은 집단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바이러스 [52]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의
백신은 몸의 면역 체계를 강화시켜 생물 세포 밖의 "완전한 입자" 단계에서 바이러스를 더 잘 공격합니다.백신 개발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에는 바이러스의 약화된 버전(살아있는 약화된 버전) 또는 비활성화된 버전(살해된 버전)이 포함됩니다.매우 드문 경우지만, 약화된 병원균은 병원성 형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불활성화 백신은 그들이 맞닥뜨린 질병을 도입할 가능성이 없다; 반면에, 면역 반응이 항상 일어나는 것은 아닐 수도 있고 몇 번의 복용이 필요한 단명할 수도 있다.최근에는 병원체의 항원성 부분만을 포함하는 서브유닛 백신이 개발되고 있다.이것은 백신을 더 정밀하게 만들지만 면역학적 기억이 올바른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61]보장은 없다.
백신은 안정적인 바이러스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이미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는데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또한 인플루엔자(매년 업데이트되는 백신)와 HIV와 같은 빠르게 변이되는 바이러스에 대해 성공적으로 전개하는 것은 어렵다.항바이러스제는 이러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HIV 예방을 위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HPTN 052 연구 및 PARTNER 연구에 따르면 HIV와 함께 살고 있는 사람의 HIV 바이러스가 6개월 [62][63]이상 검출되지 않았을 때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전염을 억제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중요한 증거가 있습니다.
공공 정책
사용 및 배포
바이러스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지침은 자주 변경되며 품질 [64]관리를 제한합니다.심지어 의사가 노년 인플루엔자 환자를 진단할 때에도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65]사용은 적을 수 있다.항바이러스 치료법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면 특히 노인 의학에서 환자 치료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또한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 보건부(LHD)에서는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 [66]치료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시간에 민감한 치료법으로는 지연이 치료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전반적으로 감염 관리 및 관리에 관한 국가 지침은 관리를 표준화하고 의료 종사자와 환자 안전을 향상시킵니다.H1N1 바이러스로 인한 2009년 독감 대유행 당시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제공한 가이드라인과 같은 가이드라인은 무엇보다도 항바이러스 치료요법, 치료협조를 위한 임상평가 알고리즘 및 피폭자에 [67]대한 항바이러스 화학영양성 가이드라인을 권고하고 있다.공중 보건 [68]비상시 약사와 약국의 역할 또한 대중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확대되었다.
비축
공중 보건 비상 대비 이니셔티브는 CDC가 공중 보건 대비 및 [69]대응 사무소를 통해 관리한다.이 기금은 유행성 인플루엔자를 포함한 공중 보건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지역사회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CDC에 의해서도 관리되는 전략 국가 비축물자(SNS)는 그러한 [70]비상시에 사용하기 위한 대량의 의약품과 물자로 구성되어 있다.항바이러스제 비축량은 공중 보건 비상시에 항바이러스제 부족에 대비한다.2009-2010년 신종플루 대유행 당시 지역 보건부의 SNS 사용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 항바이러스 [66]계획에 차이가 있었다.예를 들어, SNS로부터 항바이러스제를 제공받은 지역 보건부서는 치료제 사용에 대한 투명한 지침이 없었다.이러한 격차로 인해 사용 및 향후 가용성에 대한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어려워져 치료가 지연되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항레트로바이러스제(특히 HIV용 HAART)
- CRISPR-Cas13[71]
- CCR5 수용체 길항제(HIV용) 발견 및 개발
- 모노클로널항체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 항바이러스제 목록
- 비루치드
- 항프리온제 및 아스테미졸
- NS5A 억제제 발견 및 개발
- COVID-19 약물 용도 변경 연구
레퍼런스
- ^ "Medmicro Chapter 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ugust 2000. Retrieved 21 February 2009.
- ^ Rick Daniels; Leslie H. Nicoll. "Pharmacology – Nursing Management". Contemporary Medical-Surgical Nursing. Cengage Learning, 2011. p. 397.
- ^ Kisung Ko, Yoram Tekoah, Pauline M. Rudd, David J. Harvey, Raymond A. Dwek, Sergei Spitsin, Cathleen A. Hanlon, Charles Rupprecht, Bernhard Dietzschold, Maxim Golovkin, and Hilary Koprowski (2003). "Function and glycosylation of plant-derived antiviral monoclonal antibody". PNAS. 100 (13): 8013–18. Bibcode:2003PNAS..100.8013K. doi:10.1073/pnas.0832472100. PMC 164704. PMID 12799460.
{{cite journal}}
: CS1 maint: 작성자 파라미터 사용(링크) - ^ Schnitzler, P; Schön, K; Reichling, J (2001). "Antiviral activity of Australian tea tree oil and eucalyptus oil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in cell culture". Die Pharmazie. 56 (4): 343–47. PMID 11338678.
- ^ Kausar S, Said Khan F, Ishaq Mujeeb Ur Rehman M, Akram M, Riaz M, Rasool G, Hamid Khan A, Saleem I, Shamim S, Malik A (2021). "A review: Mechanism of action of antiviral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athology and Pharmacology. 35: 20587384211002621. doi:10.1177/20587384211002621. PMC 7975490. PMID 33726557.
- ^ Yin H, Jiang N, Shi W, Chi X, Liu S, Chen JL, Wang S (February 2021).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fluenza Antiviral Drugs".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6 (4). doi:10.3390/molecules26040810. PMC 7913928. PMID 33557246.
- ^ Bobrowski T, Melo-Filho CC, Korn D, Alves VM, Popov KI, Auerbach S, Schmitt C, Moorman NJ, Muratov EN, Tropsha A (September 2020). "Learning from history: do not flatten the curve of antiviral research!". Drug Discovery Today. 25 (9): 1604–1613. doi:10.1016/j.drudis.2020.07.008. PMC 7361119. PMID 32679173.
- ^ Lindequist, Ulrike; Niedermeyer, Timo H. J.; Jülich, Wolf-Dieter (2005). "The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Mushroom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 (3): 285–99. doi:10.1093/ecam/neh107. PMC 1193547. PMID 16136207.
- ^ Pradeep, Prabin; Manju, Vidya; Ahsan, Mohammad Feraz (2019), Agrawal, Dinesh Chandra; Dhanasekaran, Muralikrishnan (eds.), "Antiviral Potency of Mushroom Constituents", Medicinal Mushrooms: Recent Progres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Springer Singapore, pp. 275–97, doi:10.1007/978-981-13-6382-5_10, ISBN 9789811363825, S2CID 181538245
- ^ Bishop NE (1998). "Examination of potential inhibitors of hepatitis A virus uncoating". Intervirology. 41 (6): 261–71. doi:10.1159/000024948. PMID 10325536. S2CID 21222121.
- ^ Almela MJ, González ME, Carrasco L (May 1991). "Inhibitors of poliovirus uncoating efficiently block the early membrane permeabilization induced by virus particles". J. Virol. 65 (5): 2572–77. doi:10.1128/JVI.65.5.2572-2577.1991. PMC 240614. PMID 1850030.
- ^ Beringer, Paul; Troy, David A.; Remington, Joseph P. (2006).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Hagerstwo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 1419. ISBN 978-0-7817-4673-1.
- ^ Daniel C. Pevear; Tina M. Tull; Martin E. Seipel (1999). "Activity of Pleconaril against Enteroviruses".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Vol. 43, no. 9. pp. 2109–2115. doi:10.1128/AAC.43.9.2109. PMC 89431. PMID 10471549.
- ^ Lee, S.; Nguyen, M.; Currier, M. (2016). "A polyvalent inactivated rhinovirus vaccine is broadly immunogenic in rhesus macaques". Nature Communication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