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미비르센

Fomivirsen
포미비르센
Fomivirsen composite.png
임상자료
AHFS/Drugs.com마이크로메덱스 상세 소비자 정보
임신
, 카테고리
  • AU: B2
경로:
행정
인트라비트리얼 주사
ATC 코드
법적현황
법적현황
  • 인출됨
식별자
CAS 번호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 없는
유니
케그
켐벨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공식C204H263N63O114P20S20
어금질량6682.35 g·190−1
☒NcheckY (이게 뭐야?) (iii)

포미비르센(브랜드명 비트라베네)은 에이즈 환자를 포함한 면역항암증 환자의 시토메갈로바이러스 레틴염(CMV) 치료에 사용되던 항산화 항바이러스제다. 그것은 안구 주사를 통해 투여되었다.[1]

NIH에서 발견되었고, 처음에는 이시스 제약사에 의해 면허가 취득되었고, 이후 노바티스에게 면허가 주어졌다.[2] 1998년 8월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MV 허가를 받았으며, 최초로 승인된 항응고제였다.[3]

노바티스는 2002년[4] EU와 2006년 미국에서 마케팅 허가를 철회했다.[5]은 에이즈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CMV로 인해 처음 발견되어 개발되었을 때 CMV를 치료하기 위한 미충족 약의 필요성이 높았던 반면, HAART의 개발로 CMV의 발생 건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철회되었다.[2]

항이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antisense allogonucleotide) - 인광로티오테이트 연계(에 의한 분해에 내성이 있음)를 가진 합성 2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gionucleotide)이며, 다음 순서를 가지고 있다.

  • 5'-GCG TTT GCT CTT CTT CTT GCG-3'

[6] CMV 단백질 IE2를 인코딩하는 키 CMV 유전자 UL123의 템플릿 부분에서 필사된 mRNA의 보완적 순서에 결합하여 바이러스 mRNA의 번역을 차단한다. 이것은 FDA가 승인한 최초의 항산화 항바이러스였다.[7]

참조

  1. ^ Katzung BG (2006).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10th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p. 817. ISBN 978-0-07-145153-6.
  2. ^ a b Bubela T; McCabe C (July 2014). "Value-engineered translation: developing biotherapeutics that align with health-system needs". Th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0 (10 Spec No): E3. PMID 25830190.
  3. ^ Jiang K (February 19, 2013). "Biotech comes to its 'antisenses' after hard-won drug approval : Spoonful of Medicine". Nature Medicine: Spoonful of Medicine Blog.
  4. ^ "Public Statement on Vitravene (fomiversen): Withdrawal of the Marketing Authorization in the European Union" (PDF). EMA. August 6, 2002.
  5. ^ "Initiating Coverage: Rexahn Pharmaceuticals (RNN)" (PDF). LifeSci Capital. May 23, 2016.
  6. ^ Mulamba GB, Hu A, Azad RF, Anderson KP, Coen DM (April 1998). "Human cytomegalovirus mutant with sequence-dependent resistance to the phosphorothioate oligonucleotide fomivirsen (ISIS 2922)".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2 (4): 971–3. doi:10.1128/AAC.42.4.971. PMC 105584. PMID 9559825.
  7. ^ Roush W (May 1997). "Antisense aims for a renaissance". Science. 276 (5316): 1192–3. doi:10.1126/science.276.5316.1192. PMID 9182327. S2CID 6983051.

추가 읽기

  • Grillone LR, Lanz R (April 2001). "Fomivirsen". Drugs of Today. 37 (4): 245–255. doi:10.1358/dot.2001.37.4.620590. PMID 12768225.
  • Geary RS, Henry SP, Grillone LR (2002). "Fomivirsen: clinical pharmacology and potential drug interactions". Clinical Pharmacokinetics. 41 (4): 255–60. doi:10.2165/00003088-200241040-00002. PMID 11978144.
  • Vitravene Study Group (April 2002). "Randomized dose-comparison studies of intravitreous fomivirsen for treatment of cytomegalovirus retinitis that has reactivated or is persistently active despite other therapies in patients with AIDS".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33 (4): 475–83. doi:10.1016/S0002-9394(02)01326-0. PMID 11931781.
  • Roehr B (October 1998). "Fomivirsen approved for CMV retiniti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hysicians in AIDS Care. 4 (10): 14–6. PMID 1136595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