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차량(전기자동차의 형태도 모두 포함하나, 이하에서는 "전기차"로 통칭한다)을 말한다.In general, an electric vehicle (EV) does not use petroleum fuel and an engine, but refers to a vehicle (including all types of electric vehicle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lectric vehicle") using an electric battery and an electric motor. .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차량을 구동시키는 전기차는 가솔린 차량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했다가 최근 공해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재조명되어 다시 개발되었다.Electric vehicles, which drive a vehicle by rotating a motor with electricity accumulated in the battery, were manufactured before gasoline vehicles, but were not put to practical use due to problems such as the heavy weight of the battery and charging time. was developed
최근 들어 고유가와 엄격해진 배기가스 규제 강화가 전기차 개발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전기차의 보급에 따른 충전 인프라 관련 비즈니스를 둘러싼 경쟁도 빠르게 전개되고 있으며, 충전소도 크게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cently, high oil prices and stricter exhaust gas regulations are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As a result, competition over the charging infrastructure-related business following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is rapidly developing, and the number of charging stations i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더욱이, 전기차의 충전 형태는 충전소뿐만 아니라 각 가정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다.Moreover, the infrastructure can be built so that the charging form of electric vehicles can be made not only at charging stations but also at each home.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기차용 충전장치의 경우 전기차 급속 충전방식은 직류를 사용하는 차데모와 콤보, 그리고 교류를 사용하는 3상 방식으로 대분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국제 표준 규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충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전기차 제조사 별로 AC단상 5핀, AC3상 7핀, DC차데모 10핀 및 DC콤보 7핀 등이 이용된다.In the case of charging devices for electric vehicles that are generally used, electric vehicle fast charging methods are mostly divided into CHADEMO and COMBO using direct current, and three-phase method using alternating current. I am using the charging method. That is, AC single-phase 5-pin, AC 3-phase 7-pin, DC car demo 10-pin, and DC combo 7-pin are used for each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전기차 충전기 종류로는, 전기차 충전기는 홈충전기 저속과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의 두 가지 타입이 있으며 급속충전기는 약 30분만에 충전이 가능하다.As for electric vehicle chargers, there are two type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home charger low-speed, fast charger, and slow charger. Fast chargers can be charged in about 30 minutes.
상기 급속충전기는 한전 AC전원을 DC변환 또는 신재생에너지 DC전원을 DC/DC로 변환하여 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에 필요전력을 충전하며, 정류기 및 DC/DC 컨버터가 외부 충전시스템에 분리되어 있어 충전속도가 빠르다. The rapid charger converts KEPCO AC power to DC or converts renewable energy DC power to DC/DC to charge the necessary power to the battery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rectifier and DC/DC converter ar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charging system to charge speed is fast
상기 완속충전기는 정류기와 DC/DC 컨버터 가 자동차에 내장(On Board Charger)되어 전력변화과정이 발생 하고 자동차는 구조적으로 소용량 변환만 가능하므로 충전속도가 느리다.The slow charger has a rectifier and a DC/DC converter built into the vehicle (On Board Charger) to generate a power change process, and the vehicle is structurally only capable of small-capacity conversion, so the charging speed is slow.
특히, 전기차 충전에 대한 규격이 단일화 되지 않아 현재 양산되고 있는 전기차도 충전소켓의 규격이 상이하고 호환성에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standar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is not unified, electric vehicles currently being mass-produced have different charging socket specifications and there is a problem in compatibility.
충전소켓은 FAST DC(CHAdeMO), FAST DC(DC Combo type 1), FAST AC 등 3가지로 구분된다.The charging socke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FAST DC (CHAdeMO), FAST DC (DC Combo type 1), and FAST AC.
모든 입력전원은 3상 380AC를 이용하며 FAST DC 방식은 DC 50~450V, 110A, 50kW 를 출력으로 사용하고, FAST AC는 380V, 63A, 43kW 를 출력으로 사용한다.All input power uses 3-phase 380AC, FAST DC uses DC 50~450V, 110A, 50kW as output, and FAST AC uses 380V, 63A, 43kW as output.
24kWh 배터리 기준으로 모두 15~30분의 충전시간이 소요되며 전기차의 각 모델별로 적용하고 있는 충전소켓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통신규격 또한 상이하다.Based on a 24kWh battery, it takes 15 to 30 minutes to charge all of them, and not only the charging sockets applied to each model of electric vehicle are different, but also the communication standards are different.
예를 들어 전기차의 통신규격은 주로 일본(충전기 규격 CHAdeMO), 중국(GB/T),미국(Tesla) 에서는 CAN 통신방식을 사용하며, 유럽(COMBO)의 경우 PLC 통신방식을 주로 사용한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electric vehicles mainly uses CAN communication method in Japan (charger standard CHAdeMO), China (GB/T), and the United States (Tesla), and PLC communication method is mainly used in Europe (COMBO).
결국, 단일화된 충전기 규격이 적용되지 않으면 충전소를 개설 할 때에도 하나의 충전기에 3가지 충전소켓과 인버터, 컨버터 등의 추가 설비를 모두 구성해야 하고, 또한, 충전기의 규격을 통일하는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또한 호환되도록 해야 하므로 충전소 및 충전기의 인프라를 구축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end, if a unified charger standard is not applied, even when opening a charging station, all three charging sockets, inverters, and converters must be configured in one charger. In addition, in addition to unifying charger specifications, data Since the communication protocol for the exchange must also be compatib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uild the infrastructure of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charger.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기 커넥터 및 차량측 소켓의 형태를 표시한 도이고,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harger connector and a vehicle-side socket of a general electric vehicle charger,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 어댑터를 구비한 충전기의 전체 구성도이고,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er equipped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dapter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전기차 충전 어댑터의 전후면 구성도이고,3 and 4 are front and rear configuration view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dapter in FIG. 2;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N-PLC 데이터 통신 호환 충전 어댑터의 구성도이고,5 and 6 are block diagrams of a CAN-PLC data communication compatible charging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에서 콤보소켓 및 EVSE 콘트롤러의 상세 회로도이고,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combo socket and the EVSE controller in FIG. 5;
도 8은 GB/T방식의 차량용소켓 결합부의 구성도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B/T type vehicle socket coupling part;
도 9은 GB/T통신모듈의 전체회로도이고,9 is an overall circuit diagram of the GB/T communication module,
도 10 은 GBT통신모듈의 PLC통신보드 및 CAN통신 제어보드 구성도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LC communication board and the CAN communication control board of the GBT communication module.
도 11 내지 도 13는 충전모드 3의 각 연결모드 A 내지 C의 회로구성도11 to 13 are circuit diagrams of each connection mode A to C of charging mode 3;
GB/T의 CAN통신모듈의 회로도이고, It is a circuit diagram of CAN communication module of GB/T,
도 14는 충전모드 2의 연결모드B를 사용하는 제어 조향회로의 개략 구성도이고,1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steering circuit using connection mode B of charging mode 2;
도 15는 충전모드 1의 연결모드 B가 있는 일반적인 제어 조향회로의 개략도이다.1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eneral control steering circuit with connection mode B of charging mode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충전커넥터 200 : 충전용 어댑터100: charging connector 200: charging adapter
201 : 차량용소켓 결합부 202a : DC전원 소켓201: vehicle socket coupling part 202a: DC power socket
202b : AC전원 소켓 203 : 충전커넥터 결합부202b: AC power socket 203: charging connector coupling part
203a : DC전원 결합핀 203b : ACC전원 결합핀 203a: DC power coupling pin 203b: ACC power coupling pin
250 : PCL-CAN통신부 251 : PLC통신부250: PCL-CAN communication unit 251: PLC communication unit
252 : CAN통신부 253 EVSE콘트롤러252: CAN communication unit 253 EVSE controller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CAN-PLC 호환 충전 어댑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AN-PLC compatible charging adap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차량용 전기충전소의 충전기에 고정되고 차량까지 이동하기 위한 충전케이블 끝단에 결합된 충전커넥터(100)와, 상기 충전커넥터(100)의 끝단에 결합되어 전기자동차의 다양한 차량용소켓과 호환 및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어댑터(200)와, 상기 충전용 어댑터(200)를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도록 차량에 결합된 차량용소켓(300)으로 구성된다.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 charging connector 100 fixed to a charge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coupled to an end of a charging cable for moving to a vehicle,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 coupled to the end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dapter 200 that is compatible with various vehicle sockets of the electric vehicle and supplies charging power, and the vehicle socket coupled to the vehicle to receive charging power through the charging adapter 200 (30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용 어댑터(200)는 상기 충전커넥터(100)와 결합하기 위한 충전커넥터 결합부(201)는 DC전원 소켓(202a) 및 AC전원 소켓(202b)을 구비하여, 상기 충전커넥터(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AC 또는 DC 전원 모두 호환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charging adapter 200 includes a charging connector coupling part 201 for coupling with the charging connector 100 including a DC power socket 202a and an AC power socket 202b,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connector 100 is compatible with both AC or DC pow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본체(200)의 전단에 차량용 소켓(300)과 결합하기 위한 차량용소켓 결합부(203)가 구비되는데, 상기 차량용소켓 결합부(203)는 DC전원 결합핀(203a) 및 AC전원 결합핀(203b)을 구비하여, 상기 충전커넥터(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AC 또는 DC 전원 모두 호환되도록 한다.4, a vehicle socket coupling part 203 for coupling with the vehicle socket 30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adapter body 200, and the vehicle socket coupling part 203 is a DC power coupling pin 203a. ) and an AC power coupling pin 203b, so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connector 100 is compatible with both AC or DC power.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CAN-PLC 호환 충전 어댑터의 구성도로서, 상기 어댑터본체(200)에는 전기충전 스테이션의 충전플러그에 결합하여 전기자동차의 다양한 충전소켓과의 통신을 위한 CAN-PLC통신부(250)가 내장되며, 상기 CAN-PLC통신부(250)는 전기충전 스테이션 측의 충전커넥터 결합부(203)를 통한 PLC통신을 위한 PLC통신부(251)와, 상기 전기자동차 측 차량용소켓 결합부(201)를 통해 CAN 통신을 위한 CAN통신부(252)로 구성된다.5 is a block diagram of a CAN-PLC compatible charging adap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er body 200 is coupled to a charging plug of an electric charging station for communication with various charging sockets of an electric vehicle. A CAN-PLC communication unit 250 is built-in, and the CAN-PLC communication unit 250 includes a PLC communication unit 251 for PLC communication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coupling unit 203 on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side, and the electric vehicle side vehicle. It is composed of a CAN communication unit 252 for CAN communication through the socket coupling unit 201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크게 충전방식, 연결방식, 통신 및 제어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충전방식은 접촉식(Conductive), 유도식(Inductive) 충전방식 그리고 배터리 교환방식(Battery Swapping)으로 구분 가능하다. 전기적 연결 장치는 주유기에 해당하는 커넥터(Connector) 및 주유구에 해당하며 전기차에 장착되는 인렛(Inlet)이 있으며 단상 및 삼상 교류용, 직류 전용 그리고 교류 및 직류가 함께 있는 유럽식 콤보(Combo)형으로 구분된다. 통신방식은 크게 중국, 일본에서 사용하는 CAN 통신방식과 미국, 유럽에서 선호하는 PLC 통신방식이 있다.First,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can be broadly classified according to a charging method, a connection method, and a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Charging methods can be divided into conductive, inductive charging, and battery swapp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rresponds to a connector and a fuel port that correspond to a fueling machine, and has an inlet that is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do. Communication method is largely divided into CAN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China and Japan, and PLC communication method preferred in USA and Europ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본체(200)에 구비된 CAN-PLC통신부(250)은 전기충전 스테이션의 콤보방식 충전커넥터 결합부(203)를 통해 전기충전 스테이션과 통신을 하며, 상기 전기차 측의 차량용소켓 결합부(201)로 공급하는 전원을 감시한다.5, the CAN-PLC communication unit 250 provided in the adapter body 200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through the combo type charging connector coupling unit 203 of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and the electric vehicle side The power supplied to the vehicle socket coupling unit 201 is monitored.
상기 CAN-PLC통신부(25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PCL통신부(251)의 신호 프로토콜은 AC입력전원 공급장치 신호가 존재하며, 전기차가 근접회로를 통해 차량용소켓 결합부(201)의 접속 또는 탈거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파일럿(CP) 기능을 시작한다. If the CAN-PLC communication unit 25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ignal protocol of the PCL communication unit 251 includes an AC input power supply signal, and the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socket coupling unit 201 through the proximity circuit. Or, it detects the detachment state and starts the control pilot (CP) function.
즉, 상기 제어파일럿 기능은 전기충전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가 전기차의 플러그인 상태를 감지하고, 전원공급 준비 상태를 표시하며, 전기차 벤틸레이션(Ventilation) 요구가 결정되며,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전기차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in the control pilot function,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charging system detects the plug-in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displays the power supply ready state, determines the electric vehicle ventilation request, and convert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perform the supply function.
전기차는 상기 차량용소켓 결합부(20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시작함에 따라 상기 전기차와 전원공급장치는 충전이 안정적으로 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 한다. 이와 같은 충전상태가 전기차에 의해 결정되는 대로 계속되며, 전기차에서 상기 차량용소켓 결합부(201)가 분리될 경우 이를 감지하게 된다.As the electric vehicle starts receiving power through the vehicle socket coupling unit 201,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ower supply device monitor whether charging is stably. This charging state continues as determined by the electric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socket coupling part 201 is disconnected from the electric vehicle, it is detected.
도 7을 참조하여 콤보방식 전기차의 충전커넥터 결합부(203)의 구체적인 사용은 다음 [표 1]과 같다.The specific use of the charging connector coupling part 203 of the combo-type electric vehicle with reference to FIG. 7 is shown in Table 1 below.
PINPIN
|
Function Function
|
L1L1
|
|
Line 1Line 1
|
single-phase ACsingle-phase AC
|
NN
|
NeutralNeutral
|
single-phase ACsingle-phase AC
|
CPCP
|
Control pilotcontrol pilot
|
post-insertion signalingpost-insertion signaling
|
PPPP
|
Proximity pilotProximity pilot
|
pre-insertion signalingpre-insertion signaling
|
PEPE
|
Protective earthprotective earth
|
full-current protective earthling systemfull-current protective earthling system
|
CCS Combo1 extension adds two extra high-current DC pins underneath, and the two Alternating Current(AC) pins for Neutral and Line1 are not populatedCCS Combo1 extension adds two extra high-current DC pins underneath, and the two Alternating Current(AC) pins for Neutral and Line1 are not populated
|
충전 시 단락, 과전압, 과전류 및 과온 방지 기능을 갖추고 있다. CAN-Bus 인터페이스는 충전 흐름, 연동 연결 및 모든 분리 또는 오류 메시지가 포함된 메시지를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를 통해 VCU(차량 컨트롤 유닛)에 전달한다.It has short-circuit, over-voltage, over-current and over-temperature protection during charging. The CAN-Bus interface communicates messages with charge flow, interlock connections and any disconnect or error messages to the VCU (Vehicle Control Unit) via the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도 8은 GB/T방식의 차량용소켓 결합부(201)의 구성도이고, 도 9는 GB/T 통신모듈의 전체회로 구성도로서, 각 부의 명칭 및 기능은 다음 [표 2]와 같다.8 is a block diagram of the GB/T type vehicle socket coupling unit 201, and FIG. 9 is an overall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GB/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names and functions of each unit are as follows [Table 2].
PinPin
|
DesignationDesignation
|
FunctionFunction
|
S+S+
|
CAN-HighCAN-High
|
CAN Bus: High level communicationCAN Bus: High level communication
|
S-S-
|
CAN-LowCAN-Low
|
CC1 CC1
|
| Connection Check 1Connection Check 1
|
EV testing of the charging cable connectionEV testing of the charging cable connection
|
CC2 CC2
|
| Connection Check 2Connection Check 2
|
EVSE testing of the charging cable connectionEVSE testing of the charging cable connection
|
A+A+
|
Auxiliary Circuit +Auxiliary Circuit +
|
EVSE voltage supply* for EVCCEVSE voltage supply* for EVCC
|
A-A-
|
Auxiliary Circuit-Auxiliary Circuit-
|
EVSE voltage supply* for EVCCEVSE voltage supply* for EVCC
|
도 10은 GBT통신모듈의 PLC통신보드 및 CAN통신 제어보드 구성도로서, PLC통신 및 CAN통신을 '+C','-C'단자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10 is a block diagram of the PLC communication board and the CAN communication control board of the GBT communication module, and enables communication through the '+C' and '-C' terminals for PLC communication and CAN communication.
각 단자의 구체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function of each terminal is as follows.
(1) +C : PLC Modem B CAN H(1) +C : PLC Modem B CAN H
(2) -C : PLC Modem B CAN L(2) -C : PLC Modem B CAN L
(3) PIN1 : GB/T 충전건 PIN1(14), 회색 (0.75SQ) GB/T LOCK DI INPUT(3) PIN1 : GB/T Rechargeable Gun PIN1(14), Gray (0.75SQ) GB/T LOCK DI INPUT
(4) PIN2 : GB/T 충전건 PIN2(15), 흑 (0. 75SQ) GB/T LOCK DI GND(4) PIN2 : GB/T Rechargeable Gun PIN2(15), Black (0.75SQ) GB/T LOCK DI GND
(5) S+ : GB/T 충전건 S+(4) CAN, 파랑 (0.75SQ)(5) S+: GB/T charging gun S+(4) CAN, blue (0.75SQ)
(6) S- : GB/T 충전건 S-(5) CAN, 녹색 (0.75SQ)(6) S-: GB/T charging gun S-(5) CAN, green (0.75SQ)
도 11 내지 도 13은 충전모드 3의 각 연결모드 A 내지 C의 회로구성도로서, 전기 차량의 충전을 위해 충전모드 3을 채택할 때는 연결모드 A(도 11), 연결모드 B(도 12) 및 연결모드 C(도 13)으로 표시된 일반적인 제어 조향 회로를 사용하여 충전 연결 확인 및 정격 곡선 파라미터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 이 회로는 전원 공급용 제어 장치, 접촉기 K1 및 K2(하나만 설정될 수 있음), 저항 R1, R2, R3 및 RC, 다이오드 D1, 스위치 S1, S2, S3, 차량본체 충전기 및 차량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이 중 차량제어장치는 차량본체 충전기 또는 기타 충전기에 통합될 수 있다. 11 to 13 are circuit diagrams of each connection mode A to C of charging mode 3, and when charging mode 3 is adopte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onnection mode A (FIG. 11), connection mode B (FIG. 12) and a general control steering circuit denoted by connection mode C (FIG. 13) is used to confirm the charging connection and to determine the rating curve parameters. This circu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for power supply, contactors K1 and K2 (only one can be set), resistors R1, R2, R3 and RC, diode D1, switches S1, S2, S3, vehicle body charger and vehicle control unit. , of which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be integrated into the vehicle body charger or other chargers.
저항 RC는 차량 플러그에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 S1은 전원 장치의 내부 스위치다. 스위치 S2는 차량의 내부 스위치로서, 차량 커넥터가 전원 공급 커플러와 완전히 연결된 후 자체 테스트를 수행한 후 차량 뼈 충전기가 파울프리스 상태이고 배터리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S2가 닫힌다(차량이 "충전 요청" 또는 "충전 제어"의 기능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이 동시에 "충전 요청" 또는 "충전 가능" 상태에 있는지 만족해야 한다. 스위치 S3는 차량 플러그의 내부 정상적으로 닫힌 스위치로서, 플러그의 누름 버튼(기계 잠금 장치 트리거용)과 연결되며, 기계 잠금 기능을 완화하기 위해 버튼을 누를 때 S3는 동시에 차단 상태에 있다. 충전 전류가 16A 이하인 차량의 경우(구성된 차량본체 충전기의 입력에 따라) 스위치 S2는 제어-스티어링 회로에서도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부록의 기능 및 제어 논리 분석은 스위치 S2로 구성된 제어 조향 회로를 기반으로 하며, 제어 조향 회로는 스위치 S2가 정상적으로 닫힌 상태와 동일하다.Resistor RC is fixed to the vehicle plug. Switch S1 is an internal switch of the power supply. Switch S2 is the vehicle's internal switch, after the vehicle connector is fully connected with the power supply coupler and after performing a self-test, if the vehicle bone charger is foul-free and the battery is in a chargeable state, S2 is closed (when the vehicle "requests to charge" " or "Charge control"),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request charge" or "chargeable" state at the same time. Switch S3 is an internal normally closed switch of the vehicle plug, connected with the push button of the plug (for triggering the mechanical lock), when the button is pressed to relieve the mechanical lock function, S3 is in the blocking state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a vehicle with a charging current of 16A or les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nfigured vehicle body charger), the switch S2 may not be configured even in the control-steering circuit. The functional and control logic analysis of this appendix is based on a control steering circuit configured with switch S2, which is the same as with switch S2 normally closed.
도 14는 충전모드 2의 연결구성도로서, 충전 모드 2의 연결 모드 B를 전기 차량에 충전하기 위해 채택한 경우, 제어 조향 회로를 사용하여 충전 연결 세트에 대한 연결 확인과 정격 전류의 파라미터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게 된다.14 is a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charging mode 2, when connection mode B of charging mode 2 is adopte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a control steering circuit to confirm connection to a charging connection set and determination of parameters of rated current will perform
도 15는 충전모드 1의 연결모드 B가 있는 일반적인 제어 조향회로의 개략도로서, 위치 S3가 서로 다른 상태로 전환되면 전원 공급 장치와 차량 본체 충전기가 응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 S3에 해당하는 대응조치가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구체적인 대응조치는 전원공급장치 제조자와 차량 제조자가 설정한 제어전략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1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eneral control steering circuit having a connection mode B of charging mode 1, and when the position S3 is switched to a different state,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vehicle main body charger may perform a response operation. If the countermeasure corresponding to the switch S3 can be used as a reference, the specific countermeasure will depend on the control strategy set by the power supply device manufacturer and the vehicle manufactur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N-PLC 데이터 통신 호환 충전 어댑터는 비록 전기자동차에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CAN통신방식 및 PLC통신방식의 데이터 통신 호환이 가능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AN-PLC data communication compatible charging adap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limit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PLC communication method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patible with data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