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46687A1 - 버튼 출몰식 용기 - Google Patents
버튼 출몰식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0246687A1 WO2020246687A1 PCT/KR2020/002497 KR2020002497W WO2020246687A1 WO 2020246687 A1 WO2020246687 A1 WO 2020246687A1 KR 2020002497 W KR2020002497 W KR 2020002497W WO 2020246687 A1 WO2020246687 A1 WO 2020246687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guide
- seating groove
- guide protrusion
- lif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5—Piston pumps with means for adjusting or modifying pump stroke
- B05B11/1008—Piston pumps with means for adjusting or modifying pump stroke by adjusting or modifying the pump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pop-up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button pop-up container that sequentially operates in a locked state and a pop-up state through a push operation of a button.
- a dropper having a push button has been developed in place of a rubber compression part, an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ertain amount of contents is withdrawn each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button pop-up container that sequentially operates in a locked state and a pop-up state through a push operation of a button.
- a button protruding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A lifting part having a guide protrusion and causing a pressure change for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contents while lifting; A button portion for lowering the elevating portion while lowering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An elastic part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ifting part so that the lifting part rises;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he seating groove supports the guide protrusion from an upper side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 the lifting portion When the locking state is caused and the guide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the lifting portion is raised by the elastic portion, causing a pop-up state of the button portion, and a guide path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
- the elevating unit rotates while the guid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sequentially separated from an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 the guide protrusion rotates by the guide path and deviates from the seating groove, causing the pop-up state. I can.
-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while rotating by the guide path, so that the locked state is Can be caused.
- the guide pat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contact when the guide protrusion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descends to rotate the guide protrusion;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and contacting when the guide protrusion rotat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ascends to rotate the guide protrusion.
- the guide pat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the third inclined surface to contact when the guide protrusion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descends to rotate the guide protrusion;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formed between the third inclined surface and the seating groove, and contacting when the guide protrusion rotated by the third inclined surface ascends to rotate the guide protrusion.
- the button portion, the lifting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further comprises a cover accommodated in the inside, the locked state to change to the pop-up state
- the button portion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over by a predetermined height.
- buttons portion are accommodated inside, further comprising a button cap having an elevating gu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n eleva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elevating guide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 a button cap having an elevating gu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n eleva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elevating guide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 a discharge pip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to be inserted and drawn out of the body; And a discharge part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including a piston for caus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discharge pipe while rising integrally with the lifting part, and when the pop-up state is caused, the piston As this rises, the contents can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s coupled to the body, and the elevation of the guide protrusion is limited by the seating groove, so that the locking state is the elevating portion, the button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of the elastic parts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 At least one of the lifting part, the button part, and the elastic part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contents to be filled in the discharge unit only by pressing the button unit.
-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to be the sa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ame amount of contents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 the button portion is changed to a locked state and a pop-up state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n the button portion, and by preventing the button portion from protruding in the lock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portion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 the elevator unit when the elevator unit moves up and down, it moves along a path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elevator unit rotates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n returns, so that the state change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 FIG.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ejec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ejection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 ejection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the lifting part of the button ejection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a guide portion of the button ejection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shows the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ejection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op-u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op-u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button em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retrac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retrac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 retrac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 shows a lifting part of the button retrac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utton retrac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guide part of.
- the button protruding container 1000 includes a main body 100, an elevating part 200, a button part 300, an elastic part 400, a guide part 500, and a cover 600. , It may include a button cap 700 and a discharge unit 800.
- the body 100 may contain contents therein, and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that a discharge part 800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may be inserted and withdrawn into the body 100.
- the conten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or gel-like serum, essence, cream,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rough the discharge unit 800 such as liquid or gel-like pharmaceuticals or quasi-drugs It can contain all kinds of substances that can be discharged.
- buttons protruding container 10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be fixed or detachable.
- a first guide part 510 is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a second guide part 520, an elevation part 200, and a button part 300 are located above the first guide part 510.
- the second guide part 520 and the lifting part 200 move integrally with the button part 300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0 when the user grips the button part 300 and pulls it upward.
- the body 1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is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inside the main body 100.
- the lifting part 200 may cause a pressure change in the discharge part 800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so that the contents are sucked and discharged.
- the lifting part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art 500, and at least a part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guide part 500 (especially, the second guide part 520) to move up and down based on the guide part 500. can do.
- the insertion part 210 for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guide part 520 (especially, a space between the body part 521 and the rim part 523) is lower
-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0.
-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212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art 500 or moves along the guide part 500 at the time of lifting of the lifting part 200, thereby limiting the ascent of the lifting part 200, or You can make 200 rotate.
- the button part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part 200, so that the lifting part 200 can be descended while descending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an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it can rise integrally with the lifting part 200. have.
- the button unit 3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tton protruding container 1000 to receive an external force from a user, for example,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 the elevating unit 200 may be lower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may rise integrally with the elevating unit 2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400.
- At least a part of the lifting part 20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utton part 300.
- a coupling groove 310 may b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part 300, and in response to this,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lifting part 200 in the outer direction. It can be formed to protrude.
- the lifting protrusion 3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300, and by lifting along the lifting guide groove 710 of the button cap 700, the button part 300 even when the lifting part 200 rotates. ) Can be raised and lowered without rotating.
- the button unit 3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200.
- the elastic part 400 may raise the lifting part 200 and the button part 300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upward to the lifting part 200.
- the lifting unit 200 may be raised by the elastic force.
- the elastic part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fting part 200 and the guide part 500 (especially, the second guide part 520).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art 400 may be supported by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art 520, and the upper end may be supported by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art 200.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on the button part 300 is removed, an elastic force for raising the lifting part 200 based on the second guide part 520 may be generated.
- the elastic part 40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mbers capable of exerting elastic force such as a spring.
- the guide part 500 may be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100 to guide the lifting and rotation of the lifting part 200.
-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unit 200 may be limited, or when the elevation unit 200 is elevated, the elevation unit 200 may move up and down while rotat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 the guide part 500 may have a seating groove 512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212 is seated, and a guide path is formed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 512,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12 is guided. You can move along the route.
- the guide path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525 that contact when the guide protrusion 212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512 descends and rises, and further, the seating groove 512 ) May include a third inclined surface 516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518 that contact when the guide protrusion 212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lower and upper ends thereof.
- the guide protrusion 212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guide path compose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518, the guide protrusion 212 is Can be rotated.
- the guide part 500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510 and a second guide part 520.
- the mounting groove 512,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518 may be formed on the first guide part 51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is 2 It may be formed on the guide part 520.
- the first guide part 5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 threa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unit 510, so that the first guide unit 510 may be screwed to the main body 100.
- this is exemplary and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first guide part 51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rough various coupling means.
- the first guide part 510 may form a seating groove 512 by cutting a region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These seating grooves 512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uide part 510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212 when the guide protrusion 212 is seated to prevent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part 200. Can be limited.
- a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516 may be formed under the seating groove 512. At this time,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when the lifting unit 200 descends, the guide protrusion 212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While moving along the 516, the lifting unit 200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 a fourth inclined surface 518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512 in succession to the seating groove 512.
- the fourth inclined surface 518 is formed between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and the mounting groove 512,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 the fourth inclined surface 518 may contact when the guide protrusion rotated by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ascends,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12 can be stably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512.
-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part 510, so that the discharge part 800 is inserted or extrac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Can be.
- the second guide part 52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guide part 510,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525 may be formed.
- the second guide portion 520 may include a body portion 521 and an edge portion 523 that surrounds a lower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the insertion part 210 of the lifting part 200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5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im part 523,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 a second inclined surface 525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1.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seating groove 512 while the second guide part 520 is disposed above the first guide part 510.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so that when the lifting unit 200 is raised, the guide protrusion 212 i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While moving along the 525, the lifting unit 2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when descending.
- a limiting jaw 527 is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1, so that the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 212 moving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can be restricted.
- the limiting jaw 527 may be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limiting jaw 527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521 and may exten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1 to an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523.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212 moves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5 and then contacts the limiting jaw 527 to limit the movement,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lifting unit 200.
- the second guide part 520 limits the moving length of the lifting part 200 to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lifting part 200 is raised, and when the lifting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the lifting part 520 It can be moved integrally with the unit 200.
- a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is formed in the elevating part 200, and in response thereto, a second locking protrusion 52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521 of the second guide part 520 Can be. Therefore, when the lifting part 200 rises,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230 is allowed to rise only until it engages and contacts the second stopping protrusion 529, thereby limiting the moving length when the lifting part 200 ri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part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guide part 520. In addition, when the lifting part 200 is pulled upward together with the button part 300 in an elevated state, the second guide part 520 may also move upward and separate from the main body 100.
- the cover 6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formed to be open, so tha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protruding container 1000 may be accommodated inward.
- the cover 6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510 while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guide portion 5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elevating to the inside of the cover 600
- the part 200, the button part 300, the second guide part 520, the button cap 700,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cover 600 and the button unit 300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button unit 300 may be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locked state and a pop-up state.
- the button cap 70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600, and may b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second guide part 520, and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button part 300 and the lifting part 200 inside. I can. In this case, the button unit 300 and the elevating unit 200 may be elevated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cap 700.
- Protrusions and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520 (especi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portion 523) and the button cap 700, so that the button cap 700 is a second guide It may be coupled to the unit 520. Accordingly, when the second guide part 5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the button cap 700 may als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together with the second guide part 520.
- An elevating guide groove 7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cap 700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levating protrusion 320 of the button unit 300 is inserted.
- the elevating protrusion 320 of the button portion 30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guide groove 710, and thus, even when the elevating portion 200 is rotated, the button portion 300 may be prevented from rotating in conjunction therewith. I can.
- the discharge unit 800 may suck and discharge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 pressure change generated by the lifting of the lifting unit 200.
- the discharge unit 800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810 and a piston 820.
- the discharge pipe 810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nd forms a hollow therein, so that the contents may be sucked and discharged to the inside.
- the discharge pipe 81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guide part 520 to be inserted and extracted inside the main body 100.
-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81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521 of the second guide portion 520, and for this purpose,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1 and the discharge portion 800 Fixing grooves and fix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 the piston 820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810, and may change the pressure inside the discharge pipe 810 while lifting and descending integrally with the lifting part 200.
- the piston coupling portion 240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ortion 200, and a space in which the piston coupling portion 240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iston 820, The 820 may be fitted to the piston coupling part 240.
- at least one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ston coupling part 240,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820 so that the piston 820 It can be made to be stably coupled with the lifting unit 200.
- the piston 8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in order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8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formed as
- FIG. 6 shows the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ejection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A shows a locked state of the button unit 300.
- the guide protrusion 212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512, so that the elevation of the lifting part 200 and the button part 300 may be limited.
- the button portion 300 is completely received inside the cover 600 and does not protrude upward, and the button portion 300, the lifting portion 200, and the discharge portion 8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the locked state may include that the button part 300 protrudes above the cover 600 by a predetermined range.
- FIG. 6B shows a transition state between the locked state and the pop-up state of the button unit 300.
- the piston 820 may descen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discharge pipe 810.
- the lifting part 200 descends with respect to the second guide part 520, so that the piston 820 coupled to the lifting part 200 becomes the second guide part 520.
- the volume inside the discharge pipe 810 may decrease and a pressure change may occur.
- FIG. 6 shows a pop-up state of the button unit 300.
- the lifting unit 200 is raised by the elastic unit 400 to change to a pop-up state of the button unit 300.
- the button unit 300 may protrude above the cover 600 by a predetermined height.
- the contents may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810 as the piston 820 that has descended rises.
- the piston which has been lowered
- the lifting part 200 ris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guide part 5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00
- the volume inside the discharge pipe 810 may increase and a negative pressure may be generated, and accordingly, suction of the contents may be performed.
-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lif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and depressurization of the button unit 300 by the guide unit 500 is constantly limited, so that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810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820
- the volume change of can also be controlled in the same way. Accordingly, while changing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pop-up state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part 300, the contents are sucked, but since the amount of contents sucked into the discharge pipe 810 is always the same, quantitative use of the contents is easy. I can.
- the locked state may be changed through the transition state shown in FIG. 6B.
- the piston 820 may descend, and accordingly, when the contents remain in the discharge pipe 810, the button part 300 is pressed in the pop-up state to be locked.
- the contents of the discharge pipe 810 may be discharged into the main body 100.
- the button part 300 changes to a pop-up state as the lifting part 200 descends and rises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button part 300.
- Fig. 6 (a), (b), (c) can be changed in order
- the elevating unit 200 is As it descends and rises, the button unit 300 may be changed to a locked state (changes in the order of (c), (b), and (a) of FIG. 6).
- FIG 7 shows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op-u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tation and eleva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200 may be performed until the guide protrusion 212 contacts the limiting jaw 527, and by completing the rotation and eleva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200, the button portion 300 ), the pop-up state can be changed. 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of the elevating unit 200 contacts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9 of the second guide unit 520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unit 200, and the second guide unit Separation from 520 can be prevented.
- FIG 8 shows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op-u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protrusion 212 is align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6 in the pop-up state of the button part 300.
- FIG 9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button em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charge pipe 810 is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00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button part 300,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y pressing the button part 300 while the discharge pipe 810 is pulled out. Operation is shown.
- the lifting unit 200 and the button unit As 300 descends, the piston 820 descends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810,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discharge pipe 810, and the contents may be discharged.
- the lifting part 200 and the button part 300 may rise again by the elastic part 400 to maintain a pop-up state.
- the lifting part 200 since the lifting part 200 is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guide part 510, even if the button part 300 is pressed, the guide protrusion 212 is not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512 Therefore, the elevating part 200 and the button part 300 may rise. Accordingly, the user may press the button unit 300 again to discharge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출몰식 용기가 제공된다. 버튼 출몰식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승강하면서 상기 내용물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승강부;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하강하면서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버튼부;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부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의 상승을 제한하여 상기 버튼부의 잠금 상태를 야기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부의 팝업 상태를 야기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인접하여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 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접하면서 상기 승강부가 회전하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 및 안착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튼 출몰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버튼의 누름 조작을 통해 순차적으로 잠금 상태 및 팝업 상태에서 동작하는 버튼 출몰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 크림 등 한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각 사용할 때 마다 사용할 양만큼 캡슐 등의 형태로 개별 포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은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도 비교적 많은 양이 캡슐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스포이트 형태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는 방식이 고안되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포이트를 조작하여 용기로부터 필요한 양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캡슐을 매번 찢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화장품의 잔류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인출할 경우, 스포이트에 마련되는 고무로 된 압착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만큼 스포이트로 화장품이 흡입되는데, 사용자가 압착부를 누르는 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음에 따라 화장품을 정량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고무로 된 압착부를 대신하여 푸시버튼을 갖는 스포이트가 개발되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푸시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그때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이 인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푸시버튼을 사용하는 기존의 스포이트 용기는 스포이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로부터 드로퍼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대부분 나사 체결 식으로 드로퍼가 용기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드로퍼를 돌려서 분리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버튼 출몰식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튼의 누름 조작을 통해 순차적으로 잠금 상태 및 팝업 상태에서 동작하는 버튼 출몰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출몰식 용기가 제공된다. 버튼 출몰식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승강하면서 상기 내용물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승강부;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하강하면서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버튼부;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부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의 상승을 제한하여 상기 버튼부의 잠금 상태를 야기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부의 팝업 상태를 야기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인접하여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 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접하면서 상기 승강부가 회전하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 및 안착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하강 및 상승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경로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팝업 상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팝업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하강 및 상승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경로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안착홈 내에 안착하여, 상기 잠금 상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안착홈에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가이드 돌기가 하강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안착홈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경사면에 의해 회전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승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하강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3 경사면; 및 상기 제 3 경사면 및 상기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경사면에 의해 회전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승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4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단이 개방되되, 상기 버튼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탄성부가 내측에 수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팝업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커버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에 수용되고, 내측면에 승강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버튼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승강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 시에, 상기 버튼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 및 인출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승강하면서 상기 배출관 내부에 상기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 상태가 야기될 때,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관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하고, 상기 안착홈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승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잠금 상태는 상기 승강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팝업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에 대한 누름 동작만으로도 내용물이 배출부에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승강부의 수직 이동 범위가 동일하도록 제어됨으로써, 배출부를 통해 흡입 및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에 대한 누름 동작에 따라 버튼부가 잠금 상태 및 팝업 상태로 변화되고, 잠금 상태에서는 버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출부가 의도치 않게 본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부가 승강할 때, 경사면으로 구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승강부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였다가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누름 동작에 따른 버튼부의 상태 변화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승강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가이드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승강부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가이드부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출몰식 용기(1000)는 본체(100), 승강부(200), 버튼부(300), 탄성부(400), 가이드부(500), 커버(600), 버튼 캡(700) 및 배출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00)가 본체(100) 내부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상 또는 겔상의 세럼, 에센스, 크림 등의 화장료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상 또는 겔상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 배출부(80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버튼 출몰식 용기(1000)의 다른 구성들이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상부에는 제 1 가이드부(510)가 결합되고, 제 1 가이드부(510)의 상측으로 제 2 가이드부(520), 승강부(200) 및 버튼부(3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이드부(520) 및 승강부(200)는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당기는 경우에, 버튼부(300)와 일체로 이동하여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10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승강부(200)는 승강하면서 배출부(800) 내부의 압력 변화를 야기하여 내용물이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부(200)는 가이드부(500)의 상측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부(500)(특히, 제 2 가이드부(52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가이드부(50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200)의 하부에는 제 2 가이드부(520)의 내측(특히, 몸체부(521)와 테두리부(523)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210)가 하측으로 형성되고, 삽입부(21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12)는 승강부(200)의 승강시에, 가이드부(500)와 접하거나 가이드부(50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승강부(200)의 상승을 제한하거나, 승강부(20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버튼부(300)는 승강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하강하면서 승강부(200)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가압 해제 시에는 승강부(200)와 일체로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버튼 출몰식 용기(10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어, 누름 동작을 통해 외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버튼부(300)가 하강하면서 승강부(200)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200)와 일체로 상승할 수 있다.
버튼부(300)의 내측에는 승강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300)의 내측면에는 결합홈(310)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승강부(200)의 상부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220)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220)가 결합홈(310)에 삽입됨으로써, 승강부(200)와 버튼부(300)가 결합되어 일체로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300)의 외측면에는 승강 돌기(320)가 형성되어, 버튼 캡(700)의 승강 가이드홈(710)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승강부(200)의 회전 시에도 버튼부(300)가 회전하지 않고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버튼부(300)는 승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승강부(200)에 대하여 상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승강부(200) 및 버튼부(3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버튼부(300)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다가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2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부(300)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승강부(200)에 상측을 향하는 탄성력을 인가하여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홈(512)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승강부(200)와 가이드부(500)(특히, 제 2 가이드부(5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00)의 하측 단부는 제 2 가이드부(520)의 내측 하부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 단부는 승강부(200)의 내측 상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300)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제 2 가이드부(520)를 기준으로 승강부(200)를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부(400)는 스프링 등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부(200)의 승강 및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부(200)의 상승을 제한하거나, 승강부(200)의 승강 시에, 승강부(200)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500)에는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되는 안착홈(51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안착홈(512)에 인접하여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12)가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경로는, 안착홈(512)에 안착된 가이드 돌기(212)가 하강 및 상승할 때 접촉하는 제 1 경사면(514) 및 제 2 경사면(525)을 포함하고, 또한, 안착홈(51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212)가 하강 및 상승할 때 접촉하는 제 3 경사면(516) 및 제 4 경사면(5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경사면(514), 제 2 경사면(525), 제 3 경사면(516) 및 제 4 경사면(518)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경로에 의해 가이드 돌기(212)의 승강 시, 가이드 돌기(2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제 1 가이드부(510) 및 제 2 가이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착홈(512), 제 1 경사면(514), 제 3 경사면(516) 및 제 4 경사면(518)은 제 1 가이드부(510)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경사면(525)은 제 2 가이드부(5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510)는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개구부 외측면과 제 1 가이드부(510)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가이드부(510)가 본체(1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결합 수단을 통해 제 1 가이드부(510)가 본체(100)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510)는 외측면의 일 영역을 절개함으로써, 안착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512)은 제 1 가이드부(510)의 상측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되는 경우 가이드 돌기(212)의 상측을 지지하여 승강부(200)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안착홈(512)의 하측으로 제 1 경사면(514) 및 제 3 경사면(5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경사면(514) 및 제 3 경사면(516)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승강부(200)가 하강할 때, 가이드 돌기(212)가 제 1 경사면(514) 및 제 3 경사면(5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부(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안착홈(512)의 일 측에는 안착홈(512)에 연속하여 제 4 경사면(51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 경사면(518)은 제 3 경사면(516) 및 안착홈(512)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경사면(514) 및 제 3 경사면(516)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4 경사면(518)은 제 3 경사면(516)에 의해 회전한 가이드 돌기가 상승할 때 접촉하여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홈(51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부(510)에는 본체(100)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배출부(800)가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을 통해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520)는 제 1 가이드부(5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경사면(5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520)는 몸체부(521) 및 몸체부(521)의 하부 외측면을 둘러싸며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테두리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21)의 외측면과 테두리부(523)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승강부(200)의 삽입부(210)가 삽입되어, 승강 동작할 수 있다.
몸체부(521)의 외측면에는 제 2 경사면(5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경사면(525)은 제 2 가이드부(520)가 제 1 가이드부(51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안착홈(51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경사면(525)은 제 1 경사면(514) 및 제 3 경사면(516)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승강부(200)가 상승할 때, 가이드 돌기(212)가 제 2 경사면(525)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부(200)가 하강할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521)의 외측면에는 제 2 경사면(525)에 인접하여 제한턱(527)이 형성되어, 제 2 경사면 (525)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21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턱(527)은 제 2 경사면(525)의 상측 단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한턱(527)은 몸체부(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몸체부(521)의 외측면으로부터 테두리부(523)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212)가 제 2 경사면(525)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한턱(527)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승강부(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520)는 승강부(200)의 상승 시에, 승강부(200)의 이동 길이를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고, 승강부(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때, 승강부(20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부(200)에는 제 1 걸림돌기(23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 2 가이드부(520)의 몸체부(521)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 2 걸림돌기(52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200)가 상승하는 경우에, 제 1 걸림돌기(230)가 제 2 걸림돌기(529)에 맞물려 접할 때까지만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승강부(200)의 상승 시 이동 길이를 제한하고, 승강부(200)가 제 2 가이드부(5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200)가 상승한 상태에서 버튼부(300)와 함께 상측으로 당겨지면 제 2 가이드부(52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와 분리될 수 있다.
커버(600)는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 형성되어, 내측으로 버튼 출몰식 용기(1000)의 일부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600)는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1 가이드부(5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제 1 가이드부(5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600)의 내측으로 승강부(200), 버튼부(300), 제 2 가이드부(520) 및 버튼 캡(70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300)의 출몰에 따른 커버(600)와 버튼부(300)의 상대적인 위치는, 잠금 상태와 팝업 상태를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버튼 캡(700)은 커버(600)의 내측에 배치되되, 제 2 가이드부(520)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고, 버튼부(300) 및 승강부(200)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이때, 버튼부(300) 및 승강부(200)는 버튼 캡(700)의 내측에서 승강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520)의 외측면(특히, 테두리부(523)의 외측면) 및 버튼 캡(700)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돌기 및 홈이 형성되어 버튼 캡(700)이 제 2 가이드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가이드부(520)가 본체(100)와 분리될 경우, 버튼 캡(700) 또한 제 2 가이드부(520)와 함께 본체(100)와 분리될 수 있다.
버튼 캡(700)의 내측면에는 버튼부(300)의 승강 돌기(320)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이드홈(710)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300)의 승강 돌기(320)는 승강 가이드홈(710)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승강부(200)의 회전 시에도 버튼부(300)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부(800)는 승강부(200)의 승강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변화에 따라 본체(100) 내의 내용물을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부(800)는 배출관(810) 및 피스톤(8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810)은 본체(100)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내용물이 흡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810)은 제 2 가이드부(520)에 결합되어,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관(810)의 상부는 제 2 가이드부(520)의 몸체부(521)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몸체부(521)의 내측면과 배출부(800)의 상부 외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고정홈 및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820)은 배출관(81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어, 승강부(200)와 일체로 승강하면서 배출관(81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200)의 내측 상부면에는 피스톤 결합부(240)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피스톤(820)의 내측에는 피스톤 결합부(2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피스톤(820)이 피스톤 결합부(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 결합부(240)의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고, 피스톤(820)의 내측면에는 이러한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피스톤(820)이 승강부(2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820)은 배출관(810) 내측면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의 (a)는 버튼부(300)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다. 버튼부(300)의 잠금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홈(512)에 안착됨으로써, 승강부(200) 및 버튼부(30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는 버튼부(300)가 커버(6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수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버튼부(300), 승강부(200) 및 배출부(800)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잠금 상태는 버튼부(300)가 커버(600)의 상측으로 소정의 범위만큼 돌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6의 (b)는 버튼부(300)의 잠금 상태와 팝업 상태 사이의 천이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 버튼부(300)를 가압하면, 피스톤(820)이 배출관(810) 상부의 내측에서 하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부(300)를 가압하면 승강부(200)가 제 2 가이드부(520)를 기준으로 하강함에 따라, 승강부(200)에 결합된 피스톤(820)이 제 2 가이드부(520)에 결합된 배출관(810) 상부의 내측에서 하강함으로써 배출관(810) 내부의 체적이 감소하고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6의 (c)는 버튼부(300)의 팝업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천이 상태에서 버튼부(3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400)에 의해 승강부(200)가 상승하여 버튼부(300)의 팝업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팝업 상태에서는 버튼부(300)가 커버(600)의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하강했던 피스톤(820)이 상승하면서 내용물이 배출관(8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이 상태에서 버튼부(30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200)가 제 2 가이드부(520)를 기준으로 상승함에 따라, 하강했던 피스톤(820)이 상승함으로써, 배출관(810) 내부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음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500)에 의해 버튼부(300)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른 승강부(200)의 상하 이동 범위가 일정하게 제한됨으로써, 피스톤(820)의 수직 이동에 따른 배출관(810) 내부의 체적 변화도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300)의 가압 동작에 의해 잠금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변화되면서 내용물의 흡입이 수행되되, 배출관(810)에 흡입되는 내용물의 양이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정량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버튼부(300)의 팝업 상태에서 버튼부(300)를 가압하는 경우에도, 도 6의 (b)에 도시되는 천이 상태를 거쳐 잠금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버튼부(300)를 가압하면 피스톤(820)이 하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관(810)에 내용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 팝업 상태에서 버튼부(300)를 가압하여 잠금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배출관(810)의 내용물이 본체(10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300)의 잠금 상태에서, 버튼부(300)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승강부(200)가 하강 및 상승함에 따라 버튼부(300)는 팝업 상태로 변화(도 6의 (a), (b), (c) 순서대로 변화)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버튼부(300)의 팝업 상태에서 버튼부(300)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승강부(200)가 하강 및 상승함에 따라 버튼부(300)는 잠금 상태로 변화(도 6의 (c), (b), (a) 순서대로 변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버튼부(300)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해 잠금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변화될 때, 가이드 돌기(212)의 이동 경로가 도시된다.
도 7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잠금 상태에서는 승강부(200)의 가이드 돌기(212)가 제 1 가이드부(510)에 형성된 안착홈(512)에 안착되어, 가이드 돌기(212)의 상측이 지지됨으로써 승강부(20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00)가 승강부(200)를 향하여 상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에 따라 버튼부(30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홈(512)에 안착되어 승강부(200)의 상승이 제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도 6의 (a) 참조).
계속해서,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부(300)를 가압하여 승강부(200)가 하강하면,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홈(512)으로부터 이탈하여 제 1 경사면(514)에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2)가 제 1 경사면(51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버튼부(300)의 가압에 의해 승강부(200)가 하강하는 경우에, 승강부(200)가 일 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돌기(212)가 제 1 경사면(514)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 1 경사면(514)의 일 측에 형성된 수직면에 접촉되면서 승강부(200)의 회전 및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도 6의 (b) 참조).
계속해서, 도 7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200)가 상승하여 가이드 돌기(212)가 제 2 가이드부(520)의 제 2 경사면(525)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 1 경사면(514)에 의해 가이드 돌기(212)가 회전 이동하여, 승강부(20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돌기(212)는 안착홈(512)으로부터 어긋나도록 정렬됨으로써, 승강부(200)가 상승할 때,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홈(512)에 안착되지 않고 안착홈(512)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여 제 2 경사면(525)에 접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의 (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부(200)의 상승이 진행되면, 가이드 돌기(212)가 제 2 경사면(525)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버튼부(300)의 가압 해제에 의해 승강부(200)가 상승하는 경우에, 승강부(200)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반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이와 같은 승강부(200)의 회전 및 상승은 가이드 돌기(212)가 제한턱(527)에 접촉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승강부(200)의 회전 및 상승이 완료됨으로써, 버튼부(300)가 팝업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200)의 제 1 걸림돌기(230)가 제 2 가이드부(520)의 제 2 걸림돌기(529)에 접촉함으로써, 승강부(200)의 상승을 제한하고, 제 2 가이드부(52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8를 참조하면, 버튼부(300)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해 팝업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화될 때, 가이드 돌기(212)의 이동 경로가 도시된다.
도 8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팝업 상태(도 6의 (c) 참조)에서 버튼부(300)를 가압하면 승강부(200)가 하강하여, 안착홈(51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212)가 제한턱(527)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 3 경사면(516)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제 1 가이드부(510)의 상측으로 제 2 가이드부(520)가 배치될 때, 버튼부(300)의 팝업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212)가 제 3 경사면(516)의 상측에 정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300)에 대한 연속적인 가압 동작에 의해, 가이드 돌기(212)가 순차적으로 안착홈(512)에 이탈 및 안착됨으로써, 잠금 상태 및 팝업 상태로의 순차적인 변화가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부(200)의 하강이 진행되면, 가이드 돌기(212)가 제 3 경사면(51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버튼부(300)의 가압에 의해 승강부(200)가 하강하는 경우에, 승강부(200)가 일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돌기(212)가 제 3 경사면(516)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 1 경사면(514)과 제 3 경사면(516)의 사이에 형성된 수직면에 접촉되면서 승강부(200)의 회전 및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도 6의 (b) 참조).
계속해서, 도 8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200)가 상승하여, 제 3 경사면(516)에 의해 회전 이동한 가이드 돌기(212)가 상승하면서 제 4 경사면(518)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돌기(212)가 제 4 경사면(518)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승강부(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할 수 있고, 가이드 돌기(212)는 안착홈(512)에 안착될 수 있다(도 6의 (a)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출몰식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버튼부(300)의 상측 이동에 의해 배출관(810)이 본체(100)로부터 인출되고, 배출관(810)이 인출된 상태에서 버튼부(300)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는 동작이 도시된다.
도 9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부(300)가 팝업 상태로 변화되어 내용물이 배출관(810)에 흡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이와 직, 간접적으로 결합된 승강부(200), 탄성부(400), 제 2 가이드부(520), 버튼 캡(700) 및 배출부(800)가 일체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출부(800) 등이 본체(10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 캡(700)을 파지한 상태에서, 버튼부(300)를 가압하면, 버튼 캡(700) 및 제 2 가이드부(520)를 기준으로 승강부(200) 및 버튼부(300)가 하강함에 따라 피스톤(820)이 배출관(810) 상부의 내측에서 하강하여 배출관(810) 내부의 체적이 감소되고,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버튼부(30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400)에 의해 승강부(200) 및 버튼부(300)는 다시 상승하여 팝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200)는 본체(100) 및 제 1 가이드부(510)와 분리된 상태이므로, 버튼부(300)를 가압하더라도 가이드 돌기(212)가 안착홈(512)에 안착되지 않기 때문에 승강부(200) 및 버튼부(300)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부(300)를 재차 가압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 버튼 출몰식 용기로서,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승강하면서 상기 내용물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승강부;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하강하면서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버튼부;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부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 및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의 상승을 제한하여 상기 버튼부의 잠금 상태를 야기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부의 팝업 상태를 야기하고,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인접하여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 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접하면서 상기 승강부가 회전하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 및 안착되게 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하강 및 상승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경로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팝업 상태가 야기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팝업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하강 및 상승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경로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안착홈 내에 안착하여, 상기 잠금 상태가 야기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안착홈에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가이드 돌기가 하강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안착홈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경사면에 의해 회전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승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하강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3 경사면; 및 상기 제 3 경사면 및 상기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경사면에 의해 회전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승할 때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를 회전시키는 제 4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단이 개방되되, 상기 버튼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탄성부가 내측에 수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팝업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커버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버튼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에 수용되고, 내측면에 승강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버튼 캡을 더 포함하고,상기 버튼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승강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 시에, 상기 버튼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 및 인출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승강하면서 상기 배출관 내부에 상기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팝업 상태가 야기될 때,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관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하고, 상기 안착홈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승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잠금 상태는 상기 승강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 출몰식 용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팝업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버튼 출몰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7548A KR102011701B1 (ko) | 2019-06-07 | 2019-06-07 | 버튼 출몰식 용기 |
KR10-2019-0067548 | 2019-06-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246687A1 true WO2020246687A1 (ko) | 2020-12-10 |
Family
ID=6780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20/002497 WO2020246687A1 (ko) | 2019-06-07 | 2020-02-27 | 버튼 출몰식 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1701B1 (ko) |
WO (1) | WO202024668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23669A (zh) * | 2021-03-26 | 2022-09-30 | 西尔格定量泵(无锡)有限公司 | 一种盖组件及包括其的滴管组件和容器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1701B1 (ko) * | 2019-06-07 | 2019-08-19 | (주)연우 | 버튼 출몰식 용기 |
EP4025095B1 (en) * | 2019-09-02 | 2023-10-0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enser for viscous products |
JP2024533944A (ja) | 2021-07-27 | 2024-09-18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粘性製品用のディスペンサ |
KR102470902B1 (ko) * | 2022-06-24 | 2022-11-28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친환경 화장품 드로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8327B1 (ko) * | 2011-06-30 | 2013-07-22 | (주)연우 | 팝업식 드로퍼 |
KR101554210B1 (ko) * | 2014-03-04 | 2015-09-21 | (주)연우 |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
KR20160026642A (ko) * | 2015-04-24 | 2016-03-09 | (주)연우 |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
KR20160081277A (ko) * | 2014-12-31 | 2016-07-08 | (주)연우 |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
KR102011701B1 (ko) * | 2019-06-07 | 2019-08-19 | (주)연우 | 버튼 출몰식 용기 |
-
2019
- 2019-06-07 KR KR1020190067548A patent/KR1020117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2-27 WO PCT/KR2020/002497 patent/WO202024668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8327B1 (ko) * | 2011-06-30 | 2013-07-22 | (주)연우 | 팝업식 드로퍼 |
KR101554210B1 (ko) * | 2014-03-04 | 2015-09-21 | (주)연우 |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
KR20160081277A (ko) * | 2014-12-31 | 2016-07-08 | (주)연우 |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
KR20160026642A (ko) * | 2015-04-24 | 2016-03-09 | (주)연우 |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
KR102011701B1 (ko) * | 2019-06-07 | 2019-08-19 | (주)연우 | 버튼 출몰식 용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23669A (zh) * | 2021-03-26 | 2022-09-30 | 西尔格定量泵(无锡)有限公司 | 一种盖组件及包括其的滴管组件和容器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1701B1 (ko) | 2019-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0246687A1 (ko) | 버튼 출몰식 용기 | |
WO2021137436A1 (ko) | 내용물 토출 용기 | |
WO2011049267A1 (ko) |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 |
WO2018088617A1 (ko) |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 |
WO2020145543A1 (ko) |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 |
WO2016032155A1 (ko) | 디스펜서 용기 | |
WO2012011663A2 (ko)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
WO2021118025A1 (ko)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
WO2015008906A1 (ko) |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 |
WO2022149759A1 (ko) | 내용물 용기 | |
WO2014084520A1 (ko)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
WO2015133822A1 (ko) |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 |
WO2013137552A1 (ko) | 튜브형 화장품용기 | |
WO2011087196A1 (ko) |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용기 | |
WO2021085863A1 (ko) | 출몰식 용기 | |
WO2013137564A1 (en) | Vacuum apparatus | |
WO2016043438A1 (ko) | 디스펜서 용기 | |
WO2019164065A1 (ko) | 이중 용기 | |
WO2017146408A1 (en) | Push type cosmetic container | |
WO2012161494A2 (ko) | 회전식 펌핑용기 | |
WO2017039236A1 (ko) |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 |
WO2019013427A1 (ko) | 2웨이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 |
WO2022169097A1 (ko) | 내용물 토출 용기 | |
WO2013119088A2 (ko) | 이종물질 수용장치 | |
WO2019103313A2 (ko) |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20817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817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