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0743A1 - 모양체근의 운동을 통한 시력훈련장치 - Google Patents
모양체근의 운동을 통한 시력훈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8110743A1 WO2018110743A1 PCT/KR2016/014739 KR2016014739W WO2018110743A1 WO 2018110743 A1 WO2018110743 A1 WO 2018110743A1 KR 2016014739 W KR2016014739 W KR 2016014739W WO 2018110743 A1 WO2018110743 A1 WO 2018110743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user
- training
- eye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on training device through the movement of ciliary muscles.
- Eye muscles that are related to human vision include ciliary muscles, rectus muscles, and iris muscles. Vision can be protected or restored by exercising these eye muscles. In particular, vision is closely related to ciliary muscles, which are involuntary muscles and cannot be moved by human will. However, ciliary muscles adapt autonomously to these changes when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placed in front of the eye is changed.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6-257077 discloses a vision recovery train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vision restoration training by arranging a lens and a display in a user's gaze direction and moving the arranged display to adapt the user's eyes. This provides the same effect as providing a diopter lens that is gradually changed to the user by changing the focal length between the user's eyeball and the display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display.
- the above-described vision recovery training device is a principle of restoring vision by inducing movement of ciliary muscles of a user by changing a focal length.
- the adaptation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play refers to the adaptiv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at is, the responsiveness of the capsular control muscles,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change are not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visual acuity training and its performance. Did.
- the training efficiency is reduced by repeatedly moving the display even in an explicit section where no training is required, whereas in an area where a long time is required to adjust the visual acuity, the display may not be sufficiently adjusted. Proper and efficient training was not guaranteed by mov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ion training apparatus that can measure and manage the adaptiv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ion training apparatus that can provide vision training reflecting the measured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daptive.
- 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eyepiece corresponding to the eye of the user, a display for displaying a target image in front of the user's eye, a lens disposed between the eyepiece and the display, and the display.
- a display moving unit capable of approaching and moving the eyepiece along the eyeline direction, a user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of the display moving unit to move the display and to change the eye and non-cian states of the eyeball of the user.
- the visibility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position of the display is achiev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storing the threshold information.
- the control unit may effectively train the ciliary muscles of the user's eye by setting at least one training section in the moving region of the display and controlling the display moving unit to reciprocate the display within the training section.
- the visual acuity trai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n ocular eye state of the eye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djust an eye adaptation time to the target image based on an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input through the sensor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and manage the adaptiv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of the user.
- the adaptiv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ision more effective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measurement mode process using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mode and training mode using the visual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flow chart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training mode process using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train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6.
-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has a pair of vision training units 120 disposed left and right inside the housing 110 indicated by a virtual line. Between the pair of sight training units 120, a blind plate 122 is installed to block the vision of the left and right eyes.
- the housing 110 generally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ace portion of the user when worn ha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of the face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open corresponding to the eyepiece 124 through which the user can recognize the target imag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 via the eyepiece 124.
- the display 130 displays the target image in front of the user's line of sight.
- the target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may be a static image or a video such as a landscape photograph, a figure, a dot, or a geometric pattern.
- the display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or an OLED.
- the display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imple slide plate in which a predetermined target image is fixedly displayed.
- the display 130 may be implemented by mounting an external display such as a smartphone.
- the display moving unit 150 moves the display 13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user's line of sight.
- the display mover 150 includes a lead screw 151, a movable body 152 movably coupled to the lead screw 151, and a drive motor 153 for rotating the lead screw 151.
- the lead screw 15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support 154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nd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153.
-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ad screw 151 is convert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152.
- the movable body 152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display 130, and the display 130 may be reciproc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rotating the lead screw 151.
- the shield plate 122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to separate the left and right eyes' views.
- the blocking plate 122 allows the user to watch only the target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130 corresponding to each eye.
- FIG.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input unit 16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of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er 190 receives information or conditions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 the user input unit 160 has a plurality of user input buttons 161, 162, 163, 164, 165, and 166. Specifically, the buttons are composed of a power input button 161, a user selection button 162, a front movement button 163 and a rear movement button 164, a measurement mode selection button 165 and a training mode selection button 166. .
- the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is received by the controller 190 and controls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corresponding user input.
- the button type user input unit 160 may be replaced with a keypad, a touch screen, or the like.
- the user input unit 160 is attached to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but may be implemented by a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replaced by an app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 the user input unit 160 may be implemented by a voice recognition method using a microphone.
- the communication unit 17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user server, or the like by wire or wirelessly.
- the visual acuity train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transmit data to or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190 may individually control the pair of displays 130. Because of this,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isual training for the left eye, right eye, or both eyes.
-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display 130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53.
-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may be driven using a battery (not shown) mounted therein as a power source o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 the display moving unit 150 has been described as a rotation driving method using the driving motor 153, but the display moving unit 150 may move in a manual driving method by a user's manipulation.
- This manual driv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connecting the lead screw 151 with a rotary knob that can be manually rotated, and then directly rotating the rotary knob.
-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may move the display 130 along the line of sight by the driving motor 153 or manual operation.
- the focal length between the target image and the eyeball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display 130.
- the user's vision characteristics or the user's vision restoration are restored. Training can be done for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asurement mode process using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mode and training mode of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rocess of performing a measurement mode using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rive motor 153 to continuously or continuously move the display 130 in the direction from the remote position P2 toward the eyepiece 124. Intermittently moving (S130).
- the controller 190 checks whether there is a visibility threshold confi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S140).
- the visibility threshold confirmation input is a signal provided to the controller 19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when the eyeball of the user is changed from the normal eye state to the non-normal eye state.
- the user selects the button 162 of the user input unit 160 at the moment when the target image TI is clearly seen and flows as the display 130 moves, that is, when the visibility of the target image TI is changed. By pressing), input the visibility threshold confirmation input.
-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the threshold position of the display 130 at the time when the visibility threshold confirmation input is input. To store the remote visibility to the threshold position (P4) (S190).
-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mode measures the display 130 while moving toward the eyepiece, and the user performs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mode process to determine the reliable near visibility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visibility threshold position P4. It is desirable to repeat and average the results to determine the near visibility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visibility threshold position P4.
- Vision training is performed by reciprocating the display 130 within the set training interval (S230).
- the display 130 may move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 a manner of repeatedly mov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Vision training may be performed by repeatedly moving the display 130 by the set separation distance within the set training interval and waiting for the set training time.
- vision training may be performed by continuously moving the display 130 within the set training interval.
- the movement of the display 130 has the same effect as replacing the lenses having different diopter values in the visual direction between the user's target image and the user's eyeball.
- the ciliary muscles of the user are contracted or relaxed to adapt to the change of focal length with the target image TI which changes with the movement of the display 130.
- the ciliary muscles contract or relax repeatedly, thereby strengthen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ciliary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안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 전방에 타겟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안공과 상기 디스플레이사이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상기 접안공에 대해 접근 및 이격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동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정시안 상태와 비정시안 상태가 전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임계위치에 해당하는 시인도 임계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양체근의 운동을 통한 시력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시력과 관계되는 안구 근육에는 모양체근, 직근 및 홍채근 등이 있다. 시력은 이러한 안구 근육들을 운동시킴으로써 보호되거나 회복될 수 있다. 특히 시력은 모양체근과 관계가 긴밀한데, 모양체근은 불수의근으로서 인간의 의지에 의해 움직이게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모양체근은 안구 앞에 배치되는 렌즈의 초점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변경에 자율적으로 반응하여 적응한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6-257077호에서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렌즈와 디스플레이를 배치하고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동시켜 사용자의 눈이 적응하도록 훈련하여 시력복원훈련을 수행하는 시력회복훈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디스플레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안구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초점거리가 변경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디옵터의 렌즈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시력회복훈련장치는 초점거리의 변경에 의해 사용자의 모양체근의 운동을 유발하여 시력을 회복하는 원리이다.
디스플레이의 이동에 따른 적응시간은 사용자 개인의 적응적 시력특성 즉 수정체조절근의 반응도를 의미하므로, 그 현황과 변화추이는 시력훈련 및 그 성과와 관련하여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요소임에도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사용자마다의 시력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훈련이 필요없는 명시적인 구간에서도 디스플레이를 반복 이동시켜 훈련 효율이 떨어지는 반면, 시력의 적응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영역에서는 그 적응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전에 디스플레이가 이동하여 적절하면서도 효율적인 훈련이 보장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적응적 시력특성을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시력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된 사용자의 적응적 시력특성을 반영한 시력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시력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안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 전방에 타겟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안공과 상기 디스플레이사이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상기 접안공에 대해 접근 및 이격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동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정시안 상태와 비정시안 상태가 전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임계위치에 해당하는 시인도 임계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임계확인이 입력될 때의 디스플레이의 임계위치에 해당하는 시인도 임계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시력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훈련구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이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안구의 모양근을 효과적으로 훈련시킬 수 있다.
상기 시력훈련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정시안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적응확인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이미지에 대한 상기 안구의 적응시간을 저장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자의 적응적 시력특성을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사용자의 적응적 시력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시력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시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한 측정모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측정모드 및 훈련모드 동작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한 훈련모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또 다른 훈련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시력훈련장치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하우징(110)의 내부에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시력훈련유니트(120)를 갖는다. 한 쌍의 시력훈련유니트(120) 사이에는 가림판(122)이 설치되어 좌안 및 우안의 시야를 서로 차단한다.
시력훈련유니트(120)는 시선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접안공(124)과 디스플레이(130)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30)에는 시력훈련을 위한 타겟이미지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130)는 이동체(152)를 통해 리드스크류(15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리드스크류(151)는 구동모터(153)에 의해 회전하며, 이 회전에 의해 이동체(152)와 결합된 디스플레이(130)는 접안공(124)과 렌즈(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선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지지체(154)에는 이동체(15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155)이 시선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160)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훈련조건, 훈련모드 등을 설정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기 위한 스트랩(미도시) 또는 안경다리(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부에 대응하는 후면은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얼굴의 윤곽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110)의 후면은 접안공(124)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있어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접안공(124)을 거쳐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한 타겟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 전방에 타겟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타겟이미지는 풍경사진, 도형, 점, 기하학적 무늬 등의 정적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30)는 LCD, OLED 등의 전자적인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소정의 타겟이미지가 고정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단순한 슬라이드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30)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렌즈(140)는 렌즈홀더(142)에 장착되어 접안공(124)과 타겟이미지 사이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접안공(124)과 렌즈(140)를 통해 시선방향 전방에 위치한 타겟이미지를 인식한다. 렌즈(140)는 볼록렌즈로 구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록렌즈는 사용자의 안구와 이미지 사이의 초점거리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실제의 거리보다 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여 이미지의 원근감을 확장시킨다. 또한, 렌즈(140)는 필요에 따라 편광렌즈, 컬러렌즈로 구현되어 타겟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이동부(150)는 디스플레이(130)를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이동부(150)는 리드스크류(151), 리드스크류(15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체(152), 및 리드스크류(151)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53)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151)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고정지지체(1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153)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리드스크류(151)의 회전운동은 이동체(152)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으로 전환된다. 이동체(152)는 디스플레이(1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리드스크류(151)의 회전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130)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가림판(122)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좌안 및 우안의 시야를 서로 분리한다. 가림판(122)에 의해 사용자는 각 안구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30)가 표시하는 타겟이미지만을 주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사용자입력부(160)는 시력훈련장치의 상면에 또는 측면에 제공되며,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조건을 수령한다. 사용자입력부(160)는 복수의 사용자입력용 버턴(161, 162, 163, 164, 165, 166)을 갖는다. 버턴들은 구체적으로 전원입력버턴(161), 사용자선택버턴(162), 전방이동버턴(163)과 후방이동버턴(164), 측정모드선택버턴(165) 및 훈련모드선택버턴(166)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입력은 제어부(190)가 수령하여 해당 사용자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력훈련장치를 제어한다. 이러한 버턴형태의 사용자입력부(16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60)는 시력훈련장치에 부착되어 있지만, 유선 혹은 무선의 리모컨으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앱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는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성인식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스마트폰, 타블렛PC, 사용자서버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통신부(170)를 통해 시력훈련장치는 외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메모리(180)는 사용자정보, 디옵터 환산 데이터, 시력데이터, 훈련데이터, 및 시력훈련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디옵터 환산 데이터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의 각 위치들을 디옵터 값으로 환산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모리(18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190)나 통신부(170) 등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메모리(180)에 저장한다.
센서모듈(200)은 사용자의 안구를 향해 적외선을 출력하고 안구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수령할 수 있는 하우징(110)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센서모듈(200)은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센서모듈(200)은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또는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변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센서모듈(2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 굴절 검사기의 검사원리와 동일한 메카니즘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200)은 적외선 광을 사용자의 안구를 향해 출력하는 광출력부,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탐지하는 광탐지부, 및 탐지된 반사광의 초점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구를 향해 출력된 적외선이 안구 내에서 초점이 맺히는 위치를 계산하는 굴절확인부를 포함한다. 센서모듈(200)은 안구를 향해 출력된 적외선의 초점이 망막에 맺히는 경우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센서모듈(200)은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적응확인신호를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센서모듈(200)은 사용자의 안구의 상태가 정시안에서 비정시안 또는 비정시안에서 정시안으로 변경되는 경우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을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13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는 좌안, 우안, 또는 양안에 대한 시력훈련이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미도시)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되거나 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이동부(150)는 구동모터(153)를 이용한 회전구동방식으로 설명되었으나, 디스플레이이동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수동 구동방식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동구동방식은 리드스크류(151)를 수동 회전 조작가능한 회전노브와 연결한 후 회전노브를 직접 회전조작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시력훈련장치는 구동모터(153) 혹은 수동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130)를 시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30)의 이동에 의해 타겟이미지와 안구 사이의 초점거리가 변화되며, 이 초점거리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눈의 적응을 측정 및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시력 복원을 위한 훈련을 시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한 측정모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의 측정모드 및 훈련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원입력버턴(161)을 눌러 시력훈련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후, 사용자는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한 후 사용자입력부(160)의 측정모드선택버턴(165)을 눌러 측정모드를 선택한다.(S110).
사용자에 의해 측정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를 원격위치(P2)로 이동시킨다(S120). 원격위치(P2)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범위(MR) 중 접안공(124)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이거나 접안공(124)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를 원격위치(P2)로 이동시킨 후,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를 원격위치(P2)로부터 접안공(124)을 향한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동시킨다(S130).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S140).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은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제어부(190)에 제공되는 신호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가 이동함에 따라 타겟이미지(TI)가 선명하게 보이다가 흐르게 보이는 순간 즉, 사용자의 타겟이미지(TI)에 대한 시인도가 변하는 순간 사용자입력부(160)의 사용자선택버턴(162)을 누름으로써,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인식에 기초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임계위치를 확인하지 아니하고, 전술한 센서모듈(200)을 통해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을 수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모듈(200)은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안구의 시인도가 변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변하는지를 확인하고 비정시안 상태로 변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90)로 시인도 변경확인 입력을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 또는 센서모듈(200)로부터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을 제공받는 경우,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이 입력된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130)의 임계위치를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로 저장한다(S150).
이후,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를 근접위치(P1)로 이동시킨다(S160). 근접위치(P1)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범위 중 접안공(124)에 가장 근접한 위치이거나 또는 접안공(124)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이다.
디스플레이(130)를 근접위치(P1)로 이동시킨 후,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를 근접위치(P1)로부터 원격위치(P2)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동시킨다(S170).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 또는 센서모듈(200)로부터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S180).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이 사용자입력부(160) 또는 센서모듈(200)로부터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이 입력된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130)의 임계위치를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로 저장한다(S190).
상술한 측정모드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130)가 접안공에 대해 접근이동하는 경우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전이 및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전이하는 두 번의 시인도 변경이 일어난다. 또한, 디스플레이(130)가 접안공으로부터 원격이동하는 경우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전이 및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전이하는 두 번의 시인도 변경이 일어난다. 상술한 네 번의 시인도 변경 중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적절히 나타내는 변경시점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다시 말하면, 명시역에서 비명시역으로 전이하는 변경시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시점을 사용자의 고유의 시력특성으로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측정모드에 대한 설명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원격위치(P2)에서 근접위치(P1)로 이동하는 것을 먼저 설명하였으나 측정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30)의 이동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근접위치(P1)에서 원격위치(P2)로의 이동이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측정모드는 디스플레이(130)를 접안공에 대해 접근이동하면서 측정하고 신뢰성 있는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와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술한 측정모드 과정을 반복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와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상술한 측정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마다 고유의 시인도 임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인도 임계정보는 상술한 임계위치 값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임계위치 값을 그대로 설정하거나, 기준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거리값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해당 위치에서의 디옵터 환산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인도 임계정보는 사용자의 조절력과 관련되는 요소로 사용자의 시력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측정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시력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시력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시력 개선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한 훈련모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와 함께 도 4를 같이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하여 훈련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원입력버턴(161)을 눌러 시력훈련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후, 사용자는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한 후 사용자입력부(160)의 훈련모드선택버턴(166)을 눌러 훈련모드를 선택한다(S210).
사용자에 의해 훈련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범위(MR)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훈련구간을 설정한다(S220).
추가적으로, 제어부(190)는 시력훈련을 위해 측정모드를 통해 결정된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와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에 기초하여 명시역(R1), 근접 비명시역(R2), 및 원격 비명시역(R3)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역(R1)은 근접 시인도 임계점(P3)과 원격 시인도 임계점(P4) 사이의 영역이다.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는 명시역(R1) 내에서의 훈련인 역내훈련모드, 명시역(R1)의 외부인 근접 비명시역(R2)과 원격 비명시역(R3)에서의 훈련인 역외훈련모드, 명시역(R1)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 훈련하는 교차훈련모드, 및 명시역(R1)의 내부 혹은 외부의 소정 영역에서 훈련하는 조절확장훈련모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시력훈련은 설정된 훈련구간 내에서 디스플레이(130)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S230). 디스플레이(130)는 연속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반복하여 이동하는 단속적인 방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시력훈련은 설정된 훈련구간 내에서 디스플레이(130)를 설정된 이격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설정된 훈련시간 동안 대기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시력훈련은 설정된 훈련구간 내에서 디스플레이(130)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30)의 이동은 서로 다른 디옵터 값을 갖는 렌즈를 사용자의 타겟이미지와 사용자의 안구 사이의 시선방향에 교체위치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훈련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모양체근은 디스플레이(13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타겟이미지(TI)와의 초점거리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수축 또는 이완된다. 상술한 훈련동작을 반복수행함으로써, 모양체근이 반복적으로 수축 또는 이완하므로 모양체근의 근력이 강화된다.
사용자는 상술한 각 훈련들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훈련을 선택하여 시력훈련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모드들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지만, 제어부(19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조절확장훈련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은 제어부(19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90)가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결정된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 또는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인 근접훈련 임계위치(P5) 또는 원격훈련 임계위치(P6)를 먼저 결정한다. 이때, 근접훈련 임계위치(P5) 또는 원격훈련 임계위치(P6)를 결정하기 위해 이격되는 거리는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에서 근접훈련 임계위치(P5) 사이의 범위 또는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에서 원격훈련 임계위치(P6) 사이의 범위를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을 직접 설정하는 경우, 아래의 과정을 통해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의 설정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하고, 조절확장훈련구간 설정을 위한 동작을 개시시킨다.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에 소정의 타겟이미지(TI)를 표시하게 하고, 디스플레이이동부(1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를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 (P3) 또는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 중 어느 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130)가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로 이동한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어부(190)는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30)를 설정된 이격단위만큼 근접위치(P1) 방향으로 이격시킨 후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그 위치를 유지하는 측정동작을 반복하도록 디스플레이이동부(150)를 제어한다. 렌즈(140)를 통해 인식되는 타겟이미지(TI)가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여도 선명해지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선택버턴(162)을 누름으로써, 근접훈련 임계확인 신호를 입력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근접훈련 임계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측정동작을 정지시키고 근접훈련 임계확인 신호가 수신한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130)의 위치를 근접훈련 임계위치(P5)로 설정한다.
상술한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을 결정하기 위해 설정되는 이격단위는 앞서 결정된 명시역(R1)의 폭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시역(R1)의 폭이 넓은 경우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의 폭이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을 결정하기 위해 설정되는 대기시간은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령이 높을수록 대기시간이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결정된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은 사용자의 안구가 가지고 있는 조절력의 조절여력(accommodation force reserve)의 범위를 반영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조절확장훈련구간(TR1, TR3)에서 시력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절여력 및 조절력을 보다 확장하여 사용자의 시력개선이 개선될 수 있다.
시력훈련이 완료되면, 시력훈련장치는 훈련동작을 종료하고, 훈련 데이터를 메모리(180)에 저장한다. 훈련 데이터는 한 사이클의 훈련이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정보, 어떠한 훈련모드, 어떠한 훈련조건으로 시력훈련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훈련 데이터는 사용자별로 저장되며,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훈련에 따른 사용자의 시력 개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력 개선 정도를 확인하여 이후의 훈련계획 및 훈련방향을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시력에 대응하는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P3) 및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P4)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계위치에 기초하여 훈련구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력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또 다른 훈련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시력훈련 시 디스플레이(130)는 설정된 훈련구간을 점진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이동한 후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동작이 반복 수행된다. 이때, 디스플레이(130)가 이동 후 대기하는 대기시간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경우, 시력훈련을 통한 시력개선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별 시력특성을 고려하여 대기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이동부(1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를 복수의 측정위치 중 어느 한 측정위치에 위치시킨다(S310).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130)가 제1측정위치(MP1)에서 제2측정위치(MP2)로 이동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 또는 센서모듈(200)을 통해 적응확인입력이 입력되는 지를 확인한다(S320). 적응확인입력은 사용자가 인식하는 타겟이미지가 선명해졌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즉,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적응확인입력은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센서모듈(200)을 통해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2측정위치(MP2)에서 타겟이미지가 선명해지는 순간 사용자입력부(160)의 사용자선택버턴(162)을 누름으로써, 적응확인입력을 입력한다. 센서모듈(200)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 센서모듈(200)은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안구의 정시안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인 경우 제어부(190)로 적응확인입력를 전송한다.
적응확인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90)는 해당 측정위치(MP2)에 대한 적응시간을 저장한다(S330). 여기에서 적응시간이란 디스플레이(130)가 제2측정위치(MP2)로 이동한 후 적응확인입력이 입력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적응시간은 사용자의 시력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위치는 소정의 디옵터값으로 환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측정위치는 디옵터 환산값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적응시간 확인 동작은 복수의 측정위치(MP1, MP2, MP3, MP4, MP5, MP6, MP7, MP8, MP9, MP10) 모두에 대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각 측정위치들에 대한 적응시간의 측정은 디스플레이(130)의 이동방향에 따라 구분되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일한 측정위치에 대한 적응시간이라도 타겟이미지를 인식하기 전에 위치하고 있던 디스플레이(130)의 위치에 따라 그 적응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측정위치 각각에 대한 적응시간이 결정된 경우, 제어부(190)는 결정된 적응시간을 반영하여 위치별 디스플레이의 유지시간 또는 이동속도(V)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S340). 유지시간은 해당 위치에서 디스플레이(130)가 머무르는 시간이며, 이동속도(V)는 해당 위치를 통과하는 디스플레이(130)의 속도를 의미한다.
유지시간 또는 이동속도(V)가 결정된 후,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가 해당 위치에서 설정된 유지시간 동안 머무르거나 해당 위치를 설정된 이동속도로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이동부(150)를 제어한다(S350).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측정위치에 대한 적응시간을 고려하여 시력훈련을 수행하는 것은 사용자의 해당 위치에서의 적응력을 고려하여 시력훈련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력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시력훈련을 통한 모양체근의 강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시역(R1) 내에서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에 따른 타겟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적응력이 높다. 따라서, 명시역(R1) 내에서는 디스플레이(130)가 이동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머무르는 시간을 짧게 하여 훈련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면, 근접 비명시역(R2) 및 원격 비명시역(R3)에서는 타겟이미지에 적응하는 시간이 더 길어져 사용자의 안구의 적응력이 비교적 낮다. 따라서, 적응시간이 짧은 영역에서는 훈련구간(TR)의 폭을 비교적 크게 하고, 적응시간이 길게 걸리는 영역에서는 훈련구간의 폭을 비교적 작게 하여 사용자가 훈련 중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훈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훈련구간 내에 디스플레이가 머무르는 시간 즉, 디스플레이의 이동속도와 훈련구간의 폭을 사용자의 적응시간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시력개선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9)
-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안공을 갖는 하우징과;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 전방에 타겟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상기 접안공과 상기 디스플레이사이에 배치되는 렌즈와;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상기 접안공에 대해 접근 및 이격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동부와;사용자입력부와;상기 디스플레이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정시안 상태와 비정시안 상태가 전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임계위치에 해당하는 시인도 임계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시인도 임계확인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임계확인이 입력될 때의 디스플레이의 임계위치에 해당하는 시인도 임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근접 시인도 임계위치와 원격 시인도 임계위치에 기초하여 양 임계위치 사이의 명시역과 양 임계위치를 벗어난 원격 비명시역과 근접 비명시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시인도 임계위치들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변경될 때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훈련구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측정위치 중 적어도 한 측정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안구가 상기 타겟이미지에 대해 정시안 상태로 될 때까지의 적응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적응확인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이미지에 대한 상기 안구의 적응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정시안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적응확인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이미지에 대한 상기 안구의 적응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측정위치에서의 적응시간을 반영하여 위치별 상기 디스플레이의 유지시간과 이동속도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6/014739 WO2018110743A1 (ko) | 2016-12-15 | 2016-12-15 | 모양체근의 운동을 통한 시력훈련장치 |
CN201780061043.2A CN109803623B (zh) | 2016-09-30 | 2017-10-02 | 视力改善装置 |
EP17856865.5A EP3520762B1 (en) | 2016-09-30 | 2017-10-02 | Visual training device for training ocular muscles based on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
JP2019516539A JP7167010B2 (ja) | 2016-09-30 | 2017-10-02 | 視力改善装置および方法 |
EP24165559.6A EP4364644A3 (en) | 2016-09-30 | 2017-10-02 | Vision improving device |
ES17856865T ES2979050T3 (es) | 2016-09-30 | 2017-10-02 | Dispositivo de entrenamiento visual para entrenar los músculos oculares según las características visuales del usuario |
KR1020197008578A KR102541332B1 (ko) | 2016-12-15 | 2017-10-02 |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
SG11201902806YA SG11201902806YA (en) | 2016-09-30 | 2017-10-02 | Vision improving device |
PCT/KR2017/011094 WO2018062979A1 (ko) | 2016-09-30 | 2017-10-02 |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
US16/369,255 US11793707B2 (en) | 2016-09-30 | 2019-03-29 | Vision improving device |
JP2022171635A JP7474401B2 (ja) | 2016-09-30 | 2022-10-26 | 視力改善装置および方法 |
US18/466,885 US20240000652A1 (en) | 2016-09-30 | 2023-09-14 | Vision improv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6/014739 WO2018110743A1 (ko) | 2016-12-15 | 2016-12-15 | 모양체근의 운동을 통한 시력훈련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US15/281,530 Continuation US10512585B2 (en) | 2016-09-30 | 2016-09-30 | Device for exercising muscles in ey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US15/281,530 Continuation US10512585B2 (en) | 2016-09-30 | 2016-09-30 | Device for exercising muscles in eyes |
PCT/KR2017/011094 Continuation WO2018062979A1 (ko) | 2016-09-30 | 2017-10-02 |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10743A1 true WO2018110743A1 (ko) | 2018-06-21 |
Family
ID=6255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6/014739 WO2018110743A1 (ko) | 2016-09-30 | 2016-12-15 | 모양체근의 운동을 통한 시력훈련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1332B1 (ko) |
WO (1) | WO20181107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5227B1 (ko) * | 2020-08-27 | 2024-03-08 | 김성진 | 단안의 조절반응 범위의 차를 이용한 프리즘 처방 방법 |
KR102645226B1 (ko) * | 2020-08-27 | 2024-03-08 | 김성진 | 노안가입도 산출방법 |
WO2024025055A1 (ko) * | 2022-07-29 | 2024-02-01 | 주식회사 에덴룩스 | 시력훈련장치 및 시력훈련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7078A (ja) * | 1995-03-24 | 1996-10-08 | Minolta Co Ltd | 視力回復訓練装置 |
US20060103808A1 (en) * | 2003-01-16 | 2006-05-18 | Hidenori Horie | Eyesight improving device |
JP2009153658A (ja) * | 2007-12-26 | 2009-07-16 | Hollywood Mirror:Kk | 視力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装置 |
JP2010088539A (ja) * | 2008-10-06 | 2010-04-22 | Panasonic Corp | 視力回復訓練装置 |
JP2014038302A (ja) * | 2012-07-19 | 2014-02-27 | Takao Hayashi | 可変焦点眼鏡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31688A (en) * | 1976-04-26 | 1977-11-04 | Hirobumi Hayashi | Eyesight recovery driller |
JP2003047636A (ja) * | 2001-05-28 | 2003-02-18 | Nikon Corp | 眼疲労解消装置 |
JP2010148738A (ja) * | 2008-12-25 | 2010-07-08 | Panasonic Corp | 視力改善訓練装置および視力改善訓練制御プログラム |
-
2016
- 2016-12-15 WO PCT/KR2016/014739 patent/WO20181107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
- 2017-10-02 KR KR1020197008578A patent/KR102541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7078A (ja) * | 1995-03-24 | 1996-10-08 | Minolta Co Ltd | 視力回復訓練装置 |
US20060103808A1 (en) * | 2003-01-16 | 2006-05-18 | Hidenori Horie | Eyesight improving device |
JP2009153658A (ja) * | 2007-12-26 | 2009-07-16 | Hollywood Mirror:Kk | 視力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装置 |
JP2010088539A (ja) * | 2008-10-06 | 2010-04-22 | Panasonic Corp | 視力回復訓練装置 |
JP2014038302A (ja) * | 2012-07-19 | 2014-02-27 | Takao Hayashi | 可変焦点眼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1332B1 (ko) | 2023-06-09 |
KR20190087404A (ko) | 2019-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8062979A1 (ko) |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 |
WO2018110731A1 (ko) | 시력훈련장치 | |
ES2387782B1 (es) | Equipo y procedimiento para exploracion, diagnostico o ayuda al diagnostico y terapia de problemas funcionales de la vision | |
US9770168B2 (en) | Device for imaging an eye | |
US11793707B2 (en) | Vision improving device | |
WO2018225901A1 (ko) | 안구 운동 장치 | |
WO2018110743A1 (ko) | 모양체근의 운동을 통한 시력훈련장치 | |
WO2018110741A1 (ko) |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 |
CN109001915A (zh) | 一种Alvarez变焦智能眼镜 | |
WO2019117335A1 (ko) | 굴절률 조절이 가능한 렌즈를 갖는 시력훈련장치 | |
KR101911787B1 (ko) | 자동 초점 조절 안경 및 이의 구동 방법 | |
KR20190049186A (ko) | 시기능 강화 훈련 디바이스 | |
US20240206725A1 (en) | Optometric testing device and process | |
KR101882191B1 (ko) | 자동 초점 조절 안경의 구동 방법 | |
CN219148380U (zh) | 一种智能控制型视力矫正眼镜 | |
CN114236851B (zh) | 头戴显示器光机电协作控制系统、控制方法及头戴显示器 | |
KR102511785B1 (ko) | 졸음 방지 및 집중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안경 | |
CN115437146A (zh) | 利用vr技术进行视力补偿的方法及装置 | |
JP3799095B2 (ja) | 視度補正装置および視度補正装置を有する機器 | |
JPH0430113A (ja) | 眼科機能矯正用眼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69236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69236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