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60056A1 -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5160056A1 WO2015160056A1 PCT/KR2014/010026 KR2014010026W WO2015160056A1 WO 2015160056 A1 WO2015160056 A1 WO 2015160056A1 KR 2014010026 W KR2014010026 W KR 2014010026W WO 2015160056 A1 WO2015160056 A1 WO 2015160056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skin
- light absorption
- extract
- chlorophyll
- collag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8—Metal complex; Coordination compou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cosmetic photoreaction composition,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combined addition of collagen extract and chlorophyll extract can maximize the light absorption as well as ensuring stability that does not cause skin irritation during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irradiation It relates to a skin cosmetic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 LED light emitting diode
- LED light emitting diode
- LED is a semiconductor that emits light when electric current flows, and it can emit not only ultraviolet light, visible light, infrared light, but also the output and color.
- the side effect is small and does not damage other human tissues, so it is also suitable as a medical device.
-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permits the use of LEDs in the visible and near-infrared regions for human treatment.
- LEDs to treat the skin.
- blue light with short wavelengths is used to treat acne and seborrheic dermatitis because it attacks cells and germs
- red color is a protein that stimulates cells to form skin. It is used to prevent the aging by promoting the production of 'and elastin', and infrared rays are used for wound healing by helping cells regenerate.
- beauty managers can be divided into personal and hospital treatments, and personal beauty managers have a lower light intensity compared to hospital treatment beauty managers. If not, the positive effects of LED irradiation cannot be achieved.
- cosmetic products for personal and hospital treatment there is a problem of biological safety in which skin cells are destroyed, and thus, a material that helps the function of light that is safe and can increase the effect is necessary.
- photosensitize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combine with oxygen in the body and respond to light when irradiated with light to increase the effect of phototherapy.
- Representative photosensitizers include 5-ALA (5-aminolevulinic acid) and MAL (methylaminolevulinic acid),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under the names levula and metbics, respectively, which can be used under the prescription of a specialist and are used as personal phototherapy devices. Too much to use.
- products that are used for in vitro application to prevent skin irritation during phototherapy are not suitable for light sources used as general ultrasonic gels or basic cosmetics, but rather reduce the light absorpt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desired phototherapy. It can be reduced.
- 70% of light is lost while being reflected on the skin when irradiated with light therapy, so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light effect quickly and substantiall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in beauty photoresist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amount of light absorption while ensuring stability that does not cause skin irritation during LED light irradiation through the complex addition of collagen extract and chlorophyll extract. will be.
-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is to be applied to the human skin of the user to increase the light absorption, collagen extract (Collagen extract) and chlorophyll extract ( Chlorophyll extract) is added in an amount of 0.25 to 2.00% by weight and 0.25 to 2.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 cosmetic photoreaction composition, respectively.
-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by light stimulation of a specific wavelength band,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specific wavelength band irradiated rather than a light sensitizer that shows the effect through the chemical action of the center of the agonist at the target site By increasing the light therapy effect through the physical action of the optical center can be increased.
- the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is a chromophore which is a natural material that can absorb photons in response to a light source of 600 to 700 nm which is known to have a biological safety and beauty effect ( By adding a collagen extract and a chlorophyll extract as a chromph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light absorption while securing stability that does not cause skin irritation during LED light irradiation.
- 1 to 6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measuring absorbance for each added amount of collagen and chlorophyll.
- Figure 7 is a photograph of the back of the 6-week-old male rat before and after LED light irradiation and sample application.
- Figure 8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ear for ear edema observa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application of the LED light irradiation and the test sample for each experimental group.
- FIG. 9 compares the results of ear edema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LED light irradiation and test samples for each test group.
- FIG. 11 is a photograph observing histopathological changes through Masson trichrome tissue staining.
-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is to be applied to the human skin of the user to increase the light absorption, collagen extract (Collagen extract) and chlorophyll extract (Chlorophyll extract) based on solid content To 0.25 to 2.00% by weight and 0.25 to 2.0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kin care photoreaction composition.
- Collagen and chlorophyll extracts are chromphores, which are natural materials that can absorb photons in response to a light source (630 nm), which is known to be biologically safe and have a cosmetic effect.
- the collagen extrac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25 to 2.00% by weight, based on solids,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skin care photoreac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referably 0.25 to 1.00% by weight. have.
- the amount of the collagen extract is less than 0.25% by weight, the combined effect with the chlorophyll extract may be insignificant and the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may be insignificant.
- the amount of the collagen extract added exceeds 2.00% by weigh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so it is not economical.
- the chlorophyll extrac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25 to 2.00% by weight based on solids,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skin care photoreac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referably 0.25 to 1.00% by weight. have.
- the added amount of chlorophyll extract is less than 0.25% by weight, the combined effect with the collagen extract may be insignificant, and thus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the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 the added amount of chlorophyll extract exceeds 1.00% by weight,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 the collagen extract and the chlorophyll extract is preferably added in a weight ratio of 1: 0.8 to 1: 1.2, which is to maximize the light absorption when the collagen extract and chlorophyll extract is added to the above range through the experiment Confirmed.
- the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ing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oe vera gel (aloe vera gel), glycerin (glycerin), wax (wax), essential oil (essential oil), collagen extract (Collagen extract), chlorophyll extract (Chlorophyll extract) and a solvent,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That is, in the case of the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collagen extract and chlorophyll extract is ad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various gel-type basic cosmetic compositions may be used. Do.
- the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a light absorption of 2.4 ⁇ 4.8mW / cm 2 when the light irradiation of 500 ⁇ 900nm wavelength.
- the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when applied to the human skin of the user when using the LED mounted skin stimulator, LED mounted skin treatment device, LED mounted electric stimulation device, etc.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absorption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in addition to the skin treatment effect such as scalp, wrinkles, whitening, it can exhibit excellent effects such as abdominal lipolysis.
- the light irradiation is made in a non-contact way using LED, so that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without objection or discomfort to the user, and the light absorption increase effect in response to the light source of 600 ⁇ 700nm.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eat skin inflammation and skin wrinkles within a short time.
- the skin beauty photoresist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ight absorption enhancing effect is activated by light stimulation in a specific wavelength range and is irradiated instead of a photosensitizer which shows an effect through chemical action of the center of the active substance at a target site.
- a photosensitizer which shows an effect through chemical action of the center of the active substance at a target site.
- the skin beauty photoreaction composition excellent i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effect is a natural material that can absorb photons in response to a light source of 600 ⁇ 700nm is known to have a biological safety and beauty effect
- the collagen extract and the chlorophyll extract as a chromphore in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mount of light absorption while ensuring stability that does not cause skin irritation during LED light irradiation.
- the use of light of 600 ⁇ 700nm as a light source is to exclude ultraviolet rays harmful to the human body in the case of sunlight because it includes both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infrared rays.
- the light-absorbing skin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llagen (Collagen) and chlorophyll (Chlorophyll) shown in Table 1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ratio of Table 2 of the polystyrene material (Cell cultrue dish, SPL Life Science CO., Ltd, Korea)
- the base irradiance at the time of LED light irradiation on an area of 4 ⁇ 4cm of 100 ⁇ dish surface and 2g each of the light absorbing skin cosmetic composition on the area of 4 ⁇ 4cm of 100 ⁇ dish surface are applied to the LED light irradiation.
-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mW / cm 2 ) was measured using a spectroradiometer (Field Spec 4, ASD Inc, USA).
- the experimental animals used in this experiment are reported as the closest experimental animals to human skin. 6-week-old male rats (20 ⁇ 27g, HR-1 hairless mouse, Japan SLC Inc, Shizuoka, Japan), purchased from Central Experimental Animals (Seoul, Korea) and adapted for 1 week in experimental animal history Used for. Feed and water were freely ingested during the experiment. The temperature of the feeding room was 22 ⁇ 2 °C and the humidity was 55 ⁇ 15% and contrast were maintained for 12 hour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s shown in Table 3. Five animal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This anima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 of Daegu Techno Park Bio Health Convergence Center and considering ethical aspects.
- IACUC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 a base gel sample and collagen (collagen) and chlorophyll (chlorophyll) added to the skin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and used.
- Norma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NO) the control group (CO) is made only the LED light irradiation without the application of the base gel sample
- the experimental group (BL) is applied to the LED light irradiation after applying the base gel sample
- the skin cosmetic composition After the coat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DL) LED light irradiation was applied to each of the 200mg of the sample to the distribution site.
- LED illumination is 18 ⁇ 6
- erythema was based on the evaluation table of skin irritation response shown in Table 4 corresponding to the toxicity test standard of medicines through daily visual observation during the entire experiment period. No animals (0 points), very light erythema (1 point), obvious erythema (2 points), slightly severe erythema (3 points), severe erythema and mild skin (4 points) The average value was calculated per experimental group and the calculated value (score) was compared at weekly intervals.
- the ear thickness of each animal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the LED light irradiation and the sample treatment, and the degree of ear edema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evaluated. Ear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caliper (CD-10CPX, Mitutoyo, Kawasaki, Japan).
- the skin erythema index (Mexameter,) using a skin measuring device (Multiprobe Adapter System, MPA5 580, Courage & Khazaka Gmbh, Cologne, Germany) once a week MX18), skin moisture index (Corneometer, CM825) and skin oil index (Sebumeter, SM815) were measured.
-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oom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2 ° C. and the humidity was 45%.
- the skin of the abdominal region of 6-week-old male mouse (HR-1 hairless mouse) was measured three times in succession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 the distal tissue of each experimental animal was taken and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solution for 24 hours.
- the immobilized tissue is dehydrated by taking sections containing the entire skin layer, embedded in paraffin blocks, cut into 4 ⁇ m thickness using a tissue slicer (RM2125, Leica, Wetzlar, Germany), and then polylysine. It was used to attach to a slide coated with. Tissue sections were removed with paraffin (xylene), washed with distilled water for 10 minutes with alcohol and distilled water, and then hematoxylin-Eojin (Hematoxylin) to observe the changes in skin tissue. In order to observe the eosin staining and collagen fiber form in the dermis, Masson trichrome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xio imager, Carl Zeiss, USA).
- 1 to 6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measuring absorbance for each added amount of collagen and chlorophyll.
- the increase in light absorption according to the mixing conditions of the collagen and chlorophyll was confirmed numerically by measuring the absorbance in the range of 500 ⁇ 900nm using a spectrophotometer, proportional to the addition amount of collagen and chlorophyll
- the absorbance value was increased at the wavelength of 500 ⁇ 700nm, and the absorbance level was the highest at the wavelength of 630nm.
- chlorophyll in the collagen and chlorophyll is a material mainly affects the increase in light absorp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absorption is increased more when combined with collagen than added alone.
- the addition of collagen acts synergistically to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ght absorption of chlorophyll, but the increase of the light absorption by the addition of excess compared to chlorophyll did not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does not play a synergistic role in the increase in light absorption, and it was found that it is optimal to mix the ratio of collagen and chlorophyll in a weight ratio of 1: 1 as the optimum mixing condition by showing the light absorption increase effect among the composite composition ratio.
- the increase in light absorption at 630nm of the composite made by adding 1wt% of collagen and chlorophyll, respectively was confirmed as compared with the sterilized distilled water used as a solvent. Therefore, by confirm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ght absorption of the chlorophyll and collagen complex expected to respond to the LED light source 630nm to increase the photon absorption, the composite serves as a natural light absorber suitable for LED 630nm phototherapy.
- LED phototherapy is known to be safe for the human body
- the skin is treated using 6-week-old male mice (Hairless mice), which are known to be similar to human skin in consideration of causing skin irritation or damage due to increased light absorption due to the increased light absorption.
- a safety assessment was performed.
- the skin is composed of the epidermis, the dermis, and the subcutaneous tissue, and covers the entire body and is the primary defense against chemicals, mechanical damage, and heat from the outside. Therefore, common symptoms of skin irritation are vasodilation, fever, pain, and edema. The erythema and swelling caused by vasodilatation during skin irritation test are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on.
- Figure 8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ar thickness for ear edema observatio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LED light irradiation and experimental samples for each experimental group
- Figure 9 is the ear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application of LED light irradiation and experimental samples for each experimental group The edema measurement results are compared and shown.
- the ear thicknesses before the LED light irradiation were 0.15 mm and 0.16 mm, respectively, and the ear thicknesses after 4 weeks of the LED light irradiation were 0.17 mm and 0.18, respectively.
- mm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slight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 the BL and DL groups also had 0.16mm and 0.16mm ear thickness before LED light irradiation and test sample application, and the ear thicknesses after 0.1 weeks of LED light irradiation and test sample application were 0.17mm and 0.16mm, respectively. There was no change in thicknes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edema formation did not occur in all experimental groups.
- the skin cells and tissues are damaged, and at the same time, the immune cells induce a series of inflammatory reactions to minimize the damage and further restore the damaged area. That is, the diameter of blood vessels increases as the amount of blood flow in the capillaries present around the damaged area increases, which causes erythema and edema. Therefore, the results of edema formation were compared to confirm skin irritation and skin damage caused by LED light irradiation and experimental treatment by measuring ear thickness of 6-week-old male mice in each experimenta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no edema formation was found. Through this, LED light irradiation as well as the LED light irradiation in parallel with the sample to which the light absorbing material is added is known to be harmless to skin irritation.
- Table 6 shows the results of erythema incidence of 6-week-old male rats in each experimental group by LED light irradiation and experimental sample treatment
- Tables 7 and 8 show 6-week-old age of each experimental group by LED light irradiation and experimental sample treatment. The result of measuring the oil content of the male rats is shown.
- lipid oxidation of the stratum corneum is triggered, which reduces water and oil in the skin tissue.
- erythema develops due to deep inflammatory reactions and increased blood flow.
- Skin irritation can be identified in two main ways. First, skin barrier function deterioration due to damage to the stratum corneum and loss of lipids can be evaluated by measuring the moisture and oil content of the epidermis and the transdermal moisture loss. In addition, the reaction of skin erythema or edema due to the expansion of blood vessels in the dermis and secretion of inflammatory factors may be performed by measuring blood flow rate or erythema degree using a colorimeter.
- the skin erythema, moisture content, and oil content were examined once a week using the skin measurement device. Compared with the NO group, all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 skin damage by LED light irradiation and sample application does not occur.
- FIG. 10 is a photograph of histopathological changes through hematoxylin and eosin tissue staining
- FIG. 11 is a photograph of histopathological changes through Masson trichrome tissue staining.
-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through staining of hematoxylin and eosin and Masson trichrome to confirm the degree of skin tissue damage.
- the epidermis of the BL group and the DL group appeared smoother than the normal group (NO) and the control group (CO), and the cells and tissues constituting the dermal layer in all four groups. No abnormality in the arrangement was observed.
- the collagen and chlorophyll as a natural material that can contribute to increase the light absorption,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a spectrophotometer to measure the degree of light absorption in the wavelength range of 630nm, they can increase the light absorption It was confirmed that.
- the skin irritation safety evaluation of the skin cosmetic composition of the natural collagen and chlorophyll complex was tested using 6 weeks old male (HR-1 hairless mice). Preclinical evaluation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was secured that does not cause skin irritation during the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의 복합 첨가를 통해 LED 광 조사시 피부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 안정성의 확보와 더불어 광흡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의 복합 첨가를 통해 LED(light emitting diode) 광 조사시 피부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 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광흡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명으로 많이 쓰이는 발광다이오드(LED)가 광 치료의 주요 광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LED는 전류를 흘려주면 빛을 내는 반도체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 모든 빛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과 색깔까지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가 낮고 원하는 파장의 빛만 낼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고 다른 인체 조직에 피해를 주지 않아 의료용 기구로도 적합하다. 이 때문에, 미국식품의약국(FDA)은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LED를 인체 치료를 위해 쓸 수 있도록 허가하고 있다.
최근 피부과에서도 LED를 이용해 피부를 치료하고 있으며, 그 예로는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세포와 병균을 공격하기 때문에 여드름이나 지루성피부염 치료에 쓰이고, 붉은빛은 세포를 자극해 피부를 이루는 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여 노화를 막는 기능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적외선은 세포 재생을 도와 상처 치유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남녀불문하고 미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하고 바쁜 현대의 생활패턴으로 미용관리기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면서 광요법을 적용한 미용관리기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용관리기는 개인용과 병원 치료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개인용 미용관리기는 병원 치료용 미용관리기와 비교하여 빛의 세기가 낮으며 빛의 세기를 너무 낮출 경우 에너지가 낮아 피부의 표피를 뚫지 못하면 LED 조사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결과될 수 없다. 또한, 개인용 및 병원 치료용 미용관리기 제품의 경우 피부세포가 파괴되는 생체학적 안전의 문제가 따르므로 안전하면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빛의 기능을 돕는 물질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광요법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체내에 투입하여 광선을 조사하게 되면 체내 산소와 결합하고, 빛에 반응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광감작제(photosensitizer)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광감작제로는 5-ALA(5-aminolevulinic acid) 및 MAL(methylaminolevulinic acid)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레불란과 메트빅스라는 이름으로 상용화되어 있으며, 이는 전문의의 처방하에 사용이 가능하여 개인용 광요법기기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 외, 광요법시 피부자극 방지를 위해 체외 도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은 일반 초음파 젤이나 기초 화장품류로써 사용되는 광원에 적합하지 않고 도포로 인해 오히려 광흡수율을 저하시켜 목적하는 광요법의 효능을 저감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요법에 따른 광 조사시 빛의 70%가 피부에 반사되면서 손실되어 목적하는 광효과를 빠르고 실질적이게 얻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5687호(2002.10.0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의 복합 첨가를 통해 LED 광 조사시 피부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 안정성의 확보와 더불어 광흡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사용자의 인체 피부에 도포되어 광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콜라겐 추출물(Collagen extract) 및 엽록소 추출물(Chlorophyll extract)이 고형분 기준으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 ~ 2.00 중량% 및 0.25 ~ 2.00 중량%로 각각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특정 파장대의 빛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목적 부위에서 작용물질 중심의 화학적 작용을 통한 효과를 나타내는 광감작제가 아닌 조사되는 특정 파장대의 광 흡수율을 증대시켜 광 중심의 물리적 작용을 통한 광요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미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600 ~ 700nm의 광원에 반응하여 광자(photon)를 흡수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인 발색단(chromphore)으로써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첨가함으로써, LED 광 조사시 피부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 안정성의 확보와 더불어 광흡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콜라겐과 엽록소의 첨가량별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LED 광조사 및 시료 도포 전후에 6주령된 수컷 쥐의 등 부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각 실험군별 LED 광 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전과 실험 최종일에 귀 부종관찰을 위한 귀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각 실험군별 LED 광 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전과 실험 최종일에 귀 부종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헤마톡실린 에오진(hematoxylin and eosin) 조직 염색을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1은 마손 트라이크롬(Masson trichrome) 조직 염색을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사용자의 인체 피부에 도포되어 광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콜라겐 추출물(Collagen extract) 및 엽록소 추출물(Chlorophyll extract)이 고형분 기준으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 ~ 2.00 중량% 및 0.25 ~ 2.00 중량%로 각각 첨가된다.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 각각 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미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광원(630nm)에 반응하여 광자(photon)를 흡수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인 발색단(chromphore)이다.
상기 콜라겐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고형분 기준으로 0.25 ~ 2.0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 1.00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콜라겐 추출물의 첨가량이 0.2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엽록소 추출물과의 복합 첨가 효과가 미미하여 광흡수 증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대로, 콜라겐 추출물의 첨가량이 2.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상승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엽록소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고형분 기준으로 0.25 ~ 2.0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 1.00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엽록소 추출물의 첨가량이 0.2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콜라겐 추출물과의 복합 첨가 효과가 미미하여 광흡수 증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엽록소 추출물의 첨가량이 1.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특히,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 1 : 0.8 ~ 1 : 1.2의 중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의 범위로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첨가될 시, 광흡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알로애 베라 겔(aloe vera gel), 글리세린(glycerin), 왁스(wax), 정유(essential oil), 콜라겐 추출물(Collagen extract), 엽록소 추출물(Chlorophyll extract) 및 용매로 조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의 경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을 상기의 함량 범위로 첨가되는 범위라면, 다양한 젤 타입의 기초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500 ~ 900nm 파장의 광 조사시, 2.4 ~ 4.8mW/cm2의 광흡수량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LED 탑재형 피부자극기, LED 탑재형 피부치료기, LED 탑재형 전기자극장치 등의 사용시 사용자의 인체 피부에 도포할 경우 특정 파장대에서의 광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바, 두피, 주름, 미백 등의 피부 치료 효과와 더불어, 복부지방분해 등의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을 도포한 후, LED를 이용한 비접촉식으로 광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게 거부감이나 불쾌감 없이 시술할 수 있게 되며, 600 ~ 700nm의 광원에 반응하여 광흡수 증대 효과를 도모하여 단시간 내에 피부 염증 및 피부 주름 등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특정 파장대의 빛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목적 부위에서 작용물질 중심의 화학적 작용을 통한 효과를 나타내는 광감작제가 아닌 조사되는 특정 파장대의 광 흡수율을 증대시켜 광 중심의 물리적 작용을 통한 광요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 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미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600 ~ 700nm의 광원에 반응하여 광자(photon)를 흡수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인 발색단(chromphore)으로써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첨가함으로써, LED 광 조사시 피부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 안정성의 확보와 더불어 광흡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광원으로 600 ~ 700nm의 빛을 이용하는 것은 태양광의 경우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 실험 재료 및 방법
I. 콜라겐과 엽록소 복합물의 광흡수 효과
1. 광흡수율 측정
용매로써 멸균증류수를 사용하여 콜라겐(Hanamai, fish collagen, AFC-HD AMS Life Science. Co. Ltd, Japan)과 엽록소l(DeSouza Liquid Chlorophyll, DeSouza International Inc, USA)를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용해하여 각 배합조건별 혼합시료에 대한 광흡수도를 분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 Uvicon)를 사용하여 500~900nm까지의 광흡수 정도(Abs: Absorbance, 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표 1] (단위 : 중량%)
표 1에 도시된 콜라겐(Collagen)과 엽록소(Chlorophyll)의 함유 유무에 따른 광흡수 피부 미용 조성물을 표 2의 조성비로 제조하여 폴리스티렌 소재(Cell cultrue dish, SPL Life Science CO., Ltd, Korea)의 100φ 접시(dish) 표면 4 x 4cm 면적에 LED 광 조사시의 광흡수 정도(base irradiance)와 100φ 접시(dish) 표면 4 x 4cm 면적에 광흡수 피부 미용 조성물 2g씩을 각각 도포하여 LED 광 조사시의 광흡수 정도(sample irradiance)를 분광방사휘도계(Field Spec 4, ASD Inc, USA)를 사용하여 흡수되어지는 광량(mW/cm2)을 측정하였다.
[표 2] (단위 : 중량%)
II. 콜라겐과 엽록소 복합물을 처리한 LED 광요법시 피부안전성 평가
1. 실험동물 및 실험군 설정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실험동물은 사람의 피부와 가장 가까운 실험동물로써 보고되고 있는 6주령된 수컷 쥐(20~27g, HR-1 hairless mouse, Japan SLC Inc, Shizuoka, Japan)로, (주)중앙실험동물(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실험 동물사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기간 중 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시켰으며, 사육실의 온도는 22±2℃, 습도는 55±15%, 그리고 명암은 12시간 주기를 유지하였다. 실험군은 표 3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실험군 당 5 마리씩 배정하였다. 이 동물실험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원칙을 준수하며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표 3]
2. LED 광조사 및 시료 처치
실험시료로 베이스 겔 샘플과, 콜라겐(collagen)과 엽록소(chlorophyll)가 첨가된 피부 미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는 정상군(NO)과, 베이스 겔 샘플의 도포 없이 LED 광조사만 이뤄지는 대조군(CO)과, 베이스 겔 샘플을 도포한 후 LED 광조사가 이뤄지는 실험군(BL)과, 피부 미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LED 광조사가 이루어진 실험군(DL)은 각각 해당 시료 200mg을 배부 부위에 도포하였다. LED 광조사는 18 × 6 배열의 108개 LED로 구성된 광조사기를 자체 제작하여 NO 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 630nm과 830nm 파장을 동시에 10분간 조사하는 조건(각 파장 광량은 12.5J/cm2과 86.7 J/cm2)으로 수행하였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 겔 샘플 및 피부 미용 조성물의 도포와 LED 광 조사는 1회/일, 4주간 실시하였다.
3. 피부반응 평가
LED 광 조사 및 시료 처치에 따른 각 실험군의 피부자극반응 평가를 위하여 전 실험기간 동안 매일 육안관찰을 통해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해당하는 표 4에 도시된 피부자극반응 평가표를 기준으로 하여, 홍반이 전혀 없음(0점), 아주 가벼운 홍반(1점), 분명한 홍반(2점), 약간 심한 홍반(3점), 심한 홍반과 가벼운 정도의 가피(4점)로 각 실험동물들을 채점하여 각 실험군 당 평균값을 산출하고 일주일 간격으로 산출값(스코어)을 비교하였다.
[표 4]
4. 귀 두께 측정
LED 광조사 및 시료처치에 따른 각 실험군의 피부자극 및 손상평가를 위하여 LED 광조사 및 시료처치 시작 전과 종료 후에 각 실험동물들의 귀 두께를 측정하여 실험 전후의 귀 부종 정도를 평가하였다. 귀의 두께는 디지털 캘리퍼(Digital caliper, CD-10CPX, Mitutoyo, Kawasaki,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피부 측정
LED 광조사 및 시료처치에 따른 각 실험군의 피부지수변화를 확인하고자 주 1회에 피부 측정기기(Multiprobe Adapter System, MPA5 580, Courage & Khazaka Gmbh, Cologne,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홍반지수(Mexameter, MX18), 피부수분지수(Corneometer, CM825) 및 피부유분지수(Sebumeter, SM815)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실내온도 22℃, 습도 45%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계측하였으며 6주령된 수컷 쥐(HR-1 hairless mouse)의 배부 부위 피부를 3번 연속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6. 조직병리학적 검사
LED 광조사 및 시료처치에 따른 각 실험군의 피부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위하여 실험종료 후 각 실험동물의 배부조직을 채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formalin) 용액에 24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피부전층을 포함하는 절편을 취하여 탈수시킨 후, 파라핀(paraffin) 블록에 포매하여 조직 절편기(RM2125, Leica, Wetzlar, Germany)를 이용하여 4μm 두께로 절단한 다음 폴리리신(polylysine)으로 코팅된 슬라이드(slide)에 붙여 사용하였다. 조직절편은 자일렌(xylene)을 이용하여 파라핀(paraffin)을 제거하고 알코올과 증류수로 10분 동안 함수시켜 증류수로 세척한 후, 피부조직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에오진(Hematoxylin-Eosin) 염색과 진피 내 교원질 섬유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마손 트라이크롬(Masson trichrome)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Axio imager, Carl Zeiss, USA)을 통해 관찰하였다.
7. 통계 분석
실험 결과의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인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결과는 각 실험군별 평균값을 표시하였다.
□ 결과 및 고찰
I. 콜라겐과 엽록소 복합물의 광흡수 효과
1. 광흡수 효과
도 1 내지 도 6은 콜라겐과 엽록소의 첨가량별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라겐과 엽록소의 배합 조건별의 광흡수 증가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00 ~ 900nm 범위의 흡광도 측정을 통해 수치로 확인한 결과, 콜라겐과 엽록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500 ~ 700nm 파장에서 흡광도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630nm 파장에서 흡광도 수치 증가량이 최고였다.
특히, 콜라겐 및 엽록소 중 엽록소가 광흡수 증대에 주요적으로 영향을 주는 소재이며, 단독으로 첨가되는 것 보다 콜라겐을 복합적으로 배합시 더욱 광 흡수율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콜라겐 및 엽록소의 배합시, 콜라겐의 첨가는 엽록소의 광흡수 증대효과에 시너지적으로 작용하나, 엽록소에 대비하여 과량 첨가로 월등하게 증가한 광흡수 증대 효과는 결과하지 않았으며, 소량 첨가시에는 광흡수 증대에 시너지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복합물 구성비 중 광흡수 증대 효과를 나타내 최적 배합조건으로 콜라겐과 엽록소의 첨가 비율을 1 : 1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이 최적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때, 콜라겐과 엽록소를 각각 1wt%를 첨가하여 만든 복합물의 630nm에서 광흡수 증대 효과를 용매로 사용된 멸균증류수와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도 5와 같이 확연히 증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LED 광원 630nm에 반응하여 광자 흡수 증대에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한 엽록소와 콜라겐 복합물의 광흡수 증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 복합물은 LED 630nm 광요법에 적합한 천연 광흡수제로의 역할을 한다.
2. 광흡수 효과
콜라겐과 엽록소가 첨가된 제품이 광흡수 증대 효과를 결과하는지 확인하고자 이들 소재 추출물이 최종 1wt%와 0.25wt%씩 첨가된 젤 타입의 화장품을 제조하여 실험용 접시(dish)에 정량 도포하여 LED 630nm 파장 광이 흡수되는 광량(mW/cm2)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콜라겐 및 엽록소가 첨가되지 않은 베이스 겔 샘플의 경우, 0.27mW/cm2 이였으며 최종 1wt%의 콜라겐과 엽록소를 첨가한 샘플의 경우 4.74mW/cm2, 0.25wt%의 콜라겐과 엽록소를 첨가한 샘플의 경우 2.41mW/cm2으로 콜라겐과 엽록소의 배합비에 의존하여 광 흡수량 증가 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II. 콜라겐과 엽록소 복합물을 처리한 광요법시 피부안전성 평가
1.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에 의한 피부자극반응 관찰
LED 광요법이 인체에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광흡수율 증대 소재로 인해 증가된 광흡수로 인해 피부 자극 또는 손상 유발을 고려하여 사람 피부와 유사하다고 알려진 6주령된 수컷 쥐(Hairless mice)를 이용하여 피부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주간의 관찰기간 동안 아무것도 처리하지 정상군(NO)과 LED 광조사 처리만 이뤄진 대조군(CO)을 육안 관찰한 결과, 두 실험군 모두 전 실험기간 동안 피부자극반응 평가점수가 ‘0’점으로 나타났으며 LED 광조사에 의한 홍반 형성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베이스 겔 샘플을 도포한 후 LED 광 조사를 실시한 실험군(BL)과 콜라겐과 엽록소가 복합적으로 첨가된 피부 미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LED 광 처리를 실시한 실험군(DL)을 관찰한 결과에서도 홍반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LED 광조사 및 시료 도포 전후에 6주령된 수컷 쥐(HR-1 hairless mice)의 등 부위 촬영사진을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 전체를 덮어 외부로부터의 화학물질, 기계적 손상 및 열에 대한 1차적 방어조직이다. 따라서, 피부자극이 관찰되는 공통증상은 혈관확장과 발열, 동통, 부종 등이며 피부자극시험 시 혈관확장에 의한 홍반과 부종의 정도가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각 실험군별 6주령된 수컷 쥐(HR-1 hairless mice)의 배부 부위에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후 홍반 형성과 같은 피부자극 여부를 육안관찰 한 결과 실험된 모든 군에서 홍반 형성 및 기타 피부자극 손상 여부가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LED 광조사는 물론 광흡수 소재가 첨가된 시료와 병행된 LED 광 조사는 피부 자극에 무해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5]
2.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에 의한 귀 부종 관찰
도 8은 각 실험군별 LED 광 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전과 실험 최종일에 귀 부종관찰을 위한 귀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각 실험군별 LED 광 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전과 실험 최종일에 귀 부종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군과 CO군의 경우, LED 광조사 전의 귀 두께가 각 0.15mm과 0.16mm로 결과 되었으며, LED 광 조사 4주 후의 귀 두께가 각 0.17mm와 0.18mm로 나타나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L군과 DL군도 LED 광 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전의 귀 두께가 각 0.16mm과 0.16mm이였으며, LED 광 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4주 후의 귀 두께가 각 0.17mm과 0.16mm로 측정되어 유의적인 귀 두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모든 실험군에서 부종 형성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부 요인으로 인해 피부가 자극 받게 되면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면역세포들은 손상을 극소화하고 나아가 손상 부위를 원상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홍반과 부종이 초래된다. 따라서, 각 실험군별 6주령된 수컷 쥐(Hairless mice)의 귀 두께 측정을 통해 LED 광 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로 인한 피부자극과 피부손상을 확인하고자 부종형성 결과를 비교 확인하였으며,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부종 형성이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LED 광 조사는 물론 광흡수 소재가 첨가된 시료와 병행된 LED 광 조사는 피부자극에 무해한 것으로 파악된다.
3.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에 의한 피부지수의 변화 측정
표 6은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에 의한 각 실험군의 6주령된 수컷 쥐의 홍반 발생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표 7 및 표 8은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에 의한 각 실험군의 6주령된 수컷 쥐의 유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표 6]
[표 7]
[표 8]
표 6 내지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홍반지수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에 의한 피부 홍반의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도포 후 피부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각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홍반 및 수분함량 측정결과와 마찬가지로 피부유분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LED 광조사 및 실험시료 처치에 의한각 실험군 간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자외선 및 항원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가 손상 받게 되면 각질층의 지질산화가 유발되어 피부 조직 내 수분과 유분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심화된 염증반응과 혈관 내 혈류량의 증가로 인해 홍반이 발생하게 된다. 피부 자극은 크게 두 가지 측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피부 각질층의 손상 및 지질 손실에 의한 피부 장벽 기능저하는 표피의 수분 및 유분함량, 경표피 수분손실량 측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진피 내 혈관의 확장 및 염증 인자 분비에 의한 피부 홍반이나 부종 등의 반응은 혈류 속도 측정 또는 비색계(colorimeter)를 이용한 홍반 정도 측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주 1회, 피부 홍반, 수분함량, 유분함량을 조사하였다. NO군과 비교 시, 다른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LED 광 조사 및 시료 도포에 의한 피부 손상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조직염색 결과
도 10은 헤마톡실린 에오진(hematoxylin and eosin) 조직 염색을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고, 도 11은 마손 트라이크롬(Masson trichrome) 조직 염색을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조직손상정도를 확인하고자 헤마톡실린 에오진(hematoxylin and eosin) 및 마손 트라이크롬(Masson trichrome) 조직 염색을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헤마톡실린 에오진 조직 염색을 통해 관찰한 결과, 정상군(NO)과 대조군(CO)에 비해 BL군과 DL군의 표피가 매끄럽게 나타났으며, 4군 모두 진피층을 구성하는 세포 및 조직배열에 대한 이상 없음이 관찰되었다.
□ 결론
본 발명에서는 광흡수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써 콜라겐과 엽록소를 선정하여 분광광도계와 분광휘도계를 사용하여 630nm 파장대의 광 흡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이들이 광흡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천연 소재인 콜라겐과 엽록소의 복합 첨가한 피부 미용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안전성 평가를 6주령 수컷 쥐(HR-1 hairless mice)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광흡수 증대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광 조사시 피부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 안정성이 확보된 것임을 전임상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사용자의 인체 피부에 도포되어 광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로써,콜라겐 추출물(Collagen extract) 및 엽록소 추출물(Chlorophyll extract)이 고형분 기준으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 ~ 2.00 중량% 및 0.25 ~ 2.00 중량%로 각각 첨가되고,상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 상호 복합적으로 첨가되어, 600 ~ 700nm 파장대의 빛에 대한 광흡수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상기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 ~ 1.00 중량% 및 0.25 ~ 1.00 중량%로 각각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1 : 0.8 ~ 1 : 1.2의 중량비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알로애 베라 겔(aloe vera gel), 글리세린(glycerin), 왁스(wax), 정유(essential oil), 콜라겐 추출물(Collagen extract), 엽록소 추출물(Chlorophyll extract) 및 용매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은500 ~ 900nm 파장의 광 조사시, 2.4 ~ 4.8mW/cm2의 광흡수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630nm 파장의 빛에서 최대 광흡수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480078078.3A CN106413679B (zh) | 2014-04-15 | 2014-10-23 | 光吸收增强效果良好的皮肤美容光反应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4692A KR101427205B1 (ko) | 2014-04-15 | 2014-04-15 |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KR10-2014-0044692 | 2014-04-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60056A1 true WO2015160056A1 (ko) | 2015-10-22 |
Family
ID=5174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4/010026 WO2015160056A1 (ko) | 2014-04-15 | 2014-10-23 |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7205B1 (ko) |
CN (1) | CN106413679B (ko) |
WO (1) | WO20151600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7908B1 (ko) * | 2015-10-13 | 2017-07-14 | 에인에이 (주) |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
KR102264609B1 (ko) * | 2021-02-01 | 2021-06-11 | 김순선 | 다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8888A (ko) * | 2001-08-22 | 2004-06-10 | 라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 여드름의 치료방법 및 치료용 장치 |
KR20090102033A (ko) * | 2008-03-25 | 2009-09-30 | 송원무 | 목초액과 백토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
WO2013149323A1 (en) * | 2012-04-02 | 2013-10-10 | Ntegrity | Natural products for skin care |
KR20140035565A (ko) * | 2012-09-14 | 2014-03-24 | 동성제약주식회사 | 여드름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한 클로린 e6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48222A1 (en) * | 2005-12-28 | 2007-06-28 | Discovery Partners Llc | Skin treatment compositions containing copper-pigment complexes |
FR2924021B1 (fr) * | 2007-11-27 | 2010-08-13 | Du Vernet Michele Eymard |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 la peau par therapie photodynamique |
-
2014
- 2014-04-15 KR KR1020140044692A patent/KR1014272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0-23 CN CN201480078078.3A patent/CN106413679B/zh active Active
- 2014-10-23 WO PCT/KR2014/010026 patent/WO201516005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8888A (ko) * | 2001-08-22 | 2004-06-10 | 라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 여드름의 치료방법 및 치료용 장치 |
KR20090102033A (ko) * | 2008-03-25 | 2009-09-30 | 송원무 | 목초액과 백토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
WO2013149323A1 (en) * | 2012-04-02 | 2013-10-10 | Ntegrity | Natural products for skin care |
KR20140035565A (ko) * | 2012-09-14 | 2014-03-24 | 동성제약주식회사 | 여드름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한 클로린 e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413679B (zh) | 2019-07-12 |
KR101427205B1 (ko) | 2014-08-08 |
CN106413679A (zh) | 201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95704B2 (en) | Ultraviolet light applicator system and method | |
Fabi et al. | The effects of filtrate of the secretion of the Cryptomphalus aspersa on photoaged skin | |
KR101374327B1 (ko) |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JP7454492B2 (ja) | 皮膚障害に対する光線力学的治療方法 | |
WO2015160056A1 (ko) |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
Gebbers et al. | Water-filtered infrared-A radiation (wIRA) is not implicated in cellular degeneration of human skin | |
US8226634B2 (en) | Method for protecting mammalian skin against upcoming photodamage | |
Tanaka et al. | The impact of near-infrared in plastic surgery | |
CN107625956B (zh) | 一种木瓜蛋白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16421516A (zh) | 一种美白淡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16492255A (zh) | 一种美白淡斑精华液及其制备方法 | |
CN116473856A (zh) | 一种美白亮肤面膜精华液及其制备方法、一种美白亮肤面膜 | |
Castañeda-Alarcón et al. | Photoprotective activity of a cream containing lyophilized aqueous extract of Lepidium meyenii (MACA) against ultraviolet irradiation on mouse skin | |
JPH11302145A (ja) | 日やけ止め化粧料 | |
ES2716028T3 (es) | El uso de un extracto celular fotosintético que comprende tilacoides funcionales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 |
WO2017034260A1 (ko) |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 | |
Prawer | Sun-related skin diseases | |
Shivasaraun et al. | Vitiligo: A Review of its Aspects and Treatment Modalities | |
KR20130017871A (ko) | 리놀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 |
KR102562755B1 (ko) |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Swenson et al. | Therapeutic effect of NEO400, perillyl alcohol conjugated to linoleic acid, in a mouse model of UV‐induced skin damage | |
Lizarelli et al. | Biophotonic Based Orofacial Rehabilitation and Harmonization | |
Sureshkumar | Vitiligo: A Review of its Aspects and Treatment Modalities | |
Danciu et al. | Evaluation of skin physiological parameters in SKH1 mice experimental model after exposure to aggressive factors like UVB using non-invasive methods | |
Fitria et al. | The Effect of Giving Aloe Vera Gel on Collagen Growth in Wistar Rats (Rattus Norvegicus) with Exposure to Ultra Violet-B L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48892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48892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