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7471B1 -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471B1
KR960007471B1 KR1019920017835A KR920017835A KR960007471B1 KR 960007471 B1 KR960007471 B1 KR 960007471B1 KR 1019920017835 A KR1019920017835 A KR 1019920017835A KR 920017835 A KR920017835 A KR 920017835A KR 960007471 B1 KR960007471 B1 KR 960007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iquid crystal
composite
weight
fiberiz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740A (ko
Inventor
게이따 사사끼
마사도시 시노모리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11/16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comprising fillers or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fibr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B7/726Measuring properties of mixture, e.g. temperature or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29B7/823Temperat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9/14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fibre-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 B29C48/2886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of fillers or of fibrous materials, e.g. short-fibre reinfor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08L71/123Polyphenylene oxide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42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19/544Macromolecular compounds as dispersing or encapsulating medium around the liquid crys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79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23/00 - C08J2353/00
    • C08J2355/02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being liquid crystalline or anisotropic in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35Matrix admixed with synthetic fi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제1도는 복합체중의 열가소성수지와 액정수지(LCP)의 온도변화에 따른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복합체에서의 매트릭스수지에 대한 LCP의 함량이 미치는 복합체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서의 일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제4도는 나이론-6(PA-6)경우의 초기시료 및 재이용시료에 대한 인장강도와 액정중합체 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도는 PA-6 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비(-) 및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ABS경우의 초기료와 재이용시료의 인장강도와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7도는 ABS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비 및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8도는 PC/ABS 경우의 초기 스트랜드와 재이용 스트랜드의 인장강도와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9도는 PC/LCP 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비(-) 및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0도는 PPO/PA6 경우의 초기시료와 재이용 시료의 인장강도와 LCP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1도는 PPO/PA6 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비(-) 및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2도는 변성 PPO경우의 초기시료와 재이용 시료의 인장강도와 LCP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3도는 변성 PPO 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비(-) 및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4도는 PP 경우의 초기시료와 재이용 시료의 인장강도와 LCP함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5도는 PP 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비(-) 및 LCP함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6도는 PC경우의 초기시료와 재이용시료의 인장강도와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7도는 PBT경우의 초기시료와 재이용시료의 LCP함량 사이의 관례를 나타낸 그래프.
제18도는 PBT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브(-) 및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9도는 PC/PBT 경우의 초기 스트랜드와 재이용 스트랜드의 인장강도와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20도는 PC/PBT 경우의 인장강도, 유동길이비(-) 및 LCP함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특히 매트릭스수지에 대한 액정 수지의 함량이 낮은 경우의 수지로 강화된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에 적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매트릭스수지로서 열가소성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에 유리섬유또는 탄소섬유의 보강재를 첨가 혼합한 섬유강화 플라스틱(FRP)복합체의 재이용싱어 문제로 되어 그 대신 액정수지복합체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1-320128호 공보등).
그러나, 액정수지(이하, LCP라 한다)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되고 있는 바, 충분한 구조강화 특성이 얻어지려면 비용면에서 종래의 FRP에 대처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런데 이들 LCP를 상용하여 복합체를 형성할 경우 LCP와 열가소성 매트릭스수지를 LCP의 녹는점 이상(제1도의 c영역)으로 가열해서 일단 용융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LCP의 녹는점 이하의 매트릭스수지의 성형가능한 온도(제1도의 b영역)에서 성형하면 매트릭스수지내의 LCP의 섬유가 성형방향으로 배향하여 소정의 물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성형후 LCP가 매트릭스수지내에 있어서 섬유화하는 적정한 영역이 섬유화 불능영역과 상반전영역의 중가능로써 매트릭스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섬유화 적정영역이 고함유영역에 있는 경우가 있어 비교적 소량의 LCP의 배합에 의해서는 매트릭스수지내에서의 LCP섬유화가 불가능해져 소정의 물성을 얻을 수 없는 점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상반전이란 L상이 M상에 분산된 형태로부터 M상이 L상에 분산된 형태로, 또는 역으로 L이 액정상이고 M이 매트릭스 상인 경우의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섬유화 가능영역이란 LCP가 성형후 가로세로비(aspect ration)가 3이상되는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LCP함량이 간혹 섬유화 가능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매트릭스수지중의 LCP함량이 낮은 복합체를 원하는 경우에도 LCP가 섬유화 불가능하거나 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LCP함량이 섬유화 섬유화 가능영역의 하한치보다 적은 경우에도 매트릭스수지중에 분산된 LCP섬유함유 LCP복합체의 성형이 가능한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따르면, 매트릭스수지로서의 열가소성 수지와 이 열가소성 수지의 녹는점 또는 성형온도보다 높은 액정전이 온도를 갖는 LCP로 된 보강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LCP복합체를 성형하는데 있어서, 상기 LCP성분을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그 상반전 이하 섬유화 가능영역량 또는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량 배합하고, 액정전이 온도 이하의 매트릭스수지 성형온도에서 융압출하여 LCP섬유를 함유한 성형용 복합체원료를 얻으며, 섬유화 가능영역량 또는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량 이하에서 매트릭스수지와 상기 성형용 복합체원료의 혼합물로부터 LCP복합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P복합체의 성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LCP성분으로서는 고순도의 LCP대신에 매트릭스수지등의 LCP함량이 낮은 복합체를 사용해도좋다.
상기한 방법에 따라 섬유화 가능영역 이하에서 LCP함량이 낮은 LCP복합체를 성형하는 경우, 섬유화 가능영역의 혼합비율로 순수 LCP와 사용되는 LCP복합체를 배합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따르면, 섬유화 가능영역량 또는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량 이하의 LCP함량을 갖는 LCP복합체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LCP복합체에 소정의 LCP성분을 혼합비가 섬유화 가능영역량으로 되도록 조정배합하고, 액정전이온도 이하의 매트릭스수지의 성형온도나 녹는점에서 용융압출 하여 LCP섬유를 함유한 성형용 복합체원료를 얻으며, 매트릭스수지와 상기 성형용 복합체 원료로된 섬유화 가능영역이하의 혼합비율로 LCP복합체를 재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P복합체체의 재성형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섬유화 가능영역과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은 매트릭스수지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변한다.
예를들면, 나이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복합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50-70중량%가 바람직하다.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혼성중합체)매트릭스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바와같이 복합체의 중량에 기준하여 40-70중량%가 바람직하며, 그들 법주위 하한값은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매트릭스수지로서 폴리카르보네이트(PC)/ABS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섬유화가능영역이 복합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3-70중량%가 바람직하다.
한편, PPO/PA6(폴리페닐렌옥사이드/나이론)매트릭스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65중량%, 변성 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매트릭스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3-60중량%, PP(폴리프로필렌)매트릭스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75중량%, PC(폴리카보네이트)매트릭스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3-70중량%가 각각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들 범주는 신축성이 있으나, 하한치근방이나 하한치에서는 대부분의 액정중합체(LCP)가 가로세로비 3이하의 미립상으로 성형될수 있다.
따라서, LCP의 함량을 높여 용융압출하는게 좋다.
이런 이유로 인장강도와 유동길이비의 관점으로부터 상기한 섬유화 가능영역 범주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PC/ABS는 제8도 및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3-70중량%, PPO/PA6의 경우에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20-65중량%, 변성 PPO의 경우에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40-60중량%, PP의 경우에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40-70PPO, PC의 경우에는 제16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3-20PPO, PBT의 경우에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30-70중량%, PC/PBT의 경우에는 제19도 및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2-60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BS수지의 물성에는 제한이 없으며, 시판중인 ABS 수지류를 매트릭스수지로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인 시판품으로서는 예를들면 스미토모 다우사의 KRALASTICMH, 우베사이콘사의 CYCOLACT, 덴끼 가가꾸 고교사의 GR-200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수지의 물성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시판중인 폴리아미드 수지를 매트릭스수지로 사용할수 있는데, 특히 나이론-6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우베고산사의 1013B, 도레이사의 CM1017, 쇼와덴꼬사의 TECHNYL 216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LCP는 매트릭스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보강재로서 본 발명의 용융압출공정으로 뒤에 설명할 가로세로비를 갖는 섬유형상으로 되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LCP는 결정의 전이점이 매트릭스수지의 성형온도나 녹는점보다 높은 것, 바람직하게는 20℃이상 높은 것이다.
전이점이 매트릭스수지의 성형온도보다 낮게되면, LCP가 성형물중에서 섬유상으로 되지 않고, 섬유상으로 되어도 배향이 일정하지 않아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CP로서 종래 공지의 각종의 것이 적용가능하고,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들 중에서 열가소성의 액정 폴리에스테르와 열가소성의 폴리에스테르 마이드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하기에 기재한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X는 수소, 할로겐, 탄소수 4이하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ni=100이다.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각 구조식의 ni가 4이상이다.
또한, 각 식에 있어서 할로겐을 비롯하여 각종 치환기가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나타내지는 것은 본 발명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양호하게 성형하여 고강도, 고탄성율의 복합섬유로 되기 좋다.
마찬가지로 액정 폴리에스테르아미드로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하기의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을 들 수있다.
111
여기서, 각 구조식에서 ∑ni=100이다.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각 구조식의 ni가 15이상이다.
또한, 각 식에서 할로겐을 비롯하여 각종 치환기가 부가되어 있어도좋다. 이렇게 된 것들은 폴리아릴레이트로 된 LCP와 같이 용융 성형성이 있고 또한 고강성이다.
본 발명에 따라 용융 압출되는 수지조성물에는 내광제, 산화방지제, 가소제등을 첨가제로 가해도 좋고, LCP의 섬유성형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 어떤 첨가제를 사용해도 좋다.
이들 가운데 매트릭스상과 LCP섬유상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조화제, 예를들면 ABS수지,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매트릭스수지로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기나 산 무수물기를 갖는 혼합물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 아릴레이트수지또는 폴리아미드수지를 매트릭스수지로 사용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옥사졸리닐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혼합물에 의해 변성된 매트릭스수지를 함유하는 조화제를 들 수있다.
본 발명의 성형방법에서는 섬유화 적정영역의 LCP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일단 용융상태, LCP의 녹는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폴리머 분자로 배향성을 부여하는 상태로 성형 또는 성형용 재료화한다.
폴리머 분자로 배향성을 부여하는 상태는 압출성형, 사출성형등의 방법으로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직접성형하여 성형물품을 얻을 수도 있으나, 통상 압출성형후 높은 배향성이 LCP를 갖는 펠릿과 같은 성형을 원료를 통해 성형해 유지할수 있다.
또한, 원래의 LCP섬유를 성형중에 유지할수 있어서 최종제품에는 매트릭스수지중의 LCP섬유가 들어있기 때문에 매트릭스수지의 성형온도로부터 LCP의 전이온도까지의 범주내로 용융성형온도를 정하는 것이 좋다.
LCP의 섬유는 가로세로비(즉 길이/직경비)3이상,바람직하게는10이상갖는다.
가로세로비가 3미만이면 성형물의 이방성이 없고, 뱅향방향에 대해 큰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가로세로비가 3이상인 LCP섬유를 함유나 성형물이나 복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압출되는 수지조성물의 전단속도를 3×102-105sec-1, 바람직하게는 3×102-104sec-1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CP의 함량이 섬유화 가능영역이나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을 벗어나더라도 LCP섬유함유 복합체와 매트릭스수지를 혼합하여 매트릭스수지내에 LCP섬유를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원하는 물성의 수지복합체를 얻을수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LCP복합체로 된 성형품을 재이용하는데 있어서는 회수재는 일반적으로 LCP함유량이 섬유화 적정영역에 없기 때문에 LCP 및 기존의 매트릭스를 적절히 첨가하여 섬유화 적정영역으로 조정한다.
이것을 용융압출하고 냉각후 연신하면 LCP가 섬유화하여 매트릭스수지내에 균일하게 분산한 복합체가 얻어진다.
이것과 기준 플라스틱재를 혼합하여 섬유화 적정영역 이하의 LCP함유량으로 하여 사출형성등의 성형을 하면 성형품에는 LCP가 섬유화한 상태로 분산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재이용시에도 LCP를 섬유화하여 성형품중에 분산시킬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1
우선, 원료로서 폴리플라스틱사의 BECTRA A950(방향성 폴리에스테르, 액정전이온도 280℃정도)로 된 LCP를 사용하여 우베고산사의 1013B(나이론6)와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LCP복합체를 얻었다.
그다음, 상기 LCP복합체를 초기압출성형했다.
이 경우의 압출성형조건은 압출기로서 플라스틱 고가꾸 겐꾸쇼사의 2축압출기(시크류 지름36mm)를 사용하고 수지온도는290℃, 스크류 회전수는 100rpm, 다이스 지름은 2mm, 전단속도는 1700sec-1,연산비는 2배로 각각 설정했다.
그리고, 상기한 LCP복합체를 연신하면서 압출성형하여 시험용 직경 1.4MM의 스트랜드모양의 초기성형용 소재를 얻은후, 이 초기 성형용 소재의 일부를 길이 3mm로 절단하여 초기 펠릿재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초기펠릿재를 사출성형하여 LCP복합체를 얻었다.
이 경우의 사출성형 조건은 도시바 게기사의 220톤 사출성형기 및 시험편형금형을 사용하여 수지온도를 250℃로 설정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한 사출성형 및 스파이럴 플로우형(직경 6mm의 반원형)의 금형을 사용해 수지온도를 250℃, 사출압은 1000kg/cm2으로 각각 설정하여 유동성 평가시험을 했다.
또한, LCP복합체를 호레이사의 V-360의 분쇄장치로 분쇄하여 길이 3-4mm의 분쇄편을 얻은 후, 이분쇄편을 재이용 압출성형하여 시험용의 직경 1.4mm의 스트랜드형의 재이용 성형용소재를 얻은 후, 이 재이용 성형용 소재의 일부를 길이3mm로 절단하여 재이용 펠릿재를 얻었다.
이 경우의 압출성형 조건은 압출성형의 경우와 같았다.
그 다음, 스트랜드형의 초기성형용 소재 및 제이용성형용 소재에 대하여 인장시험을 하였다.
측정기로서는 시마쯔사의 만능시험기(AUTO GRAPH)를 사용하여 인장속도를 20mm/분으로 설정했다.
제4도는 초기성형용 소재 및 성형용 소재에 대하여 인장시험을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LCP의 함유율이 40%를 넘는 영역에서 LCP의 섬유화가 생기고 LCP의 섬유화가 생기고 LCP함유량의 전체량의 영역에 걸쳐 양자의 인장강도가 거의 같다는점, 결국 상기 재성형 방법에 따르면 고강도의 합성섬유를 재성형함에도 불구하고 강도가 저하하지 안흔 것이 확인된다.
제5도는 LCP함량과 유동길이비의 저하하여 성형용 재료로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밝혀졌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매트릭스수지로서 나이론 6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LCP함량이 40-80%, 바람직하게는 50-7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초기성형용 소재 및 재이용성형용 소재에 대하여 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관찰을 한, LCP함량이 40%일때에는 LCP의 대부분은 미립상이며, 일부분이 섬유상이었다.
또한, LCP함량이 50%일때에는 LCP는 섬유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LCP가 40%이상 함유되는 LCP가 섬유화하여 인장강도가 향상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상기LCP함량이 70%인 재료를 조정하고(시료A), 여기에 필요한 매트릭스수지PA-6를 첨가하여 LCP함유량이 30%가 되도록 하여 사출성형했다(시료 B).
그후, 이 제품을 분쇄하고 LCP를 가하여 분쇄물과 신규의 LCP의 혼합물의 LCP함량이 70%가 되도록 해서 상기 초기 조건과 같이하고 재료를 조장했다(시료 C).
이재료를 LCP함량이 30%로 되도록 PA-6를 가하고 초기와 동일조건으로 사출형성했다(시료 D).
각 시료의 인장강도를 상기와 같이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용융압출에서 LCP 30%를 함유한 복합체를 직접 조정한 경우의 스트랜드의 인장강도가 35MPa이었다.
이것은 LCP함유량이 30%인 영역은 섬유화 적정영역 이외에 있어서, LCP의 섬유화가 매트릭스수지내에서 진행되지 않는 결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성형한 스트랜드 및 성형품은 전체적으로 LCP함유량이 섬유량 적정영역 이외여도 관계없이 섬유화한 LCP가 매트릭스수지내에 분산하여 원하는 인장강도가 얻어진다.
실시예 2
LCP로서 BECTRA A950 60%와 ABS수지 40%(스미토모 다우사의 KRALASTIC MH)를 함유한 복합체시료 E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조건하에서 용융압출하여 제조하고, 여기에 LCP 20%의 혼합비율로 되도록 매트릭스 ABS수지를 첨가했다.
이 수지 혼합물을 사출성형하여 복합체시료 F를 얻었다.
상기 시료 F를 펠릿화한 후, LCP가 60%되도록 시료F가 처음(초기 LCP)펠렛을 혼합하여 1차 성형과 같은 조건으로 사출성형하여 복합체시료 G를 얻었다.
이 시료에 LCP함유량이 20%로 되도록 매트릭스 ABS수를 가하고 1차 성형과 같은 조건으로 사출성형하여 복합체시료 H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4개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강도를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LCP20%의 수지혼합물을 상기 4개의 시료와의 인장강도 비교를 위해 용융출하여 수지조성물로 직접 성형했다.
그 결과, 이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50MPa에 불과하였다.
실시예 3
LCP로서 BECTRA A950 40%와 PPO/PA6수지 60%(게 플라스틱 저팬사의 NORYL GTX6006)를 함유한 복합체시료 I를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조건하에서 용융압출하여 제조하고, 여기에서 LCP10%의 혼합비율로 되도록 매트릭스 PPO/PA6 수지를 첨가했다.
이 수지 혼합물을 사출성형(성형온도 260℃)하여 복합체시료 J를 얻었다.
상기 시료 J를 펠릿화한후, LCP가 40% 되도록 시료 J와 처음(초기)펠릿을 혼합하여 1차 성형과 같은 조건으로 사출성형하여 복합체시료 K를 얻었다.
이 시료에 LCP함유량이 10%로 되도록 매트릭스 PPO/PA6수지를 가하고 1차고 성형과 같은 조건하에서 사출성형하여 복합체시료 L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4개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강도를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한편, LCP10%의 수지 혼합물을 상기 4개의 시료와의 인장강도 비교를 위해, 용융압출하여 수지조성물로 직접 성형했다.
그 결과, 이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40MPa에 불과하였다.

Claims (20)

  1. 매트릭스수지로서의 열가소성수지와 이 열가소성 수지의 녹는점 또는 성형온도보다 높은 액정전이온도를 갖는 액정수지로 된 보강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액정수지복합체를 성형하는데 있어서, 상기 액정수지성분을 열가소성수지에 대하여 그 상반전 이하 섬유화 가능영역량 또는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량 배합하고, 액정전이온도 이하의 매트릭스수지 성형온도에서 용융압출하여 액정수지섬유를 함유한 성형용 복합체원료를 얻으며, 섬유화 가능영역량 또는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 이하에서 매트릭스수지와 상기 성형용 복합체원료의 혼합물로부터 액정수지복합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2. 섬유화 가능영역량 또는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량 이하의 액정수지 함량을 갖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재성형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소정의 액정수지 성분을 혼합비가 섬유화영역량으로 되도록 조정배합하고, 액정전이온도 이하의 매트릭스수지의 성형온도나 녹는점에서 용융압출하여 액정중합체섬유를 함유한 성형용 복합체 원료를 얻으며, 매트릭스수지와 상기 성형용 복합체원료로 된 섬유화 가능영역 이하의 혼합비율로 액정수지복합체를 재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3. 제1항에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A(폴리아미드)이며,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섬유화가능영역이 50-70중량%이고,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5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티엔-스티렌 혼성중합체)이며,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섬유화 가능영역이 40-70중량%이고,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 40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체(폴리카르보네이트)/ABS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 3-7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3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PA6(나이론)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이 20-6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2중량% 이하 함유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7. 매트릭스수지가 변성 PPO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가능영역이 40-6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40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P(폴리프로필렌)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가능영역이 40-7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40중량%이하 함유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c(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3-2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3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이30-7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 섬유가 30중량% 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C/PBT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가능영역2-6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2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A(폴리아미드)이며,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섬유화가능영역이 50-70중량%이고,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50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혼성중합체)이며,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섬유화 가능영역이 40-70중량%이고,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40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C(폴리카르보네이트)/ABS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이 3-7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3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성형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PA6(나이론)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이 20-6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20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변성 PPO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가능영역이 40-6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40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P(폴리프로필렌)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가능영역이 40-7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40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C(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가능영역이 3-2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3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 가능영역이 30-7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 섬우가 30중량%이하 함유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20.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가 PC/PBT수지이고, 수지복합체중량기준으로 소정의 섬유화가능영역이 2-60중량%이며, 최종복합체에는 성형된 액정수지섬유가 2중량%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지복합체의 성형방법.
KR1019920017835A 1991-09-30 1992-09-30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KR960007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52223 1991-09-30
JP25222391 1991-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740A KR930005740A (ko) 1993-04-20
KR960007471B1 true KR960007471B1 (ko) 1996-06-03

Family

ID=1723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835A KR960007471B1 (ko) 1991-09-30 1992-09-30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61462A (ko)
KR (1) KR960007471B1 (ko)
DE (1) DE423282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614A3 (en) * 1993-08-03 1996-07-03 Mazda Motor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liquid crystalline polymer, process for its formation.
FI933516A (fi) * 1993-08-10 1995-02-11 Neste Oy In-situ nestekidepolymeerikuitua sisältävän polymeeriseoksen valmistusmenetelmä
JP3759180B2 (ja) * 1993-11-11 2006-03-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合成樹脂組成物成形体
JP3983301B2 (ja) * 1996-11-29 2007-09-2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射出成形体
US7569173B2 (en) * 2000-01-24 2009-08-04 International Brain System S.A. Method and device for transforming crystalline or semicrystalline polymers
US10441936B2 (en) * 2014-09-02 2019-10-15 Jnc Corporation Liquid crystal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4208401A (zh) * 2019-08-06 2022-03-1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树脂多层基板和树脂多层基板的制造方法
CN111808403A (zh) * 2020-06-18 2020-10-23 江苏沃特特种材料制造有限公司 液晶聚酯复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3118A (en) * 1981-09-11 1984-02-21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Poly (p- and m-methylenebenzoate) blends with polyarylates
US4728698A (en) * 1985-09-06 1988-03-01 University Of Akron Liquid crystal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DE3629207A1 (de) * 1986-08-28 1988-03-03 Basf Ag Faserverstaerkte kunststoffe
US5225489A (en) * 1987-03-05 1993-07-06 Allied-Signal Inc. Composites of thermoplastic and thermoplastic polymers having therein short fibers derived from anisotropic polymers
IT1217462B (it) * 1988-05-02 1990-03-22 Donegani Guido Is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miscele di polimeri termicamente incompatibili,dispositivo per la sua realizzazione e composizioni cosi' ottenute
JPH0729355B2 (ja) * 1988-06-22 1995-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成形品の製造方法
US5268225A (en) * 1990-08-16 1993-12-07 The University Of Akron Self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laminate
US5260380A (en) * 1992-01-23 1993-11-09 The University Of Akron Self-reinforced composit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EP0568083A1 (en) * 1992-04-30 1993-11-03 Mazda Motor Corporation Method for molding a liquid crystal resin sheet and molding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740A (ko) 1993-04-20
DE4232822C2 (de) 1995-01-05
DE4232822A1 (de) 1993-04-08
US5861462A (en) 1999-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8406B2 (ja) 自己補強性重合体複合物及びその製法
US4728698A (en) Liquid crystal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5225488A (en) Mixing process for generating in-situ reinforced thermoplastics
US5043400A (en) Production of composite resins
CN110791018A (zh) 改性海泡石聚合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960007471B1 (ko) 액정수지 복합체의 성형방법
EP0566149B1 (en) Molding composi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3584890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651953B (zh) 一种反应型成核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960006785B1 (ko) 성형용 수지조성물
JP3186858B2 (ja) 液晶樹脂複合体の成形方法
CN100387654C (zh) 高强度、耐磨耗聚酰胺1012的制备方法
JPH0737577B2 (ja) 自己強化重合体複合物及びその製法
JP3119508B2 (ja) 液晶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の製造方法
JP3224137B2 (ja) 液晶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の製造方法
JP3217091B2 (ja) 液晶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
JP3241404B2 (ja) 成形用樹脂組成物とその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3241482B2 (ja) 成形用複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方法
JP3159741B2 (ja) 液晶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の製造方法
JP3224136B2 (ja) 液晶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の製造方法
JP3162124B2 (ja) 液晶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の製造方法
JP3217092B2 (ja) 液晶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
JP2002241510A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124587B2 (ja) 液晶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の製造方法
JP3115655B2 (ja) 液晶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再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