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3721B1 -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721B1
KR950013721B1 KR1019930002494A KR930002494A KR950013721B1 KR 950013721 B1 KR950013721 B1 KR 950013721B1 KR 1019930002494 A KR1019930002494 A KR 1019930002494A KR 930002494 A KR930002494 A KR 930002494A KR 950013721 B1 KR950013721 B1 KR 95001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pair
sidewalls
cushion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756A (ko
Inventor
에이취. 프래스카로 케이
엠. 크리스카 토마스
Original Assignee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랄드 켄트 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랄드 켄트 화이트 filed Critical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01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제 1 도는 안내 슈우트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안내 슈우트의 외관의 대략적인 사시도.
제 1a 도는 제 1 도의 1a-a선을 따라 보았을 때의 측면도.
제 2 도는 안내 슈우트가 접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에어 백 커버와 보호통을 도시한 평면도.
제 2a 도는 안내 슈우트가 제 2 도에 도시된 방법과 다르게 접혀 있는 평면도.
제 3 도는 바느질 자리와 접히는 위치를 도시하는 슈우트 패턴의 전방평면도.
제 3a 도는 절단된 슈우트의 전방 평면도.
제 4 도는 안내 슈우트가 접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에어 백 커버와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 5 도는 차량의 계기판 뒤에 위치하고 커버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에어 백 슈우트와 모듈 통의 단면도.
제 6 도는 차량의 계기판 뒤에 위치하고 에어 백이 전개되는 동안의 슈우트를 도시한 에어 백 슈우트와 모듈 통의 단면도.
제 7 도는 차량의 계기판 뒤에 위치하고 슈우트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에어 백 슈우트와 모듈통의 단면도.
제 8 도는 페이퍼진 슈우트의 측벽을 도시하는 에어 백 슈우트의 부분 측면도.
제 9 도는 에어 백을 팽창시키는 가스 유입구에 인접하여 에어 백에 고정된 슈우트를 도시하는 부분 전방 평면도.
제 10a 도 및 제 10b 도는 바느질 자리와 접히는 위치를 도시하는 슈우트 패턴의 전방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내장치 12 : 에어 백
14 : 모듈 통 16 : 슈우트
18 : 가스 유입구 36 : 팽창기
38 : 디퓨져 40 : 캡
50 : 상부 패널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탑승자용 팽창가능한 형태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널리 알려진 바와같은 에어 백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운전자의 보호를 위해 운전대의 최소한 일부분에 그리고 탑승자의 보호를 위해 탑승자쪽의 계기판 또는 패널 등의 승용차 또는 다른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정된 통로를 따라 쿠션의 초기 전개를 안내하고 방향 전환시키기 위한 개량된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백 안전 장치는 개방된 측면을 구비하고, 팽창기 및 최소한 에어 백의 일부를 에워싸는 보호통과, 모듈을 시야에서 숨기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에어 백이 차량의 탑승자쪽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경우 컨테이너는 자동차의 계기판(이하에서는 계기판이라고 함)바로 뒷편에 위치하며, 커버는 차량의 계기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나 장식적인면을 고려할 때, 탑승자쪽의 에어 백은 컨테이너 개구의 연부가 계기판에서 수인치 뒤로 떨어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돌 신호가 발생되어 팽창기를 작동시켜 에어 백을 전개시킨다. 팽창기는 불활성 가스(예를들면, 질소)를 발생시키며, 에어 백이 모듈내에 협동되어 있는 컨테이너 바깥으로 팽창되어 자동차의 탑승자 칸으로 가스의 압력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해준다. 에어 백이 컨테이너에서 밀려 나왔을 때 계기판에 가해진 압력은 에어 백이 탑승자 칸으로 향할 수 있도록 갈라진 틈 또는 파단 틈(이하 갈라진 틈이라 함)을 따라 선정된 방법으로 계기판의 선정된 부분을 분리시킨다. 에어 백이 탑승자 칸으로 향할 때, 팽창기에서 생성된 가스의 계속된 유입으로 팽창하게 된다. 에어 백이 전개되는 동안 계기판의 파열된 틈의 날카로운 연부나 계기판 뒤의 지지구조물에 의해 에어 백이 찢기거나 구멍이 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계기판 약간 뒤에 장착된 탑승자 쪽의 에어 백이 전개되는 동안, 이 에어 백은 계기판의 갈라진 틈이 파열되도록 충분한 압력이 전달될 때까지 팽창한다. 만약 충분한 압력이 전달되지 못하거나 에어 백이 저항이 더 적은 통로를 택하게 되면 에어 백은 적절히 전개될 수 없다. 만약 에어 백이 계기판 뒤에서 저항이 더 적은 통로를 택하게 되면 에어 백은 계속해서 계기판 뒤의 저항이 더 적은 통로의 방향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차량 탑승자를 보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에어 백은 다른 개구, 예를들면 계기판의 바닥으로 계속해서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 칸의 바닥으로 에어 백이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전개 양상은 차량 탑승자의 상반신을 적절히 보호할 수 없다. 또한, 에어 백은 계속해서 팽창하여 선정된 파열지점 이외의 계기판 뒤로 팽창한다. 이때 에어 백은 계기판을 탑승자 쪽으로 밀칠 수가 있으므로 탑승자가 부상을 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탑승자 쪽의 부적절한 에어 백의 전개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보다는 심지어 상처를 입히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제작, 운송, 및 보관시에는 작은 금속편, 너트, 보울트, 파스너 혹은 이와같은 이물질이 용기속에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보관이란 의미는 모듈을 차량에 설치하기 이전에 창고에 보관하는 것을 뜻하며, 그리고 차량이 다른 물체와 충돌하여 에어 백이 전개되기 전에 계기판 뒤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에어 백이 전개되는 동안 이러한 이물질이 이탈로 인해 차량탑승자는 상처를 입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운전자 보호용 에어 백이 전개시 그것을 안내시키는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콕(Cok)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903,986호와 밀러(Miller)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5,013,064호에는 만약 쿠션이 운전자로 향하는 정상적으로 의도한 통로를 따라 전개되는 것이 방해받을 경우 운전자에 대해 평행한 또 다른 통로를 따라 초기에 에어 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및 커버를 구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백 모듈을 운반 및 보관중에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듈의 운반 및 보관중에 이물질이 에어 백모듈울통에 떨어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 백이 계기판의 갈라진 틈을 뚫고 전개하도록 탑승자쪽의 에어 백을 안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담는통의 연부와 계기판의 내변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지나 계기판뒤에 거리를 두고 위치한 탑승자쪽의 에어 백을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기판 뒤에 거리를 두고 위치한 탑승자쪽의 에어백이 계기판 뒤로 팽창하여 부풀어 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개되고 이는 에어 백이 계기판의 파열된 갈라진 틈에 의해 형성된 날카로운 연부에 찢기거나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개되고 있는 에어 백이 계기판 뒤에 위치한 지지 구조물의 날카로운 연부에 찢기거나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아래의 설명으로 더욱 분명해질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에어 백의 운반, 보관, 및 전개시에 사용되는 탑승자쪽의 에어 백용 신규의 커버와 안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된다. 탑승자쪽의 에어 백은 전개되는 동안 천으로 만든 슈우트 혹은 관모양의 구조물(이하 슈우트라 함)에 의해 안내되며, 이 슈우트의 형상은 슈우트가 고정된 통의 개구의 형상이나 팽창기에서 생성된 가스 유입구에 인접한 에어 백의 주둥이의 형상과 일치한다. 운반 도중이나 차량의 계기판 뒤에 보관되었을 때 슈우트 측벽의 상부는 에어백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모듈 통의 개구를 따라 내측으로 접혀지며, 그 다음 슈우트의 전방 및 후방역의 상부는 측벽을 덮기 위해 내측으로 접히게 된다. 전방 및 후방벽의 상부 가장자리는 내측으로 접혀있는 슈우트의 벽에 의해 형성된 커버를 체결하기 위해 파열가능한 파스너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내측으로 접혀 있는 슈우트의 벽에 의해 형성된 커버는 에어 백 모듈을 감싸고 보호하여 운반 및 보관중에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전개되는 동안 에러 백은 팽창한다. 전방 및 후방벽의 상부를 서로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파열가능한 파스너 수단들은 에어 백의 팽창력에 의해 파열되며, 슈우트 벽의 상부는 원래의 펼친 상태로 복귀하여 슈우트를 재차 형성하게 된다. 이 슈우트는 통의 개구와 계기판의 내측 사이의 틈새를 건너갈 수 있고 계기판 뒤로 약간 연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다. 슈우트는 천으로 만들어지며 이 슈우트를 서로 지지하는 갈라진 틈은 에어 백이 전개로 인해 발생되는 힘에 짖겨지지 않도록 충분히 강해야 한다. 상기 천으로 만든 슈우트는 전개되는 에어 백을 계기판 내측으로 안내한다.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에어 백은 계기판의 갈라진 틈을 파괴시키고 그 다음 계기판을 지나 차량탑승자로 향해 전개된다. 슈우트 커버의 벽돌은 계기판내의 개구를 관통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백이 개구 근처의 날카로운 연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제 1 도 및 제 1a 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도면 부호(10)으로 표기된 안내장치가 모듈 통(14)에서 전개되는 에어 백 쿠션(12)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모듈 통(14)는 그곳의 개구와 에어 백 쿠션(12)를 팽창시키는 가스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유입구(18)(제 4 도 참조)에 인접한 에어 백 쿠션(12)에 부착된 슈우트(chute)(16)을 포함한다. 이 슈우트(16)은 제 1 쌍의 이격된 플렉시블 측별(20) 및 (24)(위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좌측 및 우측 벽)과 제 2 쌍의 이격된 플렉시블 측벽(22) 및 (26)(위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상부 및 하부벽)을 포함한다. 상기 통(14)는 상부 개구(32)와 하부 개구(34)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제 3 벽(28)과 한쌍의 제 4 벽(30)을 포함한다(제 4 도 참조). 에어 백 팽창기(36)은 디퓨져(38)과 모듈울 통(14)의 바닥(34)에 고정된 캡(40) 사이에 고정된다. 에어 백 쿠션(12)는 팽창기(36)에 인접한 곳에 고정된다.
슈우트(16)은 통(14)에 고정되거나 전술한 바와같이 에어 백 쿠션(12)에 고정되며, 제 1 쌍의 이격된 플렉시블 측벽(20) 및 (24) 각각의 상부(12),(44)와 제 2 쌍의 이격된 플렉시블 측벽(22) 및 (26) 각각의 상부(46),(48)은 상부 패널(50)(제 4 도 참조)을 형성하도록 서로 내측으로 향해 구부러져 있다. 제 2 쌍의 이격된 플렉시블 측벽(22) 및 (26)이 상부(46),(48)은 제 2 도에 도시된 대로 선택적으로 파열가능한 파스너(52)로 결합되어 있다. 선택적인 보강수단(54) 및 (56)은 제 1 쌍의 이격된 플렉시블 측벽의 상부(42) 및 (44)에 부착될 수 있다. 에어 백 쿠션(12)가 전개될 때, 팽창하는 에어 백 쿠션(12)는 접혀 있는 슈우트(16)이 상부 패널을 밀어 선택적으로 파열가능한 파스너 수단(52)을 파괴함에 따라 제 1 쌍의 측벽(20) 및 (24)와 제 2 상의 측벽(22) 및 (26)을 원래의 펼쳐진 상태로 복귀시키며, 따라서 에어 백 쿠션(12)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슈우트는 재배치된다.
제 2 도, 제 2a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상의 측벽(20),(24)는 각각의 상부 (42),(44)와, 각각의 하부(62),(64)(제 3 도 참조)와, 각각의 상연부(66),(68)과, 각각의 하연부(70),(72)(제 3 도 참조)와, 슈우트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좌측 및 우측연부(74a),(74b) 및 (76a),(76b)를 구비한다. 제 2 쌍의 측벽(22) 및 (26)은 각각의 상부(46),(48)과, 각각의 하부(78),(88)(제 3 도 참조)과, 각각의 상연부(82),(84)와, 각각의 하연부(86),(88)(제 3 도 참조)와, 슈우트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좌측 및 우측연부(90a),(90b) 및 (92a),(92b)를 구비한다.
슈우트(16)은 팽창하는 에어 백의 작용력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충분히 강한 적절한 플렉시블 재질로 만들 수 있다. 슈우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질은 전개되는 에어 백의 작용력에 대해 5.0%미만,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으로 늘어나야 한다. 에어 백의 재질로는 상기 슈우트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폴리아미드섬유로 짜서 만든천이 적합하다. 니트 섬유는 전술한 슈우트의 기능에 대해 허용치 이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얇은 폴리머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얇은 폴리머 필름은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섬유로 강화되어야 한다. 천연 섬유 혹은 성형이나 박테리아에 의해 구조적으로 저하되기 쉬운 섬유가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더군다나, 자동차 내장제로 공인되지 않은 재질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힌지 수단(94) 및 (96)(제 3 도 참조)는 제 1 쌍의 측벽의 상부(42) 및 (44)와 하부(62) 및 (64) 각각의 중간에 위치하며, 힌지 수단(98) 및 (100)(제 4 도 참조)는 제 2 쌍의 측벽의 상부(46) 및 (48)(제 3 도 참조)과 하부(78) 및 (88) 각각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 힌지 수단들은 슈우트의 구조를 일체형으로 유지하는 반면 요구되는 유연성을 지닌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된 두개의 편을 연결시키기 위해 어떠한 적절한 힌지 수단일 수 있다. 이 힌지 수단들은 상기 측벽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 수단을 꿰메거나 접착제로 고정시킴으로써 측벽의 상하부에 고정된 실로 짠 재질로 구성된 분리된 편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힌지 수단들의 유연성은 힌지 작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제작시간 및 비용이 줄어든다.
측벽(제 1 도 참조) 상부의 구조적인 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보강 수단(54) 및 (56)을 제 1 쌍의 플렉시블 측벽(42) 및 (44)의 상부에 그리고 보강 수단(58),(60)을 제 2 쌍의 플렉시블 측벽(46) 및 (48)의 상부에 각각 부착시킬 수 있다. 선택적인 보강 수단(54),(56),(58),(60)은 팽창되는 에어 백(12)에 의해 측벽이 이루는 평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작용력에 대응하는 측벽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슈우트(16)의 안내 기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보강 수단은 슈우트(16)의 플랙시블 측벽에 구조적인 완정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경량의 어떤 재질로 만들 수 있다. 보강 수단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재질로는 얇은 폴리머 시트, 직조한 섬유, 및 직조한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 수단으로는 쉽게 꿰맬 수 있는 천이 바람직하며, 또는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는 쉽게 꿰맬 수 있는 동시에 더욱 보강될 수 있는 직조된 스크린이나, 망사일 수 있다. 스크린을 짜기 위해 사용된 실의 직경은 200 내지 600 마이크론이어야 하며, 400 내지 600 마이크론이 적합하며, 또는 500 마이크론이 가장 바람직하다. 직조된 천 또는 망사는 나일론 6/6, 나일론 6, 나일론 12,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E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등과 같은 섬유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직조된 망사는 뉴욕, 브리아크리프 매너 소재의 크리시션 워븐 스크리닝미디아의 덱코 회사에서 제작 시판 된다. 보강 수단은 접착제나 꿰매는 방법으로 플렉시블 측벽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장 양호한 방법은 플렉시블 측벽을 이중의 층으로 이루어진 천으로 만들어 보강 수단을 그층 사이에 삽입시켜 꿰매는 방법이다.
제 3a 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슈우트(16)은 제 1 측벽(20)을 측연부(74a) 및 (90b) 각각을 따라 제 2 측벽(22)에 꿰매어 만들 수 있다. 그 다음 제 2 측벽(22)의 측연부(90a) 및 (76a) 각각을 따라 나머지 제 1 측벽(24)에 꿰매어진다. 마지막으로 제 2 측벽(26)은 측연부(92a) 및 (74b) 각각을 따라 제 1 측벽(20)에 꿰매어진다. 측벽들은 서로 꿰매는데 사용된 실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어떤 적합한 실일 수 있다. 측벽(20), (22), (24), (26) 각각의 상연부(66), (82), (68), (84)는 이들과 대응되는 바닥연부(70), (86), (72), (88)보다 더 짧게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에어 백(16)이 전개될 때 안내를 돕게 되는 사다리꼴 또는 뒤집힌 깔때기 형상이 되며, 그리고 에어 백(16)이 계기판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꼭 끼워지게끔 도와준다.
더군다나 슈우트를 구성하는 측벽들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필요가 없다. 측벽들의 길이는 모듈 통(14)와 요구되는 체결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들면, 제 1 쌍의 측벽중 하나는 그것의 측연부를 따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2 쌍의 측벽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 1 쌍의 측벽들은 상기 상연부에서 하연부까지의 측연부와 대응되는 상연부에서 상연부와 하연부 사이의 중간지점까지의 측연부를 따라 제 2 쌍의 측벽에 연결된다.
슈우트 제작의 더욱 양호한 방법은 제 3 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슈우트(16)의 접는 방법 및 꿰매는 방법이 전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 3 도는 단일편의 플렉시블 재질로 만든 두겹의 슈우트를 제작하기 위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선 A-A'와 선 B-B'는 서로 접해져 그 재질은 선 AB-AB'를 따라 꿰매어진다. 선택적으로, 측면(20), (24), (22), (26)의 상연부(66), (68), (82), (84)는 상기 재질내에 스티치(stitch) 살을 삽입시켜 대응되는 하연부(70), (72), (86), (88)보다 더 짧게 만들 수 있다. 천은 선 C-C'를 따라 접히기 때문에 지점 D 및 D'를 서로 대면시켜 선 C-DD'와 C'-DD를 따라 천을 꿰맨다. 이러한 절차는 선 E-E', G-G', I-I' 에 대해서도 반복된다. 그 결과, 사다리꼴 형상의 측벽들은 슈우트를 구성하는 재질의 원래의 펼쳐지는 성질에 대한 보상되는 성질을 가지며, 따라서 슈우트의 상부 개구가 계기판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도록 보장해 줄 것이다. 슈우트의 더 좁아진 상부 개구는 에어백의 팽창에 따라 슈우트의 상단 개구의 정상적인 변형 또는 타원형으로 보상될 것이다. 제 2 측벽(22)는 하연부(86)을 따라 접힌다. 마지막으로, 플렉시블재질은 선 K-K'를 따라 접히기 때문에 상기 측벽의 하연부들과 일치하게 된다. 제 2 측벽(22) 및 (26)은 각각 선 L-L'와 M-M'을 서로 꿰매어진다.
슈우트 제작의 더욱 양호한 방법은 제 10a 도 및 제 10b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슈우트(16)의 접은 방법 및 꿰매는 방법이 전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 10a 도 및 제 10b 도는 단일 편의 플렉시블 재질로 만든 두겹의 슈우트를 제작하기 위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0 도에 도시된 재질은 선 N-N'을 따라 접하기 때문에 선 A-B와 선 C-D는 서로 대면하게 된다. 제 10b 도에 도시된 재질은 선 O-O를 따라 접하기 때문에 선 A-B와 선 C-D는 서로 대면하게 된다. 제 10a 도 및 제 10b의 선 A-B의 쌍들의 겹쳐져 서로 봉합되며, 제 10a 도 및 제 10b 도의 선 C-D의 쌍들로 겹쳐져 서로 봉합된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로 형성된 사다리꼴 형성은 제 8 도에 도시된 방법과 같은 스티치 살을 사용않고 형성된다. 그 다음 선 G-H와 E-F는 구멍(130) 및 (132)가 정렬되어 상기 재질이 서로 꿰매어 지도록 접히게 된다.
팽창기(36)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296,084호에 개시된 구조를 포함한 잘 알려진 팽창기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팽창기(36)는 디퓨져(38)과 캠(40) 사이에 플랜지(102),(104) 및 (106),(108)로 클램핑된다. 파스너(110)은 플랜지(116) 및 (118) 각각에 형성된 파스너구멍(112),(114)(위에서 보았을 때 통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과, 디퓨져 플랜지(102),(104)에 각각 형성된 파스너 구멍(120),(122) 및 캡 플랜지(106),(108)에 형성된 구멍(124),(126)을 관통하여 너트(128)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체결된다. 슈우트(16)은 슈우트(16)의 제 2 측벽(22),(26)의 하연부(86),(88)에 인접한 슈우트 파스너 구멍(130),(132)를 관통하는 관통 파스너(110)에 의해 체결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듈 통(14)에 슈우트를 부착시키는 양호한 방법은 각각의 모듈 통 플랜지(116),(118) 및 디퓨져 플랜지(102),(104)사이의 가스 유입구에 인접한 곳에서 에어 백(12)를 클램핑시키는 것이다. 에어 백(12)의 제작과 접은 방법은 종래 기술에 의해 잘알려진 방법을 따른다. 슈우트(16)은 모듈 통의 개구(32)를 넘어 끌려나오며 다른쪽 제 2 측벽(26)의 하연부(76)에 형성된 파스너 구멍(130)을 통과하여 관통하는 모듈을 통의 탭(134)에 의해 체결된다. 그 다음 상기 탭(134)는 슈우트를 체결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굽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모듈을 일측면에 부착괸 슈우트와 조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슈우트 부착 방법이 되며, 그 다음 에어 백을 접을 수 있고 슈우트는 운반되기 전에 탭과 체결된다.
플렉시블 측벽(20) 및 (24)의 제 1 쌍과 플렉시블 측벽(22) 및 (26)의 제 2 쌍의 길이는 모듈 통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제 1 쌍의 측벽(20) 및 (24)는 그것의 측연부(90a),(90b),(92a),(92b) 각각을 따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2 쌍의 측벽(22) 및 (26)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 1 쌍의 측벽(20) 및 (24)은 상연부(66) 및 (68)에서 하연부(70) 및 (72)까지 측연부(74a), (74b), (76a), (76b)를 따라 상연부(82) 및 (84)에서 상연부와 하연부 중간까지의 대응되는 측연부를 따라 제 2 쌍의 측벽(22) 및 (26)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 1 측면(20),(24) 및 상부 제 2 측벽(22)는 하부 제 2측벽(26)보다 더 짧다.
또한 슈우트(16)은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꿰맨(136)을 따라 에어 백 쿠션(12)에 부착될 수 있다. 그 다음 에어 백은 전술한대로 모듈 통(14)에 부착된다. 또한 슈우트(16)은 상기의 것과 유사한 장착 구조를 이용하여 모듈통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방법은 체결된 파스너와 탭을 조합하여 슈우트를 모듈 통 외측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슈우트를 모듈 통 외측에 부착시키는 것은 에어 백을 내장하는 모듈 통에 대해 최대 효과를 가져온다.
슈우트는 제 2 측벽(22),(26)의 상연부(82),(84)를 연결하는 선택적으로 파열 가능한 파스너 수단(52)에 의해 제작이 완료된 후 밀봉될 수 있다. 상기 파열가능한 파스너 수단(52)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연부에 수직한 일련의 봉합선이나 벨크로(velcro)훅 및 고리 파스너와 같은 훅 및 고리형 파스너일 수도 있다. 상기 상연부에 수직한 봉합선은 슈우트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 양호한 파열가능한 파스너이다. 봉합선은 동시에 떨어질 수 있도록 상연부(82) 및 (84)에 수직이고 어느 정도 이격되어야 한다. 파열가능한 파스너는 봉합선이 백의 한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점차 떨어져 나갈 때 상연부(82),(84)의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봉합선이 형성되게 해서는 안되며, 따라서 에어 백(12)의 전개는 부분적으로 파열된 갈라진 틈을 통해 이루어 지게 된다.
제 4 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슈우트는 차량의 탑승자 칸쪽 계기판 뒤에 보관된 상태로, 제작 및 운송도중에 흩어진 이물질이 모듈 통으로 빠지지 못하도록 상기 통의 개구를 덮는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에어 백 모듈은 전개되기 이전에는 계기판 뒤에 위치한다. 충돌 감지기(도시생략)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팽창기는 가스를 발생시키기 시작한다. 이 가스는 에어 백 가스 유입구를 통해 팽창기에서 에어 백으로 흐른다. 팽창된 에어 백은 슈우트의 선택적인 파열가능한 파스너를 파열시키기 때문에 슈우트의 제 2 측벽은 원래의 펼친 상태로 복귀된다. 에어 백은 슈우트의 측벽들을 원래의 펼친 상태로 복귀시키면서 계기판 쪽으로 팽창하여 계기판에 형성된 파열가능한 갈라진 틈을 부수게 된다. 제 6 도에 도시된대로 슈우트가 위치하기 때문에 에어 백은 전개시 계기판 뒤로 팽창되지 못한다. 에어 백은 탑승자를 향해 계기판을 관통해서 계속 전개한다. 에어 백은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슈우트 때문에 개구 둘레의 날카로운 가장자리에 의해 찢어질 염려가 없다. 더우기, 에어 백이 팽창할 때 슈우트는 계기판에 형성된 개구를 향해 되밀어 보내어 그 역할을 완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 백 모듈의 제작이 완료된 후 에어 백을 덮고 보호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 백의 전개시 차량의 탑승자쪽의 계기판을 통해 에어 백을 안내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계기판 뒤로 부적절하게 에어 백이 전개되지 못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영역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 당업자들에 의해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에는 본 발명의 한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의해 본 발명의 영역을 정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6)

  1. 탑승자쪽에 있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로 ; 상부 및 하부 개구와, 상연부, 하연부, 측연부, 상부, 하부, 및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힌지 수단을 구비한 접힌 상태의 슈우트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의 쌍의 가요성 분리 측벽으로, 상기 제 2의 쌍의 측벽은 그곳의 측연부를 따라 상기 제 1의 쌍의 측벽과 연결되며, 상기 제 1의 쌍의 측벽의 상부는 상기 힌지 수단에서 서로 내측으로 접히고 그리고 상기 제 2의 쌍의 측벽의 상부는 상기 힌지 수단에서 서로 내측으로 접혀서 상기 내측으로 접힌 상기 제 1 측벽의 상부를 덮기 때문에 내측과 외측을 구비하는 상부 패널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의 쌍의 이격된 가요성 측벽들과 ; 상기 쿠션을 팽창시켜 전개시키는 가스용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슈우트의 상부 패널의 내측으로 덮혀 접혀 있는 팽창가능한 탑승자 보호용 쿠션과 ; 가스 발생기와 접혀 있는 팽창가능한 탑승자 안전용 쿠션의 최소한 일부를 위한 공동과 상기 공동에 위치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벽을 이루며,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공동내에서 일정 압력으로 가스를 발생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접혀 있는 팽창가능한 탑승자 안전용 쿠션이 상기 공동내에 자리하게 될 내측과 외측으로 구성된 차량 에어 백의 모듈 통을 포함하며 ; 그리고,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공동내에서 일정 압력으로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작용되어 상기 슈우트의 상기 상부 패널과 접촉하는 상기 쿠션을 팽창시킴에 따라 상기 제 1 측벽의 내측으로 접힌 상부와 상기 제 2 측벽의 내측으로 접힌 상부는 원래의 펼쳐진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슈우트를 재형성시켜서 상기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의 측벽은 그것의 측연부를 따라 상기 제 2 쌍의 측벽의 최소한 하나의 측벽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쌍의 측벽은 상기 상연부에서 하연부까지의 상기 측연부와 대응되는 상기 상연부에서 상기 상연부 및 하연부 사이의 중간지점까지의 측연부를 따라 상기 제 2 쌍의 측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가요성 측벽들은 천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가요성 측벽들은 에어 백의 재질로 사용된 천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가요성 측벽의 재질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직조된 천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는 팽창가능한 안전 장치인 팽창가능한 안전 쿠션의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곳(상기 제 3의 쿠션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의 상기 상연부들은 파열가능한 파스너 수단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가능한 파스너 수단은 훅 및 고리형의 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가능한 파스너 수단은 파열가능한 스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의 상기 상연부는 상기 대응되는 제 1 측벽의 상기 하연부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의 상기 상연부는 상기 대응되는 제 2 측벽의 상기 하연부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부 및 하부와 상기 힌지 수단은 천으로 만든 연속된 단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이 상기 상부는 보강 수단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재질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은 상기 상부의 상기 천 사이에 삽입된 보강 수단과 함께 두겹으로 된 천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의 상기 하부의 상기 하연부는 상기 모듈 통의 상기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KR1019930002494A 1992-02-24 1993-02-23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KR950013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40,243 US5242192A (en) 1992-02-24 1992-02-24 Fabric cover/chute for airbag modules
US07/840,243 1992-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756A KR930017756A (ko) 1993-09-20
KR950013721B1 true KR950013721B1 (ko) 1995-11-15

Family

ID=2528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494A KR950013721B1 (ko) 1992-02-24 1993-02-23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42192A (ko)
EP (1) EP0558271B1 (ko)
JP (1) JPH0710654B2 (ko)
KR (1) KR950013721B1 (ko)
AU (1) AU647689B2 (ko)
CA (1) CA2089976A1 (ko)
DE (1) DE69300153T2 (ko)
MX (1) MX93009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310Y2 (ja) * 1992-09-02 2000-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5364124A (en) * 1992-10-29 1994-11-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with deployment chute
JP2768207B2 (ja) * 1993-03-24 1998-06-25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348343A (en) * 1993-11-01 1994-09-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deployment bias apparatus
JP2785673B2 (ja) * 1994-01-31 1998-08-13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カバーの取付方法
JPH08108816A (ja) * 1994-10-07 1996-04-30 Isuzu Motors Ltd エアバッグ装置
US5480183A (en) * 1994-10-21 1996-01-02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cover retainer
US5498023A (en) * 1994-12-02 1996-03-12 Morton International, Inc. Packaging tether for driver side air bag cushion
US5498030A (en) * 1995-03-28 1996-03-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US5738366A (en) * 1995-06-29 1998-04-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Chute structure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5560648A (en) * 1995-08-24 1996-10-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deployment bias apparatus
US5603523A (en) * 1995-08-24 1997-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Bias flap for air bag module
US5630614A (en) * 1995-11-13 1997-05-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Bias apparatus for air bag module
US5630615A (en) * 1995-12-11 1997-05-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de impact supplemental inflation restraint
US5755459A (en) * 1996-06-18 1998-05-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air bag with adhesive
US5772239A (en) * 1996-06-24 1998-06-30 Takata, Inc. Airbag sub-module having fabric envelope with horn switch
US5678853A (en) * 1996-06-26 1997-10-21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with deployment chute
US5630621A (en) * 1996-07-12 1997-05-20 Morton International, Inc. Knee bag cover retention design
US5676393A (en) * 1996-08-06 1997-10-14 Morton International, Inc. Protective cover for airbag module
US5823566A (en) * 1996-10-16 1998-10-20 Alliedsignal Inc. Air bag module with deployment flap
DE19705830C1 (de) * 1997-02-15 1998-08-20 Mst Automotive Gmbh Beifahrer-Airbagmodul
US5897134A (en) * 1997-06-13 1999-04-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DE29711679U1 (de) * 1997-07-03 1997-10-3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Gassack-Modul
DE19813054A1 (de) * 1998-03-25 1999-10-07 Daimler Chrysler Ag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6158763A (en) * 1998-12-09 2000-12-12 Chrysler Corporation Airbag assembly concealed within an instrument panel
JP2000272377A (ja) * 1999-03-25 2000-10-03 Toyoda Gosei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US6227606B1 (en) * 1999-09-09 2001-05-0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ngine hood assembly
US6364351B1 (en) 2000-06-08 2002-04-02 Lear Corporation Vehicle air bag restraint assembly
JP4465872B2 (ja) * 2000-12-19 2010-05-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540041B2 (en) * 2001-04-11 2003-04-01 Yakov Feldman Vehicle occupant gas restraining system
US6874810B2 (en) * 2002-04-03 2005-04-05 Autoliv Asp. Inc. Airbag cover deployment flaps
DE20207860U1 (de) * 2002-05-21 2002-10-24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Gassack-Modul
US6942240B2 (en) 2003-01-15 2005-09-13 Intier Automotive Inc. Structural reinforcement member for a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US7070199B2 (en) * 2003-01-21 2006-07-04 Intier Automotive Inc. Mechanism for interlocking an instrument panel to a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US20050104338A1 (en) * 2003-11-19 2005-05-19 Quin Soderquist Applique film airbag cover
ATE413313T1 (de) * 2004-02-17 2008-11-15 Faurecia Innenraum Sys Gmbh Airbaganordnung
US7195273B2 (en) 2004-04-12 2007-03-27 Autoliv Asp, Inc. 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JP4601388B2 (ja) * 2004-10-20 2010-12-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取付部構造
DE202007007245U1 (de) * 2007-05-21 2007-08-02 Takata-Petri Ag Unter Vakuum in Folie verpackter Airbag
ITBO20080013A1 (it) * 2008-01-09 2009-07-10 Ferrari Spa Coperchio per un airbag
US20090315303A1 (en) * 2008-06-23 2009-12-24 Harvey Matthew Ettinger Mechanically attached laminated seamless airbag hinge system
DE102009020297A1 (de) * 2009-05-07 2010-11-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irbageinrichtung
US7967329B2 (en) * 2009-06-02 2011-06-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ective layer for an airbag assembly
JP2011063125A (ja) * 2009-09-17 2011-03-31 Nippon Plast Co Ltd 乗物用エアバッグ並びにエアバッグ装置
DE102009058704A1 (de) * 2009-12-17 2011-06-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Mich. Gehäuseloses Airbagmodul
JP2013035325A (ja) * 2011-08-04 2013-02-2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EP2910434B1 (en) * 2014-02-20 2017-04-12 Dalphi Metal España, S.A. Mounting envelope
US10994687B2 (en) * 2018-12-11 2021-05-04 Autoliv Asp, Inc. Airbag compression wrappers and related airbag assemblies
US11447089B2 (en) 2019-08-23 2022-09-20 Toyoda Gosei Co., Ltd. Airbag assembly with reaction surface
FR3100500B1 (fr) * 2019-09-11 2022-08-12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529A (en) * 1907-03-04 1908-01-14 Milton B Dorman Fruit-conveyer.
US3163280A (en) * 1963-04-11 1964-12-29 Earl W Haugland Grain auger bag attachment
DE8714595U1 (de) * 1987-11-03 1988-01-28 Bloch, Klaus, 5205 St Augustin Airbag für Kraftfahrzeuge
US4778031A (en) * 1987-12-16 1988-10-18 Dynavac, Inc. Escape chute
CA1281668C (en) * 1988-06-22 1991-03-19 Stephen Lockett Laundry chute
DE3837085A1 (de) * 1988-11-01 1990-05-03 Kolbenschmidt Ag Gassack-aufprallschutzvorrichtung
US4903986A (en) * 1988-11-14 1990-02-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135253A (en) * 1989-05-24 1992-08-04 Mazda Motor Corporation Air bag system for vehicle
JPH033950A (ja) * 1989-06-01 1991-01-10 Riken Corp スターリングサイクル機関用軸封装置
JPH0626457Y2 (ja) * 1989-08-08 1994-07-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US5013064A (en) * 1990-05-29 1991-05-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Occupant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0153D1 (de) 1995-06-22
CA2089976A1 (en) 1993-08-25
MX9300975A (es) 1993-09-01
EP0558271B1 (en) 1995-05-17
KR930017756A (ko) 1993-09-20
JPH0710654B2 (ja) 1995-02-08
AU3312993A (en) 1993-09-02
US5242192A (en) 1993-09-07
AU647689B2 (en) 1994-03-24
EP0558271A1 (en) 1993-09-01
DE69300153T2 (de) 1995-11-16
JPH068783A (ja) 199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721B1 (ko)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US7322600B2 (en) Head-protecting airbag
US7121584B2 (e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US8328229B2 (en) Airbag module
US7549671B2 (en) Knee-protecting airbag apparatus
JP3168591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5454595A (en) Hidden volume cushion
JP5596128B2 (ja) インフレータ挿入のために構成されたニー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およびエアバッグハウジングに対するインフレータを介したカップリング
US7152877B2 (e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EP0962363B1 (en) Airbag
EP1010591A2 (en) Inflatable safety restraint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JP5962563B2 (ja) 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6383297B2 (ja) 車両用シート
US7163233B2 (en) Head-protecting airbag
JP2004284416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9783148B2 (en) Air bag cover with integrated steering panel
CN112141037B (zh) 膝盖保护安全气囊装置
JPH08310325A (ja) 膨張可能な衝撃保護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GB2393692A (en) Air bag with reinforced apertures in gas duct
JP2007022265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CA2148542C (e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JPH06166361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634670B1 (en) Airbag for an occupant restraint system
JP654426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4100204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