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4148B1 - Braider - Google Patents

Brai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148B1
KR950014148B1 KR1019930027839A KR930027839A KR950014148B1 KR 950014148 B1 KR950014148 B1 KR 950014148B1 KR 1019930027839 A KR1019930027839 A KR 1019930027839A KR 930027839 A KR930027839 A KR 930027839A KR 950014148 B1 KR950014148 B1 KR 95001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bobbin
composition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21789A (en
Inventor
히로시 우치다
야수오 히사
Original Assignee
무라타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쥰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쥰이치 filed Critical 무라타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2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1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브레이더Brader

제 1도는 본 발명의 브레이더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br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도는 본 발명의 브레이더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br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도는 제 2도의 I - I 단면을 포함하는 보빈캐리어를 궤도를 따라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의 확대정면도.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drive for driving a bobbin carrier along an orbit along the I-I cross section of FIG.

제 4도는 보빈캐리어를 궤도를 따라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4 is another embodiment of a drive for driving a bobbin carrier along a track.

제 5도는 보빈캐리어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bobbin carrier.

제 6도는 보빈유지부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bobbin holding unit.

제 7도는 제 6도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제 8도는 실줄기 가이드부의 회동부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part of the thread stem guide part.

제 9도는 보빈캐리어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9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bbin carrier.

제 10도는 제 9도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10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III-III of FIG.

제 11도는 중사(中絲)용 혹은 보강용 보빈지지장치의 정면도.11 is a front view of a bobbin support device for heavy sand or reinforcement.

제 12도는 제 11도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12 i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line IV-IV of FIG. 11;

제 13도는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의 정면도 및 맨드럴의 사시도.13 is a front view of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mandrel.

제 14도는 절단장치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14 is a side view including a partial cross section of a cutting device.

제 l5도는 절단장치의 일부확대정면도.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of the cutting device.

제 16도는 절단장치의 제 14도와는 반대측의 측면도.16 is a side view on the opposite side to 14th view of the cutting device.

제 17도는 맨드럴장치의 측면도.17 is a side view of the mandrel device.

제 18도는 맨드럴이동장치의 개략적 확대평면도.18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the mandrel moving device.

제 19도는 맨드럴부착판으로의 맨드럴의 고정수단을 표시하는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19 is a plan view including a partial cross-section showing the fixing means of the mandrel to the mandrel attachment plate.

제 20도는 맨드럴부각판으로의 맨드럴의 고정수단을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FIG. 20 is a plan view incorporating some cross-section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means for securing the mandrel to the mandrel relief plate.

제 21도는 브레이드의 조성공정을 표시하는 맨드럴의 평면도.21 is a plan view of a mandrel showing a braiding process.

제 22도는 제 21도와 마찬가지로 브레이드의 조성공정을 표시하는 맨드럴의 평면도.FIG. 22 is a plan view of a mandrel which shows a braid formation process similarly to FIG.

제 23도는 제 21도와 마찬가지로 브레이드의 조성공정을 표시하는 맨드럴의 평면도.FIG. 23 is a plan view of the mandrel which shows the braid formation process similarly to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흐의 설명* Explanation of Buch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BR : 보레이더기 Bb : 브레이더기 본체BR: Borer machine Bb: Brader machine

Bm : 맨드럴장치 C : 보빈캐리어Bm: Mandrel device C: Bobbin carrier

D : 구동장치 Fm : 기대(機坮)D: Drive Fm: Expectation

G :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 I : 중사(中絲)용 혹은 보강용 보빈지지장치G: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I: Bobbin supporting device for heavy sand or reinforcement

M : 맨드럴이동장치 S : 절단장치M: Mandrel moving device S: Cutting device

U : 상부판U: top plat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실가닥 혹은 섬유속(纖維柬)등을 편성하여 각종 브레이드(brald)를 조성하기 위한 브레이더기(機)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ding machine for forming a plurality of braids by knitting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or fiber bundles.

종래, 단면이 원형, 사각형 등의 맨드럴(mandrel) 상에 복수개의 실가닥 혹은 섬유속 등을 펀성하여 보레이드를 조성하는 각종 브레이더기가 알려져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braders are known in which cross sections are formed by punching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or fiber bundles on a mandrel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그러나, 종래 브레이더기에 있어서는 맨드럴 상의 조성점이 보반캐리어(bobbin canier)에 재치된 보빈의 축선과 맨드럴의 축선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보반으로부터 되감겨지는 실가닥 혹은 섬유속 등(이하, 단지 "실가닥"이라고 한다.)이 크게 굴곡하게 되므로 실가닥의 원활한 되감기가 잘되지 않게되기도 하고, 혹은 실가닥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기도 하는 문제를 야기시켜서 브레이드의 적정한 조성의장애가 되고 있다. 또, 실가닥이 유리섬유 등의 굴곡에 약한 섬유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굴곡에 의해 실가닥이 절단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rader, since the composition point on the mandrel is separ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axis of the bobbin placed on the bobbin canier and the axis of the mandrel intersect, a thread strand or a fiber bundle etc. (referred to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large bending, it is not easy to rewind the thread, or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to the thread, which impedes proper braid composition. Moreover, in the case of a fiber where the strand is weak in bending such as glass fiber, a problem arises such that the strand is broken by such bending.

또, 맨드럴 상의 조성점이 보반캐리어에 재치된 보빈의 축선과 맨드럴의 축선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브레이더기가 대형화되고, 브레이더기의 조작성의 악화 혹은 설치면적의 증대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ion point on the mandrel is separ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bobbin axis placed on the bobbin carrier and the mandrel axis intersect, the bladder becomes large and cause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maneuverability of the brader machine or an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area. I'm making i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브레이더기가 갖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고, 생산성 혹은 작업성이 우수한 자동화된 보레이더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lader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automated borer machine excellent in productivity or workability.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빈캐리어가 배치된 곡면형상의 상부판에 뚫어진 궤도를 내부에 앤드럴을 배치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n oral inside the track formed in the curved upper plate on which the bobbin carrier is disposed.

[실시예]EXAMPLE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취지를 넘지 않는 한 하등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t all unless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is exceeded.

먼저 본 발명의 브레이더기의 정면도인 제 1도 및 그 측면도인 제 2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더기의 전체 구성 및 본 발명의 브레이더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 및 각 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또, 제 1도, 제 2도 및 제 3도에 있어서, 보빈 캐리어(C) 상부의 점선으로 표시된 사각형부분은 후술하는 실가닥 가이드부(c3)를 생략하고 표시한 것이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pective devices and respec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br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using FIG. 1, which is a front view of the br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view thereof. In addition, in FIG. 1, FIG. 2, and FIG. 3, the square part shown with the dotted line in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carrier C is abbreviate | omitted and shown the thread strand guide part c3 mentioned later.

브레이더기(BR)는 브래이더기 본체(Bb) 및 맨드럴장치(Bm)로 구성되어 있다.The blade machine BR is composed of a blade machine main body Bb and a mandrel device Bm.

브레이더기 본체(Bb)는 축선이 수평으로 한쪽에 개구(e)를 보유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기내(Fb)내에 배치된 소정의 곡률반경(R)을 보유하는 곡면형상의 상부판(U), 상부판(U)에 뚫어 설치된 궤도를 따라서 주행하는 보빈캐리어(C), 보빈캐리어(C)를 궤도에 따라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D), 조성위치 안정가이드부재(G), 절단장치(S) 및 중사(中絲)용 혹은 보강용 보빈지지장치(I)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맨드럴장치(Bm)는 기대(Fm) 및 맨드럴이동장치(M)로 구성되어 있다.The blade body main body Bb has a curved upper plate U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R arrang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hamber Fb in which the axis has an opening e on one side horizontally, the upper portion U Bobbin carrier C running along the track provided in the plate U, driving device D for traveling the bobbin carrier C along the track, composition position stability guide member G, cutting device S And a bobbin support device I for heavy sand or reinforcement, and the mandrel device Bm is composed of a base Fm and a mandrel moving device M. As shown in FIG.

이하에 상기한 각 장치 및 각 부재를 설명한다.Each apparatus and each member mentioned above are demonstrated below.

먼저, 주로 제 2도 및 제 2도의 I-I단면을 포함하는 보빈캐리어(C)를 궤도에 따라서 주행시키기 위한구동장치(D)의 확대정면도인 제 3도를 사용하여 브레이더기본체(Bb)의 상부판(U) 및 보반캐리어(C)를 궤도에 따라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D)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upper part of the brader base body Bb using FIG. 3 which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drive device D for driving the bobbin carrier C which mainly includes II cross sections of FIG. 2 and FIG. The drive unit D for driving the plate U and the carry carrier C along the track will be described.

곡면형상의 상부판(U)은 제 2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대략 원통형상의 기내(Fb)내에 배치된 내략 원통형상의 기틀(fl)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당한 고정부재(fl,f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부판(U)에는 원주방향으로 공지의 궤도가 뚫어 설치되어 있다. 부호 f3은 기틀(fl)에 너트(f4)에 의해 고정된 중공볼트이고, 그 중공볼트(f3)에는 적당한 베어링(f5)을 통하여 톱니바퀴(dl)가 삽입되어 있고, 톱니바퀴(dl)에는 상면에 후술하는 보빈캐리어(C)의 계합축(c1)이 끼워맞춤되는 홈을 보유하는 날개차(d2)가 톱니바퀴(dl)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urved upper plate U is attached to a suitable fixing member fl, f2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rame fl disposed in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chamber Fb. It is fixed by the upper plate U, and a well-known track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eference numeral f3 denotes a hollow bolt fixed to the base fl by a nut f4. The hollow bolt f3 is inserted with a cog wheel dl through a suitable bearing f5, and the cog wheel dl An impeller d2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engagement shaft c1 of the bobbin carrier 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on the upper surface is fixedly attached so as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cog wheel dl.

부호 Y는 보빈캐리어(C)에 재치되어 있는 보빈으로부터 되감겨져서, 맨드럴장치(Bm)에 지지되고 있는 맨드럴(m) 상의 조성점(P)으로 향하는 실가닥이고, 부호 y는 대략 원통형상의 기대(Fb)의 측벽(Fb')에 대략 수평형상으로 배치된 보빈캐리어(C)로부터 되감겨져서 기대(Fb)에 고정된 가이드로울러(f6)에 의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안내되어 중공볼트(f3)에 삽업된 후, 맨드럴(m) 상의 조성점(P)으로 향하는 중사용 혹은보강용 실가닥(이하, 단지 "중사용 실가닥"이라고 한다.)이다.The symbol Y is a thread strand which is wound from the bobbin mounted on the bobbin carrier C and directed to the composition point P on the mandrel m supported by the mandrel device Bm, and the symbol y is approximately cylindrical The hollow bolts are guided in a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by a guide roller f6 wound around the bobbin carrier C arrang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hape on the side wall Fb 'of the base Fb of the image and fixed to the base Fb. After insertion in f3), it is the heavy use or reinforcement thread strand which goes to the composition point P on the mandrel m (henceforth only a "heavy use thread strand").

모터 등의 적당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톱니바퀴(dl)를 회전구동시켜서 날개차(d2)를 회전시키므로써 날개차(d2)에 뚫어 설치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어 있는 보빈캐리어(C)의 계합축(c1)을 이동시켜서 보빈캐리어(C)를 궤도에 따라서 주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빈캐리어(C)를 곡면형상의 상부판(U)에 뚫어 설치된 궤도를 따라서 주행시키므로써 다수의 실가닥(Y)을 교착시켜서 맨드럴(m)상에 브래이드를 조성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기대(Fb)의 측벽(Fb')에 내략 수평형상으로 배치된 보반캐리어(C)로부터 중사용 실가닥(Y)을 궤도에 따라서 주행하는 보빈캐리어(C)로부터 되감겨져서 조성되는 실가닥(Y)에 얽히게 하여 브레이드를 조성한다.The engagement shaft of the bobbin carrier C inserted into the groove provided in the vane d2 by rotating the vane d2 by rotating the cogwheel dl by a suitable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 The bobbin carrier C is moved along the track by moving c1). As described above, by driving the bobbin carrier (C) in the curved upper plate (U) to run along the track installed to form a braid on the mandrel (m) by interlacing a plurality of threads (Y). If necessary, it is rewound from the bobbin carrier C which travels the heavy-use thread strand Y along the track from the bobbin carrier C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side wall Fb 'of the base Fb. The braid is formed by entangled in the thread strand (Y).

제 4도는 보빈캐리어(C)를 궤도에 따라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D)의 다른 실시에를 표시하는 구동장치(D)의 확내정면도이고, 부호 dl'는 상기한 톱니바퀴(dl)와는 다르며 그 톱니가 각설되어 있지 않은 원반형상의 마찰로울러이고, 상기 한 톱니바퀴(dl)와 마찬가지로 베어링(f5)을 통하여 중공볼트(f3)에 끼워붙임 되어 있다. 또, 마찰로울러(dlr)에는 상기한 톱니바퀴(dl)와 마찬가지로 날개차(d2')가 고정되어 있다.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drive device D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e device D for driving the bobbin carrier C along the track, and the symbol dl 'is different from the cog wheel dl described above. It is a disk-shaped friction roller whic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s not squared, and is fitted to the hollow bolt f3 through the bearing f5 like the above-mentioned cog wheel dl. The vane wheel d2 'is fixed to the friction roller dlr similarly to the cog wheel dl described above.

부호 d3은 중공볼트(f3)에 베어링(f5)을 통하여 끼워붙임된 하단부에 플랜지(d3')를 보유하는 날개차이고, 그 날개차(d3)의 외주면에는 날개차(d3)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적당 수의 키이홈(d3")이 뚫어 설치되어있다. 부호 d4는 날개차(d3)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반원형상의 접동마찰로울러이고, 그 접동마찰로율러(d4)에는 날개차(d3)에 뚫어 설치된 키이홈(d3")에 끼워맞추는 블록부(d4')가 돌설되어 있으며, 날개차(d3)에 대하여 날개차(d3)의 축선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접동마찰로울로(d4)의 하면과 날개차(d3)의 플랜지부(d3')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d5)이 배치되어 있어서 접동마찰로울러(d4)를 상방으로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d3 denotes a vane having a flange d3 'at a lower end fitted to the hollow bolt f3 via a bearing f5, an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ne d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ne d3. An appropriate number of key grooves d3 "are provided. Reference numeral d4 is a semi-circular sliding roller fitted to the vane d3, and the sliding frictional roller d4 is mounted on the vane d3. A block portion d4 'fitted to the drilled key groove d3 " is protruded,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ne d3 with respect to the vane d3. Moreover, the compression spring d5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friction roller d4, and the flange part d3 'of the vane wheel d3,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sliding friction roller d4 may be urged upwards. .

제 4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마찰로울러(dl')와 접동마찰로울러(d4)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고, 마찰로울러(dl')를 철 혹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또 접동마찰로울러(d4)를 마찰계수가 큰 우레탄고무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등의 적당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적당한 마찰로울러(dl')를 회전구동시키므로써 마찰로울러(dl')에 마찰접촉하고 있는 접동마찰로울러(d4)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접동마찰로울러(d4)는 압축스프링(d5)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되고 있으므로 항상 마찰로울러(d1')에 적당한압력으로 압점되어 있으므로 구동력의 전달이 확실하계 실시된다.As shown in FIG. 4, the friction roller (dl ') and the sliding friction roller (d4)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friction roller (dl') is formed of iron or hard synthetic resin, and the sliding friction roller (d4). ) Is preferably formed of urethane rubber having a large friction coefficient. It is configured to drive the sliding friction roller d4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friction roller dl 'by rotating the appropriate friction roller dl' by a suitable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In addition, since the sliding friction roller d4 is urged upward by the compression spring d5, the pressure friction roller d4 is always pressed against the friction roller d1 'at an appropriate pressure, so that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reliably.

이와 같이 마찰로울러(dl') 및 접동마찰로울러(d4)에 의해 보반캐리어(C)를 주행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상기한 톱니바퀴(dl)의 백래시(backlash)에 기인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Since the walk carrier carrier C is configured to run by the friction roller dl 'and the sliding friction roller d4, the noise generated by the backlash of the above-mentioned gear dl can be prevented. There is a number.

제 1도 및 제 2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곡면형상의 상부판(U)의 둘레면 위에 뚫어 설치된 궤도를 따라서 보반개리어(C)가 배치되어 있고, 보빈캐리어(C)에 배치된 보빈으로부터 보빈의 축선방향으로 인출되는 실가닥(Y)은 곡면형상의 상부판(U)의 중심에 접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맨드럴장치(Bm)에 고정된 맨드럴(m) 위에서 조성되는 보레이드의 조성점(P)이 곡면형상의 상부판(U)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맨드럴(m)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bobbin carrier C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track | orbit which is provid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upper plate U, and the bobbin from the bobbin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bbin carrier C is carried out. The thread strand Y drawn out in the axial direction of is configured to be joined to the center of the curved top plate U. The position of the mandrel m is controlled so that the composition point P of the boride formed on the mandrel m fixed to the mandrel device Bm described lat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urved upper plate U. It is configured to be.

그 다음에 보빈캐리어(C)의 정면도인 제 5도, 보빈유지부의 정면도인 제 6도, 그리고 제 6도의 II-II단면도인 제 7도 및 실가닥가이드부의 회동부의 사시도인 제 8도를 사용하여 보빈캐리어(C)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FIG. 5 which is the front view of the bobbin carrier C, FIG. 6 which is the front view of the bobbin holding part, and FIG. 7 which is the II-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and FIG. 8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part of a thread strand guide part. The bobbin carrier C will be described below.

제 5도에 있어서, 부호 c2는 상부플랜지이고, 그 상부플랜지(c2)에는 선단부에 실가닥가이드부(c3)가 회동자재하게 배치된 단면 그 형상의 마스트(c4) 및 스펀들(c5)이 입설되어 있다. 스펀들(c5)에는 실줄기(Y)가 두루감긴 보빈(c6)이 삽입되어 있고, 스펀들(c5)의 선단부에는 베어링(c7)을 보유하는 플라이어(flyer)(c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붙임되어 있다.In FIG. 5, reference numeral c2 denotes an upp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c2 includes a mast c4 and a spun c5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thread strand guide portion c3 is pivotally disposed. It is put in place. The spuns c5 have a bobbin c6 wound around the thread stem Y, and a plier c8 holding the bearing c7 is rotatably fitted at the distal end of the spun c5. Attached.

제 6도 및 제 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스펀들(c5)의 선단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c9)이 설치되어 있고, 슬릿(c9)내에는 선단에 대략 삼각형상의 팽출부(cl0,c10')를 보유하는 한쌍의 혹부재(c11,c11')가 배치되어 있으며, 혹부재(c11,c11')의 하단부는 스펀들(c5)에 고정되어 있는 축(c12)에 피벗팅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slit c9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puns c5, and the slit c9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bulge cl0 at the tip. A pair of hump members c11 and c11 'holding c10') is arranged, and the lower ends of the hump members c11 and c11 'are pivoted on an axis c12 fixed to the spuns c5. .

훅부재(c11,c11')의 대략 중간 부근에는 각각 서로 대하는 오목부(c13,c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훅부재(c11,c11')의 오목부(c13,c13')에는 압축스프링(c14)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훅부재(c11,c11')는 항상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부제되고 있다. 또 훅부재(c11,c11')는 도면표시되어 있지 않은 적당한 스토퍼에 의해 소정이상 이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반(c6) 혹은 플라이어(c8)를 훅부재(c11,c11')의 팽출부(c10,c10')에 삽입하면, 훅부재(c11,cl1')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서 보빈(c6) 혹은 플라이어(c8)를 스핀들(c5)에 장작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반(c6) 혹은 플라이어(c8)가 스핀들(c5)에 장착되면, 압축스프링(c14)에 의하여 훅부재(c11,c11')의 팽출부(c10,c10')가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확장하여서 보반(c6) 혹은 플라이어(c8)가 스핀들(c5)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ecesses c13 and c13 'facing each other are provided near the middle of the hook members c11 and c11'. Since the compression springs c14 are inserted into the recesses c13 and c13 'of the hook members c11 and c11', the hook members c11 and c11 'are always sublimed in direction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hook members c11 and c11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not carry more than predetermined by a suitable stopp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refore, when the bobbin c6 or the pliers c8 are inserted into the bulging portions c10 and c10 'of the hook members c11 and c11', the hook members c11 and cl1 'are rot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so as to bobbin. It is comprised so that (c6) or the pliers c8 can be mounted to the spindle c5. When the bobbin c6 or the pliers c8 are mounted on the spindle c5, the swelling portions c10 and c10 'of the hook members c11 and c11' are extended by the compression spring c14 in the opposite directions. It is comprised so that the bobbin c6 or the pliers c8 may not come out of the spindle c5.

부호 c6'는 원동형상의 보반커버이고, 상부플랜지(c2)에 고정되어 있다. 원통형 상의 보반커버(c6')는 보반캐리어(C)가 정사되거나 혹은 거꾸로 위치했을 때에 보반(c6)에 두루감겨 있는 실가닥(Y)이 인출되거나 홈은 처지거나 인접하고 있는 보반에 두루감겨 있는 실가닥과 얽히거나 혹은 브레이더기의 다른 부재 등에얽히거나 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c6 'is a cylindrical cover plate and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c2. Cylindrical bobbin cover (c6 ') has a thread strand (Y) wound around the bobbin (c6) withdrawal or groove is sag or wound around the adjacent bobbin when the bobbin carrier (C) is square or placed upside down. This is to prevent the problem of being entangled with thread strands or other members of the brader.

마스트(c4)의 선단부에 배치된 실가닥가이드부(c3의 대략 그형상프레임(c15)에는 하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텐션와셔(tension washer) (c16), 기 이드로울러(c17), 이완(弛緩)흡수부재(c18) 및 가이드로울러(19)가 배치되어 있다. 이완흡수부재(c18)의 선단부에는 가이드로울러(c20')를 보유하는 가이드부(c20) 가 고정되어있고, 이완흡수부재(c18)의 타단은 코일스프링(c2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c21)의 타단은 프레임(c1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완흡수부재(c18)는 프레임(c15)에 배치된 베어링부재(c22)에 고정된 축부재(c22')를 통하여 프레임(c15)에 피벗팅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c21)에 의하여 항시 제 5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보빈(c6)으로부터 되감겨지는 실가닥(Y)이 이완되었을 경우에는 이완흡수부재(c18)가 제 5도에 있어서, 축부재(c2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서 실가닥(Y)의 이완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텐션와셔(c16) 및 가이드로울러(c19)에 인접하고 프레스임(c15)에는 실가닥(Y)이 통하는 투공(c16',c19')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The thread strand guide portion (c3) of the thread strand guide portion (c3) dispos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mast (c4) has a tension washer (c16), a guide roller (c17), and a relaxation absorber sequentially from below. A member c18 and a guide roller 19 are arranged, and a guide portion c20 for holding the guide roller c20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relaxed absorbing member c18, and the One end of the coil spring c21 is fixed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c21 is fixed to the frame c15, and the relaxation absorbing member c18 is a bearing member disposed on the frame c15. It is pivoted to the frame c15 via the shaft member c22 'fixed to c22, and is always biased by the coil spring c21 to rotate counterclockwise in Fig. 5. Thus, the bobbin c6 In the case where the thread strand Y being rewound from) is loosened, the relaxation absorbing member c18 is removed. 5 degrees, it is comprised so that rotation of counterclockwise direction may be absorbed about the shaft member c22 ', and it will absorb the loosening of the thread strand Y. Moreover, it adjoins the tension washer c16 and the guide roller c19. The press-rim c15 is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s c16 'and c19' through which the thread strand Y passes.

제 8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대략 그자형상프레임(c15)의 하부수평부(c15')는 마스트(c4) 선단부의 절결부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고, 프레임(c15)의 하부수평부(c15')의 끝부는 마스트(c4)의 선단부에 배치된 축부재(c4')에 피벗팅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approximately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c15 'of the self-shaped frame c15 extends through the cutout of the distal end of the mast c4, and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c15' of the frame c15. The end of the pivot is pivoted on the shaft member c4 'disposed at the tip of the mast c4.

프레임(c15)의 하부수평부(c15')의 끝부 근방은 프레임(c15)의 하부수평부(c15')가 수평상태로 유지하도록 마스트(c4) 선단부의 절결부 하단가장자리(c4'')에 재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c15)의 수직부(c15")의 폭(w1)은 마스트(c4) 선단부의 절결부의 폭(w2)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c15)의 수직부(c15'')에는 제로로 긴 투공(c23)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투공(c23)에는 프레임(c15)의 수직부(c15") 배후에 배치된 슬라이더(c24)의 가이드노브(c24')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슬라이더(c24)의 폭(w3)은 마스트(c4)의폭(w4)과 내략 동등하고, 그리고 슬라이더(c24)에는 통상 마스트(c4) 선단부의 절결단(段)부(c25) 위에 재치되어 있다.Near the end of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c15 'of the frame c15,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c15' of the frame c15 is placed at the lower edge c4 '' of the cutout of the distal end of the mast c4. It is tactful. The width w1 of the vertical portion c15 ″ of the frame c15 is configur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w2 of the cutout por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mast c4. The vertical portion c15 ″ of the frame c15 is formed. ) Is provided with a zero long perforation (c23), the perforation (c23) is fitted with a guide knob (c24 ') of the slider (c24) arranged behind the vertical portion (c15 ") of the frame (c15) have. The width w3 of the slider c24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width w4 of the mast c4, and the slider c24 is normally placed on the cutout portion c25 of the tip portion of the mast c4.

따라서, 슬라이더(c24)가 마스토(c4) 선단부의 절결단부(c25) 위에 재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프레임(c15)은 마스트(c4)의 폭(w4)과 내략 같은 폭(w3)을 보유하는 슬라이더(c24)가 일종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므로 제 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다. 한편, 슬라이더(c24)를 프레임(cl5)의 수직부(c15")에 뚫어설치된 투공(c23)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더(c24)의 하단부가 마스트(c4) 선단부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프레임(c15)은 제 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희동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slider c24 is placed on the cutout c25 of the tip of the mast c4, the frame c15 has a width w3 equal to the width w4 of the mast c4. Since the slider c24 acts as a kind of stopper, it does not rotate clockwise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slider c24 is moved upward along the perforation c23 provided in the vertical portion c15 ″ of the frame cl5, and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slider c24 is separated from the tip of the mast c4, The frame c15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clockwise in FIG.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빈(c6) 혹은 플라이어(c8)를 스펀들(c5)에 장착할 경우에는 슬라이더(c2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프레임(c15)을 제 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써 스핀들(c5)의 상방에 공간을 만들고, 스펀들(c5)에 보빈(c6) 혹은 플라이어(c8)를 장착한다. 스핀들(c5)에 보반(c6) 혹은 플라이어(c8)를 장착한 후에 프레임(c15)을 제 5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어서 슬라이더(c24)를 마스트(c4) 선단부의 절결탄부(c25) 위에 재치하므로써 프레임(c15)을 마스트(c4) 선단부에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슬라이더(c24)는 스프링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하방향으로 부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it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when attaching the bobbin c6 or the pliers c8 to the spuns c5, the slider c24 is moved upwards and the frame c15 is clockwise in FIG. By rotating, a space is created above the spindle c5, and the bobbin c6 or the pliers c8 are attached to the spuns c5. After attaching the bobbin c6 or the pliers c8 to the spindle c5, the frame c1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 5, and then the slider c24 is cut off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mast c4. c25), the frame c15 is held so as not to rotate at the distal end of the mast c4.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lider c2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ubordinated downward by suitable means such as a spring.

이상과 같이 스펀들(c5)에 보빈(c6)을 장착할 때에 스펀들(c5)의 상방공간을 완전히 비워둘 수가 있으므로 실가닥(Y)이 대량으로 두루감긴 대형보빈(c6)을 보빈캐리어(C)에 재치할 수가 있게 되므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빈(c6)의 교환횟수가 감소되어서 브레이더기(BR)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obbin c6 is attached to the spuns c5, the upper space of the spuns c5 can be completely emptied, so that the large bobbin c6 wound with a large amount of thread strands Y is bobbin carrier ( Since it can be mounted in C), the frequency | count of the bobbin c6 replacement | exchange is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hing, and the productivity of the brader BR can be improved.

또, 제 5도에 있어서 부호 c26은 대략 타원형상의 플랜지이고, 부호 c27은 상부판(U)에 뚫어 설치된 궤도에 끼워맞춤되어서 접동되는 상부플랜지(c2)와 하부플랜지(c26)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부이다. 보빈캐리어(C)는 상부플랜지(c2)와 하부플랜지(c26)에 의하여 상부판(U)을 협지하므로써 상부판(U)에 대하여 대략수직으로 유지되면서 궤도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FIG. 5, reference numeral c26 denotes an approximately elliptical flange, and reference numeral c27 denotes a guide disposed between the upper flange c2 and the lower flange c26, which fit and slide in a track provided through the upper plate U. It is wealth. The bobbin carrier C is configured to travel along the track while being hel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plate U by sandwiching the upper plate U by the upper flange c2 and the lower flange c26.

보빈캐리어(C)의 정면도인 제 9도 및 제 9도의 III-III단면도인 제 10도는 보빈캐리어(C)의 다른 실시예이고, 제 9도에 표시되어 있는 보빈캐리어(C)는 상기한 보빈캐리어(C)의 원통형상의 보빈커버(c6') 대신에 보빈(c6)에 두루감긴 실가닥(Y)의 표면에 접촉하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탄성판(c28)을 마스트(c4)에 고정한 것 이외는 상기한 보빈캐리어(C)와 동일구조를 보유하는 것이다. 탄성판(c28)을 항시 보빈(c6)에 두루감긴 실가닥(Y) 표면에 접촉시키므로써 상기한 원통형상의 보빈커버(c6')와 마찬가지로 보빈캐리어(C)가 경사되거나 혹은 거꾸로 위치했을 때에 보반(c6)에 두루각겨 있는 실가닥(Y)이 인출되거나 혹은 느슨해져서 인접하고 있는 보반에 두루감겨 있는 실가닥과 얽히게 되거나 혹은 브레이더기의 다른 부재 등에 얽히거나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9 is a front view of the bobbin carrier C and FIG. 10 is a cross section III-III of FIG. 9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obbin carrier C, and the bobbin carrier C shown in FIG. 9 is the bobbin described above. Instead of the cylindrical bobbin cover c6 'of the carrier C, an elastic plate c28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thread strand Y wound around the bobbin c6 is fixed to the mast c4.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bobbin carrier C described above. The elastic plate (c28)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read strand (Y) wound around the bobbin (c6) so that the bobbin carrier (C) is inclined or inverted, as in the cylindrical bobbin cover (c6 '). It is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thread strand (Y) rounded in (c6) is drawn out or loosened and entangled with the thread strand wound around the adjacent bobbin or entangled with another member of the blader.

그 다음에, 중사용 혹은 보강용 보빈지지장치(I)를 중사용 혹은 보강용 보빈지지장치(I)의 정면도인 제 1l도 및 제 11도의 IV-IV단면도인 제 12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heavy use or reinforcement bobbin support device I will be described using FIG. 1L which is the front view of the heavy use or reinforcement bobbin support device I, and FIG. 12 which is the IV-IV cross-sectional view of FIG. .

기대(Fb)의 측벽(Fb')에는 보빈캐리어(C)의 가이드부(c27)가 삽입가능한 가이드부(c27)의 직경에 대략동등한 폭을 보유하는 세로로 긴 홈(c29')이 뚫어 설치된 보빈캐리어 유지부재(c29)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빈캐리어 유지부재(c29)의 세로로 긴 홈(c29')에 보빈캐리어(C)의 가이드부(c27)를 삽입하고, 상부플랜지(c2)와 하부플랜지(c26)에 의해 보빈캐리어 유지부재(c29)를 협지하므로써 보빈캐리어(C)를 제 1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대략 수평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ide wall Fb 'of the base Fb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ly elongated groove c29' having a width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c27 into which the guide portion c27 of the bobbin carrier C can be inserted. The bobbin carrier holding member c29 is fixed. Therefore, the guide portion c27 of the bobbin carrier C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ly long groove c29 'of the bobbin carrier holding member c29, and the bobbin carrier holding member is formed by the upper flange c2 and the lower flange c26. By sandwiching (c29), the bobbin carrier C can be hel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hape as shown in FIG.

다음에 제 2도 및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의 정면도인 제 13도를 사용하여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will be described using FIG. 2 and the front view of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FIG.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는 기대(Fb)의 중간측벽(Fb")으로부더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gl')에 고정된 제1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l) 및 그 제1조성 안정 가이드부재(gl)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바닥부재(Fr)에 입설된 프레임(g2')의 선단부에 고정된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92)로 구성되어 있다.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is a first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l fixed to a frame gl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intermediate side wall Fb "of the base Fb and its first. It consists of the 2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92 fixed to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frame g2 'installed in the bottom member Fr arrange | pos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l.

제1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l) 및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제(g2)는 상부판(U)에 뚫어 설치된 궤도를 따라서 지그재그로 주행하는 보빈캐리어(C)의 횡방향 이동을 따라서 흔들리는 실가닥(Y)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l) 및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2)에 의해 안내하여 그 요동을 규제하므로써 조성점을 대략 열정 위치에 유지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조성점을 대략 일정위치에 유지하므로써 조성되는 실가닥(Y)이 조성점 부근에 있어서 불규칙 상태로 서로 얽히는 일 없이 안정된 조성이 실현되며, 따라서 조성된 브레이드의 형상이 균일하고 안정된 브레이드를 제조할 수가 있다.The first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member gl and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subsidiary g2 are shaken along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bobbin carrier C running in a zigzag along the track provided in the upper plate U. The strand Y is guided by the first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member gl and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member g2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regulate its fluctuations, thereby maintaining the composition point in the approximately passion position. As a result, a stable composition is realized without the yarn strands Y being formed by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an irregular state near the composition point by maintaining the composition point in a substantially constant position. Thus, the shape of the formed braid is uniform and stable. Braids can be produced.

또,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를 배치함에 따라서 조성이 종료된 후, 맨드럴(m)을 제 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2)에 의해 조성된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을 접속시켜서 후술하는 절단장치(S)에 의한 실가닥(Y)의 절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가 있는것이다.Further, after the composition is finished by disposing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when the mandrel m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2,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ut the thread strand Y by the cutting device S to be described lat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connected to the formed braid.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달성하는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로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제 13도를 사용하여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의 한 예를 설명한다. 또, 제1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l) 및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 13도를 사용하여 제1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l)의 형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Although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which achieves the function mentioned above is various, an example of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is demonstrated using FIG. Further, since the first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member gl and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member g2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the shape of the first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member gl is shown using FIG. Explain only about.

제 13도(a)에 포시되어 있는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는 원형상의 가이드부재(g3) 및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평부재(g4)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제 13도(b)에 표시되어있는 것과 같은 T자형 맨드럴(m)에 브레이드를 조성할 경우 등에 적용되는 것이다.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shown in FIG. 13 (a) is constituted by a circular guide member g3 and a horizontal member g4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xtending substanti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ase of forming a braid in the T-shaped mandrel (m) as shown in FIG.

또, 제 13도(c)에 표시되어 있는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는 원형상의 가이드부재(g3)의 내부에 배치된 4개의 대략 L자형의 가이드부재(g5)에 의하여 +자 형상의 안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 13도(d)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자형상부재를 직교시킨 것과 같은 앤드럴(m)에 브레이드를 조성할 경우등에 적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 shown in FIG. 13 (c) has a + -shaped shape by four substantially L-shaped guide members g5 disposed inside the circular guide member g3. The guid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formed, and is applied to the case of forming a braid in an oral m such as orthogonal to the + -shaped member as shown in FIG. 13 (d).

그 다음에, 주로 절단장치(S)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인 제 14도, 그리고 절단장치(S)의 일부확대정면도인 제 15도 및 절단장치(S)의 제 14도와는 반대측 측면도인 제 16도를 사용하여 절단장치(S)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FIG. 14 is a side view mainly including a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cutting device S, and 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of the cutting device S, and a side view opposite to FIG. 14 of the cutting device S. The cutting device S is explained using FIG.

제 2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절단장치(S)는 기대(Fb)의 전면에 늘어뜨려진 프레임(s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s1)에는 감속기(s2)가 부설된 모터(s3)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s3)의 감속기(s2)가 부설되어 있지 않은 고속회전하는 출력축(s4)에는 풀리(s5)가 고정되어 있고, 감속기(s2)에 의해 감속되어서 저속회전하는 출력축(s6)에는 대략 타원형의 캠(s7)이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utting device S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s1 hanging on the front of the base Fb, and the motor s3 is provided with the speed reducer s2 on the frame s1. Is arranged. The pulley s5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s4 of the high speed rotation in which the reduction gear s2 of the motor s3 is not attached. The pulley s5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s6 decelerated by the speed reducer s2 and is approximately elliptical. The cam s7 is fixed.

고속회전하는 출력축(s4)에는 베어링(s8)을 통하여 레버(s9)가 피벗팅되어 있고, 레버(s9)는 베어링(s8)을 통하여 출력축(s4)에 피벗팅되어 있으므로 출력축(s4)의 회전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버(s9)의 자유단부에는 수평축(s10)이 고정되어 있고, 수평축(s10)의 일단에는 베어링(sl1)을 통하여 원반커터(s12)가 부착된 폴리(s13)가 고정되어 있으며, 수평축(s10)의 타단에는 적당한 베어링을 통하여 가이드로울러(s12')가 고정되어 있다. 또, 레버(s9)의 자유단부에는 제 15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선단부에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 수평의 가이드홈(s14')을 보유하는 가이드부재(s14)가 고정되어 있다. 고속회전하는 출력축(s4)에 고정된 풀리(s5)와 수평축(s10)의 일단에 피벗팅된 폴리(sl3)에는 벨트(s15)가 팽팽하게 걸려 있고, 출력축(s4)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폴리(s5) 및 벨트(s15)를 통하여 풀리(s13)가 회전하며, 따라서 풀리(s13)에 고정되어 있는 원반커터(s12)가 고속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ince the lever s9 is pivoted to the output shaft s4 which rotates at high speed through the bearing s8, and the lever s9 is pivoted to the output shaft s4 through the bearing s8, the output shaft s4 rotates. It is configured not to be affected. A horizontal axis s10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lever s9, and a poly s13 having a disc cutter s12 attached thereto is fix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axis s10 through a bearing sl1, and a horizontal axis s10. Guide roller s12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ller through an appropriate bearing. Further, as shown in FIG. 15, a guide member s14 holding a horizontal guide groove s14 ', which is wider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lever s9. A pulley s5 fixed to the output shaft s4 which rotates at high speed and a pulley s3 pivot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shaft s10 are squeezed by the belt s15, and the pulley s5 is fastened by The pulley s13 rotates through the s5 and the belt s15, so that the disc cutter s12 fixed to the pulley s13 rotates at high speed.

또, 기대(Fb)의 전면에 늘어뜨려진 프레임(s1)의 하단부에는 수평축(s16)이 부착되어 있고, 그 수평축(s16)에는 레버(s17)가 피벗팅되어 있다. 제 16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레버(s17)의 대략 수평부분(s17')의 끝부에는 일단이 프레임(s1)에 고정된 코일스프링(s18)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어서, 레버(s17)를 수평축(s16)을 중심으로 제 16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over, the horizontal axis s16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frame s1 lined up in front of the base Fb, and the lever s17 is pivoted to the horizontal axis s16. As shown in FIG. 16,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s18,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rame s1, is fixed to the end of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portion s17 'of the lever s17, so that the lever s17 is moved to the horizontal axis (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apply clockwise in FIG. 16 centering on s16).

레버(s17)의 대략 수직부분(s17")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s19)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긴 구멍(s19) 내에는 레버(s9)의 자유탄부에 고정된 수평축(s10)의 일단에 삽입된 가이드로울러(s12')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 레버(s17)의 중간쯤에 고정된 수평축(s20)에는 저속회전하는 출력축(s6)에 고정된 대략 타원형의 캠(s7)에 압접하는 컴종동자(s2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s17)는 코일스프링(s18)에 의하여 제 16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부재되어 있으므로, 캔종동자(s21)는 항시 대략 타원형의 캔(어)에 압접하도륵 구성되어 있다.A long hole s19 is drilled in the distal end of the substantially vertical portion s17 "of the lever s17, and the long hole s19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shaft s10 fixed to the free bullet portion of the lever s9. The inserted guide roller s12 'is fitted in. Also, the horizontal axis s20 fixed about the middle of the lever s17 is pressed against the substantially elliptical cam s7 fixed to the output shaft s6 rotating at low spe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ver s17 is absent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16 by the coil spring s18, the can follower s21 is always an elliptical can. It is comprised even if it is pressed against (H).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절단장치(S)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device 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맨드럴(m) 위에서 브레이드의 조성이 완료되고, 후술하는 맨드럴장치(Bm)의 맨드럴 이동장치(M)에 의하여 맨드럴(m)이 절단장치(S)의 원반커터(s12)를 넘어서 제 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면,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도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의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g2)에의하여 굴곡되어 집속되면서 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The composition of the braid is completed on the mandrel m, and the mandrel m exceeds the disc cutter s12 of the cutting device S by the mandrel moving device M of the mandrel device Bm described later.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ure 2, the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following the braid is also bent and focused by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g2 of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ty guide member (G) to the right direction Move horizontally.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2)에 의하여 굴곡되어 접속된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이 절단장치(S)의 원반커터(s12) 부근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모터(s3)를 회전시키면, 고속회전하는 출력축(s4)에 고정된 풀리(s5), 벨트(s15) 및 풀리(s13)를 통하여 원반커터(s12)가 고속회전한다. 또, 감속기(s2)를 통하여 모터(s3)에 의하여 저속회전하는 출력축(s6)의 회전에 따라서 내략타원형의 캠(s7)이 회전하여 레버(s17)를 제 16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대기위치로부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작동위치로 향하여 회동시킨다.The motor s3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which are connected to the braid bent and connected by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g2, reach the vicinity of the disc cutter s12 of the cutting device S. When rotating, the disk cutter s12 rotates at high speed through the pulley s5, the belt s15, and the pulley s13 fixed to the output shaft s4 which rotates at high speed. Further, the cam s7 of the inverted elliptical shape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s6, which is rotated at low speed by the motor s3 through the speed reducer s2, and the lever s17 is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Rotate to the operating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레버(s17)의 제 16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의 회동에 따라서 레버(s17)의 긴 구멍(s19)내에 끼워맞춤되어있는 가이드로울러(s12')를 동하여 레버(s9)도 레버(s17)와 마찬가지로 제 16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제 16도에 있어서 래버(s9)는 생략되고 있다. 레버(s9)의 회동에 의하여 레버(s9)의 선단부에 부착된 가이드부재(s14)의 수평인 가이드홈(s14') 내에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g2)에 의하여 굴곡되어집속된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을 안내하고, 풀리(s13)에 고정되어 고속회전하는 원반커터(s12)에 접속시켜서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을 절단한다.According to the clockwise rotation in FIG. 16 of the lever s17, the lever s9 is also lever s17 by moving the guide roller s12 'fitted into the long hole s19 of the lever s17.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6, it rotates clockwise. In addition, the lever s9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By rotating the lever s9 in the horizontal guide groove s14 'of the guide member s14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lever s9 by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le guide member g2, Subsequently, the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are guided and connected to a disk cutter s12 that is fixed to the pulley s13 and rotates at high speed to cut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following the braid.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이 절단된 후에는 레버(s17)를 대략 타원형의 캠(s7)에 의해, 제 16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대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레버(s17)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레버(s9)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서 대기위치로 복귀된다. 레버(s17) 및 레버(s9)가 대기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면표시되어 있지 않은 적당한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하고 모터(s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After cutting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that follow the braid, the lever s17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 16 by a substantially elliptical cam s7, and is indicated by a two-dot chain line. Return to. As the lever s17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lever s9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to return to the standby positio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s17 and the lever s9 are returned to the standby position is detected by appropriate detecting means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s3 is stopped.

또,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을 절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길이가 길게 조성된 브레이드 자체를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many thread strands Y which follow the braid was cut was demonstra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cut | disconnect the braid itself formed long.

그 다음에, 주로 맨드럴장치(Bm)의 측면도인 제 17도 및 맨드럴이동장치(M)의 개략적인 확대평면도인 제 18도를 사용하여 맨드럴장치(Bm)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ndrel device Bm will be described using FIG. 17 which is mainly a side view of the mandrel device Bm and FIG. 18 which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the mandrel moving device M. FIG.

맨드럴장치(Bm)의 기대(Fm)는 제 1도 및 제 2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브레이더기 본체(Bb)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기대(Fm)의 상부에는 브레이더기 본체(Bb) 내에 배치된 궤도가 뚫어 설치되어 있는 곡면형상의 상부판(U)의 대략 중심으로 향하여 수평이동 가능한 수평이동 틀체(bl)가 배치되어 있다. 수평이동틀체(bl)의 양측벽에는 오목부(b2)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b2)에는 제 1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기내(Fm)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축에 피벗팅된 가이드로울러(b3,b3') 몇 수직축에 피벗팅된 가이드로울러(b4,b4')가 끼워맞춤되어 있다.The base Fm of the mandrel device Bm is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adder main body Bb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upper part of the base Fm is in the bladder main body Bb. A horizontal movable frame bl which can move horizontally toward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curved upper plate U in which the arrange | positioned track | orbit is installed is arrange | positioned. Concave portions b2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and the concave portions b2 are guide rollers pivoted on a horizontal axis disposed above the aircraft Fm as shown in FIG. (b3, b3 ') Guide rollers b4 and b4' pivoted on several vertical axes are fitted.

또, 수명이동 틀체(bl)의 하부에는, 수평이동 틀체(bl)와 평행으로 랙(b5)이 부착되어 있고, 랙(b5)에는 기대(Fm)에 장착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b6)의 출력축(b6')에 고정된 피니언(b7)이 나사맞춤되어 있다.Further, a rack b5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fe moving frame bl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and the rack b5 has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or b6 mounted on the base Fm. The pinion b7 fixed to the output shaft b6 'is screwed in.

따라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b6)를 구동시키므로써 피니언(b7)을 회동구동하고 피니언(b7)과 나사맞춤되어 있는 랙(b5)을 수평구동시키므로써, 가이드로울러(b3,b3') 및 가이드로울러(b4,b4')를 따라서 수평이동 틀체(bl)를 수평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ccordingly, the guide rollers b3 and b3 'and the guide are driven by rotating the pinion b7 by driving the motor b6 which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nd horizontally driving the rack b5 which is screwed into the pinion b7. It is comprised so that horizontal movement frame bl may be horizontally moved along roller b4 and b4 '.

수명이동틀체(bl)의 선단부에는 부채꼴 프레임(b8)이 고정되어 있고, 부채꼴 프레임(b8)에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b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역가능한 모터(b9)의 출력축(b9')에는 피니언(bl0)가 부착되어 있다.The fan frame b8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life moving frame bl, and the motor b9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arranged on the fan frame b8. And the pinion bl0 is attached to the output shaft b9 'of the motor b9 which can be reversed.

수평이동틀체(bl)의 선단부 및 부채꼴 프레임(b8)에는 제 1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수평축(bl1,b12)이 고정되어 있고, 수평축(bll,b12)에는 각각 가이드로울러(b13,b14)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 부채꼴 프레임(b8)에는 수직축(b15)이 입설되어 있고, 수직축(b15)에는 가이드로울러(b16)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가이드로울러(b13,b14,b16)는 부체꼴 프레임(⑻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당수 배치하여 후술하는 부체물이동부태(b17)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horizontal axes bl1 and b12 are fixed to the distal end portion and the fan-shaped frame b8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and the guide rollers b13 and b14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horizontal axes bll and b12. A vertical axis b15 is mounted on the fan-shaped frame b8, and a guide roller b16 is attached to the vertical axis b15. Further, the guide rollers b13, b14, and b16 are configured so that the floating frame b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stably arranged by appropriately arranging the floating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frame.

부재물 이동부재(b17)는 제 1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의 틀채로 구성되어 있고,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외측벽으로부터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으로 적당수의 테두리부를 돌출시키므로써 상기한 수평이동 틀체(bl)의 선단부 및 부채꼴 프레임(b8)에 배치된 가이드로울러(b13,b14,b16)가 끼워맞춤되는 레일부재(b18,b19,b20)를 형성한다. 또,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하부측벽으로부터 늘어뜨리진 수직축(b21)에는 부채꼴 랙(b22)이 부착되어 있고, 부채꼴 랙(b22)에는 상기한 정역회전 가능한 모더(b9)의 출력축(b9')에 부착된 피니언(bl0)이 나사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member moving member b17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member moving member b17 protrudes an appropriate number of edge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wall of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Rail members b18, b19, and b20 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s of one horizontal moving frame bl and the guide rollers b13, b14, and b16 disposed on the fan-shaped frame b8 are fitted are formed. In addition, a fan rack b22 is attached to the vertical axis b21 hanging from the lower side wall of the fan fan member b17, and the fan shaft b22 has an output shaft b9 'of the moder b9 capable of reverse rotation. Pinion (bl0) attached to the) is configured to be screwed.

따라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b9)의 회전에 의하여 피니언(b10)을 회전구동하고, 피니언(b10)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부채꼴 랙(b22)을 구동시키므로써 부채꼴 이동부재(b17)을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레일부재(b18,b19,b20)에 끼워맞춤하고 있는 수평이동 틀체(b1)의 선단부 및 부채꼴 프레임(b8)에 배치한 가이드로울러(b13,b14,b16)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이동시킨다.Therefore, by rotating the motor b9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he pinion b10 is driven to rotate, and the fan-shaped rack b22 screwed to the pinion b10 is driven to move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to the fan-shaped moving member ( b17) while being held horizontally by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ovable frame b1 fitted to the rail members b18, b19, b20 and the guide rollers b13, b14, b16 disposed on the fan frame b8. Move horizontally.

제 18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길이방향 양 끝부에는 풀리(b23,b23')가 회전가능하게 부각되어 있고, 풀리(b23)와 풀리(b23') 사이에는 무단벨트(b24)가 팽팽하게 걸려 있다. 그리고, 무단벨트(b24)는 1개소에 있어서, 제 1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수평이동 틀체(b1)의 선단부에 입설된 수직축(b25)에 부착된 프레임(b25')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또 다른 1개소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8, pulleys b23 and b23 'are rotatably raised at both ends of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ndless belt b24 is provided between the pulley b23 and the pulley b23'. ) Is tense. In addition, the endless belt b24 is fixed to the frame b25 'attached to the vertical axis b25 placed in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movable frame b1 in one place as shown in FIG. It is fixed to the mandrel support movement member b26 mentioned later in another place.

다음에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ndrel support movement member b26 will be described.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에는 제 1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선단에 가이드로울러(b27)가 부착된 수직축(b28) 및 선단에 가이드로울러(b29)가 부착된 수평축(b30)이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로울러(b27,b29)는상기한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외측벽으로부터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적당수의 테두리부에 의해 형성된 레일부재(b31,b32)에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따라서 맨그럴지지이동부재(b26)는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레일부재(b31,b32)를 따라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로울러(b27,b29)는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레일부재(b31,b32)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에 적당수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mandrel support movable member b26 is provided with a vertical axis b28 having a guide roller b27 attached to the tip and a horizontal axis b30 having a guide roller b29 attached to the tip. The guide rollers b27 and b29 are fitted to the rail members b31 and b32 formed by a suitable number of edge portions protruding horizontally or vertically from the outer wall of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The support member b26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rail members b31 and b32 of the fan-shaped member b17. Further, the guide rollers b27 and b29 are appropriately disposed on the mandrel support moving member b26 so as to be stably held on the rail members b31 and b32 of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또, 맨드럴지지 이동부재(b26)에는 수직프레임(b33) 이 늘어뜨려져 있고, 수직프레임(b33)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무단벨트(b24)의 1개소가 고정되어 있다 또, 제 18도에 있어서 X점은 무단벨트(b24)가 수평이동틀체(bl)의 선단부에 입설된 수직축(b25)에 부착된 프레임(b25')에 고정되어 있는 점을 표시하고, 또 Z점은 무단 벨트(b24)가 맨드럴지지이동부태(b26)의 수직프레임(b33)에 고정되어 있는 점을 표시하고 있다.Moreover, the vertical frame b33 is hanged on the mandrel support moving member b26, and one position of the endless belt b24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b33 as described above. X points indicate that the endless belt b24 is fixed to the frame b25 'attached to the vertical axis b25 placed on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and the Z point indicates the endless belt ( The point b24)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b33 of the mandrel support moving part b26.

또, 부호 b34는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봉이고, 지지봉(b34)의 선단부에는 맨드럴부착판(b34') 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봉(b34)은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에 입설된 지지프레임(b26,b26")에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b34 denotes a support rod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ndrel support movement member b26, and a mandrel attachment plate b34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rod b34. The supporting rod b34 is fixed to the supporting frames b26 and b26 ″ mounted on the mandrel support movable member b26 by appropriate fixing means.

이하에 브레이드의 조성시에 맨드럴(m)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맨드럴장치(Bm)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andrel device B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andrel m in the formation of the braid is described below.

맨드럴(m)을 브레이더기 본체(Bb) 내에 배치된 궤도가 뚫어 설치되어 있는 곡면형상의 상부판(U)에 대하여 접근 혹은 이반자재하게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형이동 틀체(bl)의 수평이동은 상기한 바와같이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b6)를 구동시키므로써 피니언(b7)을 회전구동하여 피니언(b7)과 나사맞추되어있는 랙(b5)을 수평구동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The horizontal of the vertical moving frame bl for approaching or moving the mandrel m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urved upper plate U provided with a track disposed in the bladder body Bb. The movement is made by horizontally driving the rack b5 screwed with the pinion b7 by rotating the pinion b7 by driving the motor b6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s described above.

다음에 곡면형상의 상부판(U)에 대하여 접근 혹은 이반하는 수평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대략 직교되는 방향(제 7도의 지면에 직교되는 방향)의 맨드럴(m)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ovement of the mandrel m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urved upper plate U (orthogonal to the surface of Fig. 7)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pproaching or otherwise is described.

제 18도의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b9)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bl0)을 제 18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bl0)에 나사맞출되어 있는 부채꼴 랙(b22)이 구동되어서 부채꼴 이동부재(b17)가 제 18도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When the pinion bl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 18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b9 which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state indicated by the solid line of FIG. 18, the fan-shaped rack screwed to the pinion bl0 ( b22) is driven to move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downward in FIG.

부채꼴 이동부재(b17)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부채꼴 이동부재(b17)에 부착된 물리(b23)도 하방으로 이동하면 무단벨트(b24)가 X점에 있어서 수평이동 틀체(bl)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물리(b23)를 협지하여 반대측의 무단벨트(b24)가 제 18도에 있어서 하방으로 인장되어서 무단벨트(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무단벨트(b24)에는 맨드럴지지부재(b26)가 점 Z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단벨트(b2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도 제 18도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구성에 의해 물리(b23)의 이동량에 대하여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는 배로 이동하게 되어서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moves downward and the physics b23 attached to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also moves downward, the endless belt b24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at the X point. As a result, the endless belt b24 on the opposite side is pulled downward in FIG. 18 to rotate the endless belt 24 counterclockwise by sandwiching the physics b23. Since the mandrel support member b26 is fixed to the point Z at the endless belt b24, the mandrel support movement member b26 is also moved downward in FIG. 18 as the endless belt b24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ll move. At this time, the mandrel support member b26 is moved by doubl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physical b23 by the above configuration, so that the mandrel support member b26 can be quickly moved.

또,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b9)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b10)을 제 18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bl0)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부채꼴 랙(b22)이 구동되고 부채꼴 이동부재(b17)가 제 18도에 있어서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여서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는 제 18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최하방위치에까지 회동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를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최하방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b9)를 역전시켜서 피니언(b10)을 제 18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Moreover, when the pinion b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 18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b9 which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the fan-shaped rack b22 screwed to the pinion bl0 is driven and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moves further downward in FIG. 18, and the mandrel support movement member b26 is comprised so that it may rotate to the lowest position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of FIG. In addition, in order to move the mandrel support movement member b26 upward from the lowest position indicated by the two-dot chain line, the pinion b10 is turned clockwise in FIG. Rotate

이상과 같이 수평이동 틀체(b1)의 수평이동 및 맨드럴지지이동부재(b26)의 이동에 의해 맨드럴(m)을 2차원적으로 자유로이 자세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고, 또, 상기한 지지봉(b34)의 선단부에 부착된 맨드럴부착판(b34')에 적당한 액츄에이터 등을 배치하고, 액츄에이터 등의 출력축에 맨드럴(m)을 부착하므로써 맨드럴(m)을 3차원적으로 자세제어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ndrel m can be freely attitude-controlled two-dimensionally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frame b1 and the movement of the mandrel support movement member b26, and the support rod b34 described above. The mandrel (m) can be three-dimensionally controlled by arranging an appropriate actuator or the like on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head) and attaching the mandrel (m) to the output shaft of the actuator. .

제 l9도는 맨드럴부착판(b34')의 부착수단을 표시하는 평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ttaching means of the mandrel attaching plate b34 '.

제 19도에 있어서 부호 b35는 맨드럴부착판(b34')에 입설된 페그이고, 그 페그(b35)에 뚫어 설치된 투공(b35')내에는 압축코일스프링(b36)을 끼고 출물자재하게 보올(b37,b37')이 배치되어 있고, 또 페그(b35)의 밑동에는 노브(b38)가 돌설되어 있다. 또, 중공의 맨드럴(m)의 개구 끝부 부근에는 페그(b35)에 설치된 보올(b37,b37')이 끼워맞춤 가능한 원주홈(b39)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또 중공의 맨드럴(m)의 개구 끝부에는 폐그(b35)의 밑동에 배치된 노브(b38)의 삽입가능단 홈(b40)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In FIG. 19, reference numeral b35 denotes a peg installed in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b36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b35' installed through the peg b35 to hold the material freely. b37, b37 ')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 knob b38 protrudes in the base of the peg b35. In addition,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end of the hollow mandrel m, a circumferential groove b39 to which the bold b37 and b37 'provided in the peg b35 is fitted is drilled, and the hollow mandrel m is provided. The insertion end groove b40 of the knob b38 disposed in the base of the closing b35 is drilled at the opening end of the opening.

따라서, 폐그(b35)에 중공의 맨드럴(m)을 삽입하고, 페그(b35)에 설치된 보올(b37,37')을 중공 맨드럴(m)의 개구 끝부 부근에 뚫어 설치된 원주홈(b39)에 끼워맞춤하므로써 간단하게 맨드럴부착판(b34')에 맨드럴(m)을 부작할 수 있는 동시에 페그(b35)의 밑동에 돌설된 노브(b38)를 중공의 맨드럴(m)의 개구 끝부에 뚫어 설치된 홈(b40)에 삽입하므로써 맨드럴부착판(b34')에 대하여 맨드럴(m)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다.Accordingly, the circumferential groove b39 is formed by inserting the hollow mandrel m into the closed b35 and drilling the bowls b37 and 37 'provided in the peg b35 near the opening end of the hollow mandrel m. The mandrel (m)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 by fitting in the groove, and the knob (b38) protruding from the base of the peg (b35) is provided at the opening end of the hollow mandrel (m). The mandrel m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by inserting it into the groove b40 installed in the hole.

제 20도는 맨드럴 부착판(b34')으로의 맨드럴(m)의 부착수단을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20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attachment means of the mandrel m to the mandrel attachment plate b34 '.

제 20도에 표시되어 있는 부착수단에 있어서는 맨드럴(m)의 끝부측에 원주홈(b41',b42')을 보유하는 페그(b41,b42)를 부착하고, 맨드럴부착판(b34')측에 페그(b41,b42)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b43')를 보유하는암부재(b43)을 부착한 것이다. 암부재(b43)의 오목부(b34')에는 오목자국(b44)을 설치하고, 오목자국(b44)내에는 압축코일스프링(b45)을 장착하는 동시에 보올(b46)을 장착하여서 보을(b46)이 압축코일스프링(b45)에 의하여 오목자국(b44)으로부터 출몰자재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부호 b47, b47'는 각각 페그(b41,b42)의 면동에 들설된 노브이며, 암부재(b43)의 개구부에 뚫어 설치된 홈(b48)에 끼워맞춤하여서 맨드럴부착판(b34')에 대하여 맨드럴(m)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In the attaching means shown in FIG. 20, pegs b41 and b42 holding circumferential grooves b41 'and b42' are attached to the ends of the mandrel m, and the mandrel attaching plate b34 'is attached. The arm member b43 holding the recess b43 'into which the pegs b41 and b42 can be inserted is attached. A recess b44 is provided in the recess b34 'of the arm member b43,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b45 is mounted in the recess b44, and a bowl b46 is attached to the beam b46. It is comprised so tha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b45 may ooze out from the recessed trace b44. Further, reference numerals b47 and b47 'are knobs raised to the surface copper of the pegs b41 and b42, respectively, and fit into the groove b48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arm member b43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This is to prevent the mandrel m from rotating.

따라서, 맨드럴(m)의 폐그(b41,b42)를 암부재(b43)의 오목부(b43')에 삽입하고. 페그(b41,b42)의 원주홈(b41',b42')에 압축코일스프링(b45)에 의해 부세된 보올(b46)을 끼워맞춤하므로써 간단하게 맨드럴부착판(b34')에 맨드럴(m)올 부착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mandrel m of the closures b41 and b42 are inserted into the recesses b43 'of the arm member b43. The mandrel (m34) is easily attached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by fitting the bowl b46 biased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b45 to the circumferential grooves b41' and b42 'of the pegs b41 and b42. Can be attached.

다음에 조성공정을 표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인 제 21도 내지 제 23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더기(BR)를 사용하여 한가지 예로서 제 18도에 포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T자형 맨드럴(m) 위에 브레이드를 조성하는 공정 순서를 설명한다.T-shaped mandrel (m) as shown in FIG. 18 as an example using the blader BR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IGS. 21 to 23, which are schematic plan views showing the composition process next. The process sequence of forming a braid is explained above.

(가) 맨 처음에 브레이더기 본체(Bb)의 구동이 정지되고 보빈캐리어(C)의 주행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평이동 틀체(b1)를 제 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21도 (a)에 표시되어 있는 T자형 맨드럴(m)(이하, 단지 "맨드럴(m)"이라고 한다. 또, T자형 맨드럴(m)의 긴 부분과 직교하는 짧은 부분(ml)을 ''분기부"라고 칭한다.)의 일단(1)을 제 18도에 포시되어 있는 맨드럴부착판(b34')에 부착한다. 그다음, 수평이동 틀체(b1)를 제 2도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적당한 부채꼴 이동부재(b17)를 이동시켜서 조성점(P)이 제 2l도(a)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일단(1)에 위치하도록 한다(또, 설명의 형편상 맨드럴부착판(b34')에 부착되어 있는 맨드럴(m)의 끝부분에는 역삼각형(▽)이 표시되어 있다.)(A) At first, the drive of the blade body main body Bb is stopped and the bobbin carrier C is stopped, and the horizontal movable frame b1 is moved to the right in FIG. The T-shaped mandrel (m)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mandrel (m)" shown in Fig. (A). Also, the short part (ml) orthogonal to the long part of the T-shaped mandrel (m) is One end 1 of the " branch " is attached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shown in Fig. 18. Then, the horizontal movable frame b1 is leftward in Fig. 2. And the appropriat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are moved so that the composition point P is located at one end 1 of the mandrel m as shown in FIG. 2A (a). The inverted triangle (▽) is marked at the end of the mandrel (m) attached to the upper mandrel mounting plate (b34 ').)

(나) 이 상태에서 구동장치(D)를 구동시키고, 보빈캐리어(C)를 궤도에 따라서 주행시키므로써 조성을 개시하고, 수평이동 틀체(b1)를 제 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켜서 제 21도(b)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접합부(j)로 향하게 하여 조성을 실시한다.(B) In this state, the drive device D is driven, the bobbin carrier C is moved along the track, and the composition is started, and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1 is gradually moved to the right in FIG. As shown in Fig. 21 (b), the composition is directed to the junction j of the mandrel m.

(다) 맨드럴(m)의 접합부(j)까지 조성한 다음 수평이동 틀체(bl)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이어서 부채꼴이동부재(b17)를 제 18도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제 21도 (c)에 표시하듯이 맨드럴(m)을 회동시켜서 제 21도 (d)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부터 수평이동 틀체(b1)를 제 2도에 있어서 다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21도 (e)에 표시하듯이 맨드럴(m)의 분기부(ml)를 조성한다. 또, 수평이동 틀체(bl)의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이동속도를 늦게 하여 동시에 부채꼴 이동부재(b17)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C) After making up to the junction j of the mandrel m,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ly moving frame bl is stopped, and then the fan-shaped member b17 is moved upward in FIG. 18 and FIG. 21 (c). As shown in Fig. 2), the mandrel m is rotated to the state shown in Fig. 21D. From this state,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1 is moved to the right side again in FIG. 2 to form the branch portion ml of the mandrel m as shown in FIG. Further,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can be moved at the same time by slowing the moving speed without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라) 제 21도 (e)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분기부(ml)의 끝부까지 조성한 시점에서 수평이동 틀체(bl)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구동장치(D)를 정지시키고 보반캐리어(C)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계속하여 제 21도 (f)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일단(1)을 맨드럴부착판(b34')으로부더 해제하고, 맨드럴(m)을 180도 회전시켜서 맨드럴(m)의 일단(1)과는 반대측의 일단(2)을 맨드럴부착판(b34')에 부착한다.(D) As shown in Fig. 21 (e),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is stopped and the driving device D is stopped at the time when it reaches the end of the branch part ml of the mandrel m. The run of the carry carrier C is stopped.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1 (f), the one end 1 of the mandrel m is unloaded with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 and the mandrel m is rotated 180 degrees to remove the mandrel m. Attached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is the one end 2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end 1).

(마) 맨드럴(m)의 일단(2)을 맨드럴부착판(b34')에 부착한 다음 구동장치(D)의 구동을 재개하고, 보빈캐리어(C)의 주행을 개시하는 동시에 수평이동 틀체(bl)를 제 2도에 있어서 좌측편으로 이동시켜서 제 22도(a)에 표시되어 있듯이 재차 맨드럴(m)의 분기부(ml)를 조성한다.(E) Attach one end 2 of the mandrel m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 then resume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D, and start traveling of the bobbin carrier C and move horizontally. The frame bl is moved to the left side in FIG. 2, and the branch portion ml of the mandrel m is again formed as shown in FIG. 22 (a).

(바) 맨드럴(m)의 접합부(])까지 조성한 다음, 구동장치(D)를 정지시키고 보빈캐리어(C)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수평이동 틀체(bl)의 이동을 정시시켜서 부체꼴 이동부재(b17)를 제 18도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제 22도 (b)에 표시하는 상태까지 맨드럴(m)을 회동시킨다. 이 상태로 구동장치(D)를 구동시키고 보빈캐리어(C)의 구행을 재개시켜서 조성을 개시하는 동시에 부채꼴 이동부재(b17)를 다시 하방으로이동시키며 제 22도(c)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하고, 그 다음 수평이동 틀체(bl)를 제 2도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22도 (d)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끝부까지 조성한다.(F) After making up to the junction (]) of the mandrel (m), the drive device (D) is stopped, the bobbin carrier (C) stops run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is indicated and the floating body is moved. The member b17 is moved downward in FIG. 18, and the mandrel m is rotated to the state shown in FIG. 22 (b). In this state, the driving device D is driven and the passage of the bobbin carrier C is resumed to start the composition, and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is moved downward again to the state shown in Fig. 22C. Then,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is moved to the left in FIG. 2 to form the end of the mandrel m, as shown in FIG. 22 (d).

(사) 제 22도 (d)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끝부까지 조성한 다음 수평이 동틀체(bl)를 제 2도에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23도 (a)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접합부(j)로 향하게 하여 조성한다.(G) As shown in Fig. 22 (d), it is made up to the end of the mandrel (m), and then the horizontal is shown in Fig. 23 (a) by moving the frame body bl to the right in Fig. As shown, the composition is directed toward the junction j of the mandrel m.

(아) 맨드럴(m)의 접합부(j) 부근까지 조성이 된 상태에서 수평이동 틀체(bl)를 제 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부채꼴 이동부재(b17)곧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제 23도 (b)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하며, 이 상태로 수평이동 틀체(bl)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구동장치(D)를 정지시켜서 보빈캐리어(C)의 주행을 정지시킨다.(H) The flat moving member b17 is immediately moved upward while the horizontal movable frame bl is moved to the right in FIG. 2 in a state where the mandrel m is formed near the junction j of the mandrel m. 23 (b),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frame (bl) is stopped, and the drive device (D) is stopped to stop the traveling of the bobbin carrier (C).

(자) 계속하여 부채꼴 이동부재(b17)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맨드럴(m)을 제 23도(c)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그 다음, 구동장치(D)의 구동을 재개하여 보빈캐리어(C)의 주행을 재개하는 동시에 수평이동틀체(bl)를 제 2도에 있여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3도 (d)에 표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접합부G)의 조성을 한다.(I) Subsequently,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is moved downward, and the mandrel m is brought into the state shown in Fig. 23C. Then,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D is restarted to resume the running of the bobbin carrier C, and at the same time, the horizontal movable frame bl is moved to the right in FIG. 2, and FIG. 23 (d)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position of the junction G) of the mandrel m is obtained.

(차) 이어서, 부채꼴 이동부재(b17)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맨드럴(m)을 제 23도 (e)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 하는 동시에 수평이동 틀체(bl)를 제 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3도 (f)에포시되어 있듯이 맨드럴(m)의 끝부까지 조성응 하여서 맨드럴(m)로의 조성이 완료된다.(D) Next,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is moved upward, the mandrel m is brought into a state as shown in Fig. 23E, and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is shown in Fig. 2. The composition is moved to the right side and the composition to the mandrel m is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ion up to the end of the mandrel m as shown in FIG. 23 (f).

(카) 맨드럴(m)로의 조성이 완료된 다음, 구동장치(D)를 정지시키고 보빈캐리어(C)의 주행을 정지시킨다.(K) After the composition to the mandrel m is completed, the driving device D is stopped and the traveling of the bobbin carrier C is stopped.

(타) 계속하여 수평이동 틀체(bl)를 제 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맨드럴(m)을 절단장치(S)의 원반커터(s12)를 넘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업)를 회전시키고 원반커터(s12)를 고속회전시킨다. 또, 감속기(s2)를 통하여 모터(업)에 의해 저속회전하는 출력축(s6)의 회전에 따라서 레버(s17)를 제 16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대기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작동위치로 향하여 회동시킨다. 레버(s17)의 제 16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의 회동을 따라서 레버(s9)도 레버(s17)와 마찬가지로 작동위치로 향하여 회동한다. 레버(s9)의 회동에 따라 레버(s9)의 선단부에 부착된 가이드부재(s14)의 수평한 가이드홈(s14')내로 제2조성위치 안정 가이드 부재(g2)에 의해 굴곡되어 접속된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을 안내하고, 풀리(S13)에 부착되어 고속회전하는 원반커터(s12)에 접촉시켜서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Y)을 절단한다.(C) Subsequently,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is moved to the right in FIG. 2 to move the mandrel m to the position beyond the disc cutter s12 of the cutting device S. FIG. From this state, the motor (up)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sc cutter s12 is rotated at high speed. In addition, the operation in which the lever s17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from the stand-by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Rotate to the position. The lever s9 also rotates toward the operating position similarly to the lever s17 along the clockwise rotation in FIG. 16 of the lever s17.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s9, the blade is bent and connected by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ing guide member g2 into the horizontal guide groove s14 'of the guide member s14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lever s9. The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are guided and attached to the pulley S13 to contact the disk cutter s12 that rotates at high speed to cut the plurality of thread strands Y following the braid.

이상과 같이 하여 조성공정의 전 공정이 종료된다.As mentioned above, all the processes of a composition process are complete | finished.

또, 상기한 (가) 내지 (차)의 조성공정은 한가지 예를 표시한 겻이고, 수평이동 틀체(bl) 및 부채꼴 이동부재(b17)의 이동 정지순서를 포함하여 여러 공정에 의해 T자형 맨드럴(m)위에서 조성을 할 수 있는 겻이며, 상기한 조성공정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a) to (d) process is shown in Fig. 1, and the T-shaped mandrel is performed by various steps including the stopping sequence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bl and the fan-shaped moving member b17. It is a kappa which can be formed on a barrel (m),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process at all.

상기한 공정 (라)에 있어서 맨드럴(m)의 일단(1)을 맨드럴부착판(b34')으로부터 해체하여 맨드럴(m)을180도 회전시키고, 맨드럴(m)의 타단(2)을 맨드럴부착판(b34')에 부착할 때에는 제 19도 및 제 2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맨드럴부착판(b34')으로의 맨드럴(m)의 부착수단에 따라 간단하게 맨드럴부착판(b34')에 맨드럴(m)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이 공정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step (d), one end 1 of the mandrel m is dismantled from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to rotate the mandrel m 180 degrees, and the other end 2 of the mandrel m ) Is attached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according to the means for attaching the mandrel m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described using Figs. 19 and 20. Since the mandrel m can be attached to the plate b34 ', this step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또다른 1대의 맨드럴장치를 곡면형상의 상부판(U)을 끼고, 맨드럴장치(Bm)의 반대측에 배치하므로써 맨드럴장치(Bm)의 맨드럴부착판(b34')으로부터의 맨드럴(m)의 해체와 동시에 또 다른 한쪽의 맨드럴장치의 맨드럴부착판(b34')에 맨드럴(m)을 부착하여서 조성을 속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맨드럴 장치를 2대를 배치하므로써 다음 조성공정에 사용되는 맨드럴(m)을 맨드럴장치에 부착하여 준비해둘수가 있다.Further, the mand from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of the mandrel device Bm is arranged by placing another one mandrel devi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ndrel device Bm with the curved top plate U attached thereto. At the same time as the disassembly of the barrel m, the mandrel m may be attached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b34 'of the other mandrel device to continue the composition. By arranging two mandrel devices in this way, the mandrel m used for the next composition process can be attached to the mandrel device and prepared.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T자형 맨드럴(nl)위에서 조성을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T자형 맨드럴(m)에 한하지 않고, 각종 형상의 맨드럴(m) 위에서 조성을 할 수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composition is formed on the T-shaped mandrel nl has been described. The composition is not limited to the T-shaped mandrel m, but the composition can be formed on the mandrel m of various shapes.

또, 막대형상 맨드럴(m)을 사용할 경우에는 브레이더기 본체(Bb)를 복수대 배치하여서 막대형상 맨드럴(m)위에 다중(多重)의 브래이드를 조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rod-shaped mandrel m, a plurality of braider bodies Bb may be arranged to form multiple braids on the rod-shaped mandrel m.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내는 작용효과를 열거한다.The effect shown by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mentioned below is listed.

맨드럴 위의 조성점이 보빈캐리어에 재치된 보빈의 축선과 조성이 실시되고 있는 맨드럴의 축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보빈으로부터 되감겨지는 실가닥이 굴곡하는 일 없고, 따라서 실가닥의 원활한 되감기를 할 수 있는 동시에 실가닥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도록 브레이드의 적정한 조성을 할 수가 있다.Since the composition point on the mandrel is at the position where the axis of the bobbin placed on the bobbin carrier intersects the axis of the mandrel on which the composition is being applied, the thread strand rewound from the bobbin does not bend, thus smooth rewinding of the thread strand. At the same time, proper braid composition can be achieved to avoid excessive tension on the thread strands.

맨드럴 위의 조성점이 보빈캐리어에 재치된 보빈의 축선과 조성이 실시되고 있는 맨드럴의 축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브레이더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브레이더기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보레이더기의 장치면적이 감소된다.Since the composition point on the mandrel is at the position where the axis of the bobbin placed on the bobbin carrier intersects the axis of the mandrel on which the composition is being made, the size of the brader can be reduced, which improves the operability of the brader and at the same time the device of the radar. The area is reduced.

보빈에 감겨있는 실가닥의 양을 증대시킬 수가 있으므로 보빈의 교환횟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브레이더기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Since the amount of thread wound on the bobbin can be increased, the number of bobbin exchanges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brader.

마찰로울러 및 접동마찰로울러에 의해 보빈캐리어를 주행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톱니바퀴의 톱니 백래쉬(backlash)에 기인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bobbin carrier is configured to run by the friction roller and the sliding friction roll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due to the tooth backlash of the gear.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를 배치하므로써 상부판에 뚫어 설치된 궤도를 따라서 지그재그로 주행하는 보빈캐리어의 횡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하는 실가닥의 요동을 규제할 수가 있는 동시에, 맨드럴의 이동에 의한 조성점의 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조성되는 실가닥이 조성점 부근에 있어서 불규칙 상태로 서로 얽히는 일도 없이 안정된 조성이 실현되고, 따라서 조성된 브레이드의 형상이 균일적이고 안정된 브레이드를 제조할 수가 있다.By arranging the stabilizer position guide member, the fluctuation of the thread strand swinging in accordance with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bobbin carrier running zigzag along the track provided in the upper plate can be regulated, and the composition poi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mandrel Since the fluctuation of can be suppressed, a stable composition is realized without the yarns to be formed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an irregular state near the composition point, whereby the shape of the formed braid can be made uniform and stable.

또,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를 배치했으므로 조성이 종료된 다음, 맨드럴을 이동시켰을 경우에 제2 조성위치 안정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조성된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다수의 실가닥을 접속시킬 수가 있으므로 절단장치에 의한 실가닥의 절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is disposed, when the mandrel is moved after the composition is finished,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connected to the braid formed by the second composition position stabilization guide member can b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ut the thread strands.

맨드럴을 맨드럴부착판에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더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있다.The mandrel can be easily and quickly attached to the mandrel mounting plate,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blader.

원통형상의 보빈커버 혹은 탄성판을 설치했으므로 보빈캐리어가 경사지거나 혹은 거꾸로 위치했을 때에 보빈에 두루감겨 있는 실가닥이 인출되거나 늘어뜨려져서 인접하고 있는 보빈에 두루감겨 있는 실가닥과 얽히거나 혹은 브레이더기의 다른 부재 등에 얽히거나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Cylindrical bobbin covers or elastic plates are installed so that when the bobbin carrier is inclined or upside down, the thread strands wound around the bobbin are drawn out or hang down and intertwined with the thread strands wound around the adjacent bobbins or The problem of being entangled with other members can be prevented.

보빈캐리어에 재치되어 있는 보빈과 중사용 혹은 보강용 실가닥이 두루감긴 보빈을 공요했으므로 중사용 혹은 보강용 실가닥이 두루감긴 보빈과 보빈캐리어에 재치되는 보빈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Since bobbins mounted on the bobbin carrier and bobbins with heavy or reinforcing thread strands are wound around,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bobbins with heavy or reinforcing thread strands and bobbins mounted on the bobbin carrier.

조성이 종료된 브레이드 혹은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실가닥을 절단하는 원반커터를 보유하는 절단장치를 설치했으므로 브레이드 혹은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실가닥을 확실하게 절단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절단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브레이드 혹은 브레이드에 이어지는 실가닥의 절단시에 실가닥에 가해지는 장력을 적게할 수가 있으므로 브레이드의 형상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Since the cut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disc cutter for cutting the finished strand of the braid or the strand following the braid, it is possible to reliably cut the thread strand leading to the braid or the braid and to shorten the cutting time. 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applied to the thread strand at the time of cutting the braid or the thread strand following the braid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pe of the braid from collapsing.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Since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t shows an effect as described below.

맨드럴을 곡면형상의 상부판에 뚫어 설치된 궤도의 내부에 배치했으므로 보빈으로부터 되감겨지는 실가닥이 굴곡하는 일없고, 따라서 실가닥의 원활한 되감기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가닥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브레이드의 적정한 조성을 할 수가 있다.Since the mandrel is placed inside the track provided through the curved upper plate, the thread rewinding from the bobbin does not bend, so that the thread rewinds smoothly and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to the thread. Since there is no work, an appropriate composition of the braid can be achieved.

또, 맨드럴을 곡면형상의 상부판에 뚫어 설치된 궤도의 내부에 배치했으므로 브레이더기가 소형화되고, 브레이더기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브래이더기의 설치면적이 감소된다.In addition, since the mandrel is disposed inside the track provided through the curved upper plate, the bladder is downsized, the operability of the bladder is improved, and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bladder is reduced.

Claims (1)

보빈캐리어(C)가 배치된 곡면형상의 상부판(U)에 뚫어 설치된 궤도의 내부에 맨드럴(m)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더.The mandrel (m)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inside of the track | orbit installed in the curved upper plate (U) in which the bobbin carrier (C) was arrange | positioned, The braid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19930027839A 1993-03-23 1993-12-15 Braider KR9500141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62356A JPH06294054A (en) 1993-03-23 1993-03-23 Braider
JP93-62356 1993-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789A KR940021789A (en) 1994-10-19
KR950014148B1 true KR950014148B1 (en) 1995-11-22

Family

ID=1319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839A KR950014148B1 (en) 1993-03-23 1993-12-15 Braid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294054A (en)
KR (1) KR950014148B1 (en)
CN (1) CN1047416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18A (en) * 2015-05-29 2016-12-07 (주)넥스컴스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ircular braiding preform of composite materi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2595B2 (en) * 2006-08-30 2010-06-30 村田機械株式会社 Braiding career
CN105040264B (en) * 2015-05-20 2017-12-05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A kind of manufacture method and device of three-dimensional twisted change rope band fabric
US10060057B2 (en) * 2015-05-26 2018-08-28 Nike, Inc. Braiding machine with non-circular geometry
US10280538B2 (en) 2015-05-26 2019-05-07 Nike, Inc. Braiding machine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incorporating a moving object
CN104947310B (en) * 2015-07-07 2017-01-04 东莞市坚华机械有限公司 A kind of equipment for automatically weaving bowknot
CN105297278A (en) * 2015-11-20 2016-02-03 国家电网公司 Braiding molding technology suitable for composite materials and braiding machinery
AU2016204483A1 (en) * 2016-01-27 2017-08-10 Karg Corporation Rotary braiding machine
CN105821579B (en) * 2016-05-04 2017-12-19 浙江理工大学 A kind of three dimensional knitting machine feed device of the variable-angle of separate men from machines
CN109281053A (en) * 2018-11-15 2019-01-29 国家电网有限公司 Equipment and technique for composite material braiding
CN110042561B (en) * 2019-04-09 2024-10-15 徐州恒辉编织机械有限公司 Multicolor national clothing decoration belt brai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445B2 (en) * 1990-04-27 1999-06-07 東芝機械株式会社 Injection pressure control device for die casting machine
JP2880247B2 (en) * 1990-05-01 1999-04-05 東芝機械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gassing of die casting mol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18A (en) * 2015-05-29 2016-12-07 (주)넥스컴스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ircular braiding preform of composit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94054A (en) 1994-10-21
CN1047416C (en) 1999-12-15
KR940021789A (en) 1994-10-19
CN1093127A (en) 1994-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6027A (en) Braider
KR950014148B1 (en) Braider
KR950014150B1 (en) Braider
JPH0754250A (en) Braiding method
JP2539940Y2 (en) Braider
JP2571344Y2 (en) Braider
JP2598907Y2 (en) Braider
JP3149608B2 (en) Braider
JP2554507Y2 (en) Braider
JPH0673178U (en) Braider
JPH0673176U (en) Braider
JPH0673177U (en) Braider
JPH0673179U (en) Braider
JPH06272143A (en) Braider
JPH06294057A (en) Braider
JPH071092U (en) Braider
JPH06272144A (en) Braider
JPH071091U (en) Braider
JP3119045B2 (en) Braid automatic molding method
JPH06272145A (en) Braider
JPH0754249A (en) Braider
JP3175448B2 (en) Braider
JP2671774B2 (en) Braider
JP3166467B2 (en) Braider
JPH0712492U (en) Bra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