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881B1 -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10881B1 KR940010881B1 KR1019890014443A KR890014443A KR940010881B1 KR 940010881 B1 KR940010881 B1 KR 940010881B1 KR 1019890014443 A KR1019890014443 A KR 1019890014443A KR 890014443 A KR890014443 A KR 890014443A KR 940010881 B1 KR940010881 B1 KR 9400108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 ink
- head
- cap
- carri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840 feed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4—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 B41J2/16547—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the wipers and caps or spittoons being on the same movabl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종래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관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제 4 도 및 제 5도는 각각 제 2 도에 있어서의 회복수단에 배치 설치된 캡부의 측단면도. 정면도 및 개략도,
제 6 도는 동일한 러빙부(rubbing unit)의 측면도,
제 7 도는 제 2 도에 대한 제어계의 1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 8 도는 본실시예에 대한 기록대기시의 처리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과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 10 도는 및 제 11 도는 각각 그 회복유닛에 배치 설치된 캡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모식도,
제 12 도는 제 9 도의 회복유닛을 그 외장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 13 도는 회복유닛에 배치 설치된 러빙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14 도는 대회복 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구의 구성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15 도는 여러가지의 회복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16 도는 본예에 있어서 전원 투입시 및 소회복시의 캡선도,
제 17 도는 같은 기록헤드의 동작을 도시한 선도,
제 18 도는 본예에 있어서의 회복시의 캡선도,
제 19 도는 같은 대회복시의 기록 헤드의 동작을 도시한 선도,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각각 미 캡 상태에 있어서의 핀부와 구멍부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및 그의 Z-Z선 단면도,
제 22 도는 캡상태에 있어서 핀부와 구멍부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제 2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외관사시도,
제 24 도는 제 23 도에 도시된 장치의 주요 단면도,
제 25 도는 제 23 도에 도시된 급지기구부를 확대한 사시도,
제 26 도는 제 23 도에 도시된 토출(吐出) 회복 장치의 상세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27 도는 제 23 도 내지 제 25 도에 도시된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 2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처리의 흐름도,
제 29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잉크제트 프린터의 사시도,
제 30 도는 그의 캐리지부를 포함한 측단면도,
제 31 도 및 제 32 도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액체 분사기록장치에 관하여 특히 기록용 액체(이하「잉크」라고 말함)의 토출구(吐出口)를 갖는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에 대하여 소정방향으로 주사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소위 시리얼 타입의 액체분사기록장치 (이하「잉크제트 기록장치」라고 말함)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특히 증점(增粘)잉크나 고화잉크, 진애, 기포등에 의한 토출구의 눈막힘등의 토출분량을 방지하기 위한 캡핑수단, 또는 캡핑수단을 이용하여 잉크의 토출분량을 해소하는 토출회복장치를 구비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들면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헤드의 토출구 형성의 보호 및 토출구 안쪽의 고착잉크나 불량잉크를 배제하기 위한 회복계의 구동원등, 기록장치에 있어서 다른 동력원을 기록용지 급지용의 구동원과 동일하게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있어서 캐리지등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헤드에 설치된 기록소자는 토출구로부터의 잉크의 용매성분의 증발에 의한 잉크점도의 증대등이 원인으로 되어서 토출구부분에 눈막힘이 생겨서, 기록불량이나 토출분량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기록동작을 행하지 않을때에는 기록헤드의 토출구 형성면을 캡으로 덮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잉크제트 기록장치로서 기록헤드를 탑재한 캐리지의 소정위치(예컨대 홈포지션)에의 이동의 동작에 관련하여 캡핑을 실시한 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캡부재의 이동에 모터등 특별한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장치구성의 간략화 및 장치 구성을 위한 비용이나 런닝코스트의 저감화등의 면에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기록종료후에 대기중에 있어서 기록소자의 건조방지를 위해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강제적으로 또는 소정위치로부터 기록헤드가 빠져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에 캡핑동작이 행하여 진다.
그리고 이때에는 캐리지를 구동하는 캐리지모터의 상(相)의 여자는 저전류로 행하여 진다.
그후 캡핑동작에 기인하는 기록소자의 온도 상승이나, 캡에 의해서 폐쇄된 부분의 잉크에 의한 포화증기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그 부분과 외부와의 기압의 차가 생겨서 토출구 부근의 잉크의 표면장력이 유지되지 못하게되고 기록불능의 요인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문에 어느 소정기간을 경과하면 캡에 의해서 폐쇄된 부분에 대하여 대기 연통동작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후 캐리지모터의 온도 상승등을 방지하고자 캐리지모터의 상의 호울드를 멈추고 있었다.
한편 캡핑후의 소정시간이내에 회복동작의 지시가 정보입력부로부터 있는 경우는 예컨대 종이 이송모터를 겸용한 회복처리용의(예컨대 흡인에 의한 회복처리용) 모터의 역전에 응하여 토출구 부근으로부터 잉크를 흡인하여 회복동작을 행하도록한 구성도 채용이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대기 연통동작과 회복동작은 독립하여 기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기상태에서 정보입력부로부터 회복동작의 지시가 있고, 이 회복동작이 지시되는 이전에 대기 연통동작이 행하여진 경우, 캐리지모터가 호울드 되어 있지 않는 것이 생각된다.
그때문에 캐리지가 홈포지션(회복동작이 정상으로 행하여지는 캐리지의 위치) 보다는 벗어나 있어서 대기 연통동작후의 회복동작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는 염려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기구는 예컨대 캐리지의 일부와 캡부재의 일부와의 맞닿음에 따라서 동작하고 이 결과 생기는 캡핑상태를 유지할 캐리지가 그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가세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부품 정밀도등에 기인한 덜거덕거림등 때문에 캡핑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이때문에 캡핑의 확실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제트 기록장치는 잉크를 매체로 하는 기록장치로서 잉크를 기록헤드의 토출구로부터 종이, OHP 시이트등의 기록매체에 토출함으로써 기록을 행한다. 그러나 기록을 행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이되면 토출구로부터 잉크의 용매성분이 증발함으로써 잉크점도의 증대가 생기거나 또는 고착이 생겨서 후에 기록신호가 입력되어도 잉크의 토출분량이 생기거나 토출불능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 토출구내의 증점잉크나 고착잉크를 제거하여 상술한 불합리한 것을 해소할 회복계가 설치되어 있다. 그 회복방식으로는 헤드의 토출구 형성면에 캡부재를 접합하여 그 캡과 튜우브를 통하여 접속된 펌프에 부압(負壓)을 발생시켜서 헤드의 토출구로부터 강제적으로 잉크를 빨아냄으로써 잉크고착층등을 제거하는 수단을 사용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잉크의 고착층이 얇은 경우는 유효하나 어느정도 장시간에 걸쳐서 기록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하면 잉크의 고착층은 어느정도 두껍게 되어서 펌프의 부압으로 제거되는 한도를 넘어버려서 회복불능하게 되는 것이 있다. 그래서 제안된 것이 「대회복」이라 불리는 수단이다(이것에 대하여 상술한 것을 「소회복」이라 한다). 이것은 헤드의 토출구 형성면과 캡의 압점으로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잉크를 충전시켜서 적당한 시간 방치하여, 잉크의 고착층을 연화시켜서 이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흡인을 행하므로써 잉크의 고착층을 제거하려는 것이다.
여기서 밀폐된 공간에 충전하는 잉크는 잉크카트리지등의 잉크공급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신선한 잉크가 사용된다. 그때문에 잉크카트리지등으로부터 캡에 잉크의 공급을 행하기 위한 튜우브가 설치되어 대회복시에만 그 튜우브를 통하여 잉크가 공급될 수 있도록 밸브등의 전환수단이 설치된다. 소회복과 대회복과의 전환은, 즉 이 밸브의 개폐동작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종래는 밸브의 개폐를 전자밸브의 온/오프나 모터구동의 캠에 의한 밸브의 개폐에 의해서 행하게 하거나, 특히 시리얼 타입의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경우는 헤드를 탑재하고 있는 캐리지의 동작을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환을 전자밸브의 온/오프로 행하는 구성은 전자밸브가 고가이기때문에 장치의 코스트업을 초래하거나 또는 모터 구동의 캠에 의한 경우도 모터때문에 코스트업이 생길뿐만 아니라 캠에 의한 경우는 동작속도가 늦게되므로 기록의 스루우풋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는 문제점도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캐리지의 동작에 의해서 밸브의 개폐를 행하도록 하면 실행속도가 높고 또 코스트업이 생기는 특별한 부품도 적게들므로써 비교적 유효하다. 그러나 밸브의 개폐를 위한 레버등의 전동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회복장치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전체로서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잉크제트 기록헤드에 있어서 토출구 안쪽의 고착잉크나 불량잉크등을 배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탄성부재등을 사용하여 형성된 캡에 의해 토출구 형성면을 커버하고, 이 캡에 연통한 펌프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흡입하여 토출불량의 회복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있었다. 이 펌프의 구동원으로서 회복계에 전용의 모터등을 사용한 것이 있었다. 코스트다운, 장치의 소형화등을 위해 기록용지의 급지 및 반송을 행하기 위한 모터를 펌프의 구동원으로서 겸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때문에 기록용지 반송용의 로울러의 한끝에 그 반송에 있어서 회전과는 반대의 회전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링 클러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정전시에는 종이이송, 역전시에는 회복계의 펌프 구동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또 기록용지 반송용 모터는 동시에 급지용 분리로울러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분리로울러의 구동력 전달부에는 1회전 방향전달의 스프링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 클러치의 한끝에 클럭등이 걸림으로서 구동전달이 오프되고 클릭은 해제함으로써 구동전달이 온으로 된다. 급지동작은 플랜저 또는 기록헤드를 탑재한 캐리지등에 의해 상기 클럭을 벗김으로써 기록을 개시하여 분리로울러 회전후 다시 상기 클럭에는 스프링 클러치가 걸림으로써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해 기록용지 반송용 로울러를 역전할때에 본래라면 급지용의 스프링 클러치가 공전하고 그의 클릭이 걸리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으나 스프링 클러치의 제조상의 편차등에 유래하는 공전 토오크의 증대, 급지부 전체의 부하토오크의 변동등에 의해서 역전방향으로 스프링 클러치가 동반회전되어 버리고 본래 스프링 클러치의 일부가 클럭에 걸린 상태인 급지동작의 초기상태가 실현되지 못하는 일이 있었다.
이때문에 급지시에 플랜저 또는 캐리지를 동작시켜서 클럭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도 분리로울러가 정규의 회전위치에 달하지 않고 급지동작을 종료하기 때문에 급지불량 최악의 경우 급지불능이라는 사태를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것도 일부 중복하나 기록헤드에 배치설치한 토출구로부터 기록데이타에 응하여 잉크방울을 비상시켜서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 프린트에 있어서는 토출구 부근의 잉크의 눈막힘이나 먼지의 부착을 방지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잉크 공급계로부터 토출구측에 잉크를 가압 공급하여 또는 토출구 바깥쪽으로부터 흡인하는 토출 회복기구를 갖추고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회복장치를 갖춘 잉크제트 프린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부재번호 101은 복수의 잉크토출구를 가진 기록헤드로서, 캐리지(102)상에 탑재되어 있다.
이 캐리지(102)는 양측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레일(103)에 지지안내되어, 구동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구동이된 와이어(104)에 의해 화살표시(A) 방향으로 주사된다.
부재번호 106 및 108은 기록매체(107)를 협지 반송하는 로울러 쌍이다.
부재번호 105는 토출회복장치이고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화살표시(B)(B' 또는 B")방향으로 이동하느 캡(116)을 가지고 이 캡(116)을 헤드(101)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잉크의 흡인을 행하는 것이다.
토출회복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캐리지(102)는 기록매체(107)에 대하여 기록을 행하는 기록영역상의 위치로부터 도시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이때 캡(116)은 도시 화살표시(B')방향으로 후퇴하여 토출회복장치(105)내에 격납되어 있다.
캐리지(102)가 도시위치에서 정지한후 캡(116)은 모터등의 구동원에 의해서 도시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록헤드(101)의 선단부(101A)에 맞닿는다.
캡(116)은 가요성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기록헤드(101)의 선단부(101A)의 잉크토출구는 외계로부터 밀폐된다.
이 상태에서 토출회복장치(105)가 흡인압력을 발생하면, 기록헤드(101)로부터 잉크가 흡인 배출되어, 잉크 눈막힘등의 토출 불량요인이 해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에서는 캡(116)의 압압력을 모두 기록헤드 선단부(101A)에서 받는 구성이었으므로 캡핑의 반복에 의한 기록헤드(101)나 캡(116)이 변형등에서 밀폐 상태가 유지할 수 없게 되고 흡인 작용의 저하가 생기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또 기록헤드에 강한 누름힘이 가하여지면 기록시에 유지할 토출구와 기록면과의 사이의 거리(0.3㎜ 내지 20㎜)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게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캡핑시의 그의 누름힘을 지지하여 밀폐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캐리지(102)의 강성, 기록헤드(101) 및 캐리지(102)간의 유지 강성 및 가이드레일(103)의 강성을 높혀둘 필요가 있었다. 특히 예컨대 기록헤드(101)를 잉크색에 따라 복수개 탑재한 컬러기록장치등을 생각하면 부재의 일층의 대형화가 불가결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장치의 대형화 및 코스트업을 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여러가지의 불합리함을 해결하여 회복동작이 정상으로 행하도록 하여 이로서 기록소자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시리얼 타입의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있어서 캐리지 동작에 관련시켜서 상기 전환을 행하므로써 코스트업이 생기지 않고 또한 동작속도를 향상하는 동시에 전동기구를 적절하게 구성하여 장치의 소형화에 이바지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덜거덕거림이 존재하여도 확실하게 캡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 잉크제트 기록상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밀폐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강성을 높이는 부재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 기록헤드 갯수가 증가한 경우에도 장치의 대형화나 코스트업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불량의 회복동작을 위해 급지부의 구동용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항상 급지동작에 있어서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 잉크제트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용 액체의 토출구를 가지는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에 대하여 소정방향으로 주사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설치한 상기 기록헤드의 토출구 형성면을 덮는것이 가능한 캡부재와, 상기 기록헤드의 소정위치로의 설정의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캡부재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 형성면을 덮도록한 기구를 가지는 전동부재와, 상기 소정위치에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기록용 액체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토출처리를 행하는 회복수단과, 상기 소정위치에 상기 기록헤드가 걸어 멈추도록 상기 주사의 구동원인 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캡부재가 상기 토출구 형성면을 덮도록 캡핑의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될때에는 당해 캡핑에 의해 폐쇄된 공간을 대기에 대하여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당해 개폐후에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정지하는데 제 2 제어수단과, 상기 개폐가 행하여진후에 상기 회복수단을 가동할때에는 이것에 앞서서 상기 소정위치에 상기 기록헤드를 재설정시키는 제 3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용 액체의 토출구를 가지는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에 대하여 소정방향으로 주사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기록을 위한 주사영역이외의 제 1 위치 및 이것에서 다시 격리된 제 2 위치에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기록헤드의 토출구 형성면을 덮도록한것이 가능하며, 일부에 대기 연통부를 가지는 캡부재와, 이 캡부재를 유지하며, 상기 기록을 위한 주사영역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의 설정 동작에 관련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를 포함한 범위에서는 상기 캡부재에 의해 상기 토출구 형성면을 덮도록한 전동기구와, 상기 토출구 형성면이 상기 캡부재에 의해 덮도록 한것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부압을 작용시켜, 또는 이 공간내에 잉크공급원으로부터 잉크를 도입하는 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력 발생수단과, 상기 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제 1 방향과 상기 잉크도입을 위한 압력을 작용시키는 제 2 방향과 유체 경로를 전환하는 밸브수단과,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상기 대기 연통부를 폐쇄하여 당해 폐쇄 상태를 유지한 그대로 상기 기록헤드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폐쇄부재로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밸브수단의 밸브 작동체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유체 경로가 전환되는 부위에 가세하는 당해 폐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록용 액체의 토출구를 가지는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에 대하여 소정방향으로 주사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설치한 상기 기록헤드의 토출구 형성면을 덮도록 한 것이 가능한 캡부재와, 상기 기록헤드의 소정위치로의 설정의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캡부재에 의해 상기 토출구 형성면을 덮도록 한 정동부재와, 상기 기록헤드 또는 이것을 탑재하는 캐리지와 상기 전동부재와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설치된 돌기부 및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돌기의 수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부재가 상기 토출구 형성면을 덮은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수용부가 2점에서 맞닿도록한 당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록용 액체의 토출구를 가지는 기록헤드와, 상기 기록헤드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당해 대향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설치한 상기 기록헤드의 토출구 형성면을 덮도록 한 것이 가능한 캡부재를 포함한 캡핑수단과, 상기 기록헤드 또는 이것을 탑재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캡핑수단과의 각각에 설치된 걸어맞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향시에 걸어맞춤하여, 당해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의 상기 상대적 이동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록매체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수단과, 이 급지수단의 구동원으로 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을 일방향의 회전에 있어서의 상기 급지수단에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일방향과 반대의 방향의 회전에 있어서 구동원으로서 사용하는 요소와, 이 요소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한소정의 동작이 종료할때, 상기 모터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핑에 의해 폐쇄된 공간을 대기에 대하여 개폐하는 동작이 행하여진 후에 회복처리를 행할때에는 기록헤드가 소정위치에 재설정된다. 그리고 이것에 따라서 캡핑이 시행이 되므로 확실하게 캡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복처리가 이동이 된다. 따라서 기록대기시에 있어서 모터등 구동수단의 발열을 억제할, 소정시간 캡핑이 계속된때에는 모터로의 통전을 단전하여도 적정한 위치에 헤드가 위치되어 지지않기 때문에 회복처리가 불능하게 불합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캡부재의 대기 연통부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부재를 밸브수단(대회복밸브)의 개폐를 하는 레버등의 밸브체를 동작 구동하는 부재로 함으로써 폐쇄부재의 위치에 의해 부압에 의한 흡인에 관련시킨 소회복과 액체의 토출구 형성면으로의 도입에 의한 대회복과의 전환, 즉 대회복밸브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캡핑시에 있어서 돌기부와 수용부가 2점에서 맞닿음으로써 부품정밀도에 의해서 위치어긋남이 존재하여도 면끼리도 지지하는 경우등에 비하여 서로 맞닿음으로써 기록헤드와 캡부재가 확실하게 고정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헤드 또는 그 지지수단과 캡핑수단이 중첩하는 위치에 걸어맞춤수단을 가지고, 기록헤드와 캡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힘을 걸어맞춤수단으로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강성이 필요한 부재를 최소한으로서 확실한 밀폐가 행하여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구동원으로서 겸용하는 토출회복장치등의 요소에 있어서 소정의 동작을 종료한 후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급지동작의 초기상태로 유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실시예 1]
제 2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주요부, 제 3 도 및 제 4 도는 각각 제 2 도에 있어서 토출 회복기구에 배설된 캡부의 측단면도 및 정면도, 제 5 도는 캡부의 개략도, 제 6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토출 회복기구에 배설된 러빙부의 측면도이고, 이들의 도면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기계적 구성을 설명한다.
부재번호 2001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기록용의 잉크를 토출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잉크제트 기록헤드(이하 기록헤드 또는 단지 헤드라고 말함)이다.
2002는 헤드(2001)이 고정되어 있는 캐리지이며, 캐리지(2002)는 캐리지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응하여 캐리지(2002)와 일체화된 타이밍 벨트에 의해 좌우로 이동이 되어 그 과정에서 기록매체(2004)에 기록이 행하여진다.
2005는 캐리지(2002)의 회전을 억지하기 위한 보조축이다.
헤드(2001)의 토출구로부터의 잉크의 토출을 안정시키기 위해 회복계가 설치된다.
헤드(2001)의 토출구 형성면은 기록이 소정시간(본 실시예에서는 5초간) 행하여 지지않을때 토출구에서의 잉크의 고착에 의한 잉크의 불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캡(2006)으로 밀폐된다.
이 캡(2006)을 포함한 밀폐계의 기구를 제 3 도에 도시하였다.
캡(2005)는 캡홀더(2007)에 유지되어 캡홀더(2007)는 홀더(2008)에 유지되어 있다.
헤드(2001)의 밀착시에 적당한 힘으로 압접하도록 스프링(2009)이 캡홀더(2007)와 캡홀더(2008)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E링(2010)(제 3 도)에서 멈추어지고 있다.
홀더(2008)의 일부에는 핀(2008a)이 설치되어 플래트 캠(2011)의 핀(2011a)에는 스프링(2012)(제 3 도)가 돌출부 가설되어 있다.
캡홀더(2007)와 홀더(2008)에는 제 2 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슬라이더(2013)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더(2013)에는 캡(2006), 캡홀더(2007) 및 홀더(2008)가 간직되어 있고, 슬라이더(2013)가 캡축(2014) 따라서 캐리지(2002)와 동시에 제 2 도 및 제 4 도에 있어서의 왼쪽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이때 홀더(2008)의 핀부(2008a)가 프럿트 캠(2011)의 캠면(2011b)(제 2 도, 제 4 도)에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홀더(2008)이 전방 즉 헤드(2001)의 토출구 형성면에 눌리어 접하게 된다.
또한 이때의 압접력은 약 300g이다.
이 압접시에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006)의 핀부인 에어밸브(2006a)가 스톱퍼(2015)에 맞닿는다. 또한 이 스톱퍼(2015)는 E링(2016) 및 스프링(2017)에 유지되어 맞닿는 힘은 약 120g이다.
본 상태에서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밸브(2006a)가 스톱퍼(2015)에 의해 폐쇄되어 대기연통구멍(2006b)이 닫히게 된다. 한편 대회복 캡튜우브(2018)는 후술하는 수단으로 닫히게 되어 있으며 대회복구멍(2006c)도 닫히게 된다.
제 2 도에 있어서 폐잉크 캡튜우브(2019)는 펌프(2020)에 접속이 되어 피스톤(2021)이 D방향의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할때에 펌프(2020)내에 부압이 생겨 헤드(2001)에 압접된 캡(2006)내도 부압으로 되어 이것에 응하여 헤드(2001)의 토출구멍을 통하여 잉크가 강제로 흡인되기 때문에 토출구 안쪽의 진애나 잉크의 고착층등이 캡(2006)내에 흡인되어 헤드(2001)의 불토출의 현상이 해소된다.
그러나 피스톤(2021)이 하사점(下死點)으로부터 상사점(上死點)으로 상승중에는 펌프(2020)가 가압상태로 되고 캡(2006)에서 흡입된 잉크가 폐잉크로서 폐잉크 튜우브(2022)를 통하여 폐잉크 취입구(2023a)로부터 잉크카트리지(2023)의 폐잉크 저류통에 배출이 된다.
폐잉크가 배출될때에는 펌프의 구조상 캡(2006)로의 압력변화는 없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헤드(2001)의 토출구로부터 흡인된 잉크는 아직 캡(2006) 및 잉크 캡튜우브(2019)내에 잔류되고, 따라서 헤드(2001)의 토출구 형성면에 잉크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부착잉크의 표면장력이 잉크토출력으로부터 크면 잉크 불토출이 발생하거나 또 후술하는 브레이드(2024)가 맞닿을때에 잉크의 비산에 의한 기록매체(2004)를 오염하여, 현저한 기록품위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2006)내의 헤드(2001)의 토출구 형성면(페이스면)에 부착한 잉크를 제거해야할, 캡(2006)과 헤드(2001)이 압접한 상태로 캡의 에어밸브(2006a)의 스토퍼(2015)와의 맞닿음을 해제하도록 캐리지(2002)를 우측방향으로 약간(여기서는 2㎜) 이동시켜 이 상태에서 펌프유니트를 동작시킨다.
대기연통구멍(2006b)는 제 5 도 도시한 바와 같이 L형으로 설치되어 있고 더구나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006)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연통구멍(2006b)를 통하여 에어가 캡(2006)내에 흡인된다.
그리고 캡(2006)의 윗쪽에서 폐잉크 캡튜우브(2019)가 장치되어 있는 아래쪽으로 에어가 유동하기 때문에, 캡(2006)내의 잉크 및 헤드(2001)의 페이스면에 부착한 잉크가 제거된다. 이후, 헤드(2001)의 페이스면을, 후술하는 수단에 의하여 마찰부재(2025)를 돌출하여 캐리지(2002)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때에 마찰하고, 페이스면의 잉크 및 스메어(smear)를 제거하고, 헤드(2001)의 토출안정성을 확보한다.
이 마찰기구를 제 6 도에 나타낸다.
원통형상의 마찰홀더(2026)에 링형상의 마찰부재(2025)를 삽입하고, 마찰홀더(2026)를 마찰 슬라이더(2027)에 스프링(2028), E링(2029)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고, 마찰부재(2025)는 수평방향으로 가동하여 헤드(2001)의 페이스면을 적당한 압접력(여기서는 약 100g)으로 압접하면서 마찰하도록 되어 있다.
마찰 슬라이더(2027)의 돌출을 후술하는 캠에 의하여 행해지고, 원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은 마찰 슬라이더(2027)(제 6 도)의 일부(2027a)(제 6 도)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고 있다. 더욱, 이 마찰부재(2025)로서는 예컨대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연속기공체로 이루어져있다.
헤드(2001)의 토출안정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기록중에 지분이나 그밖의 분진이 토출구에 부착한 경우,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 블레이드(2024)(제 2 도, 제 4 도)로 닦아낸다. 이 블레이드는, 본예에서는 두꺼운데가 0.3㎜정도의 플렉시블한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고 있다. 이 블레이드(2024)는 장치 본체의 측판(2030)에 블레이드 누름(2031)에 의하여 압접고정되어 있고, 언제나 돌출해 있기 때문에, 이 앞을 헤드가 이동할때에는 반드시 블레이드(2024)에 의한 와이핑(wiping)에 행해진다.
기록동작중에는, 슬라이더(2013)가 슬라이더 되돌림스프링(2032)에 의하여 본체 측판방향(우측방향)으로 되돌려지고, 슬라이더(2013)의 일부(2013b)가 본체 측판의 일부(2030a)의 끝부분에 맞닿은 위치에서 정해지는 위치로 캡(2006)이 설정된다. 또, 기록동작중에는, 헤드(2001)의 사용되고 있지 않는 토출구의 고착방지를 위해, 헤드(2001)을 캡(2006)이 대기하고 있는 위치까지 되돌리고, 전 노즐의 구동(공토출)을 소정시간마다 행함으로, 이때도 헤드(2001)의 왕복에 수반하여 블레이드(2024)에 의한 와이핑이 행해진다.
또, 당연히 상기 흡인에 의한 회복동작 및 대회복에 관련하여도 블레이드(2024)에 의한 와이핑이 행해진다.
공토출이 행해질때에는, 홀더(2008)이 다보(2008a)는 플래트 캠(2011)의 캠면(2011b)의 한단 낮은 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캡(2006)과 헤드(2001)와는 떨어져 있고, 공토출된 잉크는 캡(2006)내에 있는 고분자 흡수체(2033)에 흡수보존되어, 펌프(2020)의 작동시에 펌프(2020)쪽으로 흡수된다. 또 헤드(2001)의 일부(2001a)와 슬라이더(2013)의 아암부(2013a)가 맞닿아 캐리지(2002)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홀더(2008)의 다보(2008a) 는 플래트 캠(2011)의 캠면(2011b)의 경사면을 올라가 캡(2006)과 헤드(2001)의 압점되고, 캡핑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캡동작에 대하여 진술한다.
기록장치의 본체(도시하지 않음)이 종이이송 모터의 정회전시는, 종이이송 모터는 종이를 이송하는 기능을 갖지만, 역회전시는 종이이송 로울러축(2034)과 회복계 구동기어(2035)는 클러치 스프링(2036)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화살표 표시 A방향으로 회전하고, 아이들기어(2037)를 통하여 캠기어(2038)가 회전하고, 캠기어(2038)와 일체로 되어 있는 캠축(2039)에 의하여 마찰 캠(2040), 펌프 캠(2041, 2042) 및 홈포지션 캠(2043)이 회전한다.
여기서, 펌프 캠(2041, 2042)와의 대향면에는 펌프(2020)의 피스톤 (2021)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평행 핀(2044)의 양끝이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홈부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 캠(2041, 2042)은 정운동 캠으로 되어 있고, 그 회전에 의하여 평행 핀(2044)이 미끄럼 운동하여 피스톤(2021)을 D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있다. 전원 ON시는, 회복계 구동기어(2035)가 회전하여 홈포지션 캠(2043)도 회전하고, 홈포진션 스위치(2045)가 ON이 되고, 캠군의 초기화를 도모한다.
상술한 흡인에 의한 회복동작은 소회복이라고 불리우고, 불토출이 용이하게 해소되는 때에 행해지지만 헤드(2001)의 토출구에의 잉크 고측등에 의하여 불토출이 용이하게 해소되지 않는 때에는 대회복동작을 행한다. 대회복시의 헤드(2001)의 위치는, 캡(2006)의 에어밸브(2006a)가 스토퍼(2013)에 맞닿아, 대기연통구멍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회복시보다도 제 2 도 및 제 4 도중 2㎜ 왼쪽으로 이동한 곳이다.
여기서 대회복동장의 기구를 제 2 도 및 제 4 도를 근거로 설명한다.
플래트 캠(2011)의 일부(2011b)로 슬라이더(2013)가 원활하게 캐리지(2002)의 이동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2013)부분(2013b)에 있어서 레버(2046)의 부분(2046b)에 결합가능하다.
레버(2046)의 중간 정도에는 지점부가 설치되어, 이 지점부를 지지부(2047a)로 지지하고, 레버(2046)를 최동 가능하게 한다. 레버(2046)의 다른끝 부근에는 대회복 밸브(2048)이 설치되고, 레버(2046)의 돌기(2046a)에 의하여 구동된다. 레버(2046)에 대하여는 스프링(2050)이 설치되고, 이때문에 슬라이더(2013)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후의 복원력이 얻어진다.
소회복 동작이 행해지는 위치에서, 대회복 동작을 위해 좌측방햐응로 캐리지(2002)를 2㎜ 이동시키면, 슬라이더(2013)의 부분(2013b)과 레버 부분(2046b)가 결합하고, 스프링(20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레버(2046)가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서 대회복 밸브(2048)가 돌기(2046a)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 대회복 밸브(2048)에는, 이상 진술한 바와 같이 잉크공급튜우브(2049)가 장치되어 있고, 그 구동에 수반하여 잉크를 튜우브(2018)를 통하여 캡(2006)의 잉크 공급구에 도출된다. 즉, 이때 기록헤드(2001)의 페이스면은 잉크에 의하여 세정되게 된다.
여기서, 제 2 도를 근거로 튜우브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잉크 카트리지(2023)의 상부에는 잉크 취출구(2023b)가 있고, 이것에 3방향 죠인트가 설치되고, 그가운데 하나의 구멍에서 튜우브(2051)를 통하여 헤드(2001)를 향하여 잉크공급이 이루어진다. 또 대회복 밸브(2048)에 대하여는 3방향 죠인트로 결합한 튜우브(2049)를 통하여 잉크공급이 가능하다.
한편, 소회복 또는 대회복에 있어서 펌프(2020)에 의하여 회수된 잉크는, 폐잉크 튜우브(2022)를 통하여 잉크 카트리지(2030)내의 폐잉크 모으는 곳에 인도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련한 잉크제트 기록장치 전체의 제어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7 도는 당해 제어계의 일 구성예이다.
도면중 1001은 프린트 이메지 데이타를 수평방향(기록방향)의 1라인마다에 송출하는 호스트 컴퓨터 또는 데이타 전송장치이고, 프린터에의 각 라인마다의 이메지 데이타는 제어부(1002)에서의 트리거신호(1016)에 의하여 소정의 주파수의 클록 레이트로 전송된다.
1002는 프린터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이고,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등의 MPU(1002-1, MPU1002-1)의 제어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프로우챠트에 나타내는 제어수순, 데이타등을 격납하고 있는 ROM(1002-2)의 밖에, 마크에리어로서 사용되고, 종이폭이나 종이폭에 응한 데이타수를 계산한 당해 계수치나, 그 계수치에 응한 수신 라인 총수를 계산하여 얻어지는 총수치를 기억하는 영역등을 포함하는 RAM(1002-3), 종이이송수나 캐리지 펄스수를 카운트 해두는 카운터(1002-4), MPU(1002-1)의 지시에 대응하여 계시를 행하고, 지시된 시간을 계시하면 MPU(1002-1)에 인터럽션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002-5), 각종 데이타 및 제어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I/O보드(1002-6)등을 구비하고 있다.
1003은 호스트 컴퓨터(1001)에서 송출된 이메지 데이타를 적어도 헤드(1)의 기록소자 수분(본 실시예에서는 128라인분) 격납하는 이메지 버퍼 메모리로, 호스트 컴퓨터 또는 데이타 전송장치(1001)에서의 이메지 데이타는 제어부(1002)의 제어하에, 순차 이메지 버퍼 메모리(1003)에 격납된다.
1004는 1라인분의 수신 이메지 데이타수를 설정할 수 있는 카운터(1004-1)를 구비하고, 제어부(1002)가 설정한 데이타수를 수신하면 검출신호(1017)를 제어부(1002)에 출력하는 수신회로이다. 또 이 수신회로(1004)에는, 혹 도트의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흑 도트 판별회로가 설비되어 있다.
1005는 이메지 버퍼 메모리(1003)에서 기록헤드(2001)의 기록소자수에 대응하는 라인분(예를 들면 128라인분)의 데이타를 수직방향으로 1옆씩(128도트) 판독하고 헤드(2001)의 기록위치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컨버터이다. 헤드(2001)는 세로방향으로 128도트의 기록소자를 1열로 배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주사하여 기록을 행한다.
1007은 데이타 컨버터에서의 프린트 데이타에 의거하여 기록헤드(2001)의 기록소자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이다.
1008은 헤드(2001)를 탑재한 캐리지(2002)를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 캐리지 모터, 1009는 제어부(1002)의 데이타를 근거로 캐리지 모터(1008)의 구동을 행하는 캐리지 모터 드라이버이다.
1010은 헤드(2001)의 기록소자의 피치분의 단위로 종이이송을 실행할 수 있는 종이이송 모터, 1011은 종이이송 모터(101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이다.
또, 1012는 카세트 피더용의 카세트 모터이고, 호스트 컴퓨터 또는 데이타 전송장치(1001)부터의 지시 혹은 후술하는 정보입력부(1014)내의 키이 패널(1014-1)부터의 지정에 의하여 카세트에서의 급지를 행해진다.
1013은 카세트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드라이버이다. 캐리지 모터(1008), 종이이송 모터(1010) 및 카세트모터(10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탭핑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1014는, 여러가지 정보를 제어부(1002)로 송출하는 정보입력부이고, 이 정보는 검출신호(1018)에 의하여 제어부(1002)에 출력된다.
1014-1는 예컨대 종이등 기록매체의 사이즈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한 키이 패널이고, A4와 B5등의 종이사이즈를 지정할 수가 있다.
1014-2는 급지시의 기록매체와 선단위치결정이나 후단의 검출이 되는 종이 END 센서이다.
1014-3은 지폭검출장치이고 캐리지상에 탑재할 수가 있다. 예컨대, 이 지폭검출장치 1014-3에 의하여, 급지된 지폭을 검출하고 기록매체이외의 위치에 기록하지 않는 것에 사용된다.
1014-4는 종이카세트 피터가 장착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카세트의 유무검출부이다.
다음에 1014-6은 기록헤드(2001)에 기록용의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2023)의 잉크의 유무를 검출하는 잉크 유무 검출부이다.
또 1014-7은 잉크카트리지(2023)의 유무를 검출하는 잉크카트리지 유무 검출부인 1014-8은 멀티피더(mult-feeder)에 종이가 있는가 없는가를 검출하는 멀티 피더지 유무 검출부이다.
1015는 호스트 컴퓨터 또는 전송장치(1001)에서 지시되는 종이 사이즈등의 코맨드 신호이고, 정보입력부(1014)에서 뿐만 아니라, 호스트 컴퓨터(1001)에서도 종이 사이즈의 지정을 할 수 있다.
1014-9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특유의 캡기구나 펌프기구의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펌프 홈포지션 검출부, 1014-10은 기록헤드(2001)를 탑재한 캐리지(2002)의 기준을 결정하는 캐리지 홈포지션 검출부, 1014-11은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부이다.
제 8 도는 본 실시예에 관련한 대기시의 프린터 제어수순의 일예를 나타낸다.
일련의 기록종료후, 호스트 컴퓨터 또는 데이타 전송장치(1001)에서 소정시간(본예에서는 5초)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될때(스텝 S2), 헤드(2001)의 페이스면을 대기에 개방하고 있으면 헤드의 토출구 안쪽의 잉크가 고착하여 토출불량이 생기기 때문에, 헤드(2001)의 페이스면에 캡핑을 시행하여 대기에서 차단함에 따라 고착 방지한다(스텝 S3).
다음에 제 7 도시의 정보입력부(1014)에서 회복동작의 지시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정한다(스텝 S4).
여기서, 그 지시가 없는 상태로 캡핑이 시행되어 장시간 경과하면, 헤드(2001)의 페이스면 전면의 밀폐된 공간의 압력이 헤드의 열 및 장치내 온도에 의하여 상승하고, 토출구 안쪽의 메니스커스(meniscus)가 유지 불능이 되어 잉크가 헤드(2001)에서 누설될 우려가 있고, 심할때에는 기록불능도 된다. 때문에, 상기 지시가 없는대로 캡핑상태가 소정시간(예컨대 1분) 계속하면, 대기연통구멍(2006b)을 열고 페이스면 부분의 압력을 대기와 같게 하고, 그후 대기연통구멍(2006b)을 닫힌다(스텝 S11).
이 개폐동작은 캐리지(2002)의 미소 왕복동작, 즉 캐리지(2002)을 캡 위치에서 제 2 도중 오른쪽으로 이동시킨후, 다시 되돌리는 동작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후 대기연통동작 플래그를 온으로 하여, 캐리지 모터(1008)의 발열을 방지한 여자상태를 해제하여 홀더를 정지한다(스텝 S12).
한편, 회복동작의 지시가 있었던 때에는, 회복동작 플래그를 온으로 한다(스텝 S5).
그후 스텝 (S11)에 의한 캐리지 모터(1008)의 구동에 응한 대기연통동작이 종료했는가 아닌가를, 대기연통동작플래그의 온/오프를 근거로 판정한다.
종료하고 있으면, 캐리지 모터의 상이 완전히 홀더상태에서 해제되어 있고, 고정상태에 있었던 캐리지(2002)는, 슬라이더 되돌이 스프링(2032)의 제 4 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에서 가압력이 슬라이더 아암부(2013a)에서 캐리지에 전달되고, 스프링의 힘에 의한 부하가 캐리지(2002)와 캐리지축(2003)의 마찰력보다 커지고, 제 2 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 뒤의 회복동작을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술의 대기연통동작이 종료하고 있으면 캐리지 모터(1008)의 여자가 끊어지고, 캡(2006)의 대기연통구멍(2006b)이 닫혀있는 상태라는 보증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재차 캡핑을 시행하여 캡의 대기연통구멍을 닫고(스텝 S7), 그후에 비로서 회복동작(소회복)에 들어간다.
즉, 캐리지를 홈 포지션의 위치에 확실히 이동한후에 회복동작(스텝 S8)에로 이행한다. 한편, 대기연통동작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때에는 모터의 상기 저전압이지만 홀더상태이므로 대기연통구멍(2006b)은 확실히 폐쇄되어 있다.
그래서, 이때에는 캡핑동작을 행하지 않고 회복동작으로 이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회복동작의 종료후, 스텝 S9에 있어서 대기연통동작 플래그 및 회복동작 플래그를 오프로하고 다음 처리로 이행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구성을 채택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흡인에 의한 소회복의 위치에서 더욱 캐리지를 이동시켜서 잉크를 페이스면에 인도하여 대회복을 행하도록 했지만, 그위치에서 대회복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 소회복만으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면 대회복에 관련한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고, 소회복에 대하여도 흡인에 의한 것외에, 예컨대 기록헤드의 잉크 공급계를 가압하여 잉크를 강제적으로 분출시킴에 따라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더욱이, 캐리지 모터로서 위 예에서는, 스탭핑 모터를 사용했지만, 예컨대 DC 모터를 사용하고, 홈 포지션에의 위치설정시에는 그 위치에 걸리는데 필요하고 또한 충분한 약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대기연통 동작후에는 통전을 단절하도록 한것이라도, 본 발명은 똑같이 적용된다.
[실시예 2]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를 관련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10 도는 회복수단에 배치된 캡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 11 도는 그 모식도, 제 12 도는 회복수단의 외장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 13 도는 회복수단에 배설된 마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사시도이다.
3001은 본 예에서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기록용의 잉크를 토출하여 물방울을 형성하는 잉크제트 기록헤드(이하 기록헤드 또는 단순히 헤드라고 한다).
3002는 헤드가 고정되어 있는 캐리지이고, 캐리지(3002)는 도시하지 않은 캐리지 모터의 구동에 응하여, 캐리지(3002)와 일체화된 타이밍 벨트에 의하여 캐리지 축(3003)상을 좌우로 이동되어, 그 과정에서 기록매체(3004)에 기록이 행해진다.
3005는 기록매체(3004)의 두께에 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핀치로울러 스테이이고, 캐리지(3002)의 일부가 이 핀치로울러 스테이(3005)를 캐리지(3002)의 자중압으로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기록매체(3004)의 피기록면과 헤드(3001)와의 캡을 기록매체(3004)의 두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품위의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이 헤드(3001)의 토출구에서의 잉크 토출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회복계가 설치된다.
헤드(3001)의 토출구 형성면은 기록이 소정시간 행해지지 않을때 토출구에서의 잉크의 고착에 의한 잉크의 불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캡(3006)을 밀폐된다.
제 10 도는 이 캡(3006)을 포함하는 밀폐계의 기구를 나타낸다.
캡(3006)은 캡홀더(3007)에 유지되고, 캡홀더(3007)는 홀더(3008)에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3001)는 밀착시에 적당한 힘으로 압접하도록 캡 스프링(3009)이 캡홀더(3007)과 홀더(3008)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캡홀더(3007)의 클릭부(3007a)가 홀더(3008)의 구멍부(3008a)에 삽입되어 걸려 있다.
캡홀더(3007)의 양측의 다보(3007b)는, 홀더(3008)의 U홈(3008b)에 위치되어, 이것을 지점으로하여 헤드(3001)의 면에 응하여 캡(3006)과 일체화된 캡홀더(3007)이 요동한다. 홀더(3008)의 상하에는 2개의 다보(3008c)가 설치되어, 이 다보(3008c)는 슬라이더(3009)의 U홈부(3009a)에 위치되어 캡 유니트가 구성된다. 그리고, 캡홀더(3007)는 홀더(3008)에 대하여 화살표시 A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 홀더(3008)는 슬라이더(3009)에 대하여 화살표시 B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더(3009)에 캡(3006), 캡홀더(3007) 및 홀더(3008)이 유지되어 있고, 캐리지(3002)가 캐리지축(3003)에 따라서 기록영역에서 회복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3009)의 아암부의 구멍(3009b)에 캐리지(3002)의 다보(3002a)가 진입하고, 슬라이더(3009)가 슬라이드축(3010)에 따라서 캐리지(3002)와 함께 제 9도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홀더(3008)의 다보부(3008c)에 삽입된 로울(3011)이 플래트 캠(3012)의 홈혈부(3012a)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므로, 홀더(3008)은 헤드(3001)측으로 돌출하고, 동시에 슬라이더(3009)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을 캠(3006)이 헤드(3001)의 토출구 형성면(페이스면)에 압접한다. 더욱, 이때의 압접력은 300~500g정도이다. 이때,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06)의 다보부인 에어밸브(3006a)가 스토퍼(3013)에 당접되어, 이 스토퍼(3013)는 후술하는 기구에 의하여 100g정도의 힘으로 압접된다. 이때, 대기연통구멍(3006b)가 닫히고, 대회복 캡튜우브(3014)는 후술하는 수단으로 닫혀있고, 대회복구멍(3006c)도 닫혀있다.
제 9 도에 있어서 폐잉크 캡튜우브(3015) 제 12 도에 있어서 펌프(3016)에 접속되고, 피스톤(3017)이 C방향의 배면방향으로 이동했을때에 펌프(3016)에 부압이 생겨서, 헤드(3011)에 압접된 캡(3006)도 부압이 되고, 이에 응하여 헤드(3001)의 노즐에서 잉크가 강제 흡인되기 때문에, 토출구 안쪽의 먼지티끌이나 잉크의 고착층등이 캡(3006)내에 흡인되고, 헤드(3001)의 불토출의 현상이 해소된다.
그리하여 하사점에 달한 피스톤(3017)이 후술하는 캠 운동에 의하여 D방향으로 이동했을때, 펌프(3016)내에 가압상태가 되어, 캡(3006)에서 흡인된 잉크가 폐잉크로서 폐잉크 튜우브(3018)을 통하여 폐잉크 취입구(3019a)에서 잉크카트리지(3019)의 폐잉크 받이에 배출된다. 폐잉크가 배출될 때에는, 펌프의 구조상 캡(3006)에의 압력변화는 없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헤드(3001)의 토출구에서 흡입된 잉크는 아직 캡(3006) 및 폐잉크 캡튜우브(3015)내에 잔류하고, 따라서 헤드(3001)의 페이스면에 잉크가 부착되어 있고, 이 부착잉크의 표면장력이 잉크 토출력보다 크면 잉크 불토출이 발생하든가, 또 후술하는 블레이드(3024)의 맞닿을때에 잉크의 비산에 의하여 기록매체(3004)를 오염하고, 현저하게 기록품위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3006)의 헤드(3001)의 페이스면에 부착한 잉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캡(3006)과 헤드(3001)의 압접한 상태로 캡(3006)의 에어밸브(3006a)의 스토퍼(3013)와의 맞닿음을 해제하도록 캐리지(3002)를 우측방향으로 약간(본 실시예에서는 2㎜)이동시켜, 이 상태에서 펌프 유니트를 동작시킨다.
대기연통구멍(3006b)은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L형에 설치되어 있고 더구나 캡(3006)의 윗쪽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연통구멍(3006b)을 통하여 에어가 캡(3006)내에 흡인되고, 캡(3006)의 윗쪽에서 폐잉크 캡튜우브(3015)가 장치되어 있는 아래쪽으로 에어가 유동하기 때문에, 캡(3006)내의 잉크 및 헤드(3001)의 페이스면에 부착한 잉크가 제거된다. 그후 헤드(3001)의 페이스면을, 후술하는 수단에 의하여 마찰부재(3020)를 돌출시켜서, 캐리지(3002)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때에 마찰하고, 페이스면의 잉크및 시미를 제거하고, 헤드(3001)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 마찰기구는 제 1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원형상의 마찰 인서터(3021)에 링형성의 마찰부재(3020)를 삽입하고, 마찰 인서터(3021)의 핀(3021a)을 마찰홀더(3022)의 U홈부(3022a)에 의하여 걸어두고, 더욱 마찰 스프링(3023)을 통하여 마찰 슬라이더(3024)의 구멍부(3024a)에 마찰홀더의 핀의 클릭부(3022b)를 삽입함에 따라 구성되고, 마찰부재(3020)는 D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마찰 슬라이더(3024)의 돌출은 후술하는 캠에 의하여 행해지고,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은 마찰 슬라이더(3024)의 일부(3024b)의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캠이 마찰 슬라이더의 핀부(3024c)에 맞닿는 것에 따라 마찰부재(3020)가 돌출한다. 이 마찰부재(3020)로서는 예컨대 에테르계의 폴리우레탄 연속기공체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마찰부재(3020)와 캡(3006)과의 사이에는 블레이드(3025)를 설치하고, 헤드(3001)의 토출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록중에 지분이나 그밖에 분진이 노즐에 부착했을때, 블레이드(3025)로 닦아내어 이것을 제거한다.
이 블레이드(3025)에는, 본예에서는 두꺼운데가 0.3~0.5㎜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고 있다. 이 블레이드(3025)는 블레이드 누름(3026)에 의하여 회복계 베이스(3027)의 일부에 장치되어, 언제나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앞은 헤드가 이동할때에는 반드시 블레이드(3025)에 의한 와이핑이 행해진다.
기록동작은, 슬라이더(3009)가 제 1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스프링(3028)에 의하여 우측방향으로 되돌려지고, 블레이드(3025)를 블레이드 누름(3026)으로 눌러서 유지하고 있는 회복계 베이스(3027)의 일부에 슬라이더(3009)의 일부가 당접된 위치에서 정해지는 위치로 캡(3006)이 설정된다. 또, 기록동작중은, 헤드(3001)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토출구의 고착방지를 위해, 헤드(3001)을 캡(3006)이 대기하고 있는 위치까지 되돌리고, 전노즐의 구동(공토출)을 소정시간마다 행하므로, 이때도 헤드(3001)의 왕복에 수반하여 블레이드(3025)에 의한 와이핑이 행해진다.
또, 상기 흡인에 의한 회복동작 및 대회복에 관련하여도 블레이드에 의한 와이핑이 행해진다.
공토출이 행해질때에는, 홀더(3008)의 핀(3008c)는 플래트 캠(3012)의 캠면(3012a)의 1단 낮은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캡(3006)과 헤드(3001)과는 떨어져 있고, 공토출된 잉크는 캡(3006)내에 있는 고분자 흡수체(3029)에 흡수 유지되어서, 펌프(3016)의 작동시에 펌프(3016)쪽에 흡수된다.
또, 캐리지(3002)의 핀부(3002a)가 슬라이더(3009)의 아암부의 구멍(300b)으로 진입했을때, 캐리지(3002)의 좌측방향에의 이동과 함께 홀더(3008)의 핀(3008c)는 플래트 캠(3012)의 캠면(3012a)의 경사면을 올라가 캡(3006)과 헤드(3001)이 압점할 수 있을때에 행해지지만, 헤드(3001)의 토출구에의 잉크고착등에 의하여 불토출이 용이하게 해소되지 않는 때에는 대회복 동작을 행한다. 대회복시의 헤드(3001)의 위치는 소회복시보다도 좌측으로 캡(3006)의 에어밸브(3006a)가 스토퍼(3013)에 맞닿고, 대기연통구멍이 받혀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회복시 보다는 제 9 도중 2㎜ 이동한 곳이다.
제 14 도는 대회복동작을 위한 기구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플래트캠(3012)의 일부(3012b)에서 스토퍼(1013)가 원활하게 캐리지(3002)의 이동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3013)는 스토퍼레버(3041)의 U홈(3014a)에 스토퍼(3013)의 돌기부(3013a)가 끼워맞춤된다. 또 스토퍼레버(3041)의 지점부(3041b)는 플래트캠(3012)의 핀부(3012c)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그리고, 플래트캠(3012)의 일부(3012b)에 대회복 밸브(3042)가 설치되고, 대회복 밸브(3042)에는 구명(3042a)이 설치됨과 동시에 3042b, 3042c에 도시하는 가는 구멍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구멍(3042a)과 가는 구멍(3042b, 3042c)이 연통하고 있다. 이 연통하고 있는(3042b, 3042c)를 개, 폐하는 것은 밸브피스톤(3043)이고, 밸브피스톤(3043)과 스토퍼레버(3041)의 구멍(3041c)과의 사이에 대회복스프링(3044)이 개재하고, 밸브피스톤(3043)은 스토퍼레버(3041)의 U홈부(3041d)에 유지되어 있다.
스토퍼레버(3041)의 지지점부에는 스토퍼 스프링(3045)이 설치되고, 그 스토퍼 스프링(3045)의 일단(3045a)은 플래트캠(3012)의 도시되어 있지 않은 걸림부에 맞닿고, 타단(3045b)은 스토퍼(3041)의 일부(3041e)에 맞닿아 있다. 이때문에 스토퍼(3013)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했을때의 복원력이 얻어진다.
제 15 도는 회복계의 개략도이고, 본 도면을 인용하여 이상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소회복의 펌프작동시는 밸브피스톤(3043)과 스토퍼레버(3041)의 구멍부(3041c) 내벽과는 비접촉으로 되어 있고, 밸브피스톤(3043)은 대회복 스프링에 의해 대회복 밸브(3042)에 압접해 있고, 대회복 밸브(3042)의 가는 구멍(3042b, 3042c)은 연통해 있지 않다.
단, 에어벨브(3006a)는 스토퍼(3013)와 맞닿고, 대기연통구멍(3006b)은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대회복 동작 때문에 좌측방향으로 2㎜ 이동하면 스토퍼레버(3041)의 구멍부(3041c) 내벽과 밸브피스톤(3043)이 접촉하여 밸브피스톤(3043)이 대회복 밸브(3042)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는 구멍(3042b, 3042c)이 연통한다. 또, 대기연통구멍(3006b)과 스토퍼(3013)는 맞닿는 상태를 유지한 채이다. 따라서 후기하는 튜우브에 의해 잉크카트리지에서 잉크가 캡(3006)위쪽으로 공급 가능하게 된다. 또, 공기 토출시 구멍(3042b, 3042c)은 연통해 있지 않고, 에어밸브(3006a)와 스토퍼(3013)는 맞닿는 상태에 있지는 않다.
여기서 제 9 도를 근거로 튜우브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잉크카트리지(3019)상부에는 잉크 취출구(3019b)가 있고, 여기에 3반향 조인트(3046)가 설치되고, 그 가운데의 한 구멍에서 캐리지(3002)상의 도시하지 않는 서브탱크에 잉크 공급튜우브(3047)가 접속되고, 이 서브 탱크에서 도시하지 않는 튜우브를 통하여 헤트(3001)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서브탱크 일부에서 서브탱크 튜우브(3048)가 펌프(3016)의 잉크흡인구(3016b)로 접속되어 내부의 액면유지나 기포제거등의 처리에 이바지된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대회복밸브(3042)의 가는 구멍(3042c)과 캡(3006)과는 대회복 캡튜우브(3014)에서 접속되고, 대회복밸브(3042)의 가는 구멍(3042b)과는 3방향 조인트(3046)를 통하여 잉크카트리지(3019)의 잉크 취출구(3019b)에 대회복 튜우브(304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펌프(3016)의 폐(廢)잉크는 회복계 베이스(3027)의 일부의 (3027a)와 잉크카트리지(3019)의 폐잉크 취입구(3019a)를 접속하고 있는 폐잉크 튜우브 (3018)를 통하여 잉크카트리지(3019)에 회수된다. 펌프(3016)로 캡(3006) 하측에서 흡입된 폐잉크는 폐잉크 캡튜우브(3015)에 의해 펌프(3016)의 잉크흡인구(3016a)로 흡인된다.
따라서, 대회복시는 소회복시와 같이 캡(3006)과 헤드(3001)의 페이스면과는 압접되기 때문에 펌프(3016)의 피스톤(3017) C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캡(3006)에의 대회복공(3006c)에서 잉크가 유입됨과 동시에 헤드(3001)의 노즐에서도 잉크가 캡(3006)내로 유입되고, 그후 펌프(3016)에 의해 폐잉크 받이쪽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은 펌프동작을 가령 4회 행한다음, 캡(3006)과 헤드(3001)의 페이스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잉크를 모으고, 헤드(3001)를 우측방향으로 2㎜ 이동시켜 스토퍼레버(3041)의 스토퍼스프링(3045)에 의해 원위치로 밸브피스톤(3043)을 되돌림으로서 대회복밸브(3042)의 가는 구멍(3042b, 3042c)을 닫고, 이 상태로 가령 약 1분간 유지하여 고착된 잉크에 잉크를 함유시켜 연화시킨 다음, 펌프를 동작시켜서 캡(3006)과 헤드(3001)의 페이스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잉크를 배출함과 동시에 헤드(3001)의 노즐에서 잉크를 흡인, 배출시킨다. 다음에, 다시 헤드(3001)을 우측으로 2㎜ 이동시킴으로써 캡(3006)의 에어밸브(3006a)의 대기연통공(3006b)을 개방하고, 펌프를 동작시킴으로써 에어를 대기연통공(3006b)에서 흡인하여 캡(3006)의 폐잉크 배출구(3006b)로 유출시킨다. 이로인해 헤드(3001)의 페이스면과 캡(3006)내의 잉크가 제거된다. 이상이 대회복 동작이다.
또, 본 예에 관한 회복계 유니트는 회복계 베이스(3027)의 핀(3027a, 3027b)에 의해 본체에 용이하게 고착된다. 또, 플래트 캡(3012)과 회복계 베이스(3027)와의 상호의 클릭에 의해 걸려 있다.
제 16 도는 전원 ON시와 소회복시의 캠션도이다. 제 17 도는 전원 ON 시 및 소회복시의 헤드(3001)의 동작을 나타내는 선도이며, 수평축이 헤드(3001)를 탑재하고 있는 캐리지(3002)를 구동하는 모터로서의 펄스모터의 스탭수, 수직축이 헤드(3001)를 탑재하고 있는 캐리지(302)를 구동하는 모터로서의 펄스모터의 스텝수, 수직축이 헤드(3001)의 이동방향과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18 도는 대회복시의 캡션도, 제 19 도는 대회복시의 헤드(3001)의 동작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이하에 이들의 선도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의 동작 및 제 9 도, 제 12 도의 설명을 행한다.
우선, 제 16 도 및 제 17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원 ON시는 회복계의 초기화를 행한다.
이때에는 홈 포지션 캠(3039)에 의해 홈 포지션 스위치가 ON이 되기까지 회전하고, 홈 포지션 스위치가 ON이 된 후에 다시 10°회전하여 상태 ◎가 된다. 이때, 펌프(3016)의 피스톤(3017)은 상사점에 달하고, 마찰부재(3020)는 대기상태이고, 헤드(3001)는 가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캠(3006)과 헤드(3001)의 페이스면과는 압접되지 않고, 당연히 에어밸브(3006a)도 개방되어 있다. 그후, 캠이 절대각도 83°까지 회전한 후 헤드(3001)가 에어밸브(3006a)가 폐쇄되는 위치 ①까지 이동한다. 이하, 캠군의 회전각도는 절대각도로 기술하고, 헤드(3001)의 위치는 여기를 원점으로 한다.
이 ①의 상태로 캠군이 회전하여 150°에서 펌프(3016)이 흡인이 개시되며, 230°에서 하사점에 달하고 245°에서 캠군의 회전을 가령 0.8초 정지시켜서 충분히 잉크를 흡인하게 하고, 그 후 헤드(3001)를 2㎜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에어밸브(3006a)를 개방으로 한다(상태 ②). 그 다음 캠군이 회전하여 260°에 달한후, 피스톤(3017)이 상승하고, 340°에서 상사점에 도달하면 헤드(3001)를 이 상태로 유지한채 일정속도로 캠군을 (2×360°+83°) 회전시킨후 헤드(3001)를 좌측으로 2㎜ 이동시키면 상태 ⑤가 된다. 또 캡선도(제 16 도)에 있어서의 (2×360°+10°)에서 (2×360°+83°)의 사이는 전원 ON시는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것이 된다. 상태 ⑤에서 데이타 전송에 응하여 헤드(3001)는 기록동작을 행하고, 그 종료후는 다시 상태 ⑤가 된다.
다음에 소회복의 기동시의 상태 ⑤는 상태 ①과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설명은 상태 ①에서 시작된다. 상태 ①에서의 선도는 (2×360°+10°)까지는 전원 ON시의 선도와 꼭같고, (2×360°+10°)에 도달한 상태 ③일때에 헤드(3001)은 우측으로 5㎜이동하고, 캠군이 회전하고, (2×360°+32°)에서는 마찰부재가 돌출하기 시작하며, (2×360°+48°)에서는 돌출한 상태가 계속되고, (2×360°+57°)에 도달했을때에 캠군의 회전은 정지하여 헤드(3001)는 다시 9.5㎜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헤드(3001)의 페이스면은 마찰부재(3020)에 의해 마찰되어 크리닝된다. 그후 캠군이 회전하여 (2×360°+66°)에 도달한 후 마찰부재(3020)는 대기상태로 복귀하기 시작하며, (2×360°+78°)에서 마찰부재(3020)는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2×360°+83°)에 도달했을 때에 캠균은 정지되고, 헤드(3001)는 좌측으로 16.5㎜ 이동하여 캠(3006)과 헤드(3001)의 페이스면이 압접되고, 에어밸브(3006a)와 페쇄가 되며, 캡(3006)은 완전 밀폐상태가 되어 상태 ⑤에 도달하고, 데이타 전송대기가 된다.
다음에 제 18 도 및 제 19 도를 인용하여 대회복에 대하여 기술한다.
데이터 전송대기 상태는 상기의 상태 ⑤이지만 대회복동작은 이 상태에서 헤드(3001)는 좌측으로 2㎜이동하고, 캐리지(3002)의 동작에 의해 스토퍼(3013)을 맞닿게하여 대회복 밸브(3042)의 유로를 개방으로 한다. 그 다음 캠군이 회전하고 150°에서 펌프(3016)의 피스톤(3017)이 내려가기 시작하고, 230°에 하사점에 도달하고, 245°에 도달한 상태 ⑦일때에 가령 0.8초간 캠군의 회전을 정지한다. 펌프(3016)내에 발생한 부압에 의해 헤드(3001)의 토출구 및 캡(3006)상측에 설치된 대회복구멍(3006c)에서 잉크가 흡인되고, 그후 캠군의 회전이 재개하여 260°에서는 피스톤(3017)이 상승하고, 340°에서 상사점에 도달하고 나서, (360°+83°)까지 회전하여 상태 ⑧에 도달한다. 이들 스테이지(1001)를 3회 반복하고, 그후(3×360°+245°)의 상태 ⑨에서 캠군은 0.8초간 정지하며, 그 후(4×360°+10°)까지 일정속도로 회전하고, 상태 ⑩에서 헤드(3001)는 우측으로 2㎜ 이동하여 밸브피스톤(3043)이 원위치로 돌아가고, 대회복밸브(3048)는 폐쇄된다. 이 상태를 약 1분간 유지하여 헤드(3001)의 토출구의 잉크고착층을 연화시킨다. 그후 캠군은(4×360°+83°)까지 회전하여 상태 ⑪에 도달한다. 이 상태 ⑧에서 상태⑪까지를 스테이지(Ⅱ)라 부른다.
이 이후의 동작은 소회복동작과 똑같다. 즉, 본예에서는 대회복 동작은 스테이지(Ⅰ)를 3회, 스테이지(Ⅱ)를 1회 행한후에 소회복 동작을 행하는 동작이다.
이상의 소회복 동작 및 대회복 동작등에 있어서의 캠핑은 캐리지(3002)의 소정위치에의 이동에 수반되는 슬라이더(3009)와의 맞닿기에 의해 행해지는데, 해당 맞닿기 상태를 확보하고자, 본 예에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제 20 도 내지 제 22 도는 슬라이더(3009)의 구멍부(3009b)와 캐리지(3002)의 핀부(3002a)의 확대도이고, 이들 가운데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각각 미캡핑 상태의 측면도 및 그 Z-Z선 단면도, 제 22 도 캡핑상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y축은 헤드면에 대하여 평행인 방향이며, 캡면도 이와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캡핑 상태에서도 제 20 도 및 제 21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캐리지(3002)의 닙부(3002a)와 슬라이더(3009)의 구멍부(3009b)는 충분히 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다. 이 상태에서 캐리지(3002)의 동작으로 캡핑을 행할때 캡(3006)과 헤드(3001)가 접합하면 헤드(3001)가 가압되어 도피하려하지만 제 22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때, 닙부(3002a)와 구멍부(3009b)에 맞닿기가 발생하여 헤드(3001)와 캡(3006)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캡핑상태가 유지된다. 이대, 닙부(3002a)와 구멍부(3009b)는 2점(P1, P2)에서 맞닿아 있기 때문에 덜거덕거림이 없이 확실한 캡핑상태가 유지된다.
가령, 제 20 도에 있어서의 y축의방향으로 장치의 덜거덕거림등에 의해 닙(nib) 부(3002a)가 구멍부(3009b)의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빗나가 있더라도 점(P1)축의 슬라이드 구멍부(3009b)의 면에 맞닿고, 캡핑 동작에 따라 캐리지(3002)가 x축의방향으로 밀려가며, 제 22 도 표시의 캡핑상태가 된다. 즉, 닙부가 y축 방향, x축 방향으로 구멍부(3009b)의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가 빗나가 있더라도 결국 항상 제 22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위치에서 캡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2점의 맞닿기인 까닭에 면과 면과의 맞닿기, 또는 구멍과 축과의 끼워맞춤에 의한 경우와는 달리 덜거덕거림이 있더라도 확실한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또, 이상에는 볼록부인 다보부와 캐리지에 오목부인 구멍부를 슬라이더에 설치하였으나 2점의 맞닿기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임의 소망이며, 또, 그것들을 반대로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3]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에 관한 잉크 제트기록장치의 외관사시도이고, 제 24 도는 제 23 도에 도시된 장치의 주요부단면도이다. 또, 제 25 도는 제 23 도에 있어서의 급지 기구부의 부분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4061은 압판이고, 기록용지를 잉크 제트기록장치에 공급하기 위하여 적재된다. 4062는 압판(4061)의 배면부에 부착된 압판 스프링이고, 이 압판스프링(4062)에 의해 압판(4061)은 위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4063은 지폭 규제판으로, 압판(4061)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압판(4061)에 적재된 기록용지의 폭에 따라 그 위치를 규제한다. 4065는 압판(4061)에 적재된 기록용지를 한장씩 분리하는 분리로울러이고, 분리로울러축(4651)에 고정된다. 4652는 원형의 가압로울이고, 분리로울러(4065)양측에 1개씩 설치되고, 분리 로울러축(4651)에 관하여 자유회전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분리로울러축(4651)의 한쪽 단부에는 압판 밀어내리기 캠(4661)이 고정되고, 또, 압판 밀어내리기 캠(4661)에 인접하여 분리로울러 기어(4662)가 회전자재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압판 밀어내리기 캠(4661)과 분리 로울러기어(4662)와의 사이에는 스프링 클러치(4663)가 설치되고, 스프링 클러치(4663)는 그 주위에 설치된 로크링(4664)을 로크클릭(4665)에 의해 로크되었을때 회전력 비전달(오프) 상태가 되고, 로크클릭(4665)이 로크링(4664)에서 해제되어 로크링(4664)이 프리로 되었을때 회전력 전달(온) 상태가 된다. 여기서 로크클릭(4665)은 후기하는 캐리지(4005)의 돌출부와의 동적 접촉에 의해 상기한 로크링(4664)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위치에 있다.
압판(4061)에는 압판밀어내리기 캠(4661)과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캠받이부(4611)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압판 밀어내리기 캠(4661)에 의해 압판(4661)이 밀어내려져 있을때는 기록용지가 분리로울러(4065) 및 가압로울(4652)에서 이격하고, 밀어내리기 캠(4661)이 캠받이부(4611)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압판(4061)이 압판스프링(4062)으로 밀어내려져, 기록용지는 분리로울러(4065)에 압접된다.
또, 압판(4061)에 있어서의 송지방향 하류쪽에는 기록유지를 1매씩 마찰분리하기 위한 분리패드(4066)가 설치되고, 분리 헤드(4066)는 패드스프링(4067)에 의하여 분리로울러(4065) 및 누름풀리(4652)를 향하여 힘이 가해져 있다. 누름풀리(4652)는 로울러축(4651)과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대략 반원의 원호형상을 하고 있고, 또한 분리로울러(4065)의 반경은 누름풀리(4652)의 반경보다 약간 크게 구성한다. 이 결과, 분리패드(4066)는 분리로울러(4085)의 원호범위에서는 이에 압접되며, 그 이외의 범위에서는 누름풀리(4652)에 압접한다.
그리하여 분리로울러(4065)의 직경은 20~30㎜정도이고, 비교적 작게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제 2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판(4061)의 분리로울러(4065)와의 접촉점으로부터 분리패드(4066)의 분리로울러(4065)와의 접촉점까지의 각도(α)가 커지고, 따라서 분리로울러(4065)에 의하여 픽업된 기록용지 선단의 분리패드(4066)에의 돌입각도가 압판(4061)에 상대하여 크게 취할 수 있어서, 패드스프링(4067)에 의한 분류패드압이 작아도 분리성능이 손상되지 않는다. 통상의 분리로울러 직경(40㎜ 정도)에서는 분리패드압이 300g정도 필요하였는데 대하여 소직경(20~30㎜)으로 함으로써 50g 전후에서도 문제없이 분리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지송로울러(4007)에서 기록용지를 보내고 있을때에 누름풀리(4652)와 분리패드(4066)로부터 받는 백 턴션이 작아져서 안정된 종이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누름풀리(4652)와 분리패드(4066)로부터 기록용 종이후단이 벗겨졌을 때에 발생하는 이송량의 변화도 억제할 수 있다.
4007은 상기한 급지기구에 의하여 급지되는 기록지를 다시 기록헤드에 대향하는 기록위치로 반송하는 반송경로상에 설치된 지송로울러이고, 지송로울러(4007)에 대향하여 기록지를 끼우듯이 핀치로울러(4081)가 배설된다. 핀치로울러(4081)는 양단을 핀치로울러 스프링(4082)에 힘이 가해진 핀치로울러 스테이(4008)위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 핀치로울러 스페이(4008)는 스테이지점(408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4009는 종이가이드이고, 급지기구로부터 송입된 기록용지를 지송로울러(4007)와 핀치로울러(4081)에 끼이는 위치까지 안내한다. 4010은 종이 누름판이고, 핀치로울러(4081)로부터 기록용지의 부상을 누른다.
지송로울러(4007)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동되며, 이때 구동력의 전달은 기어등으로 1단으로 행해지고 있고, 모터의 1회전으로 기록 1라인분 지송을 행하는 감속비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지송에 의한 기록화상에 있어서의 기록라인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흰줄, 겹칩등, 화상열화의 원인이 되는 모터 자체 및 모터 기어의 편심성분이 삭제된다. 또, 구동모터로부터 지송로울러(4007)까지는 1단 감속이고, 최소의 전달요소로 구동력 전달을 행하고 있으므로, 여분의 오차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4011은 배면은 히이터를 갖는 열판이고, 후술의 전원부와 협동하여 기록지의 잉크정착을 촉진한다. 열판(4011)의 온도는 40℃~90℃ 의 범위이면 실용상 문제는 없다. 4012는 배지로울러이고, 이에 대향하여 배지 핀치로울러(4013)가 설치되어 있다. 배지핀치로울러(4013)는 박차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기록지의 기록면쪽을 점으로 누르고, 잉크정착의 불완전 기록면이 생긴 경우, 문지름등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배지로울러(4012)의 이송속도는 지송로울러(4007)의 이송속도보다 수% 빠르게하여, 기록지에 텐션을 주어 열판(4011)에의 기록지의 밀착 및 기록위치에서의 기록지의 평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열판(4011)은 기록헤드(4051)의 기록소자보다 기록지 반송경로 하류쪽으로 위치하고, 열판(4011)으로부터의 열을 직접 기록헤드(4051)의 기록소자부에 주지않도록 하고 있다. 또, 종이가이드(4009)와 열판(4011) 사이에는 간극을 설치하여, 캐리지(4005)위에 설치된 반사형의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지폭센서의 의한 검지를 그 간극부위에서 행함으로써 가이드등의 반사에 의한 잘못 검지를 방지한다.
4015는 가이드축이고, 캐리지(4005)는 축(4015)위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며, 캐리지(4005)에는 모터(4016)로부터 벨트(4019)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는 모터(4016)와 동축을 회전지점으로한 텐션플레이트(4017)위에 풀리(4171)가 배설되고, 벨트(4019)에 텐션스프링(4172)에 의하여 일정 장력이 주어져 있다.
또, 캐리지(4005)는 가이드 축(4015)둘레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캐리지(4005)의 자중에 의하여 캐리지(4005)가 갖는 누름부(4054)는 핀치로울러스테이(4008)의 면을 누른다. 누름부(4054)는 슬라이더를 이루어 캐리지(4005)의 이동에 따라 핀치로울러스테이(8)위를 미끄러져 움직인다. 누름부(4054)의 재질은 프론등의 특히 미끄럼 운동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캐리지(4005)는 기록헤드(4051)와 접촉하는 근방에 돌출부(4055)를 가지며, 돌출부(4055)는 기록헤드(4051)의 토출면보다 0.3~0.5㎜정도 앞면으로 돌출하나, 통상의 상태에서는 종이누름판(4010)과 접촉하지 않는다.
4051은 기록헤드이고, 종이이송방향으로 배열된 토출구 및 이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가진다. 기록헤드(4051)가 갖는 凹부와 캐리비(4005)의 구멍이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캐리지에 대한 기록헤드(51)의 위치가 정해진다. 또 캐리지(4005)위에는 고정레버(4052)가 지점(452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고정레버(4052)는 기록헤드(4051)를 캐리지(4005)에 고정할때에 누르는 힘을 발생하는 탄성부를 가지며 레버(4052)가 갖는 고정레버 걸림부와 캐리지(4005)가 갖는 걸림부를 걸어맞춤으로써 고정레버(4052)의 로크를 행하여 기록헤드(4051)를 캐리지(4005)에 고정한다.
또, 캐리지(4005)에는 캐리지(4005)가 이동할때에 종이의 폭 및 종이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지폭센서가 설치된다. 이 지폭센서는 기록헤드(4051)의 토출구의 종이이송방향에 있어서의 최하류에 위치하는 토출구의 근방에 검지위치가 오도록 부착된다.
또한, 캐리지(4005)의 가이드축(4015)위와 걸어맞추는 부분의 근방에는 상기한 급지기구의 로크클릭(4665)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돌출부(4057)가 설치되고, 캐리지 이동경로에 있어서의 기록영역외의 소정위치에서 로크클릭(4665)과 접촉하여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또, 캐리지(4005)는 캡위치 결정핌을 가지며, 비기록시에 캐리지(4005)가 회복장치의 위치에 퇴피하고, 기록헤드(4051)의 기록소자면을 캡할때의 위치결정에 사용된다.
4150은 기록헤드(4051)의 토출구 형식면의 캡핑 및 잉크흡인을 행하는 토출 회복장치이고, 캐리지(4005)의 이동경로에 있어서의 기록영역외의 한쪽에 배설된다.
제 26 도는 토출회복장치의 상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4156은 기록헤드(4051)의 토출구 형식면을 캡핑하는 캡이고, 캡(4156)은 상기한 캐리지(4005)의 위치 결정핀과 걸어맞추는 위치결정레버(4157)를 갖춘다. 4018은 기록헤드(4051)에 공급하는 잉크를 저류하기 위한 잉크카아트리지이고, 캡핑에 의하여 흡인된 배출잉크를 저류하는 배출력 회수부를 갖추고 있다.
4020은 1방향 밸브달린 피스톤(4021)을 사용한 펌프이고, 캡(4156)과 흡인튜우브(4202)를 통하여 연이여 통하고, 또 잉크카아트리지(4018)의 배출액 회수부에 배출액 튜우브(4203)를 통하여 연이어 통한다. 이에 의하여 캡(4158)에서 흡인한 폐잉크는 배출액 회수부로 배출된다.
펌프(4020)의 구동력은 종이이송로울러(4007)의 한끝에 설치된 회복계 기어(4072), 변환캠(4192)등의 전날부를 통하여 피스톤(4201)에 전달된다.
4079는 전원부이고, 자신이 갖는 방열판이 배지 트레이의 바로밑에 오도록 바닥판(1002)위에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비기록시에 캐리지(4005)는 회복장치(4150)의 캡(4156)에 의하여 캡되고, 기록대기 상태에 있다. 호스트 컴퓨터 또는 데이터 전송장치로부터 기록데이타를 받으면, 캐리지(4005)는 이동경로상 회복장치(4150)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로크클릭(4665)을 해제하기 위하여 이동을 개시한다. 로크클릭(4665)이 해제되면, 로크링(4664)이 자유롭게 되어 분리로울러기어(4662)의 회전이 분리로울러축(4065)과 압판 밀어내리기 캠(4661)에 전달가능하게 되어, 모터 구동에 의하여 분리로울러(4065) 및 압판 밀어내리기 캠(4661)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모터의 구동을 개시한 후, 캐리지(4005)는 로크클릭(4665)이 자신의 탄성에 의하여 복귀할 수 있는 위치(로크링(4664)에 걸어맞추는 위치)까지 복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대기한다.
압판 밀어내리기 캠(4661)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압판(4061)은 압판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윗쪽으로 이동하여 분리로울러(4065)에 압접되고, 분리로울러(4065)의 회전에 따라 기록용지가 분리패드(4066)의 위치까지 송입된다. 여기서 기록용지는 잡아당겨져서 분리로울러(4065)와 분리패드(4066)에 의하여 1매만 종이이송로울러(4007)와 핀치로울러(4081)의 위치까지 분리로울러(4651)의 1회전이내에서 송입된다. 로크링(4664)의 클릭이 다시 로크클릭(4665)의 위치까지 오면, 로크링(4664)의 회전이 지지되어 분리로울러(4065)의 회전이 정지한다.
통상, 급지동작은 분리로울러(4065)의 1회전으로 종료하나, 장치의 구성상 종이이송로울러(4007)까지의 길이가 분리로울러(4065)의 둘레길이보다 길게된 경우, 분리로울러(4065)를 복수회 회전시키게 된다. 그 경우, 캐리지(4005)는 로크클릭(4665)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위치에서 최후의 회전이 시작할때가지 대기하고 있게 된다. 급지동작에 있어서, 종이이송로울러(4007)와 분리로울러(4065) 사이에 있는 지단센서에 기록용지의 선단이 검지되면, 그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량만큼 기록용지를 보낸후, 종이이송로울러(4007)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급지 및 기록용지의 머리 돌출이 완료된다.
그후, 캐리지(4005)는 회복장치(4150)쪽으로 복귀한다. 그때, 캐리지(4005)에 설치된 지폭센서에 의하여 지폭 및 종이의 유무를 검지한다. 급지동작이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기록용지의 폭 즉 기록용지의 사이즈를 검출하여, 기록용지외에는 기록하지 않도록 한다. 기록용지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급지불량으로 판단하여, 에러로 되어 정지한다.
이러한 급지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캐리지(4005)에 의한 급지시의 로크클릭(4665)의 걸어맞춤 해제동작을 적어도 2회이상 행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급지가 완료된후, 캐리지(4005)는 기록용지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이에 따라 종이이송로울러(4007)는 기록헤드(4051)의 라인기록마다에 종이이송하면서 기록을 행한다. 이때, 기록헤드(4051)와 기록용지면과의 갭은 핀치로울러스테이(4008)위를 슬라이드하는 캐리지(4005)의 누름부(4054)에 의하여 정해진다. 즉, 핀치로울러스테이(4008)에 핀치로울러(408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이이송로울러(4007)와 핀치로울러(4081)사이에 기록용지가 들어가면, 그만큼 핀치로울로스테이(4008)가 캐리지(4005)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록용지의 두께가 변화하여도 그에따라 핀치로울러스테이(8)가 이동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갭을 유지하게 된다.
기록된 기록지는 잉크정착용의 열판(4011)위를 지나 배출지로울러(4012)와 배출지 핀치로울러(4013)의 사이로 송입된다. 기록용 지후단이 종이이송로울러(4007)와 핀치로울러(4081)사이를 벗어난 후에는 배출지로울러(4012)와 배출지 핀치로울러(4013)로 송지되어 최종 라인분의 기록이 된 후, 배출지트레이(4710)에 송출된다. 이 배지트레이(4710)에 송입된 기록지는 배지트레이(4710)의 바로 밑에 있는 전원부(4079)의 방열판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잉크정착등이 행하여진다.
그런데, 기록용지가 봉투, 엽서등의 두꺼운 종이인 경우, 종이이송로울러(4007)와 핀치로울러(4081)의 사이에서 벗어질때에, 캐리지 돌출부(4055)가 그 종이두께에 의하여 캐리지쪽으로 튀어나온 종이누름판(4010)위를 슬라이드하므로, 직접 기록헤드(4051)의 토출면이 기록용지면을 문지르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기록지 1매에 기록을 완료하고, 이후 똑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제 27 도는 상기한 기록장치(이하, 프린터라고 한다)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중 1100은 이미지 데이타를 수평방향(프린트방향)의 1라인 마다에 송출하는 호스트 컴퓨터 또는 데이타 전송장치이고, 호스트 컴퓨터(데이타 전송장치)(1100)로 부터프린터로 송출되는 각 라인마다의 이미지 데이타는 제어부(1020)로부터의 트리거신호(1160)에 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클록 레이트로 전송된다.
1020는 프린터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이고,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등의 MPU(1021), MPU(1021)의 제어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플로우차아트에 표시한 제어수순, 데이타등을 격납하는 ROM(1022), 워크에리어로서 사용되며, 예컨대 지폭이나 따른 데이타수를 계산한 계수치나, 그 계수치에 따른 수신라인 총수를 계산하여 얻어지는 총수치로 기억하는 영역등을포함한 RAM(1023), 종이이송수나 캐리지 이송 펄스수를 카운터하는 카운트(1024), MPU(1021)에 지시에 대응하여 계시를 행하여 지시된 시간을 계시하면 MPU(1021)에 잡아 넣는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025), 각종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I/O보드(1026)등을 갖는다.
1300은 호스트 컴퓨터(1100)로부터 송출된 이미지 데이타를 적어도 기록헤드의 기록소자수만큼(본 실시예에서는 128라인분)격납하는 이미지 버퍼 메모리이고, 호스트 컴퓨터(데이타전송장치)(1100)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타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하여 순차 이미지 버퍼 메모리(1300)에 격납된다.
1040은 1라인분의 수신하는 이미지 데이타수를 설정할 수 있는 카운터(1041)를 갖추고, 제어부(1020)가 설정한 데이타수를 수신하면 검출신호(1170)를 제어부(1020)에 출력하는 수신회로이다. 또, 이 수신회로(1040)에는 혹도트의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혹도트 판별회로(1042)가 갖추어져 있다.
1050은 이미지 버퍼메모리(1300)로부터 기록헤드(4051)의 기록소자수에 대응하는 라인분(예컨대, 128라인분)의 데이타를 수직방향으로 1렬씩(128도트) 판독하여, 기록헤드(4051)의 기록위치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컴버어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헤드(4051)는 세로방향으로 128개의 토출구를 가지며, 토출구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에너지 발생소자를 구비한 액로(液路)가 줄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주사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 제트방식의 기록헤드이다.
1070은 데이타 컴버어터로부터의 프린트 데이타에 의거하여 기록헤드(4051)의 기록소자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이다. 4016은 기록헤드(4051)를 탑재한 캐리지(4005)를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 상기의 캐리지 모터, 1090은 제어부(1020)로부터의 제어데이타에 따라 캐리지 모터(4016)의 구동을 행하는 캐리지 모터 드라이버이다. 4071은 기록헤드(4051)의 각 기록소자간의 피치와 같은 량의 종이이송을 실행가능한 종이이송모터이고, 1110은 종이이송모터(4071)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이다.
또, 1120은 카세트 피이더용의 카세트 모터이고, 호스트 컴퓨터(데이타 전송장치)(1100)로부터의 지시 또는 후술하는 정보입력부(1140)내의 키이패널(1141)로부터의 지정에 이하여 카세트로부터의 급지가 행하여진다. 1130은 카세트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드라이버이다. 캐리지 모터 (4016)와 종이이송모터(4071) 및 카세트 모터(112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탭핑 모터로 구성된다.
1140은 여러가지 정보를 제어부(1020)로 송출하는 정보입력부이고, 이들의 정보는 검출신호(1180)로서 제어부(1020)에 출력된다. 정보입력부(1140)는 이하의 요소로 구성된다. 즉, 1141는 예컨대 종이의 사이즈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한 키이패널이고, A4나 A5등의 종이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1142는 급지시의 기록용지의 선단위치 결정이나 후단의 검출에 사용되는 종이 END센서이다. 1143은 지폭검출장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상에 탑재되며, 예컨대 이 지폭검출장치에 의하여 급지된 지폭을 검출하여 기록용지이외의 위치에 기록하지 않도록 한다. 1144는 종이 카세트 피이터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카세트 장착 검출부이고, 또, 1145는 카세트내의 종이의 유무를 검출하는 카세트 종이 유무 검출부이다. 또한, 1146은 기록헤드(51)에 기록용의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아트리지내의 잉크의 유무를 검출하는 잉크 유무 검출부이고, 1147은 상기 잉키카아트리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잉크카아트리지 유무 검출부이다. 1149는 잉크 제트기록장치에 특유한 캡기구나 펌프기구의 기준위치를 정하는 펌프홈포지션 검출부이고, 1410은 기록헤드(4051)를 탑재한 캐리지(4005)의 기준위치를 정하는 캐리지 홈포지션 검출부이다. 또, 1141은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검출부이다.
1150은 호스트 컴퓨터(데이타 전송장치)(1100)로부터 지시되는 종이사이즈, 기록명령의 코맨드신호이고, 정보입력부(1140)로부터 뿐만 아니라 호스트 컴퓨터(1100)로부터도 종이사이즈의 지정할 수 있다.
제 28 도는 제 23 도~ 제 27 도에 도시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처리의 플로우차아트이다.
이하, 제 28 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어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S21)에서(이하, S21이라고 약칭한다. 다른 스텝도 같다)정보입력부(1140)의 키이패널(1141)내의 회복키이가 눌려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본처리를 종료하고 다음처리로 진행하고, 눌려진 경우에는 S22로 진행한다. 이 S22에 있어서는 회복동작이 종이이송모터의 역회전에 의하여 행하여지므로, 종이이송모터를 한번 정지할 필요가 있고, 종이이송모터(4071)가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정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정지할때까지 대기한다. 모터(4071)가 정지하면 S23으로 진행하고, 회복동작에 사용되는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카아트리지가 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하고, 아닌 경우에는 S28로 진행하여 잉크카아트리지 잘못없음으로하여 에러처리를 진행한다. 잉크카아트리지 있는 경우에는 S24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회복계의 캡동작은 캐리지의 이동을 이용하여 행하고 있으므로, 캐리지가 홈포지션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캡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따라서 홈포지션에 없을 때에는 S29에서 캐리지 홈포지션에러로 하여 S30의 에러처리로 진행한다. 긍정판단의 경우에 S25로 진행하고, 기록헤드의 잉크토출구 근방이나 토출구내의 증점(增點)된 잉크를 잉크토출구로부터 흡인하기 위한 종이이송모터의 구동펄스수를 제어부(1020)의 카운터(1024)에 설치된 종이이송카운터에 설정하여, 종이이송모터를 역회전으로 구동한다. 다음에 S26에서 종이이송모터가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지할때까지 대기한다.
상기한 일련의 회복동작이 종료하면, S27로 진행하고, 멀티피이터의 스프링 클러치를 급지의 초기상태의 위치로 되돌리는 펄스수를 종이이송카운터에 설치하여, 종이이송모터를 정회전으로 구동한다. 다음에 S31에서 종이이송모터가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식별하여 동작중의 경우에는 정지할때까지 대기하고, 정지하면 본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처리고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잉크 제트기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급지동작의 동력이 되는 모터를 급지동작에 있어서의 회전과 반대방향의 회전으로 기록장치의 다른 요소에 있어서의 동력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고, 따라서 토출불량의 회복계를 갖는 잉크 제트 기록장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4]
제 29 도 및 제 30 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예의 잉크 제트 프린터의 사시도 및 캐리지부를 포함한 측단면도이다.
제 29 도에 있어서, 5000-1, 5001-2, 5001-3 및 5001-4는 지지수단으로서의 캐리지(5002)위에 장착되는 4색분의 헤드이다. 5003은 프레임(5008)에 지지된 캐리지축이고, 이 축상을 캐리지(5002)가 주행한다. 5006은 모터, 5004-1은 캐리지(5002)에 고착된 벨트이고, 풀리(5005-1, 5005-2) 사이에 장가(張架)되어 있다. 5006은 모터, 5004-2는 모터(5006)의 축에 설치한 풀리(5005-3)과 풀리(5005-2) 사이에 장가되어 있는 벨트이고, 모터(5006)의 회전에 따라 벨트(5004-2 및 5004-1)를 통하여 캐리지(5002)가 이동된다. 5009 및 5010은 교환가능한 잉크카아트리지이고, 가요성의 공급관군(5011 및 5011')을 통하여 캐리지(5002)위의 헤드(5001-1~5001-4)로 잉크를 공급하고 있다.
5014는 기록용지, OHP필름등의 기록매체이고, 카세트(5012)내에 장전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구동원으로하여 캐리지축(5003)과 평행으로 배설된 반송로울러쌍(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기록위치에 반송되고, 기록후에 샤시(5020)에 지지된 배출로울러상(5021, 5022)에 의하여 배출된다. 5013은 손에 의한 급지용의 종이 트레이이고, 제 29 도에 있어서는 카세트(5012)로부터 급송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5015는 기록헤드(5001-1~5001-4)에 각각 접촉 가능한 가요성 부재로된 캡(5016-1~5016-4) 및 흡인펌프(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출회복장치, 5015-8은 흡인펌프와 잉크카아트리지(5009, 5010)내에 설치된 폐잉크 수납부로의 조인트 사이에 접속된 배출관이다.
제 30 도에는 종이트레이(5013)위에 기록매체(5014)가 놓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5028은 캐리지(5002)위에 배설되고, 캐리지축(5003)을 중심으로 캐리지(5002)에 작용하는 모우멘트(화살표방향)를 지지하면서 가이드판(5025)위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슬라이더이다.
5026은 기록매체(5014)를 송급하는 급지로울러, 5038은 스프링에 의하여 힘이 가해져 급지로울러(50260에 맞닿고, 기록매체(5014)를 차례로 1매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편, 5029는 기록매체(5014)를 반송하는 반송로울러, 5023 및 5030은 기록매체(5014)의 가이드판, 5024는 기록매체(5014)를 누르는 누름판이다.
가이드판(5025)은 급지로울러(5026)의 축(5027)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축수부를 가지고 접촉로울러(5031)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접촉로울러(5031)는 반송로울러(5029)에 맞닿아 있고, 이 로울러쌍에 의하여 기록매체(5014)가 반송되나, 그들 로울러쌍의 사이에 기록매체(5014)가 반송되어 왔을 때에는 그 두께에 따라 가이드판(5025)이 축(5027)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판(5025)에 맞닿고 있는 슬라이더(5028)를 통하여 캐리지(5002)가 축(500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기록헤드(5001)(제 29 도의 헤드(5001-1~5001-4)를 총괄하여 표시한다)의 토출구는 기록매체(5014)의 두께에 불구하고 피기록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 29 도 또는 제 30 도에 있어서, 5002-A는 캐리지(5002)에 설치한 돌기, 5015-A는 회복장치(5015)에 설치한 구멍이고, 기록헤드(5001) 내지 캐리지(5002)의 캡위치에의 설정시에 돌기(5002-A)의 침입을 수용하여 이와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기록시에는 잉크카아트리지(5009, 5010)의 잉크가 기록헤드(5001-1~500-4)의 각각에 공급되며, 기록정보에 따라 각 토출구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열 변환소장등의 토출에너지 발생체가 구동되어, 토출구로부터 잉크가 방울져서, 토출되며, 이것이 기록매체(5014)의 표면에 부착흡수되어 기록로드가 정착하여 차례로 기록이 행하여진다. 기록의 진전과 더불어 모터(5006)가 회전하여 캐리지(5002)가 주사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위치제어는 필름(5007)에 새겨진 슬릿을 캐리지(5002)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센서로 검지하여 행할 수 있다.
기록헤드(5001-1~5001-4)의 토출구가 잉크로 막히거나 먼지부착으로 토출불량이 생겼을 경우, 캐리지(5002)를 기록헤드(5001)가 토출회복장치(5015)에 대향하는 위치(회복포지션)로 이동시킨다. 이때, 캡(5016-1~5016-4)은 제 29 도 화살표(C')방향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고, 캐리지(5002)의 이동에 지장은 없다. 또, 회복 포지션에 있어서는 캐리지(5002)에 설치된 돌기부(5002-A)와 회복장치(5015)에 설치된 구멍부(5015-A)가 걸어맞추는 위치관계에 있다. 회복포지션에서의 정지종료후 캡(5016-1~5016-4)을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록헤드(5001-1~5001-4)의 토출구를 설치한 면(페이스)에 씌워서 밀폐제를 구성한다. 이상태에서 흡인펌프를 작동시켜 잉크와 함께 불순물이나 먼지에 의한 고착물을 흡인하여 튜우브(5015B)를 통하여 폐잉크를 잉크카아트리지(5009~5010)내의 잉크수납부로 배출한다.
이때, 캡(5016-1~5016-4)의 누르는 힘은 기록헤드(5001-2~5001-4) 및 캐리지(5002)에 대하여 제 30도중의 화살표(F)방향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캐리지(5002)와 토출회복장치(5015)는 돌기부(5002-A)와 구멍부(5015-A)에 의하여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누르는 힘은 그 걸어맞춤부에 의하여 지탱되어 캐리지(5002)의 도피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지(5002)와 기록헤드(5001-, 5001-4)의 보존강성 및 돌기부(5002-A)와 구멍부(5015-A)의 강성만 충분히 유지하고, 끼워 맞춤부의 위치정밀도만 확보해두면, 기타의 부위의 강성 및 정렬도의 향상은 불필요한채 확실한 밀폐에 의한 회복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캐리지축(5003)에는 축둘레의 회전 모우멘트가 작용할 뿐이고, 축의 강성의 향상이 필요없다. 더구나 캐리지의 안내를 종이두께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더(5028)에 의하여 행하고 있기 때문에, 축의 개수도 1개로 삭감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기를 캐리지(5002)쪽에 구멍을 토출회복장치(5015)쪽에 설치하였으나, 이들을 반대로하여도 좋다.
[실시예 5]
제 31 도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 29 도에 대하여 캐리지(5002) 및 회복장치(5015)의 일부를 변경한 것이고, 그 주요부만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 29 도와 동일 또는 동일기능을 가진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5002-A'는 캐리지(5002)위의 돌기부이고, 이것에 걸어맞출수 있도록 회복장치(5015)에는 U자 형상의 홈부(5015A')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와 똑같은 효과가 얻어지는외에 특히 복수의 기록헤드(5001-1, 500-4)를 가지며, 가로 방향으로 폭넓게 구성된 캡(5016-1~5016-40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 걸어맞춤부를 그 중앙에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캡(5016-1~5016-4)의 밀착을 균형있게 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제 32 도는 본 발명의 제 6 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32 도는 제 31 도에 도시한 구성에 대하여 캐리지(5002) 및 회복장치(5015)의 일부를 변경한 것이고, 그 주요부만 도시한 것이다. 또, 제 31 도와 동일 또는 동일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5015-A"는 회복장치(5015)위의 돌기부이고, 이것에 걸어 맞출수 있도록 캐리지(5002)에 U자형상의 홈부(5002-A")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3 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해온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기록헤드를 탑재한 것으로 하였으나, 헤드의 개수를 임의로 바라는대로 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실시예 4와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4와 실시예 6과 같이 조합을 하는등, 걸어맞춤수단을 복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의하면 캡(5016)의 밀폐력이 복수의 걸어맞춤수단으로 지탱되므로, 밀폐상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특히 이것은 상기예와 같이 기록헤드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 상기예에서는 디스보오저불 타입의 잉크카아트리지를 기록헤드와는 별체로 갖추었으나, 양자를 일체적으로 캐리지에 대하여 붙였다 뗏다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기록헤드와 캐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고, 기록헤드 그 자체와 회복장치가 걸어맞추어져서 누르는 힘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예에서는 캡을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하였으나, 기록헤드쪽을 캡에 대하여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캡에 의한 밀폐상태를 얻는데 필요이상의 누르는 힘을 지탱하는 부재를 배설하여 그만큼 헤드와 캐리지의 보존강성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밀폐상태에 있어서 행해지는 토출회복처리는 상기예와 같은 흡인에 의하여 행하는 것외에 예컨대 잉크 공급계를 가압함으로써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 단순히 캡핑 수단만이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캡핑시에 캐리지(5002)의 회동을 지지하는 부재(상기 예에서는 돌기(5002-A)등 및 구멍(5015-A)등)의 구성에 대해서도 적절한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토출회복장치(5015)쪽에 예컨대 솔레노이드등으로 구동되는 진퇴 가능한 돌기를 설치하고, 캐리지(5002)쪽에 이와 걸어맞추는 구멍부를 설치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 그러한 기계적 걸어맞춤을 얻는 구성으로할 뿐만 아니라, 전자석과 자성재, 또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조합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걸어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예에서는 기록매체의 두께에 대응하여 기록헤드 내지 캐리지가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기구를 갖지 않는 장치에 대해서도 매우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상기예에서는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에 대하여 소정방향으로 주사(走査)하면서 기록을 하는 시리얼 타입의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록매체의 전폭에 걸친범위에 토출구를 정렬시켜서 이루어지는 이른바 풀 멀티타입의 기록헤드를 갖춘 장치에 대해서도 그 장치가 캠핑시에 기록헤드를 캡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채용하고 있는 것이면, 본 발명이 유효하게 또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헤드 내지 이것을 탑재한 캐리지의 소정위치로의 이동의 동작에 관련하여 페이스면에 캡핑을 시행하는 기구와, 당해 캡핑상태에 있어서 기록헤드로부터 잉크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회복수단과, 캡핑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될때에는 캡핑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의 내부를 대기에 대하여 개폐하는 수단과, 당해 개폐후에는 기록헤드이동을 위한 모테로의 통전을 단전하는 수단을 구비한 잉크 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 행하여진후에 회복수단을 기동할 때에는 이것에 앞서서 반드시 캡핑이 시행되도록 한것으로 확실한 회복동작이 행하여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기록소자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시리얼 타입의 잉크 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헤드 내지 캐리지드의 동작을 이용함으로써 저렴하고 동작속도가 향상하는 동시에 캐리지 동작에 관련하여 캡의 대기연통구멍의 개폐를 하고 있는 스토퍼의 잉크를 캡에 공급하는 대회복 밸브의 개폐를 행하는 레버를 직접 구동하는 부재로 함으로써 소형으로 신뢰성이 높은 잉크 제트기록장치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정밀도등의 문제에서 덜거덕거림이 존재하여도 확실하게 캡핑 상태가 유지되는 것은 물론이려니와, 더욱이 맞닿는 부가 2점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면과 면의 맞닿음등에 비하여 접동저항이 적어진다.
그 때문에 캐리지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장치의 소형화나 코스트 다운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헤드와 캡핑수단이 대향하는 위치에 걸어맞추부를 가지며, 캡핑에 따라서 기록헤드 탑재부와 캡핑수단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힘을 걸어맞춤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록헤드의 갯수에 불구하고 강성의 향상이나 정밀도의 향상을 필요 최소한의 부재로 억제하고, 확실한 밀폐를 실현하여 신뢰성이 높은 회복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구동원으로서 겸용하는 토출불량의 회복장치등의 요소에 있어서, 소정동작을 종료한 후,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급지동작의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이 결과, 급지 잘못이나 급지불량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급지용의 클러치를 정확도가 좋게 제작할 필요가 없게되고, 값산 클러치가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 급지부의 부하의 편차가 있어도 항상 안정이 되고 급지를 행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9)
- 기록용 액체의 토출구를 가지는 기록헤드(2001, 3001, 5001-1, 5001-2, 5001-3, 5001-4)로 기록매체에 대하여 소정방향으로 주사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를 주사영역이외의 제 1 위치에 설정하고 여기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영역에서 더 떨어진 제 2 위치에서 기록하도록 주사하는 설정수단,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상기 기록헤드(2001, 3001, 5001-1, 5001-2, 5001-3, 5001-4)의 표면을 덮도록한 것이 가능하며, 일부에 대기 연통부를 가지는 캡부재, 이 캡부재를 유지하며, 상기 주사영역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의 상기 기록헤드(2001, 3001, 5001-1, 5001-2, 5001-3, 5001-4)의 설정동작에 관련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를 포함한 범위에서는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상기 기록헤드의 표면을 상기 캡부재(2006, 3006, 5016, 5016-1, 5016-2, 5016-3, 5016-4)가 덮도록 한 전동부재, 상기 토출구를 가지는 상기 기록헤드의 표면 및 상기 면을 덮는 상기 캡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고, 또한 이 공간내에 잉크 공급원으로부터 잉크를 도입하는압력을 작용시키는 제 2 방향으로의 유체 경로를 전환시키는 밸브 수단,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상기 대기 연통부를 폐쇄하여 당해 폐쇄상태를 유지한 그대로 상기 기록헤드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폐쇄부재로서, 상기 기록헤드의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밸브수단의 밸브 작동체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유체 경로가 전환되는 부위에 가세하는 폐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캡부재에 의해서 상기 기록헤드의 상기 표면이 덮여질때 외부에서 상기 캡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을 개방 및 페쇄하는 개방/폐쇄수단, 그리고 상기 기록헤드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기록헤드를 주사하는 구동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폐쇄부재가 열리고 닫힌후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차단하고, 그리고 상기 폐쇄부재가 열리고 닫힌후 상기 토출회복 과정을 이행하기전에 상기 기록헤드를 소정위치에 재설정하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회복수단은 상기 기록헤드의 상기 표면이 상기 캡부재에 의해서 덮혀진 때 상기 토출개구로부터 기록액을 흡인함으로써 토출회복과정을 이행하는 흡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회복수단은 기록액을 캡 및 상기 기록헤드로 형성된 공간내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토출구멍으로부터 상기 기록액을 세게토출해서 토출회복 과정을 이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재의 메키니즘은 상기 캡부재를 미끌어지도록 하는 캠매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폐쇄수단의 개방 및 폐쇄는 상기 기록헤드가 기록을 하기 위해서 주사하는 범위밖의 위치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열에너지를 이용해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기록액을 토출해서 상을 형성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는 대기연통부를 가진 캡부재의 일부분이 폐쇄된때 기록액을 상기 캡부재에 토출하고 흡인수단으로 상기 토출구로부터 기록액을 흡인해서 기록액을 상기 캡부재에 도입시킬 수 있는 거대회복모드와 상기 토출구표면이 상기 캡부재로 덮혀지고 대기연통부를 가진 상기 캡부재의 일부분이 폐쇄된때 상기 흡인수단에 의해서 오직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기록액의 흡인이 행해질 수 있는 소회복모드에서 작동가능하고 상기 거대회복모드 및 소회복모드는 기록용 기록헤드의 조사범위가 아닌 범위에서 상기 기록헤드의 설정위치에 기초해서 행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표면이 상기 캡부재로 덮혀지고 대기연통부를 가진 상기 캡부재의 일부분이 개방된 때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캡부재로 기록액이 토출가능한 유휴토출모드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254217 | 1988-10-07 | ||
JP63-254207 | 1988-10-07 | ||
JP63-254206 | 1988-10-07 | ||
JP63254206A JPH0299335A (ja) | 1988-10-07 | 1988-10-07 | 液体噴射記録装置 |
JP63254217A JPH0299363A (ja) | 1988-10-07 | 1988-10-07 | 記録装置 |
JP63-254225 | 1988-10-07 | ||
JP25420788A JP2825241B2 (ja) | 1988-10-07 | 1988-10-07 | 液体噴射記録装置 |
JP25422588A JP2774529B2 (ja) | 1988-10-07 | 1988-10-07 | 液体噴射記録装置 |
JP63328024A JP2774538B2 (ja) | 1988-12-27 | 1988-12-27 | 液体噴射記録装置 |
JP63-328024 | 1988-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6134A KR900006134A (ko) | 1990-05-07 |
KR940010881B1 true KR940010881B1 (ko) | 1994-11-19 |
Family
ID=2753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4443A KR940010881B1 (ko) | 1988-10-07 | 1989-10-07 | 기록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138343A (ko) |
EP (2) | EP0597505B1 (ko) |
KR (1) | KR940010881B1 (ko) |
DE (2) | DE68927790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6978B2 (ja) | 1988-10-07 | 2000-03-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JP3175769B2 (ja) * | 1989-08-29 | 2001-06-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記録装置に用いるインクカートリッジ |
DE4000416C2 (de) * | 1990-01-09 | 1993-12-02 | Siemens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Betriebssicherstellung einer Tintendruckeinrichtung |
EP0442470B1 (en) | 1990-02-13 | 1997-11-19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ATE140426T1 (de) * | 1990-09-19 | 1996-08-15 | Canon Kk | Rückgewinnungsvorrichtung für ein farbstrahlaufzeichnungsgerät |
EP0480302B1 (en) * | 1990-10-03 | 1996-05-01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JP2872431B2 (ja) * | 1991-04-22 | 1999-03-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EP0526209B1 (en) * | 1991-07-31 | 1997-11-05 | Canon Kabushiki Kaisha |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for recording apparatus |
US5982400A (en) * | 1991-08-22 | 1999-11-09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US5486854A (en) * | 1991-09-11 | 1996-01-23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EP0536983B1 (en) * | 1991-10-09 | 1997-01-02 | Canon Kabushiki Kaisha | Delivery member and apparatus for making use of the same |
DE69228220T2 (de) * | 1991-10-31 | 1999-07-08 | Canon K.K., Tokio/Tokyo | Rückgewinnungsvorrichtung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mit einer solchen Rückgewinnungsvorrichtung |
EP0556011B1 (en) * | 1992-02-10 | 2000-07-05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JP3110151B2 (ja) * | 1992-04-14 | 2000-11-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2978328B2 (ja) * | 1992-05-11 | 1999-11-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回復方法 |
JP3159225B2 (ja) * | 1992-06-26 | 2001-04-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3083409B2 (ja) * | 1992-07-24 | 2000-09-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記録装置の回復方法 |
US5648807A (en) * | 1992-09-10 | 1997-07-15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an antismear sheet deformation discharge system |
US5455609A (en) * | 1992-09-30 | 1995-10-03 | Hewlett-Packard Company | Printhead servicing station for printers |
JPH06134998A (ja) * | 1992-10-22 | 1994-05-17 | Canon Inc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US5404158A (en) * | 1992-11-12 | 1995-04-04 | Xerox Corporation | Ink jet printer maintenance system |
US5325111A (en) * | 1992-12-28 | 1994-06-28 | Xerox Corporation | Removing waste ink from capping station |
EP0609863B1 (en) * | 1993-02-02 | 1998-05-13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jet recording apparatus |
JP3233175B2 (ja) * | 1993-03-11 | 2001-11-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
US6206497B1 (en) | 1993-09-10 | 2001-03-27 | Canon Kabushiki Kaisha | Liquid ejecting apparatus with variable wiping of a liquid ejection head |
JPH07223324A (ja) * | 1993-12-13 | 1995-08-22 | Canon Inc | インク再充填機構、インク充填装置及びインク再充填方法 |
US5793399A (en) * | 1993-12-27 | 1998-08-11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supplying apparatus |
US5614930A (en) * | 1994-03-25 | 1997-03-25 | Hewlett-Packard Company | Orthogonal rotary wiping system for inkjet printheads |
JP3530621B2 (ja) * | 1994-04-08 | 2004-05-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回復装置及び該回復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US5659341A (en) * | 1994-04-26 | 1997-08-19 | Hewlett-Packard Company | Adjustable position reference lever for a wiper assembly in an ink-jet printer |
US5847736A (en) * | 1994-05-17 | 1998-12-08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 jet recorder and recording head cleaning method |
EP0696506B1 (en) * | 1994-08-12 | 2002-03-13 |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 Positioning of service station sled using motor driven CAm |
EP0696505B1 (en) * | 1994-08-12 | 2001-12-05 |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 Cap alignment and wiper positioning for ink jet printer service |
US5559538A (en) * | 1994-08-12 | 1996-09-24 | Hewlett-Packard Company | Positioning of service station and paper pick pressure plate using single motor |
US5805180A (en) * | 1994-08-26 | 1998-09-08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hich performs suction recovery with a cap and method for same |
US5694157A (en) * | 1994-10-28 | 1997-12-02 | Hewlett-Packard Company | Multiple wiper servicing system for inkjet printheads |
JPH08118670A (ja) * | 1994-10-28 | 1996-05-14 | Oki Data:Kk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3308752B2 (ja) * | 1995-02-21 | 2002-07-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US6042216A (en) * | 1997-03-04 | 2000-03-28 | Hewlett-Packard Company | Replaceable printhead servicing module with multiple functions (wipe/cap/spit/prime) |
US5757395A (en) * | 1995-09-25 | 1998-05-26 | Hewlett-Packard Company | Color capable single-cartridge inkjet service station |
JPH09136437A (ja) * | 1995-11-16 | 1997-05-27 | Fuji Xerox Co Ltd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と記録ヘッドのインク回復方法 |
JP3227363B2 (ja) * | 1995-11-20 | 2001-11-1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
JP3754737B2 (ja) | 1996-01-10 | 2006-03-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H09263341A (ja) * | 1996-03-26 | 1997-10-07 | Canon Inc |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
US6007178A (en) * | 1996-08-23 | 1999-12-28 | Pitney Bowes Inc. | Drive gear system using a single motor for a priming operation and driving a platen in a postage meter |
JP3521647B2 (ja) * | 1996-09-04 | 2004-04-1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印字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機構 |
JPH10151732A (ja) * | 1996-11-21 | 1998-06-09 | Brother Ind Ltd | インクジェット式印字装置 |
US6183060B1 (en) * | 1997-07-18 | 2001-02-06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er |
CH691766A5 (fr) * | 1997-10-02 | 2001-10-15 | Olivetti Lexikon Spa | Imprimante à jet d'encre avec station de maintenance. |
EP0913264A3 (en) * | 1997-10-28 | 1999-07-21 | Hewlett-Packard Company | Inkjet printhead service station |
US6609780B2 (en) * | 2001-07-06 | 2003-08-26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jet printer having a mechanism for driving wiper and purge pump |
JP3739716B2 (ja) * | 2002-03-22 | 2006-01-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印字ヘッドメンテナンス機構 |
WO2003084209A1 (en) * | 2002-03-28 | 2003-10-09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Printing device |
JP4378299B2 (ja) * | 2004-02-20 | 2009-12-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US7694950B2 (en) | 2005-03-30 | 2010-04-13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Sheet feed devic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such sheet feed device |
US7530664B2 (en) * | 2005-09-29 | 2009-05-12 | Seiko Epson Corporation | Maintenance device for liquid-ejecting apparatus and liquid-ejecting apparatus |
CA2619862C (en) * | 2005-10-10 | 2011-09-20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Method of maintaining a printhead using air blast cleaning |
US7703882B2 (en) | 2005-10-11 | 2010-04-27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Method of purging using purging ink and printing using printing ink from an inkjet printhead |
US7413281B2 (en) | 2005-10-11 | 2008-08-19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Capper for a printhead maintenance station |
US7401888B2 (en) | 2005-10-11 | 2008-07-22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Method of maintaining a printhead using maintenance station configured for air blast cleaning |
US7506952B2 (en) | 2005-10-11 | 2009-03-24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Method of removing particulates from a printhead using film transfer |
US7401887B2 (en) | 2005-10-11 | 2008-07-22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Method of maintaining a printhead using air blast cleaning |
US7387358B2 (en) | 2005-10-11 | 2008-06-17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Printhead maintenance assembly configured for air blast cleaning |
US7384119B2 (en) | 2005-10-11 | 2008-06-10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Printhead maintenance station configured for air blast cleaning of printhead |
JP4872336B2 (ja) | 2005-12-19 | 2012-02-0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5483910B2 (ja) * | 2009-03-10 | 2014-05-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5566067B2 (ja) * | 2009-09-11 | 2014-08-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JP6881992B2 (ja) * | 2017-01-31 | 2021-06-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50029A (en) * | 1976-06-07 | 1977-12-13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Ink jet recording device |
US4311399A (en) * | 1977-02-09 | 1982-01-19 | Syco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d varying margins and line spacing on data printers |
DE2742634A1 (de) * | 1977-09-22 | 1979-04-05 | Olympia Werke Ag | Ein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s schreibkopfes |
DE2912926A1 (de) * | 1979-03-31 | 1980-10-16 | Olympia Werke Ag | Abdeckvorrichtung von duesenaustrittsoeffnungen eines spritzkopfes in tintenspritz-schreibwerken |
JPS55156071A (en) * | 1979-05-23 | 1980-12-04 | Seiko Epson Corp | Mechanism for preventing clogging in ink jet head |
DE3040055A1 (de) * | 1979-10-23 | 1981-05-14 | Canon K.K., Tokyo | Tintenstrahlschreiber |
JPS5882777A (ja) * | 1981-11-11 | 1983-05-18 | Ricoh Co Ltd | プリンタにおけるオ−トシ−トフイ−ダ−駆動装置 |
JPS58194568A (ja) * | 1982-05-11 | 1983-11-12 | Canon Inc | 吸引回複装置 |
JPS5933155A (ja) * | 1982-08-19 | 1984-02-22 | Sanyo Electric Co Ltd |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の目詰まり防止方法 |
JPS59145157A (ja) * | 1983-02-08 | 1984-08-20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インクジエツト記録ヘツドの保護方法 |
JPS60151054A (ja) * | 1984-01-19 | 1985-08-08 | Canon Inc | キヤツピング装置 |
JPH089231B2 (ja) * | 1984-01-31 | 1996-01-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吐出回復方法 |
JPS61188156A (ja) * | 1985-02-15 | 1986-08-21 | Ricoh Co Ltd |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のキヤツプ装置 |
DE3522799A1 (de) * | 1985-06-26 | 1987-01-08 | Philips Patentverwaltung | Abdeckeinrichtung zum schutz des duesenbereichs eines tintenstrahlschreibkopfes |
JPH0317066Y2 (ko) * | 1986-03-31 | 1991-04-11 | ||
JP2584440B2 (ja) * | 1986-05-12 | 1997-02-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
JPS6381048A (ja) * | 1986-09-25 | 1988-04-11 | Alps Electric Co Ltd |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のキヤツプ機構 |
JPH0825283B2 (ja) * | 1986-12-25 | 1996-03-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装置の回復方法 |
JP2711846B2 (ja) * | 1987-03-13 | 1998-02-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操作方法 |
JPS63230349A (ja) * | 1987-03-20 | 1988-09-26 | Hitachi Ltd | インク吐出回復装置 |
JPS6422738A (en) * | 1987-07-20 | 1989-01-25 | Alps Electric Co Ltd | Automatic paper sheet feeding device |
-
1989
- 1989-10-07 KR KR1019890014443A patent/KR94001088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09 DE DE68927790T patent/DE68927790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0-09 EP EP93119236A patent/EP059750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09 EP EP89118725A patent/EP036289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09 DE DE68928597T patent/DE6892859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
- 1991-06-26 US US07/719,700 patent/US513834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362897A2 (en) | 1990-04-11 |
EP0597505A1 (en) | 1994-05-18 |
DE68927790T2 (de) | 1997-07-10 |
EP0597505B1 (en) | 1998-03-04 |
EP0362897A3 (en) | 1991-09-11 |
KR900006134A (ko) | 1990-05-07 |
DE68928597T2 (de) | 1998-07-16 |
EP0362897B1 (en) | 1997-02-26 |
DE68928597D1 (de) | 1998-04-09 |
DE68927790D1 (de) | 1997-04-03 |
US5138343A (en) | 1992-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10881B1 (ko) | 기록장치 | |
JP3710013B2 (ja) | カラー可能単一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 | |
US6341844B1 (en) | Apparatus using overlaid flexible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relatively moveable parts | |
US652392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152270B2 (en) | Inkjet recording apparatus | |
KR100413990B1 (ko) | 잉크 제트 기록 장치 | |
EP0916508B1 (e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US6318835B2 (en) | Ink-jet printer with maintenance mechanism | |
US6286931B1 (e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US739308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H08112913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供給機構 | |
JPH0521745B2 (ko) | ||
JP3005958B2 (ja) | 液体吐出装置の回復方法 | |
JP3871946B2 (ja)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 |
JP2004090550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該記録装置のクリーニング機構部 | |
JP2825241B2 (ja) | 液体噴射記録装置 | |
US8403383B2 (en) | Print unit latch | |
JPH10250088A (ja)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回復装置 | |
US6854838B2 (en) | Ink jet printer | |
JP4920903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2774529B2 (ja) | 液体噴射記録装置 | |
JPH11138831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回復系 | |
JPH03183556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H02102065A (ja) | インクジェット装置 | |
JP2675908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