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98B1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2898B1 KR940002898B1 KR1019890004703A KR890004703A KR940002898B1 KR 940002898 B1 KR940002898 B1 KR 940002898B1 KR 1019890004703 A KR1019890004703 A KR 1019890004703A KR 890004703 A KR890004703 A KR 890004703A KR 940002898 B1 KR940002898 B1 KR 940002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ircuit board
- contacts
- fixing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콘넥터의 제1실시예인데, 한쌍의 콘넥터가 각각의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서로 끼워 맞추어 있는 단면도.1 is a first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ir of connectors are provided on each circuit board and are fitted together.
제2도는, 제1도에 있는 한쌍의 콘넥터의 일부 시그널용 콘텍트와, 이 콘넥터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분리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signal contacts of the pair of connectors shown in FIG. 1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nnectors are provided.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콘넥터의 제2실시예인데, 한쌍의 콘넥터가 각각의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서로 끼워 맞추어 있는 단면도.3 is a second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ir of connectors are provided on each circuit board and are fitted together.
제4도는, 제3도에 있는 한쌍의 콘넥터의 일부 시그널용 콘텍트와, 이 콘넥터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분리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signal contacts of the pair of connectors shown in FIG. 3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nnectors are provided.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콘넥터의 제3실시예인데, 한쌍의 콘넥터가 각각의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서로 끼워 맞추어 있는 단면도.5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ir of connectors are provided on each circuit board and are fitted together.
제6도는, 제5도에 있는 한쌍의 콘넥터의 일부 시그널용 콘텍트 및 일부 그라운드용 콘넥터와, 이 콘넥터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분리 사시도.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signal contacts and some ground connectors of the pair of connectors shown in FIG. 5,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nnectors are installed.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콘넥터의 제4실시예인데, 한쌍의 콘넥터가 각각의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서로 끼워 맞추어 있는 단면도.7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ir of connectors are provided on each circuit board and are fitted togeth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20,21,30,31,40,41 : 하우징10,11,20,21,30,31,40,41: housing
12,13,22,23,32,33,42,43 : 시그널용 콘텍트12,13,22,23,32,33,42,43: Signal contact
16,26,36,46 : 시그널용 접합부 17,27,37,47 : 고정용 접합부16,26,36,46:
50,51,60,61,70,71,80,81 : 회로기판50, 51, 60, 61, 70, 71, 80, 81: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전기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허 인쇄 회로기판 설치용으로서 적합한 다극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and to multipole connectors suitable for mounting a patented printed circuit board.
최근 전자 시스템의 설치 밀도의 증가를 요구하는 바에 따라, 전기 콘넥터를 포함하는 전기부품을 인쇄 회로기판에 직접 설치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통상, 부품의 설치에 이용되는 수단은 납땜 접합이다. 그러나, 회로기판에 설치된 콘넥터는,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을 사용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그 콘넥터의 콘텍트의 회로기판에 대한 접착 강도가 현저하게 낮다. 또한, 별도의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상대 콘넥터에 대한 끼우고 빼어내기 조작시에 있어서의 콘텍트의 흔들림이 납땜 접합부(전기적 접합부)에 큰 응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납땜 접합부에 파단이나 크랙등의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In recent years, as the installation density of electronic systems is demanded, there is a need to directly install an electric component including an electrical connector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ually, the means us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nent is a solder joint. However, the connector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has a significantly lower adhesive strength to the circuit board of the contact of the connector than that provided using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ircuit board. In addition, shaking of the contact during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mating connector provided on a separate circuit board generates a large stress on the solder joint (electric joint). As a result, defects such as breakage and cracks are caused in the solder joints.
그러나, 종래, 상술한 설치 기술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제안 내지 교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conventionally, a means for effectively and simply 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technique has not been proposed or taugh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회로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합부외에, 이 기판에 대한 고정용 접합부를 콘텍트에 설치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effectively and simply by providing a fixing bonding portion for the substrate in addition to the electrical bonding portion for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넥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장진되어 있는 콘텍트를 포함하는 전기 콘넥터를 대상으로 한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rected to a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 housing and a contact embedded in the housing.
이 콘넥터에 있어서의 시그널용 콘텍트는,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하는 콘텍트부와, 이 콘텍트부에 연속하여 상기 하우징 밖으로 연출하는 다리부의 선단 근방에,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시그널용 접합부와, 이 접합부와 상기 콘텍트부의 사이에 있는 상기 다리부에, 상기 회로기판에 납땜하는 고정용 접합부를 갖는다.The signal contact in this connector includes a contact portion located in the housing, a signal joining portion soldered to a circuit board in the vicinity of the distal end of the leg portion extending out of the housing in succession to the contact portion, the joining portion, and the The leg por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has a fixing joint portion for soldering to the circuit board.
또한, 이 콘넥터에 있는 상기 고정용 접합부가, 서로 직렬 방향으로 대향하고 또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콘텍트군에 있어서 하나 걸러의 콘텍트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용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콘텍트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groups in which the fixing joints in the connector face each other in series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ontacts are provided at every other contact, and the fixing joints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they may shift mutually.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넥터에 있어서의 그라운드용 콘텍트는, 상기 시그널용 콘텍트에 대신하여, 콘텍트부와 연속하여 상기 하우징 밖으로 연출하는 다리부에, 상기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그라운드겸 고정용접합부를 갖는다.In addition, the ground contact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round and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in the leg portion extending out of the housing in succession with the contact portion instead of the signal contact. It has a fixed welding part.
또한, 본 콘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그라운드겸 고정용 접합부는, 인접한 복수의 상기 그라운드용 콘텍트의 상기 다리부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ground part and the joining part for fixation in this connector ar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said leg part of the several adjacent ground contac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시그널용 콘텍트 및 상기 그라운드용 콘텍트중,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콘텍트에만 상기 고정용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시그널용 콘텍트 및 상기 그라운드용 콘텍트의 양쪽에 상기 고정용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들면, 상기 시그널용 콘텍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그라운드용 콘텍트에도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 또는 금지 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sired purpose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the fixing junction only in the contac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mong the signal contact and the ground contact, in which case the signal contact and The fixing junction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contact, for example, even when provided in the signal contact, it is not excluded or prevented from being provided in the ground contact.
본 발명의 콘넥터에 의하면, 시그널용 콘텍트의 시그널용 접합부가 위치하는 다리부에 고정용 접합부가, 및/또는 그라운드용 콘텍트의 다리부에 그라운드겸 고정용 접합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각 접합부를 통하여 회로기판에 납땜 접합되나, 이와같이 각각의 회로기판에 납땜 접합되어 있는 한쌍의 콘넥터가 끼워지고 빼어낼때, 상기 다리부가 흔들리고, 상기 시그널용 접합부에 파단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leg portion where the signal bonding portion of the signal contact is located, and / or the ground portion and the bonding portion is formed with the leg portion of the ground contact. Therefore, when a pair of connectors soldered to each circuit board through each joint part is inserted and pulled out in this manner, the leg part is shaken and the breaking force is directly applied to the signal joint part. none.
[실시예]EXAMPLE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한쌍의 하우징(10,11)에는, 서로 접촉하는 시그널용 콘텍트(12,13)가 장진되어 있다. 하우징(10,11)은 인쇄회로기판(50,51)과의 대향면으로 부터 스프링성 클립(14,15)이 돌출하고, 이로 부터 각각 회로기판(50,51)에 설치된 걸림구멍(도시되지 않음)에 걸려 들어감으로써, 회로기판(50,51)에 유지되어 있다. 콘텍트(12,13)는, 전도성 금속으로 제작되어 있고, 각각의 하우징(10,11)내에 위치하는 콘텍트부(12a,13a)와, 각각에 연속하여 하우징(10,11)밖으로 연출함과 동시에 이 콘텍트부로 교차하는 바깥 방향으로 굴곡하는 다리부(12b,13b)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선단 근방에, 각각의 회로기판(50,51)측으로 원호상으로 만곡하는 시그널용 접합부(16)를 갖는다.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a pair of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콘텍트(12)는, 이것이 소요 갯수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콘텍트군에 있어서, 그 병렬방향으로 1개 걸러 위치하는 것의 다리부(12b)의 기부에는, 회로기판(50)측으로 굴곡하는 고정용 접합부(17)를 갖는다. 이들 콘텍트군은, 제2도 상에서, 개개의 콘텍트가 좌우측으로 직렬위치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고정용 접합부(17)를 갖는 콘텍트(12)는, 좌우측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회로기판(50)에는, 시그널용 접합부(16) 및 고정용 접합부(17)의 배열에 대응하여 납땜 페이스트의 도포로 패드(pad)부 (52,53)가 설치되어 있다. 각 패드부(52,53)에는, 예를들면, 증기상법에 의하여, 시그널용 접합부(16) 및 고정용 접합부(17)가 납땜 접합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콘텍트(13)의 고정용 접합부(17)의 배열 및 회로기판(51)의 패드부의 배열등도 콘텍트(12) 및 회로기판(50)의 경우와 전적으로 동일하다.As shown in FIG. 2, in the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콘넥터와는, 콘텍트의 고정용 접합부의 형상만이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콘텍트(22,23)의 고정용 접합부(27)는, 다리부(22b,23b)의 기부의 양측 가장자리로 부터의 분기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21), 콘텍트부(22a,23a), 시그널용 접합부(26), 회로기판(60,61)의 패드부(62,63)등에 대하여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와 동일하다.3 and 4 show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shape of the join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tact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at is, the fixing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그라운드용 콘텍트에 고정용 접합부를 갖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접촉하는 그라운드용 콘텍트(38,39)를 갖는다. 이들 콘텍트(38,39)는, 콘텍트부(38a,39a)와, 각각 연속하여 하우징(30,31) 밖으로 연출함과 동시에 이 콘텍트부로 교차하는 바깥 방향으로 굴곡하는 다리부(38b,39b)는, 각각 인접하는 것끼리 연접하여 고정용 접합부(37)를 형성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용 접합부(37)를 갖는 2개의 콘텍트(38)는, 좌우측으로 직렬 배치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한편, 회로기판(70)의 패드부(73)는, 이들 대향하는 2개의 고정용 접합부(37)의 공용 패드부(73)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0,31), 시그널용 콘텍트부(32,33), 시그널용 다리부(32b,33b), 시그널용 접합부(36), 회로기판(70)의 패드부(72)등에 대하여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5 and 6, there is shown a third embodiment having a fixing junction in the ground contact. In this embodiment, the
제7도에 있어서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콘넥터와 하우징 및 콘텍트의 형상 내지 구조만이 다른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우징 및 콘텍트의 형상 내지 구조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나, 본 실시예의 콘넥터는, 회로기판(80,81) 사이의 간격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하우징(40,41), 콘텍트(42,43)를 갖고 있다. 콘텍트(42,43)가 시그널용 접합부(46)외에, 고정용 접합부(47)를 갖고 있는 점, 이들이 접합하기 위한 패드부(82,83)를 갖고 있는 점등에 관하여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FIG. 7 shows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shapes and structures of the connectors, the housing, and the contacts shown in FIGS. 1 to 6 diff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housing and the contact are not particularly problematic,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ut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ousing which can make the gap between the
본 발명의 콘넥터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is invention,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콘넥터의 회로기판에의 설치에 있어서, 시그널용 콘텍트에는 그 회로기판에 대한 시그널용 접합부 외에, 마찬가지로 그 회로기판에 대한 고정용 접합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과의 강한 결합력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높은 신뢰성을 얻으며, 한 쌍의 콘넥터의 끼우고 빼어낼 때에 콘텍트가 흔들리고, 접합부에 파단이나 크랙의 불량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고정용 접합부가, 서로 직렬방향으로 대향하여 또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콘텍트군에 있어서는 1개 걸러 콘텍트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용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콘텍트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고정용 접합부가, 콘넥터의 극수의 1/2만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신뢰성등을 일층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텍트가 비교적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인접하는 상기 콘텍트의 상기 고정용 접합부 사이에 있어서 가교를 이루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In the installation of a connector on a circuit board, the signal contact has a fixing junction to the circuit board as well as a signal junction to the circuit board,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y the strong bonding force with the circuit board is high. Reliability is achieved, and the contacts shake when the pair of connectors are inserted and removed, and there is no fear of breakage or cracking at the joints. Moreover, in the 1st and 2nd contact group in which the said joining part is mutually arranged in parallel and mutually parallel, it is provided in every other contact, and the contact in which the said joining part is provided is mutually mutually. By displacing the fixing joint, only half of the number of poles of the connector is present, so that the reliability and the like can be further ensured, and even if the contact is relatively densely arranged, Crosslinking can be avoided between the fixing joints.
또한, 콘넥터의 회로기판에의 설치에 있어서, 그라운드용 콘텍트에는 그 회로기판에 대한 그라운드 겸 고정용 접합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강한 결합력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높은 신뢰성을 획득하며, 한 쌍의 콘넥터를 끼우고 빼어 낼 때에, 콘텍트가 흔들리고, 접합부에 파단이나 크랙등의 불량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겸 고정용 접합부가,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그라운드용 콘텍트의 다리부가 연결됨으로써 설치되므로, 접합부를 접합하는 상기 회로기판에 있는 패드부의 면적을 비교적 크게 하여, 상기 신뢰성등을 한층 확실히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or on the circuit board, the ground contact has a ground-and-fixed joint to the circuit boar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by the strong coupling force acquires high reliability, and a pair When the connector is plugged in and pulled out, the contact is shaken and there is no fear of breaking or cracking at the joint. In addition, since the ground and fixing joints are provided by connecting leg portions of a plurality of adjacent ground contacts, the area of the pad portion in the circuit board joining the joints is made relatively large to further ensure the reliability and the like. Can be.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105357 | 1988-04-26 | ||
JP63105357A JP2891707B2 (en) | 1988-04-26 | 1988-04-26 | Electrical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6708A KR890016708A (en) | 1989-11-29 |
KR940002898B1 true KR940002898B1 (en) | 1994-04-06 |
Family
ID=1440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04703A KR940002898B1 (en) | 1988-04-26 | 1989-04-10 | Electric connec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891707B2 (en) |
KR (1) | KR94000289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76063B2 (en) * | 1990-06-11 | 1997-11-12 |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 connector |
JP2559104Y2 (en) * | 1990-07-05 | 1998-01-14 | 株式会社東芝 | Surface mount connector |
JP4806499B2 (en) * | 2001-09-13 | 2011-11-02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TWM284091U (en) * | 2005-04-21 | 2005-12-21 | Molex Taiwan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5818016B2 (en) * | 2012-05-17 | 2015-11-18 | 第一精工株式会社 | Connec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01266U (en) * | 1985-12-13 | 1987-06-27 | ||
JPS6353869A (en) * | 1986-08-22 | 1988-03-0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Surface mount connector |
-
1988
- 1988-04-26 JP JP63105357A patent/JP289170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
- 1989-04-10 KR KR1019890004703A patent/KR94000289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1276572A (en) | 1989-11-07 |
KR890016708A (en) | 1989-11-29 |
JP2891707B2 (en) | 1999-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2829A (en) | Surface mount socket for dual in-line package | |
KR100344866B1 (en) |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s | |
US4649461A (en) | Grounding construction for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 |
KR930006690Y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9990045524A (en) | Assembly of removable cover a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 |
KR0112825Y1 (en) |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 |
KR940002898B1 (en) | Electric connector | |
JP2000331734A (en) | Manufacture of surface mounting type connector and circuit device | |
GB2391115A (en) | Printed circuit board with track formed by conductive tape | |
JP2672661B2 (en) | PCB mounted connector | |
JPS61216278A (en) | Conductive plate integrated with plug-in coupling member | |
JPH0635384Y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H051911Y2 (en) | ||
JPH0562742A (en) | Connector for board | |
JPH0521316B2 (en) | ||
JPH09245859A (en) |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 |
JPH0935784A (en) | Contact | |
JP3569843B2 (en) | Surface mount connector | |
JPH04308676A (en) | Connector | |
JPH10189182A (en) | Surface mounting type electric connector | |
JP2514085Y2 (en) |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board | |
JPH03134972A (en) | Electronic component for surface mounting | |
JP2000228239A (en) | Connector-printed wiring board structural body | |
JP342890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H069079U (en) | Connector for PCB conn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33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