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50B1 - 자동차용 도어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로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0850B1 KR930000850B1 KR1019870004661A KR870004661A KR930000850B1 KR 930000850 B1 KR930000850 B1 KR 930000850B1 KR 1019870004661 A KR1019870004661 A KR 1019870004661A KR 870004661 A KR870004661 A KR 870004661A KR 930000850 B1 KR930000850 B1 KR 9300008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cillator
- pressing member
- force
- fastening
- door 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5—Actuator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lock and controlling the lock functions through mechanical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50—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by 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05B81/36—Geared sectors, e.g. fan-shaped ge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8—Sill-buttons, garnish buttons or inner door lock knob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8—Plastic latch par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도어로크 장치를 설치한 자동차의 사시도.
제2도는 도어용 걸쇠와 로크 손잡이와 전동 조각 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전동 조작 장치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4도는 덮개를 제거하고 또한 감속용 기어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전동 조작 장치의 정면도.
제 5도는 제3도에서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a)∼(e)는 전동 조작 장치의 동작 설명도.
제7도는 수용체에 가해지는 힘 및 그것의 반발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2요동체에 가해지는 추진력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제9도(a), (b)는 누름부재의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0도(a), (b)는 수용체에서의 수용면을 V자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1도(a), (b)는 수용체를 제2요동체와 일체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2도는 전동조작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도(제3도와 동일한 위치에서의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XⅢ-XⅢ선 단면도.
제14도는 종래의 도어로크 장치를 나타낸 일부 단면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도어로크장치 7 : 전동조작장치
12 : 수동조작용 로크 손잡이 15 : 케이스
17 : 제1요동체 18 : 제2요동체
19 : 전기모우터 21 : 복귀스프링
26 : 제1누름부재 27 : 제2누름부재
30 : 제1수용체 32 : 제2수용체
48 : 걸림편 49 : 연결편
본 발명은 자동차용의 도어로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기 모우터에 의한 조작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실공소 54-3031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는 제14도에 표시되었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에 있어서는 도어용 걸쇠 (91)를 로크 손잡이(3)로서 수동조작하는 것과, 전동조작장치(94)로서 전동조자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동조작의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감속용 기어(96, 97)의 이의 절손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즉 예컨데, 도시한 상태에서 모우터(95)의 회전에 의해 감속용 기어(96,97)를 통하여 요동기어(98)가 하방으로 회전되면, 로드(99)를 통하여 체결레버(92)가 하방으로 움직여진다. 그리하여 체결레버(92)가 체결위치에 도달하여 거기서 급정지하면 상기 로드(99)를 통하여 상기 요동기어 (98)도 동시에 급정지한다. 이 요동기어(98)의 급정지에 의해 상기 감속용 기어 (97,96)나 모우터(95)도 급정지시켜지게 된다. 그러나 그들의 기어(97,96) 및 모우터(95)는 그때까지의 회전 관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그들 기어(97,96) 및 모우터(95)의 급정지에 의하여 기어(97,96)의 이에는 충격적으로 큰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그중의 일부의 이의 절손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자동차용 도어로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조작후, 요동기어(98)와 감속용기어(97,96) 및 전기모우터(95)가 이어져 있는 로드(99)가 복귀스프링(100)에 의해서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에 의한 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귀스프링(100)에 의한 복귀의 경우, 복귀 시초에는 상기 로드 (99)에 이어진 요동기어(98)와 감속용 기어(97,96) 및 모우터(95)등은 모두 정지 상태이다. 따라서 그들의 시동을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상기 복귀스프링(100)에는 그 시동을 위하여 요하는 큰 힘에 걸맞는 큰 스프링 힘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복귀스프링(100)의 스프링 힘이 크면, 상기 전동조작의 경우, 상기 전기모우터(95)에 대한 부하는 그 복귀스프링(100)의 스프링 힘이 큰 부분 만큼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모우터(95)로서는 출력이 큰 대형의 것이 필요케 된다.
또 상기와 같이 복귀스프링(100)의 스프링 힘이 크면, 상기와 같은 중립 위치로 복귀할 경우, 요동기어(98)나 감속용 기어(97,96)의 복귀방향으로의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그 결과 그들 기어가 큰 이물림 소리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로크 손잡이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도어용 걸쇠를 체결 또는 해제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전기 모우터의 회전으로 도어용 걸쇠를 체결 또는 해제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전기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도어용 걸쇠를 조작할 경우 상기 모우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이의 일부가 절손될 가능성을 저하시킨 구성의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에 있어서는 전기모우터의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하여 도어용 걸쇠의 체결레버에 전달된다. 즉 상기 전기 모우터의 회전력은 우선 감속용 기어를 통하여 제1요동체에 전달된다. 다음에 그 제1요동체에 설치된 누름부재와 제2요동체에 설치된 수용체를 통하여 제2요동체에 전달된다. 그리하여 그 제2요동체로부터 상기 도어용 걸쇠의 체결레버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체결레버가 작동하고 그것이 체결 또는 해제 위치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2요동체도 동시에 기계적으로 정지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용체 및 누름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요동체, 감속용기어, 전기모우터도 그것에 수반하여 기계적으로 정지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용체와 누름부재 중의 한쪽은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요동체, 감속용 기어, 전기모우터의 관성력을 그 탄성체로서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요동체, 감속용 기어, 전기모우터의 급정지를 완화시킬 수가 있다. 즉 그것들을 부드럽게 정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용 기어의 이의 일부의 절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상기 전기 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도어용 걸쇠를 조작한 후는, 수동에 의한 그 걸쇠의 조작을 매우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모우터에 의한 조작후 상기 제2요동체를 상기 체결레버의 체결 또는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남겨둔채로, 상기 제1요동체는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중립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그 결과 상기 제1요동체에 있어서의 누름부재와 제2요동체에 있어서의 수용체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그 틈은 제2요동체를 상기 제1요동체에 구애받지 않고 체결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는 틈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레버를 상기 로크손잡이로서 수동조작할 경우, 그 조작에 대하여 상기 감속용 기어나 모우터는 부하로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수동작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상기와 같이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제1요동체를 중립 위치까기 되돌리는 것이라도 그 복귀스프링은 약한 탄력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상기 전기모우터로서 소형 모우터의 사용을 가능케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탄성체로된 누름부재 또는 수용체는 상기와 같이 관성력을 흡수함으로써 변형한다. 따라서 그 변형에 의해서 그들 누름부재 또는 수용체는 그 변형량과 자체의 탄성력으로 결정되는 반발력을 비축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요동체를 복귀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할 수가 있다. 그것이 회전을 시작한 후는 그 회전의 계속에 필요한 만큼의 작은 부가력을 제1요동체에 부여하면 된다. 따라서 그 부가력을 부여하기 위한 복귀스프링은 작은 스프링 힘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복귀스프링의 탄력이 작으면 상기와 같이 모우터의 동력에 의해서 체결 및 해제의 조작을 할 경우, 복귀스프링의 탄력이 모우터의 부하로 되는 비율이 적다. 따라서 모우터의 출력은 비교적 작아도 되고, 소형의 모우터의 사용이 가능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비축된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요동체를 복귀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것으로서 그 회전시 초의 초속도를 작게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중립 위치까지 복귀 회전하는 속도를 작게할 수 있어 동작음을 작게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탄성체제의 누름부재 또는 수용체가 변형되면, 그것은 변형량에 대응하는 큰 반발력을 비축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 반발력중의 일부만을 상기 제1요동체를 회전하기 시작하는데 사용한다. 따라서 그 회전시초의 처음 속도는 작다. 이와 같이 처음 속도가 작으면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탄력이 작은 것과 더불어 제1요동체가 중립 위치까지 복귀회전하는 속도도 작다. 그러면 그 복귀회전시에 있어서의 상기 감속용 기어의 회전속도는 작고 그들 기어의 이의 이물림에 의하여 생기는 음이 작다. 즉 조용한 동작을 하게 된다.
제1도에 있어서, 자동차용 도어로크장치(4)는, 자동차(1)의 본체(2)에 부착된 스트라이커(striker)(5)와, 자동차(1)의 도어(3)에 부착된 도어용 걸쇠(6) 및 상기 도어(3)에 부착된 전동조작장치(7)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용 걸쇠(6)는 주지의 것으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레버(11)를 갖는다. 이 레버(11)는 제2도에 실선으로 표시되는 해제위치와 쇄선으로 표시되는 체결 위치와의 사이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체결레버(11)에는 주지와 같이 로드(13)를 통하여 수동조작용의 로크 손잡이(12)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5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조작장치(7)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장치(7)는 케이스(15)와, 그 케이스에 회전자재로 장착한 출력축(16 )과, 제1 및 제2의 요동체(17,18)와, 전기모우터(19)와, 상기 전기모우터(19)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제1요동체(17)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용 기어(20)와, 제1요동체(17)를 중립위치로 향하여 힘을 가하기 위한 복귀스프링(21)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5)는 본체(22)와 그것에 씌워 붙인 덮개(23)로 이루어진다. 그들 본체(22) 및 덮개(23)는 모두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출력축(16)은 금속제이며, 그 일단은 케이스의 본체(22)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거기에는 출력레버(24)가 공착되어 있다. 이 출력레버(24)는 로드 (25)를 통하여 상기 도어용 걸쇠(6)에 있어서의 체결레버(11)에 연결하여 있다.
다음에 상기 제1요동체(17)는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요동체 (17)는 상기 출력축(16)에 대하여 상대 회전자재로 장착되어 있어 제4도에 나타낸 중립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제1요동체(17)는 제2요동체(18)와 면하는 쪽에, 제2요동체(18)를 제5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기 위한 제1의 누름부재(26)와 반시계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기 위한 제2의 누름부재(27)를 구비한다. 그들 누름부재(26,27)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누름부재(26,27)에 있어서 후술하는 수용체(30,32)와의 대향면 (26a,27a)은 출력축(16)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에 대하여 경사된 면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2요동체(18)는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핀(36)을 사용하여 출력축(16)에 고정되어 있다. 제2요동체(18)는 체결 위치용의 접촉체(37)와 해제 위치용의 접촉체(38)을 갖는다. 그들 접촉체(37,38)는 케이스의 본체(22)에 구비된 스토퍼(33)에 맞닿으므로써 제2요동체(18)의 요동범위를 제6도(a)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와 제6도(b)∼(e)에 나타내는 체결 위치와의 사이로 제한한다. 그들의 해제 위치와 체결위치는 상기 도어용 걸쇠(6)에 있어서의 체결 레버(11)의 해제 위치 및 체결위치와 대응한다. 제2요동체(18)에 형성된 2개의 장착용 오목부(29,31)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누름부재(26,27)의 누름힘을 받기 위한 제1 및 제2수용체(30,32)가 부착되어 있다. 그들 수용체(30,32)는 모두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들 수용체(30,32)에 있어서의 수용면(30a,32a) 즉, 상기 누름부재와의 대향면은 모두 출력축(16)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누름부재(26,27)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제5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경사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 수용체(30,32)의 위치는 상기 제1요동체(17)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요동체(18)의 해제 위치와 체결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 범위가 제한을 받지 않는 위치에 정해져 있다. 즉 제2요동체(18)가 해제 위치에 있을때도 체결 위치에 있을때도 제1의 누름부재(26)와 제1의 수용체(30)사이 및 제2의 누름부재(27)와 제2의 수용체(32) 사이에 각각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위치에 정해져 있다. 또한 상기 제2요동체(18)의 접촉체(37,38)를 받아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33)는 제3도 및 제5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본체(22)로부터 돌출 설치된 돌기(34)와 그의 주위에 끼워지는 고무 등의 완충제(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3) 및 접촉제(37,38)는 제2요동체(18)가 상기 도어용 걸쇠(6)의 체결레버 (11)를 상기 해제 위치 및 체결 위치를 넘어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지지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제2도에 부호(33a,33b)로 나타낸 바와 같은 스토퍼가 도어용 걸쇠(6)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체결 레버(11)가 해제 위치 및 체결 위치를 넘어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33) 및 접촉체(37,38)를 생략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 전기 모우터(19)는 브래킷(40)을 사용하여 케이스의 본체(22)에 부착하고 있다. 이 모우터(19)는 이것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회전축(4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한다.
다음에 상기 감속용 기어(20)는, 상기 모우터의 회전축(41)에 부착한 피니언 (42)과, 이 피니언(42)과 맞물리는 대경의 제1기어(44)와, 제1기어(44)와 일체 형성된 소경의 제2기어(45)와, 상기 제1요동체(17)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기어(45)와 맞물리는 제3기어(4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기어(44,45)는 축(43)를 가지고 케이스(15)에 회전자재로 장착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복귀스프링(21)은 제1요동체(17)를 항상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요동체(17)와 일체로 형성한 장착부(47)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21)의 일단(21a)과 타단(21b)은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23)와 일체형성의 걸림편(48)과 제1요동체(17)와 일체 형성의 연결편(49)을 끼우고 그의 양측에 위치시켜져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것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해제상태에 있는 도어용 걸쇠(6)를 전동조작장치(7)에 의해서 체결상태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어용 걸쇠(6)의 체결레버(11)가 제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에 있다. 또 이상태는 제6도(a)에도 나타내어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스위치 조작으로 모우터(19)에 체결조작을 위한 전류를 흘리면 모우터(19)의 회전축(41)은 제4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에 의해 감속용 기어(20)를 통하여 제1요동체(1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의 과정에서 제1누름부재(26)가 수용체(30)의 수용면(30a)에 접촉한다. 접촉 후 제2요동체(18)는 제1요동체(17)과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곧 제6도(b)에 나타낸 체결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체결위치에서 접촉제(37)가 스토퍼(33)에 접촉하고 제2요동체(18)의 회전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제2요동체(18)가 회전함으로써 출력축(16)도 일체로 회전하고 출력레버(24)는 제6도(a)의 상태로부터 제6도(b)의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로드(25)를 통하여 상기 도어용 걸쇠(6)의 체결레버(11)는 체결위치로 이동한다. 또 상기 과정에 있어서 복귀스프링(21)의 스프링단부(21b)는 연결편(49)에 의해 제6도(b)와 같이 밀리어 움직여진다. 그 결과 스프링(21)에는 제1요동체(17)를 중립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부가세력이 비축된다.
상기와 같이 제2요동체(18)의 회전이 스토퍼(33)에 의해서 정지되면, 모우터 (19)로부터 감속용 기어(20)를 통하여 제1요동체(17)에 가해지는 회전력 및 모우터 (19)와 감속용 기어(20) 혹은 제1요동체(17)의 관성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제6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누름부재(26)는 수용체(30)에서의 수용면(30a)에 밀어 붙여진다. 그리하여 그 수용면(30a)이 압축된 상태로 되어 곧 상기 모우터 (19) 및 기어(20), 제1요동체(17)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수용체(30)가 모우터 (19) 및 기어(20), 제1요동체(17)의 관성력을 흡수하고, 그들의 정지를 완만히 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니언(42) 및 기어(44,45,46)에 있어서 일부의 이의 절손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모우터(19)가 정지된 후 그에 대한 통전이 차단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수용체(30)가 압축됨으로써 그것에 비축되어 있던 반발력에 의해서 수용체(30)는 제1누름부재(26)에 제6도(c)에서의 반시계방향의 밀어 되돌리는 힘을 부여한다. 그 밀어 되돌리는 힘에 의해서 제1요동체(17) 및 그것에 연결된 감속용 기어(29) 및 모우터(19)는 복귀방향으로 향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부가세력을 비축한 복귀스프링(21)도 연결편(49)을 통하여 제1요동체(17)에 반시계방향의 복귀력을 부여한다.
상기와 같이 제1요동체(17) 등이 복귀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함으로써 제1요동체(17)는 제6도(c)의 상태로부터 제6도(d)의 상태에 이른다. 그후는 상기 복귀스프링(21)의 부가력에 의해서 상기 제1요동체(17)등의 복귀방향의 회전이 계속되고, 제1요동체(17)는 제6도(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립위치까지 복귀 회전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제1요동체(17)가 회전을 개시한 후에 누름부재(26)가 수용체(30)에 접촉한다. 즉, 제1요동체(17) 및 감속용 기어(20), 모우터(19)등이 회전관성을 가진 상태에서 누름부재(26)가 수용체(30)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제2요동체(18)에는 모우터(19)에 의한 힘 이상의 추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이점을 제8도에 기초하여 시간을 따라 설명한다. 먼저 T1의 시점에서 모우터(19)가 회전을 개시한다. 다음에 T2의 시점에서 누름부재(26)가 수용체(30)에 접촉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제1요동체(17)등은 회전관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부호 51로 표시된 바와 같이 큰 추력을 수용체(30)에 대한 누름부재(26)의 접촉을 통하여 제2요동체(18)에 부여할 수가 있다. 이것은 예컨대 제2요동체(18) 및 출력축(16)등이 케이스(15)에 대하여 동결되어 있거나, 걸쇠(6)의 체결레버(11)가 동결되어 있었던 경우에 있어서도 그것을을 움직이기 시작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관성에 의한 큰 추력을 부여한 후는 부호 5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모우터(19)에 의한 통상의 추력이 제2요동체(18)에 부여된다. 그후 T3의 시점에서 모우터(19)에 대한 통전이 차단됨으로써 제2요동체(18)에 부여되는 추력은 없어진다.
다음에 상기 제6도(c)와 같이 수용체(30)가 제1누름부재(26)에 의해서 압축되어 그것의 반발력으로 누름부재(26)에 밀어 되돌리는 힘을 부여할 때의 힘의 관계에 대해 제7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모우터(19)의 회전력 및 모우터(19) 및 기어(20), 제1요동체(17)등의 관성에 의해 제1누름부재(26)가 수용체(30)의 수용면(30a)을 미는 힘은 제7도에서 F1으로 표시된다. 이 힘(F1)은 출력축(16)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의 힘이다. 그리하여 이 힘(F1)은 수용면(30a)을 수직으로 누르는 분력(F2)과 수용면(30a)에 대하여 평행한 분력(F3)을 부여한다. 상기 분력(F3)은 마찰력이며, 이것은 열로서 소실한다. 한편 상기 분력(F2)을 받은 수용면(30a)은 그 반발력으로서 제1누름부재(26)에 힘(F4)을 부여한다. 이 힘(F4)은 상기 힘(F2)과 반대방향의 힘이다. 그리하여 이 힘(F4)은 출력축(26)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의 분력(F5)과 출력축(16)에 향하는 반경방향의 분력(F6)을 부여한다. 그리하여 이들의 분력중 F5만의 제1누름부재(26)를 밀어되돌려서 제1요동체(17)를 복귀방향에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수용체(30)가 상기 제1누름부재(26)를 밀어되돌리는 힘(F5)은 매우 작은 것으로 된다. 예컨데 누름부재(26)가 수용체(30)를 압축함으로써 수용체(30)에 비축된 반발력 보다도 매우 작은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밀어올리는 힘이 작으면, 상기 제1요동체(17) 및 감속용 기어(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때의 처음속도는 작다. 따라서 기어(46,45)의 이물림음, 혹은 기어(44)와 피니언(42)과의 이물림음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억제된다.
다음에 상기 전동조작장치(7)에 의해서 상기 도어용 걸쇠(6)를 체결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할 경우에는 상기 모우터(19)에 상기 경우와는 반대 극성의 전류를 흘린다. 그러면 모우터(19)는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각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과 동일한 동작이 상기의 경우와는 반대방향으로 행하여지고, 상기 도어용 걸쇠(6)는 해체 상태로 된다.
다음에 수동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동조작에 의해서 로크 손잡이(12)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킴으로써 체결레버(11)는 각각 체결 위치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들의 경우, 로드(25), 출력레버(24), 출력축(16)등을 통하여 제2요동체 (18)가 각각 제6도(e)에 표시되는 체결 위치 또는 제6도(a)에 표시되는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요동체(18)가 움직일 경우, 상기 제1요동체(17)는 중립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2요동체(18)의 움직임은 제1요동체(17)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요동체(18)의 움직임은 경쾌하다. 그 결과 상기 로크 손잡이(12)를 수동조작하는 힘은 작아도 괜찮다.
다음에 상기 제1누름부재(26)와 제1수용체(30)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기 제1누름부재(26)를 탄성체로 형성하고, 제1수용체(30)를 경질재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제2누름부재(27)와 제2수용체(32)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제9도(a), (b)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 및 제2의 누름부재(26e,27e)의 단면현상을 앞의 실시예와는 다르게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기능상 앞도면의 것과 동일 또는 균등 구성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에는 앞도면과 동일한 부호에 알파벳의 e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또 다음 도면 이후의 것에 있어서도 순차 동일한 생각에서 알파벳의 f,g,h를 차례로 붙여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였다).
다음에 제10도(a),(b)는 제1 및 제2의 수용체(30f,32f)에 있어서의 수용면 (30af,32af)의 형상을 V자상으로 한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제11도(a),(b)는 제1 및 제2의 수용체(30g,32g)를 제2요동체(18g)와 일체 형성의 수지편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각 수용체(30g,32g)는 그들의 두께(t)를 알맞게 얇게 형성함으로써 누름부재에 눌렸을때의 탄력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2도 및 제13도에는 누름부재와 수용체의 구조가 달리되어 있는 전동조작장치(7h)가 표시되어 있다. 이 전동조작장치(7h)에서는 제1과 제2의 누름부재(26h,27h)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복귀스프링(21h)보다도 현저하게 강한 탄력을 가진 하나의 스프링(61)으로써 상기 제1 과 제2의 수용체가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61)은 외부방향으로 퍼지려는 탄력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2개의 스프링 단부(62,63)는 각각 요동체(18h)에 설치된 걸림부(64,65)에 접촉되어 있다. 스프링 단부(62)는 제1누름부재의 압력을 받는 수용부로서 작용하고 스프링 단부(63)는 제2의 누름부재의 압력을 받는 수용부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모우터에 대한 통전의 의해서 제1요동체 (17h)가 움직여지면, 누름부재(26h)가 스프링 단부(62)를 누른다. 그 결과 제2요동체(18h)가 회전한다. 그리하여 접촉체(37h)가 스토퍼(33h)에 맞닿아서 제2요동체 (18h)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누름부재(26h)의 누르는 힘에 의해서 스프링(61)이 압축되고 스프링 단부(62)가 스프링 단부(63)의 곁으로 근접한다. 그후 상기 모우터에 대한 통전이 정지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61)의 반발력에 의해서 누름부재 (26h)가 눌리고 제1요동체(17h)는 복귀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한다.
Claims (4)
- (1) 체결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의 왕복운동을 자재롭게 하는 체결레버를 갖는 도어용 걸쇠(6)와, (2) 상기 체결레버(11)에 연결되어 있는 수동조작용의 로크 손잡이(12)와, (3) 상기 체결레버(11)를 전동조작하기 위한 전도조작장치(7)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로크 장치(4)에 있어서, 상기 전동조작장치(7)는 (a) 케이스(15)와, (b)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중립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부착한 제1요동체(17)와, (c)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요동체(17)와 동일 축선상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복 부착되어 있는 제2요동체(18)와, (d) 상기 제1요동체(17)에 대하여 감속용 기어(20)를 통하여 연결된 정역회전 가능한 전기모우터(19)와, (e) 상기 제1요동체(17)에 부설되어 이 제1요동체를 중립위치로 향하여 밀기 위한 복귀스프링(21)을 포함하며, 상기 제2요동체(18)는 상기 도어용 걸쇠(6)의 체결레버(11)에 대하여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요동체(17)에는, 상기 제2요동체(18)를 한쪽으로 밀어 돌리기 위한 제1누름부재 (26)와 다른쪽으로 밀어 돌리기 위한 제2누름부재(27)를 설치하고 있는 한편, 상기 제2요동체(18)에는, 상기 제1누름부재(26)에 의한 누름힘을 받기 위한 제1수용체 (30)와 상기 제2누름부재(27)에 의한 누름힘을 받기 위한 제2수용체(32)를 설치하고, 더우기 그들 수용체의 위치는 상기 제1요동체(17)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11)의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사이의 왕복운동에 대응하는 제2요동체(18)의 요동범위가 상기 제1 및 제2누름부재(26,27)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 위치에 정하며, 또한 상기 제1누름부재(26)와 제1수용체(30)의 어느 한족과, 상기 제2누름부재(27)와 제2수용체(32)의 어느한쪽은, 각각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로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5)로부터는 상기 제1요동체(17)측으로 향하여 걸림편(48)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1요동체로부터는 연결편(49)이, 제1요동체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과 이 연결편이 제1요동체의 반경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되는 위치에서 돌출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21)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걸림편(48)과 연결편(49)을 각각 사이에 두고 그들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로크 장치(4).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수용체(30,32)의 위치는, 상기 제1요동체(17)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요동체(18)가 상기 체결레버(11)의 체결위치와 해제위치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도, 그들 제1 및 제2의 수용체(30,32)와 상기 제1 및 제2의 누름부재(26,27)와의 사이에 또한 틈새가 생기는 위치에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로크 장치(4).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누름부재(26,27)와 각 수용체(30,32)의 상호 접촉면은, 제1 및 제2요동체(17,18)의 피봇 부착된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로크 장치(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1-310710 | 1986-12-26 | ||
JP310710 | 1986-12-26 | ||
JP61310710A JPS63165676A (ja) | 1986-12-26 | 1986-12-26 | 自動車用ドアロツク操作装置 |
JP94600 | 1987-04-17 | ||
JP62094600A JPS63261079A (ja) | 1987-04-17 | 1987-04-17 |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7277A KR880007277A (ko) | 1988-08-26 |
KR930000850B1 true KR930000850B1 (ko) | 1993-02-06 |
Family
ID=2643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4661A KR930000850B1 (ko) | 1986-12-26 | 1987-05-12 | 자동차용 도어 로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4779912A (ko) |
KR (1) | KR930000850B1 (ko) |
AU (1) | AU584298B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5513B2 (ja) * | 1987-10-31 | 1994-04-06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車輌用防水防音密閉型ロック装置 |
DE3804838C1 (ko) * | 1988-02-17 | 1989-01-26 |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De | |
CA1317323C (en) * | 1988-03-19 | 1993-05-04 | Shinjiro Yamada | Clutch for actuator for automobile |
US5125702A (en) * | 1988-07-21 | 1992-06-30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Door lock device |
JP2511115B2 (ja) * | 1988-07-21 | 1996-06-2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ドアロツク装置 |
JPH0723658B2 (ja) * | 1988-12-21 | 1995-03-15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車両用ロック機構 |
GB2227049B (en) * | 1989-01-17 | 1993-05-12 | Rockwell Automotive Body Co | Vehicle door locking system |
SE463979B (sv) * | 1989-06-29 | 1991-02-18 | Assa Ab | Paa elektrisk och mekanisk vaeg paaverkbar laasanordning |
JPH0366882A (ja) * | 1989-08-04 | 1991-03-22 | Shicoh Eng Co Ltd | ドアロック装置 |
JP2559087Y2 (ja) * | 1992-03-17 | 1998-01-14 |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 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
ATE156886T1 (de) * | 1993-02-10 | 1997-08-15 | Atoma Int Inc | Lineaire antriebsbewegung |
WO1995016093A1 (fr) * | 1993-12-10 | 1995-06-15 | Nippondenso Co., Ltd. | Mecanisme d'entrainement d'une serrure de porte |
DE19508026B4 (de) * | 1995-03-07 | 2005-12-29 |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 Elektromotorische Betätigungseinheit |
WO1997003268A1 (en) * | 1995-07-11 | 1997-01-30 | Stoneridge, Inc. | Adjunct actuator for vehicle door lock |
US5743380A (en) * | 1996-12-02 | 1998-04-28 | Augat Inc. | Rotary door lock switch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GB0019017D0 (en) * | 2000-08-04 | 2000-09-27 |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 Actuator |
US6511106B2 (en) | 2000-12-14 | 2003-01-28 | Delphi Technologies, Inc. |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 |
US6733052B2 (en) | 2000-12-14 | 2004-05-11 | Delphi Technologies, Inc. | Power operated vehicle door latch |
CA2455243C (en) * | 2003-01-15 | 2011-11-29 |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 Door handle input decoupler for a cinching latch actuator |
US7472628B2 (en) * | 2003-01-15 | 2009-01-06 |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 Door handle input decoupler for a cinching latch actuator |
GB0324576D0 (en) * | 2003-10-22 | 2003-11-26 |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 Actuator assembly |
CN101080540B (zh) * | 2004-12-10 | 2011-08-24 | 马格纳·克劳祖雷斯有限公司 | 动力致动装置 |
KR101108135B1 (ko) * | 2005-04-04 | 2012-01-31 | 한옥순 | 도어록 장치 |
US9416566B2 (en) * | 2007-10-10 | 2016-08-16 | Magna Closures Inc. | Door latch with fast unlock |
FR2925564A1 (fr) * | 2007-12-20 | 2009-06-26 |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 Dispositif de condamnation et de decondamnation d'un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
DE202012007325U1 (de) * | 2012-07-31 | 2013-11-04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türschloss |
DE102012025172A1 (de) * | 2012-12-23 | 2014-06-26 |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 Schließsystemkomponente |
CN106801544A (zh) * | 2017-03-14 | 2017-06-06 | 深圳康佳信息网络有限公司 | 一种智能遥控锁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30317Y2 (ko) * | 1976-04-07 | 1979-09-25 | ||
JPS5430317A (en) * | 1977-08-10 | 1979-03-06 | Toyota Motor Corp | Engine suction air-fuel-ratio corrector |
JPS57172083A (en) * | 1981-04-15 | 1982-10-22 | Nissan Motor | Door lock manipulating apparatus |
-
1987
- 1987-05-12 KR KR1019870004661A patent/KR9300008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06-09 AU AU74062/87A patent/AU584298B2/en not_active Ceased
-
1988
- 1988-06-10 US US07/060,290 patent/US477991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4779912A (en) | 1988-10-25 |
AU584298B2 (en) | 1989-05-18 |
KR880007277A (ko) | 1988-08-26 |
AU7406287A (en) | 1988-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0850B1 (ko) | 자동차용 도어 로크장치 | |
US4573723A (en) | System including bi-directional drive mechanism | |
US5632515A (en) | Latch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trunk lid | |
JPH0353498B2 (ko) | ||
JP2001253384A (ja) | 車両用後退装置 | |
JPH0123343B2 (ko) | ||
KR0131369Y1 (ko) | 스타터 | |
JPH04336187A (ja) | モータ式アクチュエータ | |
KR840005623A (ko) | 푸시 버튼식 동조기 | |
JPH0588340B2 (ko) | ||
JP2805576B2 (ja) | ドアロック等のアクチュエータ | |
KR0138415B1 (ko) | 자동차 푸트 파킹 브레이크의 댐핑장치 | |
JPH01249527A (ja) |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ロック装置 | |
JPS63165676A (ja) | 自動車用ドアロツク操作装置 | |
JPH0722339Y2 (ja) | サンルーフ用駆動装置 | |
JPS6212675Y2 (ko) | ||
KR0138422B1 (ko) | 자동차 푸트 파킹 브레이크의 댐핑장치 | |
JP2931350B2 (ja) | モータ式アクチュエータ | |
JP3010872B2 (ja) | スタータのブレーキ装置 | |
JP2756690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H01250579A (ja) | アクチュエータ | |
JPH01239276A (ja) | 自動車用アクチユエーターのクラツチ | |
KR0146573B1 (ko) | 솔레노이드 해제장치를 갖춘 자동차 푸트 파킹 브레이크 | |
JPH0483074A (ja) | 被操作杆作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 |
KR970007732B1 (ko) |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206 Year of fee payment: 1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