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93B1 -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8093B1 KR910008093B1 KR1019870008595A KR870008595A KR910008093B1 KR 910008093 B1 KR910008093 B1 KR 910008093B1 KR 1019870008595 A KR1019870008595 A KR 1019870008595A KR 870008595 A KR870008595 A KR 870008595A KR 910008093 B1 KR910008093 B1 KR 910008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main shaft
- platform
- chain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입체주차장치의 전체면정도.1 to 17 show one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n overall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제3도는 펠리트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ellets.
제4도는 승강대 및 이송장치의 확대정면도.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platform and the transfer device.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제6도는 제4도의 요부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승강대의 요부확대 횡단면도.7 and 8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latform of the platform, respectively.
제9도는 제5도의 확대도.9 is an enlarged view of FIG.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각 이송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확대종단면도.10 and 11 are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the main portion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fer device, respectively.
제12도는 체인랙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chain rack.
제13도(a)(b)는 상기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조도.Figure 13 (a) (b)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제14도는 계합장치 및 그 주변의 확대측면도.1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engaging device and its surroundings.
제15도는 제14도의 횡단면도.FIG. 1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4. FIG.
제16도 및 제17도는 계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5도의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16 and 17 are side and enlarged views of Fig. 15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ngaging device.
제18도는 종래의 입체주차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구조도.18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100' : 수용랙 200 : 펠리트100,100 ': Rack 200: Pellet
300 : 승강장치 310 : 승강대300: lifting device 310: lifting platform
400 : 이송장치 A : 자동차400: transfer device A: automobile
503 : 계지판 503b,503c : 보스부503:
506,507 : 제1, 2의 절결부 508 : 주축506,507: Notch of first and second 508: Spindle
515a,515b : 제1, 2의 위치결정용핀.515a, 515b: positioning pins of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은 한정된 부지내에서 다수대의 자동차를 다단으로 주차시키는 입체구조의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value for parking multiple cars in multiple stages within a limited site.
최근,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시가지등의 특히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주차장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한정된 설치스페이스에서 다수대의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는 입체주차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of automobiles, parking lots have to be secured especially in areas with high traffic volume, such as urban areas, and therefore,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number of automobiles in a limited installation space has become widespread.
상기 종래의 입체주차장치의 일례를 제18도에 도시하고, 이하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s shown in FIG. 18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도면에 있어서, (1)은 구동스프로킷, (2)는 구동스프로킷(1)의 연직(鉛直)하부방향에 배설된 종동스프로킷, (3)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과 종동스프로킷(2) 사이에 현가된 체인(4),(4)…는, 상기 체인(3)에, 소정피치마다 배설되어서 내부에 자동차를 수용하는 케이지를 표시한다.In the figure,
상기 구동스프로킷(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정역(正逆) 양 방향으로 적절히 회전방향을 절환해서 구동되고 , 이 구동스프로킷(1)에 현가된 체인(3)을 종동스프로킷(2)과의 사이에서 순환이동시킨다.The
상기 케이지(4)(4)…는, 체인(3)에 대해서 각각 요동가능하게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체인(3)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자동차의 출입구는 최하방위치의 케이지(4)와 대체로 동일한 위치[제18도의 P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Incidentally,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position P in Fig. 18) as the
상기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출입을 행하려면, 구동스프로킷(1)을 적절히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망의 자동차를 수용한 케이지(4) 혹은 빈케이지(4)를 최하방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 위치에 형성된 출입구로부터 자동차의 출입을 행한다.In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n order to move in and out of a car,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입체주차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순환하는 무단체인(3)에, 소정피치마다 자동차를 수용하는 케이지(4)(4)…를 부착한 구조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has a cage (4) (4)... Because of the structure attached, there was the following problem.
상기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출입시에 소정의 케이지(4)를 최하방의 출입구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체인(3)의 순환구동에 의해서 케이지(4)(4)…를 모두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상기 소정의 케이지(4)를 출입구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복잡하며, 체인(3)의 구동원으로도 대출력의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모든 케이지(4)(4)… 및 케이지(4)(4)…에 수용되는 자동차의 중량은, 상기 체인(3) 및 체인(3)의 구동스프로킷(1)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강고한 지지구조가 필요하여 장치가 대형화됨과 동시에 고가인 것이 된다.In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n order to move the
또한, 상기 체인(3)의 순환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케이지(4)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케이지(4)(4)…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케이지(4)(4)…의 배설피치 및 구동스프로킷(1)의 직경을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간이용률의 향상에 제약을 받는다.Regardless of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chain 3, it is necessary to always keep the
또한, 입지조건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상기 장치의 자동차수용능력을 변경하는 것은, 그 구조상의 제약에 의해서 매우 곤란하다.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change the vehicle accommodation capacity of the apparatu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ocation conditions due to its structural constraint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향배치된 다단의 수용랙의 한쪽에 상승강하하는 승강대를 가진 승강장치를 배설하고, 자동차가 재치되는 펠리트를 상기 승강대에 배설된 이송장치에 의해서 상기 수용랙과 승강대 사이에서 이송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에 세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판과, 이 프레임판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고, 직경방향으로 돌출한 계지클릭 및 축선방향으로 돌출한 보스부를 가진 계지판과, 이 계지판의 보스부 양단에 형성된 제1,제2의 절결부와, 상기 계지판에 동축적으로 접동자재케 감장(嵌裝)된 주축과, 이 주축에 관설(貫設)된 제1,제2의 위치결정용핀과, 상기 계지판의 한쪽의 보스부로부터 소정거리 돌출하는 주축의 선단부에 고정용핀을 개재해서 고착된 원주형상의 수압부재와, 상기 계지판의 다른쪽의 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주축의 후단부에 축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관설된 회전저지용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주축의 접동에 따라서 제1,제2의 위치결정용핀과 제1,제2의 절결부(507)와의 감탈에 의해서 상기 계지판을 소정각도 회전시켜서 펠리트와의 계합, 이탈을 반복하는 계합장치를 상기 이송장치에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elevator device having a platform for lifting and lowering is provided on one side of an opposingly arranged multi-stage receiving rack, and the accommodation device includes a pellet on which the vehicle is placed by the transfer device installed on the platform.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ransfer between a rack and a platform, comprising: a base plate, a pair of frame plates vertically and vertically mounted on the base plate, and locking clicks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plate. And a stop plate having a boss port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cutout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ss portion of the stop plate, and a main shaft coaxially and slidingly mounted on the stop plate. And fixing pin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ins attached to the main shaft and the fixing pins at the tip of the main shaft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of the bosses of the locking plate.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hydraulic member and a rotation blocking pin perpendicularly to the axis line at the rear end of the main shaft protruding from the other boss of the locking plate,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main shaft. The transfer device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device for repeating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with the pellets by rotating the locking plate by a predetermined angle by desorption of the positioning pins and the first and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자동차를 펠리트상에 재치하고, 이 자동차를 펠리트와 함께 승강장치에 의해서 수용 랙의 소정의 단의 높이까지 상승강하시킨 후, 이송장치에 의해서 승강대와 수용랙과의 사이에서 상기 펠리트를 이동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에, 펠리트와 계합장치와의 계합, 이탈을 반복해서 각 수용랙의 각 단에 대해서 자동차를 출입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placed on a pellet, the vehicle is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pellet to the height of the predetermined stage of the storage rack by a lifting device, and then the lifting device and the storage rack are moved by the transfer device. The conversion of the pellets in between. At this time,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pellets and the engagement device is repeated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and exit the respective stages of each accommodation rack.
제1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to 17 show an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00)(100')은 수용랙, (200)은 펠리트, (300)은 승강장치, (A)는 자동차를 표시한다.In FIG. 1 and FIG. 2, (100) (100 ') represents a receiving rack, (200) a pellet, (300) a lifting device, (A) shows a motor vehicle.
상기 수용랙(100)(100')은 적절한 형강을 사용해서 구성된 프레임형상의 구축물로서 각각은, 자동차(A)를 재치한 상태의 펠리트(200)를 각단(Ⅰ)(Ⅱ)(Ⅲ)(Ⅰ')(Ⅱ')(Ⅲ')에 1매씩 합계 3매 수용하고, 예비의 빈펠리트(200')를 최하부의 수용선반(102)(102')에 1매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각 펠리트(200)(200')의 수용부위에는, 수용랙(100)(100')의 전면 및 배면쪽에, 폭방향[제1도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레일(101)(101)…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레일(101)(101)…의 한쪽의 소정위치에는 후술하는 소토퍼부재(110)(110)…가 배치고정되어 있다.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are frame-like structures constructed by using a suitable section steel, each of which has a
상기 펠리트(200)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강(201)(201)…, (201')(101')…을 격자형상으로 결합하여, 상부면에 금속판(202)(202)을 부착한 것이므로, 길이방향의 양단부 양쪽에는 상기 펠리트(20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203)(203)…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펠리트(200)의 폭방향 양쪽에는 자동차(A)로부터의 승무원의 승강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스텝(205)(205)이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펠리트(200) 이면에 있어서의 폭방향 양쪽의 각 2개소에는 후술하는 후크부재(210)(21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수용랙(100)(100')중, 한쪽의 수용랙(100)에는 승강장치(30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 (300)는 제1도 및 제2도,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대(310)와, 구동기구(350)와, 펠리트(200)의 이송장치(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랙(100)에 있어서의 수용랙(100')과의 대향하는 쪽에 배설되어 있다.The
상기 승강대(310)는, 형강을 L자형으로 형성한 전후의 프레임(311)(311')을 파이프(312) 및 사다리형상의 연결부재(313)로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13)의 양단부 상부면에는, 수용랙(100)(100')에 설치된 레일 (101)(101)…과 마찬가지의 레일(314)(314)이, 상기 레일(101)(101)…과동 일한 방향, 동일한 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11)(311')의 수직부분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소 2종류의 안내로울러(316)(317)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안내로울러(316)(317)는 상기 프레임(311)(3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설되고, 상기 수납랙(100)의 양쪽의 I형상(104)(104')의 오목부에 당접시키고 있다. 상기 대형의 안내로울러(316)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강I(104)(104')의 오목부의 양측면에 당접해서 상기 승강대(310)의 폭방향의 진동,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소형의 안내로울러(317)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형강 (104)(104')의 오목부의 바닥면에 당접해서 상기 승강대(310)의 길이방향의 진동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310)는 안내로울러(316)(317)와 수납랙(100)의 I형강(104)(104')의 오목부와의 당접에 의해서,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납랙(100)의 측면을 상승강하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상기 구동장치(35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강 (104)(104') 위쪽의 수용랙(100) 정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구동원인 모우터(M1), 스프로킷(351), 모우터(M1)와 스프로킷(351)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기어복스(352) 및 스프로킷(351)에 현가된 체인(353)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riving
상기 스프로킷(351)은 수용랙(100)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폴리머블록(354)(354')에 의해서 회전자재케 지지된 샤프트(355)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모우터(M1)로부터 기어복스(352)를 개재해서 구동력이 전달된다.The
상기 스프로킷(351)(351')에 현가된 체인(353)(353')의 일단은 브래킷(356)(356')을 개재해서 승강대(310)의 프레임(311)(311')의 수직부분의 상부에 계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353)(353')의 타탄쪽의 스프로킷(351)(351')으로부터 수직으로 늘어진 부분은, 상기 수용랙(100)과 수직방향으로 배설된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체인(353)(353')의 타단에 추를 부착하여 불필요한 진동이나 체인의 벗겨짐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우터(M1)에 의해서 적절한 방향으로 회동구동되는 스프로킷(351)(351')과 체인(353)(353')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기 승강대(310)는 상승 하강한다.One end of the
상기 펠리트(200)의 이송장치(400)는 승강대(310)의 수용랙(100)(100') 사이에서 펠리트(200)를 이송하는 것으로서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식의 신축식아암(410)과, 펠리트(200)와의 계합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신축식 아암(410)은 승강대(310)의 연결부재(313)의 상부면의 앞쪽과 뒤쪽의 합계 2개소에, 승강대(310)의 폭방향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하 한쪽의 이송장치(400)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conveying
상기 신축식 아암(410)은, 3본의 아암(420)(440)(460)으로 이루어지며, 1단째의 제1아암(420)은 상기 연결부재(313)에 고정되어 있다.The
상기 제1아암(420)은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310)의 연결부재(313)에 있어서의 파이프형상부재(315)상에 배치된 2본의 단면이 C자 형상인 안내레일 (421)(421)과, 상기 안내레일(421)(421)의 내측양쪽부분에 상기 안내레일 (421)(421)을 따라서 배설된 체인(422)(422)과, 구동용모우터(M2)로 구성된다. 상기 각 체인(422)(422)은 각 안내레일(421)(421)의 내측 양단부에 회전자재케 배설된 로우프풀리(423)(423),(424)(424)에 각각 현가되고, 또한 각 안내레일(421)(421)의 내측 대략 중앙부분에 배설된 구동스프로킷(425)(425)에 현가되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425)(425)의 전후에 배설된 로우프풀리(426)(426),(427)(427)에 걸쳐서 현가된다. 상기 체인(422)(422)의 상부쪽은 안내레일(421)(421)에 부착된 단면이 L자형상인 체인레일(428)(428)에 의해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지지되고, 상기 체인(422)(422)의 하부쪽은 상기 파이프형상부재(315)상에 배설된 체인레일(429)(429)에 의해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킷(425)(425)은 플러머블록 (432)(432)에 의해서 축지된 샤프트(433)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433)에 일체적으로 고착된 또다른 하나의 스프로킷(434)과 구동모우터(M2)의 출력축에 고착된 스프로킷(435)사이에 현가된 구동체인(436)에 의해서 구동모우터(M2)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422)(422)은 구동용모우터(M2)에 의해서 구동스프로킷(425)(425)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체인레일(428)(428),(429)(429)에 의해서 느슨해지지않도록 지지된 상태로 양단부의 로우프풀리(423)(423),(424)(424)사이를 순환회전한다. 또한, 상기 체인레일(429)(429) 사이에는, 이체 인레일(429)(429)과 평행으로 또 다른 하나의 체인레일(430)이 파이프 형상부재(315)에 대해서 고정되고, 이 체인레일(430)의 양단부에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체로 D자형상을 이루고, 곡선형상 가장자리부에 체인과 맞물리는 톱니부(431a)(431a)…를 형성한 랙형상부재[이하 체인랙이라 칭함](431)(43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제2아암(440)은 상기 제1아암(420)상에, 길이방향을 일치시켜서 복설(覆設)되어 있다.The
상기 제2아암(440)은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편이 대체로 ㄷ자형상을 이루고, 내측 양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내플레이트(441)(441)… 및 안내로울러(442)(442)…가 교호로 배설되어 있다. 이 제2아암(440)의 안내플레이트(441)(441)… 및 안내로우러(442)(442)는 상기 제1아암(420)의 안내레일(421)(421)의 오목홈(421a)(421a)에 끼워 넣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플레이트(441)(441)…가 폭방향의 진동을 규제하고, 상기 안내로울러(442)(442)…가 상하방향의 진동을 규체함과 동시에 제2아암(440) 및 제2아암(44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서, 상기 제2아암(440)은 제1아암(4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상기 제2아암(440)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부(4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443)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오목부(44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체인레일(444)이 배설되어 있다.A
또한, 상기 오목부(443)에 있어서의 체인레일(444)의 양단부 근처에는 창구멍(445)(445)이 뚫려 설치되고, 이 창구명(445)(445)내에는 로우프폴리(446)(446)가 회전자재케 수용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프풀리(446)에는 무단체인(447)이 현가되어 있고, 이 체인(447)의 상부부분은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체인레일(444)에 의해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지지되고, 하부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분 혹은 전체가 제1아암(420)의 체인레일(430)에 의해서 지지됨과 동시에 제1아암(420)의 체인랙(431)(431)과 맞물린다.In addition, window holes 445 and 445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상기 제2아암(440)의 길이방향 양단부 부근의 양쪽에 있어서의 내측상부벽부에는, 각각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체인랙(448)(448)…이 합계 4개 배치고정되어 있으며, 이 체인랙(448)(448)…은, 상기 제1아암(420)의 체인(422)(422)의 상부쪽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아암(440)은,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암(420)의 로우프풀리(423)(423),(424)(424)사이를 순환하는 체인(422)(422)과, 체인랙(448)(448)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아암(420) 및 제2아암(440)은 길이방향으로 대칭형이므로,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은 길이방향으로 대칭형이므로,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은 오른쪽방향으로의 이동뿐만아니라, 체인(422)(422)을 역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서, 왼쪽방향으로도 이동한다. 그런데 제2아암(440)의 체인랙(448)(44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부에 톱니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2아암(440)의 이동에 의해서 제1아암(420)의 체인(422)과 적절히 결합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제2아암(440)의 이동시에 있어서는, 진행방향 뒤쪽의 2개의 체인랙(448)(448)이 각각 제1아암(420)의 체인(422)(422)과 맞물리고, 앞쪽의 2개의 체인랙(448)(448)은 체인(422)(422)으로부터 이탈한다.Chain racks 448, 448,... Which are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upper wall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또한, 상기 제2아암(440)의 외측양쪽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내플레이트(449)(449)… 및 안내로울러(450)(450)가 교호로 배설되어 있다.Further, guide
상기 제3아암(460)은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체로 ㄷ자형상을 이루고, 내측양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내홈(461)(4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461)(461)과, 상기 제2아암(440)의 안내플레이트(449)(449)… 및 안내로울러(450)(450)…와의 감삽(嵌揷)에 의해서 제3아암(460)을, 제2아암(4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아암(440)의 길이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복설되어 있다. 상기 제3아암(460) 내측상부 벽부의 길이방향 양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부분에는,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체인랙(462)(462)이 배치고정되고, 이 체인랙(462)(462)은 제2아암(440)에 배설된 체인(443)의 상부쪽 부분과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따라서, 상기 제3아암(460)은, 제1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의 이동에 따라서 제1아암(420)의 체인랙(431)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로우프풀리(446)(446)사이를 순환하는 제2아암(440)쪽의 체인(447)과, 제3아암(460)의 체인랙(462)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1아암(420)에 대한 제2아암(440)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2아암(440)에 대해서 이동한다. 또한, 제1내지 제3아암(420)(440)(460)은 모두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칭이므로, 제13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방향으로의 이동뿐만아니라, 제1아암(420)의 체인(422)(422)을 역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서,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각 체인(431)(431),(462)(462)은 상술한 체인랙(448)(448)…과 마찬가지로 제2, 제3아암(440)(460)의 이동에 따라서 적절히 체인(447)과 결합, 이탈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제3아암(460)의 외측 한쪽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대체로 중앙 부근의 2개소에는 상기 펠리트(200)와의 계합장치(500)(500)가 배설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상기 계합장치(500)는, 제14도 및 제15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아암(460)의 외측벽에 고착되는 베이스판(501)과 ,베이스판(501)에 세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판(502a)(502b)과, 프레임판(502a)(502b)에 지지된 계지판(503)과, 계지판(503)에 배설된 직선운동-회전운동의 변환기구(50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engaging
상기 계지판(503)은,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계지클릭(503a)(503a) 및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스부(503b)(503c)를 가진 것이고. 프레임판(502a)(502b)에 베어링(505)(505)를 개재해서 회전자재케 지지된다. 상기 보스부(503b)(503c)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안내면(506a)(507a)과, 안내면(506a)(507a)에 연결된 곡부(谷部)(506b)(507b)로 이루어진 제1, 제2의 절결부(506)(507)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1, 제2의 절결부(506)(507)는 연속해서, 일정한 피치[보스직경을 d라고 하면. 피치는 π/4×d로 표시되는 거리]로 형성되고, 제1의 절결부(506)가 동도면에서 수직선에 대해서 +θ。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제2의 절결부(507)는 동도면에서 수직선에 대해서 -θ°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제1, 제2의 절결부(506)(507)끼리는 일정한 거리 [π/12×d로 표시되는 거리]떨어진 상태에 있다.The locking
상기 변환기구(504)는, 계지판(503)과 동축적으로 감장된 주축(508)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주축(508)은 제3아암(460)의 이동방향 즉, 펠리트(200)의 이송방향과 병행하게 접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상기 계지판(503)의 한쪽의 보스부(503b)로부터 소정거리 돌출하는 주축(508)의 선단부에는 대체로 원주형상의 수압부재(509)가 고정용핀(510)를 개재해서 고착되고, 한쪽의 프레임판(502a)의 외측벽에 부착된 스프링시이트(511)와 수압부재(509)와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12)을 개재시키고 있다. 또 계지판(503)의 다른쪽의 보스부(503c)로부터 돌출하는 주축(508)의 후단부에는 회전저지용핀(513)이 축선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관설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프레임판(502b)의 외측벽에는 서로 대향해서 만나는 오목부(514a)(514a)를 형성한 한쌍의 안내바아(514)(514)를 수직으로 설치해서, 상기 회전저지핀(513)의 양단부를 안내바아(514)(514)사이에 감장하고 있다. 상기 수압부재(509)는 신축식아암(400)을 수용랙(100)(100')쪽으로 신장시켰을 경우,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수용랙(100)(100')에 설치된 스토퍼부재(110)에 당접하고, 상기 제3아암(460)의 최대이동위치까지의 이동에 따라서, 소정스트로우크 압압된다. 이때에 상기 주축(508)은 회전저지핀(513)이 안내바아 (514)(514)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시키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축(508)의 계지판(503)의 보스부(503b)(503c)로부터 돌출하는 양단부분에는 1쌍의 제1,제2의 위치결정용핀(515a)(515b)이 축선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관설되어 있다. 따라서, 주축(508)의 접동에 따라서 제1의 위치결정핀(515a)이 한쪽의 보스부(503b)의 제1의 절결부(506)에 감입함과 동시에, 제2의 위치결정핀(515b)이 다른쪽의 보스부(503c)의 제2의 절결부(507)로부터 빠져서 계기판(503)을 일정한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다.The converter tool 504 uses a
상술한 바와 같은 주축(508)의 접동에 따라 계지판(503)의 회전동작을 제16도 및 제17도를 참조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512)에 의해서 수압부재(509)가 일정한 방향 [제15도에서 화살표(Ⅰ)로 표시함]으로 부세되고 있으므로, 계기판(503)의 제1의 위치결정용핀(515a)은 제1의 절결부(506)와 이격하고,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은 제2의 절결부(507)의 곡부(507b)에 감입하고 있으며, 계지클릭(503a)(503a)은 프레임판(502a)(502b)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16도 및 제17도에서 (a)로 표시함.]그리고, 제3아암(460)을 신장시켜서 스토퍼부재(110)와 수압부재(509)를 당접시키고, 이 상태로부터 제3아암(460)의 최대이동위치까지의 이동에 따라서, 수압부재(509)가 압압[제15도에서 화살표(Ⅱ)로 표시함]로 되므로 제1의 위치결정용 핀(515a)이 제1의 절결부(506)의 안내면(506a)을 따라서 곡부(506b)에 감입함과 동시에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이 제2의 절결부(507)의 곡부(507b)로부터 빠진다[제17도에서 (b)(c)로 표시함]. 상기 제1의 위치결정용 핀(515a)의 제1의 절결부(506)의 감입에 따라서, 계지판(503)이 일정한 방향[제16도에서 화살표(Ⅲ)로 표시함]으로 60℃ = (π/6) 회전하고, 계지클릭(503a)(503b)이 프레임판(502a)(502b)으로부터 돌출해서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와의 계합이 행해진다 [제16도에서 (c)로 표시함]. 그 후, 신축식아암(410)이 축소되어서 수압부재(509)와 스토퍼부재(110)가 이격하면, 압축스프링(5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주축(508)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돌출한다[제15도에서 화살표위치로 표시함]. 이 수압부재(509)가 복귀함에 따라서 제1의 위치결정용 핀(515a)은 곡부(506b)로부터 빠짐과동시에, 제2의 위치결정용핀(515b)은 제2의 절결부(507)의 안내면(507a)에 당접한다 [제17도에서 (d)로 표시함]. 또한 이 상태로부터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은 안내면(507a)을 따라서 곡부(507b)에 감입하고[제17도에서 (e)로 표시함]. 상기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에 의해서 계지판(503)이 일정한 방향[제16도에서 화살표(Ⅲ)로 표시함]으로 30°[=π/12]회전한다. [제16도에서 (e)로 표시함]. 이때, 후크부재(210)와 계지클릭(503a)과의 계지상태는 유지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주축 (508)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해서 계지판(503)은 결과적으로 90°[π/4]씩 회전하게 되어서, 후크부재(210)와의 계합, 이탈을 반복하는 것이다.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다음에, 상기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수용 및 인출요령을 설명한다. 또한,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수용랙(100)(100')에 전혀 자동차(A)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 하고, 승강장치(300)는 그 승강대(310)를 최강하 위치까지 강하시킨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이 초기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에는 미리 승강장치(300) 및 이송장치(400)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서, 수납랙(100)(100')의 적당한 단위치, 예를 들면,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에 배설되어 있던 펠리트(200)가 재치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Next, how to store and take out a car in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the initial state,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A is not accommodated in the
먼저, 자동차(A)를 수용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승강대(310)상의 펠리트(200)상에 경사판(150)(150)을 경유해서 자동차(A)를 이동시켜서 정차시킨다.First, in accommodating the motor vehicle A, the motor vehicle A is stopped by moving on the
다음에 승강장치(300)를 동작시켜서, 자동차(A)가 정차한 상기의 펠리트(200)가 본래 수용되어 있던 단(Ⅲ)의 높이가 될 때까지 상기 승강대(310)를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의 단(Ⅲ)의 레일(101)(101)와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이 동일한 수평면상에 직선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Next, the
그리고,이송장치(400)(400)의 구동용모우터(M2)를 소정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렇게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은 구동용모우터(M2)에 의해서 로우프풀리(423)(423),(424)(424)사이를 순환하는 체인(422)(422)과 제2아암(440)의 체인랙(448)(448)과의 맞물밀에 의해서 소정방향, 즉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수용랙(100)을 향해서 제1아암(420)으로부터 돌출한다. 동시에 이 제2아암(440)의 이동에 따라서, 제2아암(440)에 배설된 체인(447)은 제1아암(420)의 체인랙(431)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로우프폴리(446)(446)사이를 순환하고, 이 체인(447)의 순환동작은, 이 체인(447)과 맞물리는 제3아암(440)의 체인랙(462)에 의해서 제3아암(460)에 전달되고, 상기 제3아암(460)은 제2아암(440)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제2아암(440)에 대해서 돌출한다.Then, the driving motor M2 of the
그리고, 상기 제3아암(460)과 계합상태에 있는 펠리트(200)는, 제3아암(460)과 동일한 속도로,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상으로부터 단(Ⅲ)의 레일(101)(101)을 향해서 이동하고, 상기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돌출하면, 제3아암(460)의 길이방향 오른쪽에 배설된 계합장치(500)의 수압부재(509)가 수용랙(100) 쪽의 스토퍼부재(110)의 당접해서 상대적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주축(512)이 접동한다. 그렇게 하면, 제1,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a)(515a)과, 제1, 제2의 절결부(506)(507)와의 감탈에 의해서, 계지판(503)은 소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스토퍼부재(110)와의 당접의 해제에 따라서 소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와 계지판(503)의 계지클릭(503a)과의 계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펠리트(200)는 자동차(A)를 탑재한 상태에서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상에 재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검출기구에 의해서 상기 신축식 아암(410)의 작동은 정지되어 있으며, 또, 상기 펠리트(200)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로크기구에 의해서, 상기 레일(101)(101)상에 확실하게 재치된 상태로, 레일(101)(101)상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로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에, 상이 이송장치(400)의 구동모우터(M2)를 상기와 반대로 역회전시켜, 상기와 반대의 요령으로 제2,제3아암(460)(460)을 제1아암(420)상에 복귀시킨다.Next, the drive motor M2 of the
그리고, 수용랙(100)(100')의 다른 단(I)(II), (Ⅰ')(Ⅱ')(Ⅲ')의 레일(101)(101)상의 빈펠리트(200)중의 하나를 승강대(310)상에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장치(300) 및 이송장치(400)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왼쪽의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펠리트(200)를 수용할 경우, 상기 승강대(310)을 상TNF한 최상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로, 이송장치(400)의 구동용모우터(M2)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설명한 요령으로 제2아암(440), 제3아암(460)을 도면에서 왼쪽방향으로 향해서 돌출시킨다. 그리고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하면, 제3아암(460)의 길이방향 왼쪽에 배설한 계합장치(500)의 수압부재(509)가 수용랙(100')쪽의 스토퍼부재(110)와 당접해서 상대적으로 압압되게 됨으로서 계지판(503)이 60°소정방향으로 회전해서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의 계합되고, 스토퍼부재(110)와의 당접해제에 따라서 30°소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검출기구에 의해서, 상기 신축식아암(410)의 작동이 정지되어 있으며, 또 도시하지 않는 자동로크기구에 의해서, 레일(101)(101)상에서의 펠리트(200)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And one of the
이 상태에서, 이송장치(400)의 구동용모우터(M2)를 경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제3아암(440)(460)을 제1아암(420)상에 복귀시키면 이 제3아암(460)의 퇴입동작에 의해서 계합장치(500)에 의해서 제3아암(460)과 계합상태에 있는 펠리트(200)는,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로부터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승강장치(300)를 작동시켜서, 상기의 승강대(310)를 최하위까지 강하시킨후, 상기 승강장치(300)를 정지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motor M2 of the
이 상태의 승강대(310)상의 펠리트(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로서도 가능하고 있고, 이 상태로부터 다시 자동차(A)를 수용랙(100) 혹은 (100')에 수용하려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승강대(310)상의 펠리트(200)에 자동차(A)를 정차시킨후, 승강장치(300) 및 이송장치(400)를 작동시켜서 상기 펠리트(200)를 자동차(A)와 함께 본래의 위치 즉,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상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하강시킬때에는, 상기 수용랙(100)(100')의 빈펠리트(200)중의 하나를 승강대(310)상에 이동시키고나서 강하시킨다.The
그리고, 상기 조작을 반복하여, 각 수용랙(100)(100')의 모든 단에 자동차(A)가 수용되면, 상기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강화시키고, 그리고 수용액(100)(100')의 최하위치에 설치된 예비펠리트(200')의 수용선반 (102)(102')의 어느 것인가로부터 1매의 예비펠리트(200')를 이송장치(400)에 의해서 승강대(310)상에 이동시키고, 이 예비펠리트(200')를 통로로서 이용한다.And, by repeating the operation, if the car (A) is accommodated in all the ends of each receiving rack (100) (100 '), the
한편, 상기 수용랙(100)(100')으로부터 소망의 자동차(A)를 인출한 경우, 예를들면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에 수용된 자동차(A)를 꺼낼경우는, 먼저 이송장치(400)를 작동시켜서, 승강대(310)상의 예비펠리트(200')를 본래의 수용선반(102) 혹은 (102')에 이송해서 수용한 후, 승강장치(300)를 작동시켜 소망의 자동차(A)를 수용한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높이까지 승강대(310)를 상승시킨다. 다음에 이송장치(400)를 작동시켜서 제3아암(440) 및 제2아암(430)을 상기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을 향해서 제1아암(420)으로부터 신장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ired vehicle A is withdrawn from th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하면, 제3아암(460)의 길이방향 오른쪽에 배설된 계합장치(500)가 작동해서, 계지판(503)이 60°, 다시 30°소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와 계합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후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해서 제2,제3아암(440(460)을 제1아암(420)상에 복귀시킴으로서, 상기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상으로부터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상에 자동차(A)를 재치한 펠리트(200)를 이동시켜서, 승강장치(300)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의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강하시킨다. 그 후에는, 이 펠리트(200)상으로부터 자동차(A)를 발진시키면 된다.Thereafter, the second and
이 상태로부터 다시 자동차(A)를 수용랙(100)(100')으로부터 인출한 경우는, 상기 상태에서 승강대(310)상에 재치되어 있는 빈 펠리트(200)를 원위치 즉,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으로 이송한 후, 소망의 자동차(A)가 수용된 수용랙(100)혹은 (100')의 단의 높이까지, 상기 승강대(310)를 이동시키고, 소망의 자동차(A)가 재치되어 있는 펠리트(200)를 이송장치(400)에 의해서 승강대(310)상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강하시킨후, 자동차(A)를 펠리트(200)로부터 발진시키면 된다.When the vehicle A is again taken out from the
이후는 S, 이상의 조작에 의해서 적절히 수용랙(100)(100')에 대한 자동차의 수용 및 인출을 행하면 된다.Thereafter, S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accommodated and taken out of the vehicle to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수용랙(100)(100')은 3단식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는 3단식의 수용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워주차등, 10단, 20단 쌓는 수용의 주차장치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랙(100)(100')을 복수조, 제2도의 폭방향으로 연결해서 이용하여, 복수의 열로 연결한 경우, 리프터, 시프터가 부착된 전용주행대차를 수용랙 중앙부에 평행하게 뻗게하여, 수용시간의 단축과 사람이 랙중앙부를 빠져나오는 시간이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할수 있다. 또 제2도에서 종방향으로 리프터를 설치할 경우는, 좁은 도로등의 자동차수납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종형수납에도 이상과 같은 횡형수납과 마찬가지로, 이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또 수납대상물은 자동차에 한정되지않으며, 자동창고로서, 중량물등의 수납장치로 이용해도 된다. 또, 승강장치(300)를 배설한 쪽의 수용랙(100)만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each of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대(310)는 모우터(M1)의 구동력에 의해서 스프로킷(351)(351')과 체인(353)(353')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M1)는 유압모우터등이어도 되며, 또 이 모우터(M1)로부터 승강대(310)로의 구동전달수단은 상기와 같은 체인전동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수용랙(100)쪽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랙을 설치하고, 승강대(310)쪽에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 및 피니언의 구동용모우터를 설치하여, 이랙과 피니언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기 승강대(310)를 상승,하강시키도록 한 것이어도 되고, 또 타단의 주차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와 같이 와이어로우프를 사용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장치(400)의 다단식의 신축식아암(410)은, 체인(422)(422),(447)과 체인랙(431)(431),(448)(448)…,(462)(462)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는, 랙과 피니언기구에 의해서 상기 신축식아암(410)을 신축시키도록 해도 되며, 또 신축식아암(410)을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등을 사용해서 승강대(310)와 수용랙(100)(100')과의 사이에서 상기 펠리트(200)를 이송변환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multi-stag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자동차를 재치하고, 이 자동차를 펠리트와 함께 승강장치에 의해서 수용랙의 소정의 단의 높이까지 상승강하시킨 후, 이송장치에 의해서 승강대와 수용랙 사이에서, 상기 펠리트를 이송변환하도록 해서 각 수용랙의 각단에 대해서 자동차를 출입하도록 하였으므로, 자동차의 출입에 있어서 1대의 자동차를 이동시킬뿐 이므로, 에너지절약화가 도모되고, 구동장치도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값이 싸고, 입지조건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수용랙의 단(段)수나, 수용랙수를 변경해서 자동차의 수용대수를 용이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상기 승강대의 최강하위치에 있어서, 이 승강대상에 빈 펠리트를 재치해 놓으면, 이 펠리트를 통로로해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대를 대기시켜 놓기 위한 특별한 공간이 불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placed, and the vehicle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to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torage rack by the lifting device, and then the lifting table and the receiving device are transferred by the transfer device. Since the pellets are transferred between the racks so that the cars can be moved in and out at each end of each receiving rack, only one car is moved in and out of the cars, thereby saving energy and driving the drive. Can be used. In addition, since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i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light in weight and inexpensive, and the number of storage racks or the number of storage racks is chan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ocation conditions so as to accommodate the number of automobiles. It can be easily increased or decreased.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assage when the empty pellets are placed on the lifting target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platform, so that the platform can be placed in a special space for waiting the platform. This is un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축의 직선운동으로부터 계지판의 회전운동으로의 변환이 간단한 구조의 계합장치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현되고, 펠리트와 이송장치와의 계합, 이탈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적으로 유리한 계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ion from the linear movement of the main shaf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cking plate is easily realized by the engagement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the engagement and separation of the pellets and the transfer device can be reliably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gaging devic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quipment.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7-66654 | 1987-03-19 | ||
JP62066654A JPS63277377A (en) | 1987-03-19 | 1987-03-19 | Sky parking device |
JP62-66654 | 1987-03-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1434A KR880011434A (en) | 1988-10-28 |
KR910008093B1 true KR910008093B1 (en) | 1991-10-07 |
Family
ID=1332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8595A KR910008093B1 (en) | 1987-03-19 | 1987-08-05 |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3277377A (en) |
KR (1) | KR9100080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643379C1 (en) * | 2017-02-27 | 2018-02-01 |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сипенко | Device for moving car |
-
1987
- 1987-03-19 JP JP62066654A patent/JPS63277377A/en active Granted
- 1987-08-05 KR KR1019870008595A patent/KR91000809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419353B2 (en) | 1992-03-30 |
JPS63277377A (en) | 1988-11-15 |
KR880011434A (en) | 1988-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60130A (en) |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
US4358239A (en) | Warehouse crane including inclinable tote pan puller | |
CN1049036C (en) | Motor vehicle parking device | |
US5618149A (en) | Vehicle elevator | |
JP3314325B2 (en) | Article storage facility | |
EP0544990A1 (en) | Multistory multicolumn storing installation | |
KR910008093B1 (en) |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 |
US3486653A (en) | Extractor mechanism for a warehouse system | |
US20240017920A1 (en) | Dynamic storage system and methods thereof | |
CN115872078A (en) | Multi-linkage lifting device and transfer robot | |
KR910008114B1 (en) | Device for securing palettes | |
JP2002356205A (en) |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warehouse and its transfer equipment | |
JPS63272704A (en) | Three-dimensional storage warehouse | |
JP3335044B2 (en) | Pallet fall prevention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 |
JPH10238154A (en) | Article storing device | |
JPH0419352B2 (en) | ||
SU1357333A1 (en) | Arrangement for vertical motion of load-lifting mechanism | |
JPH0689612B2 (en) | Multi-level parking device | |
JPH0647097Y2 (en) | Elevator slide type parking device | |
AU679950B2 (en) | Vehicle elevator | |
JP2790012B2 (en) | Elevator parking equipment, etc. | |
JPH0913731A (en) | Multi-story parking lot | |
JPS6114521Y2 (en) | ||
CN112978412A (en) | Loading device | |
JPH11280286A (en) | Device for positioning lift table of mechanical multistoried par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