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1035Y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35Y1
KR900001035Y1 KR2019870010760U KR870010760U KR900001035Y1 KR 900001035 Y1 KR900001035 Y1 KR 900001035Y1 KR 2019870010760 U KR2019870010760 U KR 2019870010760U KR 870010760 U KR870010760 U KR 870010760U KR 900001035 Y1 KR900001035 Y1 KR 900001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mbrella
inner tube
spring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019U (ko
Inventor
윤복식
Original Assignee
윤복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복식 filed Critical 윤복식
Priority to KR2019870010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035Y1/ko
Publication of KR890002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산
제1도는 본 고안 우산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 표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우산의 자동 펄쳐침 동작 초기 상태(내부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표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우산의 외부 스프링이 압축되어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 우산의 자동접힘동작 후 본래의 접힌 상태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내관 2 : 중앙관
3 : 외부관 4∼6 : 노치
7 : 하부내관 8 : 손잡이
9 : 축 11 : 주살대
12, 13 : 펼침살 14 : 우산틀
15 : 제1스프링 16 : 제2스프링
17 : 푸시레버 18 : 잠금부재
19, 24 : 개방부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이로서, 특히 자체적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것이 가능한 자동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자동 우산에는 단지 자동적으로 우산을 펼치는 기능만이 갖추어저 있을 뿐 자동으로 우산을 접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 우산을 접기 위해서는 한손으로 우산의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우산축을 따라 우산의 소자를 미끄러지게 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우산을 접었다.
이러한 접는 소자는 고정수단이 해제될때 펴지게 끔 압력을 주는 스프링의 힘에 대향해서 미끄러져야만 하므로 접을때에는 어느정도 힘이 든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우산은 사용시에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최대한으로 제공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자동 우산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우산을 펼치는 동작뿐만 아니라 접는 동작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상 매우 편리한 우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7), 중앙관(2) 및 외부관(3)으로 포개지는축(9)을 구성하되 중앙관(2)은 외부관(3)내에서 또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7)은 중앙관(2)내에서 미끌어지면서 이동 될 수 있도륵 설치하고,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7)사이에는 제1스프링(15)을 맞닿게 끼워 하부내관(7)의 하단부에 손잡이(8)를 부착설치하며, 상기 관(1)(2)(3)의 일측 선단부에 노치(4)(5)(6)를 각각 형성하여 노치(4)에 부착되는 주살대(11)와 노치(5)(6)에 축(9)을 중심으로 부착되는 펼침살(12)(13)이 우산천을 지지하도록 우산틀(14)을 형성하고, 중앙관(2)의 외주에 제2스프링(16)을 동축으로 설치하되 양 노치(5)(6)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 중앙관(2)과 하부내관(7)에 각각 형성한 개방부(19)(24)를 통하여 잠금작용을 하는 잠금부재(18)를 푸시레버(17)와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8)측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 우산의 자동개폐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는 우산의 접힌상태를 나타낸 단면표시 측면도로서, 제1도에 도시한 접힌상태의 우산을 펼치고자 할경우에 사용자는 우산의 손잡이(8)를 잡고 우산의 머리부분(A)를 땅바닥 등에 접속시켜 밀어주게 되는바, 그렇게 하면 제1스프링(15)에는 제1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a,b)으로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게 되어 제 1스프링(15)이 압축되면서 중앙관(2)에 홈으로 형성시킨 개방부(19)가 잠금부재(18)에 접근되고, 결국 개방부(19)가 잠금부재(18)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며, 잠금부재(18)가 개방부(19)에 끼워지게 되어 잠금상태로 된다.(제2도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잠금상태를 될때까지만 우산에 힘을 가해주고 이어 사용자는 땅바닥등에 접속된 우산의 머리부분(A)이 땅바닥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그러면 이때부터 즉, 우산의 머리 부분(A)이 땅바닥에서 떨어진 순간부터 우산의 자동펼쳐짐 동작이 시작되는바. 압축된 제1스프링(15)은 이완되게 되는데, 중앙관(2)이 개방부(19)를 통해 잠금부재(1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스프링(15)은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빙향(b')으로는 이완 될 수 없고, 화살표방향(a')으로만 이완된다.
그에 따라 제1스프링(15)의 이완력은 상부내관(1)을 화살표방향(a')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부내관(1)이 손잡이(8)측와 대향하는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내관(1)의 이동은 상부내관(1)의 노치(4)에 연결된 주살대(11)와 필침살(12)(13)을 통해 외부관(3)의 선단부에 설치된 노치(6)를 화살표방향(a')으로 끌어 당겨주게 된다.
그런데 제1스프링(15)이 탄성력을 중앙관(2)의 외주에 동축으로 설치한 노치(5)(6)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프링(16)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사용하므로 상기 노치(6)의 화살표방향(a')이동은 중앙관(2)이 개방부(19)를 통해 잠금 부재(18)에 고정되어 있어서 제2스프링(16)을 압축시켜 주게 된다.
그에 따라 제2스프링 (16)의 압축되면서 상부내관(1)의 노치(4)와 중앙관(2)의 노치(5)가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제3도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우산은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다음 펼쳐진 우산(제3도)을 접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8)측에 잠금부재(18)와 일체로 형성되어있는 푸시레버(17)를 눌러주게 되는데, 그렇게 하면 푸시레버(17)가 눌러짐과 동시에 잠금부재(18)가 중앙관(2)의 개방부(19)로 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때에는 제1스프링(15)이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해 제2스프링(15)을 압축시키기 않는 한 상부 내관(1)은 화살표 방향(a)으로 움직이지않아 상부내관(1)의 노치(4)에 연결된 주 살대(11)가 펼침살(12)(13)을 통해 외부관(3)의 노치(6)를 화살표방향(b)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중앙관(2)의 개방부(19)가 잠금부재(l8)로 부터 이탈되면, 제2스프링(16)만의 이완력에 의해 중앙관(2)이 화살표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중앙관(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5)도 화살표방향(b)으로 이동하게 되어 노치(5)에 연결된 펼침살(12)에 의해 주살대(11)가 접혀지게 된다.
이러한동작은 상기 중앙관(2)의 노치(5)가 상부내관(1)의 노치(4)에 접속될매 까지 계속되며, 노치(5)가 노치(4)에 접속되면 제2스프링(16)은 완전히 이완된 상태로 되고, 우산은 완전히 접혀지게 되어 제4도의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서로 미끄러질 수 있게 외부관과 중앙관 및 2개의 내부관을 형성하고, 상분관과 외부관 및 중앙관의 단부에 노치를 형성하여 주살대와 편심살을 끼우게 하고 2개의 내부관 사이에는 단부에 대항되게 스프링을 장설하고, 중앙관과 외부관의 노치 사이에 스프링을 장설하고, 중앙관과 외부관의 노치 사이에 스프링을 장설하므로서 2개의 내부관 사이의 스프링은 우산을 펼치게 하고, 중앙관과 외부관사이의 스프링은 우산을 접게하는 작용을 하므로서 간편한 구조와 작동에 의해 우산을 펼쳤다가 접는 것이 자재로운 자동 우산을 제공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외부관(3)관 중앙관(4), 상부내관(1) 및 하부내관(7)으로 포개지는 축(9)을 구성하되 중앙관(3)은 외부관(3)내에서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7)은 중앙관(2)내에서 미끌어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7)사이에는 제1스프링(15)을 맞닿게 끼우고 상기 관(1)(2)(3)의 일측 선단부에 3개의 노치(4)(5)(6)를 각각 형성하여 주살대(11)의 대부분은 노치(4)에 부착되어 노치(5)(6)에 축(9)을 중심으로 부착된 펼침살(12)(23)에 의하여 지지되게 하며, 제2스프핑(16)은 중앙관(2)의 외주에 봉축으로 설치하되 상기 양노치(5)(6)사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관(7)(2)에 각각 형성한 개방부(24)(19)를 통하여 잠금작용을 하는 잠금부재(18)를 형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2019870010760U 1987-07-01 1987-07-01 우산 KR900001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760U KR900001035Y1 (ko) 1987-07-01 1987-07-01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760U KR900001035Y1 (ko) 1987-07-01 1987-07-01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019U KR890002019U (ko) 1989-03-25
KR900001035Y1 true KR900001035Y1 (ko) 1990-02-15

Family

ID=1926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760U KR900001035Y1 (ko) 1987-07-01 1987-07-01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0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019U (ko) 198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7012B1 (en) Lower joint folding preventing device for one touch type dome shaped tent
US5704164A (en) Foldable fence
EP0291589B1 (en)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US4421133A (en) Umbrella
US3856030A (en) Automa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umbrella
WO1998011821A8 (en) Lancet device
US5551463A (en) Skeleton for a telescopic umbrella
US5253666A (en) Umbrella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thout use of spring latches
US5036872A (en) Self-opening and self-closing umbrella
KR900001035Y1 (ko) 우산
GB2319724A (en) Resilient connector for elongate articles
EP0465706A1 (en) Improved structure of triple-folding umbrella skeleton
US2816560A (en) Self-closing umbrella frame
AU658350B1 (en) Simplified fully automatic umbrella
KR920005787Y1 (ko) 자동우산
KR970009876B1 (ko) 전자동식 우산
US4479504A (en) Release device of double-shade umbrella
US2509887A (en) Umbrella
CN2311592Y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杆状构件折叠机构
KR960005352Y1 (ko) 자동우산
GB2229093A (en) Self-opening umbrella frame
KR930007010Y1 (ko) 절첩식 합성수지제 우산
KR200148800Y1 (ko) 자동개폐식 우산
CN218790946U (zh) 开伞省力的伞具
KR200172863Y1 (ko) 자동으로 펴고 접는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