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254B1 -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0254B1 KR900000254B1 KR1019870004573A KR870004573A KR900000254B1 KR 900000254 B1 KR900000254 B1 KR 900000254B1 KR 1019870004573 A KR1019870004573 A KR 1019870004573A KR 870004573 A KR870004573 A KR 870004573A KR 900000254 B1 KR900000254 B1 KR 900000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pin
- solution
- temperature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3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3086 cellulose eth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248 thermal ge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340 Microbia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 hydroxy but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768 hydroxy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3820 alk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GAWIXWVDTYZWAW-UHFFFAOYSA-N C[CH]O Chemical group C[CH]O GAWIXWVDTYZWA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9 Hydroxyeth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8902 Lemur cat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LKMEIITONDPGG-UHFFFAOYSA-L barium(2+);2-hydroxypropanoate Chemical compound [Ba+2].CC(O)C([O-])=O.CC(O)C([O-])=O HLKMEIITONDPG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81 carboxy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821 hydroxy alk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676 hydroxyprop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RVDJDISBSALJP-UHFFFAOYSA-N methyloxidanyl Chemical group [O]C GRVDJDISBSAL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26 pharmaceutical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49 vacuum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7—Manufacturing capsule sh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37—Processes and molds for making caps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4—Capsule ma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Elastic joining of parts
- Y10T29/49872—Confining elastic part in so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의 제조장치의 일부 단면 정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상기 장치의 일부 단면 우측면도.
제3도는 상기 장치의 일부 단면 후면도.
제4도는 제1a도 및 제3도의 IV-IV방향도.
제5도는 상기 장치에 의한 제조공정의 후로우챠트도.
제6도는 캅셀핀의 사시도.
제7도는 회전통의 단면도.
제8도는 장치의 일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9도는 그 IX-IX방향도.
제10도는 에아닛퍼의 사시도.
제11도는 에아닛퍼의 상면도.
제12도는 캅셀의 취출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13도는 장치의 일부 동작상태 설명도.
제14도는 캅셀의 감합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15도는 그리싱 장치의 단면도.
제16도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의 브록도.
제17a도, b도, c도는 제어회로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후로우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 캅셀 2 : 캅셀핀
3 : 원체용액 4 : 용기
5, 7 : 엘리베이터 6 : 온수조
8 : 건조 챔버 9 : 취출기구
10 : 공기압 피스톤 11 : 회전통
12, 14, 18, 20, 24, 36 : 리니어 모타 16, 22, 28 : 회전모타
26 : 전자마그넷트 30, 34 : 유압램
32 : 에어닛퍼 38 : 자형
43 : 캇타 나이프 44 : 감합치구
47 : 그리싱 장치 48 : 샷시
50 : 핀대좌 102-130 : 센사
199, 200 : 온도조절 제어기 201-250 : 프로그램의 각스텝
본 발명은 의약용 경질 캅셀의 양산에 적합한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의약용 경집 캅셀의 원체재질은 제라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약제성분과 상호 작용이나 보존, 취급상에서 캅셀의 수분관리가 복잡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제라틴 캅셀을 개량하는 목적은 알킬기 혹은 하이드록시 알킬기로 치환된 셀루로우즈 에스텔을 사용하고, 가열용융성형하는 방법(미국 특허 제 2810659호), 유기용제용액[일본 특허공고 소화 제47-5116호(미국 특허 제3493407호)]으로서 혹은 수용액[미국 특허 제2526683호, 일본 특허공고 소화 제47-4310호(미국 특허 제3617588호), 일본 특허공개 소화 제51-76417호(미국 특허 제4001211호)]으로서 성형핀을 침지하고 피복성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가열용융성형하는 방법으로는 균질한 캅셀을 만들기가 어렵고 또 성형시의 열 때문에 황색이나 갈색으로 변색하기 쉽다. 유기용제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으로는 용제의 취급이 복잡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용제가 잔존할 염려가 있다. 또한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으로는 성형핀을 뽑아 올린후 핀에 부착한 셀루로우즈 에스텔 수용액이 흘러 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의 막을 갖는 캅셀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그 개량방법으로서 성형핀을 미리 가열하고, 핀의 표면에 셀루로우즈 에스텔 수용액을 겔화시켜서 고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그 온도가 낮으면 효과가 충분치 못하고, 또 높으면 건조시에 캅셀에 주름이 생기기 쉬운 결정이 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미국 특허 제1787777호 명세서에는 캅셀의 제조장치가 처음 설명 실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의 의약용 경질 캅셀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셀루로우즈 에텔 수용액에서 캅셀을 성형하는 방법을 주의 검토한 결과 막두께가 균일한 주름이 없는 의약용 경질 캅셀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창작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발명은 열겔화성물질의 용액에 캅셀핀을 침지시키므로써 캅셀핀을 그 용액의 열겔화 온도보다 높은 온도분위기 내에 체류시켜 캅셀핀에 부착된 열겔화성 물질의 수용액을 겔화한 뒤, 건조하는 의약용 경집 캅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발명은 열겔화성물질의 용액에 캅셀핀을 침지하므로써 캅셀핀을 적어도 180도 상하 반전시킨 뒤 캅셀핀을 그 용액의 열겔화 온도보다 높은 온도분위기 내에 체류시켜 캅셀핀에 부착된 열겔화성물질의 수용액을 겔화후 건조하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또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로 제1a, b도, 제2a, b도, 제3a, b도, 제4도의 부호를 따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순회하는 캅셀핀 2와 캅셀 1을 구성하는 원체용액 3이 들어있는 용기 4와, 그 원체용액 3에 캅셀핀 2를 침지하여 부착시키는 기구 5, 12와 내부가 원체용액의 겔화온도 이상에서 제어되는 조 6과 원체용액이 부착된 캅셀핀 2를 그 조 6내에 체류시키는 기구 7, 18과, 캅셀핀 2에 부착한 원체용액의 용매를 건조하는 장치 8과, 캅셀핀 2에 부착하여 건조한 원체로된 캅셀 1을 캅셀핀 2에서 취출하는 기구 9로 이루어지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발명은 순회하는 캅셀핀 2와, 캅셀 1을 구성하는 원체용액 3이 들어있는 용기 4와, 그 원체용액 3에 캅셀핀 2을 침지하여 원체용액을 부착시키는 기구 5, 12와 원체용액이 부착된 캅셀핀 2를 반전시킨 기구 11, 16과, 내부가 원체용액의 겔화 온도이상으로 제어된 조 6과, 원체용액이 부착된 캅셀핀 2를 그 조 6내에 체류시킨 기구 7, 18과, 캅셀핀 2에 부착한 원체용액의 용매를 건조하는 장치 8과, 캅셀핀 2에 부착하고 건조한 원체로된 캅셀 1을 캅셀핀 2로부터 취출하는 기구 9를 갖고 있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에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공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정은 ①캅셀핀의 그리싱 공정→②캅셀핀을 침지액에 침지,인상하는 공정→③캅셀핀의 회전 침지액 부착의 균일화 공정→④캅셀핀을 열수중에 침지, 인상하는 공정→⑤건조 공정→⑥이형 공정을 거쳐 ⑦제단 공정→⑧감합 공정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첫 번째 발명의 공정은, 상기의 공정에서 ③캅셀핀의 회전 공정을 제외한 것이다. 이들 공정에서 캅셀핀은 ①의 공정에서 ⑥의 공정까지 끝내면 다시 ①의 공정으로 돌아가 반복순회한다. 또 제조장치는 상기 ①에서 ⑦의 동일 공정을 거치는 2계열의 장치를 갖고 있고 2계열의 장치에서 제조된 직경이 다른 캅셀 2개, 한쌍을 결합하여 캅셀이 완성된다. 침지액을 구성하는 열겔화성물질의 용액은 가령 메칠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 에칠 메칠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매칠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 부칠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 에칠 에칠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 에칠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칠 셀루로우즈 드으로 예시되는 알킬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 알킬 셀루로우즈 및 하이드록시 알킬 알킬 셀루로우즈가 포함된다. 이들 셀루로우즈 에텔은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는 통상 글리코우스 단위당의 치환기(알킬기, 하이드록시 알킬기)의 몰수가 1.4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수용액으로 한때의 점도에 대해서는 특히 제어된 것은 아니지만 2%수용액의 20℃에 있어서 점도로 2-20선치포이즈의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보다 고점도의 것은 침지욕의 농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 조작이 곤란한 불편이 있다. 셀루로우즈 에스텔은 비이온성의 것인 제약성분과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그러나 카복시알킬기등의 이온성의 치환기를 도입한 유도체는 약제와 반응하여 이것을 변질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할 수는 없다.
캅셀을 제조하는 구체적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셀루로우즈 에텔을 소정의 농도로 용해한다. 이 경우 수용액은 대개 농도 10-30%, 점도 1000-15000센치 포이즈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도, 점도가 너무 낮으면 막 두께가 얇아지고, 너무 높은 경우에는 조작이 곤란하다. 다음에 수용액은 방치 혹은 감압등의 조작에 의해 충분하게 탈포한 후에 적당하게 가온된 이 수용액(침지액)중에 캅셀핀을 침지하고 소정시간 유지한 뒤 인상한다. 더욱이 캅셀핀은 통상상온에서 사용되지만, 막두께의 미세한 조정등을 위해서 미리 예열해도 상관없다. 잇따라서 침지액의 열겔화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수중에 침지하고 셀루로우즈 에텔 수용액을 겔화한 후 건조기로 건조한다. 건조한 성형물은 핀에서 취출한 뒤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보디부를 만든다. 다른 한편 똑같은 방법으로 보디부 보다도 약간 큰 캡부를 만들고, 캡과 보디를 감합하므로서 의약용 캅셀을 만든다. 더욱이 캅셀기제에는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가해도 지장이 없고 이 첨가제로서는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개질제, 글리세틴, 솔비틀, 마니틀, 쇼당, 폴리에칠렌, 그리콜과 같은 가소제, 산화티탄, 유산바리움, 침강탄산칼슘등의 차광제, 수용성 색소, 레이크 섹소등의 착색제가 예시된다. 또 핀에서 캅셀 성형물의 취출을 쉽게하기 위해서 핀의 표면에 면실유, 유동파라핀등의 이형재를 핀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제조장치의 한 실시예가 제1a, b도, 제2a, b도, 제3도, 제4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은 상기 2계열의 장치중 1계열만을 표시하고, 다른 1계열의 장치와의 차이점은 좌우가 대칭형인 것, 캅셀핀의 칫수가 약간 차이가 있고 만들어진 캅셀의 치수가 감합하고 저하는 치수관계로 되어 있는 점이다. 따라서 1계열의 장치만을 설명하면 다른 1계열의 장치도 상세히 이해할 수 있다.
제1a도(IA-IA), 및 제1b도(IB-IB)는 장치의 일부 단면 정면도로서, 서로 연속하고, 제2a도 및 제4도에 표시한 화살표 IA, IB-IA, IB방향의 도면이다. 제2a도(IIA-IIA) 및 제2b도(IIB-IIB)는, 제1b도 및 제3도에 표시한 화살표 IIA, IIB-IIA, IIB방향의 단면도로, 서로 연속한다.
제3도(III-III)는 제2b도 및 제4도에 표시한 화살표 III-III방향의 도면이다. 제4도(IV-IV)는 제1a도 및 제3도에 표시한 화살표 IV-IV방향의 도면이다. 즉, 이들의 도면에 표시한 장치의 평면배치는 제1a도 및 제1b도로 표시된 부분, 제2a도 및 제2b도로 표시되는 부분, 제3도로 표시되는 부분, 제4도로 표시되는 부분에 의해 대략 4변형으로 된다. 이 4변형에 따라 캅셀핀이 반송되어 순회를 계속하면 캅셀이 제조된다. 캅셀핀은 제6도에 표시와 같이 대좌 50으로 복수개 나란히 고정설치되어 있고 개개의 핀 2는 잘 갈아져서 선단부가 반구형으로 되어 있다. 표면을 미끌어지도록 멕키를 해도 좋다. 또 대좌 50은 가령 자성 스태인레스나 칠에 멕키를 칠한 것등 녹슬지 않는 자석에 의한 흡인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있다. 캅셀핀 2는 순회하고 캅셀 1이 끊일사이 없이 제조되어 가므로 공정의 시점이라는 것은 억지로 설정할 필요는 없으나 그리싱이 끝난 캅셀핀 2이 침지액에 침지되어가는 기구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캅셀핀 2는 대좌 50이 하면이 도면의 안쪽과 앞쪽에서 안내대 51에 지지되고, 하향으로 되어있다. 이 상태의 핀 대좌 50을 누르는 위치로 공기 압력 피스톤 10이 배치되어 있다. 또 안내대 51에는 핀대좌 50을 검지하는 센사 102가 취부되어있다. 안내대 51에 인접결합하여 엘리베이터 5는 상부 샷시 48에 취부된 리니어 모터 12의 구동축 55에 연결되고, 리니어 모터 12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인다. 엘리베이터 5의 형상은 좌우 및 아래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태이고, 하부에는 도면의 안쪽과 앞쪽에서 핀대좌 50을 지지하는 반환대 56이 돌출되어 있다. 반환대 56에는 핀대좌 50을 5개 놓은 것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5는 이 위치 (홈 포지션)에 있을 때, 공기 압력 피스톤 10의 프란쟈 53이 핀대좌 50을 누르면 안내대 51에서 핀대좌 50은 반환대 56의 위로 이동하여 간다. 엘리베이터 5의 하방에는 용기 4가 배치되고, 그 안에는 열겔화성 비이온 셀루로우즈 에텔(원체)의 수용액(침지액) 3이 들어있다. 용기 4내에는 절연히타 58과 열전대 59가 배치되고 온조기 200에 접속되어 있고 또 마그네트 스터러 60가 배치되어 수용액 3을 교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용액 3의 온도는 균일하게 되어 있다. 온조기 200은 가령 PID제어등 공지의 제어방식의 장치가 사용된다. 또 용기 4에는 엘리베이터 5를 검지하는 센사 104가 취부되어 있다. 여기서 캅셀핀을 침지액에 침지, 인상공정이 실시된다.
상부 샷시 48에는 리니어 모타 14가 배설되어 있고, 그 구동축 62에는 누름막대 62a 및 62b가 축지되어 있다. 누름막대 62a 및 62b에는 스톱퍼 63이 각각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다. 구동축 62는 실선표시의 위치(홈 포지션)에서 엘리베이터 5의 안까지 들어가 있고, 누름막대 62a는 엘리베이터 5내의 안내대 51폭의 끝에 있는 핀대좌 50에 당접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5에서 서로 이웃하여 회전통 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통 11은 제7도(VII-VII단면도)에 표시함과 같이 내벽에 핀대좌 50이 습동가능한 대향한 홈 11a와 홈 11b가 설치되어 있고 핀대좌 50을 지탱할 수 있다. 외주는 축받이 6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외주 기아 66이 모타 16의 구동기아 67과 맞물고 있다. 도시한 상태로 홈 11a과 홈 11b가 핀대좌 50을 지지하는 면은, 엘리베이터 5의 홈포지션에서의 반환대 56의 상면과 일치하고 있고, 엘리베이터 5내의 핀대좌 50의 누름막대 62a에 눌리면, 미끄러들어가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여기에 캅셀핀의 회전, 침지액 부착의 균일화 공정이 된다. 회전통 11의 옆에는 제1b도에 표시함과 같이 엘리베이터 7이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7에는 샷시 48에 취부되거나 리니어 모타 18의 구동축 69에 연결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7의 형상은 먼저 설명한 엘리베이터 5와 동일하다. 엘리베이터 7이 이 홈포지션에 있을 때, 반환대 70의 상면과, 회전통 11의 홈 11a 및 11b가 핀대좌 50을 지지하는 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통 11내의 핀대좌 50이 누름막대 62b로 눌리면 엘리베이터 7내로 미끄러져 들어온다. 또 엘리베이터 7의 끝에는 누름막대 62b를 검지하는 센사 106이 취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7의 하방에는 온수조 6이 배치되어 있다. 온수조 6내에는, 전열히타 72와 전열대 73이 배치되어 온도조절 제어기 199에 접속되어 있고 다시 마그네트 스터러 75가 배치되어 교반하고, 온도가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 온수조 6에는 엘리베이터 7을 검지하는 센사 108이 취부되어 있다. 여기서 캅셀핀을 열수중에 침지, 인상(담갔다 뺐다) 공정이 실시되어 캅셀핀에 부착된 침지액의 겔화가 촉진되어, 캅셀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7의 옆에는 벨트 콘베아 77이 배설되어 있어 그 위에는 반송가(搬送架) 78을 올려놓을 수 있다. 반송가 78의 재치면과 엘리베이터 7의 반환대 70의 상면과는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리니어 모타 20의 축 80에 취부된 돌기부의 막대 81로 엘리베이터 7에 있는 핀대좌 50을 반송가 78의 위로 당겨 옮길 수가 있다. 벨트 콘베아 77의 움직이지 않은 부분에는 반송가 78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사 112가 취부되어 있다.
제2a 및 b도에 표시와 같이, 핀대좌 50이 실린 반송가 78은, 벨트 콘베아 77에 의하여 건조 챔버 8의 내를 통과한다. 건조 챔버 8내에는, 측면에 구멍이 뚫린 파이프 82가 배관되어 있고, 그 파이프 82에는 약 50℃의 건조한 공기가 보내져오고 있다. 여기에서 건조 공정이 실시된다. 더욱이 벨트 콘베아 77은 모타 22에 의하여 구동되어, 반송가 78을 제2a도의 P의 위치에서 제2b도의 Q의 위치까지 반송한다. Q의 위치까지 반송된 때의 핀대좌 60을 검출하는 센사 1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가 78은 P의 위치에서 Q의 위치까지 핀대좌 50을 반송하면, 뒤에 설명하는 기구에 의하여 핀대좌 50을 내려, Q의 위치에서 P의 위치까지 돌릴 필요가 있다. 이 수단은 별도로 콘베아를 설치하여도 좋고, 반송가 78을 벨트 콘베아 77에 고정하여 벨트 콘베아 77의 밀 공간은 반송가 78이 통할 수 있도록 비워 두어도 좋다. 물론, 손작업으로 돌려도 좋다.
제3도에 표시함과 같이 반송가 78에 재치되어 반송된 핀대좌 50은, 리니어 모타 24의 축 83에 눌리어 구배가진 반송 굴림대 84의 위를 계속 차례로 낙하하여 가고, 도시한 상태에서는 전자 마그네트 26에 닿아 머물고 있으나, 후술하는 기구에 의하여 전자 마그넷트 26이 회동하여 퇴거하면, 정치대 85에 얹어져 스톱파 86에 의하여 정지한다. 그 위치에는 핀대좌 50을 검출하는 센사 116이 설치되어 있다. 정치대 85의 상부에는, 핀대좌 50의 길이와 거의 같은 정도의 간격을 열어 2매의 회전판 88이 회전측 88a를 공통으로 하여 지지되어 있다. 회전판 88은 모타 28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한다. 회전판 88의 2매의 사이에는 다리가 걸친 듯이 전자 마그넷트 26이 취부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트 26이 아래에 있을 때 전자 마그넷트 26이 정치대 85위의 핀대좌 50을 흡상하여 회전하여가고 한편 전자 마그넷트 26이 위엥 있을 때(1/2회전하고 있을 때) 오른편 옆에 있을 때(3/4회전하고 있을 때) 각각 검지하는 센사 128, 센사 116, 센사 126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트 26이 핀대좌 50을 흡인하여, 회전판 88이 회전하여, 핀대좌 50이 바로위에 있을 때 이형 공정이 행하여져 간다.
회전판 88의 상방에는, 이형 공정, 재단 공정, 감합 공정을 실시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형 공정의 기구에는 유압램 30과 에어닙퍼 32가 사용된다. 유압실린다 30a에 의하여 유압램 30이 흡인된 상태에서는 회동부재 91은, 유압램 30과의 사이에 걸린 스프링 90에 끌려, 회동부재 91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링바 93이 스톱파 92에 당접하여, 유압램 30에 대하여 90도의 방향으로 되어 있다. 유압램 30이 압압되어 하강을 개시하면, 회동부재 91은, 링바 93이 스톱파 92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그 반작용으로 눌리어, 스프링 90의 부설에 대항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곧 회동축 95와 (스프링 용수철) 90의 상대 위치가 바뀌면서 용수철 90에 끌리어 급격히 회동하여, 링바 93이 스톱파 96에 당접하여 유압램 30에 대하여 직선상에 늘어선다. 링바 93이 유압램 30과 직선으로 펴짐을 검출하는 센사 1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유압램 30은 천천히 하강을 계속하여, 정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 핀대좌 50은, 회전판 88에 의하여 반송되어 상부에 있다. 이때의 상태가 제8도에 표시되어 있다. 유압램 30이 정위치까지 하강한 것을 검출하는 센사 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때의 상태의 IX-IX시 방향의 그림은 제9도에 도시하였다. 제9도에 도시함과 같이 회동부재 91에는 틀 98이 취부되어 거기에 에어닙퍼 32가 취부되어 있다. 제10도에 표시함과 같이, 에어닙퍼 32의 닙프부에는 캅셀핀 2의 크기에 맞춘 요부를 가진 치구 32a와 32b가 취부되어 있다. 제10도에 표시하는 상태는 에어닙퍼 32의 공기압이 해제되어 치구 32a와 32b는 열려있는 것이다. 유압램 30이 정위치에서 정지하면 에어닙퍼 32에 공기를 보내면, 치구 32a와 32b가 닫혀 캅셀핀 2의 밑부분을 끼워 문다. 제11도는 이때의 상태의 에어닙퍼 32와 캅셀핀 2의 주변만을 상부에서 본 도면이다.
제9도에 도시함과 같이 틀 98에는 유압실린다 34a와 자형 38이 취부되어 있다. 유압실린다 34a의 유압램 34에는 핀대좌 50상의 캅셀핀 2와 같은 피치의 푸란쟈 40이 취부되어 있다. 또 자형 38에는 같은 핏치의 구멍이 뚤려있다. 그 XII-XII방향단면이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자형 38의 구멍은 도중에 적경이 변하여, 큰 직경의 구멍 38a는 핀 2에 캅셀원체 1이 부착건조한 것이 밀착하여 감합된 형상이고, 가는 형태의 구멍 38b에는 프란쟈 40이 유동자재로 감합되어 있다. 제9도와 같이 치구 32a와 32b가 그 하측(핀 2의 밑부분)을 핀 2에 따라 습동가능하게 끼고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부터 틀 98을 수직으로 올리면 캅셀 1은 자형 38에 박혀 있고 핀 2에서 빠져, 이형 공정이 실시된다. 제8도의 상태에서 유압램 30이 흡인되어 회동부재 91이 수직으로 상승하면, 캅셀 1은 자형 38에 남아있게 되면서 핀 2에서 빠진다. 이때에 에어닛퍼 32를 해제한다. 회동부재 91이 상승함에 따라 링바 93의 사면 93a가 가이드 핀 41에 당접하여 눌려, 스프링 90의 힘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곧 회동축 95와 스프링 90의 상대위치가 변하면 스프링 90에 끌려 급격히 회동하여, 링바 93이 스톱파 92에 당접하여 정지하고 유압램 30에 대하여 90도로 된다.
이때의 일부 단면도가 제13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정위치로 된 것을 검출하는 센사 12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자형 38의 회동괘적의 선단을 살짝 스치는 위치에는 캇터 나이프 43이 배치되어 있고, 캅셀 1의 가장자리를 재단하고 가장자리를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칫수가 같아지게 한다. 자형 38이 이와 같이 회동한 형태에서(제13도 참조) 자형 38에 접하도록 감합치구 44가 배치되어 있다. 감합치구 44는 직경이 다른 구멍이 관통하고 있다. 소직경의 구멍 44a는 캅셀 1이 습동할 수 있는 직경이다. 대직경의 구멍 44b는 상기 설명한 장치와 좌우 대칭형의 장치에 의해 캅셀 1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제조된 캅셀 100이 감합되는 구멍이다. 그리하여 감합치구 44에는 상기와 같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된 캅셀 100이 감합되어 있다. 더욱이 감합치구 44에는 캅셀 100이 감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사 130가 취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유압램 34를 가압하여 누르면 프란쟈 40에 눌린 캅셀 1이 캅셀 100에 감입되고 따라서 제14도에 표시와 같이 감합치구 44에서 압출되어 낙하한다.
한편 제3도에서 회전판 88의 전자 마그네트 26이 위에 있을 때에 핀대좌 50에서 캅셀 1이 취출되고, 회전판 88은 또 1/4회전하여 전자 마그넷트 26은 우횡방향을 향하고, 핀대좌 50은 수치구 45에 대향한다. 수치구 45는 핀대좌 50의 양단에 상단하는 부분에만 수면(受面)을 설치하고, 핀 2가 회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4도 참조) 여기서 전자 마그넷트 26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핀대좌 50을 누르는 리니어 모타 36가 배치되어 있다. 리니어 모타 36이 동작하면 핀대좌 50은 눌려져, 습동레일 46을 거쳐 그리싱 장치 47를 통해 또는 습동레일 49를 통한다.
습동레일 49가 4단절된 곳에는 낙하안내대 54가 배치되고 그 하방에는 안내대 51이 배치되어 있다.(제1a도 참조)그리고 장치 47은 제15도에 표시와 같이 핀 2가 통하는 공간에 부드러운 털의 브러쉬 57가 설치되어 있고, 튜브 61a와 61b에 의해 그리스를 순환해둔다. 그리싱은 캅셀 1을 핀 2에서 뽑기 쉽도록 하는 것으로 그리스로서는 가령 유동파라핀, 식용유, 실리콘 오일등이 적당하다.
상기 장치의 구동제어는 센사 102-130에서 각각 취출을 하면서, 제16도에 표시한 제어회로에 의해 각 구동원을 구동한다. 이 제어회로내의 독출전용 기억회로 ROM에리어에는 제17a도, 제17b도, 제17c도에 후로우챠트로 표시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에 따라 각 스텝 201-250의 구동제어가 된다. 이들 도면의 후로우챠트의 순서에 따라 이하에 각 기구구동을 설명한다. 제17a도에서 회로가 동작을 개시하면, 센사 102가 핀대좌 50의 유무를 검출한다(201). 없으면 검출을 계속하면서 대기하고, 있으면 공기 압력 피스톤 10을 왕복시킨다(202). 왕복의 정도에 핀대좌 50가 1개씩 엘리베이터 5에 운송된다. 공기압 피스톤 10의 왕복을 카우트하여서 5왕복을 했다면(203), 리니어 모타 12를 왕동시킨다(204). 캅셀핀 2가 침지액 3에 침지한 것을 센사 104가 검출하면서(205), 리니어 모타 12를 복동시킨다(206). 다음에 리니어 모타 14를 왕동시키고(207), 센사 106이 누름막대 62a에 눌려 회전통11에 핀대좌 50이 5개 보내지는 것으로 된다.
리니어 모터 14를 복동시키고(209), 복동을 확인하여(210), 누름막대 62b가 다음단계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단계에서 모타 16을 정회수만 회전시키면(211), 회전통 11이 1회전한다. 스텝 207에서 리니어 모터 14가 왕동하므로서, 회전통 11내에 종전부터 있는 핀대좌 50이 누름막대 62b 에 눌려 엘리베이터 7에 운송되고 있으므로, 리니어 모타 18을 왕동시키면(212), 온수조 6에 캅셀핀 2가 침지된다. 센사 108이 캅셀핀 2의 침지를 확인하면서(213) 그 위치에서 리니어 모타 18을 정지시켜 설정시간 a만큼 현위치를 보지시키고(214), 열의 침투를 확실하게 한다. 제어회로에 내장한 클록을 카운트하고(215) 시간T가 a로 되면(216), 리니어 모타 18을 복동시키고(217), 엘리베이타 7을 인상한다.
한편 벨트 콘베어 77의 정위치에 반송가 78이 있는가를 센사 112로 확인하면서(218), 리니어 모타 20을 왕복동시키고(219), 돌기막대 81로 엘리베이타 7내의 핀대좌 50을 반송가 78의 위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제17b도에 표시와 같이 모타 22를 회전시켜 벨트 콘베어 77에서 반송가 78위에 핀대좌 50을 이동시켜가고(220), 건조 챔버 8을 통과한다. 센서 114가 핀대좌 50을 검출하면서(221), 모터 22를 정지시키면 벨트 콘베어 77이 정지한다(222). 여기서 리니어 모타 24를 왕복동시켜 핀대좌 50을 반송대 84의 위로 이송한다.(223) 반송대 84위를 이동하고 있던 핀대좌 50을 센사 116이 검지하면서(224),마그네트 26으로 흡인한다.(225) 이상태에서 모타 28을 정회전시켜(226), 센사 118이 마그네트 28을 검출하면서(227), 모타 28을 정지시킨다.(228) 그렇게 하면 핀대좌 50은 회전판에 의해 상측으로 반송되고 있다. 다음에 유압램 30을 누르면(229), 회동부재 91이 회동하여 유압램 30과 일직선에 나란히 놓이면 센사 120이 이를 검출한다.(230) 이 타이밍으로 에어닙퍼 32를 열고(231), 유압램 30은 계속 억압하여 센사 122가 검출하면서(232) 유압램 30을 정지한다.(233)
여기서 이 타이밍으로 에어닙퍼 32를 닫는다.(234) 다음에 유압램 30의 흡인을 개시하고(235), 캅셀 2에서 캅셀이 인발되어 간다. 센사 122가 검출하지 않으면서(236), 에어닙퍼 32를 개방한다.(237) 회동부재 91이 90도 회전한 정위치를 센사 124가 검출하면서(238), 제17c도에 이동한 유압램 30을 정지시킨다.(239) 여기서 모타 28을 정회전시키고(240), 센사 126이 검출하면서(241), 모타 28을 정지하면(242), 핀대좌 50은 수치고 45에 대향한다. 다음에 마그네트 26을 흡수를 해방하고(243), 리니어 모타 36의 왕복동을 하면(244), 캅셀 핀 2는 그리싱되어 원래의 위치(스텝 201의 검출위치)로 된다. 리니어 모타 36의 왕복동을 한후 모타 28을 역전하고(245), 센사 128이 마그네트 26을 검출하면서(246), 스텝 224로 되돌아가 이것을 반복한다. 스텝 239에서 유압램 30을 정지 후 센사 130으로 감압치구 44에 캅셀 100이 감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247), 유압램 34를 억압한다.(248) 센서 130의 출력이 없어지면(249), 감합치구 44에서 캅셀 1과 함께 캅셀 100이 낙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압램 34를 흡인한다.(250) 그리고 스텝 227에 되돌아와 이를 반복한다. 더욱이 상기 프로그램은 각 공정순서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씨어리알제어로 되어 있으나, 파라렐제어도 실시할 수 있다. 가령 리니어 모터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5의 하강과 리니어 모타 18에 의한 엘리베이터 7의 하강을 병행적으로 진행시키는 것 같은 제어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캅셀을 제조한 실시예를 든다.
[실시예 1]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칠 셀루로우즈(히드록시 프로폭실기 10중량%, 메톡실기 29중량%, 2%수용액점도(20℃) 6cps)를 22%농도로 되도록 물에 용해하고, 하루밤 방치한 후 진공탈포를 하여 침지액을 조정하였다. 침지액은 40℃로 가습하고 이를 미리 유델파라핀을 도포한 3호용 캅셀을 침지한 후, 인상한 선단의 액을 끊어서 반전하여 25초간 정지하고 이어서 이것을 85℃의 열수에 10초간 침지하고 55℃의 건조기내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캅셀 성형물을 만들었다. 캅셀 성형물은 핀에서 취출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보디를 만들었다. 캅셀의 두께는 두정부 120μ, 직통부 100-110μ의 균일한 두께의 주름이 없는 것이었다. 똑같은 조작으로 켑을 만들고 캅셀에 전분을 충진하여 감합하고, 일본의 약처방 제11개정의 붕괴시험을 행한데에 붕괴시간은 6.5분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칠 셀루로우즈 100부를 22.2%수용액으로 하고 이것과 TiO2(A-110계 화학제) 2부를 소정량의 수중에서 분산한 액과를 혼합하여 고형분이 22%인 액을 만들고 하루밤 방치 한후 진공탈포를 행하고 침지액을 조정하였다. 이하 실시예 1과 똑같이 하여 차광제가 들어있는 캅셀을 만들었다. 캅셀은 균일한 두께가 주름이 없는 것이고 실시예 1과 같이 붕괴시간을 측정했는데 0.6분이었다.
[실시예 3]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칠 셀루로우즈[하이드록시 프로폭실기 5중량% 메톡실기 28중량%, 2%수용액점도(20℃) 12cps] 97부와 폴리비닐 알콜[염화도 88몰%, 4%수용액점도(25℃) 5cps] 3부를 물에 용해하고 고형분 농도 18%의 수용액을 만들고, 이를 하루밤 방치한 뒤, 진공탈포를 하여 침지액을 조정하였다. 침지액은 실온으로 이것에 미리 유동 파라핀을 도포하고 50℃에 예열한 3호용 캅셀핀을 침지한 후 실시예 1과 똑같은 조작으로 캅셀핀을 만들었다. 캅셀은 균일한 두께의 주름이 없는 것이고, 붕괴시간을 측정했는데 9.5분이었다.
[실시예 4]
하이드록시 푸로필 셀루로우즈[하이드록시 프로폭실기 63중량%, 2%수용액점도(20℃) 6cps]를 21%농도로 된 것 같이 물에 용해하고 이것을 방치한 후 진공탈포를 한 침지액을 조정하였다. 실온에서 방치한 침지액에 미리 유동파라핀을 도포한 3호용 캅셀핀을 침지한후, 열수의 온도를 7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조작하여 캅셀을 만들었다. 캅셀은 균일한 두께의 주름이 없는 것이고 붕괴시간은 측정하는데 6.0분이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균일한 두께로 주름이 없는 우수한 성능의 의약용 경질 캅셀을 양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장치에 의하면 운전원이나 수리요원이 적은 만큼 성력화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7)
- 열겔화성물질의 용액에 캅셀핀을 침지하여 캅셀핀을 그 용액의 열겔화 온도보다 높은 온도분위기내에서 체류시켜 캅셀핀에 부착된 열겔화성물질의 수용액을 겔화한 후 건조하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열겔화성물질의 용액에 캅셀핀을 침지한 후에 캅셀핀을 적어도 180도 상하 반전시킴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 순회하는 캅셀핀(2)과, 캅셀(1)(100)을 구성하는 원체용액(3)이 들어있는 용기(4)와 그 원체용액(3)에 캅셀핀(2)을 침지하여 부착시키는 기구와 내부가 원체용액(3)의 겔화온도 이상에서 제어된 온수조(6)와 원체용액(3)이 부착된 캅셀핀(2)을 그 온수조(6)내에 체류시키는 기구와 캅셀핀(2)에 부착된 원체용액(3)의 용매를 건조하는 장치와 캅셀핀(2)에 부착하여 건조한 원체로된 캅셀을 캅셀핀(2)에서 취출하는 기구(9)를 가진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원체용액(3)이 부착한 캅셀핀(2)을 반전시키는 기구를 추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의 용액이 비이오 셀루로우즈 에텔의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분위기가 온도제어된 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성물질의 용액이 비이온 셀루로우즈 에텔의 수용액이고 또한 상기 온도분위기가 온도 제어된 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1108275A JPS62266060A (ja) | 1986-05-12 | 1986-05-12 |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
JP108275 | 1986-05-12 | ||
JP274781 | 1986-11-17 | ||
JP61274781A JPS63127757A (ja) | 1986-11-17 | 1986-11-17 |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の製造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10854A KR870010854A (ko) | 1987-12-18 |
KR900000254B1 true KR900000254B1 (ko) | 1990-01-24 |
Family
ID=2644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4573A KR900000254B1 (ko) | 1986-05-12 | 1987-05-09 |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4993137A (ko) |
EP (1) | EP0246693B1 (ko) |
KR (1) | KR900000254B1 (ko) |
AU (1) | AU592433B2 (ko) |
CA (1) | CA1286067C (ko) |
DE (1) | DE3781201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Z233403A (en) | 1989-04-28 | 1992-09-25 | Mcneil Ppc Inc | Simulated capsule-like medicament |
JPH0634807B2 (ja) * | 1989-06-08 | 1994-05-11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
US5538125A (en) * | 1990-11-05 | 1996-07-23 | Mcneil-Ppc, Inc. | Indexing and feeding systems for apparatus for gelatin coating tablets |
US5698155A (en) * | 1991-05-31 | 1997-12-16 | Gs Technologies, Inc. |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ellulose capsules |
DE69230770T2 (de) | 1991-05-31 | 2000-08-10 | American Home Products Corp., Madison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pharmazeutischen Zellulosekapseln mit vollständiger Gelatinebeschichtung |
US5317849A (en) * | 1992-08-07 | 1994-06-07 | Sauter Manufacturing Corporation | Encapsulation equipment and method |
JP3116602B2 (ja) * | 1992-10-06 | 2000-12-11 |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 硬質カプセル |
EP0611563B1 (en) * | 1993-01-12 | 1998-10-21 | McNEIL-PPC,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mentally advancing a plurality of product carrier plate means |
US5387287A (en) * | 1993-07-07 | 1995-02-07 | Eastman Kodak Company | Apparatus for holding solid compact medicaments during processing |
US5756123A (en) * | 1994-12-01 | 1998-05-26 | Japan Elanco Co., Ltd. | Capsule shell |
WO1996039292A1 (en) * | 1995-06-05 | 1996-12-12 | Gs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r pharmaceutical cellulose capsules |
US5993185A (en) * | 1996-03-21 | 1999-11-30 | Farmacapsulas S.A. | Deck plate assemblies for forming capsules |
EP1018982B1 (en) * | 1996-12-03 | 2005-03-09 | Osteobiologics, Inc. | Biodegradable polymeric film |
FR2757173A1 (fr) * | 1996-12-17 | 1998-06-19 | Warner Lambert Co | Compositions polymeres d'origine non-animale pour la formation de films |
US6000928A (en) * | 1997-04-03 | 1999-12-14 | Technophar Equipment & Service Limited | Capsule making machine having improved pin bars and air flow characteristics |
US5945136A (en) * | 1997-04-03 | 1999-08-31 | Technophar Equipment & Service Limited | Heating elevator for capsule making machine |
US5942034A (en) | 1997-07-24 | 1999-08-24 | Bayer Corporation | Apparatus for the gelatin coating of medicaments |
JP3449253B2 (ja) * | 1998-10-29 | 2003-09-22 |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 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
US6546702B1 (en) | 2001-03-30 | 2003-04-15 | Nutricia Manufacturing U.S.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capsule with improved closing/ejection pins |
GR1003865B (el) * | 2001-04-11 | 2002-04-15 | Γ. Σπυριδων Σταθοπουλος | Μηχανισμος αναστροφης και επαναφορας επιπεδων παραλληλων οδηγων απο 0° εως 180° |
US6752953B2 (en) * | 2001-12-03 | 2004-06-22 | Yung Shin Pharmaceutical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hard non-gelatin pharmaceutical capsules |
JP2005187376A (ja) * | 2003-12-25 | 2005-07-14 | Shin Etsu Chem Co Ltd | 低置換度セルロースエーテル含有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05113010A1 (ja) * | 2004-05-24 | 2005-12-01 | Qualicaps Co., Ltd. | 表面改質および溶解性が改善された硬カプセル |
EP1983969A4 (en) * | 2006-01-24 | 2012-10-31 | Qualicaps Co Ltd | HUMIDITY LOW HUMIDITY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EP1849461A1 (en) * | 2006-04-21 | 2007-10-31 | Pfizer Products Inc. | Process for manufacturing films |
US20100029788A1 (en) * | 2006-09-29 | 2010-02-04 | John Pelesko | Wet edible pearlescent film coatings |
WO2008050209A1 (en) | 2006-10-27 | 2008-05-02 | Pfizer Products Inc. |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ard capsules and process of manufacture |
EP2099312B1 (en) | 2006-12-14 | 2016-05-04 | Sensient Colors LLC | Pearlescent pig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
US9050264B2 (en) | 2009-11-07 | 2015-06-09 |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 Cellulose capsu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
CN102241097A (zh) * | 2011-06-24 | 2011-11-16 | 浙江大之医药胶囊有限公司 | 一种变速响应胶囊蘸胶装置及方法 |
WO2013050973A1 (en) * | 2011-10-06 | 2013-04-11 | Market Demand Trading 767 Proprietary Limited |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apsule |
KR101951290B1 (ko) | 2012-04-18 | 2019-02-22 |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CN103203825B (zh) * | 2013-03-22 | 2015-01-21 | 新昌县祥瑞机械设备有限公司 | 用于胶囊模板翻转的胶板固定装置 |
CN103203826B (zh) * | 2013-03-29 | 2015-10-28 | 新昌县祥瑞机械设备有限公司 | 多功能传动装置以及胶囊模板输送和胶囊脱模一体化设备 |
US9456987B2 (en) | 2013-04-03 | 2016-10-04 | Binutra, Inc. | Capsule with internal diaphragm |
EP3011945A1 (en) * | 2014-10-22 | 2016-04-27 | Capsugel Belgium NV |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dosage form articles |
WO2017223043A1 (en) * | 2016-06-22 | 2017-12-28 |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Pharmaceutical capsules for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JP6929844B2 (ja) | 2016-07-06 | 2021-09-01 |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 硬度が改善された硬質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
CN106273141B (zh) * | 2016-08-24 | 2021-04-30 | 浙江亚利大胶丸有限公司 | 一种空心胶囊的生产浸胶装置 |
CN106426697A (zh) * | 2016-12-06 | 2017-02-22 | 新昌县鑫鹏铜业有限公司 | 一种用于胶囊生产线中烘箱的上料机构 |
BR112019011253A2 (pt) | 2016-12-07 | 2019-10-08 | Qualicaps Co Ltd | cápsula dura mostrando deposição melhorada de adjuvante gelificante e método para a sua preparação |
CA3082320A1 (en) * | 2017-12-06 | 2019-06-13 | Qualicaps Co., Ltd. | Drying device for columna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umnar structure |
US11517535B2 (en) * | 2018-05-14 | 2022-12-06 | Capsugel Belgium Nv | Capsules with opacifier |
CN109481417B (zh) * | 2019-01-04 | 2021-08-17 | 浙江昂利康制药股份有限公司 | 一种淀粉基药用胶囊的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831212A (en) * | 1931-11-10 | Signors to kalle | ||
US1657982A (en) * | 1926-02-15 | 1928-01-31 | Parke Davis & Co | Process of manufacturing gelatin capsules for use as bottle caps |
US1787777A (en) * | 1926-12-10 | 1931-01-06 | Parke Davis & Co | Capsule machine |
US1870775A (en) * | 1930-12-26 | 1932-08-09 | John R Gammeter | Method of vulcanizing, stripping, and finishing dipped rubber goods |
NL47635C (ko) * | 1937-07-27 | |||
US2526683A (en) * | 1946-04-13 | 1950-10-24 | Lilly Co Eli | Methyl cellulose capsules and process of manufacture |
US2575789A (en) * | 1948-11-15 | 1951-11-20 | Parke Davis & Co |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psules |
US2810659A (en) * | 1953-11-25 | 1957-10-22 | Dow Chemical Co | Thermoplastic compositions of watersoluble cellulose ethers |
GB1144225A (en) * | 1965-09-07 | 1969-03-05 | Dow Chemical Co | Preparation of medicinal capsule shells from hydroxyalkyl-alkyl cellulose ethers |
US3617588A (en) * | 1969-06-16 | 1971-11-02 | Dow Chemical Co | Dip-coating process for preparing cellulose ether capsule shells |
US3794453A (en) * | 1972-08-02 | 1974-02-26 | S Padilla | Capsule making apparatus |
US4001211A (en) * | 1974-12-02 | 1977-01-04 | The Dow Chemical Company | Pharmaceutical capsules from improved thermogelling methyl cellulose ethers |
DE3167521D1 (en) * | 1981-01-22 | 1985-01-17 | Capsugel Ag | A process for producing a pharmaceutical capsule having enteric properties |
JPS61100519A (ja) * | 1984-10-23 | 1986-05-19 | Shin Etsu Chem Co Ltd | 医薬用硬質カプセル |
-
1987
- 1987-05-09 KR KR1019870004573A patent/KR9000002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05-11 EP EP87200862A patent/EP024669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5-11 DE DE8787200862T patent/DE3781201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5-11 AU AU72702/87A patent/AU592433B2/en not_active Ceased
- 1987-05-11 CA CA000536748A patent/CA128606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
- 1989-12-13 US US07/449,354 patent/US499313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
- 1990-02-28 US US07/485,835 patent/US5032074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7270287A (en) | 1987-12-17 |
US5032074A (en) | 1991-07-16 |
AU592433B2 (en) | 1990-01-11 |
EP0246693B1 (en) | 1992-08-19 |
US4993137A (en) | 1991-02-19 |
DE3781201T2 (de) | 1993-04-01 |
EP0246693A2 (en) | 1987-11-25 |
CA1286067C (en) | 1991-07-16 |
DE3781201D1 (de) | 1992-09-24 |
KR870010854A (ko) | 1987-12-18 |
EP0246693A3 (en) | 1988-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00000254B1 (ko) |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 |
Melocchi et al. | Industrial development of a 3D-printed nutraceutical delivery platform in the form of a multicompartment HPC capsule | |
EP0401832A2 (en) | Method for preparing hard capsules for medicaments | |
US4072551A (en) | Novel dosage form | |
US20200408651A1 (en) | Microtome sectionable gel support structure and methods | |
US4031200A (en) |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unit dosage forms | |
NO146384B (no) |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av nye farmasoeytiske doseringsformer | |
US3333031A (en) | Surface dyeing and pigment marking of gelatin capsules | |
US20090010975A1 (en) | Non-transparent composition for film | |
US10851181B2 (en) |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mbrane | |
JPH03279325A (ja) |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06902093A (zh) | 一种植物肠溶空心胶囊及其生产方法 | |
JPS62266060A (ja) |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 |
CN1060206A (zh) | 药用硬壳胶囊的制造设备 | |
TW200402288A (en) | Manufacture method and manufacture device for a non-spherical seamless capsule | |
CN110191723B (zh) | 表现出改善的凝胶助剂的沉积的硬胶囊及其制备方法 | |
JP5622185B2 (ja) | 粉末高含有軟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7385497A (zh) | 一种含艾草提取物的纳米纤维及其生产方法和设备 | |
Jones et al. | Capsule shell manufacture | |
CA2627773A1 (en) | Apparatus for tablet coating | |
JPS63127757A (ja) |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の製造装置 | |
JPH08169817A (ja) | カプセル剤 | |
CN221317230U (zh) | 一种多工位旋转式药剂保温装置 | |
CN217826638U (zh) | 一种食品加工用高温消毒罐 | |
CN117752628A (zh) | 一种推拉式渗透泵制剂的半透膜包衣技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012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