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7695B1 -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695B1
KR900007695B1 KR1019850008832A KR850008832A KR900007695B1 KR 900007695 B1 KR900007695 B1 KR 900007695B1 KR 1019850008832 A KR1019850008832 A KR 1019850008832A KR 850008832 A KR850008832 A KR 850008832A KR 900007695 B1 KR900007695 B1 KR 90000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urrent
detection
synchronous mo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504A (ko
Inventor
아끼히꼬 구로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22Synchronous motors
    • H02P25/03Synchronous motors with brushless exci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or
    • H02P2207/05Synchronous machines, e.g. with permanent magnets or DC exci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Specific system operational feature
    • Y10S388/906Proportional-integra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변동속도제한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검출기의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챠트.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속도제어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류제어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리액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동기모터의 토오크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제7a도 및 제7b도는 동기모터의 속도와 토오크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제8a도 및 제8b도는 종래의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전력변환기에 의해 구동되는 동기모터의 속도와 토오크를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교류전력공급기 12 : 제어정류기
l3 : 직류리액터 14 : 인버터
15 : 동기모터 16 : 목표속도설정기
17 : 위치검출기 17A : 속도검출기
18 : 속도제어기 18a : 가산기
19 : 전류제어기 19a : 가산기
19b : 연산증폭기 19c : 선택기(스위치)
20 : 전류검출기 21,22 : 위상각제어기
23 : 단속명령회로 24 : 변동속도제한기
24a : 비교기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부하정류다이리스터를 구비하고 있는 동기모터 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기술적 배경과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부하정류다이리스터인버터를 갖추고 있는 전력변환기는 동기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함으로써 인버터의 주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 높은 장력과 높은 효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모터의 가변속도구동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동기모터의 역기전력은 정류용으로 사용되게 되는데, 모터터 저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역기전력은 정류시킬만큼 충분히 높지 않다. 따라서,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해서 정류시키게 된다. 다이리스터의 위상제어와 더불어 단속정류 및 부하정류를 절환시키기 위해 제어장치가 사용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제어장치에서는 단속정류로부터 부하정류로 절환될때 동기모터의 토오크가 급격하게 또는 급속히 변화하게 되는 바, 이 토오크의 변화가 기구 장치의 진동을 초래하게 되어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단속정류로부터 부하정류로 절환되는 시점에서 동기모터의 토오크가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동기모터 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제어정류기와, 상기 직류전력을 평활시키는 직류리액터 및, 상기 직류전력을 주파수가 변하는 교류전력으로 변환시켜서 동기모터에 공급하도록 된 부하정류형 인버터로 구성되어 동기모터를 구동시키도록 된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목표속도를 공급하는 단계와, 제한된 속도내에서 목표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기준속도를 공급하는 단계, 동기모터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속도제어기를 사용하여 기준속도와 검출속도에 따라 기준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정류기의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기준속도로부터 검출속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기준전류와 검출전류에 따라 상기 제어정류기를 통해 흐르는 평균전류를 조정하는 단계, 동기모터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회전위치에 따라 인버터의 방전위상각을 결정하는 단계,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을 때인버터의 단속정류를 위해 상기 제어정류기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단계,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때 기준전류를 제로로 리셋트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술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을 때 인버터로 하여금 부하정류토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제어정류기와, 상기 직류전력을 평활시키는 직류리액터 및 상기 직류전력을 주파수가 변하는 교류전력으로 변환시켜서 동기모터에 공급하도록 된 부하정류형 인버터로 구성되어 동기모터를 구동시키도록 된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목표속도를 공급하는 목표속도 설정기와 ; 이목표속도 설정기에 연결되어 제한된 속도내에서 목표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기준속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변동속도를 제한하는 목표속도에 응답하도록 된 변동속도제한기 ; 동기모터의 속도를 검출하도록 된 속도검출기 ; 기준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변동속도 제한기에 연결되어 기준속도에 응답함과 더불어 상기 속도검출기에 연결되어 검출속도에 응답하여 검출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때 기준전류를 리셋트시키도록 된 속도제어기 ; 상기 전류기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 ; 이 전류검출기에 연결되어 검출전류에응답함과 더불어 상기 속도제어기에 연결되어 기준전류에 응답하여 기준속도로부터 검출속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전류기를 통해 흐르는 평균전류를 조정하도록 된 것으로, 검출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을 때 인버터의 단속정류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선택기를 구비하고 있는 전류제어수단 ; 동기모터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도록 된 위치검출기 및 ; 이 위치검출기에 연결되어 검출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보다 높을 때 인버터의 방전위상각을 결정해서 인버터를 부하정류시키기 위해 검출회전위치에 응답하도록 된 위상각제어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교류전력공급기(11)로부터의 교류전력은 제어정류기(12)에 의해 직류전력으로 변환되고, 이 직류전력은 직류리액터(13)에 의해 평활화된 다음에 인버터(14)에 의해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 제어정류기(12)와 직류리액터(13) 및 인버터(14)에 의해 변환된 교류전력을 동기모터(15)에 공급해서 동기모터(15)를 가변속도로 운전시키게 된다.
목표속도설정기(16)는 조정가능한 목표속도를 발생시키도록 된 것으로, 여기서 목표속도라 함은 모터의 속도가 변화하게 되는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대, 모터가 작동을 개시하여 모터의 속도가 전격속도로 증가하게 될 경우, 목표속도는 제로에서 정격속도까지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변동속도제한기(24)는 목표속도신호를 받아 제한된 속도내에서 목표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기준속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속도의 변동을 제한하게 된다. 예컨대, 목표값이 단계적으로 변동하게 되는 경우, 기준속도는 새로운 목표값에 도달할 때까지 제한된 속도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제2도는 변동속도제한기(24)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변동속도제한기(24)는 목표속도 Wt와 기준속도 Wr을 비교해서 목표속도 Wt가 기준속도 Wr보다 클 경우에 어떤 레벨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비교기(24a)와, 제한속도를 변화시키기위해 조정되는 가변저항(24b), 캐패시터(24d)와 연결되어 적분기를 형성하는 연산증폭기(24c), 기준속도 Wr과 검출속도 Wm을 비교해서 기준속도 Wr이 검출속도 Wm보다 클 경우에 어떤 레벨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비교기(24e), 스위치(24f) 및, 저저항인 전류제한저항(24g)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비교기(24e)의 출력이 상기한 "어떤 레벨" 의 신호로 출력될 때 스위치(24f)가 접속되어 있다면 캐패시터(24d)는 기준속도 Wr이 검출속도 Wm과 같아질 때까지 급속히 방전하게 된다.
위치검출기(17)는 동기모터(15)의 자계에 대한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3상논리신호를 산출하는 위치검출기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120℃의 위상차를 갖되 60˚마다 변하는 3비트의 신호를 조합시킨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속도검출기(17A)는 위치검출기(17)의 출력신호를 받아 모터(15)의 속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모터의 속도는 예컨대 3비트신호가 변화하는 값의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속도제어기(18)는 속도검출기(17A)로 부터 기준속도 Wr과 검출속도 Wm을 받아 기준전류 I*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4도는 속도제어기(18)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속도 제어기(18)는 기준속도 Wr과 검출속도 Wm간의 차를 결정하는 가산기(18a)와,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18c)와 저항(18d), 그리고 상기 캐패시터(18c)의 양단에 연결된 스위치(18e)로 이루어진 1차지연요소를 갖추고 있는 연산증폭기(18b)로 구성된다.
위상각제어기(22)는 위치검출기(17)로부터 위치표시용 3비트신호를 받아 인버터(14)의 다이리스터의 방전각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위상각제어기(22)는 후술될 바와같이 전류제어기(19)에서 단속정류를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단속명령회로(23)는 속도검출기(17A)로부터 검출속도 Wm을 받아 검출속도가 예컨대 정격속도의 10% 또는 그 이하의 속도로 설정되는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을 때 정류기(12)의 전류의 단속을 위해 사용되는 단속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 전류검출기(20)는 정류기(12)의 전류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전류제어기(19)는 제1모드와 제2모드중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제1모드인 경우에 전류제어기(19)는 속도제어기(18)로부터의 기준전류 I*와 전류검출기(20)로부터의 검출전류 I에 따라 기준위상 θ*을 결정해서 연속적으로 상기 기준위상 θ*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모드인 경우에 전류제어기(19)는 제1모드와 유사한 방법으로 기준위상 θ*을 결정하지만 이 경우에는 상기 기준위상 θ*을 단속적으로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위상각제어기(21)는 전류기(12)의 게이트방전각을 제어해서 정류기(1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을 조정하게 된다. 기준위상 θ*가 인터럽트되는 동안 정류기(12)는 비도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5도는 전류제어기(19)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전류제어기(19)는 기준전류 I*와 검출전류 I간의차를 결정하는 가산기(19a)와 연산증폭기(19b) 및 선택기(19c ; 스위치)로 구성된다.
상기 선택기(19c)는 정상적인 경우에 증폭기(19b)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된 것으로, 기중위상 θ*를 단속하게 될 때 선택기(19c)는 기준위상 θ*를 제로로 만들기 위해 증폭기(19b)의 출력과 프리세트값을 교대로 선택하게 된다. 이 스위치(19c)의 동작은 단속명령회로(23)로부터의 단속신호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정류기(12)의 전류를 증가시키면 일반적으로 동기모터(15)의 토오크와 속도가 증가되고, 정류기(12)의 전류를 감소시키면 일반적으로 동기모터(15)의 토오크와 속도가 감소되게 된다.
전력변환기가 부하정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위상각제어기(22)가 부하정류를 위해 방전위상각을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모터(15)가 저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는 역기전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부하정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류기(12)의 전류는 인버터(14)를 정류시킬때마다 제로로 만들어 주어야한다.
제6a도는 단속시동기간동안에 상기 리액터(13)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 것이고, 제6b도는 단속시동기간동에 모터(15)의 토오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직류전류 d1이 t11시각부터 t12시각까지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직류전류는 t12시각부터 t21시각까지 제로로 유지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직류전류가 t12시각부터 t21시각까지, …, t52시각부터 t61시각까지 인터럼트되는 동안에 직류전류Id1은 t21시각부터 t22시각까지, … , t51시각부터 t52시각까지 흐르도록 되어 있다.
전류를 인터럽트시키는 t12시각에서 t21시각까지, …, t52각에서 t51시각까지의 시간(즉 오프기간)은 고정된 모터 속도와는 관계없이 인버터(14)의 게이트턴오프시간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게 된다. 만일 온시간(전류가 정류기를 통해 흐르는 시간) 동안에 전류의 크기가 변하지 않게 되면 온시간과 오프시간에 걸쳐 흐르는 전류의 평균치와 그에 따른 과잉토오크는 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감소되게 된다. 이와같은 평균전류와 토오크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기준전류 I*를 증가시키게 된다.
모터속도가 매우 느릴 때 정류를 위한 연속적인 단속간의 간격이 충분히 길어지게 되므로 토오크에 대한전류단속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모터속도가 빨라지게 되면(즉 단속정류로부터 부하정류로 절환되는 속도임계치에 근접하게 되면) 온시간이 짧아져서 전류는 온시간동안에 기준전류값 I*에 도달하지못하게 된다. 이것은 전류상승률이 리액터(13)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평균전류과 그에 따른 토오크가 작아지게 되고, 모터가 기준속도 Wr로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제7a도와 제8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낮아져 속도편차가 커지게 된다.
모터속도가 정류모드로 절환시키기 위한 임계치에 도달하게 되면 단속정류로부터 부하정류로 절환되게 된다. 그 결과, 리액터(13)를 통해 흐르는 직류전류가 그때부터 계속 흐르게 된다. 또한, 토오크도 기준속도를 충분히 따라갈 수 있게 된다.
만일 어떠한 특별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모터속도는 제8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준속도를 따라잡기 위해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제8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토오크가 급격히 변화하게 된다. 이것은 기계장치와 그에 연결된 것등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기계장치의 수명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서는 정류모드가 절환될 때 속도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류를 제로로 리셋트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속도제어기(18)의 스위치(18e)와 변동속도제한기(24)의 스위치(24f)를 접속시키게 되는데, 그중에서 스위치(18e)의 접속은 비례적분 속도제어기(18)의 적분요소를 클리어시키게 된다. 상기 적분요소의 클리어 이후에 스위치(18e)를 다시 개방시킴에 따라 적분동작이 재기동되게 되는데, 순차제어작용에 의한 기준속도 Wr로부터 검출속도 Wm의 편차에 대한 적분효과는 스위치될 때까지 무시되게 되므로 상기 순차제어는 마치 아무런 편차도 없는 것처럼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에 스위치(24f)의 접속은 기준속도 Wr이 검출속도 Wm과 같아지도록 급격히 감소시키게 된다. 그 이후부터 기준속도 Wr은 제7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한된 속도로 증가하게 된다.
토오크는 적분편차가 클리어되었기 때문에 제7b도와 제6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속도가 증가할 때의 제한속도에 상당하는 값으로 억제되게 된다.
또한, 속도제어기(18)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류 I*가 한번 제로로 셋트된 다음에 다시 증가하게 됨으로써 실제적인 전류가 제로로부터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토오크의 급격한 변화가 방지되게 된다. 만일 스위치(18e,24f)와 연산증폭기(24e)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제6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류는 2점쇄선으로 표시된 I*와 같아지게 되어 제6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토오크 T'를 급격히 변화시킴으로써 불확실한 진동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과도한 토오크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2가지의 정류모드를 원활히 절환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기준속도 Wr은 절환시 검출된 실제속도 Wm으로 설정되게 된다. 그러나, 절환시 실제속도를 알고 있다면 즉 그 실제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라면 기준속도는 알고 있는 값 예컨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로 설정되게 된다.

Claims (10)

  1.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제어정류기(12)와, 상기 직류전력을 평활시키는 직류리액터(13)및, 상기 직류전력을 주파수가 변하는 교류전력으로 변환시켜서 동기모터(15)에 공급하도록 된 부하정류형인버터(14)로 구성되어 동기모터(15)를 구동시키도록 된, 전력변환기(12,13,14)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목표속도를 공급하는 단계와, 제한된 속도내에서 목표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기준속도를 공급하는 단계, 동기모터(15)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속도제어기(18)를 사용하여 기준속도와 검출속도에 따라 기준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정류기(12)의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기준속도로부터 검출속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기준전류와 검출전류에 따라 상기 제어정류기(12)를 통해 흐르는 평균전류를 조정하는 단계, 동기코너(15)의 회전위치에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회전위치에 따라 인버터(14)의 방전위상각을 결정하는 단계,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을 때 인버터(14)의 단속정류를 위해 상기 제어정류기(12)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단계,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때 기준전류를 제로로 리셋트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을 때 인버터(14)로 하여금 부하정류토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있어서, 상기속도제어기(18)가 비례적분제어기(18b,18c,18d,18e)로구성되고, 상기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기준전류를 리셋트시키는 단계에서 직분요소를 클리어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기(18)가 저항(18d)과 캐패시터(18c)가 직렬로 연결된 1차지연요소와 연산증폭기(18b)로 구성되고, 상기 적분요소를 클리어시키는 단계에서 검술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캐패시터(18c)를 방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를 초과할 때 상기 기준속도가 실제속도로 리셋트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속도가 속도검출기(17A)에 의해 검출된 검출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
  6. 교류전력은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제어정류기(12)와, 상기 직류전력을 평활시키는 직류리액터(13)및, 상기 직류전력을 주파수가 변하는 교류전력으로 변환시켜서 동기모터(15)에 공급하도록 된 부하정류형인버더(14)로 구성되어 동기모터(15)를 구동시키도록 된 전력변환기(12,13,14)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목표속도를 공급하는 목표속도설정기(16)와, 이 목표속도설정기(16)에 연결되어 제한된 속도내에서 목표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기준속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변동속도를 제한하는 목표속도에 응답하도록 된 변동속도제한기(24) ; 동기모터(15)의 속도를 검출하도록 된 속도검출기(17A) ; 기준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변동속도제한기(24)에 연결되어 기준속도에 응답함과 더불어 상기 속도검출기(17A)에 연결되어 검출속도에 응답하여 검출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때 기준전류를 리셋트시키도록 된 속도제어기(18); 상기 정류기(12)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20); 이 전류검출기(20)에 연결되어 검출전류에 응답함과 더불어 상기 속도제어기(18)에 연결되어 기준전류에 응답하여 기준속도로부터 검출속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정류기(12)를 통해 흐르는 평균전류를 조정하도록 된 것으로, 검출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을 때 인버터(l4)의 단속정류를 위해 정류기(1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선택기(19c)를 구비하고 있는 전류제어수단(19,21,23); 동기모터(15)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도록 된 위치검출기(17) 및 ; 이 위치검출기(17)에 연결되어 검출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보다 높을때 인버터(14)의 방전위상각을 결정해서 인버터(14)를 부하정류시키기 위해 검출회전위치에 응답하도록 된 위상각제어기(2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기(18)가 비례적분제어기(18b∼18e)와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적분요소를 클리어시키도록 된 가산기(l8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기(18)가 연산증폭기(18b)와, 캐패시터(18c)와 저항(18d)이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1차지연요소, 상기 캐패시터(18c)의 양단에 연결된 스위치(18e) 및,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때 순간적으로 접속되도록 된 가산기(18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속도제한기(24)는 검출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때 자체의 출력을 실제속도로 리셋트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속도가 속도검출기(17A)에 의해 검출된 검출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
KR1019850008832A 1984-11-27 1985-11-26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 KR900007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0106 1984-11-27
JP59250106A JPH0612954B2 (ja) 1984-11-27 1984-11-27 同期電動機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504A KR860004504A (ko) 1986-06-23
KR900007695B1 true KR900007695B1 (ko) 1990-10-18

Family

ID=1720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832A KR900007695B1 (ko) 1984-11-27 1985-11-26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82094A (ko)
EP (1) EP0185212B1 (ko)
JP (1) JPH0612954B2 (ko)
KR (1) KR900007695B1 (ko)
CA (1) CA1259654A (ko)
DE (1) DE3566204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88B1 (ko) * 2012-11-19 201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432B2 (ja) * 1987-02-17 1996-03-06 株式会社東芝 同期電動機の界磁制御装置
US5281094A (en) * 1991-05-13 1994-01-25 Alliedsignal Inc 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varying blade of variable-pitch fan blades
US5315225A (en) * 1991-09-30 1994-05-24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Converter for synchronous motor starting
DE69432554T2 (de) * 1993-12-28 2004-03-25 Sanyo Electric Co., Ltd., Moriguchi Klimaanlage und zugehöriger Schaltkreis für den Inverter
ES2157782B1 (es) * 1999-04-26 2002-03-01 Jesus Maria Aguirre S A Dispositivo perfeccionado de sincronismo en generacion de energia electrica.
US6320339B1 (en) * 2000-09-12 2001-11-20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current passing through a motor
US7561493B2 (en) 2003-05-30 2009-07-14 Fairfield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nd based seismic data acquisition
US7310287B2 (en) 2003-05-30 2007-12-18 Fairfield Industr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ismic data acquisition
GB0415511D0 (en) * 2004-07-10 2004-08-11 Trw Ltd Motor drive voltage-boost control
WO2014158065A1 (en) 2013-03-27 2014-10-02 Flexenclosure Ab (Publ) Power supply apparatus with controllable multiple input rectification
KR102539553B1 (ko) 2017-06-21 2023-06-05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사이리스터 기동 장치
US11233466B2 (en) * 2017-06-21 2022-01-25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Thyristor starter
EP3644496B1 (en) * 2017-06-21 2022-12-21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Thyristor starting device
WO2018235190A1 (ja) 2017-06-21 2018-12-27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サイリスタ起動装置
EP3907879A4 (en) * 2019-01-04 2022-09-14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THYRISTOR STAR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2323A (en) * 1965-03-31 1968-03-05 Reliance Electric & Eng Co Induction motor slip frequency control system
JPS492928B1 (ko) * 1969-11-25 1974-01-23
US3769564A (en) * 1972-08-30 1973-10-30 Allis Louis Co Method and means for limiting the maximum horsepower output of a self-excited alternating current motor
JPS5034723A (ko) * 1973-08-02 1975-04-03
JPS5910156B2 (ja) * 1976-03-17 1984-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サイリスタモ−タの制御装置
JPS54113815A (en) * 1978-02-27 1979-09-05 Toshiba Corp Controlling ac motor
DE2829752A1 (de) * 1978-07-06 1980-01-17 Siemens Ag Verfahren zum synchronisieren von synchronmotoren
DE3203911A1 (de) * 1982-02-05 1983-08-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erhoehung der maximaldrehzahl einer synchronmaschine bei vorgegebener erregerfeldstaerke und klemmspannung und schaltungsanordn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443747A (en) * 1982-04-01 1984-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itioning between multiple modes of inverter control in a load commutated inverter motor drive
JPS6041556B2 (ja) * 1982-09-25 1985-09-17 株式会社東芝 同期電動機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88B1 (ko) * 2012-11-19 201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66204D1 (en) 1988-12-15
JPH0612954B2 (ja) 1994-02-16
KR860004504A (ko) 1986-06-23
JPS61128788A (ja) 1986-06-16
US4682094A (en) 1987-07-21
EP0185212A1 (en) 1986-06-25
CA1259654A (en) 1989-09-19
EP0185212B1 (en) 198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695B1 (ko) 동기모터구동용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과 그 장치
EP0334319B1 (en)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900005815B1 (ko) 콘버터 장치의 정전시 정지 회로
JPH05227795A (ja) 誘導電動機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4806839A (en) Device for energizing a hermetic motor using inverter
US4420718A (en) Control system for induction motor using inverter for AC power supply
JPS623677B2 (ko)
EP0160310B1 (en) Load-commutated inverter for operating synchronous motor
EP0144161B1 (en) Control system for an ac motor
EP0107351B1 (en) Synchronous motor control
US4488100A (en) Motor controller
KR100269450B1 (ko) 모터구동제어장치
JP3755942B2 (ja) ポンプ用インバータユニット
JPS6122556B2 (ko)
JP3961868B2 (ja) 電力変換装置
JPH07322660A (ja) 電動機の制御方法
KR900000765B1 (ko) 동기모타 작동용 부하정류 인버터
JPH01283056A (ja) 電源装置
JP2578200B2 (ja) 発電装置の電圧制御装置
KR950001884B1 (ko) 브러시리스모터의 과전류제어방법
JP2839518B2 (ja) 可変速発電装置
RU2096907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асинхронным генератором
KR100474378B1 (ko) 인버터시스템의스톨방지를위한주파수감속시간조정방법
SU1073851A1 (ru) Двухзонный вентиль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JP2835822B2 (ja) 可変速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