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850B1 - 조타가능한 궤도차트럭 - Google Patents
조타가능한 궤도차트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0850B1 KR880000850B1 KR1019810003841A KR810003841A KR880000850B1 KR 880000850 B1 KR880000850 B1 KR 880000850B1 KR 1019810003841 A KR1019810003841 A KR 1019810003841A KR 810003841 A KR810003841 A KR 810003841A KR 880000850 B1 KR880000850 B1 KR 8800008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urnal box
- truck
- steerable
- axle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2—Guides, e.g. plates, for axle-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타가능한 트럭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트럭의 한쪽 단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선3-3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2 : 저어널박스 24 : 평형비임
50, 52 : 가요수단
본 발명은 제한된 정도의 자기조타를 이루면서 큰 안정도를 갖는 개선된 궤도차트럭의 관한 것이다.
도시간 교통에 큰 몫을 차지하는 궤도 차가 많은 커브가 있는 곳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트럭의 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침이 없이 트럭에 작은 정도의 자기조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궤도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때 바람직하다. 동시에, 이러한 자기조타는 현존하는 트럭을 개조하여 얻을 수 있도록 트럭에 큰 설계변경을 요구함이 없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궤도차는 강성 프레임과 평형비임을 포함하는 트럭을 사용하고 있다. 강성프레임은 "H"형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의 프레임은 주행중에 레일에 트럭을 보유하시키거나 차축들을 서로 평행하게 또는 직각으로 유지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강성 프레임은 축프레임의 단부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 저어널박스에 조립된 평형수단과 함께 사용된다. 평형수단은 트럭의 양측부상까지 연장되어 전, 후방 저어널박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평형비임(beam)을 포함한다.
저어널박스는 트럭의 축프레임은 단부내에서 상하로 미끄럼운동하도록 위치된다. 차의 휘일에 가해지는 하중은 차축 및 저어널박스를 통해 평형비임에 전달된다.
평형비임은 하중을 평형스프링에 전달된다. 평형비임은 주행중에 한쪽 휘일이 들려지는 경우에 하중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게 하도록 사용된다. 평형비임 및 평형스프링은 휘일에 대한 수직하중을 평형시켜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성 프레임과 평형수단을 갖는 구성에 의해, 트럭에 자기조타를 제공하는 것이 아주 어렵게 된다. 동시에, 이러한 자기조타는 승차시에 승객의 안락함을 크게 증대시킬 뿐 만 아니라 레일 및 휘일의 마모 그리고 레일에 가해지는 축방향함을 감소시켜준다는 점에서 아주 바람직한 것이다. 조타 가능한 트럭의 이점은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정도의 자기조타를 이루면서 큰 안정도를 갖는 개선된 트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럭의 기본설계를 개조함이 없이 또는 기본부품을 개조함이 없이 비교적 강성트럭에 제한된 정도의 가지조타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후방 휘일-차축 조립체를 포함하는 강성트럭프레임이 제공된다. 차축을 포함하는 저어널박스는 프레임의 단부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다. 저어널박스와 프레임 사이에는 가요수단이 결속된다. 휘일과 레일의 접촉면에서 크리프(creep)력이 발생할 때, 차축은 반경방향으로 작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관련된 이후의 설명 및 청구범위를 참조함으로써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트럭10은 궤도차동체12를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트럭10은 자기조타요소가 제공된다는 것 외에는 종래의 트럭과 유사하다. 제1도에는 트럭10의 단지 한 축부만 도시되어 있지만, 반대쪽 축부도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유사부품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트럭 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프레임 14를 포함하는데, 도면에는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트럭의 주프레임은 중앙부(도시되지 않음)가 두 측프레임을 연결시키게 구성된 "H"형의 강성프레임을 포함한다. 비교적 강성의 프레임이 작동중에 궤도 차에 트럭을 보유시켜준다.
측프레임의 양단부는 저어널박스 20, 22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지역 16, 18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개방지역16,18밑에는 리테이닌스트립17,19가 고착된다. 저어널박스 20, 22는 작동중에 개방지역 16, 18내에서 상하로 미끄럼운동하도록 위치된다. 도면에는 단지 하나만 도시되어 있는 한쌍의 평형비임 24가 측프레임과 대체로 평형하게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평형비임들은 전, 후방 저너널박스이 상부에 적합하게 장착된다. 비임 24의 단부는 각각 차축 21, 23을 갖는 저어널박스 20에 장착된다.
한쌍의 평형스프링 26, 28이 평형비인 24와 측프레임 14사이에 결속되어 있다. 비임24는 저어널박스 20, 22로부터 하중의 평형스프링 26, 28에 전달한다. 평형 비임 및 평형스프링은 각각 차축 21,23에 결속된 휘일 30,32에 대한 수직하중들을 평형시키도록 작용하여, 휘일들중에 한 휘일 30또는 32가 다른 휘일에 대해 들려질 때라도 휘일들에 대한 수직하중들이 대체로 변화되지 않게 할 것이다.
보울스터 34는 트럭에 고착되어, 통상의 방식으로 트럭의 중앙에 대해 피봇운동하게 된다. 보울스터는 앵커부재 36및 앵커로드 38을 포함하는 적합한 수단에 의해 차동체 12에 결속된다.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보조스프링 40이 차동체 12와 보울스터 34사이에 결속된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트럭에 조립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어널박스 22의 작동은 저어널박스 20(제1도에 도시)과 동일하며 동일한 부품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트럭10의 모든 저어널박스들은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므로, 단지 저어널박스의 20의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저어널박스에 조립되는 베어링, 주서스팬숀장치 그리고 다른 요소등과 같은 특정부품들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설명하지 않겠다.
저어널박스 22는 페데스탈라이너(pedestal limer)42, 44상에서 상하로 미끄럼운동 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은 저어널박스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미꾸럼운동시키나, 동시에 차가 트랙에서 커브를 돌아 휘일이 크리프(creep)력을 받게 될 때 차축 21,23을 저어널박스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해주는 구성을 갖는다.
트럭이 커브를 돌 때 휘일과 레일의 접촉면에서 크리프력이 발생하게 되어 차축을 가압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한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트럭의 프레임이 강성이고 평형비임이 사용될 때, 차축은 저어널 박스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고 단지 측프레임의 단부에서 페테스탈 라이너 상을 상하로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트럭이 커브를 돌 때 차축이 소정의 거리만큼 반경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을 때는, 휘일과 레일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승차시에 승객의 안락함이 감소하게 된다.
각각의 페데스탈라이너의 42, 44,는 수직으로 위치된 포스트 46, 48을 포함한다. 포스트 46, 48은 무두"C"형을 하고 있으며, 포스트 48이 포스트 46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다. 포스트 48은 부분적으로 포스트 46내에 위치되며,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포스트 48은 볼트 또는 다른 수단49에 의해 측프레임 14의 단부 51에 고착된다. 소정의 경우에, 포스트 48은 캡부재로 되어 프레임에 고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요부재 50, 52가 포스트 46, 48의 수직 양단부들 사이에 끼여지게 된다. 가요부재 50, 52는 비교적 길이방향으로 유연하게 되어 있어 만약 커브를 돌 때 크리프력이발생된다면 포스트 46은 포스트 48에 대해 이동하게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측프레임 14는 차축 21, 23을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차축 21, 23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외에도,제3가요부재 54가 제공되어 차축을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가요부재 54는 판 또는 캡 56, 58사이에 끼여 있다. 판 56은 평형비임 24의 단부에 결속된 커넥팅부재 60에 고착된다. 판 58은 저어널박스 22의 상부에 고착된다.
가요부재 50, 52,54는 포스트 46을 고전된 포스트 48에 대해 각 이동하게 해준다. 이러한 이동을 차축 23은 크리프력으로 인해 반경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비록 크리프력이 클때 차축을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하더라도, 가요부재는 트럭의 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칠 정도로 유연해서는 안된다. 가요부재는 트럭의 전체구성에 따른 예정된 탄성율을 갖도록 설게된 고무를 포함한다.
수직포스트 48은 포스트 46으로 부터 이격되어, 포스트 46이 고정된 포스트 48에 대해 각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포스트46, 48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이 비교적 작아, 포스트 46, 48이 서로 접촉하게 될 때는 각이동이 정지하게 되기 때문에 포스트 46, 48간의 각이동의 크기는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크리프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차축의 반경방향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트럭의 안정도를 예정된 최대한 계선 사이로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은 차축의 반경방향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트럭의 안정도에 대체로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제한된 정도의 자기조타를 이루게 해준다. 이것은 커브를 비교적 고속으로 주행하는 궤도차에 대단한 이점을 제공해준다.
Claims (8)
- 한쌍의 측프레임과 레일과 접촉하도록 차축에 결속된 휘일과 강성프에임이 조합된 궤도차트럭에 있어서, 상기 차축을 포함하는 저어널박스가 상기 측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저어널박스의 상부에는 평형비임이 장착되며, 상기 저어널박스와 상기 축프레임 사이와 상기 저어널박스 및 상기 평형비임 사이에는 가요수단이 위치되어 상기 휘일과 레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크리프력에 감응하여 상기 차축이 제한된 반경방향이동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가능한 궤도 차트럭.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저어널박스의 양측부상에서 상기 축프레임의 각단부에 한쌍의 페데스탈 라이너 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저어널박스를 상기 측프레임의 단부내에서 상하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가능한 궤도 차트럭.
-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페데스탈 라이너수단이 사이에 한쌍의 가요부재를 갖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저어널박스의 길이방향이동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가능한 궤도차트럭.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들중 하나가 상기 측프레임에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가능한 궤도차트럭.
- 제4항에 있어서, 제3가요부재가 각각의 상기 저어널박스의 상부와 상기 축프레임 사이에 결속되어상기 저어널박스 및 그의 차축의 반경방향 이동을 이루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가능한 궤도 차트럭.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들이 서로 크기가 다르고 평행하게 위치되는 "C"형 포스트들을 포함하여, 상기"C"형 포스트들의 단부 사이에 상기 한쌍의 가요부재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 가능한 궤도차트럭.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휘일에서 발생된 크리프력에 감응하여, 한 포스트가 다른 포스트에 대해 각 이동을 하게 되며, 그러한 각이동이 상기 포스트들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 가능한 궤도 차트럭.
- 제7항에 있어서, 평형스프링이 상기 축프레임과 평형비임 사이에 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가능한 궤도 차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9659180A | 1980-10-14 | 1980-10-14 | |
US196591 | 1980-10-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7336A KR830007336A (ko) | 1983-10-19 |
KR880000850B1 true KR880000850B1 (ko) | 1988-05-26 |
Family
ID=2272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3841A KR880000850B1 (ko) | 1980-10-14 | 1981-10-12 | 조타가능한 궤도차트럭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JP (1) | JPS5790264A (ko) |
KR (1) | KR880000850B1 (ko) |
AU (1) | AU549567B2 (ko) |
BR (1) | BR8106154A (ko) |
CA (1) | CA1168110A (ko) |
ES (1) | ES506194A0 (ko) |
FR (1) | FR2491850B1 (ko) |
PT (1) | PT73792B (ko) |
ZA (1) | ZA81616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75429A1 (fr) * | 1984-12-28 | 1986-07-04 | Sncf | Perfectionnements aux bogies de vehicules de chemins de fer |
US8887643B2 (en) * | 2012-02-29 | 2014-11-18 | Electro-Motive Diesel, Inc. | Railway truck having spring-connected equalizer and frame |
US8661988B2 (en) * | 2012-02-29 | 2014-03-04 | Electromotive-Diesel, Inc. | Railway truck having axle-pinned equaliz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957383A (ko) * | 1938-10-15 | 1950-02-18 | ||
US2295520A (en) * | 1940-04-12 | 1942-09-08 | Pullman Co | Truck pedestal |
US2917006A (en) * | 1954-04-01 | 1959-12-15 | Gen Steel Castings Corp | Railway truck |
FR1391385A (fr) * | 1963-09-03 | 1965-03-05 | Lord Mfg Co | Adaptateur pour roulement à rouleaux, en particulier pour voitures de chemin de fer |
DE2352436A1 (de) * | 1973-10-19 | 1975-04-30 | Waggon Union Gmbh | Anordnung der achslager in einem eisenbahndrehgestell oder laufwerk |
FR2437966A2 (fr) * | 1975-08-28 | 1980-04-30 | Dresser Ind | Bogies articules |
BE874836A (fr) * | 1978-03-15 | 1979-09-14 | South African Inventions | Boggie pour vehicules de chemins de fer |
ZA795881B (en) * | 1978-11-14 | 1980-10-29 | British Steel Corp | Railway wagon suspension units |
-
1981
- 1981-09-04 ZA ZA816167A patent/ZA816167B/xx unknown
- 1981-09-11 AU AU75175/81A patent/AU549567B2/en not_active Ceased
- 1981-09-25 BR BR8106154A patent/BR8106154A/pt unknown
- 1981-09-29 CA CA000386874A patent/CA1168110A/en not_active Expired
- 1981-10-08 PT PT73792A patent/PT73792B/pt unknown
- 1981-10-12 KR KR1019810003841A patent/KR880000850B1/ko active
- 1981-10-13 ES ES506194A patent/ES506194A0/es active Granted
- 1981-10-13 FR FR8119228A patent/FR2491850B1/fr not_active Expired
- 1981-10-14 JP JP56162874A patent/JPS5790264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R2491850B1 (fr) | 1986-03-28 |
PT73792A (en) | 1981-11-01 |
AU549567B2 (en) | 1986-01-30 |
AU7517581A (en) | 1982-04-22 |
ES8206316A1 (es) | 1982-08-16 |
JPS5790264A (en) | 1982-06-04 |
BR8106154A (pt) | 1982-06-15 |
ZA816167B (en) | 1982-09-29 |
CA1168110A (en) | 1984-05-29 |
ES506194A0 (es) | 1982-08-16 |
FR2491850A1 (fr) | 1982-04-16 |
KR830007336A (ko) | 1983-10-19 |
PT73792B (en) | 1983-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28824A (en) | Self steering railway truck | |
US4552074A (en) | Primary suspension for railroad car truck | |
US4000702A (en) | Transportation system | |
US4285280A (en) | Radial railway truck | |
US2981208A (en) | Bogie trucks for rail vehicles | |
CA1235607A (en) | Steerable truck for railway vehicle | |
US3782294A (en) | Articulated railway truck swinging bolster | |
US4434719A (en) | Steering motorized truck | |
US3548755A (en) | Resilient railway vehicle truck supension | |
KR880000850B1 (ko) | 조타가능한 궤도차트럭 | |
US5802981A (en) | Twelve-axle rail vehicle | |
US6827024B2 (en) | Multiple truck rail vehicle with unified bolster-car body | |
US5562044A (en) | Steering railway truck | |
US3952670A (en) | Railway vehicle primary suspensions | |
US4538524A (en) | Equalization means for a railway truck | |
JPH0563346B2 (ko) | ||
DE69101290T2 (de) | Neigbares Fahrzeug. | |
US5537932A (en) | Railway truck bearing lateral thrust pads | |
CA1138259A (en) | Trucks for wheeled vehicles | |
US5000096A (en) | Articulated vehicle, such as an extra-long railway car intended for transporting automobiles | |
US2106291A (en) | Wheel suspensions | |
GB2237544A (en) | Low bogie structure for a railway vehicle | |
US4569291A (en) | Articulated bogie | |
RU1794730C (ru) | Безрамна двухосна тележк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US1972934A (en) | Tru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