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73B1 - Lubricating Oil Solvent Purification - Google Patents
Lubricating Oil Solvent Purif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1273B1 KR850001273B1 KR1019830002028A KR830002028A KR850001273B1 KR 850001273 B1 KR850001273 B1 KR 850001273B1 KR 1019830002028 A KR1019830002028 A KR 1019830002028A KR 830002028 A KR830002028 A KR 830002028A KR 850001273 B1 KR850001273 B1 KR 850001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vent
- extract
- zone
- pressure
- extra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3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877 solvent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35 solvent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557 residual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11874 heated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2442 inert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7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HYBBIBNJHNGZAN-UHFFFAOYSA-N furfural Chemical compound O=CC1=CC=CO1 HYBBIBNJHNGZ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08 fractional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4 saturated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5 unsaturated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99 bas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84 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7 inorganic solven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49 in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53 low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10G21/28—Recovery of used solv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첫번째 구체예의 간이동선도.1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두번째 구체예의 간이 동선도.2 is a simplified copper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흡수탑 15 : 흡수탑5
25 : 추출탑 35 : 저압플래시탑25: extraction tower 35: low pressure flash tower
45 : 건조탑 48 : 중앙 플래시탑45: drying tower 48: central flash tower
55 : 고압플래시탑 65 : 진공플래시탑55: high pressure flash tower 65: vacuum flash tower
71 : 스트리핑탑 86 : 진공플래시탑71: stripping tower 86: vacuum flash tower
96 : 스트리핑탑96: stripping tower
본 발명은 상이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진 성분들을 함유하는 석유유분을 가공하는데 사용된 용매를 회수하는 진보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특히 본 발명은 N-메틸피롤리돈을 용매로서 이용하는 윤활유용매정제 공정에서 탄화수소추출물로 부터 용매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anced process for recovering the solvent used to process petroleum fractions containing components having differ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a solvent from a hydrocarbon extract in a lubricating oil solvent purification process using N-methylpyrrolidone as a solvent.
탄화수소유 충전원료중 방향족 및 불포화성분들은 방향족 및 불포화탄화수소의 용매추출법을 포함한 각종 방법에 의해 좀더 포화된 탄화수소 성분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용매는 탄화수소유충전원료중 적어도 한 성분과 친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용매 추출단계에서 적용되는 온도 및 압력조건하에서 충전원료와 부분적으로 불혼화성인것이 적합하다. 추출대역에는 두개의 액상이 존재하게 되며 두액상은 일반적으로 충전원료중 용해된 방향족성분들과 함께 대부분의 용매를 함유하는 추출물상과 소량의 용매와 함유 충전원료중 비 방향족 성분들을 함유하는 추출찌꺼기상으로 구성된다. 석유 기제윤활유원료의 용매추출공정에서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용매중에는 푸르푸랄, N-메틸-2-피롤리돈, 페놀 및 기타 각종 공지된 유기 및 무기용매가 있다. 윤활유기제원료로 부터 방향족 및 기타 바람직하지 못한 성분들을 제거하면 점도지수 색상 및 산화안정성, 열안정성이 향상되고 탄화수소공급원료로 부터 생성된 기제유와 윤활유생성물의 억제반응이 향상된다.It is well known that aromatic and unsaturated components in hydrocarbon oil feedstocks can be separated from more saturated hydrocarbon components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solvent extraction of aromatic and unsaturated hydrocarbons. The solvent has affinity with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hydrocarbon larvae feedstock and is preferably partially incompatible with the filler material under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applied in the solvent extraction step. There are two liquid phases in the extraction zone, and the two liquid phases generally contain the extract phase containing most of the solvent together with the aromatic components dissolved in the filler material, and the extract residue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the solvent and the non-aromatic components in the filler material. It is composed of phases. Among the solvents known to be useful in the solvent extraction process of petroleum based lubricating oils are furfural, N-methyl-2-pyrrolidone, phenol and various other known organic and inorganic solvents. The removal of aromatics and other undesirable components from the lubricating organic raw materials improves the viscosity index color, oxidation st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and the inhibition of base oils and lubricating oil products produced from hydrocarbon feedstocks.
가장 근래 방향족 및 비 방향족탄화수소의 혼합물로부터 방향족 탄화수소를 추출해내는 바람직한 용매로서 푸르푸랄과 페놀 대신 N-메틸-2-피롤리돈이 대치되게 되었다. N-메틸-2-피롤리돈의 용매로서의 이점은 예컨대 미국특허 4,057,491에 설명되어 있다. N-메틸-2-피롤리돈은 대부분의 기타공지된 용매보다 비교적 낮은 온도와 낮은 용매 대 오일 윤활유 충전원료로 부터 방향족성분을 용매추출하는데 효과적이다.Most recently, N-methyl-2-pyrrolidone has been replaced by furfural and phenol as the preferred solvent for extracting aromatic hydrocarbons from mixtures of aromatic and non-aromatic hydrocarbons. The advantages of N-methyl-2-pyrrolidone as a solvent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4,057,491. N-methyl-2-pyrrolidone is more effective at solvent extraction of aromatics from relatively low temperatures and low solvent to oil lubricating oil fillers than most other known solvents.
N-메틸-2-피롤리돈은 그의 화학적 안정성, 낮은 독성 및 개선된 품질의 정제유를 생성케 하는 그 능력등에 의해 일반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용매이다. 용매로서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하는 것과 종래의 용매회수조작을 설명해주는 종래의 방법들 몇몇이 미국특허 3,461,066 및 3,470,089에 공보되어 있다.N-methyl-2-pyrrolidone is generally the most preferred solvent due to its chemical stability, low toxicity and its ability to produce refined oils of improved quality. Several conventional methods are described in US Pat. Nos. 3,461,066 and 3,470,089, using N-methyl-2-pyrrolidone as a solvent and describing conventional solvent recovery operations.
본 발명의 방법은 단일 또는 다 단계 용매회수계를 사용하는 N-메틸-2-피롤리돈 정제설비를 개선하고 생성물로 부터 용매를 증기 또는 불활성기체스트리핑 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용매정제공정에서 에너지요구량을 절감하면서 푸르푸랄 및 페놀공정설비를 N-메틸-2-피롤리돈 용매계로 전환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improving N-methyl-2-pyrrolidone purification equipment using single or multistage solvent recovery systems and for vapor or inert gas stripping of solvent from the product.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articularly suitable for converting furfural and phenol processing plants to N-methyl-2-pyrrolidone solvent systems while reducing energy requirements in solvent purification processes.
증류와 스트리핑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오일-용매혼합물로부터 용매를 분리하는 용매정제계중에서 예컨대 추출물상과 추출찌꺼기상과 같은 오일-용매혼합물로부터 N-메틸-2-피롤리돈을 회수하는데 있어용매정제시 증기로 스트리핑하는 것 보다는 불활성기체로 스트리핑하면 종래의 증기스트리핑과 비교시 공정중 에너지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불활성기체 스트리핑은 예컨대 미국 특허 2,923,680; 4,013,549; 4,057,491에 발표되어 있다.Solvent purification in recovering N-methyl-2-pyrrolidone from oil-solvent mixtures such as extract phase and extract residue, for example, in a solvent purification system that separates the solvent from the oil-solvent mixture by using distillation and stripping together. Stripping with inert gas rather than stripping with steam can reduce in-process energy requirements as compared to conventional steam stripping. Inert gas stripping is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2,923,680; 4,013,549; 4,057,491.
추출단계에서 조작조건은 약 75-100바람직하게는 약 85-96의 탈납점도지수를 가진 1차 추출찌꺼기가 생성되도록 선택된다. 용매추출온도는 43-100℃, 바람직하게는 54-95℃인 것이 적합하며 용매용량은 탄화수소공급원료를 기준으로 50-500용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100-300용량퍼센트인 것이 적합하다. 추출찌꺼기와 용매 계면에서의 추출압력은 1.4-2바아(bar)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 또는 습윤용매는 용매력과 선택성을 조절하기위해 추출기 기저내로 주입시킬 수 있다. 완성된 윤활유기제원료를 생성키위해 1차 추출찌꺼기를 바라는 유동점으로 탈납한다. 소망에 따라 정제되거나 탈납된 오일은 색상및 안정성개선을 위해 마무리 처리 예컨대 약한 수소첨가 등을 받게 할 수 있다.In the extraction step, the operating conditions are chosen such that primary extraction residues with a dewaxing viscosity index of about 75-100 are preferred. The solvent extraction temperature is suitably 43-100 ° C., preferably 54-95 ° C. and the solvent capacity is suitably 50-500 volume percent, preferably 100-300 volume percent based on the hydrocarbon feedstock. The extraction pressure at the extraction residue and solvent interface is preferably 1.4-2 bar. Water or wet solvent may be injected into the base of the extractor to control solvent power and selectivity. Dewax to the pour point where the first extraction residue is desired to produce a finished lubricant base material. If desired, the refined or de-leaded oil can be subject to finishing treatments such as mild hydrogenation, etc., to improve color and stability.
추출탑조작에는 두 불혼화성액상의 역류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공정의 기계적실행 가능성은 다용매상 또는 추출물상 및 다오일상 또는 추출찌꺼기상 사이의 밀도차에 따라 달라진다. 용매용량범위가 100-500용량퍼센트 즉 윤활유공급원료 각 100용량 퍼센트당 용매 100-500용량 퍼센트 이내인 경우 용매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차가 증가하게 된다. 예컨대 100퍼센트이하와 같이 용매용량이 아주 낮은 경우 밀도차가 아주 낮게 되어 용매추출탑으로의 공급물의 배출을 심하게 제한하게 된다.Extraction tower operation involves the backflow of two immiscible liquid phases. The mechanical viability of the process thus depends on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multisolvent or extract phase and the multioil phase or extract residue. If the solvent capacity range is within 100-500 volume percent, that is, within 100-500 volume percent of solvent for each 100 volume percent of lubricating oil feedstock, the density difference increases with increasing solvent volume. Very low solvent capacities, such as less than 100 percent, result in very low density differences that severely limit the discharge of feed to the solvent extraction tower.
N-메틸-2-피롤리돈은 몇몇 탄화수소충전원료의 경우에서 바라는 추출찌꺼기품질을 얻기에 필요한 용매용량이 극히 낮은 경우 방향족에 효과적인 그런 용매이다. 최저실시용량 즉 약 100퍼센트 및 온도 즉 약 60℃에서 무수 N-메틸-2-피롤리돈을 가지고 추출탑을 조작할때 정제된 오일의 질을 바라는 것보다 높으며 몇몇경우 정제된 오일의 수율은 바라는 것보다 낮게 된다.N-methyl-2-pyrrolidone is such a solvent effective for aromatics when the solvent capacity required to achieve the desired extraction residue quality for some hydrocarbon fillers is extremely low. When operating an extraction tower with anhydrous N-methyl-2-pyrrolidone at the minimum dosage, ie about 100 percent and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the quality of the purified oil is higher than desired and in some cases the yield of the purified oil is Lower than desired.
본 발명의 방법은 추출탑내의 두액상을 신속히 분리하는데 효과적인 무수용매용량으로 추출단계를 조작하고, 물이나 습윤용매를 추출물상의 배출지점부근에서 즉 탄화수소공급원료를 분리계로 도입시키는 지점과 추출물상의 배출 지점 사이에서 추출탑내로 도입시켜 추출탑을 환류함으로써 높은 정제유 수율을 가진 바라는 품질의 추출찌꺼기 생성물을 얻음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해준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extraction step with an anhydrous solvent capacity that is effective to rapidly separate the two liquid phases in the extraction column and discharges the extract phase and the point where the water or wet solvent is introduced near the discharge point of the extract phase, that is, the hydrocarbon feedstock into the separation system. This problem is solved by introducing into the extraction column between the points and refluxing the extraction column to obtain the product of the desired quality of the extraction residue with high refined oil yield.
지금까지는 용매내에서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추출탑내의 N-메틸-2-피롤리돈에 물을 첨가하거나 환류시용매와 혼합상태로 해주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본 발명은 용매로서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하여 추출물과 추출찌꺼기 생성물로 부터 용매를 분리하고 용매중의 오일오염을 제거하며 용매정제계에서 용매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개선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추출탑에서 일차 용매로서 무수용매를 사용하고 환류시 물이나 습윤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주어진 용매용량에서 바라는 품질의 정제유를 높은 수율로 얻을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매회수는 공정중 에너지요구량의 절감의 결과로 단순화될 수 있다.Until now, it has been proposed to add water to N-methyl-2-pyrrolidone in the extraction column or to mix it with the reflux solvent in order to reduce the solubility of the aromatic hydrocarbon in the solv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method of using N-methyl-2-pyrrolidone as a solvent to separate solvents from extracts and extract residues, remove oil contamination in solvents, and control the water content of solvents in solvent purification systems. To provid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obtaining purified oil of high quality at a given solvent capacity by using anhydrous solvent as the primary solvent in an extraction column and using water or a wet solvent at reflux. Solvent recovery can be simplified as a result of reduced energy requirements in the process.
요약하면 본 발명은 용매정체윤활유 기제원료상에서 얻어진 추출물상으로부터 용매를 회수하는 진보된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에서 추출물로부터 용매의 제거는 우선 저압용매증발대역에서 부분적으로 용매를 증발시킨후 점차 더 높은 압력하의 각종 대역에서 추출물로 부터 용매를 더 증발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열은 최종 고압증발 대역에만 외부로 부터 공급되며 그 이전의 각 증발대역에서의 열은 각기 뒤이은 증발대역으로부터의 증기들과의 열교환에 의해 공급되며 최종고압증발대역으로부터의 증기일부를 중압 증발대역으로 부터의 증기와 혼합하여 열 공급원으로서 저압 용매증발 대역에 공급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용매를 대기압이하 플래시 대역에서 더 증발시킨후 고압 대역 온도보다 적어도 5℃이상 높은 온도의 고압증발 대역에서 증발시켜 추출물로부터 회수한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ced method for recovering solvent from an extract obtained on a solvent-based lubricating oil basestock, in which removal of the solvent from the extract is first performed by evaporating the solvent partially in the low pressure solvent evaporation zone and then gradually higher. This is achieved by further evaporation of the solvent from the extract in various zones under pressure and heat is supplied externally only to the final high-pressure evaporation zone, where heat in each previous evaporation zone is subjected to heat exchange with steam from each subsequent evaporation zone. And a portion of the vapor from the final high pressure evaporation zone is mixed with the steam from the medium pressure evaporation zone and supplied to the low pressure solvent evaporation zone as a heat sourc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olvent is further evaporated in the sub-atmospheric flash zone and then recovered from the extract by evaporation in a high-pressure evaporation zone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5 ° C. higher than the high pressure zone temperature.
또 다른 구체예에서 고압증발대역으로부터의 추출물중 유분중 남아있는 용매는 대기압이하 플래시대역에서 추출물유분으로 부터 용매를 플래시 증발시킨후 불활성 기체 존재하 고압 플래시 증발대역보다 적어도 5℃이상 높은 온도의 히터내에서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더 증발시키고 이어 낮은 초과대기압하에서 불활성기체로 추출물을 스트리핑함으로써 추출물로 부터 완전 회수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첨부된 도면 및 두개의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olvent remaining in the oil in the extract from the high-pressure evaporation zone is at least 5 ° C. higher than the high-pressure flash evaporation zone in the presence of an inert gas after flash evaporating the solvent from the extract fraction in the flash zone below atmospheric pressure. The solvent is further recovered from the extract by further evaporating the solvent from the extract and then stripping the extract with an inert gas under low excess atmospheric pressur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wo embodiments.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첫번째 구체예의 간이 동선도(動線圖)이다.1 is a simplified copper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두번째 구체예의 간이 등선도이다.2 is a simplified isometric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제1도를 참조하면 석유기제윤활유공급원료는 라인 1을 통해 용매정제공정내로 공급되어 두개의 흐름으로 나누어진다. 공급원료의 일부는 라인 2, 히터 3 및 라인 4를 통해 흡수탑 5의 상부로 가며 여기서 윤활유 공급원료는 라인 6을 통해 흡수탑 5의 하부로 들어온 용매증기를 함유하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스트리핑기체와 긴밀히 역류접촉되게 된다. 흡수탑 5는 역류 증기-액체 접촉탑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탑 아래로 흐르는 액체가 탑을 통해 위로 흐르는 기체 및 증기와 긴밀히 접촉되게 된다. 증기와 액체간의 접촉을 긴밀히 해주기위한 예컨대 버블캡트레이, 다공관, 충전재료와 같은 장치가 탑내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특수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라인 2로 부터의 윤활유공급원료는 히터 3내에서 66℃의 온도로 가열되며 흡수탑 5는 1.7바아에서 조작된다. 흡수기 5에서 용매증기는 윤활유공급원료및 공급원료와 함께 공정내로 돌아온 회수된 용매에 의해 흡수된다. 용매가 제거되는 스트리핑 매질은 라인 7을 통해 배출되어 히터 8로 가서 공정에 재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etroleum based lubricating oil feedstock is fed into line 1 into the solvent purification process and divided into two streams. Part of the feedstock goes through line 2, heaters 3 and 4 to the top of absorption tower 5 where the lubricating oil feedstock is inert stripping gas such as nitrogen containing solvent vapor entering the bottom of absorption tower 5 via line 6 and It is in intimate countercurrent contact. Absorption tower 5 consists of a countercurrent vapor-liquid contacting tower in which the liquid flowing below the tower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gas and vapor flowing up through the tower. Devices such as, for example, bubble cap trays, perforated pipes, and filling materials for intimate contact between vapor and liquid are to be installed in the tow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as special embodiments. In this embodiment the lubricating oil feedstock from line 2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66 ° C. in heater 3 and absorption tower 5 is operated at 1.7 bar. Solvent vapor in absorber 5 is absorbed by the recovered solvent back into the process together with the lubricating oil feedstock and the feedstock. The stripping medium from which the solvent is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line 7 to the heater 8 for reuse in the process.
라인 1로 부터의 윤활유공급원료의 두번째 부분은 라인 12, 히터 13, 라인 14를 통해 흡수탑 15의 상부로 가며 여기서 윤활유 공급원료는 라인 16을 통해 흡수기 15의 저부로 들어온 증기 및 용매증기의 혼합물과 긴밀히 역류접촉되게 된다. 흡수기 15는 상술한 흡수기 5에서와 유사하게 역류접촉탑으로 구성되며 한특수 실시예로서 1.1바아의 압력과 102-104℃의온도에서 조작될 수 있다. 그로부터 용매가 제거된 증기는 라인 17을 통해 응축기 18로 가며 여기서 증기가 응축되고, 이 응축물을 레이트 드럼 19에 축적되며 여기서 이것은 용매내용물 검사시까지 저장되며 충분히 낮은 경우엔 하수도장치로 배출된다.The second part of the lubricant feedstock from line 1 goes to the top of
흡수관 5과 15의 하부로 부터 배출된 윤활유 공급원료 흐름은 서로 합쳐져 라인 22, 히터 23, 라인 24를 통해 추출탑 25의 하부로 가며 여기서 윤활유공급원료는 라인 26을 통해 추출탑상부로 도입된 무수 N-메틸-2-피롤리돈용매와 긴밀히 역류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된 "무수" N-메틸-2-피롤리돈은 수분을 0.3중량%나 그 이하 함유하는 N-메틸-2-피롤리돈을 의미한다. 특수실시예로서 추출탑 25는 1.4-2바아의 계면압력하에서 조작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46℃의 추출물 배출구온도 및 63℃의 추출찌꺼기 배출구온도에서 압력 1.4바아에서 조작된다.The lubricating oil feedstock flows from the bottoms of the
85%의 탄화수소유와 용매의 혼합물로 구성된 추출찌꺼기혼합물은 라인 28을 통해 추출탑 25로 부터 배출되어 용매로부터 추출찌꺼기 회수공정을 받게 된다. 용매분리후 추출찌꺼기는 본 방법의 바람직한 생성물인 용매정제 윤활유 기제원료가 된다. 추출찌꺼기로부터 용매의 회수는 이후 설명하고자 한다. 용매의 대부분은 추출탑 25의 기저로부터 배출된 추출혼합물내 함유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약 85%의 용매로 구성된 추출혼합물은 탑 25로 부터 배출되어 라인 31을 거쳐 혼합물을 예열하는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 32, 33, 34를 통과하여 저압플래시탑 35로 가며 여기서 물과 용매의 일부가 증발된다. 플래시탑 35에는 탑아래로 흐르는 환류액체와 탑위로 흐르는 용매증기사이의 역류접촉이 일어나게끔 그 상부에 캐스케이드 트레이와 같은 증기-액체 접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탑 35의 기저로 부터 추출혼합물 일부는 표시되어 있지 않은 장치에 의해 냉각되어 라인 37을 통해 기지의 방법으로 환류로서 탑 35의 상부에 재도입된다. 플래시탑 35는 1.15-1.4바아의 압력하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본 특수실시예에서 플래시탑 압력은 1.15바아이며 온도는 약 202℃이다.The extract residue mixture, consisting of 85% hydrocarbon oil and solvent mixture, is discharged from extraction tower 25 via line 28 and subjected to extraction residue recovery from the solvent. The extraction residue after solvent separation becomes a solvent refined lubricating oil base material which is a preferred product of the process. Recovery of the solvent from the extract residues will be described later. Most of the solvent is contained in the extraction mixture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column 25. In this example, the extract mixture, consisting of about 85% of the solvent, exits from tower 25 and passes through heat exchangers 32, 33, 34, which serves to preheat the mixture via line 31 to the low pressure flash tower 35 where water and Some of the solvent is evaporated. Flashtop 35 is equipped with a vapor-liquid contacting device, such as a cascade tray, at the top to allow countercurrent contact between the reflux liquid flowing down the tower and the solvent vapor flowing over the tower. A portion of the extraction mixture from the base of the tower 35 is cooled by a device not indicated and reintroduced to the top of the tower 35 via reflux in a known manner via line 37. The flashtop 35 can be operated under a pressure of 1.15-1.4 bar and in this particular embodiment the flashtop pressure is 1.15 bar and the temperature is about 202 ° C.
플리시탑 35내지 추출혼합물로 부터 분리된 용매증기는 수증기를 함유한다. 수증기와 혼합된 용매증기는 라인 39를 통해 열교환기 33으로 보내지며 여기서 대부분의 용매증기와 소량의 수증기가 응축되며 라인 31로 부터의 추출혼합물은 예열된다. 응축물 및 비응축증기는 라인 41을 통해 축적기 42로 보내지며 공급물질의 일부는 아래설명되는 바와 같이 건조탑 45로 보내진다.Solvent vapors separated from the flashy 35 to extraction mixture contain water vapor. Solvent vapor mixed with water vapor is sent to heat exchanger 33 via
플래시탑 35에서 증발에 의해 용매의 일부가 제거된 추출혼합물의 대부분은 열교환기 46 및 47을 통해 저압 플래시탑 35와 유사한 중압플래시탑 48로 보내진다. 중압 플래시탑 48은 1.7-1.97바아의 압력하에서 조작하는 것이 적합하며 본 특수 실시예에서의 중압 플래시탑의 압력은 1.72바아, 온도는 232℃이다. 플래시탑 35의 기저로 부터의 추출물용매혼합물의 극히 일부가 표시되어있진 않으나 기지의 방법에 따라 환류에 의해 플래시탑 48의 상부로 도입된다.Most of the extract mixture from which part of the solvent was removed by evaporation in flashtop 35 is sent through heat exchangers 46 and 47 to a medium pressure flashtop 48 similar to the low pressure flashtop 35. The medium pressure flashtop 48 is suitable for operation under a pressure of 1.7-1.97 bar and the pressure of the medium pressure flashtop in this particular embodiment is 1.72 bar and the temperature is 232 ° C. Very few of the extract solvent mixtures from the base of flashtop 35 are indicated, but are introduced to the top of flashtop 48 by reflux according to known methods.
중압 플래시탑 48의 상부를 떠난용매증기는 라인 49를 통해 열교환기-응축기 34로 보내지며 여기서추출탑 25의 기저로 부터의 추출혼합물과 간접 열 교환되어 용매증기의 일부는 응축되며 추출혼합물은 저압플래시탑 35에 도입되기에 앞서 예열된다. 열교환기-응축기 34로 부터의 응축물은 재 사용을 위해 무수용매로서 라인 50을 통해보내진다. 열교환기 34로 부터의 비응측용매와 수증기는 라인 51을 통해 건조탑으로의 공급물질의 일부로서 건조탑 45로 보내진다.Solvent vapor leaving the top of the medium pressure flash tower 48 is sent to the heat exchanger-condenser 34 via line 49 where it is indirect heat exchanged with the extract mixture from the base of the extraction tower 25 to condense a portion of the solvent vapor and the extract mixture to low pressure. Preheated prior to introduction into flashtop 35. The condensate from the heat exchanger-condenser 34 is sent through line 50 as solvent-free for reuse. Non-condensing solvent and water vapor from the heat exchanger 34 are sent via line 51 to drying tower 45 as part of the feed to the drying tower.
용매의 일부가 플래시탑48에서의 증발로 인해 더 제거된 추출혼합물은 플래시탑 48의 저부로부터 배출되어 열교환기 52라인 53을 지나 히터 54로 보내지며 여기서 혼합물은 288-310℃의 온도로 가열되고 추출혼합물로부터 남은 용매의 대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 플래시탑 55로 보내진다. 고압 플래시탑 55는 2.9-3.14바아의 압력하에서 조작되는 것이 적합하며 본 특수 실시예에서의 압력은 2.9바아이다. 플래시탑 35의 기저로 부터의 추출물 용매혼합물의 일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환류로서 기지의 방법으로 고압플래시탑 55의 상부에 도입된다. 고압플래시탑 55의 상부를 떠나는 용매증기의 대부분은 라인 56을 통해 열교환기 47로 보내지며 여기서 저압플래시탑 35로 부터의 추출혼합물과 간접열 교환되어 용매증기는 응축되며 추출혼합물은 중압플래시탑 48로 도입되기에 앞서 열이 공급된다. 용매증기는 열교한기 47에서 응축되며 응축물은 라인 47A를 통해 용매응축기 47B로 보내진후 라인 106을 통해 무수용매 저장소 92로 보내진후 무수용매일부가 추출탑 25로 공급된다.Some of the solvent was further removed due to evaporation in the flashtop 48 and the extract mixture was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flashtop 48 and passed through
본 발명에 따라 고압플래시탑 55로 부터의 용매증기의 일부는 라인 57 및 49를 통해 중압플래시탑 48로부터의 용매증기와 혼합물 상태로 라인 49를 지나 열 교환기 34로 보내져 추출탑 25로 부터의 추출혼합물에 또 다른 열을 공급하며 저압플래시탑 35에 바라는 온도를 유지시켜준다. 이 목적을 위해서 고압플래시탑 55로 부터 용매증기의 2-10%가 라인 57, 49 및 열 교환기 34로보내지는 것이 적합하다. 팽창밸브 58과 라인 59을 통해 고압플래시탑 55의 기저로 부터 배출된 탄화수소유추출물은 아직 약간의 용매를 함유하며 예컨대 20용량%의 용매와 80용량%의 탄화수소추출물을 함유한다. 이 추출혼합물은 히터 60에서 고압플래시탑 55보다 더 높은 온도로 재가열되어 진공플래시탑 65로 보내져 추출물로 부터 용매가 더 회수된다. 진공플래시탑은 0.25-0.55바아 범위의 압력하 293-315℃의 온도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본 특수실시예에서의 압력은 0.45바아, 온도는 293℃이다. 플래시탑 35의 기저로 부터의 추출물 용매 혼합물의 일부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기지의 방법에 의해 환류로서 진공플래시탑 65의 상부로 공급된다.A portion of the solvent vapor from the high
진공플래시탑 65에서 용매로 부터 또 다른 추출물의 분리가 일어난다. 용매증기는 플래시탑 65의 상부로부터 배출되어 라인 66을 통해 응축기 67 및 용매축적기 68로 보내진다. 비응축기체는 축적기 68로 부터 배출되어 라인 69를 통해 표시되어 있진 않으나 적당한 진공 공급원으로 보내지며 이 장치로 부터 배출될 수 있다. 추출물이 많은 유분은 플래시탑 65의 기저로 부터 배출되어 라인 70을 통해 추출물 스트리핑탑 71의 상부로 도입된다. 추출물스트리핑탑 71은 탑을 통해 아래로 흐르는 액체추출물과 라인 72를 통해 탑 71의 저부로 부터 도입된 불활성 스트리핑기체가 접촉되는 전형적인 역류 증기-액체 접촉탑으로서 버블캡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리핑탑 71의 기저로 부터의 추출물혼합물의 일부는 냉각되어 라인 73을 통해 환류로서탑의 상부로 되돌아 온다.The separation of another extract from the solvent takes place in vacuum flash tower 65. Solvent vapor is withdrawn from the top of flashtop 65 and sent to condenser 67 and solvent accumulator 68 via
약 50ppm이하의 용매를 함유하며 80중량%의 불포화탄화수소와 약 20중량%의 포화탄화수소로 구성된 추출오일은 스트리핑탑 71의 하부말단으로 부터 배출되어 열교환기 74를 거쳐 냉각되어 라인 75를 통해본 방법의 생성물로서 이 시스템에서 배출된다. 불활성스트리핑기체, 예컨대 질소와 스트리핑용매증기는 스트리핑탑 71의 상부로부터 배출되어 라인 76을 지나 용매가 응축되는 응축기 77로 보내진다.Extraction oil containing less than about 50 ppm of solvent and composed of 80% by weight of unsaturated hydrocarbon and about 20% by weight of saturated hydrocarbon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end of stripping tower 71, cooled through heat exchanger 74, Is the product of and is discharged from this system. An inert stripping gas, such as nitrogen and stripping solvent vapor, is withdrawn from the top of the stripping tower 71 and sent to line condenser 77 where the solvent condenses.
용매응축물은 응축물 축적기 78에 모여 라인 79를 통해 무수용매 저장소 92로 가서 추출탑 25로 재순환된다. 분리기 78에서 응축물 용매로 부터 분리된 불활성기체는 압축기 80에 의해 재순환되어 재순환스트리핑기체중 함유된 흔적량의 용매가 회수되게끔 라인 6 및 흡수기 5로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서 추출물스트리핑탑 71은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 예컨대 1.1-1.3바아 및 299℃에서 조작된다. 응축기 77은 스트리핑 기체와 용매를 60℃로 냉각시켜 흡수기 5로 재순환되기에 앞서 질소 또는 기타 스트리핑기체로 부터 용매의 대부분이 응축되게 한다. 흡수기 5는 재순환질소류로 부터 잔류용매를 거의 다 회수한다.Solvent condensate is collected in condensate accumulator 78 and recycled to extraction tower 25 via
추출탑 25의 상부로 부터 라인 28을 통해 배출된 추출찌꺼기 혼합물은 보통 15용량% 용매와 85용량%의 탄화수소로 구성된다. 본 특수실시예에서 추출탑은 100용량% 즉 오일충전원료 용량당 용매 1용량인 무수용매용량으로 조작된다. 특수실시예에서, 추출찌꺼기 혼합물은 63℃의 온도에서 추출탑으로부터 배출된다. 라인 28로부터의 추출찌꺼기 혼합물은 탱크 82에 모여 열 교환기 83 및 점화히터 85에서 가열된후 진공플래시탑 86으로 도입되며 여기서 용매가 추출찌꺼기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추출찌 꺼기 진공플래시탑 86은 0.7바아의 압력과 298℃의 온도에서 조작된다. 적당한 공급원 예컨대 무수 N-메틸-2-피롤리돈으로 부터의 환류가 라인 87을 통해 진공플래시탑 86상부로 환류로서공급된다.The extract residue mixture discharged via line 28 from the top of the extraction tower 25 usually consists of 15 vol% solvent and 85 vol% hydrocarbons. In this particular embodiment, the extraction column is operated at 100% by volume, that is, anhydrous solvent capacity of 1 solvent per oil filler capacity. 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 extract residue mixture exits the extraction tower at a temperature of 63 ° C. Extraction residue mixture from line 28 is collected in tank 82 and heated in
추출찌꺼기진공플래시탑 86에서 추출찌꺼기로 부터의 용매의 대부분이 분리된다. 용매증기는 플래시탑 86의 상부로 부터 라인 88을 통해 배출되어 열 교환기 83, 응축기 89를 거쳐 용매축적기 90으로 보내진다. 축적기 90 및 68로 부터의 응축물 용매는 라인 79를 통해 탱크 92로 통해 보내지며 여기서무수용매는 라인 26을 통해 추출탑 25로 배출된다. 비응축기체는 용매축적기 90으로부터 라인 93을 통해 적당한 진공원으로 배출되어 폐기되거나 또는 그로 부터 용매증기를 회수할 목적으로 더처리되거나 한다.Extraction residue Vacuum flashtop 86 separates most of the solvent from the extraction residue. Solvent vapor is withdrawn from the top of flashtop 86 via line 88 and sent to heat
아직도 약간의 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추출물찌꺼기는 진공 플래시탑 86의 저부로 부터 라인 95를 통해 배출되어 스트리핑탑 96의 상부로 보내지며 여기서 불활상기체에 의한 스트리핑에 의해 추출찌꺼기로 부터 잔류용매가 제거된다. 흡수기 5로 부터의 불활성기체는 라인 7과 97을 경유하여 스트리핑탑 96의 저부로 도입된다. 추출찌꺼기 응축기 98로 부터의 추출찌꺼기일부는 나타나 있진 않으나 기지의 방법으로 환류로서 추출찌꺼기스트리핑탑 96의 상부로 재도입된다. 한바람직한구체예에서 추출찌꺼기스트리핑탑 96은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인 예컨대 1.1-1.3바아의 압력과 288℃의 온도에서 조작된다. 스트리퍼 96으로 부터의 질소함유용매는 스트리퍼 71로부터의 질소함유용매와 합쳐져서 흡수기 3으로 재순환된 스트리핑기체로 부터 용매를 응축시키기 위해 응축기 77에서 냉각된다.The extract residue, which still contains some solvent,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vacuum flash tower 86 through
용매가 거의 제거된 추출찌꺼기는 스트리퍼 96의 저부로 부터 나와 열 교환기 98을 통해 냉각된후 정제윤활유원료로서 라인 100을 통해 본 방법의 주 생성물로서 배출된다.The solvent, almost free of solvent, is extracted from the bottom of
본 방법의 용매 정제계는 건조탑 45로 구성되며 여기서는 저압플래시탑 35와 중압풀래시탑 48로 부터의 수증기나 용매증기와 혼합된 증기가 추출탑 25에서 재사용되는 무수용매로 회수되게끔 처리된다. 수증기나 증기를 함유하는 용매는 저압플래시탑 35로부터 라인 39를 통해 열 교환기 33으로 가며 여기서 증기는 라인 31을 통해 추출탑 25의 기저를 떠난 추출혼합물과의 열 교환에 의해 냉각되며 부분적으로 응축된다. 결과 생성된 습윤 용매, 용매증기, 수증기로 구성된 증기-액체 혼합물은 라인 41을 통해 축적기드럼 42로 가며 여기서 습윤 용매(액체)가 용매증기 및 증기로부터 분리된다. 축적기 드럼 42으로 부터 습윤용매는 라인 101을 통해 건조탑 45로 도입되며 용매증기함유증기는 라인 102를 통해 건조탑 45로 도입되며 여기서 무수용매가 증기 및 용매증기로 부터 분리된다. 수증기를 함유하는 중압분리기 48로 부터의 용매증기는 라인 49를 통해 열 교환기-응축기 34로 보내지며 여기서 이들은 라인 31로 부터의 추출물혼합물과 간접열교환에 의해 냉각되고 일부 응축된다. 열 교환기-응축기 34에서 추출물혼합물은 저압플래시탑 35로 도입 되기에 앞서 예열되며 라인 49로 부터의 용매 증기의 일부는 응축된다. 응축된 용매는 수증기가 거의 없으며 열 교환기-응축기 34로 부터 배출되어 라인 50, 49B를 통해라인 106을 거쳐 무수용매축적기 92로 보내진다. 열 교환기-응축기 34로 부터의 비응축증기는 라인 51를 통해 건조탑 45로 보내지며 여기서 용매가 회수된다.The solvent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ocess consists of a drying tower 45 where the steam from the low pressure flash tower 35 and the medium pressure flash tower 48 or steam mixed with the solvent vapor are processed to be recovered as an anhydrous solvent for reuse in the extraction column 25. . Solvents containing water vapor or steam go from the low pressure flash tower 35 to heat exchanger 33 via
건조탑 45는 컬럼을 통해 위로 흐르는 증기와 아래로 흐르는 액체간의 긴밀한 역류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적당한 장치, 예컨대 다공관 또는 버블캡트레이와 같은 것이 설치되어 있는 분별 증류관으로 구성된다. 건조탑 45에는 모든물과 각종 공급류로서 건조탑내 도입되는 용매의 일부를 증발시키기 위한리보일러 103이 분별증류관 바닥에 설치되어 있다. 무수 N-메틸-2-피롤리돈은 라인 104를 통해 건조탑 45기저로 부터배출되어 열 교환기 105에서 냉각되며 라인 106을 통해 무수 용매 축적기 92로 보내져 추출탑 25에무수용매로 사용된다. 본 특수 실시예에서, 건조탑 45는 1.08바아의 압력과 216℃의 기저온도 즉 리보일러 온도 및 104-132℃의 탑상부온도 하에서 조작된다.The drying tower 45 consists of a fractional distillation tube equipped with a suitable device, such as a porous tube or a bubble cap tray, to ensure intimate countercurrent contact between the steam flowing up through the column and the liquid flowing down. The drying tower 45 is equipped with a
건조탑 45의 상부로부터 배출된 증기와 수반된 용매증기의 일부는 라인 108을 통해 응축기 109로 가서 냉각되고 응축된다. 소량의 용매를 함유하는 응축수는 물 드럼 110에 축적되며 여기로 부터 물의 일부는 라인 111을 통해 환류로서 건조탑 45의 상부로 되돌아가며 일부는 라인 27을 통해 추출탑 25에 용매조절제나 환류로서 도입된다. 소량의 N-메틸-2-피롤리돈을 함유하는 증기로 구성된 건조탑 45로부터의 상부증기의 나머지 일부는 라인 16을 통해 흡수탑 15로 보내지며 여기서 라인 14로부터의 공급물의 일부와 긴밀하게 역류접촉이 일어나 증기로부터 용매가 회수되게 된다.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drying tower 45 and a portion of the accompanying solvent vapor are cooled to condenser 109 via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용매 정제계에서 물은 윤활유 공급원료와 함께 정제계내로 불가피하게 도입되게되며 따라서 무수용매 추출계에서 조차 시스템으로부터 무관한 물을 제거하는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 또다른 수분 오염원은 열 교환매제로서 물이나 증기를 사용하는 열 교환기나 히터내의 누수로 인해 생기게 된다. 본 방법에서 과량의 물은 증기형태로 라인 16을 통해 흔적량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흡수탑 15로 보내지며 이후 응축기 18에서 응축되고 드럼 19내에 폐수가 모이게 된다.In solvent refining systems as described herein, water is inevitably introduced into the refining system together with the lubricating oil feedstock and therefore an apparatus must be installed to remove irrelevant water from the system even in an anhydrous solvent extraction system. Another source of moisture in systems as described herein is due to leakage in heat exchangers or heaters that use water or steam as the heat exchange medium. In this method excess water is sent in vapor form via
도면 2를 참조하여 두번째 구체예를 설명코자한다. 도면 1과 2에서 유사부분은 동일 번호로 표시했으며 하기 설명은 고압 플래시탑 55의 기저로 부터의 탄화수소오일 추출물을 처리하는데 관한 양쪽 시스템간의 차이만을 설명한 것이다.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imilar parts in FIGS. 1 and 2 are denoted by the same numeral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bes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for treating hydrocarbon oil extracts from the base of a high
고압플래시탑 55의 기저로 부터 팽창밸브 58 및 라인 59를 통해 배출된 탄화수소유 추출물은 아직 약각의 용매를 함유하며 예컨대 20용량%의 용매와 80용량%의 탄화수소 추출물로 구성된다. 이 추출혼합물은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더 회수하기 위해 진공플래시탑 160으로 도입된다. 진공플래시탑은 0.25-0.55 바아의 압력과 235-260℃의온도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본 특수 실시예에서의 압력은 0.45바아, 온도는 243℃이다. 플래시탑 35기저로 부터의 추출물 용매 혼합물중 소량이 나타나 있진 않으나 환류로서 진공플래시탑 160의 상부에 도입된다.The hydrocarbon oil extract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high
진공플래시탑 160에서 용매로 부터 추출물의 또다른 분리가 일어난다. 용매증기는 진공플래시탑 160의 상부로부터 라인 66을 통해 배출되어 응축 67을 거쳐 용매축적기 68로 보내진다. 비응축 기체는 라인 69를 통해 축적기 68로 부터 적당한 진공원으로 배출되며 시스템으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다.Another separation of the extract from the solvent takes place in
진공플래시탑 160의 기저로 부터 배출된 탄화수소 오일 추출물은 아직 약간의 용매를 함하유고 있으며 예컨대 7용량%의 용매와 93용량%의 탄화수소 추출물로 구성된다. 이 추출혼합물은 히터 165에서 고압플래시탑 55의 온도보다 적어도 5℃ 높은 온도 예컨대 293-315℃로 불활성기체존재하에서 재가열되어 추출스트리핑탑 71의 상부로 도입된다.The hydrocarbon oil extract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예컨대 질소와 같은 불활성기체는 히터 165내의 용매증발을 증가시키기 위해 압축기 80으로부터 라인 6 및 64를 통해 히터 165의 히터코일내로 도입된다. 추출물 스트리핑탑 71내로 도입된 불활성스트리핑기체 양의 5-125몰%, 바람직하게는 33몰%가 히터 165내의 추출물흐름내로 도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 165로부터 배출되는 액체탄화수소 추출물성분들은 1.2바아의 압력과 299℃의 온도하에 있으며 배출되는 액체중에 남아있는 평형 용매는 보통 1.8용량%이다. 히터 165로 부터 배출되는 증기-액체 혼합물은 추출물 스트리핑탑 71의 상부로 도입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ert gas, such as for example nitrogen, is introduced into the heater coil of the heater 165 via
본 발명의 방법이 용매로서 무수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하여 윤활유 충전원료를 추출함과동시에 물 환류를 이용하여 용매의 택선성을 조절해 주면서 에너지 효율 용매회수계를 제공해준다는 것은 이 분야에 숙련된자에겐 명백한 사실이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ergy efficient solvent recovery system while extracting a lubricating oil filler using anhydrous N-methyl-2-pyrrolidone as a solvent and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selectivity of the solvent using water reflux. This is obviou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6/377,293 US4390418A (en) | 1982-05-12 | 1982-05-12 | Recovery of solvent in hydrocarbon processing systems |
US377293 | 1982-05-12 | ||
US377,293 | 1982-05-12 | ||
US06/377,294 US4419227A (en) | 1982-05-12 | 1982-05-12 | Recovery of solvent from a hydrocarbon extract |
US377,294 | 1982-05-12 | ||
US377294 | 1999-08-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4779A KR840004779A (en) | 1984-10-24 |
KR850001273B1 true KR850001273B1 (en) | 1985-09-04 |
Family
ID=2700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2028A KR850001273B1 (en) | 1982-05-12 | 1983-05-11 | Lubricating Oil Solvent Purification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0100401A1 (en) |
KR (1) | KR850001273B1 (en) |
AU (1) | AU554865B2 (en) |
ES (1) | ES8407086A1 (en) |
MX (1) | MX16695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651547C1 (en) * | 2017-06-05 | 2018-04-20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ОКСТЭК" | Method of solvent regeneration during the dewaxing and decontamination processes |
CN113617052A (en) * | 2021-07-19 | 2021-11-09 | 茂名海和石油化工有限公司 | Stripping oil refining process using nitrogen as gas sour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61066A (en) * | 1966-12-23 | 1969-08-12 | Texaco Inc | Solvent recovery in the solvent extraction of hydrocarbon oils |
US4057491A (en) * | 1976-03-26 | 1977-11-08 |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 Solvent recovery process for N-methyl-2-pyrrolidone in hydrocarbon extraction |
US4214975A (en) * | 1978-05-10 | 1980-07-29 | The Lummus Company | Solvent recovery process for processing of hydrocarbons |
DE3002984C2 (en) * | 1980-01-29 | 1982-11-11 | Edeleanu Gmbh, 6000 Frankfurt | Process for the recovery of solvents from solvent-containing hydrocarbon phases in hydrocarbon refining systems |
-
1983
- 1983-05-02 EP EP83104308A patent/EP0100401A1/en not_active Withdrawn
- 1983-05-04 AU AU14211/83A patent/AU554865B2/en not_active Expired
- 1983-05-06 MX MX026660A patent/MX166951B/en unknown
- 1983-05-11 KR KR1019830002028A patent/KR85000127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3-05-12 ES ES522342A patent/ES8407086A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166951B (en) | 1993-02-15 |
EP0100401A1 (en) | 1984-02-15 |
AU554865B2 (en) | 1986-09-04 |
ES522342A0 (en) | 1984-08-16 |
KR840004779A (en) | 1984-10-24 |
ES8407086A1 (en) | 1984-08-16 |
AU1421183A (en) | 1983-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673788B2 (en) | Method for recovering benzene from mixed hydrocarbons | |
US4664786A (en) |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a mixed feedstock | |
KR840000579B1 (en) | Solvent extraction of hydrocarbon oils | |
US4175034A (en) | Closed-loop vacuum fractionation process | |
JPS5948040B2 (en) | Improved solvent recovery method for N-methyl-2-pyrrolidone in hydrocarbon extraction | |
US4311583A (en) | Solvent extraction process | |
US6372122B1 (en) | Method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petroleum distillates | |
US4419227A (en) | Recovery of solvent from a hydrocarbon extract | |
US4390418A (en) | Recovery of solvent in hydrocarbon processing systems | |
JPS6251318B2 (en) | ||
US4294689A (en) | Solvent refining process | |
CA1109014A (en) | Solvent recovery process for processing of hydrocarbons | |
KR840000578B1 (en) | A process for solvent refining a lubricating oil | |
KR850001273B1 (en) | Lubricating Oil Solvent Purification | |
CA1122152A (en) | Extracting aromatic hydrocarbons from mixtures containing same | |
US4401560A (en) |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from petroleum fractions with heat recovery | |
US4342646A (en) | Trace solvent recovery in selective solvent extraction | |
US4333824A (en) | Refining highly aromatic lube oil stocks | |
US4422923A (en) | Process for recovering solvents from solvent-containing hydrocarbon phases in hydrocarbon raffination systems | |
KR850001605B1 (en) | Recovery of solvent from a hydrocarbon extract | |
RU2218379C2 (en) | Oil residue deasphalting process | |
EP0144216B1 (en) | Removal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by solvent extraction | |
US4555310A (en) | Method of utilizing energy of high pressure condensate | |
US3304253A (en) | Recovery of phenolic materials | |
SU1616969A1 (en) | Method of recovering benzene hydrocarbons from coke g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5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5072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1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5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85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8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9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0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1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2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307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4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7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7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7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083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08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