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71B1 - Rising and falling apparatus supporting deck with legs - Google Patents
Rising and falling apparatus supporting deck with leg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00000271B1 KR800000271B1 KR7400973A KR740000973A KR800000271B1 KR 800000271 B1 KR800000271 B1 KR 800000271B1 KR 7400973 A KR7400973 A KR 7400973A KR 740000973 A KR740000973 A KR 740000973A KR 800000271 B1 KR800000271 B1 KR 8000002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form
- leg
- ring
- upper ring
- leg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제1도 해상에 설치된 독립된 다리부가 붙은 해양구조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offshore structure with independent legs attached to the sea
제2도 본 발명 승강장치의 1단위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unit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 제2도의 Ⅲ-Ⅲ선에 따른 수평 단면도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제4도 제3도의 Ⅳ-Ⅳ선에 따르는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제5도 제4도의 V-V선에 따른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제6도 일반적인 지지다리부의 승강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the lifting operation procedure of a general support leg part.
제7도 독립된 다리부를 급속히 승강시키기 위한 조작순서도Fig. 7 Operation procedur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independent leg part rapidly
제8도 다리부를 착저시키는 경우의 조작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operation when the leg portion is fixed
제9도 갑판을 승강시키는 경우의 조작 설명도Fig. 9 Operation explanation diagram when raising and lowering the deck
제10도 상승시킨 갑판에 의해 다리부에 대해 프리로우딩(Preloading)을 가할 때의 상태 설명도Explanatory drawing of state when preloading is applied to leg part by the deck which raised to FIG.
본 발명은 복수의 독립된 다리부를 갖는 해양구조물을 위한 개량된 갑판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deck lifting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s hav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legs.
해저 석유 굴착등에 쓰이는 해양구조물로서 복수의 독립 조작가능한 다리부를 갖춘 해상 플랫포옴이 공지되어 있다. 이 타입의 해상 플랫포옴은 일반적으로 말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양성(浮揚性)의 플랫포옴 본체(01)과 본체(01)에 대해 각각 독립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다리부(02)와, 각각의 지지다리부(02)에 결합하여 이것을 승강시키도록 본체(01)상에 설치한 승강장치(03)로서 이루어지며, 임의의 해상 작업위치에서, 해면에 부양한 본체(01)상에서 승강장치(03)의 조작으로 각각의 지지다리부(02)를 강하하여 해저에 도달시키고, 그후 본체(01)를 수면보다 위의 일정 높이로상승시켜서 본체(01)를 다리부(02)위에 수평으로 고정시킴으로서 해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 이 타입의 해상플랫포옴은, 해저에 상당한 경사 또는 기복이 있는 지점에서도, 플랫포옴 위에서 강하되는 각각의 지지다리부의 내밈(繰出)길이를 조절함으로서 그 위에 플랫포옴을 수경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다리부(02)의 작은 저면으로 플랫포옴을 해저에 지지하기 때문에, 다리부(02)는 해저에 함몰되기 쉽고, 따라서 작업중에 다리부가 침하하는 것을 막기 위해 플랫포옴 설치시에 미리 각각의 다리부마다 큰 하중을 가하여 충분히 경질지반까지 다리부를 도달시키는 작업(프리로우딩)이 필요하다.Offshore platforms with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operable legs are known as offshore structures for use in offshore oil drilling. Generally speaking, this type of marine platform has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which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the buoyant platform
또 각각의 다리부마다 플랫포옴으로부터의 내밈 길이 및 땅속으로 함몰하는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그러한 다리부 위에 갑판을 수평으로 고정하는 작업(높이 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플랫포옴위의 승강장치(03)에는 일반적으로 다리부(02)를 플랫포옴(01)에 대해 일제히 또는 개발적으로 서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다리부에 프리로우딩을 부여하는 조작, 높이 조정을 위해 다리부마다에 승강높이를 조금 조절하는 조작 및 선택된 높이로 다리부와 플랫포옴과를 확실히 고정하는 조작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each leg has a different length of extension from the platform and a recess in the ground, it is necessary to fix the deck horizontally on the leg (height adjustment).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조작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포함한 새로운 형식의 갑판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elevator device including the function of each operation described above collectively.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제2도 도면에서 (1)은 부양성 플랫포옴, (2)는 플랫포음 (1)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벽, (3)은 상술한 벽 (2)내를 지나 종방향으로 안내되고 또한 그의 면의사방에 종열(縱列)의 랙(rack)(4)을 갖춘 원주상의 지지다리부,(5)는 다리부(3)의 주위를 둘러싸고 플랫포옴상에 설치한 갑판 승강장치이다. 승강장치(5)는 지지다리부(3)를 둘러싸는 것같이 플랫포옴(1)상에 고정한 강성의 골조구조(6)와 골조 구조, (6)의 정상부와 플랫포음(1)사이에서 지지다리부(3)의 주위에 종 이동이 가능하도록 느슨하게 결합한 강성의 상부 링(7) 및 하부 링(8)과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부 링(7)과 골조 구조(4)의 정상부와의 사이에 연결하고 하향으로 연장하여 종으로 배치한 4개의 복동식 제1유체압 실린더(9)세트와 상술한 제1유체압 실린더(9)의 간격 중간부에서 일단을 골조구조 정상부에 고정하고 제1유체압 실린더(9)세트와 평행하게 하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연장 단부가 상부 링을 관통하여 상부링과 서로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배치한 4개의 기어 잭(10)세트와 상술한 기어 잭(10)의 연장 단부와 하부링(8)과의 사이에 연결하고 하향을 연장하도록 배치한 4개의 복동 제2유체압 실린더(11)의 세트와 상기 기어 잭(10)의 연장 단부와 상부 링(7)을 그 관통부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한 상부링 위의 돌설부(12)와 상부 링(7) 및 하부링(8)위에 각각 지지다리부(3)위의 랙(4)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한 돌설부(13)로 이루어진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drawings, (1) a buoyant platform, (2) a wall penetrating the
벽(2), 골조구조(6)의 정상부 및 상하 각 링의 내측면은, 지지다리부(3)위의 랙(4)에 대응하는 요홈(14)으로 되어 지지다리부(3)의 원주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고 종방향으로만 상대 이동하게 되어 있다.The
제1유체압 실린더(9)는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다리부위의 랙(4)에 대응하는 원주 방향의 등간격위치에서 제3도 및 제4도 중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린더 측의 끝을 골조(6)의 정상부에 고착한 연결편(15)에 피스톤 로드 측의 끝을 상부 링 (7)상에 고착한 연결편(16)에 각작 다리부에 대해 접선 방향의 축으로 연결되고, 또한 각각 다리부위의 랙의 1피치보다 약간 큰스토로우크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기어잭(10)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하우징축의 끝에 연장시켜 취부된 로드(17)를 골조구조(6)의 정상부의 구멍(18)을 통과하고, 골조구조 정상부의 상면 및 하면과의 사이에 경질 고무와 판을 겹친 패드(pad)(19)를 끼워 그 상단을 너트(20)로, 골조구조 정상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또 기어 잭(10)은 제5도와같이 하우징 내부에 짜넣은 유압모터(21)로회전 구동되는내통(22)내에 나사결합하여. 하우징, 내에서 하방으로 연장시킨 기어로드(23)를 상술한 유아모터(21)의 선택적인 정역구동(正逆驅動)에 의해 제1유체압실린더(9)의 스트로우크의 길이와 같은 거리를 신출(伸出) 또는 인입(引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어잭 또는 랙과 피니온을 사용한 별도의 기계적 구성으로 되어도 좋고, 또 전동구동 되어도 좋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기어로드(23)의 연장 끝부분은 단면이 원형의 솔리드블록(24)으로 되고, 상부링(7)상에 천설된 세로구멍(25)의 중심을 느슨하게 통과하고, 솔리드 블록(24)과 상부 링(7)이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되게 조합되어 있다. 솔리드 블록(24) 중간부에는 다리부(3)에 대한 반대측면에 상하로 수평면을 가지는 요홈형의 랙(26)이 형성되어 있다.The extending end of the
제2유체압 실린더(11)은 제1유체압실린더(9) 및 기어잭(10)과 같은 스트로우크길이를 가지고, 또한 기어잭(10)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그 실린더측의 끝부분을 상술한 솔리드 블록(24)의 하단에 고착한 연결편(27)에, 또 그 피스톤 로드 끝부분을 하부 링(8)위에 고착한 연결편(28)에 각각 다리부에 대해 접선 방향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second fluid pressure cylinder 11 has the same stroke length as the first
상부 링(7)과 기어 잭(10)의 솔리드 블록(24)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장치(12)는 제3도 중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상부 링(7)위의 세로구멍(25)의 외측에 가까운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 링 내를 그 접선방향으로 세로구멍(25)을 걸쳐서 형성한 요홈(29)와, 요홈(29)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한 크로스 비임(30)과, 상술한 크로스 비임(30)을 요홈(29)내에서 링(7)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구동시킬 수 있게 크로스 비임(30)에 연결하여 상부링(7)의 외주벽위에 고착시킨 크로스비임 구동용의 유체압실린더(31)로서, 되고, 제4도와 같이 상부 링(7)내의 요홈(29)과 솔리드블록(24)의 랙(26)이 같은 높이로 가지런히 되었을때, 실린더(31)의 피스톤 로드를 신출시키고 크로스 비임(30)을 링의 반경방향 내측위치에 릭(26)을 통하여 세로구멍(25)을 걸치도록 압출함으로서, 상부 링(7)과 솔리드 블록(24)을 종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결합하고, 반대로 실린더(31)의 피스톤 모드를 인입구동(引入驅動)함으로서, 그 결합을 풀게되어 있다.The
또, 상부 링 (7) 및 하부링(8)상에 설치한 링과 축과의 사이의 결합장치(13)는 다리부(3)위의 랙(4)의 종열을 향하여 링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링내에 수용한 핀블록(32)과 핀블록(32)을 왕복구동시킬 수 있도록 링(7),(8)의 외주벽위에 고착된 된 실린더(33)로 이루어지고, 핀 실린더(33)의 피스튼 로드를 신출시켜 핀블록(32)을 링 내에서 랙(4)와 종방향으로 중합하는 위치에 압출하고 이동시킴에 따라, 링과 다리부(3)를 종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게 결합하고, 반대로, 핀 실린더(33)의 피스튼로드를 인입구동함에 따라 핀블록(32)을 링내에 후퇴시키고 결합을 풀게 되어 있다.Further, the
제4도에 나타낸 점선은 제1유체압 실린더(9) 또는 제2유체압 실린더(11)가 피스톤 로드를 신출하여 구동시켜서 상부 링(7) 또는 하부링(8)의 하단이 강하할 수 있는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The dashed line shown in FIG. 4 shows that the first
다음에 상술한 승강장치(5)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면, 제6도는 플랫포옴(1)과 다리부(3)사이에 상대적인 종방향 이동을 행하게 하는 경우(즉 부양한 플랫포옴에서 다리부를 승강시킬때와 착지한 다리부위에 플랫포옴을 상승시키고 또는 수면까지 강하 시킬때)의 일반적인 조작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다.Nex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vating device 5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FIG. 6 shows a case in whic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is performed between the
제6도 (a)에서 승강장치는, 제1유체압 실린더(9) 및 기어 잭(l0)이 인입된 위치에서 기어 잭(10)의 솔리드블록(24)과 상부 링(7)이 결합장치(12)로 결합되고, 상부 링(7)이 핀블록(32)을 다리부위의 랙(4)에 중합시켜 결합되어 있고, 이상태는 부양한 플랫포옴(1)위에 다리부(3)가 상부 링(7), 기어 잭(l0), 강성골조 구조(6)를 통해서 지지되고, 또는 착저한 다리부(3)위에 플랫포옴(1)이 골조구조(6), 기어 잭(10)및 상부 링(7)을 통하여 지지된 상태에 해당하고 있다.In FIG. 6 (a),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다리부의 강하와, 플랫포옴의 상승은 이 상태에서 승강강치의 동일조작 사이클에 의해 행해진다. 먼저 제6도 (a)의 상태에서 제2유체압 실린더(11)을 인입한 높이에서, 제6도 (b)와 같이 하부링(8)의 핀블록(32)을 다리부(3)에 결합한 후, 상부 링(7)의 핀블록(32)을 다리부(3)에서 풀고, 이어 제6도(c)와 같이 제2유체압 실린더(11)을 산출하여 구동합으로서 다리부(3)가 하방으로 또는 플랫포음(1)이 상방으로 실린더(11)의 1스트로우크 길이만큼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 링(7)의 된 블록(32)은, 바로 다리부 위의 1피치 상위의 랙(4)에 결합할 수 있는 높이로 되고, 제6도(d)와 같이 상부 링(7)의 핀 블록(32)을 다리부에 결합시키고, 하부 링(8)의 핀 블록(32)을 다리부에서 풀고, 제6도(e)와 같이 제2유체압실린더(l1)을 인입구동하여 하부 링(8)을 인상(引上)시키고, 다시 (b),(c),(d),(e)도의 순서로 조작을 되풀이하여 행하는 것이다. 다리부의 상승 및 플랫포옴의 하강은 상술한 조작의 역으로 (e),(d),(c),(b),⒜의 순서로 되풀이 함으로서 행하여진다.The lowering of the leg and the raising of the platform are performed by the same operation cycle of the lifting value in this state. First, at the height in which the second fluid pressure cylinder 11 is drawn in the state of FIG. 6 (a), the
제7도는 특히 다리부(3)의 하강과 상승을 단시간에 행하기 위한 다른 조작 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다. 이경우에는 결합장치(12)의 크로스비임(30)을 후퇴시켜 상부 링(7)과 기어잭(10)의 솔리드블록(24)의 결합을 푼상태로 작업이 행해진다. 즉 먼저 제1유체압 실린더(9)의 인입위치에서 상부 링(7)과 다리부(3)를 결합시킨 제7도(a)의 상태에서, 제7도와 (b)같이 제1실린더 (9)를 신출시켜 다리부(3)와 플랫포옴(1)을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후 제7도 (c)와 같이 제2실린더 (11)의 인입위치에 있는 하부 링(8)을 다리부(3)와 결합하고 또 상부링(7)을 다리부(3)에서 풀고, 제7도 (d)와 같이 제2실린더 (11)을 신출시켜 다리부(3)과 플랫포옴(1)의 상대적인 종방향의 이동을 시킴과 동시에 제1실린더 (9)를 인입하여 상부 링(7)을 상위(上位)위치로 되돌리고, 제7도 (e)와 같이 상부 링(7)과 다리부(3)를 결합, 하부링(8)과 다리부(3)를 풀고, 다시(a),(b),(c),(d),(e)의 순서로 조작사이클을 되풀이함으로서, 1조작 사이클로 2스트로우크식의 다리부의 하강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다리부의 상승 조작은, 상술한 조작을 역으로 (e)-(a)의 순서로 되풀이 함으로서 행해진다.7 shows another operation cycle for performing the lowering and the raising of the leg portion 3 in a short time. In this case, the work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다음에 제8도는 상술한 조작에 의해 복수의 다리부가 강하하여 해저에 도달할 때, 승강장치에 의해 플랫포옴(1)을 수평으로 조정하고, 또한 각각의 다리부에 부속하는 승강장치(5)의 스트로우크를 일치시키는 조작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플랫포옴에서 강하된 복수의 지지다리부는 해저의 요철 또는 경사등에 의해 각각 해저에 도달하는 길이가 다르고, 그때의 각각의 다리부에 부속하는 승강장치의 작동 상태도 각각 다르게 된다.Next, in FIG. 8, when the plurality of leg portions descen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reach the sea floor, the
그 경우에 승강장치(5)는 각각의 다리부마다에 독립하여, 다리부가 해저에 지지되는 최후의 스트로우크를, 제8도 (a)와 같이 상부 실린더 (9)의 압하(押下)스트로우크에 의해 행해진다.In that case, the elevating device 5 independently of each of the leg portions, presses the last stroke of the leg portion supported by the seabed as shown in Fig. 8 (a) of the
다리부의 강하가 하방의 제2실린더(11)의 스트로우크 도중에서 종료하는 상태에 있으면, 제2실린더(11)를 인입위치로 되돌리고, 제1실린더(9)의 인입위치에서 상부 링(7)을 다리부(3)와 결합시키고, 하부링(8)과 다리부(3)의 결합을 푼다.If the lowering of the leg is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ylinder 11 is in the middle of the stroke, the second cylinder 11 is returned to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제8도 (a)는 그와같은 상태에서, 결합장치(12)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그것을 푼후, 제1실린더(9)를 신출시켜 다리부(3)를 해저에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플랫포옴(1)의 높이 조정은 이 상태에서 플랫포옴의 낮은 측에 있는 승강장치(5)의 제1실린더(9)를 다시 신출시켜서 플랫포옴의 낮은 측을 그 부분의 다리부위에 상승시키는 것에 의하여 행한다.FIG. 8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높이 조정이 끝나면 각각의 상승장치는 각각 제8도 (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기어 잭(10)을 신출시키고, 그 솔리드 블록(24)의 랙(26)을 상부 링(7)내의 요홈(29)와 일치시키고, 다시 결합장치(12)로, 기어잭의 솔리드 블록(24)과 상부 링(7)을 결합한다. 따라서 플랫포옴(1)은 각각의 상승강치의 골조구조(6), 기어 잭(10)및 상부 링(7)을 통해 다리부위에 지지된 상태로 되는 동시에 각각의 승강장치(5)는 그 제2실린더(11)을 인입위치에 가지런히 놓아, 일제히 모든 스트로우크를 동기 구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된다.After the height adjustment is completed, each lift device draws the
제9도는 이와같이 높이 조정과 제2실린더(11)의 스트로우크를 일치시킨 후 제2실린더(11) 및 상하링의 각각의 핀블록 결합 장치(13)를 사용하여, 다리부위에 플랫포옴(1)을 상승시키는 조작을 나타내고 있다.9 shows the height adjustment and the stroke of the second cylinder 11, and then, using the pin
즉 제9도 (a)는, 제8도 (b)의 상태에서 하부 링(8)을 다리부(3)에 결합하고, 상부 링(7)을 다리부(3)에서 풀어놓은 상태를 나타내고, 이어 제9도 (b)와 같이 제2실린더(11)을 일제히 신출하고 구동하여 다리부(3)위에 플랫포옴(1)을 1스트로우크 들어 올리고, 그 후 제9도 (c)와 같이 상부 링을 다리부(3) 결합하고, 다시 제9도 (a),(b),(c)의 순서로 조작을 되풀이하여 플랫포옴(1)을 수면보다 위로 상승시켜간다.That is, FIG. 9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제10도는 이러한 갑판상승 도중에 지지다리부에 프리로우딩을 행하는 경우 승강강치의 상태를 나타내고있다. 즉 지금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랫포옴에서는 그 플랫포옴이 수면에서 어느 정도 상승된 때, 4개의 지지다리부 중 대각 방향의 2개를 세트로 하여 한쪽세트의 다리부와 플랫포옴의 결합을 풀고, 플랫포옴의 전 중량을 다른 쪽 세트의 2개의 다리부 위에만 지지시키는 방법에 의해 각각의 다리부위에 실제의 작업중에 걸리는 하중보다 큰 하중을 프리로우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 승강장치는, 플랫포옴상승 조작중의 상태(예를들면 제9도 (b)에서 제10도와 같이, 상하 양 링(7)(8)을 다리부(3)에 결합시키고, 상부링(7)과 기어 잭(10)사이의 결합강치(12)를 풀고, 플랫포옴 중량을 골조구조(6)에서 제1실린더(9) 및 상부 링(7)을 전달하는 계통과, 기어잭(l0), 제2실린더(11) 및 하부 링을 전달하는 계통의 2개의 계통으로 다리부위에 부하시킴으로서 프리로우팅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FIG. 10 shows the state of the lift value when preloading is performed on the supporting leg during such a deck lift. That is, as shown in FIG. 1, in the platform, when the platform is raised to some extent from the water surface, two pairs of four supporting legs are set in diagonal directions, and the pair of legs and the platform are loosened, By loading the entire weight of the platform onto only two legs of the other set, it is possible to preload a load greater than the actual load on each leg. In this case, the elev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gages the upper and
플랫포옴(1)과 그 지지다리부(3) 사이에 상술한 승강장치(5)를 갖춘 제1도와 같은 구조물은, 부양한 플랫포옴위에 다리부를 상승시킨 상태로 해상을 필요한 작업위치로 예항(曳航)시킨다. 플랫포옴의 설치는 부양한 플랫포옴위에서, 승강장치(5)와 제6도 또는 제7도에 도시한 조작에 의해 다리부(3)를 일제히 또는 독립하여 해저 가까이까지 강하시키고, 제8도와 조작에 의해 각각의 다리부(3)를 독립해서 해저에 함몰시킴과 동시에 다리부위에 플랫포옴(1)을 수평으로 조절한 후, 각각의 승강장치(5)의 제2실린더(11)의 스트로우크동작을 가지런히하여, 제9도의 조작으로 플랫포옴(1)을 다리부(3)위에 수평으로 유지시키면서 상승시키고, 그 상승도중 제10도의 조작으로 프리로우딩을 행하여 다리부를 해저에 충분히 함몰시키고, 해면의 파랑운동이 미치지 않는 높이의 위치에서 플랫포옴(1)을 다리부(3)위에 고정하여 행한다. 플랫포옴과 다리부의 고정은, 기어잭(10)의 선단의 솔리드블록(24)를 결합장치(12)로 상부 링(7)에 결합시키고, 상부 링(7)의 핀 블록 결합장치(13)로 상부 링(7)에 결합함으로서 행해진다.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having the elevating device 5 described above between the
플랫포옴과 다리부는 그 예항중에도 같은 방법으로 고정되고, 또 그 설치작업 도중에도, 필요할 때 즉시 같은 모양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 platform and the leg can be fixed in the same way during the example and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they can be fixed in the same shape immediately when necessary.
그리고 이 플랫포옴과 다리부의 고정은 제1 및 제2의 실린더(9),(11)의 유체압을 이용하지 않고 플랫포옴과 다리부의 사이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상술한 어느 경우에도 극히 확실히 다리부와 플랫포옴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latform and the leg portion are fixed by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leg portion without using the fluid pressure of the first and
또 이 승강장치에서는. 상하 각 링(7),(8)이 각각의 잭(9),(11)을 개재해서 골조구조 정상부와 연결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다리부(3)가 벽(2) 및 골조구조(6)의 허용하는 범위에서 플랫포옴(1)에 대해 경사되었을 때, 각 링(7),(8)이 각각의 잭(9),(11)의 유체압을 완충으로서 다리부(3)의 경사에 따라 움직이고 각 링의 핀블록(32)과 랙(4)의 지지면을 항상 전면 중합상태로 유지하여 다같은 안정된 하중전달을 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그 구성은 다리부의 승강, 플랫포옴의 승강, 프리로우딩이 각각 조작되는 동안에, 상하 어느 링이 다리부와 결합되어 있을때에도, 플랫포옴과 다리부 사이의 하중전달을 항상 골조구조(6)의 정상부를 부하로 한 일정상태에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in this elevator. Since the upper and
또한 이 승강장치에서는, 골조구조 정상부와 하부 링(8)사이를 기어 잭(10)과 그것에 직렬로 연결된 제2의 유체압 잭(11)으로 연결되고, 기어 잭의 연장부와 상부 링(7)을 착탈 결합시키는 장치(1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6도의 다리부 승강, 제9도의 갑판 승강조작을 할 때에는 기어 잭 연장부와 상부 링(7)을 장치(12)로 결합시킴으로서, 상부 링의 잭(9)에 유체압을 부하시키지 않고도 잘되고, 그 상태로 제9도의 갑판승강에서는 제2유체압 잭(11)의 모든 스트로우크가 갑판 승강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잇점이 있다.Also in this elevating device, a
또 이 승강장치에서는, 제8도에 나타낸 플랫포옴의 높이 조정조작에 있어서, 플랫포옴이 수평이 되도록 조정한 각각의 승강장치의 상부 링(7)높이를, 결합장치(12), 기어 잭(10) 및 강성골조(6)를 개재하여 기계적으로 플랫포옴에 대해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그 후, 각각의 승강장치의 제2실린더(11)를 일제히 동시조절하여 행하는 제9도의 갑판이 상승하는 동안, 항상 확실히 플랫포옴을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elevating device, in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of the platform shown in FIG. 8, the height of the
또한, 이 승강장치에 의한 제10도의 프리로우딩작업에서는, 상부링(7)과 하부링(8)을 별개의 부하계통으로 동시에 다리부위에 결합시키는 까닭에, 프리로우딩에 필요한 큰 중량은, 상하 각 링에 부속되는 다수의 핀블록(32)과 그것에 대응하는 다수의 랙(4) 지지단에 분산되어 다리부위에 전달되고, 따라서, 승강장치(5)의 제1, 제2실린더(9),(11), 기어잭(10), 핀블록(32) 및 다리부위의 랙(4)등은, 다리부 또는 플랫포옴의 ,일반 승강에 필요한 최소의 정격 하중으로 경제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loading operation of FIG. 10 by the elevating device, since the
본 발명 승강장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다리부와 플랫포옴을 확실히 상대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기구, 양자를 상대 종 이동시키는 기구, 플랫포옴을 높이 조절하고 또한, 승강실린더의 스트로우크를 일치시키는 기구 및 다리부에 대한 프리로우딩의 기구를 각각, 유효하게 총괄적으로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여러기구를 상기 각각의 조작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특히, 독립된 복수의 지지다리부에 대해 상대 종이동 될 수 있는 플랫포옴을 갖는 해상작업대와 같은 구조물이 있어서, 그 설치 작업을 극히 확실하게 능률적으로 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lev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detachable mechanism capable of reliably fixing the leg portion and the platform relatively, a mechanism for moving the relative bells relative to each other,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latform and matching the stroke of the lifting cylinder. And a combination of preloading mechanisms for the leg portions, respectively, effectively and collectively, and these various mechanisms can be continuously and effectively operated by the respective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re is a structure such as an offshore workbench having a platform that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wealth, and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extremely surely and efficiently.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400973A KR800000271B1 (en) | 1974-01-01 | 1974-01-01 | Rising and falling apparatus supporting deck with leg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400973A KR800000271B1 (en) | 1974-01-01 | 1974-01-01 | Rising and falling apparatus supporting deck with leg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00000271B1 true KR800000271B1 (en) | 1980-04-09 |
Family
ID=1919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400973A KR800000271B1 (en) | 1974-01-01 | 1974-01-01 | Rising and falling apparatus supporting deck with leg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0000027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43156A (en) * | 2018-06-22 | 2018-10-12 | 广东海洋大学 | A kind of round spud leg rack-and-pinion hoistable platform |
-
1974
- 1974-01-01 KR KR7400973A patent/KR800000271B1/en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43156A (en) * | 2018-06-22 | 2018-10-12 | 广东海洋大学 | A kind of round spud leg rack-and-pinion hoistable platform |
CN108643156B (en) * | 2018-06-22 | 2024-02-09 | 广东海洋大学 | Round pile leg gear rack lifting platfor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81822B2 (en) | Jack-up apparatus for marine-based platforms | |
US4203576A (en) | Elevating assembly for an offshore platform | |
US4255069A (en) | Jack-up platform locking apparatus | |
US5997217A (en) | Shallow water well-drilling apparatus | |
US5611645A (en) | Offshore jack-up rig locking system | |
JP5119346B2 (en) | Lifting thruster | |
WO1997023402A2 (en) | Jack-up rig crane | |
US3082607A (en) | Offshore equipment supports | |
US3604683A (en) | Jacking mechanisms | |
US3804369A (en) | Jacking mechanisms | |
KR800000271B1 (en) | Rising and falling apparatus supporting deck with legs | |
CN109573891B (en) | Underwater test lifting device | |
US4512553A (en) | Jack-up unit | |
CN111877296A (en) | Self-elevating platform and hydraulic bolt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thereof | |
US3195313A (en) | Offshore drilling platform | |
EP2653615A1 (en) | Jacking system and method for relative movement of a leg with respect to a platform | |
CN110565613A (en) | Hydraulic lifting device and lifting operation platform | |
KR810000086B1 (en) | Apparatus for rising and falling worktable on the ocean | |
CN111717610B (en) | Derrick transporting device | |
CN220686016U (en) | Continuous penetrating type static cone penetration device and static cone penetration vehicle | |
JP3194501B2 (en) | Elevating jack | |
CN220579947U (en) | Assembled self-elevating water investigation platform plate-type locking device | |
JP6694639B1 (en) | Lifting device and work table boat equipped with the lifting device | |
JPS5932614B2 (en) | Offshore work platform pedestal “locking” device | |
KR101973083B1 (en) | Offshore stru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