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2270A - Test chamber - Google Patents
Test cha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2270A KR20240152270A KR1020240134910A KR20240134910A KR20240152270A KR 20240152270 A KR20240152270 A KR 20240152270A KR 1020240134910 A KR1020240134910 A KR 1020240134910A KR 20240134910 A KR20240134910 A KR 20240134910A KR 20240152270 A KR20240152270 A KR 202401522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test
- air
- space
- electronic componen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46 therm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2—Chambers or ovens; Tan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4—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되는 테스트챔버에 수용된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스트챔버의 수용공간으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덕트를 유도부분, 토출부분, 연결부분으로 구성하고, 연결부분에서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의 각 위치별로 온도조절용 공기의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수용공간 내에서 테스트보드와 일대일로 대면한 상태에서 온도조절용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덕트를 구비함으로써 전자부품의 정밀의 온도제어가 가능하여 테스트의 신뢰성을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in a test chamber used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ly duct for supply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to a receiving space of a test chamber is composed of an induction section, a discharge section, and a connection sec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is switched at the connection section, thereby enabling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to be supplied uniformly to each location in the receiving space. In addition, an injection duct for inject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while facing a test board one-to-one within the receiving space is provided, thereby enabling precise temperature control of electronic components,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es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실은 테스트보드를 수용한 후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테스트챔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chamb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test board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ster.
생산된 전자부품들은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된 후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뉘어서 양품만이 출하된다.The produced electronic components are tested by testers and then divided into good and bad products, and only good products are shipped.
전자부품들은 여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을 테스트할 때는 열악한 고온의 온도 환경이 조성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전자부품을 밀폐 가능한 테스트챔버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시키고, 수용공간을 열악한 온도 환경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전자부품에 열적 스트레스가 가해지도록 하는 방식을 취한다. 물론, 전자부품은 수용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열악한 온도 환경은 고온 환경만이 아닌 저온 환경일 수도 있고, 일상적인 온도 환경은 상온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별 테스트가 가능한 장비들이 모두 요구되었다.Since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harsh high-temperature environment when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Therefore,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accommodated in a space within a sealable test chamber, and the space is maintained in a harsh temperature environment so that thermal stress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course,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while positioned in the space. Of course, the harsh temperature environment can be not only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but also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daily temperature environment can be room temperature, so equipment capable of testing for each situation is required.
한편, 테스터와 전자부품의 전기적인 연결거리는 짧을수록 좋다. 왜냐하면 테스터와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리가 길면 그 만큼 전기적인 신호의 왜곡이나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가 소실될 수 있어서 테스트의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shor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tes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better. This is because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tes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ong, not only may the electrical signal be distorted or noisy, but data may also be lost, making it difficult to ensure test reliability.
물론, 테스터와 전자부품 간의 전기적인 연결거리가 길더라도 특별히 문제되지 않을 테스트도 있지만, 테스터와 전자부품 간의 전기적인 연결거리가 길면 위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빠른 속도가 요구되는 테스트도 있기 때문이다.Of course, there are tests where a lo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s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will not be a particular problem, but there are also tests where the above problems can occur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s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is long, and there are also tests that require high speed.
예를 들면, 테스트 시간이 대단히 긴 번인 테스트(Burn In test)의 경우에는 테스터와 전자부품 간의 전기적인 연결거리가 길더라도 그간 특별히 문제가 발생되지는 않았다. 여기서 번인 테스트라 함은 전자부품의 잠재적인 불량을 발견하기 위하여 전자부품에 고온(85도 ~ 125도)의 스트레스를 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테스트를 말한다. 이는 번인 테스트 공정에서 빠른 속도가 요구되는 테스트를 진행하지도 않았으며, 진행할 일도 발생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urn In test, which has a very long test time, there has been no particular problem even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tes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ong. Here, the Burn In test refers to a test that is performed under a high temperature (85 to 125 degrees) stress condition to find potential defects in the electronic component. This is because the Burn In test process did not perform a test that required high speed, and there was no need to perform one.
번인 테스트는 온도뿐만 아니라 전자부품의 실제 사용 조건보다 높은 전압, 전류 등의 전기적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이러한 번인 테스트를 위해서는 테스터, 번인보드 및 번인챔버가 요구된다.Burn-in testing is per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applying electrical stress such as voltage and current higher than the actual usage conditions of electronic components as well as temperature. For this burn-in testing, a tester, burn-in board, and burn-in chamber are required.
번인보드는 많은 수의 전자부품을 실어서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테스트보드의 한 종류로서 전자부품이 실릴 수 있으며,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안착소켓, 전기회로 및 커넥터를 가진다.A burn-in board is a type of test board that can carry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electrically connect them to a tester. It can carry electronic components and has a mounting socket, electrical circuit, and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the tester.
번인챔버는 테스트챔버의 한 종류로서 전자부품이 실린 테스트보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전자부품들에 열적인 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한 온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 burn-in chamber is a type of test chamber that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test board with electronic components, and can create a temperature environment to apply thermal stress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space.
도 1은 번인챔버에 수용된 번인보드(BIB)가 테스터(TESTER)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Figure 1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burn-in board (BIB) accommodated in a burn-in cha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ster (TESTER).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D)이 테스터(TESTER)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안착소켓(S)의 단자, 전기회로(EC), 커넥터(C), 연결부재(CE, 번인챔버의 벽면을 지나가는 경로에 있는 연결부분)가 요구된다. 즉, 전자부품(D)이 테스터(TESTER)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회로의 거리가 길고 여러 접속요소들이 게재된 것이다. 이 때문에 테스터(TESTER)와 전자부품(D) 간의 전기적인 연결 거리가 길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테스트나 빠르고 즉각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테스트를 기존의 번인 테스터로는 수행할 수 없다.As referenced in Fig. 1, in order for an electronic component (D) to be connected to a tester (TESTER), a terminal of a mounting socket (S), an electric circuit (EC), a connector (C), and a connecting member (CE, a connecting part along a path passing through the wall of a burn-in chamber) are required. In other words, the distance of the connecting circuit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D) to the tester (TESTER) is long and multiple connecting elements are provided. For this reason, tests that may cause problems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tester (TES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D) is long or tests that require a fast and immediate response cannot be performed with a conventional burn-in tester.
예를 들어 메모리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자부품은 과거와 달리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항목이 추가되었는데, 단순한 온/오프(ON/OFF) 동작 여부 수준의 테스트뿐만 아니라 자료(예를 들면 동영상물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읽거나 저장하는가, 얼마나 빨리 화면에 띄울 수 있고 무리 없이 동작할 수 있느냐에 대한 테스트까지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테스트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테스트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자부품과 테스터 사이의 연결 거리가 짧아야만 한다. 그러다 보니 번인 테스트 시스템과는 다른 별도의 테스트 시스템이 요구되고, 이러한 점은 자원 낭비,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가져온다.For exampl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have additional test items for electronic components, unlike in the past. In addition to simple ON/OFF operation tests, tests are required for how quickly data (such as large amounts of data such as video) can be read or stored, how quickly they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whether they can operate without problems. In addition, these tests need to be performed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and for this to happen, the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tester must be short. As a result, a separate test system different from the burn-in test system is required, which leads to a waste of resources, time, and manpower.
또한, 전자부품의 진화에 따라서 번인보드의 전기회로(EC)는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전자소자를 가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데, 그러한 경우 각종 전자소자가 테스트챔버의 수용공간에 조성된 열악한 온도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손상되거나 그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electronic components evolve, it cannot be ruled out that the electric circuit (EC) of the burn-in board may hav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required for testing. In such a case, th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damaged or have their lifespan shortened by being exposed to the harsh temperature environment cre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est chamber.
한편, 짧은 시간을 요구하는 테스트, 또는 전자부품의 진화나 추가되는 테스트 항목으로 인한 테스트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더욱 정밀하게 관리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테스트되는 전자부품의 온도는 테스트의 신뢰성에 관계하므로, 각종 테스트에서 요구되는 개개별 전자부품들에 대한 온도 조건은 허용되는 오차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정밀하게 관리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ests requiring a short time, or tests due to the evolu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or additional test items may require more precise control of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being tested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he temperature conditions for each individual electronic component required in each test need to be precisely controlled so as not to exceed the allowable error range.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urposes.
첫째, 짧고 빠르게 이루어지는 테스트가 수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자부품에 대한 즉각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First, it provides a technology that enables instantaneous temperature control of electronic components, considering cases where short and rapid tests are involved.
둘째, 테스트챔버에 수용된 전자부품들이 별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모든 전자부품들이 최대한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테스트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Second, it provides a technology that allows all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located in separate spaces within the test chamber.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테스트챔버는 일 측이 개방되어 있고, 전자부품이 실린 테스트보드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는 챔버 본체; 상기 챔버 본체의 일 측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개폐 도어; 및 상기 챔버 본체에 수용된 상기 테스트보드들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여러 위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급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여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멍을 가지는 토출부분;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토출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분; 및 상기 유도부분과 상기 토출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분에서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상기 토출부분에서의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 방향과 상기 유도부분에서의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 방향은 서로 다르다.A test chamber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mb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est boards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one side of which is open; an opening/closing door for opening or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by opening/closing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body;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comprises: an air supplier for supplying temperature-regulating air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supply duct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he temperature-regula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to various locations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supply duct comprises: a discharge section having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air to location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locations; an induction section for guiding temperature-regulating air from the air supplier to the discharge section; and a connecting section for connecting the induction section and the discharge section. ,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is switched at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at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at the induction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토출부분과 상기 유도부분은 상기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일 측에 함께 구비된다.The above discharge portion and the above induction portion are provided together on one side based on the above receiving space.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유도부분을 통해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 방향을 180도 전환시키고, 상기 토출부분과 상기 수용공간 간의 거리와 상기 유도부분과 상기 수용공간 간의 거리는 동일하다.The above connecting portion chang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coming through the above induction portion by 180 degre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receiving spa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duction portion and the receiving space are the same.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토출부분을 지난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유도부분으로 재진입시킴으로써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공급덕트 내에서 순환 가능하도록 하는 재진입부분; 을 더 포함한다.The above supply duct further includes a re-entry section that allows temperature-controll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section to re-enter the induction section, thereby allow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to circulate within the supply duct.
상기 수용공간에는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에 일대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공급덕트를 통해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테스트보드를 향해 분사하는 여러 개의 분사덕트; 및 상기 토출구멍들을 통해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토출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분사덕트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분사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여러 개의 분기덕트; 를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accommodation space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test boards,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rranged to face the plurality of test boards one-to-on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ion ducts for inject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coming through the supply duct toward the test boards; and a plurality of branch ducts branching from the injection duct to move temperature-controlling air discharged from the supply duct through the discharge holes to the injection ducts.
상기 수용공간은 상호 간의 공기의 교류가 차단된 여러 개의 독립공간으로 나뉘고, 상기 여러 개의 분사덕트는 상기 여러 개의 독립공간에 일대일로 배치된다.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is divided into several independent spaces with air exchange between them blocked, and the several injection ducts are arranged one-to-one in the several independent spaces.
상기 분사덕트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멍을 가지며, 상기 분사덕트는 상기 분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다수의 분사구멍들로 골고루 나뉘어 분사되도록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부재를 구비한다.The above injection duct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 inject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and the injection duct has an induction member that induces the movement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branch duct is evenly divided and injected into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온도조절용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판; 및 상기 전환판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분사덕트의 전 영역에 걸쳐 지나가도록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확보판;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분사구멍은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분사덕트로 유입되어 상기 전환판에 이르는 경로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induction member includes a switching plate that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and a securing plate that secures a movement path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the direction of which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plate, can pass over the entire area of the injection duct; and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in an area excluding the path along which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flows into the injection duct and reaches the switching plate.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테스트챔버는 일 측이 개방되어 있고, 전자부품이 실린 테스트보드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는 챔버 본체; 상기 챔버 본체의 일 측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개폐 도어; 및 상기 챔버 본체에 수용된 상기 테스트보드들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여러 위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여러 개의 분사덕트;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가 상호 간에 이격되게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여러 개의 분사덕트는 상기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에 일대일 대면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일 측 끝에 있는 분사덕트를 제외한 나머지 분사덕트들은 서로 이웃하는 테스트보드들 사이에 위치된다.A test chamb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mb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est boards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one side of which is open; an opening/closing door for opening or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by opening/closing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body;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comprises: an air supplier for supplying temperature-regulating air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ducts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he temperature-regula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s to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 plurality of test boards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injection ducts are arranged to face the plurality of test boards one-to-one, such that the remaining injection ducts, except for the injection duct at one end of one side, are positioned between neighboring test boards.
상기 수용공간은 상호 간의 공기의 교류가 차단된 여러 개의 독립공간으로 나뉘고, 상기 여러 개의 분사덕트는 상기 여러 개의 독립공간에 일대일로 배치된다.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is divided into several independent spaces with air exchange between them blocked, and the several injection ducts are arranged one-to-one in the several independent spaces.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테스트챔버는 일 측이 개방되어 있고, 전자부품이 실린 테스트보드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는 챔버 본체; 상기 챔버 본체의 일 측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개폐 도어; 및 상기 챔버 본체에 수용된 상기 테스트보드들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덕트; 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덕트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멍을 가지며, 상기 분사덕트는 유입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다수의 분사구멍들로 골고루 나뉘어 분사되도록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부재를 구비한다.A test chamber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mb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est boards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one side of which is open; an opening/closing door for opening or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by opening/closing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body;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comprises: an air supplier for supplying temperature-regulating air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t least one injection duct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jecting temperature-regula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injection duct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 injecting the temperature-regulating air, and the injection duct has an induction member for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temperature-regulating air so that the introduced temperature-regulating air is evenly divided and injected into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온도조절용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판; 및 상기 전환판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분사덕트의 전 영역에 걸쳐 지나가도록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확보판;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분사구멍은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분사덕트로 유입되어 상기 전환판에 이르는 경로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induction member includes a switching plate that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and a securing plate that secures a movement path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the direction of which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plate, can pass over the entire area of the injection duct; and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in an area excluding the path along which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flows into the injection duct and reaches the switching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온도조절용 공기가 전자부품에 직접 분사되기 때문에 전자부품에 대한 즉각적이고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테스트 시간이 짧고 빠른 속도가 요구되는 테스트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된다.First, since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electronic components, immediate and precis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is possible, thereby ensuring reliability for tests requiring short test times and high speeds.
둘째, 고온, 상온, 저온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이니 온도 제어가 가능해진다.Second, temperature control is possible because it is efficient across high, room, and low temperatures.
셋째, 전자부품별 온도 편차가 없는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어서 테스트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Third, the reliability of the test is improved because the test can be conducted without temperature deviation for each electronic component.
넷째, 하나의 공기공급기로 다수의 분사덕트를 통해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면서 각 분사덕트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균등하게 분배함으로써 수용공간을 여러 독립공간으로 나누더라도 각각의 독립공간에 수용된 전자부품들의 온도 조건이 동일할 수 있다.Fourth, by supply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through multiple injection ducts using a single air supply and evenly distribu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each injection duct, the temperature conditions of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in each independent space can be the same even if the accommodation space is divided into several independent spaces.
도 1은 번인테스트에서 테스터와 전자부품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테스트보드에 대한 평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테스트보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테스트보드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테스트보드에 대한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스트챔버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테스트챔버에 있는 독립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테스트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테스트보드와 테스트챔버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2는 전자부품의 온도 조절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챔버에 구비된 온도조절장치에 대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온도조절장치에 적용된 공급덕트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14의 공급덕트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공급덕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공급덕트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도 14의 공급덕트와 수용공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온도조절장치에 적용된 분사덕트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3의 온도조절장치가 적용된 테스트챔버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Figure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tester and electronic components in a burn-in test.
Figure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test board.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test board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st board of Figure 2.
Figure 5 is a conceptual side view of the test board of Figure 2.
Figur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test cha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independent space in the test chamber of Fig. 6.
FIGS. 8 and 9 are reference drawings for explaining a test cha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s 10 and 11 are reference drawings for explaining modified examples of the test board and test chamber.
Figure 1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emperature control of electronic components.
Figure 13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provided in a test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cerpt of a supply duct a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 13.
Figures 15 and 16 are referenc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advantages of the supply duct of Figure 14.
Figure 17 is a reference drawing for explaining the location of the supply duct of Figure 14.
Figure 1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ly duct of Figure 14.
Figure 19 is a reference drawing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duct and the receiving space of Figure 14.
Fig. 2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jection duct a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 13.
Fig. 2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test chamber to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 13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for the sake of brevity, descriptions of redundant or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are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테스트보드에 대한 설명-테스트보드에 단열공간이 구비되는 예><Description of the test board - Example of a test board with an insulating spa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챔버에 수용될 수 있는 테스트보드(TB)에 대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테스트보드(TB)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각각 도 2의 테스트보드(TB)에 대한 평면 분해 사시도와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테스트보드(TB)에 대한 개념적인 측면도이다.FIG.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test board (TB) that can be accommodated in a test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test board (TB) of FIG. 2, FIG. 4 (a) and (b) are a top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the test board (TB) of FIG. 2, and FIG. 5 is a conceptual side view of the test board (TB) of FIG. 2.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테스트보드(TB)는 보드 본체(BB), 커넥터(C), 보조 테스터(AT) 및 차폐재(SE)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test board (TB) includes a board body (BB), a connector (C), an auxiliary tester (AT), and a shielding material (SE).
보드 본체(BB)는 전자부품을 실을 수 있으며, 안착소켓(S)과 회로보드(CB)를 포함한다.The board body (BB) can carry electronic components and includes a mounting socket (S) and a circuit board (CB).
안착소켓(S)은 테스트될 전자부품이 적재되며, 행렬 형태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소켓(S)이 한 개 열에 12개씩 8열이 구비된다. 그래서 총 96개의 전자부품이 각각 안착소켓(S)들에 1개씩 나뉘어 적재되는 형태로 보드 본체(BB)에 실리게 된다. 물론, 안착소켓(S)의 개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테스트보드(TB)마다 다를 수 있다.The mounting socket (S) is provided in a matrix form,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are loaded into it.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socket (S) is provided in 8 rows, with 12 in each row. Therefore, a total of 96 electronic components are loaded one by one into each of the mounting sockets (S) and are loaded onto the board body (BB). Of course, the number of mounting sockets (S)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for each test board (TB).
회로보드(CB)는 전자부품과 테스터 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중계하는 전기회로(EC)를 가지며, 위의 안착소켓(S)은 전기회로(EC)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안착소켓(S)에 안착된 전자부품이 전기회로(CE)를 통해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ircuit board (CB) has an electric circuit (EC) that relays electrical signals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and a tester, and the mounting socket (S) abov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EC), so that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mounting socket (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hrough the electric circuit (CE).
커넥터(C)는 보드 본체(BB)의 일 측에 결합되어서 전기회로(E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테스터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회로(EC)를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커넥터(C)가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자부품은 안착소켓(S), 전기회로(EC), 커넥터(C) 및 연결부재(배경기술 참조)를 게재하여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nector (C)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ard body (B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EC) and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ic circuit (EC) to the tester. Therefore, when the connector (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he electronic compon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by placing the mounting socket (S), the electric circuit (EC), the connector (C), and the connecting member (see background art).
보조 테스터(AT)는 회로보드(CB)의 저면 측에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전기회로(EC)를 통해 안착소켓(S)에 적재된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테스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주 테스트와는 다른 보조 테스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주 테스트는 예를 들면 번인 테스트일 수 있고, 보조 테스트는 예를 들면 테스트 시간이 짧은 전자부품의 전기적인 동작 특성에 대한 테스트일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테스터(AT)는 보조 테스트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서 전자부품으로 인가시키고, 전자부품으로부터 오는 반응 신호를 그대로 테스터로 보내도록 구현되거나 증폭시켜서 테스터로 보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테스터(AT)는 하나의 안착소켓(S) 당 하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도 4의 (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보조 테스터(AT)가 여러 개의 안착소켓(S)에 대응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물론, 도 4의 (b)와 같이 하나의 보조 테스터(AT)가 여러 개의 안착소켓(S)에 대응되는 경우, 테스트 조건을 모두 동일하게 가져가기 위해서 보조 테스터(AT)와 여러 개의 안착소켓 간의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테스터(AT)는 전기회로(E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전기회로(EC)를 구성하는 하나의 전자소자로 해석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tester (AT) is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ircuit board (C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in the mounting socket (S) through the electric circuit (EC) to perform an auxiliary test different from the main test performed by the tester. Here, the main test may be, for example, a burn-in test, and the auxiliary test may be, for example, a test on the electrical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with a short test time. The auxiliary tester (AT) may be implemented to generate a signal for the auxiliary test and apply it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and to send a response signal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the tester as it is or to send it to the tester after amplifying i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one auxiliary tester (AT) is provided per one mounting socket (S).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may also be sufficiently considered that one auxiliary tester (AT) corresponds to multiple mounting sockets (S), as referenced in (b) of FIG. 4. Of course, in the case where one auxiliary tester (AT) corresponds to multiple fixing sockets (S) as in (b) of Fig. 4, it is desirable that the distances between the auxiliary tester (AT) and multiple fixing sockets are all the same in order to obtain the same test conditions.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tester (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EC),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one electronic component constituting the electric circuit (EC).
차폐재(SE)는 보조 테스터(AT)가 있는 면 측으로 단열 공간(IS)을 형성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 테스터(AT)는 회로보드(CB)에 구비되지만, 전자부품이 있는 안착소켓(S)이 설치된 면과는 반대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차폐재(SE)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공간(IS)은 전자부품이 실리는 면과 반대 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보조 테스터(AT)는 차폐재(SE)에 의해 형성된 단열공간(IS) 측으로 노출되도록 회로보드(CB)에 설치된다. 이러한 차폐재(SE)는 단열공간(IS)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단열공간(IS)으로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을 가진다. 여기서 온도조절용 유체로는 상온의 공기, 상온의 건조 공기, 상온의 건조 공기와 저온 가스(LN2 가스)가 혼합된 기체 또는 단독의 저온 가스 등일 수 있다. 이렇게 유체의 종류를 다양하게 가져가는 이유는 테스트 온도가 고온, 상온, 저온 등 다양할 수 있고, 그러한 다양한 종류의 테스트 온도 조건에 따라 온도조절용 유체의 종류와 온도조절용 유체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결로가 예상되면 건조한 공기를 공급해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일반적인 공기를 넣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온인 경우라면 동일 온도의 동일 유체가 모든 주입 위치들을 통해 동일하게 공급될 수도 있고, 주입 위치별로 온도가 다른 유체가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주입위치(영역) 별로 온도차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The shielding material (SE) is provided to form an insulating space (IS) on the side where the auxiliary tester (AT) is present. Here, the auxiliary tester (AT)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CB), but since it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mounting socket (S)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is installed, the insulating space (IS) formed by the shielding material (SE)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Therefore, the auxiliary tester (AT)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CB) so as to be exposed on the side of the insulating space (IS) formed by the shielding material (SE). The shielding material (SE) has a supply hole (SH) and a return hole (RH)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a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to the insulating space (IS)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space (IS). Here,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may be air at room temperature, dry air at room temperature, a gas mixed with dry air at room temperature and a low-temperature gas (LN2 gas), or a single low-temperature gas. The reason for using such a variety of fluid types is that the test temperature can be high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low temperature, etc., and the type of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and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can vary depending on the various test temperature conditions. For example, if condensation is expected, dry air should be supplied, and if not, normal air can be supplied. Also, in the case of room temperature, the same fluid at the same temperature can be supplied equally through all injection locations, or different fluids at different temperatures can be supplied depending on the injection location. In other words, there may or may not be a temperatur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injection location (area).
참고로,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는 테스트챔버(100)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공장에 기간 설비로 구축되어 있는 유체 공급 시스템의 것을 활용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a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fluid for temperature control may be provided in the test chamber (100), but may also utilize a fluid supply system built as a basic facility in the factory.
공급구멍(SH)은 2개가 나뉘어 배치되고, 단열공간(IS)으로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supply holes (SH) are arranged in two separate sections and are formed to supply temperature-control fluid to the insulating space (IS).
회수구멍(RH)은 하나의 공급구멍(SH) 당 4개가 할당되도록 총 8개가 4개씩 나뉘어 배치되고, 공급구멍(SH)을 통해 단열공간(IS)으로 유입된 후 보조 테스터(AT)의 온도 조절을 위해 사용된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장치로 회수시키기 위해 형성된다.The recovery holes (RH) are arranged in groups of four, with a total of eight, so that four are allocated to each supply hole (SH), and are formed to recover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used for temperature control of the auxiliary tester (AT) to the supply device after flowing into the insulating space (IS) through the supply hole (SH).
위의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은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배관의 설계, 공급구멍(SH) 및 회수구멍(RH)과 배관과의 연결 구조(공급구멍과 회수구멍이 1회 장착 작업에 의해 함께 각각의 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구조)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급구멍(SH)을 통해 단열공간(IS)으로 공급된 온도조절용 유체가 회수구멍(RH)을 통해 공급장치로 바로 회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테스트보드(TB)는 공급구멍(SH)으로 공급된 온도조절용 유체가 단열공간(IS)의 전체에 걸쳐서 공급된 후 회수될 수 있게 하는 공급관(ST)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supply hole (SH) and return hole (RH)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esign of the pipe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and the pip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supply hole and the return hole to be connected to each pipe together through a single installation operation), etc.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supplied to the insulation space (IS) through the supply hole (SH) from being directly recovered to the supply device through the recovery hole (RH), it is preferable that the test board (TB) additionally have a supply pipe (ST) that allows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supplied to the supply hole (SH) to be supplied throughout the entire insulation space (IS) and then recovered.
공급관(ST)은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의 반대 측에서 온도조절용 유체가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급관(ST)은 공급관(ST)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분사구멍들이 형성됨으로써 온도조절용 유체가 단열공간(IS)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여러 개의 분사구멍들은 보조 테스터(AT, 또는 증폭기와 같은 전자소자들일 수 있음)를 향해 직접 집중 분사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물론, 공급관(ST)을 통해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유체가 단열공간(IS)의 바닥면을 향해 분사됨으로써, 전체 단열공간(IS)의 온도가 동기화되도록 하여 전자소자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간접 분사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pply pipe (S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is spray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In addition, the supply pipe (S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is evenly sprayed into the insulating space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ly pipe (ST). Here, it may be considered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y can be directly and intensively sprayed toward an auxiliary tester (which may b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n AT or an amplifier). Of course, it may also be sufficiently considered to design an indirect injection method in which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ST) is spray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pace (I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insulating space (IS) is synchroniz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is controlled.
그리고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은 커넥터(C) 측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테스트챔버에 수용된 테스트보드(TB)를 가압하여 테스트보드(TB)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도 테스트챔버에 있는 배관의 유로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일거에 2개의 작업(전기 연결 작업과 유로 연결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즉, 테스트보드(TB)를 테스트챔버 내에 장착시킬 때, 커넥터(C)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보드(TB)를 미는데, 이 때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도 테스트챔버에 있는 배관의 유로에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배치 구조를 가지는 게 바람직한 것이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are formed on the connector (C) sid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test board (TB) accommodated in the test chamber is pressurized so that the test board (T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are also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pipe in the test chamber, which is convenient and structurally stable because two tasks (electrical connection task and flow path connection task)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is, when the test board (TB) is mounted in the test chamber, the test board (TB) is pushed so that the connector (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an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so that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can also be closely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pipe in the test chamber.
위와 같은 구조의 테스트보드(TB)에 의하면, 주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전이나 후 또는 주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도중의 어느 특정한 휴지 시간이 주어질 때(보조 테스트에 필요한 시간이 확보될 때) 그 시간에 보조 테스터(AT)에 의한 보조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보조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보조 테스터(AT)가 테스트 신호를 발생시켜서 전자부품으로 인가시키고, 전자부품으로부터 피드백 되는 반응 신호를 전기회로(EC) 및 커넥터(C)를 통해 테스터로 보낸다. 이 때, 보조 테스터(AT)는 반응 신호를 증폭시켜서 테스터로 보낼 수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 보조 테스터(AT)는 테스트 신호를 발생시켜서 전자부품으로 인가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전자부품에서 피드백 되는 반응 신호는 직접 테스터로 보내지도록 전기회로(EC)를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st board (TB) having the structure above, when a specific pause time is given before or after the main test is performed or during the main test (when the time required for the auxiliary test is secured), the auxiliary test is performed by the auxiliary tester (AT) at that time. When the auxiliary test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auxiliary tester (AT) generates a test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sends a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tester through the electric circuit (EC) and the connector (C). At this time, the auxiliary tester (AT) can amplify the response signal and send it to the tester.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is entirely possible to consider configuring the electric circuit (EC) so that the auxiliary tester (AT) only generates a test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irectly sent to the tester.
참고로, 보조 테스터(AT)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테스터로부터 받을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ower required to operate the auxiliary tester (AT) can be obtained from the tester.
계속하여 테스트보드(TB)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부품이 실린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TB)가 테스트챔버에 수용되면, 공급구멍(SH) 및 회수구멍(RH)이 테스트챔버에 구비된 배관들의 유로와 긴밀하게 연결되고, 전자부품들은 전기회로(EC) 및 커넥터(C)를 통해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테스터에 의해 주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조 테스터(AT)에 의해 보조 테스트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테스트챔버 내의 수용공간은 전자부품으로 열적인 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해, 예를 들면 고온의 환경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온도조절용 유체가 단열공간(IS)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된 후 회수된다. 이에 따라 보조 테스터(AT)는 테스트챔버 내 수용공간의 온도 환경과는 무관하게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번인 테스트의 경우를 참고하면, 주 테스트를 위해 전자부품의 온도가 고온으로 조성되어 있고, 보조 테스트가 진행되는 동안 보조 테스터(AT)는 자체적인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단열공간(IS)으로는 LN2가스가 포함된 저온의 온도조절용 유체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Here, the use of the test board (TB) is explained. When several test boards (TB) with electronic components are accommodated in the test chamber,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flow paths of the pipes provided in the test chamb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hrough the electric circuit (EC) and the connector (C). In this state, the main test can be performed by the tester, and as mentioned above, the auxiliary tester (AT) can also perform the auxiliary test. Meanwhile, since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test chamber is maintained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for example, in order to apply thermal stress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a temperature control fluid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sulating space (IS) and then recovered. Accordingly, the auxiliary tester (AT) can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test chamb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urn-in test,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is set to a high temperature for the main test and the auxiliary tester (AT) may generate its own heat while the auxiliary test is in progress, it may be desirable to supply a low-temperatur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containing LN2 gas to the insulating space (IS) to reflect this situation.
한편, 위의 실시예는 보조 테스터(AT)가 테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테스트의 종류에 따라서는 보조 테스트를 위한 보조 테스트 신호는 테스터로부터 받고, 그 대신 전기회로에 증폭기를 구성시켜서 보조 테스트 신호에 대응하여 전자부품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반응신호를 증폭시켜서 테스터로 보내도록 구현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 즉, 테스트보드(TB)의 전기회로(EC)에 보조 테스터(AT) 대신 증폭기를 구비시키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 embodiment describes that the auxiliary tester (AT) generates the test signal.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test, the auxiliary test signal for the auxiliary test may be received from the tester, and instead, an amplifier may be configured in the electric circuit to amplify the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in response to the auxiliary test signal and send it to the tester. In other words, it may be sufficiently considered to provide an amplifier in the electric circuit (EC) of the test board (TB) instead of the auxiliary tester (AT).
<테스트챔버에 대한 설명-테스트챔버에 단열공간이 구비되는 예><Description of the test chamber - Example of a test chamber with an insulated space>
위의 테스트보드(TB)에 대한 설명에서는 단열공간이 테스트보드(TB)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보조 테스터 등의 전자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단열공간 또는 완충공간이 테스트챔버에 있는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테스트보드(TB)에도 단열공간이 구비될 수도 있지만 구비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챔버에 대하여 그 실시 형태를 나누어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test board (TB) above, it was described that the insulating space is formed in the test board (TB), but an insulating space or a buffer space for protect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n auxiliary tester may be formed by a structure in the test chamber. In this case, the test board (TB) may also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space, but it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The embodiment of the test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1 테스트챔버에 대한 제1 실시예1. First embodiment for test chamber
도 6의 개략도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챔버(100)는 챔버 본체(110), 개폐 도어(120) 및 온도조절장치(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of Fig. 6, the test cha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hamber body (110), an opening/closing door (120),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챔버 본체(110)는 전자부품이 실린 테스트보드(TB)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ES, 점선 내부 영역)을 가진다. 수용공간(ES)의 일 측(도 6에서는 정면 측)은 개방되어 있어서 수용공간(ES)으로 테스트보드(TB)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ES)에 수용된 테스트보드(TB)는 연결부재를 통해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때 테스트보드(TB)와 테스터 간의 긴밀한 접속을 위해 테스트보드(TB)를 밀어서 수용공간(ES)에 적절히 장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챔버 본체(110)는 지지레일(111)들과 구획판(112)들을 구비하고 있다.The chamber body (110) has an accommodation space (ES, dotted inner area) for accommodating a test board (TB)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One side (the front side in FIG. 6) of the accommodation space (ES) is open so that the test board (TB) can be supplied to or retrie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ES). In addition, the test board (T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ster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at this time, in order to ensure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test board (TB) and the tester, it is necessary to push the test board (TB) and properly install it in the accommodation space (ES). This chamber body (110) is provided with support rails (111) and partition plates (112).
지지레일(111)은 테스트보드(TB)를 수용공간(ES)으로 반입시키거나 수용공간(ES)으로부터 반출시킬 때 테스트보드(TB)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수용공간(ES)에 수용된 테스트보드(TB)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upport rail (111)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test board (TB) when the test board (TB) is brought into or taken out of the receiving space (ES),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support the test board (TB)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ES).
구획판(112)들은 수용공간(ES)을 복수개의 독립공간(SS)으로 구획한다. 이러한 구획판(11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개의 독립공간(SS)은 상호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며, 하나의 독립공간(SS)에는 하나의 테스트보드(TB)가 수용될 수 있다.The partition plates (112) divide the receiving space (ES)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SS). The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SS) formed by the partition plates (112) block the movement of air between each other, and one test board (TB) can be accommodated in one independent space (SS).
한편, 지지레일(111)은 상하 양측의 구획판(112) 사이에 구비되기 때문에, 도 7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테스트보드(TB)가 독립공간(SS)에 장착되면 테스트보드(TB)를 사이에 두고 독립공간(SS)이 상측의 제1 영역(1S)과 하측의 제2 영역(2S)으로 나뉘게 된다. 이 때, 가장 이상적으로는 제1 영역(1S)과 제2 영역(2S)이 상호간의 공기의 교류가 차단되는 상호 열적으로 단절된 영역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독립공간(SS)은 테스트보드(TB), 지지레일(111) 및 구획판(112)에 의해 제1 영역(1S)과 제2 영역(2S)으로 분리되며, 테스트보드(TB)의 하방에 있는 제2 영역(2S)은 단열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테스트보드(TB)에 있는 전자소자(보조 테스터나 증폭기 등)는 제2 영역(2S) 측으로 노출된다.Meanwhile, since the support rail (111) is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plates (112)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when the test board (TB) is mounted in the independent space (SS) as shown in the reference drawing of FIG. 7, the independent space (SS)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S)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region (2S) on the lower side with the test board (TB) in between. At this time, it is most ideal that the first region (1S) and the second region (2S) are separated into mutually thermally isolated regions where the exchange of air between them is blocked. That is, each independent space (SS) is separated into a first region (1S) and a second region (2S) by the test board (TB), the support rail (111), and the partition plate (112), and the second region (2S) below the test board (TB) functions as an insulating space. Of cours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uxiliary testers or amplifiers) on the test board (TB) are exposed to the second area (2S) side.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판(112)에 의해 테스트보드(TB)의 하방에 형성되는 제2 영역(2S)이 개폐 도어(120) 측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도어(120)가 닫히면서 제2 영역(2S)도 폐쇄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개폐 도어(120)에는 실링부재(121)들이 구비되어 있어서 개폐 도어(120)의 닫힘에 의해 독립공간(SS)들이 밀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함께 제1 영역(1S)과 제2 영역(2S)도 상호 대류를 통한 열의 이동이 단절되도록 분리된다. 따라서 독립공간(SS)에 테스트보드(TB)가 위치하고 개폐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 영역(1S)과 제2 영역(2S)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제1 영역(1S)은 전자부품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고, 제2 영역(2S)은 설정공간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전도 등에 의한 영향 정도만 받는 단열공간 또는 완충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econd region (2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est board (TB) by the partition plate (112) is opened toward the opening/closing door (120), the second region (2S) should also be close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120) is closed. To this end, the opening/closing door (120) is provided with sealing members (121) so that the independent spaces (SS) can be sealed by the 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region (1S) and the second region (2S) are separated so that the heat transfer through mutual convection is cut off. Accordingly, when the test board (TB) is positioned in the independent space (SS) and the opening/closing door (120) is closed, the movement of air between the first area (1S) and the second area (2S) is blocked, so that the first area (1S) can function as a setting space for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second area (2S) can function as an insulating space or buffer space that is not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setting space or is only affected to a certain degree by conduction, etc.
그리고 챔버 본체(110)에는 단열공간이나 완충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영역(2S)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수용공간(ES)을 이루는 내벽에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분사구멍(IH)과 흡입구멍(OH)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챔버 본체(110)는 분사배관(IP)와 흡입배관(OP)을 구비한다.And,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area (2S) that functions as an insulating space or buffer space, an injection hole (IH) and a suction hole (OH) are formed in the chamber body (110) to supply a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to the inner wall forming the receiving space (ES). Accordingly, the chamber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pipe (IP) and a suction pipe (OP).
물론, 분사배관(IP)은 제2 영역(2S)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유체를 제2 영역(2S)으로 분사하기 위해 구비되며, 흡입배관(OP)은 공급장치가 분사배관(IP)을 통해 제2 영역(2S)으로 공급된 온도조절용 유체를 제2 영역(2S)으로부터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Of course, the injection pipe (IP) is provided to inject a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region (2S) into the second region (2S), and the suction pipe (OP) is provided to enable the supply device to suck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supplied to the second region (2S) through the injection pipe (IP) from the second region (2S).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판(112)이 테스트챔버(100)에 준비되기 때문에 테스트챔버(100)에 있는 배관(IP, OP)들에 의한 유로와 분사구멍(IH) 및 흡입구멍(OH)이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그 형성위치에 대한 설계가 자유로울 수 있다. 즉, 분사구멍(IH)과 흡입구멍(OH)이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도 좋고, 기타 다른 구조물과의 설계를 고려하여 어느 방향에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배관(IP, OP)들의 유로와 분사구멍(IH) 및 흡입구멍(OH)이 고정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2 영역(2S)인 단열공간 또는 완충공간으로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한 후 회수하기 위한 안정적인 유로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artition plate (112) is prepared in the test chamber (100), the flow path and the injection hole (IH) and the suction hole (OH) in the test chamber (100) can be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esign of their formation positions can be free. That is, the injection hole (IH) and the suction hole (OH) may b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may be installed in any direction considering the design with other structures. In addition, since the flow path of the pipes (IP, OP) and the injection hole (IH) and the suction hole (OH)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able flow path for supplying and then recovering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to the insulating space or buffer space, which is the second region (2S).
개폐 도어(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챔버 본체(110)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함으로써 수용공간(ES)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물론, 테스트보드(TB)를 수용공간(ES)으로 반입시키거나 수용공간(ES)으로부터 반출시킬 때에는 수용공간(ES)이 개방되어야 할 것이고, 전자부품을 테스트할 시에는 수용공간(ES)이 폐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테스트보드(TB)에 의해 독립공간(SS)이 제1 영역(1S)과 제2 영역(2S)으로 분리되는데, 이러한 제1 영역(1S) 및 제2 영역(2S)도 당연히 개폐 도어(120) 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개폐 도어(120)의 개폐에 의해 제1 영역(1S)과 제2 영역(2S)도 개폐 도어(120) 측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closing door (120) opens or closes the receiving space (ES) by opening/closing one open side of the chamber body (110). Of course, when the test board (TB) is brought into or taken out of the receiving space (ES), the receiving space (ES) must be opened, an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tested, the receiving space (ES) must be clos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ependent space (SS)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S) and a second region (2S) by the test board (TB), and these first region (1S) and second region (2S) are naturally also opened toward the opening/closing door (120), and by opening/closing the opening/closing door (120), the first region (1S) and second region (2S) are also opened or closed toward the opening/closing door (120).
온도조절장치(130)는 제1 영역으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1 영역 측으로 노출된 전자부품들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온도조절장치(130)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므로 차후 목차를 달리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exposed to the first region by supplying temperature control air to the first region. Since this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is an import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a different table of contents.
위와 같은 본 실시예는 테스트보드(TB)의 일면(하면) 측으로 전기회로(EC)를 이루는 보조 테스터(AT)와 같은 전자소자가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의 전기회로(EC)나 보조 테스터(AT)는 앞선 테스트보드(TB)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when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n auxiliary tester (AT) forming an electric circuit (EC) is exposed on one side (bottom) of a test board (TB). Here, the electric circuit (EC) or the auxiliary tester (AT) ar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test board (TB).
2. 제2 실시예2.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챔버(100)도 챔버 본체(110), 개폐 도어(120) 및 온도조절장치(130)를 포함한다.The test cha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chamber body (110), an opening/closing door (120),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챔버 본체(110)는 지지레일(111) 및 구획판(112)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보조 테스터(113)를 포함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hamber body (110) includes a support rail (111) and a partition plate (112),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tester (113).
본 실시예에서의 챔버 본체(100) 및 개폐 도어(120)와 지지레일(111) 및 구획판(112)은 앞선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들과 역할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hamber body (100) and the opening/closing door (120), the support rail (111) and the partition plate (112) have the same role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그러나 본 실시예는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테스트챔버(100)에 보조 테스터(113)들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테스트보드(TB)의 전기회로(EC)는 보조 테스터(AT)와 같은 전자소자가 구비되지 않는다. 다만, 테스트보드(TB)가 테스트챔버(100)에 장착될 때, 테스트챔버(100)에 있는 보조 테스터(113)가 테스트보드(TB)의 전기회로(EC)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접속구조를 가져야 한다.However,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uxiliary testers (113) are provided in the test chamber (100) as referenced in FIG. 8.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lectric circuit (EC) of the test board (TB) is not provided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n auxiliary tester (AT). However, when the test board (TB) is mounted in the test chamber (100), the auxiliary tester (113) in the test chamber (100) must have a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EC) of the test board (TB).
접속구조의 일 예로는 테스트보드(TB)의 전기회로(EC)에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여서 테스트보드(TB)가 수용공간(ES) 내에 장착이 완료되면 테스트보드(TB)의 전기회로(EC)와 보조 테스터(11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는 볼플런저를 이용한 단자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물론, 진퇴 가능한 단자를 보조 테스터(113) 측에 구비시키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An example of a connection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ally retractable terminal is provided on the electric circuit (EC) of the test board (TB) so that when the test board (TB) is completely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ES), the electric circuit (EC) of the test board (TB) and the auxiliary tester (113) are electrically connected. A terminal using a ball plunger, etc. may be considered as such a structure. Of course, it may also be sufficiently considered to provide the retractable terminal on the auxiliary tester (113) side.
또, 접속구조의 다른 예로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보드(TB)가 지지레일(111)을 타고 독립공간(SS)으로 진입하게 되면, 실린더나 모터와 같은 승강기(114)에 의해 보조 테스터(113)를 상승시켜서 테스트보드(TB)의 전기회로(EC)와 보조 테스터(11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래서 본 예를 따른 경우 테스트챔버(100)는 보조 테스터(13)를 승강시키기 위한 별도의 승강기(114)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structure, a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8, when a test board (TB) enters an independent space (SS) along a support rail (111), an auxiliary tester (113) is raised by an elevator (114) such as a cylinder or motor, so that the electric circuit (EC) of the test board (TB) and the auxiliary tester (11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test chamber (100) needs to be equipped with a separate elevator (114)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auxiliary tester (13).
위의 테스트보드(TB)에 대한 부연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보조 테스터(113)는 증폭기로 대체될 수 있다.As mentioned in the supplementary description of the test board (TB) above, in this embodiment too, the auxiliary tester (113) may be replaced with an amplifier.
3. 제3 실시예3. Third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챔버(100)도 챔버 본체(110), 개폐 도어(120) 및 온도조절장치(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챔버 본체(110)는 지지레일(111) 및 구획판(1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도 9의 개략적인 개념도에서와 같이 테스트보드(TB)가 도 2 내지 5의 예에 따라서 보조 테스터(AT)와 단열공간(IS)을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test cha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chamber body (110), an opening/closing door (120),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In addition, the chamber body (110) includes a support rail (111) and a partition plate (112).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differs in that the test board (TB) has an auxiliary tester (AT) and an insulating space (IS) according to the examples of FIGS. 2 to 5, as in the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of FIG. 9.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테스트보드(TB)와 구획판(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영역(2S)이 단열공간(IS)의 단열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완충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테스트보드(TB)에 구비된 보조 테스터(AT)는 제2 영역(2S)인 완충공간으로 노출되지는 않고, 테스트보드(TB)에 있는 단열공간(IS)에만 노출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area (2S) formed between the test board (TB) and the partition plate (112) functions as a buffer space to supplement the insulation function of the insulation space (IS). That is, the auxiliary tester (AT) equipped on the test board (TB) is not exposed to the buffer space, which is the second area (2S), but is only exposed to the insulation space (IS) in the test board (TB).
완충공간인 제2 영역(2S)은 하측의 독립공간(SS)에서 열전도 등을 통해 상측의 독립공간(SS)에 장착된 테스트보드(TB)로 가는 열의 이동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측의 독립공간(SS)에서 상측의 독립공간(SS)으로 열이 전도될 수 있는 구조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The second region (2S), which is a buffer space, primarily blocks the movement of heat from the lower independent space (SS) to the test board (TB) mounted in the upper independent space (SS) through heat conduction, etc. Here, the structure by which heat can be conducted from the lower independent space (SS) to the upper independent space (S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예에 따를 경우 테스트챔버(100)는 테스트보드(TB)의 단열공간(IS)으로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단열공간(IS)으로부터 온도조절용 유체를 회수하기 위한 공급배관(SP)과 회수배관(RP)들을 가지며, 완충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영역(2S)으로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온도조절용 유체를 회수하기 위한 분사배관(IP)과 흡입배관(OP)들을 가진다. 물론, 도 9의 개념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배관(SP, RP, IP, OP)들이 모두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도 2의 테스트보드(TB)의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에 대응하여 공급배관(SP)과 회수배관(RP)은 테스트보드(TB)의 커넥터(C) 측 방향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the test chamber (100) has supply pipes (SP) and return pipes (RP) for supplying a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to the insulating space (IS) of the test board (TB) or recovering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from the insulating space (IS), and has injection pipes (IP) and suction pipes (OP) for supplying a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to the second region (2S) that functions as a buffer space or recovering the supplied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Of course, the conceptual diagram of FIG. 9 illustrates each pipe (SP, RP, IP, OP) so that it is all visib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ly pipe (SP) and the return pipe (RP) be provided toward the connector (C) side of the test board (TB) corresponding to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of the test board (TB) of FIG. 2.
일 예에 따르면, 보조 테스터(AT)가 노출된 단열공간(IS)의 온도는 5도 정도로 관리하고, 완충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영역(2S)은 상온 또는 25도 정도로 관리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분사배관(IP)에 의해 완충공간인 제2 영역(2S)으로 분사되는 온도 조절용 유체의 온도는 제1 영역(1S)의 온도보다는 낮고, 공급배관(SP)에 의해 단열공간(IS)으로 공급되는 온도 조절용 유체의 온도보다는 높게 설정된다. 물론, 그렇다고 하더라도 테스트를 위한 온도 조건 또는 보조 테스터(AT)나 증폭기와 같은 전자소자의 발열 상황 등에 따라서 서로 분리된 다수의 영역의 온도는 상호 같거나 다를 수 있을 것이며,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유체의 종류 역시 상황에 따라 적절힌 혼합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space (IS) to which the auxiliary tester (AT) is exposed can be controlled to about 5 degrees, and the second area (2S) that functions as a buffer space can be controlled to about room temperature or about 25 degrees, thereby saving energy.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injected into the second area (2S), which is a buffer space, through the injection pipe (IP) is set to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rea (1S), and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fluid supplied to the insulating space (IS) through the supply pipe (SP). Of course, even so, the temperatures of a plurality of areas separated from each oth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conditions for testing or the heat generation status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auxiliary tester (AT) or amplifier, and the types of temperature-controlling fluids supplied may also be appropriately mix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물론, 도 10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구획판(112)을 생략하고 테스트보드(TB)에 단열공간(IS)과 완충공간(AS)을 모두 구비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경우 테스트보드(TB)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그 이동성이나 관리 또는 테스트챔버(100)에 구비될 배관들의 위치 설계 등에서 까다로울 수 있다.Of course, as in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0, the partition plate (112) can be omitted and both the insulation space (IS) and the buffer space (AS) can be provided in the test board (TB), but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test board (TB) becomes too thick, which can be difficult in terms of its mobility, management, or the design of the positions of the pipes to be provided in the test chamber (100).
또한, 도 11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테스트보드(TB)에 단열공간(IS)을 두지 않고, 그 대신 테스트챔버(100)에 구획판(112)과 완충판(115)을 둠으로써 테스트챔버(100) 자체에 단열공간(IS)과 완충공간(AS)이 모두 구비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해볼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n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1, instead of providing an insulating space (IS) in the test board (TB), a partition plate (112) and a buffer plate (115) are provided in the test chamber (100), thereby allowing a structure in which both an insulating space (IS) and a buffer space (AS) can be provided in the test chamber (100).
<전자부품의 온도 조절 기술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emperature control technology for electronic components>
위의 예시들은 모두 보조 테스터(AT, 113)와 같은 전자소자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을 중점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전자소자의 온도는 안착소켓(S)에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 조절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130)에 그 주요한 특징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above examples have all focused on explaining the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auxiliary tester (AT, 113). However,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is closely rela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mounting socket (S). And since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은 일정한 온도 환경이 유지된 상태로 테스트된다. 그런데, 전자부품의 고집적화 및 고도화에 따라 전자부품에서 더 많은 자체 발열이 일어나기 때문에 테스트되는 도중에도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더 나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보조 테스터(AT, 113)나 증폭기가 구성된 경우에 해당 전자소자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 등에 의해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수용공간(ES)이 서로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이 차단되는 독립공간(SS)들에 나뉘어 수용된 전자부품들의 온도가 모두 동일한 범위내에서 관리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테스트되는 전자부품에 대한 더욱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한 새로운 기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A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electronic components are tes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environment. However, as electronic components become more highly integrated and advanced, more self-heating occurs in the electronic components, and thus the ne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during testing is increasing. Furthermore, as explained above, if a separate auxiliary tester (AT, 113) or amplifier is configured, it is expected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may affect the electronic components by conduction, etc.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ES) divided into independent spaces (SS) where the heat transfer by convection is blocked from each other needs to be managed within the same ran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new technology for more precis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being tested.
일반적으로 수용공간(ES)에 장착된 테스트보드(TB)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은 인위적으로 조성된 온도환경에 지배된 상태에서 테스트되어야 한다. 그래서 테스트챔버(100)는 챔버 본체(110)에 수용된 테스트보드(TB)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130)를 구비해야 한다. 그러한 온도조절장치(130)에 의해 수용공간(ES)은 인위적으로 조절된 온도환경이 구축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2의 개략도에서와 같이 온도조절장치(130)에 의해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가 테스트챔버(100)의 일 측 벽면에서 수용공간(ES)으로 분사(화살표 참조)되도록 함으로써 테스트보드(TB)의 사이사이로 공기가 지나가면서 수용공간(ES) 전체의 온도를 획일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취했다(공개특허 10-2010-0093896호 참조). 그런데, 도 12와 같은 형태는 온도조절용 공기가 안착소켓(S)에 안착된 전자부품으로 직접 분사되지 못하고, 전자부품의 상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온도 조절이 직접적이면서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간접적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a test board (TB) moun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ES) must be tested under an artificially created temperature environment. Therefore, the test chamber (100) must be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 (TB) accommodated in the chamber body (110). An artificially controlled temperature environment is establish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ES) b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o this end, 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of FIG. 12, temperature control air suppli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is sprayed (see arrow) from one side wall of the test chamber (100)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ES), thereby uniform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accommodation space (ES) by allowing the air to pass between the test boards (TB) (see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3896). However, a form like that of Fig. 12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air is not directly inject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in the mounting socket (S) but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not be directly and immediately performed but must be performed only indirectly.
한편, 위의 테스트챔버(100)에 대한 실시예들로서 설명된 테스트챔버(100)들에 의하면 수용공간(ES)이 여러 개의 독립공간(SS)으로 나뉘고, 각각의 독립공간(SS)들은 테스트보드(TB)를 사이에 두고 상측의 제1 영역(1S)과 하측의 제2 영역(2S)으로 나뉜다. 그리고 안착소켓(S)에 적재된 전자부품은 상측의 제1 영역(1S) 측으로 노출된다. 그래서 전자부품의 온도 조절은 제1 영역(1S)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위에 설명된 테스트챔버(100)에서와 같이 수용공간(ES)이 독립공간(SS)들로 나뉘고, 다시 테스트보드(TB)에 의해 독립공간(SS)이 나뉘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는 새로운 형태의 온도조절장치(130)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test chambers (100) described as examples of the test chamber (100) above, the receiving space (ES) is divided into several independent spaces (SS), and each independent space (SS)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S)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region (2S) on the lower side with a test board (TB) therebetween.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loaded on the mounting socket (S) is exposed to the first region (1S) on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ust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region (1S). Accordingly, by utiliz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ES) is divided into independent spaces (SS) as in the test chamber (100) described above, and the independent spaces (SS) are divided again by the test board (TB),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pose a new type of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at constitutes an import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테스트챔버(100)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온도조절장치(130)를 보여주고 있다.Fig. 13 shows a new type of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at can be applied to a test chamber (100).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챔버(100)에 구비되는 온도조절장치(130)는 공기공급기(131), 공급덕트(132), 조절판들, 분사덕트(134)들 및 분기덕트(135)들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13,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provided in a test cha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supply (131), a supply duct (132), control plates, injection ducts (134), and branch ducts (135).
공기공급기(131)는 수용공간(ES)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공기공급기(131)는 일 측(P1)으로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고 타 측(P2)으로는 수용공간(ES)을 거쳐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흡입한다.The air supplier (131) supplies temperature-regulating ai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ceiving space (ES). The air supplier (131) supplies temperature-regulating air to one side (P 1 ) and draws in temperature-regulating air that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ES) to the other side (P 2 ).
공급덕트(132)는 공기공급기(131)로부터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수용공간(ES)의 여러 위치, 즉, 각각의 독립공간(SS)에 해당하는 위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공급덕트(132)는 도 14의 발췌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토출부분(132a), 유도부분(132b), 연결부분(132c) 및 재진입부분(132d)으로 나뉠 수 있다.The supply duct (132) is provided to distribute and supply temperature-controll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131) to various locations in the receiving space (ES), i.e., locations corresponding to each independent space (SS). As referenced in the extract of FIG. 14, the supply duct (132) can be divided into a discharge portion (132a), an induction portion (132b), a connection portion (132c), and a re-entry portion (132d).
토출부분(132a)은 온도조절용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멍(DH : DH1, ..., DH2)들을 가지며, 토출구멍(DH)들은 각각 독립공간(SS)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토출구멍(DH)으로 토출된 온도조절용 공기는 후술할 분기덕트(135)를 거쳐 분사덕트(134)로 공급된다.The discharge portion (132a) has discharge holes (DH: DH 1 , ..., DH 2 ) for discharg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and the discharge holes (DH)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dependent spaces (SS). For reference,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DH) is supplied to the injection duct (134) through the branch duct (135) described later.
유도부분(132b)은 공기공급기(131)로부터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토출부분(132a)으로 유도한다.The induction part (132b) induces temperature-controlling air from the air supplier (131) to the discharge part (132a).
연결부분(132c)은 토출부분(132a)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과 유도부분(132b)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이 180도 전환되도록 토출부분(132a)과 유도부분(132b)을 연결한다.The connecting portion (132c) connects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d the induction portion (132b) so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ir moving in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ir moving in the induction portion (132b) are switched 180 degrees.
참고로, 도 15의 예에서와 같이 유도부분(132b)을 구비하지 않고 공기공급기(13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가 끝이 막힌 직선형 토출부분(132a)으로 직접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5의 예를 따를 경우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공기공급기(131)와 가까운 토출구멍(DH1)이 위치하는 영역과 공기공급기(131)와 먼 토출구멍(DH2)이 위치하는 영역 간의 공압차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온도조절용 공기가 각각의 분사덕트(134)들로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이 무척 곤란해 질 수 있다. 즉, 도 15의 예에서는 공기공급기(131)와 멀어질수록 온도조절용 공기의 속도가 낮아지고 공압이 커지기 때문에 각각의 토출구멍(DH1, ..., DH2)을 통한 온도조절용 공기의 토출량이 크게 차이가 난다. 물론, 도 15에 의할 경우에도 토출구멍(DH1, ..., DH2)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한다거나 조절판을 구성하여 토출구멍(DH1, ..., DH2)의 크기를 조절하면 어느 정도 토출량들을 제어할 수는 있지만, 토출구멍(DH1, ..., DH2)의 크기 조절만으로는 복잡한 온도조절용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곤란할 수 있는 것이다.For reference, as in the example of Fig. 15, the temperature control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131) without the induction portion (132b) may be configured to enter directly into the closed, straight discharge portion (132a). However, if the example of Fig. 15 is followed, a large difference in air pressure occurs between the area where the discharge hole (DH 1 ) close to the air supplier (131) is located and the area where the discharge hole (DH 2 ) far from the air supplier (131) is located according to Bernoulli's principle, so it may be very difficult for the temperature control air to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of the injection ducts (134). That is, in the example of Fig. 15, the speed of the temperature control air decreases and the air pressure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air supplier (131) increases, so the discharge amou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air through each of the discharge holes (DH 1 , ..., DH 2 ) greatly differs.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Fig. 1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to a certain extent by forming the discharge holes (DH 1 , ..., DH 2 ) in different sizes or configuring a control plate to adjust the discharge holes (DH 1 , ..., DH 2 ).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complex air flow for temperature control by only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s (DH 1, ..., DH 2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서와 같이 연결부분(132c)에서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 방향이 180도 전환되면서 해당 영역에서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이 정체되는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선 상에서 첫 토출구멍(DH1)이 있는 영영과 마지막 토출구멍(DH2)이 있는 영역의 공압이 최대한 균일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by utilizing the phenomenon in which the movement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stagnates in a corresponding area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changes 180 degrees at the connection portion (132c) as shown in Fig. 14, the air pressure in the area with the first discharge hole (DH 1 ) and the area with the last discharge hole (DH 2 ) on the movement line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is designed to be as uniform as possible.
재진입부분(132d)은 온도조절용 공기가 마지막 토출구멍(DH2)을 지난 후 유도부분(132b)으로 재진입함으로써 온도조절용 공기가 공급덕트(132) 내에서 순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렇게 토출부분(132a)의 끝단이 폐쇄되지 않도록 재진입부분(132d)을 둠으로써 공기의 이동선 상에서 첫 번째 토출구멍(DH1)이 있는 영역과 마지막 토출구멍(DH2)이 있는 영역의 공압차를 더욱 줄임으로써 모든 토출구멍(DH ; DH1, ..., DH2)이 있는 영역의 공압이 더욱 균일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도 16에서와 같이 공급덕트(132)를 유자(U자) 형으로 하는 경우에도 공기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연결부분(132c)에서 공기의 정체가 발생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마지막 토출구멍(DH2)이 있는 영역에서 공압이 가장 크기 때문에 마지막 토출구멍(DH2)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가장 많고, 이러한 경우 각각의 독립공간(SS)에 수용된 전자부품들마다 온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분(132a)의 마지막을 개방시켜서 유도부분(132b)으로 연결함으로써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마지막 토출구멍(DH2)이 있는 영역의 공압을 낮춰줌으로써 모든 토출구멍(DH ; DH1, ..., DH2)이 있는 영역들에서의 공압이 서로 균일해 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The re-entry portion (132d) is provided to enable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to circulate within the supply duct (132) by re-entering the induction portion (132b) after passing through the last discharge hole (DH 2 ). By providing the re-entry portion (132d)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132a) is not closed,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rea where the first discharge hole (DH 1 ) is located and the area where the last discharge hole (DH 2 ) is located on the air movement line is further reduced, thereby enabling the air pressure in the area where all the discharge holes (DH; DH 1 , ..., DH 2 ) are located to become more uniform. For reference, even in the case where the supply duct (132) is in a U-shape as in FIG. 16, stagnation of air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132c) where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is changed. However, since the air pressure is the largest in the area where the last discharge hole (DH 2 ) is locate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last discharge hole (DH 2 ) is the largest. In this case, a temperature difference may occur in each electronic component accommodated in each independent space (SS).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FIG. 14, by opening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d connecting it to the induction portion (132b), the air pressure in the area where the last discharge hole (DH 2 ) is located is lowered by Bernoulli's principle, thereby allowing the air pressures in the areas where all the discharge holes (DH; DH 1 , ..., DH 2 ) are located to be uniform.
한편, 토출부분(132a)과 유도부분(132b)은 수용공간(ES)을 기준으로 일 측에 함께 구비됨으로써 장비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진입부분(132d)의 설계가 간단하게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장비의 전체 폭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토출부분(132a)과 수용공간(ES) 간의 거리와 유도부분(132b)과 수용공간(ES) 간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7에서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토출부분(132a)의 중심선(C1)과 수용공간(ES)의 중심선(C2)까지의 거리와 유도부분(132b)의 중심선(C1)과 수용공간의 중심선(C2)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설계된다. 다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토출부분(132a)과 유도부분(132b)의 유로의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토출부분(132a)과 수용공간(ES) 간의 거리와 유도부분(132b)과 수용공간(ES) 간의 거리가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since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d the guide portion (132b) are provided together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space (ES), not only can the overall width of the equipment be reduced, but also the design of the re-entry portion (132d) can be easily resolved. Of course, in terms of reducing the overall width of the equip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d the receiving space (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portion (132b) and the receiving space (ES) be the same. That is, as shown in FIG. 17,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ine (C 1 ) of the discharge portion (132a) to the center line (C 2 )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ine (C 1 ) of the guide portion (132b) to the center line (C 2 ) of the receiving space are designed to be the same.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d the receiving space (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ing portion (132b) and the receiving space (ES) may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area of the flow path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d the guiding portion (132b).
계속하여 공급덕트(132)의 일부를 분해한 도 18의 발췌도를 참조하면, 조절판(133)은 토출구멍(DH)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여러 안배들에도 불구하고 토출부분(132a)의 각 영역들에서의 공압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토출구멍(DH)들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온도조절용 공기가 분사덕트(134)들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토출부분(132a) 내의 복잡한 유체 역학으로 인해 각각의 토출구멍(DH)의 구간별 공압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원인으로 각각의 토출구멍(DH)들로 토출되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양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조절판(133)으로 토출구멍(DH)의 크기를 조절(구체적으로는 토출구멍을 통한 공기의 토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온도조절용 공기가 각각의 분사덕트(134)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게 하고 있다. 물론, 유체 역학을 고려하여 위치에 따라 토출구멍(DH)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한다면 조절판(133)을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토출구멍(DH)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경우 유속, 유량, 유로의 단면적 등 다양한 변수 등이 고려되어야만 하고, 테스트 온도 환경 조건에 따라 유속이나 유량 등이 변수로 작용하여 테스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판(133)을 이용해 토출구멍(DH)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쉽게 고려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xtract drawing of FIG. 18, which shows a part of the supply duct (132) disassembled, the control plate (133) is provid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valve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s (DH). This is to ensure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injection ducts (134)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s (DH), considering that despite the various arrangements mentioned above, there may be an air pressure difference in each area of the discharge portion (132a). That is, due to the complex fluid dynamics within the discharge portion (132a), an air pressure difference may occur in each section of the discharge holes (DH), and due to this cause, the amount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discharged through each discharge hole (DH)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s (DH) with the control plate (133) (specifically, controlling the discharge area of air through the discharge holes),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injection duct (134). Of course, if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DH)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by considering fluid dynamics, the control plate (133) may be omitted. However, if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DH) is formed differently,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flow rate, the flow rat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must be considered, and the flow rate or the flow rate may act as variables depending on the test temperature environment conditions, which may cause test failure. Therefore, it is more desirable and can be considered easier to control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DH) using the control plate (133).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조절판(133)을 미닫이 식으로 조작하여 토출구멍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설정을 위해 도 18에서와 같이 공급덕트(132)의 일 측면(F)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공급덕트(132)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조절판(133)이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rator can set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by sliding the control plate (133), as shown in Fig. 18, one side (F) of the supply duct (132) is provided in a detachable manner for this setting.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supply duct (132) is provided as an integral part, and the control plate (133) is provided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분사덕트(134)들은 도 1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수용공간(ES)에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고,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TB)에 일대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분사덕트(133)가 1개의 독립공간(SS)에 수용되어서 해당 독립공간(SS)에 있는 테스트보드(TB)와 대면하도록 되어 있다. 즉, 분사덕트(134)는 온도조절용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면이 테스트보드(TB)의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면(안착소켓이 설치되는 면)과 대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분사덕트(134)는 공급덕트(131) 및 분기덕트(135)를 통해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테스트보드(TB)를 향해 분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20에서와 같이, 분사덕트(134)에는 테스트보드(TB)에 실린 전자부품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분사구멍(IH)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분사덕트(134)가 독립공간(SS)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테스트보드(TB)에 의해 독립공간(SS)이 분리되면 제1 영역(1S)에 위치하게 되며, 테스트보드(TB)에 실린 전자부품들과 대면한다. 따라서 분사덕트(134)에서 분사된 공기는 직접 전자부품을 향해 분사되며, 또한 독립공간(SS)들의 제1 영역(1S)의 온도만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분사덕트(134)에서 분사된 공기가 직접 전자부품을 향해 분사되기 때문에 종래와는 달리 전자부품의 온도를 빠른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온도가 조절되어야 할 공간인 제1 영역(1S)이 종래에 비하여 좁기 때문에 그 만큼 더 신속한 온도조절이 가능해지면서 에너지의 소모도 줄인다. 그리고 분사덕트(134)에 의해 제1 영역(1S)으로 분사된 공기는 독립공간(SS)의 외측에 있는 회수실(RR)로 이동한 후 공기공급기(131)로 회수된다.As shown in FIG. 19, the injection ducts (134) are positioned at a certain interval from each other in the receiving space (ES) and are arranged to face multiple test boards (TB) one-to-on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injection duct (133) is accommodated in one independent space (SS) and faces the test board (TB) in the independent space (SS). That is, the injection surface of the injection duct (134) onto which temperature control air is injected faces the surface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test board (TB) are installed (the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socket is installed). The injection duct (134) must inject the temperature control air coming through the supply duct (131) and the branch duct (135) toward the test board (TB). To this end, as shown in FIG. 20, injection holes (IH) are formed in the injection duct (134) at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 (T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jection duct (134)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dependent space (SS) as referred to in FIG. 19, when the independent space (SS) is separated by the test board (TB), it is located in the first region (1S) and faces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 (TB). Therefore, the air injected from the injection duct (134) is directly injected toward the electronic components, and also controls the temperature of only the first region (1S) of the independent spaces (SS). Since the air injected from the injection duct (134) is directly injected toward the electronic components,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controlled at a high speed, unlike in the past. 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gion (1S), which is the space where the temperature should be controlled, is narrower than in the past, faster temperature control is possible, while also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the air injected into the first area (1S) by the injection duct (134) moves to the recovery room (RR) located outside the independent space (SS) and is then recovered by the air supplier (131).
한편, 도 20에서와 같이 분사덕트(134)는 유입되어 온 온도조절용 공기가 분사구멍(IH)들로 골고루 나뉘어 분사되도록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부재(134a)를 구비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0, the injection duct (134) is equipped with an induction member (134a) that induces the movement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introduced is evenly divided and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holes (IH).
유도부재(134a)는 전환판(TP)들과 확보판(GP)을 포함한다.The guide member (134a) includes transition plates (TP) and securing plates (GP).
전환판(TP)들은 a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되어 오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switching plates (TP) are provid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emperature-regulating air flowing in in the direction of arrow a.
확보판(GP)은 온도조절용 공기가 해당 위치로 통과되지 못하고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전환판(TP)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분사덕트(134)의 전 영역에 걸쳐 지나가도록 이동 경로(b 화살표 참조)를 확보한다.The securing plate (GP) secures a path (see arrow b) for the temperature-regulating air diverted by the diverting plate (TP) to pas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injection duct (134) by blocking the temperature-regulating air from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location.
이와 같이 유도부재(134a)를 구비하는 한편 도 20에서 보이는 것처럼, 분사구멍(IH)들은 온도조절용 공기가 분사덕트(134)로 유입되어서 전환판(TP)에 이르는 경로(a 화살표 참조)를 제외한 영역 형성된다. 즉, 분사구멍(IH)들은 분사덕트(134)로 유입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전환판(TP)에 도달하는 경로(a 화살표) 상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분사덕트(134)로 유입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전환판(TP)들에 의해 이동 방향이 전환되면서 화살표 b에 의해 참조되는 바와 같이 확보판(GP)에 의해 차단된 경로를 우회하여 분사구멍(IH)들이 있는 분사면 전체를 거쳐 돌아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분사구멍(IH)들로 비교적 고르게 온도조절용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In this way, while providing the induction member (134a) as shown in FIG. 20, the injection holes (IH) are formed in an area excluding the path (see arrow a)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flows into the injection duct (134) and reaches the switching plate (TP). That is, the injection holes (IH) are not formed on the path (arrow a)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that flows into the injection duct (134) reaches the switching plate (TP). Accordingly, since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that flows into the injection duct (134) has its movement direction changed by the switching plates (TP) and bypasses the path blocked by the securing plate (GP) as referred to by arrow b, and returns through the entire injection surface where the injection holes (IH) are located,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can be relatively evenly sprayed through each of the injection holes (IH).
분기덕트(135)는 토출구멍(DH)을 통해 공급덕트(132)로부터 토출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분사덕트(134)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를 위해 토출구멍(DH)의 개수만큼 공급덕트(132)로부터 분기되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여러 개가 구비된다.The branch duct (135) is provided to provide a path for mov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discharged from the supply duct (132) through the discharge hole (DH) to the injection duct (134), and for this purpose, multiple paths are provided to form paths branching from the supply duct (132) as many as the number of discharge holes (DH).
위와 같은 온도조절장치(130)에 의하면 공기공급기(131)에 의해 공급된 온도조절용 공기는 공급덕트(132) 및 분기덕트(135)를 거쳐 분사덕트(134)로 유입된 후 분사구멍(IH)들을 통해 독립공간(SS)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독립공간(SS)으로 분사된 온도조절용 공기는 전자부품들의 온도를 조절하는 한편 독립공간(SS)의 온도환경을 조성한 후 외측으로 빠져 회수실(RR)을 거쳐 공기공급기(131)로 다시 회수된다.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as described above, temperature control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ier (131) flows into the injection duct (134) through the supply duct (132) and the branch duct (135) and is then sprayed into the independent space (SS) through the injection holes (IH). Then, the temperature control air sprayed into the independent space (SS) controls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creates a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independent space (SS), and then flows outward and is recovered back into the air supplier (131) through the recovery room (RR).
앞선 설명들에 따르면 테스트보드(TB)의 단열공간(IS) 또는 테스트챔버(100)에 구비된 제2 영역(2S, 단열공간 또는 완충공간으로 활용됨)이 테스트보드(TB)에 의해 제1 영역(1S)과 분리되어 있음을 앞서 설명한 바 있다. 그렇지만, 단열공간(IS)이나 제2 영역(2S)도 테스트보드(TB)에 있을 수 있는 미세한 틈이나 열전도 등에 의해 온도조절장치(130)에 의해 조성되는 제1 영역(1S)의 열적 환경이나 전자부품의 온도 상태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조 테스터(AT, 113)와 같은 전자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단열공간(IS)이나 제1 영역(2S)의 온도를 제1 영역(1S)과 다른 온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above explanations,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insulating space (IS) of the test board (TB) or the second region (2S, used as an insulating space or a buffer space) provided in the test chamber (1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gion (1S) by the test board (TB). However, the insulating space (IS) or the second region (2S) is also affected by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first region (1S) cre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or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due to minute gaps or heat conduction that may exist in the test board (TB). Therefore,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protect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auxiliary tester (AT, 113),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space (IS) or the first region (2S) at a different temperature from that of the first region (1S).
참고로, 상측의 독립공간(SS)에 있는 제2 영역(2S)은 하측의 독립공간(SS)에 있는 제1 영역(1S)과 구획판(112)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하측 독립공간(SS)에 있는 제1 영역(1S)의 고온의 열이 전도 등을 통해 상측 독립공간(SS)에 있는 제2 영역(2S)으로 이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완충공간을 둠으로써 단열공간(IS)이 하측에 있는 독립공간(SS)의 제1 영역(1S)에 조성된 고온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 때, 에너지 절감을 위해 완충공간의 온도는 단열공간(IS)보다는 높고 제 1 영역(1S)의 온도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the second region (2S) in the upper independent space (SS)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gion (1S) in the lower independent space (SS) by a partition plate (112), the high temperature heat of the first region (1S) in the lower independent space (SS) may move to the second region (2S) in the upper independent space (SS) through conduction, etc.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buffer spac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insulating space (IS) is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high temperature created in the first region (1S) of the lower independent space (SS). At this time, in order to save energy, it may be desirable to consider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uffer spa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insulating space (IS) and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1S).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9에서와 같이 1개의 독립공간(SS) 당 1개의 분사덕트(134)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도 21에서와 같이 수용공간(ES)이 별도의 구획판(112)에 의해 각각의 독립공간(SS)으로 나뉘지 않은 경우에도 전자부품을 향해 온도조절용 공기가 직접 분사되는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130)는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a structure is adopted in which one injection duct (134) is arranged per one independent space (SS) as in Fig. 19. However, even in cases where the receiving space (ES) is not divided into each independent space (SS) by a separate partition plate (112) as in Fig. 2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temperature control air is directly injected toward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applied in any way.
또한, 위의 도 19 및 도 21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챔버(100)의 특징을 하나 더 살펴보면, 수용공간(ES)에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TB)가 상호 간에 이격되게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수용될 수 있고, 분사덕트(134)들은 테스트보드(TB)들에 일대일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있는 분사덕트(134)를 제외한 나머지 분사덕트(134)들은 서로 이웃하는 테스트보드(TB)들의 사이에 위치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9 and FIG. 21 above, looking into one more feature of the test cha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multiple test boards (TB)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ES) in a form of being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gap between them, and the injection ducts (134) are arranged to face the test boards (TB) one-to-one. Accordingly, except for the injection duct (134) located on one side (the uppe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remaining injection ducts (134) are located between the neighboring test boards (TB).
한편, 재진입부분(132d)를 통해 토출부분(132a)를 경유한 온도조절용 공기가 토출부분(132a)을 경유한 후 다시 유도부분(132b)로 합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기(131)에서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온도와 분사덕트(134)에서 분사되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온도 간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양 위치의 온도조절용 공기의 온도 간에 편차가 발생되면, 실제 요구되는 온도 조건으로 전자부품이 테스트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공기공급기(131)에서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TS1)와 분사덕트(134)에서 분사되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TS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 온도센서(TS1, TS2)에서 감지된 온도 편차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마다 공기공급기(131)에서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전자부품의 온도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32a) via the re-entry portion (132d) may rejoin the induction portion (132b)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32a). Therefore, a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131) and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sprayed from the injection duct (134). And if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temperatures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at both locations, the electronic components may not be tested under the actual required temperature conditions. In order to prevent this, as referred to in FIG. 13, it is preferable to have a first temperature sensor (TS 1 )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131)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S 2 )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sprayed from the injection duct (134). In this case,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detected by the two temperature sensors (TS 1 , TS 2 )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131) whenever necessary,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managed more precisely.
<참고적인 사항><Not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영역(1S)은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단열공간(IS)은 보조 테스터(AT, 113)나 증폭기와 같은 발열하는 전자소자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완충공간(AS, 제2 영역이 완충공간으로 기능하는 예를 포함함)은 하측의 제1 영역(1S)의 열적 상태가 단열공간(IS)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온도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gion (1S) must have a temperature environment creat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insulating space (IS) must have a temperature environment creat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heat-generat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n auxiliary tester (AT, 113) or an amplifier. In addition, the buffer space (AS, includ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region functions as a buffer space) must have a temperature environment created to prevent the thermal state of the first region (1S) on the lower side from affecting the insulating space (IS).
따라서 다양한 테스트 온도 조건들을 감안할 때, 제1 영역(1S), 단열 공간(IS) 및 완충공간(AS, 제2 영역이 완충공간으로 기능할 때는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온도로 관리될 수 있어야만 한다.Therefore, considering the various test temperature conditions, the first zone (1S), the insulation space (IS) and the buffer space (AS, when the second zone functions as a buffer space, the second zone) must be able to be managed at different temperatures.
예를 들어, 테스트 온도 조건에 따라 각 공간(1S, IS, AS)의 온도는 여러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each space (1S, IS, AS) can be mana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est temperature conditions.
고온 테스트 시에는 제1 영역(1S)의 온도가 가장 높고, 단열공간(IS)의 온도가 가장 낮을 수 있다. 이 때, 완충공간(AS)의 온도는 제1 영역(1S)의 온도와 단열공간(IS)의 온도 사이의 값을 가질 것이다.During a high temperature tes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rea (1S) may be the highest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ed space (IS) may be the lowest.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buffer space (AS) will have a valu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rea (1S)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ed space (IS).
그런데, 저온 테스트 시에는 제1 영역(1S)의 온도가 가장 낮고, 단열공간(1S)의 온도는 결로 방지를 위해 제1 영역(1S)의 온도보다는 높게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완충공간(AS)은 하측의 제1 영역(1S)과 접하기 때문에 단열공간(1S)의 온도가 완충공간(AS)의 온도보다 높거나 적어도 서로 동일하게 관리될 필요가 있다. 물론, 저온 테스트 시에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한 공기조절용 유체를 단열공간(IS)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However, during the low-temperature tes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rea (1S) is the lowest,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space (1S) should be managed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rea (1S) to prevent condensation. At this time, since the buffer space (A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rea (1S) on the lower side,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space (1S) needs to be managed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buffer space (AS) or at least the same. Of course, during the low-temperature test,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y dry air conditioning fluid to the insulating space (IS) to prevent condens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means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described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ir equivalents.
100 : 테스트챔버
110 : 챔버 본체
ES : 수용공간
SS : 독립공간
120 : 개폐 도어
130 : 온도조절장치
131 : 공기공급기
132 : 공급덕트
132a : 토출부분
132b : 유도부분
132c : 연결부분
132d : 재진입부분
DH : 토출구멍
134 : 분사덕트
134a : 유도부재
TP : 전환판
GP : 확보판
IH : 분사구멍
135 : 분기덕트100 : Test Chamber
110 : Chamber body
ES: Reception space
SS: Independent space
120 : Opening door
130 :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1 : Air supply unit
132 : Supply duct
132a: Discharge part 132b: Induction part
132c: Connection part 132d: Re-entry part
DH: Discharge hole
134 : Injection duct
134a : Inductive Absence
TP: Transition board GP: Secured board
IH : Injection hole
135 : Branch duct
Claims (4)
상기 챔버 본체의 일 측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개폐 도어; 및
상기 챔버 본체에 수용된 상기 테스트보드들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여러 위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여러 개의 분사덕트;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가 상호 간에 이격되게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은 구획판에 의해 상호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는 복수개의 독립공간으로 나뉘며,
상기 복수개의 독립공간마다 하나의 테스트보드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여러 개의 분사덕트는 상기 여러 장의 테스트보드에 일대일 대면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일 측 끝에 있는 분사덕트를 제외한 나머지 분사덕트들은 서로 이웃하는 테스트보드들 사이에 위치되는
테스트챔버.A chamber body having an open side and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est boards containing electronic components;
An opening/closing door that opens or closes the receiving space by opening/closing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body;
The abov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 air supply unit that supplies temperature-regulating ai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and
It includes several injection ducts located 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nd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to several locations 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In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multiple test boards can be accommodated with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is divided into multiple independent spaces with air movement between them blocked by partitions.
Each of the above multiple independent spaces can accommodate one test board.
The above multiple injection duct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above multiple test boards, so that the remaining injection ducts, except for the injection duct at one end, are located between the neighboring test boards.
Test chamber.
상기 수용공간은 상호 간의 공기의 교류가 차단된 여러 개의 독립공간으로 나뉘고,
상기 여러 개의 분사덕트는 상기 여러 개의 독립공간에 일대일로 배치되는
테스트챔버.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is divided into several independent spaces with no air exchange between them.
The above multiple injection ducts are arranged one-to-one in the above multiple independent spaces.
Test chamber.
상기 챔버 본체의 일 측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개폐 도어; 및
상기 챔버 본체에 수용된 상기 테스트보드들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덕트;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은 구획판에 의해 상호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는 복수개의 독립공간으로 나뉘며,
상기 복수개의 독립공간마다 하나의 테스트보드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덕트는 온도조절용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멍을 가지며,
상기 분사덕트는 유입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다수의 분사구멍들로 골고루 나뉘어 분사되도록 온도조절용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부재를 구비하는
테스트챔버.A chamber body having an open side and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est boards containing electronic components;
An opening/closing door that opens or closes the receiving space by opening/closing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test board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body;
The abov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 air supply unit that supplies temperature-regulating ai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and
At least one injection duct positioned 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nd injecting temperature-controll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ier into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is divided into multiple independent spaces with air movement between them blocked by partitions.
Each of the above multiple independent spaces can accommodate one test board.
The above injection duct has a number of injection holes for injecting air for temperature control,
The above injection duct is equipped with an induction member that induces the movement of temperature-controlling air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ing air introduced is evenly divided and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Test chamber.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온도조절용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판; 및
상기 전환판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분사덕트의 전 영역에 걸쳐 지나가도록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확보판;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분사구멍은 온도조절용 공기가 상기 분사덕트로 유입되어 상기 전환판에 이르는 경로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테스트챔버.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inductive member is a switching plate that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air for temperature control; and
A securing plate that secures a path for temperature-controlling air, the direction of which has been changed by the switching plate, to pas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injection duct;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in an area excluding the path through which temperature-controlling air flows into the injection duct and reaches the switching plate.
Test cha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134910A KR20240152270A (en) | 2019-06-24 | 2024-10-04 | Test cha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4976A KR102715647B1 (en) | 2019-06-24 | 2019-06-24 | Test chamber |
KR1020240134910A KR20240152270A (en) | 2019-06-24 | 2024-10-04 | Test chamb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4976A Division KR102715647B1 (en) | 2019-06-24 | 2019-06-24 | Test cha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2270A true KR20240152270A (en) | 2024-10-21 |
Family
ID=741273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4976A KR102715647B1 (en) | 2019-06-24 | 2019-06-24 | Test chamber |
KR1020240134910A KR20240152270A (en) | 2019-06-24 | 2024-10-04 | Test chambe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4976A KR102715647B1 (en) | 2019-06-24 | 2019-06-24 | Test cha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7156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7501B1 (en) * | 2022-01-11 | 2024-03-14 | 주식회사 네오셈 | Semiconductor Device Test Chamber |
KR102691984B1 (en) * | 2022-11-04 | 2024-08-05 | 주식회사 두오텍 | Burn-in test device with improved supply air distribution efficienc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9266A (en) | 2001-10-05 | 2003-04-14 | (주)테크윙 | Test handler |
KR100561951B1 (en) * | 2004-02-17 | 2006-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rced heat exhaust type burn in test apparatus for bga package |
KR100553992B1 (en) | 2005-05-27 | 2006-02-24 | (주)테크윙 | Test handler |
KR100948344B1 (en) * | 2008-08-19 | 2010-03-22 | (주) 예스티 | Chamb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KR102133414B1 (en) * | 2014-04-24 | 2020-07-15 | (주)테크윙 | Handler for electric device test and the operation method tthereof |
-
2019
- 2019-06-24 KR KR1020190074976A patent/KR102715647B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4
- 2024-10-04 KR KR1020240134910A patent/KR20240152270A/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5647B1 (en) | 2024-10-11 |
KR20210000111A (en) | 2021-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152270A (en) | Test chamber | |
TWI742726B (en) | Test board and test chamber | |
US10976362B2 (en) | Electronics tester with power saving state | |
KR102523725B1 (en) |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 |
KR20140127144A (en) | Handler and inspection device | |
US20090189631A1 (en) | Movemen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est apparatus | |
US903566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 |
US998955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electronic devices having opposing thermal components | |
KR20160086707A (en) | Pushing apparatus for test handler | |
US6342788B1 (en) | Probing systems for chilled environment | |
KR20200146010A (en) | Test board and test chamber | |
KR101559421B1 (en) | Test handler | |
KR100867888B1 (en) | Duct for Semiconductor Testing Handler and Testing Handler comprising the same | |
KR20090059963A (en) | Module ram test handler | |
CN109283405B (en) | Sorting machine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 |
KR101685605B1 (en) | Test hand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