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7173A -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7173A KR20240127173A KR1020230020245A KR20230020245A KR20240127173A KR 20240127173 A KR20240127173 A KR 20240127173A KR 1020230020245 A KR1020230020245 A KR 1020230020245A KR 20230020245 A KR20230020245 A KR 20230020245A KR 20240127173 A KR20240127173 A KR 202401271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online
- server
- patient
-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8—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bove the transport lay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은 병원의 내부망에 구축된 서버에 온라인 진료실의 개설과 환자 단말을 포함한 타 단말에 상기 온라인 진료실로의 초대를 요청하는 의료진 단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초대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환자 단말;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안내 메시지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전송하고,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타 단말에 제공하여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은, 상기 환자 단말에 대응하여 배정된 상기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병원의 Wifi-망을 통해 내부망에 접속하는 단말 또는 상기 내부망에 우회 접속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 단말과 의료진 단말에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발맞춰 온라인 진료 서비스가 개시된다. 이때, 온라인 진료 서비스는 의료 데이터의 공유 및 활용을 요구하며, 병원에 내방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전산화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무기록은 개인 정보, 병력 정보 등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는 민감한 정보를 포함한다. 온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해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우려가 존재하는 것이다.
즉, 의료 기관은 정보 불안을 해소하면서도, 장소에 구애 없이 편리한 온라인 기반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또한, 의료 서비스는 생명과 직결된 점을 감안할 때, 시간에 구애 없이 언제든 서비스의 제공이 보장되어야 한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은 병원의 내부망에 구축된 서버에 온라인 진료실의 개설과 환자 단말을 포함한 타 단말에 상기 온라인 진료실로의 초대를 요청하는 의료진 단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초대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환자 단말;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안내 메시지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전송하고,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타 단말에 제공하여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은, 상기 환자 단말에 대응하여 배정된 상기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병원의 Wifi-망을 통해 내부망에 접속하는 단말 또는 상기 내부망에 우회 접속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서버에 상기 환자의 보호자 단말 및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의 상기 초대를 더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내부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제1 서버 및 제2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버 또는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상기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한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 서버 별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에 이용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1 서버가 개설한 제1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2 서버가 개설한 제2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을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에 로드 밸런싱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망의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의 통신 시 SSL(Secure Socket Layer) 기반의 구간 암호화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진 단말, 상기 환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한 예약 일시에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인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는 접속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병원 침대 근처에 고정 설치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안내 메시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온라인 진료실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진료실로 환자 단말을 포함한 지정된 타 단말을 초대하는 단계; 상기 초대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타 단말에 제공하여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은, 상기 환자 단말에 대응하여 배정된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병원의 Wifi-망을 통해 내부망에 접속하는 단말 또는 상기 내부망에 우회 접속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환자의 보호자 단말 및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초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내부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를 통해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한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 서버 별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에 이용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서버가 개설한 제1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이 상기 제1 서버에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서버가 개설한 제2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모든 단말이 상기 제2 서버에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내부망에 포함되어 상기 제1 서버 및 제2 서버에 연결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을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에 로드 밸런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환자 단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 SSL(Secure Socket Layer) 기반의 구간 암호화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의료진 단말, 상기 환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한 예약 일시에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인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는 접속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병원 침대 주위에 설치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안내 메시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내부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환자의 의료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중화 경로로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안정적인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일 예시의 의료진 단말에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일 예시의 의료진 단말에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진료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의 이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일 예시의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환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일 예시의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환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일 예시의 의료진 단말에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일 예시의 의료진 단말에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진료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의 이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일 예시의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환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일 예시의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환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일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일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성분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성분,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device)", "서버(server)" 또는 "시스템(system)"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컨대, 부, 모듈, 장치, 서버(20) 또는 시스템은 플랫폼(platform)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의료진 단말(10), 서버(20) 및 환자 단말(30)을 포함한다.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말에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온라인 진료 서비스는 가상의 진료실을 통해 복수의 단말 사이에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서 공유, 화면 공유, 판서 공유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의료진 단말(10)의 요청에 의해 개설된 온라인 진료실에서 의료진 단말(10)과 환자 단말(30)의 참여 하에 의료 서비스가 진행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특정 병원에 소속된 의료진이 구비한 단말이다. 구체적으로, 의료진 단말(10)은 온라인 진료실에 참가한 의료진이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온라인 진료실의 개설을 서버(20)에 요청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지정한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단말을 대상으로 서버(20)에 온라인 진료실로의 초대를 요청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환자의 보호자 단말 및 다른 의료진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로의 초대를 더 요청할 수도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일반적인 단말로서,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온라인 진료실에 참여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30)은 의료진 단말(10)과 동일한 병원에 소속된 환자가 구비한 단말이다. 구체적으로, 환자 단말(30)은 온라인 진료실에 참가한 환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30)은 일반적인 단말로서,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30)은 온라인 진료실에 참여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자 단말(30)은 내부망을 우회 접속하여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환자 단말(30)은 환자에게 배정된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SBS(Smart Bedside Station) 기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BS 기반의 단말이란,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병원의 Wifi-망을 통해 내부망으로 서버(20)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서버(20)는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20)이다. 서버(20)는 의료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자 내부망에 구축될 수 있다. 서버(20)는 SBS 서버(21)와 병원 서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일 수 있다. SBS 서버(21)는 의료진 단말(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온라인 진료실을 개설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병원 서버(22)로부터 온라인 의료실에 참석할 것으로 예정된 의료진 단말(10) 및 환자 단말(3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SBS 서버(21)는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의료진 단말(10)이 지정한 환자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단말(30)의 식별 정보를 병원 서버(22)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SBS 서버(21)와 병원 서버(22)는 일 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병원 서버(22)로부터 수신한 환자 단말(3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환자 단말(30)의 식별 정보는 환자 단말(30)의 전화 번호 또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등 환자 단말(30)을 식별하는 데 필요한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제1 SBS 서버(21) 및 제2 SBS 서버(21)를 포함하여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BS 서버(21)는 제1 SBS 서버(21)의 제1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제2 SBS 서버(21)의 제2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BS 서버(21)는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 서버(20) 별 데이터베이스에 온라인 진료 서비스에 이용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SBS 서버(21)가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1 SBS 서버(21)는, 제1 SBS 서버(21)가 개설한 제1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SBS 서버(21)가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2 SBS 서버(21)는, 제2 SBS 서버(21)가 개설한 제1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호 간에 복제되어 기록되지 않은 정보가 동기화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SBS 서버(21)는 부하 집중을 방지할 로드 밸런싱을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로드 밸런싱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1 SBS 서버(21) 및 제2 SBS 서버(21) 사이에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SBS 서버(21)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1 온라인 진료실은 제1 SBS 서버(21)에 의해 제공되도록, 제2 온라인 진료실은 제2 SBS 서버(21)에 의해 제공되도록 로드 밸런싱할 수 있다.
SBS 서버(21)는 환자 단말(30) 및 의료진 단말(10)의 온라인 진료실로의 접속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30) 및 의료진 단말(10)로 하여금 온라인 진료실로 접속할 수 있게 한다.
SBS 서버(21)는 환자 단말(30) 및 의료진 단말(10)의 인증 여부를 확인한 후 환자 단말(30) 및 의료진 단말(10)의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온라인 진료실로의 접속을 허가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서버(22)는 의료진 단말(10)로부터 환자의 개인 정보, 의료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20)일 수 있다.
병원 서버(22)는 온라인 진료실로의 초대를 위한 의료진 단말(10)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의무기록에 기초하여 환자 정보를 의료진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정보는 환자 등록번호, 성명, 나이, 연락처, 질병 코드, 진단명 및 담당 의료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병원 서버(22)는 온라인 진료실로의 초대를 위한 의료진 단말(10)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진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 정보를 의료진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 정보는 의료진 등록번호, 성명, 연락처 및 진료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의료진 단말(10), 서버(20) 및 환자 단말(3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의료진 단말(10), 서버(20) 및 환자 단말(30)은 의료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자 내부망을 통해 통신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버(20)는 의료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자 환자 단말(3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 SSL(Secure Socket Layer) 기반의 구간 암호화를 이용하여 통신함이 바람직하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10), 서버(20) 및 환자 단말(3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와 연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 내의 프로세서는 각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의료진 단말(10)은 서버(20)에 온라인 진료실 개설을 요청한다. 이때, 의료진 단말(10)은 개설 예약 일정을 지정하고, 초대 정보와 함께 온라인 진료실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초대 정보는 온라인 진료실에 참가할 수 있는 단말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서버(20)는 의료진 단말(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온라인 진료실을 개설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서버(20)는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안내 메시지는 온라인 진료실로의 접속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링크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메시지 푸시(push) 등의 방식으로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 단말이 모바일 단말인 경우, 안내 메시지는 접속 링크를 포함하여 환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환자 단말이 병원 침대 근처에 고정 설치되는 단말인 경우, 환자 단말에 안내 메시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의료진 단말(10)은 접속 링크를 통해 서버(20)에 온라인 진료실로의 입장을 요청한다. 의료진 단말(10)은 인증 키 전송과 함께 온라인 진료실로의 입장을 요청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접속 링크를 터치하거나 마우스, 터치패드 등을 포함하는 입력 수단을 통해 접속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입장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서버(20)는 의료진 단말(10)이 송신한 인증 키와 기 저장된 인증 키를 비교하여 의료진 단말(10)의 접속 권한을 확인한다. 이때, 서버(20)는 인증 키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료진 단말(10)의 온라인 진료실로의 접속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환자 단말(30)은 접속 링크를 통해 서버(20)에 온라인 진료실로의 입장을 요청한다. 환자 단말(30)은 인증 키 전송과 함께 온라인 진료실로의 입장을 요청할 수 있다. 환자 단말(30)은 접속 링크를 터치하거나 마우스, 터치패드 등을 포함하는 입력 수단을 통해 접속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입장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270에서, 서버(20)는 환자 단말(30)이 송신한 인증 키와 기 저장된 인증 키를 비교하여 환자 단말(30)의 접속 권한을 확인한다. 이때, 서버(20)는 인증 키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환자 단말(30)의 온라인 진료실로의 접속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 280에서, 서버(20)는 환자 단말(30) 및 의료진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의 입장이 완료된 경우,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실행한다. 단계 280은 환자 단말(30) 및 의료진 단말(10)이 모두 입장하는 경우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단계 307 내지 311은 도 2의 단계 240 내지 280과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 301에서, 의료진 단말(10)은 SBS 서버(21)에 온라인 진료실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의료진 단말(10)은 초대 대상을 검색하기 위해 병원 서버(22)에 환자 및 의료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진 단말(10)은 키보드,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환자 및 의료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의료진 단말(10)은 직접 병원 서버(22)에 환자 및 의료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의료진 단말(10)은 SBS 서버(21)를 거쳐 병원 서버(22)에 환자 및 의료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303에서, 병원 서버(22)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구축된 전자의무기록에 기초하여 의료진 단말(10)의 요청에 대응하여 환자 및 의료진 정보를 의료진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병원 서버(22)는 의료진 단말(10)에 요청에 대응하여 의료진 단말(10)에 제공하기 위한 환자 및 의료진 정보를 SBS 서버(21)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304에서, 의료진 단말(10)은 SBS 서버(21)에 지정된 환자 정보 및 의료진 정보를 포함한 초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BS 서버(21)는 초대 정보에 기초하여 타 단말을 온라인 진료실로 초대할 수 있다.
단계 305에서, SBS 서버(21)는 온라인 진료실을 개설할 수 있다.
단계 306에서, SBS 서버(21)는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30)에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BS 서버(21)는 의료진 정보에 대응하여 다른 의료진 단말(10)에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예시의 의료진 단말(10)에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료진 단말(10)에 제공되는 화면은 초대 대상 검색을 위한 검색 화면을 포함한다.
의료진 단말(10)은 초대 대상을 검색하기 위해 병원 서버(22)에 환자 및 의료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병동, 병실, 병상, 환자명, 진료과, 진단명, 담당 전문의 및 담당 주치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여 병원 서버(22)에 환자 및 의료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
병원 서버(22)는 의료진 단말(10)의 요청에 대응하여 병원 서버(22)에 구축된 전자기록의무에 기초하여 병동, 병실, 병상, 환자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진료과, 담당 전문의, 담당 주치의, 담당 간호사, 전과/총재, POD, ABC군, 진단명, 금일 수술 여부, 퇴원 예정일, 입원 예정 여부, 복합질환, 금일 수술 여부, 중환자실 소속 여부, 시술 센터 및 수술센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병원 서버(22)는 의료진 단말(10)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항목을 필터링하여 일부의 환자 정보만을 송신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검색된 환자 정보 중 일부를 지정하여 SBS 서버(21)에 지정된 환자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단말(30)을 초대하며 온라인 진료실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검색된 환자 정보 중 일부를 지정하여 병원 서버(22)로 하여금 지정된 환자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단말(30)에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메시지는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는 의료진의 성명, 연락처, 온라인 회진 일시 및 취소, 변경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병원 서버(22)는 의료진 단말(10)에 의해 초대 대상이 되는 환자가 선별되면, 검색 화면에서 SBS 서버(21)로의 요청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으로 전환케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시의 의료진 단말(10)에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시의 의료진 단말(10)에 제공되는 화면은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을 포함한다.
도 5의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은 도 4의 검색 화면에서 의료진 단말(10)이 온라인 상담 UI를 클릭함으로써, 전환되는 화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은 목록 탭, 제1 게스트 탭, 호스트 탭, 제2 게스트 탭, 제3 게스트 탭 및 일정 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목록 탭은 검색 화면을 통해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세부 탭을 포함한다. 특히, 검색 화면을 통해 지정된 환자가 복수인 경우, 목록 탭은 세부 탭을 제공하여 각 환자 단말(30)에 대한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의료진 단말(10)은 세부 탭을 통해 각 환자에 대한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세부 탭을 통해 각 환자에 대한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한편, 각 환자에 대한 진료 예약 화면은 세부 탭을 통해 다른 환자의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으로 전환되더라도 각 탭에 기입되는 정보는 소실되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제1 게스트 탭은 검색 화면을 통해 지정된 환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게스트 탭은 병원 서버(22)로부터 전달된 환자 정보 중 일부가 게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스트 탭은 지정된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명, 진료과, 병동, 담당 전문의, 담당 주치의 및 담당 간호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 탭은 온라인 진료실의 개설을 요청하는 의료진 단말(10)의 의료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 정보는 의료진 단말(10)에 의해 입력되거나 병원 서버(22)로부터 전달된 의료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 정보는 의료진명, 소속 병동, 연락처 및 담당 간호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스트 탭은 환자 단말(30) 외 온라인 진료실에 초대하기 위한 탭 또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게스트 탭은 온라인 진료실에 초대하기 위한 다른 의료진 단말(10)의 의료진 정보를 직접 입력 받기 위한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게스트 탭은 구비된 아이콘을 클릭하면, 의료진을 검색하기 위한 팝업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팝업 화면은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에 오버 랩 되어 디스플레이 되거나,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에서 전환되어 새로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팝업 화면은 다른 의료진 단말(10)을 초대하기 위한 검색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팝업 화면은 진료과 및 의료진 등록번호, 의료진명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팝업 화면은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료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의료진 정보를 리스트로 나열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은 리스트에 포함된 다른 의료진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초대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후, 선정된 다른 의료진 단말(10)에 대응하는 의료진 정보는 제2 게스트 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탭과 마찬가지로 제2 게스트 탭은 다른 의료진 단말(10)의 의료진명, 진료과, 연락처 및 담당 간호사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게스트 탭은 검색 화면에서 지정된 환자 단말(30)과 관련된 보호자 단말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게스트 탭은 보호자 단말의 정보로서 보호자의 성명, 연락처 및 환자와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게스트 탭은 제1 게스트 탭에 표시되는 환자 단말(30)과 연계되어 보호자 단말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3 게스트 탭은 환자 단말(30)과 관련된 보호자의 단말을 직접 입력하게 하는 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정 탭은 호스트로 하여금 온라인 진료실의 개설 일정을 설정하게 하는 입력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탭은 년, 월, 시간, 분 및 초 중 적어도 하나로 구별되는 일정을 설정하게 하는 입력 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의료진 단말(10)은 목록 탭을 통해 각 환자에 대한 온라인 진료 예약 화면을 개별적으로 기입하여 일괄적으로 온라인 진료 예약을 신청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진료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료 화면은 온라인 진료실 리스트, 온라인 진료실의 정보, 온라인 진료실에 입장한 각 단말들의 화면, 온라인 진료실에 입장한 각 단말들의 정보 및 온라인 진료실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버튼, 목록 버튼을 포함한다.
온라인 진료 리스트는 의료진 단말(10)이 SBS 서버(21)에 요청하여 개설된 온라인 진료실들의 정보를 기록한 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진료 리스트는 각 온라인 진료실의 게스트 정보(예를 들어, 환자명, 환자 등록번호), 예약 일시 및 라이브 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온라인 진료 리스트는 온라인 진료실의 종료 여부에 기초하여 온라인 진료실을 표시하는 색상을 달리 설정하여 각 온라인 진료실의 라이브 여부를 식별케 할 수 있다.
온라인 진료실의 정보는 단말이 입장한 온라인 진료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진료실의 정보는 성명, 연령, 환자 등록번호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 및 예약 일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진료실에 입장한 각 단말의 화면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진료실에 입장한 각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되어 전체 화면으로 더 출력될 수 있다. 전체 화면은 전체 화면을 리딩하고 있는 엔티티에 대응하는 정보가 더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온라인 진료실에 입장한 각 단말들의 정보는 현재 온라인 진료실에 입장된 단말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말의 정보는 소속(예컨대, 의사, 간호사, 환자, 보호자) 및 성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버튼은 오디오, 비디오, 화면 공유, 채팅, 정보 및 설정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단말은 입력 수단을 통해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
목록 버튼은 단말의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목록 버튼은 단말이 이용한 온라인 진료 서비스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진료 서비스의 리스트는 단말이 로그인한 계정 단위로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일 예시의 온라인 진료의 이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의 이력 화면은 도 6의 목록 버튼을 활성화하여 전환된 화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력 화면은 온라인 진료 서비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력 화면은 이력 화면으로부터 전환 요청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제공받은 온라인 진료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 화면은 온라인 진료실에 대한 예약, 진행 중, 완료 중 적어도 하나로 구별되는 상태 값이 표시될 수 있다.
이력 화면은 온라인 진료실에 참가한 환자의 환자번호, 환자명, 온라인 상담 시간, 환자가 속한 병원 건물, 병동, 병실, 진료과, 담당 전문의, 방 개설자, 초대된 의료진, 초대된 보호자 및 상담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시의 환자 단말(30)에 제공되는 환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특히, 도 8은 환자 단말(30)이 병원 침대에 고정된 SBS 기반의 단말인 경우를 전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환자 화면은 제1 환자 화면(810)과 제2 환자 화면(8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환자 화면(810)은 대기 화면 중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제1 환자 화면(810)은 사용자 응답을 요구하는 능동적 팝업 메시지로 표시되는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30)이 대기 중인 경우, 환자의 수신 확인을 위해 환자 화면에는 팝업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환자 화면(820)은 실행 화면 중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제2 환자 화면(820)은 사용자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수동적 팝업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동적 팝업 메시지는 현재 사용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별도의 응답 없이 사라지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시의 환자 단말(30)에 제공되는 환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환자 단말(30)에 제공되는 환자 화면은 환자 단말(30)의 온라인 진료실로의 접속 결과를 안내하는 접속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속 화면은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 링크를 클릭하여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접속 화면은 온라인 진료실에 대응하는 인증 키와 환자 단말(30)이 전송하는 인증 키가 인증될 경우 환자 단말(30)에게 제공되는 화면일 수 있다.
제1 접속 화면(910)은 환자 단말(30)의 접속 요청 이전에 개설 요청이 삭제된 온라인 진료실에 환자 단말(30)이 입장하였을 때 표시되는 환자 화면일 수 있다.
제2 접속 화면(920)은 접속 링크에 이미 기 접속된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동일한 링크를 접속한 단말에 대해 표시되는 환자 화면일 수 있다.
제3 접속 화면(930)은 예약 시간 이전에 환자 단말(30)의 접속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환자 단말(30)에 표시되는 환자 화면일 수 있다.
제4 접속 화면(940)은 예약 시간 이후에 환자 단말(30)의 접속 요청이 전달되는 경우, 환자 단말(30)에 표시되는 환자 화면일 수 있다. 이때, 환자 단말(30)은 환자 단말(30)에 환자 단말(30)의 식별번호(예를 들어, PIN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 처리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은 도 1의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 진료실을 개설한다.
이후,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 진료실로 환자 단말(30)을 포함한 지정된 타 단말을 초대한다.
이후,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초대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환자 단말(30)을 포함한 타 단말에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타 단말에 제공하여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환자 단말(30)은, 환자 단말(30)에 대응하여 배정된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병원의 Wifi-망을 통해 내부망에 접속하는 단말 또는 내부망에 우회 접속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3 및 10에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12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의료진 단말
20: 서버
21: SBS 서버
22: 병원 서버
30: 환자 단말
100: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810: 제1 환자 화면
820: 제2 환자 화면
910: 제1 접속 화면
920: 제2 접속 화면
930: 제3 접속 화면
940: 제4 접속 화면
20: 서버
21: SBS 서버
22: 병원 서버
30: 환자 단말
100: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810: 제1 환자 화면
820: 제2 환자 화면
910: 제1 접속 화면
920: 제2 접속 화면
930: 제3 접속 화면
940: 제4 접속 화면
Claims (20)
- 병원의 내부망에 구축된 서버에 온라인 진료실의 개설과 환자 단말을 포함한 타 단말에 상기 온라인 진료실로의 초대를 요청하는 의료진 단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초대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환자 단말;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안내 메시지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전송하고,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타 단말에 제공하여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은, 상기 환자 단말에 대응하여 배정된 상기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병원의 Wifi-망을 통해 내부망에 접속하는 단말 또는 상기 내부망을 우회 접속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을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서버에 상기 환자의 보호자 단말 및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의 상기 초대를 더 요청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내부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의 검색을 요청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1 서버 및 제2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버 또는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상기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한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 서버 별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에 이용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1 서버가 개설한 제1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2 서버가 개설한 제2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모든 단말이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을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에 로드 밸런싱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망의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의 통신 시 SSL(Secure Socket Layer) 기반의 구간 암호화를 이용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진 단말, 상기 환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한 예약 일시에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인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는 접속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병원 침대 근처에 고정 설치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안내 메시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되는,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온라인 진료실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진료실로 환자 단말을 포함한 지정된 타 단말을 초대하는 단계;
상기 초대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타 단말에 제공하여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은, 상기 환자 단말에 대응하여 배정된 병원의 침대의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병원의 Wifi-망을 통해 내부망에 접속하는 단말 또는 상기 내부망을 우회 접속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을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환자의 보호자 단말 및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초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내부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를 통해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한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 서버 별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온라인 진료 서비스에 이용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서버가 개설한 제1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이 상기 제1 서버에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버가 개설한 제2 온라인 진료실에 접속한 모든 단말이 상기 제2 서버에 전송 및/또는 이용한 데이터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내부망에 포함되어 상기 제1 서버 및 제2 서버에 연결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을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에 로드 밸런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환자 단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 SSL(Secure Socket Layer) 기반의 구간 암호화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의료진 단말, 상기 환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한 예약 일시에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인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는 접속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병원 침대 주위에 설치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안내 메시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되는, 온라인 진료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245A KR20240127173A (ko) | 2023-02-15 | 2023-02-15 |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PCT/KR2024/095220 WO2024172563A1 (ko) | 2023-02-15 | 2024-02-15 |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245A KR20240127173A (ko) | 2023-02-15 | 2023-02-15 |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7173A true KR20240127173A (ko) | 2024-08-22 |
Family
ID=9242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0245A KR20240127173A (ko) | 2023-02-15 | 2023-02-15 |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27173A (ko) |
WO (1) | WO2024172563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1425B1 (ko) | 2010-04-08 | 2012-05-04 | 국립암센터 |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8510A (ko) * | 2012-04-20 | 2013-10-3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용 화상 대화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130139579A (ko) * | 2012-06-13 | 2013-12-23 | 주식회사 지피앤피 |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
US10216902B2 (en) * | 2014-08-31 | 2019-02-26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connections within a healthcare ecosystem |
KR20170086793A (ko) * | 2016-01-19 | 2017-07-27 | 주식회사 엠티비 | ICT IoT 스마트 베드사이드터미널을 통한 스마트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2170892B1 (ko) * | 2018-08-07 | 2020-10-28 | 주식회사 유비케어 |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
-
2023
- 2023-02-15 KR KR1020230020245A patent/KR20240127173A/ko unknown
-
2024
- 2024-02-15 WO PCT/KR2024/095220 patent/WO2024172563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1425B1 (ko) | 2010-04-08 | 2012-05-04 | 국립암센터 |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72563A1 (ko) | 2024-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asneem et al. | Telemedicine video visits for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are: a qualitative study | |
US8850533B2 (en) | Multi-level authentication for medical data access | |
Endsley et al. | An introduction to personal health records | |
US12080424B2 (en) | Softw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and related device, system, and method | |
US2004012816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synchronizing multiple health care databases | |
US10402926B2 (en) | Multidevice collaboration | |
US2022012272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Specialized Delivery of Telemedicine Services | |
US20140136236A1 (en) | Patient and physician gateway to clinical data | |
US20140067419A1 (en) | Medical support device and system | |
JP5684761B2 (ja) | 医療支援装置及び医療支援方法 | |
US20160371443A1 (en) | Team medical suppor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eam medical support device, and team medical support system | |
WO2020166095A1 (ja) | 医療・介護分野における多職種連携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 |
JP2016148999A (ja) | 医療支援システム、その作動方法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医療支援装置 | |
CN110709939A (zh) | 用于操作性个人健康记录的设备、系统和方法 | |
US20140067420A1 (en) | Medical support device and system | |
US20130304487A1 (en) | Cooperative medical system | |
JP5684760B2 (ja) | 医療支援装置及び医療支援方法 | |
US20230401335A1 (en) | Multi-party controlled transient user credentialing for interaction with secure data | |
JP6661045B1 (ja) |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 |
KR20240127173A (ko) | 온라인 진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20230007838A (ko) | 병원 정보 시스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메신저를 이용한 의료 정보 관리 방법 | |
WO2015045971A1 (ja) | クリニカルパス管理サーバ及びクリニカルパス管理システム | |
Lin et al. | Smart Telehealth Appointment System–WI Care | |
JP5891147B2 (ja) | 医療支援装置 | |
KR102514829B1 (ko) | 돌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