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2243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2243A KR20240102243A KR1020220184098A KR20220184098A KR20240102243A KR 20240102243 A KR20240102243 A KR 20240102243A KR 1020220184098 A KR1020220184098 A KR 1020220184098A KR 20220184098 A KR20220184098 A KR 20220184098A KR 20240102243 A KR20240102243 A KR 202401022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duct
- refrigerant
- dishwasher
- tub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3—Drying arrangements by using condens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se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밸브 또는 삼방밸브가 되는 하나의 냉매 유로 전환밸브를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 경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여, 냉매의 배관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식기세척기의 공간활용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방밸브 또는 삼방밸브가 되는 하나의 냉매 유로 전환밸브를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 경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여, 냉매의 배관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식기세척기의 공간활용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을 하는 경우,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 세척수와 공기를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척수와 공기의 가열장치로 전기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 전기히터 대신에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는 전기히터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높으므로, 히트펌프장치로 세척수를 가열하는 경우에 전기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특허등록공보 제3082554호(선행문헌 001)에는, 세척수 가열과 공기 가열을 위한 히트펌프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3개의 열교환기를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 유로를 전환하는 2개의 전환밸브 및 공기의 유동경로를 전환하는 두 개의 전환댐퍼를 구비하는 히트펌프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조는, 3개의 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배관 및 2 개의 전환밸브를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냉매의 배관 연결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다수의 배관 및 2개의 전환밸브가 구비됨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공간활용성이 악화되고 제조비용이 급격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조는, 건조모드 진행 시에 증발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와 응축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및 설치공간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식기세척기의 설치 구조가 복잡해 지고 공간활용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방밸브 또는 삼방밸브가 되는 하나의 냉매 유로 전환밸브를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 경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여, 냉매의 배관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식기세척기의 공간활용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모드 진행 시에 증발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와 응축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덕트를 통해 동시에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식기세척기의 설치 구조를 단순화하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터브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도입되어 상기 터브로 공급될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 열교환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3 열교환기;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를 내부에 수용하고, 공기가 도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열교환기덕트; 상기 터브에 연통되는 제1 입구와, 상기 열교환기덕트에 연통되는 제1 출구를 구비하는 제1 덕트; 상기 열교환기덕트에 연통되는 제2 입구와, 상기 터브에 연통되는 제2 출구를 구비하는 제2 덕트;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개폐하는 제1 댐퍼; 및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와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를 개폐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상기 베이스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면,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도입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에 각각 분배되어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로 각각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3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만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로만 도입되고, 상기 제3 열교환기로 도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열교환기로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내부로 도입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생성되는 공기 유동은, 상기 터브, 상기 제1 덕트, 상기 열교환기덕트 및 상기 제2 덕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 유동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3 열교환기로 도입되고,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열교환기로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로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사방밸브 또는 삼방밸브가 되는 하나의 냉매 유로 전환밸브를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 경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여, 냉매의 배관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식기세척기의 공간활용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건조모드 진행 시에 증발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와 응축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덕트를 통해 동시에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식기세척기의 설치 구조를 단순화하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식시세척기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세척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건조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세척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건조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식시세척기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세척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건조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세척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식기세척기가 건조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9)와, 케이스(9)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와, 터브(2)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와, 터브(2)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와, 터브(2)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와, 수납부(5)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2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에 안착되는 세척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터브(2)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 분사부(2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터브(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외부로부터 저장부(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의 세척수를 분사부(20)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펌프(45)와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와 섬프(4)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2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20)에서 세척대상물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부(43)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워터탱크(미도시), 및 워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연수화하여 섬프(4)의 저장부(41)로 공급하는 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척펌프(45)는 섬프(4)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세척펌프(45)의 일단은 섬프(4)의 저장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45)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세척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2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26)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27) 및 탑노즐(29)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467)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 46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 467)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20)는 수납부(5)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20)는 터브(2)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26)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27)과, 터브(2)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29)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26)과 상부 분사암(27)은 터브(2)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의 세척대상물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26)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27)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26)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는 터브(2)의 내부에서 터브(2)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은 각각 터브(2)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의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을 터브(2)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분사부(2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2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2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는 상술한 터브(2)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3)의 외측면에는 도어(3)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a)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b)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b)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c)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d)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은 도어(3)의 폐쇄시 터브(2)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의 풀-개방시 수납부(5)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의 리어패널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베이스(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는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되고, 터브(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베이스(8)는 섬프(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기타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8)는 외벽을 가지고 식기세척기 전체를 지지하고, 외벽에 의해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2)로 공급될 세척수를 가열하여 고온의 세척수를 터브(2)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에 분사함으로써, 세척대상물의 세척효율과 식기세척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는 터브(2)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10)는 세척수를 가열함으로써, 고온의 세척수에 의해 식기가 세척되도록 하여, 식기세척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척수를 가열하는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전기히터가 사용된다.
전기히터와 히트펌프장치(10)의 에너지효율을 나타내는 척도로 성능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가 있다. 성능계수가 클수록 장치의 에너지효율이 증가한다.
전기히터는 성능계수가 최대 1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기히터 대신 히트펌프장치(10)를 사용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경우에, 히트펌프장치(10)는 저온의 열저장조(thermal reservoir)로부터 고온의 열저장조로 열을 이동시켜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히트펌프장치(10)는 성능계수가 1을 초과할 수 있다.
실제 사용되는 대부분의 히트펌프장치(10)의 성능계수는 1을 초과한다. 따라서, 히트펌프장치(1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식기세척기는,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의 개략적 구성]
이하,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장치(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히트펌프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이하의 도면들에서 냉매 유동경로(Fr)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세척수 유동경로(Fw)는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공기 유동경로(Fa)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히트펌프장치(10)는 압축기(100), 응축기(201), 팽창밸브(300), 증발기(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100), 응축기(201), 팽창밸브(300), 증발기(202)는 배관으로 연결되고, 배관은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냉매 유동경로(Fr)를 제공한다.
냉매는 압축기(100), 응축기(201), 팽창밸브(300), 증발기(202)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면서 액체에서 기체로, 또는 반대로 기체에서 액체로 상(phase) 변화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열을 방출하는 작동유체(working fluid)로 기능할 수 있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 상태의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201)로 도입될 수 있다.
냉매는 응축기(201)를 통과하면서 QH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201)에서 방출된 열은 세척수 또는 터브(2)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201)에는 냉매, 세척수 및 공기가 통과하는 각각의 유동경로가 마련될 수 있다. 냉매는 응축기(201)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기체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될 수 있다.
이 때, 응축기(201)를 통과한 냉매는 기체의 비율이 매우 적은 액체 및 기체의 혼합기체이거나, 또는 과냉된(subcooled) 액체일 수 있다.
응축기(201)를 나온 냉매는 팽창밸브(300)를 통과하면서 팽창할 수 있다. 냉매의 팽창의 결과로 냉매의 온도는 낮아지게 되고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혼합기체가 된다.
팽창밸브(300)를 나온 냉매는 증발기(202)를 통과하면서 터브(2)의 공기로부터 QL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고 이에 따라 냉매에서 기체의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증발기(202)를 나온 상태에서 냉매는 액체의 비율이 매우 적은 혼합기체이거나 또는 과열된(superheated) 기체일 수 있다.
증발기(202)를 나온 냉매는 다시 압축기(100)로 유입되고 압축되어 고온 및 고압의 기체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순서로 냉매는 히트펌프장치(10)를 순환하면서 상변화를 일으키고, 이에 따라 냉매는 증발기(202)에서 열을 흡수하고 응축기(201)에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증발기(202)에서 열전달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증발기(202)를 향해 많은 양의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히트펌프장치(10)는 증발기(202)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6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는 터브(2)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에 가열된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하는 세척모드와, 세척모드가 종료된 후 터브(2)에 수용된 식기에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여 세척대상물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구비되고, 각각의 열교환기는 세척모드 또는 건조모드가 진행되는 경우에,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것도 있고 응축기(201)로 작동하거나 증발기(202)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와 터브의 배관 연결구조]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와 터브(2) 사이의 배관 및 덕트의 연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는 압축기(100), 제1 열교환기(210), 제1 팽창밸브(310), 제2 열교환기(220), 제2 팽창밸브(320), 제3 열교환기(230) 및 사방밸브(400a)(four way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210)는 세척모드 진행 시에 냉매로부터 세척수로 열을 전달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201)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400a)에 의해서 냉매 유동경로(Fr)가 전환되어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제1 열교환기(210)로의 냉매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팽창밸브(310)는 제1 열교환기(2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팽창밸브(310)를 거쳐 제2 열교환기(220)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열교환기(220)는 세척모드 진행 시에 그리고 건조모드 진행 시에 모두 증발기(202)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팽창밸브(320)는 제1 팽창밸브(310)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제1 열교환기(2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가 세척모드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제2 팽창밸브(320)가 개방되고, 식기세척기(1)가 건조모드 진행 시에는 제2 팽창밸브(320)가 폐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 열교환기(230)는 제2 열교환기(220)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제2 팽창밸브(320)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3 열교환기(230)는 세척모드 진행 시에 증발기(202)로 작동하고, 건조모드 진행 시에 응축기(201)로 작동할 수 있다.
사방밸브(400a)는 압축기(100), 제1 열교환기(210), 제2 열교환기(220) 및 제3 열교환기(230)와 각각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냉매 유동경로(Fr)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방밸브(400a)는 세척모드와 건조모드 각각에서 냉매 유동경로(Fr)를 서로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제1 열교환기(210) 내지 제3 열교환기(230)의 사용 또는 불사용, 또는 응축기(201)로 사용될지 증발기(202)로 기능하게 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는, 사방밸브(400a)와 압축기(100)를 연결하는 제1 배관(410), 사방밸브(400a)와 제1 열교환기(210)를 연결하는 제2 배관(420), 사방밸브(400a)와 제2 열교환기(220)를 연결하는 제3 배관(430), 사방밸브(400a)와 제3 열교환기(230)를 연결하는 제4 배관(440), 및 제2 열교환기(220)와 압축기(100)를 연결하는 제5 배관(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배관은 냉매가 유동 및 순환하는 냉매 유동경로(Fr)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3 배관(430)은 제5 배관(450)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배관(430)을 유동하는 냉매는 제5 배관(450)을 거쳐 압축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배관(430)에는 냉매가 제5 배관(450)으로부터 사방밸브(400a)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체크밸브(5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체크밸브는 냉매가 배관의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하게 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크밸브(510)는 냉매가 사방밸브(400a)로부터 압축기(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반대로 냉매가 제2 열교환기(220)로부터 사방밸브(400a)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장치(10)는 제2 열교환기(220) 및 제3 열교환기(2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2 열교환기(220) 및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는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62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620)은 공기가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도록 송풍하여, 많은 양의 공기가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를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의 외부를 유동하는 공기 사이에 열전달량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송풍팬(620)은,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를 수용하는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에 이들과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20)은 제2 열교환기(22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열교환기(220)는 송풍팬(620)과 제3 열교환기(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송풍팬(620)은 제3 열교환기(23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3 열교환기(230)가 송풍팬(620)과 제2 열교환기(2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송풍팬(620)에 의해 강제유동되는 공기의 기류는 제2 열교환기(220)를 거친 후에 제3 열교환기(230)를 지날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장치(10)는 바이패스배관(470)과 제2 체크밸브(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배관(470)의 양단부는 제2 팽창밸브(32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팽창밸브(320)가 폐쇄되면 냉매는 바이패스배관(470)을 통해 제2 팽창밸브(320)를 우회하여 유동할 수 있다.
제2 체크밸브(520)는 바이패스배관(470)에 배치되고, 냉매가 바이패스배관(470)을 통해 제2 팽창밸브(320)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세척모드 진행 시에는 제2 팽창밸브(320)가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바이패스배관(470)을 통해 제2 팽창밸브(320)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유동하려는 냉매는 제2 체크밸브(520)에 의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드 진행 시에는 제2 팽창밸브(320)가 폐쇄될 수 있다. 이 때, 냉매는 바이패스배관(470)을 통해 제2 팽창밸브(320)의 출구 측으로부터 입구 측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2 팽창밸브(320)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냉매 유동은 제2 체크밸브(52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히트펌프장치(10)는 제6 배관(460)과 제3 체크밸브(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배관(460)은 일단이 제1 열교환기(210)와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 제1 팽창밸브(310), 제2 팽창밸브(320) 및 바이패스배관(47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체크밸브(530)는 제6 배관(46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가 제1 팽창밸브(310), 제2 팽창밸브(320) 및 바이패스배관(4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열교환기(210)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건조모드 진행 시에는 제1 열교환기(210)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교환기(210)에 냉매가 유동하지 않도록, 제1 열교환기(210)의 출구와 연결되는 제6 배관(460)에 제3 체크밸브(53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교환기(210)의 출구를 통해 제1 열교환기(210)의 내부로 역류하려는 냉매 유동은 제3 체크밸브(530)에 의해 차단된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는 터브(2)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와, 터브(2)의 내부에 배치되며 섬프(4)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210)와 섬프(4)는 세척수가 순환하도록 세척수 유동경로(Fw)를 제공하는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기세척기(1)는 제1 급수유로(31)와 세척펌프(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유로(31)는 전술한 공급유로(46)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급수유로(31)는 제1 열교환기(210)와 분사부(20)를 연결하고,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세척펌프(45)는, 섬프(4)와 제1 열교환기(210)을 연결하는 순환유로(50)에 배치되거나, 제1 급수유로(3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이하에는 세척펌프(45)가 순환유로(50)에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순환유로(50)는 제1 열교환기(210)와 연결되고 세척수는 순환유로(50)를 통해 제1 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제1 열교환기(210)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냉매는 응축기(201)로 작동하는 제1 열교환기(210)에서 세척수에 열을 빼앗겨 응축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210)로부터 배출되는 가열된 세척수는 제1 급수유로(31)를 통해 분사부(20)으로 유입되어 분사부(20)를 통해 터브(2)에 분사될 수 있다.
세척수는 터브(2)로부터 아래로 낙하하여 섬프(4)로 재유입될 수 있다. 섬프(4)는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는 중력에 의해 터브(2)의 아래로 낙하하여 섬프(4)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히트펌프장치(10)는 건조모드 진행 시에 터브(2)에 공급될 공기와, 터브(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대한 공기 유동경로(Fa)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부(600)는, 터브(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덕트(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610)는 일단부에 제1 입구(6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출구(61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를 기준으로 제1 입구(611)와 제1 출구(612) 사이에 공기의 배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610)의 제1 입구(611)는 터브(2)에 연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면서 증발된 수증기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입구(611)는 터브(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로서 상면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는 열교환기덕트(650)에 연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는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 측으로서 유입구(651)와 분리된 위치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 진행 시에 터브(2)로부터 배출되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제1 덕트(610)의 제1 입구(611)로 도입될 수 있으며, 제1 덕트(6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경로(Fa)를 따라 이동되어,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를 통과한 후에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척모드 진행 시에는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는 댐퍼(630)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고, 제1 덕트(610)의 공기 유동경로(Fa)는 폐쇄될 수 있다.
한편 공기유동부(600)는, 내부에 제2 열교환기(220), 제3 열교환기(230) 및 송풍팬(620)이 수용되는 열교환기덕트(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열교환기(220) 및 제3 열교환기(230)의 열교환성능 및 열교환효율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제2 열교환기(220), 제3 열교환기(230) 및 송풍팬(620)은 전체적으로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가 열교환기덕트(650)에 동시에 수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에 대한 설치 및 고정 구조가 일원화 및 단순화될 수 있게 된다. 제2 열교환기(220)를 위한 덕트 구조 및 제3 열교환기(230)를 위한 덕트 구조가 공용화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유동경로(Fa)를 구성하기 위한 덕트 구조도 단순화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에는 공기 유동경로(Fa)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에는 제1 덕트(6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도입되고 배출되거나, 베이스(8)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배출되는 공기 유동경로(Fa)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의 공기 유동경로(Fa)는, 건조모드 진행 시에는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로부터 공기가 유입된 후 제2 덕트(640)로 배출되는 폐순환 경로가 형성되고, 세척모드 진행 시에는 베이스(8)로부터 공기가 유입구(651)를 통해 도입된 후 배출구(652)를 통해 다시 베이스(8)를 향해 배기되는 개방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열교환효율 및 열교환성능의 확보를 위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와 배출구(652)는 제2 열교환기(220) 및 제3 열교환기(23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경로(Fa)는 건조모드 진행 및 세척모드 진행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덕트(650)의 공기 유동경로(Fa)의 전환을 위한 수단으로서, 공기유동부(600)는 댐퍼(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댐퍼(630)는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와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댐퍼(631)와, 열교환기덕트(650)의 배출구(652)와 제2 덕트(640)의 제2 입구(6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댐퍼(6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 개폐라는 것은 두 개의 개폐 대상 중에서 어느 하나는 개방되고 어느 하나는 폐쇄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댐퍼(631)가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와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는 것은,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가 개방되면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가 폐쇄된다는 것,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가 폐쇄되면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가 개방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제2 댐퍼(63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댐퍼(631)와 제2 댐퍼(632)는 일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세척모드 진행 시에 개방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댐퍼(631)가 제1 덕트(610)의 출구를 폐쇄하고 제2 댐퍼(632)가 제2 덕트(640)의 제2 입구(641)를 폐쇄하도록 일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드 진행 시에 폐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댐퍼(631)가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를 폐쇄하고, 제2 댐퍼(632)가 열교환기덕트(650)의 배출구(652)를 폐쇄하도록 일괄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적 개폐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퍼(631)와 제2 댐퍼(632)는 예시적으로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랩형 댐퍼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선택적 개폐를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댐퍼(631) 및 제2 댐퍼(632)가 플랩형 댐퍼로서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공기유동부(600)는 열교환기덕트(650)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터브(2)를 향해 안내하는 도입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덕트(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640)는 일단부에 제2 입구(64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출구(64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를 기준으로 제2 입구(641)와 제2 출구(642) 사이에 공기의 도입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덕트(640)의 제2 입구(641)는 열교환기덕트(650)에 연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2 덕트(640)의 제2 입구(641)는 열교환기덕트(650)의 배출구(652) 측으로서 배출구(652)와 분리된 위치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제2 댐퍼(632)에 의해서 열교환기덕트(650)의 배출구(652)가 폐쇄되면, 열교환기덕트(65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2 덕트(640)의 제2 입구(641)로 도입될 수 있으며, 제2 덕트(6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경로(Fa)를 따라 이동되어, 제2 덕트(640)의 제2 출구(642)를 통과한 후에 터브(2)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척모드 진행 시에는 제2 덕트(640)의 제2 입구(641)는 제2 댐퍼(632)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고, 제2 덕트(640)의 공기 유동경로(Fa)는 폐쇄될 수 있다.
제2 덕트(640)의 제2 출구(642)는 터브(2)에 연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척대상물에 공기가 효과적으로 분사되고 세척대상물에 대한 건조효율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2 출구(642)는 터브(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덕트(640)의 제2 출구(642)의 위치는 제1 덕트(610)의 제1 입구(611)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된 위치로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세척모드 진행 시 냉매, 공기 유동경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세척모드 진행 시에 세척수를 가열하는 경우에 히트펌프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가 세척모드를 진행하는 경우에, 사방밸브(400a)는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을 연결하고 또한 제3 배관(430)과 제4 배관(440)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배관(410)은 제3 배관(430) 또는 제4 배관(440)과 연결되지 않고, 제2 배관(420)도 제3 배관(430) 또는 제4 배관(440)과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은 제3 배관(430)과 제4 배관(440)으로부터 분리되고, 마찬가지로 제3 배관(430)과 제4 배관(440)은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을 통과하여 제1 열교환기(210)로 유입되고, 제2 열교환기(22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5 배관(450)을 통과하여 압축기(100)로 유입되고, 제3 열교환기(23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4 배관(440), 제3 배관(430) 및 제5 배관(4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 유동경로(Fr)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열교환기(210)로 유입되는 냉매는 고온/고압 상태이므로 제1 열교환기(210)를 유동하는 세척수에 열을 빼앗겨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교환기(210)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응축기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21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팽창밸브(310)와 제2 팽창밸브(320)로 분배되면서 유동할 수 있고, 제1 팽창밸브(310)와 제2 팽창밸브(320)를 통과하면서 팽창하여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세척모드 진행 시에 제2 팽창밸브(320)는 개방되어 냉매가 유동하고, 바이패스배관(470)은 제2 체크밸브(520)에 의해 냉매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팽창밸브(31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2 열교환기(220) 및 제5 배관(4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압축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열교환기(220)로 도입된 냉매는 제2 열교환기(220)를 통과하면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증발하게 되는 증발기로서 작용하게 된다.
제3 배관(430)에는 제1 체크밸브(510)가 있으므로 냉매는 제1 체크밸브(510)에 의해 제3 배관(430)을 통해 사방밸브(400a)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2 팽창밸브(32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3 열교환기(230), 제4 배관(440), 사방밸브(400a), 제3 배관(430) 및 제5 배관(4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압축기(1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열교환기(220)와 마찬가지로 제3 열교환기(230)로 도입된 냉매는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면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증발하게 되는 증발기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세척모드 진행 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댐퍼(631)는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댐퍼(632)는 제2 입구(641)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덕트(610) 및 제2 덕트(640)의 내부의 공기 유동경로(Fa)는 폐쇄되고, 터브(2)에 대한 공기의 유출입은 차단될 수 있다.
이 때,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와 배출구(652)는 각각 베이스(8)를 향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의 공기 유동경로(Fa)는 베이스(8)와 연통되는 개방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620)이 작동되면,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를 통해서 베이스(8)로부터 공기가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는 먼저 제2 열교환기(2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진행되고, 제2 열교환기(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따라서 제2 열교환기(220)와 제3 열교환기(230)에 대해서 각각 열교환이 진행되어 냉각된 공기는 열교환기덕트(650)의 배출구(652)로부터 배기되고, 베이스(8)를 향해 배기될 수 있다.
[제1 실시예-건조모드 진행 시 냉매, 공기 유동경로]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식기세척기(1)가 건조모드 진행 시에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공기를 가열하는 경우에 히트펌프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모드 종료 후에 터브(2)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을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
건조모드 진행 시에 히트펌프장치(10)에서 세척수의 유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 진행 시에는 터브(2)에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고 대신 공기유동부(600)에 의해 터브(2)에 가열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가 건조모드를 진행하는 경우에, 사방밸브(400a)는 제1 배관(410)과 제4 배관(440)을 연결하고, 제2 배관(420)과 제3 배관(430)은 제1 배관(410)과 제4 배관(4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배관(410)은 제2 배관(420) 또는 제3 배관(430)과 연결되지 않고, 제4 배관(440)도 제2 배관(420) 또는 제3 배관(430)과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 제2 배관(420)과 제3 배관(43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1 배관(410)과 제4 배관(440)을 통과하여 제3 열교환기(230)로 유입되고, 제2 열교환기(22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5 배관(450)을 통과하여 압축기(100)로 유입되고, 제1 열교환기(210)는 제1 체크밸브(510)와 제3 체크밸브(530)에 의해 냉매의 유입이 차단되는 냉매 유동경로(Fr)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압축기(10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1 배관(410), 사방밸브(400a) 및 제4 배관(4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3 열교환기(230)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는 고온의 냉매는 공기에 열을 빼앗겨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제3 열교환기(230)는 응축기(201)로 작동할 수 있다.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제2 팽창밸브(320)는 폐쇄될 수 있다.
냉매는 폐쇄된 제2 팽창밸브(320)를 우회하여 바이패스배관(470), 제2 체크밸브(520) 및 제6 배관(460)을 통과하여 제1 팽창밸브(3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6 배관(460)은 제1 열교환기(210)와 연결되지만, 제6 배관(460)에 제3 체크밸브(530)가 배치되므로, 제3 체크밸브(530)에 의해 냉매가 제1 열교환기(2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냉매는 제1 팽창밸브(310)를 통과하면서 팽창하여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저온의 냉매는 제2 열교환기(220)로 유입되고, 제2 열교환기(220)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에서 제2 열교환기(220)는 증발기(202)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22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5 배관(450)을 통과하여 압축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5 배관(450)은 제3 배관(430)과 연결되고, 제3 배관(430)은 사방밸브(400a)와 연결된다. 그러나, 제3 배관(430)에는 제1 체크밸브(510)가 배치되므로, 냉매가 사방밸브(400a)를 거쳐 제1 열교환기(210)로 유입되는 것은 제1 체크밸브(51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에서, 제1 열교환기(210)는 제1 체크밸브(510)와 제3 체크밸브(530)에 의해 유동이 차단되고, 세척수도 유동하지 않으므로, 증발기(202), 또는 기타의 열교환기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댐퍼(631)는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댐퍼(632)는 열교환기덕트(650)의 배출구(652)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덕트(610) 및 제2 덕트(640)의 내부의 공기 유동경로(Fa)는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의 공기 유동경로(Fa)로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 유동경로(Fa)는 폐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620)이 작동되면, 터브(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1 덕트(610)의 제1 입구(611)로 도입된다.
제1 덕트(610)의 제1 덕트(610)로 도입된 공기는 제1 덕트(610)에 의해 유동 방향이 안내되고,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를 통과하여 열교환기덕트(650)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때, 제1 댐퍼(631)에 의해서 열교환기덕트(650)의 유입구(651)는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모두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덕트(650)로 도입된 공기는 먼저 제2 열교환기(2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제2 열교환기(220)는 증발기로 작용하기 때문에 공기는 제2 열교환기(220)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고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열교환기덕트(650)의 내부에는 제2 열교환기(220)에 의해서 응축된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제3 열교환기(230)는 응축기로 작용하기 때문에 공기는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제3 열교환기(23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는 제2 덕트(640)의 제2 입구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덕트(640)에 의해서 유동 방향이 안내되고, 제2 덕트(640)의 제2 출구(642)를 통과하여 터브(2)로 도입될 수 있다.
터브(2)로 도입된 공기는 세척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진행하게 되고, 다시 제1 덕트(610)의 제1 출구(6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후 공기의 폐순환 경우에서의 공기의 순환과정은 건조모드 진행 동안에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반복 진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구성]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와 터브(2) 사이의 배관 및 덕트의 연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는, 세척수 유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세척수 배관의 연결 구조 및 와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덕트의 연결 구조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 순환을 위한 제1 열교환기(210)와 섬프(4) 사이의 배관연결 구조와, 섬프(4)와 분사부(20) 사이의 배관 연결구조는 제1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동경로(Fa)의 형성 및 공기 유동경로(Fa)의 전환을 위한 열교환기덕트(650)와 터브(2) 사이의 덕트 연결구조 및 댐퍼(630)의 전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는 냉매 유동경로의 형성을 위한 냉매 배관의 연결구조는 제1 실시예와 달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는, 제1 열교환기(210), 제1 팽창밸브(310), 제2 열교환기(220), 제2 팽창밸브(320), 제3 열교환기(230) 및 삼방밸브(400b)(three way valv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열교환기(210)는 세척모드 진행 시에 냉매로부터 세척수로 열을 전달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201)로 작동할 수 있고, 냉매 유동경로(Fr)가 전환되어 건조모드 진행 시에 제1 열교환기(210)로의 냉매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팽창밸브(310)는 제1 열교환기(2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팽창밸브(310)를 거쳐 제2 열교환기(220)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고, 제1 실시예에와 마찬가지로 제2 열교환기(220)는 세척모드 진행 시에 그리고 건조모드 진행 시에 모두 증발기(202)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팽창밸브(320)는 제1 팽창밸브(310)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제1 열교환기(2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다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식기세척기(1)가 세척모드 진행 시 및 건조모드 진행 시에 모두 제2 팽창밸브(320)가 개방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열교환기(230)는 제2 열교환기(220)와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3 열교환기(230)는 세척모드 진행 시에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아 미사용 상태가 되고, 건조모드 진행 시에 응축기(201)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는 냉매 유동경로(Fr)를 변경하는 수단으로서 삼방밸브(40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방밸브(400b)는 압축기(100)와 제1 배관(410)을 통해 연결되고, 제1 열교환기(210)와 제2 배관(420)을 통해 연결되며, 제3 열교환기(230)와 제4 배관(4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삼방밸브(400b)와 제2 열교환기(220)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배관(430)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모드 진행 시에 삼방밸브(400b)는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을 연결하여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제1 열교환기(210)로 안내하도록 하고, 제4 배관(440)은 연결되지 않도록 냉매 유동경로(Fr)를 전환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210)를 통과한 냉매는 제6 배관(460), 제3 체크밸브(530) 및 제1 팽창밸브(310)를 거쳐 제2 열교환기(2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열교환기(210)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응축기로서 기능할 수 있고, 제2 열교환기(220)는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2 체크밸브(520)에 의해서 제3 열교환기(230)로의 냉매의 유입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진행 시에 삼방밸브(400b)는 제1 배관(410)과 제4 배관(440)을 연결하여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제3 열교환기(230)로 안내하도록 하고, 제2 배관(420)은 연결되지 않도록 냉매 유동경로(Fr)를 전환할 수 있다.
제3 열교환기(230)를 통과한 냉매는 제6 배관(460), 제2 팽창밸브(320), 제2 체크밸브(520) 및 제1 팽창밸브(310)를 거쳐 제2 열교환기(2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열교환기(230)는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로서 기능할 수 있고, 제2 열교환기(220)는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3 체크밸브(530)에 의해서 제1 열교환기(210)로의 냉매의 유입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팽창밸브(320)를 우회하여 냉매를 유동시키는 바이패스배관(470)이 생략될 수 있다.
이 때, 제2 체크밸브(520)는 제6 배관(46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모드 진행 시에 제2 체크밸브(520)에 의해서 제1 열교환기(210)를 통과한 냉매가 제6 배관을 통해 제3 열교환기(23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고, 제3 열교환기(230)는 미사용 또는 불사용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는 제3 배관(430)과 바이패스배관(470)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배관 구조가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터브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도입되어 상기 터브로 공급될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 열교환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3 열교환기;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를 내부에 수용하고, 공기가 도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열교환기덕트;
상기 터브에 연통되는 제1 입구와, 상기 열교환기덕트에 연통되는 제1 출구를 구비하는 제1 덕트;
상기 열교환기덕트에 연통되는 제2 입구와, 상기 터브에 연통되는 제2 출구를 구비하는 제2 덕트;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개폐하는 제1 댐퍼; 및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와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를 개폐하는 제2 댐퍼;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식기세척기.
- 제2 항에서,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상기 베이스를 향해 개방되는 식기세척기.
- 제2 항에서,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면,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도입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식기세척기.
- 제2 항에서,
상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에 각각 분배되어 도입되는 식기세척기.
- 제5 항에서,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로 각각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되는 식기세척기.
- 제2 항에서,
상기 세척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3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만 도입되는 식기세척기.
- 제7 항에서,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로만 도입되고, 상기 제3 열교환기로 도입되지 않는 식기세척기.
- 제8 항에서,
상기 제2 열교환기로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배출구를 폐쇄하는 식기세척기.
- 제10 항에서,
상기 제1 덕트의 제1 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내부로 도입되고,
상기 열교환기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 덕트의 제2 입구로 도입되는 식기세척기.
- 제10 항에서,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상기 열교환기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생성되는 공기 유동은, 상기 터브, 상기 제1 덕트, 상기 열교환기덕트 및 상기 제2 덕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 유동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식기세척기.
- 제10 항에서,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3 열교환기로 도입되고,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식기세척기.
- 제13 항에서,
상기 제3 열교환기로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로 도입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되는 식기세척기.
- 제10 항에서,
상기 건조모드 진행 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 식기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098A KR20240102243A (ko) | 2022-12-26 | 2022-12-26 | 식기세척기 |
PCT/KR2023/020953 WO2024144054A1 (ko) | 2022-12-26 | 2023-12-19 | 식기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098A KR20240102243A (ko) | 2022-12-26 | 2022-12-26 | 식기세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2243A true KR20240102243A (ko) | 2024-07-03 |
Family
ID=9171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4098A KR20240102243A (ko) | 2022-12-26 | 2022-12-26 | 식기세척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2243A (ko) |
WO (1) | WO2024144054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4340B1 (ko) * | 2014-03-17 | 2020-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
KR101750911B1 (ko) * | 2016-11-30 | 2017-06-26 | (주)에네스이엔지 | 다단 증발식 히트펌프 건조장치 |
KR102601188B1 (ko) * | 2018-08-10 | 2023-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
KR102595022B1 (ko) * | 2018-11-27 | 2023-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KR102603450B1 (ko) * | 2018-11-28 | 2023-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
2022
- 2022-12-26 KR KR1020220184098A patent/KR20240102243A/ko unknown
-
2023
- 2023-12-19 WO PCT/KR2023/020953 patent/WO2024144054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44054A1 (ko) | 2024-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95022B1 (ko) | 식기세척기 | |
EP3129541B1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KR100770071B1 (ko) | 식기 세척기 | |
EP2057314B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
CN111110155B (zh) | 一种热泵式洗碗机及其控制方法 | |
AU2007277518A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
EP2935684B1 (en) | Washer-dryer machine | |
JP4670595B2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20240102243A (ko) | 식기세척기 | |
CN217659729U (zh) | 洗涤设备 | |
KR20240102244A (ko) | 식기세척기 | |
US11122959B2 (en) |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n air-drying dehumidification assembly | |
EP3731718A2 (en) | A heat pump dishwasher | |
KR20240102242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001341A (ko) | 열펌프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
KR20240001344A (ko) | 열펌프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
KR20240103091A (ko)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EP3731720B1 (en) | A heat pump dishwasher | |
KR20230174405A (ko) | 열펌프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
CN116919297A (zh) | 洗涤设备及其控制方法 | |
KR2023014043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40115800A (ko) | 의류처리장치 | |
WO2023186287A1 (en) | Articles treatment appliance for treating article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rticles treatment applia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