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97451A - Dish washer - Google Patents

Dish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7451A
KR20240097451A KR1020220179507A KR20220179507A KR20240097451A KR 20240097451 A KR20240097451 A KR 20240097451A KR 1020220179507 A KR1020220179507 A KR 1020220179507A KR 20220179507 A KR20220179507 A KR 20220179507A KR 20240097451 A KR20240097451 A KR 2024009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roller
output signal
dishwasher
pum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혁
이성훈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7451A/en
Priority to PCT/KR2023/020856 priority patent/WO2024136363A1/en
Publication of KR2024009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74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9Metering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55Metering or indication of used products, e.g. type or quantity of detergent, rinse aid or salt; for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oduct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3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using only one roller as the squeezing element, the roller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튜브를 통해 펌프모터의 정회전 구동시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고 펌프모터의 역회전 구동시 공기를 세제컨테이너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to the tub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forward rotation through a single tube, and to supply air 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improving assembly,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This is about dishwashers that can save money.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Dishwasher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단일 튜브를 통해 펌프모터의 정회전 구동시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고 펌프모터의 역회전 구동시 공기를 세제컨테이너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to the tub through a single tube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forward rotation, and to supply air 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 relates to a dishwasher that improves assembly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s.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A dishwasher is a device that sprays washing water such as water to wash dishes and cooking utensils stored inside.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may contain detergent.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 dishwasher includes a tub that forms a washing space, a storage portion that accommodates cleaning objects inside the tub, a spray arm that sprays washing water into the storage portion, and a sump that stores water and supplies wash water to the spray arm. It is common to be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By using such a dishwasher,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wash dishes such as dishes after a meal can be reduced, contributing to user convenience.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세제는 세제공급장치를 통해서 터브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로 공급된 세제는 물과 혼합되어 세척수가 생성될 수 있다.Detergent used for washing can be supplied into the inside of the tub through a detergent supply device. The detergent supplied into the tub may be mixed with water to generate washing water.

일반적으로 세제공급장치는 세제를 저장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의 내부로 펌핑하는 세제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a detergent supply device may include a container that stores detergent, and a detergent pump that pumps the detergent stored in the container into the inside of the tub.

이와 관련하여 유럽등록특허공보 제3286369호(선행문헌 001)에는, 튜브펌프 방식의 세제펌프를 통해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3286369 (prior document 001)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care machine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through a tube pump-type detergent pump.

선행문헌 001의 세제펌프는, 제1 컨테이너에 저장된 제1 세제를 제1 튜브를 이용하여 공급하고, 제2 컨테이너에 저장된 제2 세제를 제2 튜브를 이용하여 공급하되, 복수의 롤러가 제1 튜브와 제2 튜브를 동시에 가압하면서 공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etergent pump of prior art document 001 supplies the first detergent stored in a first container using a first tube, and supplies the second detergent stored in a second container using a second tube, and a plurality of rollers It is configured to rotate while simultaneously pressurizing the tube and the second tube.

선행문헌 001의 세제펌프는, 제1 튜브를 통해서 제1 세제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2 컨테이너에 제2 튜브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제2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회복하고, 제2 튜브를 통해서 제2 세제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 세제용기에 제1 튜브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제1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회복하도록 구조를 갖는다.The detergent pump of prior art document 001, when supplying the first detergent through the first tube, supplies air to the second container through the second tube to restore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and supplies air to the second container through the second tube. 2 When supplying detergent,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first tube to restore the pressure inside the first container.

다만,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조는, 복수의 튜브가 세제공급장치에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세제공급장치의 조립성이 악화되고, 구조가 다소 복잡해지며, 제조비용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tructur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001 has the problem that the assembly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deteriorates in that a plurality of tubes must be provided in each detergent supply device, the structure becomes somewhat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significantly increases. .

또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조는, 롤러와 제1 튜브 사이 또는 롤러와 제2 튜브 사이에 슬립 또는 마모에 의해서 실제 공급되는 세제량과 공기량 사이에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 높기 때문에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 내부압력이 효과적으로 회복되지 못해, 펌프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점차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001 is highly likely to cause a deviation between the amount of detergent and the amount of air actually supplied due to slip or wear between the roller and the first tube or between the roller and the second tube, so that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pressure cannot be recovered effectively,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pump motor will gradually increase.

유럽등록특허공보 제3286369호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328636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 튜브를 통해 펌프모터의 정회전 구동시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고 펌프모터의 역회전 구동시 공기를 세제컨테이너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s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to the tub through a single tube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forward rotation, and to supply air 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The first purpose is to provide a dishwasher with a simplified structure, improved assembly, and reduced manufacturing costs.

또한, 본 발명은 실제 공급되는 세제의 공급량에 대응하여 공기가 세제컨테이너로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세제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이 효과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purpose of providing a dishwasher configured to allow air to be supplied back to the detergent container in response to the actual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effectively restored. do.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및 상기 세척공간으로 제공될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하는 세제펌프를 구비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구와, 상기 통기구을 차단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가변하는 멤브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안내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가압하여, 회전축선 주위로 공전하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공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펌프모터; 상기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롤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롤러센서; 및 상기 롤러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가 정방향으로 공전하도록 상기 펌프모터를 정방향 구동시키고, 설정된 공전횟수만큼 상기 롤러를 정방향으로 공전시켜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펌프모터를 역방향 구동시키고 상기 설정된 공전횟수만큼 상기 롤러를 역방향으로 공전시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in which a washing space is formed;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ing a container having a detergent storage space in which detergent to be provided to the washing space is accommodated, and a detergent pump supplying the detergent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washing space, wherein the container includes the detergent. It has a vent that communicates the storage space with the outside, and a membrane that blocks the vent and varies in respons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and the detergent pump is a tube that guides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to the washing space. ; a roller that pressurizes the tube and moves the detergent within the tube while revolving around a rotation axis; A pump mo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rolle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roller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roller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ller sensor and driving the pump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roll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otates the roller in the forward direction for a set number of revolutions. supplying a preset amount of detergent; And when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completed, driving the pump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rotating the roller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t number of revolutions to resto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또한,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펌프모터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출력신호가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의 변화,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한 이후에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초 변화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와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upplying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ncludes: receiving an output signal including either a first output signal or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output signal initially changes from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r changes from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first output signal;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ccurs, determining the first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After determining the first change state,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first change state occurs;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initial change state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initial change has occurred, the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is increased by one and updated, and the updated forward signal is updated. Storing the number of signal changes; And it may include comparing the updated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with a preset number.

또한,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롤러가 정방향으로 공전되도록 상기 펌프모터를 정방향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upplying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riving the pump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roll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before the step of receiving the output signal.

또한,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upplying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has been comple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has reached the preset number. there i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이 결정되면,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has been completed,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perform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motor.

또한, 상기 제1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utput signal include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that the roller i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roller is located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It may include a signal containing .

또한, 상기 최초 변화 상태는,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1 변화 상태,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2 변화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hange state is either a first change state that changes from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r a second change state that changes from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first output signal. It can be.

또한, 상기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는, 상기 롤러의 정방향 공전횟수가 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는, 100회가 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may be the number of forward revolutions of the roller, and the preset number may be 100.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추가로 재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perform the step of additionally re-receiv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after determining the initial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또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는, 상기 펌프모터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출력신호가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와 반대되는 출력신호의 변화 상태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와 반대되는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초 변화와 반대되는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ove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includes: receiving an output signal including either a first output signal or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output signal,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an initial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is detect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the initial change state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the initial change has occurred, the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is increased by one and updated. storing the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and comparing the updated reverse signal change count with the preset count.

또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롤러가 역방향으로 공전되도록 상기 펌프모터를 역방향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ove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riving the pump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roller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before receiving the output signal.

또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이 회복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ove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has been recove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has reached the preset number. It can be includ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이 회복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has been recovered,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perform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motor.

또한, 상기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는, 상기 롤러의 역방향 공전횟수가 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may be the number of reverse rotations of the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단일 튜브를 통해 펌프모터의 정회전 구동시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고 펌프모터의 역회전 구동시 공기를 세제컨테이너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to the tub through a single tube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forward rotation, and to supply air 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mproving ease of assembly.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실제 공급되는 세제의 공급량에 대응하여 공기가 세제컨테이너로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세제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이 효과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ir can be supplied back to the detergent container in response to the actual supply amount of detergent,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effectively restor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a는 도어의 리어패널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후방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세제공급장치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와 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세제펌프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후방 분해사시도 및 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하우징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1b 및 11c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하우징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하우징을 12-12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6에 도시된 하우징을 13-13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세제펌프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 중 캐리어와 복수의 롤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1 롤러를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캐리어와 복수의 롤러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롤러의 횡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 롤러가 롤러센서의 감지범위 내에 속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제1 롤러가 공전하여 롤러센서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도 21은 도 6에 도시된 세제컨테이너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세제컨테이너를 3-3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세제펌프를 통한 세제공급이 진행되어 세제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이 낮아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2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세제펌프를 통한 공기 유입이 진행되어 세제컨테이너 내부 압력이 회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도 25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shown in Figure 1.
Figure 3a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erg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rear panel of a door, and Figures 3b and 3c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ure 3a.
Figures 4 and 5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a closed state with the door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4, 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Figure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pump shown in Figure 6.
Figures 9 and 10 are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Figure 8.
FIG. 1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S. 6 and 7, and FIGS. 11B and 11C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the housing shown in FIGS. 6 and 7.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 11A taken along line 12-12.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 16 taken along line 13-13.
Figure 14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ase removed from the detergent pump shown in Figure 8.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rier and a plurality of rollers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4.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roller shown in FIG. 15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S. 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rollers when the carrier shown in FIG. 12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ollers.
Figure 1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ller i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FIG. 2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ller rotates from the state in FIG. 19 and is out of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FIG. 21 is a rear view of the detergent container shown in FIG. 6.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ergent container shown in FIG. 21 taken along line 3-3.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lowered as detergent is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pump from the state shown in Figure 22.
Figure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inside the detergent container is recovered as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detergent pump from the state shown in 23.
Figure 2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6 to 28 are flow charts for explaining control step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ure 25.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or the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Additionally,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there is one, it means that it is C or higher and D or lower.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Overall structure of the dishwas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forming the outer shape, and a washing machine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d washing objects. A tub 20 that forms a space 21 and has an open front, a door 3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 front of the tub 20, and washing water for washing object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tub 20. A driving unit 40 that supplies, collects, circulates, and drains water, a storage unit 50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internal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and where a cleaning object is placed, and a storage unit 50. It is installed adjacent to and is provided with a spray unit 60 that sprays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cleaning object.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object to be washed seated in the storage unit 50 may be, for example, dishes such as bowls, plates, spoons, and chopsticks, and other cooking utensils.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objects to be washed will be referred to as dishes.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tub 2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entirely open front,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known as a so-called washing tank.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A washing space 21 is formed inside the tub 20, and the open fron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30.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tub 20 may be formed through press processing of a metal plate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and moisture, for example, a stainless steel plate.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a plurality of brackets are dispos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and installing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portion 50 and the spray portion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in the tub 20. It can be.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40 includes a sump 41 that stores washing water, a sump cover 42 that separates the sump 41 from the tub 20, and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shing water to the sump 41 from the outside. (43), a drain unit 44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f the sump 41 to the outside, a water pump 45 and a supply passage 46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sump 41 to the spray unit 6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mp cover 4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mp 41 and may serve to distinguish the tub 20 and the sump 41. Additionally, the sump cover 4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overy holes for recover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into the washing space 21 through the spray unit 60 to the sump 41.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That is,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unit 60 towards the dishes falls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21 and can be recovered back to the sump 41 through the sump cover 42.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water pump 45 is provid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sump 41 and serves to pressurize the washing water and supply it to the spray unit 60.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One end of the water pump 45 may be connected to the sump 4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46. The water pump 45 may be equipped with an impeller 451 and a motor 453.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453, the impeller 451 rotates, and the washing water in the sump 41 is pressurized and can be supplied to the spray unit 60 through the supply passage 46.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ly passage 46 may serve to selectively supply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mp 45 to the spray unit 60.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Exemplarily, the supply passage 46 includes a first supply passage 461 connected to the lower injection arm 61, a second supply passage 463 connected to the upper injection arm 62, and the top nozzle 63. This can be done, and the supply passage 46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passage switching valve 465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upply passages 461 and 463.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ly passage switching valve 465 may be controlled to open each of the supply passages 461 and 463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Meanwhile, the spray unit 60 is provided to spray washing water on dish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etc.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pray unit 6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ub 20 and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spray arm 61 that sprays washing water to the lower rack 51, and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2. An upper spray arm (62)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tub (20) and sprays wash water to the lower rack (51) and upper rack (52), and sprays wash water to the top rack (53) or upper rack (52). It may include a top nozzle 63.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lower spray arm 61 and the upper spray arm 62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and can spray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toward the dishes in the storage unit 50.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The lower spray arm 61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mp cover 42 so that it can spray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toward the lower rack 51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rack 51.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pray arm 62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pray arm holder 467 so that it can spray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between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2.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means for divert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lower spray arm 61 to the upward direction (U-direction) in order to increase washing efficiency.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ashing space 21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50 for storing dishes.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storage unit 50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tub 20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tub 20 .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or example, in FIG. 2, a lower rack 51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tub 20 and can accommodate relatively large dishes, and an upper rack 5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rack 51 and can accommodate medium-sized dishes. An embodiment is shown in which a storage unit including a rack 52 and a top rack 53 located at the top of the tub 20 and capable of storing small dishes, etc. i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mbodiment of a dishwasher provided with three storage units 50 as shown.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se lower racks 51, upper racks 53, and top racks 53 may each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tub 20 and be drawn out.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guide rail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both walls form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20. For example, the guide rails may include an upper rail, a lower rail, and a top rail.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Wheels may be provided below the lower rack 51, upper rack 53, and top rack 53, respectively. The user can store dishes in the lower rack 51, upper rack 53, and top rack 53 by pulling them out through the front of the tub 20, or easily remove washed dishes from them. You can take it out.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rail 54 is a fixed guide rail in the form of a simple rail for guiding the withdrawal and insertion of the injection unit 60, or guides the withdrawal and storage of the injection unit 60, and the withdrawal distance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injection unit 60. It can be provided as a telescopic guide rail that increases.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Meanwhile, the door 30 has the purpo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tub 20 described above.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될 수 있다.A hinge part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3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is normally open front, and the door 30 can be opened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part as a rotation axis.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Here, a handle for opening the door 30 and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dishwasher 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30.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display that visually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the dishwasher, a selection button that inputs the user's selection, and a user's input to turn the power on and off of the dishwasher. A button unit including a power button, etc. may be provided.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ar panel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0 forms one side of the tub 20 when the door 30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forms the lower rack of the storage unit 50 when the door 30 is fully opened. (51) can form a seating surface that can be supported.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리어패널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when the door 30 is fully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panel of the door 30 forms a horizontal plane in the sam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ail 54 along which the lower rack 51 is guided extends.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어(30)의 리어패널에는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제가 저장되며, 세척 행정의 진행 시에 적정량의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and 2, detergent for cleaning objects is stored in the rear panel of the door 30,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during the cleaning process. can be placed.

적정량의 세제는, 세척 부하 즉 세척대상물의 총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leaning load, that is, the total amount of objects to be cleaned.

세제공급장체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a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detergent supply body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A and below.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상면 외측에는 도어를 자동개방하기 위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an automatic door opening module 352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20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예시적으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도어(30)의 후면 상단을 개방위치까지 회전이동시키는 푸쉬로드(3524)를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utomatic door opening module 352 may be provided with a push rod 3524 that rotates the rear top of the door 30 to the open position.

한편,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의 세척공간으로 고온 또는 저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dry wind supply unit 8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tub 20 to generate and supply high-temperature or low-temperature dry wind to the washing space inside the tub 20.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883)와,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825)과,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84)와,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건조풍 기류의 안내하는 기류가이드(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dry air supply unit 80 includes a filter member 883 that filters external air, a blowing fan 825 that generates a dry wind airflow, a heater 84 that heats the dry wind airflow, and a tub. It is disposed insid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irflow guide 83 that guides the drying wind airflow.

터브(20)의 하면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홀(254)이 구비될 수 있다.A dry wind supply hole 25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to allow high-temperature dry wind generated by the dry wind supply unit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ub 20.

[세제공급장치의 세부 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detergent supply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세제공급장치(200)는 도어(30)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provided in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ced and attached to the door 30.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는 식기세척기(1)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패널(30a)과, 프런트패널(30a)과 결합되고 터브(2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도어(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30b)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door 30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30a, which forms the front of the dishwasher 1, and is arranged to face the inside of the tub 20. and may include a rear panel (30b) forming the rear of the door (30).

이 때, 도어(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30b)에 세제공급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panel 30b forming the rear of the door 30.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패널(30b)의 하부에는 프런트패널(30a)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고, 리어패널(30b)의 상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패널(30b)의 상부는 상대적으로 상부와 비해서 후방을 향해 더 돌출 형성되는 후방 돌출면(30b1)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a concave portion that is recessed toward the front panel (30a)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anel (30b), and no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anel (30b).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anel 30b may form a rear protruding surface 30b1 that protrudes more toward the rear than the upper portion.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의 내부에는 소정의 세제저장용량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세제공급장치(200)의 전후방향 폭은 상당히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a predetermined detergent storage capacity must be secured insid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the front-to-back width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needs to be significantly large.

이와 같은 세제공급장치(200)의 전후방향 폭을 고려하여, 세제공급장치(200)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리어패널(30b)의 상부의 후방 돌출면(30b1)에 결합될 수 있다.Considering the front-to-back width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rear protruding surface 30b1 of the rear panel 30b where no concave portion is formed.

이 때, 세제공급장치(200)는 부분적으로 리어패널(30b)을 관통하여 도어(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어패널(30b)의 후방 돌출면(30b1)에는 세제공급장치(200)가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통공(30b2)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30b2)의 형상은 세제공급장치(200)의 외형에 대응하여 대략 사각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may partially exten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30 through the rear panel 30b. To this end, a through hole 30b2 through which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partially passes may be formed in the rear protruding surface 30b1 of the rear panel 30b.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30b2 may be approximately a square hol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따라서,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세제공급장치(200)의 후방부는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노출된 상태가 되며, 세제공급장치(200)의 전방부는 리어패널(30b)을 통과하여 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Therefore, based o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30, the rear par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is exposed to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and the front par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is exposed to the rear panel ( It may pass through 30b) and be placed inside the door 30.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제공급장치(200)의 전방부에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세제펌프(230), 롤러센서(2391) 등과 같은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제공급장치(200)를 구성하는 전장품들이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an electrically operated detergent pump 230 and a roller sensor 2391 may be placed at the fron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disposed inside the door 30. Through this, the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y are not affected by the washing water.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에는 세제공급장치(200)의 전장품 이외에도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다수의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이들이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세제공급장치(200)와 도어(30)의 리어패널(30b) 사이에는 누수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a number of electrically operated parts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door 30. To prevent them from being affected by washing water, a water leak prevention mean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and the rear panel 30b of the door 30.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는 도어(30)의 하단에 배치되는 힌지브라켓(37)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힌지브라켓(3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30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hinge bracket 37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oor 30, and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bracket 37.

도어(30)가 닫힐 때, 세제공급장치(200)는 세척공간(21)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때, 후술할 세제컨테이너(280)의 내부의 저장된 세제는 중력에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When the door 30 is closed,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side of the washing space 21 and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is way, whe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etergent stored inside the detergent container 2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flow downward according to gravity.

또한, 도어(30)가 열릴 때 세제공급장치(200)는 터브(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고, 풀개방 상태가 되면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door 30 is opened,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ub 20 and can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it is fully opened.

사용자는 도어(30)를 개방하여 세제공급장치(200)를 수평방향으로 배열한 뒤에, 후술할 커버(220)를 열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세제컨테이너(280)를 장착하거나 하우징(2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The user opens the door 30 and arranges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n opens the cov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install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nside the housing 210 or to install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nside the housing 210.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세제공급장치(20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도 7에는 전술한 도어(30)가 닫힌 상태로서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 배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 배열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4 to 7 show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being vertically arranged with the door 30 described above closed.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explained,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is arranged vertically.

먼저, 세제공급장치(20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210 hav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cover 220 that opens and closes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210.

하우징(210)은, 세제공급장치(200)의 외장을 형성하고, 세제공급장치(200)를 구성하는 타 부품들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housing 210 forms the exterior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and serves to accommodate or support other parts constituting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은 후면(210a)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210 may be formed to have a box shape with an entirely open rear surface 210a so that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can be formed therein.

개방된 후면(210a)을 통과하여 후술할 세제컨테이너(280)가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개방된 후면(210a)에는 후술하는 커버(2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220)에 의해서 후면(210a)이 폐쇄될 수 있다.A detergent container 2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or removed by passing through the open rear side 210a. A cov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to the open rear surface 210a, and the rear surface 210a can be closed by the cover 220.

예시적으로 세제컨테이너(280)의 형상 및 세제컨테이너(280)의 세제저장용량을 고려하여 하우징(210)의 상부의 전후방향 폭은 하부의 전후방향 폭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and the detergent storage capacity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the front-to-back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10 may be made much larger than the front-to-back width of the lower portion.

이 때, 상부보다 더 작은 전후방향 폭을 갖는 하우징(210)의 하부로서, 하우징(210)의 후면(210a) 외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세제펌프(230), 수위센서(240), 및 탈착감지센서(260)가 부착되고 지지될 수 있는 공간 및 지지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10 having a smaller front-to-back width than the upper part, an electrically operated detergent pump 230 and a water level sensor 240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210a of the housing 210, as described later. , and a space and support structure to which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can be attached and supported can be formed.

이들 세제펌프(230), 수위센서(240), 및 탈착감지센서(260)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후면(210a) 하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다수의 지지리브(214)가 하우징(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리브(214)는 리어패널(30b)의 통공(30b2)을 통과하여 도어(30)의 내부에 매립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조립성을 고려하여 지지리브(214)는 하우징(210)의 양측면(210e, 210f) 및 하면(210d)을 넘어서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nstall and support the detergent pump 230, the water level sensor 240, and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as shown in FIG. 5, a predetermined shap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ar side 210a of the housing 210. A plurality of support ribs 21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210. At this time, the support rib 214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0b2 of the rear panel 30b and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30.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assembly, the support rib 214 may be formed so as not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0 beyond the both side surfaces 210e and 210f and the lower surface 210d of the housing 2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는 단일 세제를 공급하거나 이종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upply a single detergent or different detergents.

단일 세제 공급용 및 이종 세제 공급용에 대해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대략적으로 좌우대칭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housing 210 may be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symmetrical shape so that it can be commonly used for supplying a single detergent and supplying different detergents.

이종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좌우대칭 형상을 갖는 하우징(210)은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분할되어, 하우징(210)의 우측부는 제1 세제 공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하우징(210)의 좌측부는 제2 세제 공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When applied to supply heterogeneous detergents, the housing 210, which has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directions (Le-Ri direction), and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210 is used for supplying the first detergent, and the housing ( The left part of 210) can be used for supplying the second detergent.

다만, 도 4 이하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우징(210)을 제외한 다른 구성물들이 단일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이 단일 세제 공급용 세제공급장치(200)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below, components other than the housing 210 are used for supplying a single deterg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housing 210 is applied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for supplying a single detergent as show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 배열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일부는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노출되고, 하우징(210)의 나머지 일부는 도어(30)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세제공급장치(200)는 도어(30)의 리어패널(30b)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with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arranged vertically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housing 210 is exposed to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ousing 210 is exposed to the door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panel 30b of the door 30 while being embedded inside the door 30.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가상의 기준선(L)을 중심으로 하우징(210)은 전후방향(F-R방향)을 따라 분할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상의 기준선(L)에 대해서 후방에 해당하는 하우징(210)의 부분은 세척공간(21)에 노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노출부(211)로 칭할 수 있고, 가상의 기준선(L)에 대해서 전방에 해당하는 하우징의 부분은 도어(30)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기 되기 때문에 매립부(212)로 칭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using 210 may have a shape that is divid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F-R direction)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 shown in FIG. 5. The portion of the housing 210 corresponding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virtual reference line (L) is exposed to the washing space 21 and can be referred to as the exposed portion 211,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virtual reference line (L) may be referred to as the exposed portion 211. Since the portion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30,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embedded portion 212.

이 때, 전후방향(F-R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절단하면 노출부(211)의 단면적은 매립부(212)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cut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ront-to-back direction (F-R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posed portion 211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ried portion 212.

따라서 노출부(211)와 매립부(212)의 경계에 해당하는 매립부(212)의 후단과 노출부(211)의 전단에는 소정의 단차면(213)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predetermined step surface 213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uried part 212 and the front end of the exposed part 211, which correspon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exposed part 211 and the embedded part 212.

단차면(213)은, 도어(30)의 리어패널(30b)에 대한 체결 시에 리어패널(30b)에 대한 접촉 면적 또는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단차면(213)은 리어패널(30b)의 후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tep surface 213 serve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r coupling area with the rear panel 30b when the door 30 is fastened to the rear panel 30b. To this end, the step surface 21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of the rear panel 30b.

또한, 단차면(213)의 상하좌우의 4개의 모서리에는 각각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bolt can pass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step surface 213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제공급장치(200)의 전장품 및 다수의 전장품들이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세제공급장치(200)와 도어(30)의 리어패널(30b) 사이에는 누수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rear panel ( 30b) Water leak prevention means may be provided between.

누수방지 수단으로서, 단차면(213)과 도어(30)의 리어패널(30b) 사이에 개재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을 갖는 가스켓(270)이 구비될 수 있다.As a means to prevent water leakage, a gasket 270 may be provided,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step surface 213 and the rear panel 30b of the door 30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270)은 단차면(213)에 결합되고, 단차면(2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gasket 270 is coupled to the step surface 213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ep surface 213 .

보다 상세히는 가스켓(270)은 단차면(213)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asket 270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tep surface 213, and may have a thickness sufficient to provid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한편, 커버(220)는 하우징(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210)의 개방된 후면(210a)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cover 2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210 and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open rear portion 210a of the housing 210.

예시적으로 전술한 도어(30)와 유사하게 커버(220)는 회동하면서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본체(221)는 하우징(210)의 후면(210a)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Exemplarily, similar to the door 30 described above, the cover 22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210. To this end, the cover body 221 may have a size that entirely covers the rear 210a of the housing 210.

또한, 커버본체(221)의 하단은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22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210.

한편, 커버본체(221)의 상단에는 하우징(210)에 대한 탈착가능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체결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fastening portion 222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ver body 221 as a means for providing a detachable connection to the housing 210.

예시적으로 체결부(222)는 커버본체(22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와, 레버에 일체로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Exemplarily, the fastening part 222 may include a lever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cover body 221, and a fastening tab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ever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우징(210)의 후면(210a)에 근접하여 상면(210c)에는 체결탭이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locking protrusion to which a fastening tab is elastically couple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10c near the rear 210a of the housing 210.

이를 통해 사용자는 레버를 하우징(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체결돌기와 걸림돌기 사이의 걸림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release the jammed state between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by pulling the lev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210.

한편, 커버본체(221)에는 상하방향(U-D)을 따라 연장되며, 좌우방향 폭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통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through hole 223 may be formed in the cover body 221 that extend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U-D) and whos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maintained approximately constant.

커버(220)가 하우징(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통공(223)은 후술하는 세제컨테이너(280)의 투명창(28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over 220 is fastened to the housing 210, the through hole 22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window 2813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220)의 통공(223) 및 세제컨테이너(280)의 투명창(2813)을 통해서, 세제컨테이너(280)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수위 및 잔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level and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stored inside the detergent container 280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hole 223 of the cover 220 and the transparent window 2813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한편, 세제공급장치(200)는 내부에 터브(20)의 세척공간(21)으로 공급될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컨테이너(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etergent container 280 inside which detergent to be supplied to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is stor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컨테이너(280)의 컨테이너본체(281)는 내부에 소정의 세제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container body 281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may have a container shape with a predetermined detergent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컨테이너(280)는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전체적으로 수용되는 바, 컨테이너본체(281)의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entirely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210, and may have an exter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210 of the container body 281. .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 중앙에는 세제보충을 위한 투입구(2811)가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2811 for detergent replenishment may be formed at the rear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281.

투입구(2811)에는 밀폐캡(283)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밀폐캡(283)을 투입구(2811)로부터 분리시켜 투입구(2811)를 개방시킬 수 있고, 투입구(2811)를 통해 세제를 보충할 수 있다.A sealing cap 28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2811. Therefore, the user can separate the sealing cap 283 from the inlet 2811 to open the inlet 2811 and replenish detergent through the inlet 2811.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2811)와 밀폐캡(283) 사이에는 세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밀폐링(284)이 추가될 수 있다.As shown, a sealing ring 284 made of a material with a certain elasticity may be added between the inlet 2811 and the sealing cap 283 to prevent the leakage of detergent.

한편,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 상단 측에는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구(2812)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ventilation hole 2812 formed through the rear of the container body 28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container body 281.

밀폐캡(283)에 의해서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 저장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통기구(2812)는 세제 공급이 진행되면서 내부 저장공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In a state where the internal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81 is closed by the airtight cap 283, the ventilation hole 2812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torage space becomes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as detergent supply progresses. .

다만, 통기구(2812)를 통해서 세제의 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통기구(2812)에는 공기밸브 또는 맴브레인 등과 같은 세제유출방지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tergent may leak through the vent 2812, detergent leak prevention means such as an air valve or membrane may be added to the vent 2812.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220)의 통공(223)에 대응하는 투명창(2813)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수위 및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창(2813)은 가시광선 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transparent window 2813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23 of the cover 220 may be formed on the rear of the container body 281. To enable the level and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stor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81 to be visually confirmed, the transparent window 281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visible light.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본체(281)의 전면 하단 측에는 세제배출구(2814)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a detergent discharge port 2814 may be forme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281.

중력에 의해 세제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세제배출구(2814)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최하단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etergent discharge port 2814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281 so that the detergent can be easily moved by gravity.

도 7에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전면의 좌우 측에 각각 세제배출구(2814)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느나, 이는 이종 세제공급용 세제컨테이너(280)로서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단일 세제공급용 세제컨테이너(28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좌측의 세제배출구(2814)는 폐쇄된 상태가 될 수 있다.In Figure 7, it is shown that a pair of detergent discharge ports 2814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of the container body 281, but this is intended to enable common use as a detergent container 280 for supplying heterogeneous detergents. , when a single detergent container 280 for supplying detergent is used as in this embodiment, the detergent outlet 2814 on the left side may be in a closed state.

세제배출구(2814)에는 컨테이너밸브(282)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밸브(282)는,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세제배출구(2814)를 폐쇄하고, 컨테이너밸브(282)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세제배출구(2814)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A container valve 282 may be coupled to the detergent outlet 2814. The container valve 282 closes the detergent outlet 2814 when the container body 281 is removed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210, and the detergent outlet 2814 is closed when the container valve 282 is mounted on the housing 210. It plays a role in opening (2814).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세제컨테이너(280)의 장착 시에 컨테이너밸브(282)가 결합되는 밸브결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밸브(282)가 하우징(210)의 밸브결합부(215)에 결합되면, 결합과 동시에 컨테이너밸브(282)가 열리면서 세제배출구(2814)가 개방될 수 있다.A valve coupling portion 215 to which the container valve 282 is coupled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210 when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mounted. When the container valve 282 is coupled to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of the housing 210, the container valve 282 opens at the same time as the coupling, thereby opening the detergent outlet 2814.

도 6 및 도 7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컨테이너밸브(282)는, 전방단부(2821a)와 후방단부(2821b)가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밸브본체(2821)와, 밸브본체(2821)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플러그(2822)와, 플러그(282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FIGS. 6 and 7, the container valve 282 exemplarily includes a valve body 2821 whose front end 2821a and rear end 2821b are at least partially open, respectively, and a valve. A plug 2822 that is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2821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and a spring that provides restoring force to the plug 2822 ( (not shown) may be included.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2821)는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세제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valve body 2821 has a cylindrical outer shape, and an internal passage through which detergent can flow may be formed inside.

내부 통로는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에 형성되는 개방부위와 후방단부(2821b)에 형성되는 개방부위까지 연통되어 있다.The internal passage communicates with an open portion formed at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and an open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2821b.

밸브본체(2821)의 후방단부(2821b)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세제배출구(2814)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본체(281)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는 밸브본체(2821)의 후방단부(2821b)의 개방부위를 통해 도입되고, 밸브본체(2821)의 내부 통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The rear end (2821b) of the valve body (2821)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detergent outlet (2814) of the container body (281). Accordingly, the detergent supplied from the container body 281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rear end 2821b of the valve body 2821 and can flow along the internal passage of the valve body 2821.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는 하우징(210)의 밸브결합부(215, 도 12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may be coupled to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of the housing 210 (see FIG. 12).

따라서 밸브본체(2821)의 내부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세제는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밸브결합부(215)로 공급될 수 있다,Therefore, the detergent flowing along the internal passage of the valve body 2821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and supplied to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of the housing 210. can,

플러그(2822)는, 밸브본체(2821)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plug 2822 is disposed inside the valve body 2821 and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따라서 플러그(2822)는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g 282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플러그(2822)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The plug 2822 is pressed by a spring (not shown) in a direction to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한편, 플러그(2822)의 전방단부면에는 밸브본체(28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2822a)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lug 2822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2822a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alve body 2821.

접촉돌기(2822a)는 플러그(2822)의 전방단부면 및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보다 컨테이너본체(281)를 기준으로 더 멀리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 protrusion 2822a may be formed to protrude farther from the container body 281 tha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lug 2822 and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따라서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에 장착될 시에 플러그(2822)의 접촉돌기(2822a)가 밸브결합부(215)의 단부면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body 281 is mounted on the housing 210, the contact protrusion 2822a of the plug 2822 first contacts the end surface of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접촉돌기(2822a)와 밸브결합부(215)의 접촉에 의해서 플러그(2822)의 추가적인 이동은 차단될 수 있다.Additional movement of the plug 2822 can be blocked by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 2822a and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따라서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에 대한 장착이 계속 진행되면, 플러그(2822)의 이동이 차단되는 상태에서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 측의 상대 이동은 계속 진행될 수 있다.Therefore, if the container body 281 continues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210,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may continue while the movement of the plug 2822 is blocked. .

밸브본체(2821)의 플러그(2822)에 대한 상대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플러그(2822)와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고 유격이 점차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격 형성에 의해서 컨테이너밸브(282)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A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alve body 2821 with respect to the plug 2822 progresses, a gap occurs between the plug 2822 and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and the gap may gradually expand. . By forming such a gap, the container valve 282 can be convert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이러한 유격을 통해 세제가 컨테이너밸브(282)로부터 밸브결합부(215)로 유동할 수 있게 되고, 컨테이너본체(281)로부터의 세제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Through this gap, detergent can flow from the container valve 282 to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and detergent can be supplied from the container body 281.

한편,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플러그(2822)의 접촉돌기(2822a)는 밸브결합부(215)의 단부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술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플러그(2822)와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 사이의 유격이 즉시 해제될 수 있고, 밸브본체(2821)는 다시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container body 281 is removed from the housing 210, the contact protrusion 2822a of the plug 2822 may be separated from the end surface of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In this case, the gap between the plug 2822 and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can be immediately relea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described above, and the valve body 2821 is returned to the closed state. It becomes possibl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2821)의 외주면에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세제배출구(2814)에 대한 삽입 깊이 및 삽입 위치 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821c)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at least one stopper 2821c for determining the insertion depth and insertion position into the detergent discharge port 2814 of the container body 281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2821.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 측에는 밸브결합부(215)의 내주면과 밸브본체(2821) 사이의 세제의 누설을 방지를 위한 밀폐링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a sealing ring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front end 2821a of the valve body 2821 to prevent leakage of detergent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and the valve body 2821. .

다만, 이와 같은 컨테이너밸브(282)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이면 폐쇄 상태가 되고, 하우징(210)에 장착되면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However, this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valve 282 is only illustrative, and is in a closed state when removed from the housing 210, and can be converted to an open state when mounted on the housing 210, without limitation.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탈착감지센서(260)가 하우징(210)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a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may be attached to the housing 210 as a means for detecting the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mounted or removed from the housing 210.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감지센서(260)가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하우징(210)의 매립부(212)에 배치되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전면(210b) 하부로서 좌측면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is disposed in the embedded portion 212 of the housing 210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washing water, and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210b of the housing 210 as shown by way of example. It can be attach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left side.

예시적으로 탈착감지센서(260)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 형식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may have a Hall sensor type that detects magnetic force.

이에 대응하여 컨테이너본체(281)에는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착감지센서(26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자기력을 방출하는 자성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response to this, the container body 281 is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not shown) that emits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ttachment/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when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mounted on the housing 210. It can be.

탈착감지센서(260)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를 통해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인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The control unit 100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mounted on the housing 210 or has been removed from the housing 210 through the received output signal of the attachment/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또한,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위센서(240)가 하우징(210)에 부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water level sensor 240 may be attached to the housing 210 as a means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stor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81.

탈착감지센서(260)와 마찬가지로 수위센서(240)는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하우징(210)의 매립부(212)에 배치되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로서 중앙 측에 부착될 수 있다.Like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the water level sensor 240 is disposed in the embedded part 212 of the housing 210 so as not to be affected by washing water, and as exemplarily shown, is located at the center at the lower front of the housing 210. Can be attached to the side.

탈착감지센서(260)와 유사하게, 수위센서(240)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Similar to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the water level sensor 2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all sensor that detects magnetic force.

이에 대응하여,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는 세제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U-D)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로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Correspondingly, a floate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81 to be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U-D) according to the level of detergent.

플로터에는 소정의 자기력을 방출하는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으며, 탈착감지센서(260)는 플로터의 자성체로부터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 magnetic material that emits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may be attached to the plotter, and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emitted from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plotter.

탈착감지센서(260)와 마찬가지로, 수위센서(240)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를 통해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Like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the water level sensor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240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The control unit 100 can easily determine the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stor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81 through the received output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240.

한편, 세제공급장치(200)는 세제컨테이너(280)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20)의 세척공간(21)으로 제공하기 위한 세제펌프(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etergent pump 230 for providing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280 to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본 실시예에서 세제펌프(230)는, 세제 공급량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전동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튜브펌프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etergent pump 2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pump driven by an electric motor to facilitate control of the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튜브펌프는 내부에 세제 이동 통로가 구비되는 플렉서블 튜브를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가압하여 세제를 밀어내면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펌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known in the art, a tube pump may be configured to pump a flexible tube with a detergent movement passage inside by pressing it through at least one roller to push and move the detergent.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단일 세제 공급을 위한 단일 세제펌프(230)가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종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동일 스펙을 갖는 세제펌프(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4 to 7 illustrat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ingle detergent pump 230 is provided for supplying a single detergent, but when applied for supplying different detergents, a detergent pump 230 with the same specifications is added. It can be provided with .

전술한 탈착감지센서(260) 및 수위센서(240)와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세제펌프(230)가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세제펌프(230)는 하우징(210)의 매립부(212)에 배치되며, 예시적으로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리브(214)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Like the above-mentioned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and water level sensor 240, the detergent pump 230 is installed in the embedded portion 212 of the housing 210 so that the electrically operated detergent pump 230 is not affected by the washing water. It is disposed, and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support rib 214 formed o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housing 210.

한편, 세제펌프(230)에는 튜브(232)를 가압하여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233)의 위치를 감지하고, 롤러(233)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롤러센서(2391)가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gent pump 230 is equipped with a roller sensor 2391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3 that moves the detergent by pressing the tube 232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3. It can be.

롤러센서(2391)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를 통해 롤러(233)의 공전횟수를 연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제 공급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roller sensor 239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roller sensor 2391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The control unit 100 can calculat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ller 233 through the output signal of the received roller sensor 2391, and can easily determine the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through this.

롤러센서(2391)를 이용한 세제공급량 판단방법에 관한 구성은 도 2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detergent supply amount determination method using the roller sensor 239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5 and below.

[세제펌프의 세부 구성][Detailed composition of detergent pump]

이하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에 구비되는 세제펌프(2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2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rgent pump 230 provided i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세제펌프(230)는, 롤러(233)와 튜브(232)를 수용하는 펌프케이스(231)와, 내부에 세제통로가 형성되는 튜브(232)와, 튜브(232)를 가압하여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233)와, 롤러(233)를 공전 및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234)와, 펌프케이스(231)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235)와. 일측면에 커버플레이트(235)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36)와, 롤러(233)를 공전 및 자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2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8 to 10, the detergent pump 230 includes a pump case 231 that accommodates a roller 233 and a tube 232, a tube 232 in which a detergent passage is formed, and a tube. A roller 233 that moves the detergent by pressing (232), a carrier 234 that supports the roller 233 so that it can rotate and rotate, and a cover plate 235 coupled to the pump case 23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late 236 to which the cover plate 235 is coupled to one side, and a pump motor 238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rotate and rotate the roller 233.

펌프케이스(231)는, 후술하는 롤러(233) 및 튜브(232)를 내부에 수용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pump case 231 serves to accommodate and protect the roller 233 and the tube 2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in.

이를 위해, 펌프케이스(231)는 롤러(233)의 회전축선(Xc) 방향의 제1 단부면(2311)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회전축선(Xc) 방향의 제2 단부면(2312)은 전체적으로 막힌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first end surface 2311 of the pump case 231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of the roller 233 is entirely open, and the second end surface 2312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is entirely open. It can be formed to become blocked.

제1 단부면(2311)과 제2 단부면(2312) 사이에는 둘레면(2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면(2313)에는 튜브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슬롯(2313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A peripheral surface 2313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2311 and the second end surface 2312, and a pair of slots 2313a are formed through the peripheral surface 2313 to allow the tube to pass through. It can be.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튜브(232)는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서 C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ube 232 is maintained in a C-shaped bent state inside the pump case 231.

이를 위해, 펌프케이스(231)의 둘레면(2313)의 내부면의 일부는 반원통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둘레면(2313)의 내부면은 튜브(232)가 롤러(233)에 의해서 가압되는 동안 튜브(232)가 C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To this e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surface 2313 of the pump case 23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mi-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surface 2313 may act as a support surface that maintains the tube 232 bent in a C-shape while the tube 232 is pressed by the roller 233.

튜브(232)는, 전술한 세제컨테이너(280)로부터 공급되는 세제가 유동하는 세제통로서 기능한다. The tube 232 functions as a detergent container through which the detergent supplied from the detergent container 280 described above flows.

또한, 튜브(232)의 내부 통로를 채우고 있는 세제가 롤러(233)에 의해 펌핑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tergent filling the internal passage of the tube 232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pumped by the roller 233.

따라서 롤러(233)의 외주면과 펌프케이스(231)의 둘레면(2313) 사이에서 끼인 상태로 튜브(232)가 가압되면 가압력에 의해서 내부 통로가 폐색되도록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롤러(233)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튜브(232)는 본래의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원복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ube 232 is pressed in a state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233 and the peripheral surface 2313 of the pump case 231, it can be easily deformed so that the internal passage is blocked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roller 233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the tube 232 can be effective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이 때, 롤러(233)는 공전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롤러(233)에 의해서 가압되는 튜브(232)의 위치가 롤러(233)의 공전에 따라 변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roller 233 moves while revolving, the position of the tube 232 pressed by the roller 233 changes according to the revolution of the roller 233.

이를 통해, 튜브(232)의 내부 통로를 채우고 있는 세제가 롤러(233)의 공전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detergent filling the internal passage of the tube 232 moves with the revolution of the roller 233.

튜브(232)는,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세제가 유입되는 인렛으로 작용하는 제1 단부(2321)와, 세제가 펌핑되어 배출되는 제2 단부(2322)는 펌프케이스(231)의 한 쌍의 슬롯(2313a)을 각각 통과하여 펌프케이스(23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tube 232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ally accommodated inside the pump case 231, and has a first end 2321 that acts as an inlet through which detergent flows in, and a second end 2322 through which detergent is pumped and discharged. )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pump case 231 by passing through each of the pair of slots 2313a of the pump case 231.

튜브(232)가 한 쌍의 슬롯(2313a)을 통과하는 부분은 한 쌍의 튜브클립(237)에 의해서 한 쌍의 슬롯(2313a)에 각각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The portion where the tube 232 passes through the pair of slots 2313a can be firmly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slots 2313a by a pair of tube clips 237.

한편, 인렛으로 작용하는 튜브(232)의 제1 단부(2321)는 세제컨테이너(280)의 세제배출구(2814) 측에 연결 및 연통되며, 아웃렛으로 작용하는 튜브(232)의 제2 단부(2322)는 세제를 펌핑된 세제를 터브(20)를 향해 최종적으로 배출시키는 토출구(218) 측에 연결 및 연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end 2321 of the tube 232, which acts as an inlet,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detergent outlet 2814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and the second end 2322 of the tube 232, which acts as an outlet,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detergent outlet 2814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 may be connected and communicated with the discharge port 218 that finally discharges the pumped detergent toward the tub 20.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18)는 하우징(210)의 노출부(2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10)의 개방된 후면(210a)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B, the discharge port 218 may be formed in the exposed portion 211 of the housing 210, and is preferably form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pen rear surface 210a of the housing 210. You can.

따라서 토출구(218)는 기준선(L)으로부터 최대한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최대한 멀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출구(218)로부터 배출되는 세제는 터브(20)의 하면(25)을 향해 중력에 의해서 자유낙하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ischarge port 218 can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s far as possible toward the inside of the tub 20 from the reference line L, and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18 through this is disposed at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 can fall freely due to gravity.

또한, 토출구(218)는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210b)의 아래로서 하우징(210)의 하면(210d)보다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면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charge port 218 may be formed on a stepped surface below the open rear surface 210b of the housing and at a higher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ower surface 210d of the housing 210.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가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토출구(218)는 커버(220)에 의해서 가려진 상태가 된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1C, when the cover 220 is coupled to the housing 210 and viewed from the rear, the discharge port 218 is covered by the cover 220.

따라서 토출구(218)는 하우징(210)의 하면(210d)보다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커버(220)에 의해서 가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기세척기(1)의 행정 진행 중에 비산하는 세척수가 직접 토출구(218)에 도달하거나, 토출구(218)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charge port 218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ower surface 210d of the housing 210, and can be maintained in a hidden state by the cover 22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washing water fly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 from directly reaching the discharge port 218 or from flowing in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8.

한편, 토출구(218)는 커버(220)에 의해서 가려진 상태가 되나, 토출구(218)로부터 배출되는 세제가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의 하단(2211)에는 노치 형태의 홈부(2212)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harge port 218 is covered by the cover 220, but as shown in FIG. 11C, the bottom ( A notch-shaped groove portion 2212 may be formed in 2211).

다만, 세제가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220)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부(2212)의 면적은 토출구(218)의 단면적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detergent to move effectively, the area of the groove 221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220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ort 218.

한편, 커버(220)의 하단으로서 홈부(2212)의 좌우측에는 각각 하우징(210)의 힌지축(219)가 삽입되는 힌지홀(22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219)이 힌지홀(2213)에 삽입된 상태로 커버(220)는 하우징(2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hinge holes 2213 into which the hinge shaft 219 of the housing 21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roove portion 2212 at the bottom of the cover 220, respectively. The cover 220 may be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10 with the hinge shaft 219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2213.

도 11a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튜브(232)의 제1 단부(2321)와 밸브결합부(215)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 매개체로서 제1 니플(216)이 구비될 수 있고, 튜브(232)의 제2 단부(2322)와 토출구(218)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 매개체로서 제2 니플(217)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A to 13, the housing 210 will be provided with a first nipple 216 as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dium connecting the first end 2321 of the tube 232 and the valve coupling portion 215. A second nipple 217 may be provided as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dium connecting the second end 2322 of the tube 232 and the discharge port 218.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은 지지리브(214)가 배치되는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first nipple 216 and the second nipple 217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lower part of the housing 210 where the support rib 214 is disposed.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가 단일 세제 공급용 및 이종 세제 공급용에 대해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은 하우징(210)에 대해서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first nipples 216 and second nipples 217 are attached to the housing 210 so that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can be commonly used for supplying a single detergent and supplying different detergents. It can be formed in a position that is approximately symmetrical to the

단일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에 대해서만 세제가 유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2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applying a single detergent supply, detergent can flow only to the first nipple 216 and the second nipple 217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210, as show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first nipple 216 and the second nipple 217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210.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의 내부에는 각각 세제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Passages through which detergent can flow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nipple 216 and the second nipple 217, respectively.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니플(216)은 튜브(232)의 제1 단부(232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 단부(2321)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first nipple 216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end 2321 of the tube 232 a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2321.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니플(217)은 튜브(232)의 제2 단부(232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2 단부(2322)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nipple 217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nd 2322 of the tube 232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nd 2322.

이와 같이, 튜브(232)의 제1 단부(2321)와 제1 니플(216) 사이의 연결 및 튜브(232)의 제2 단부(2322)와 제2 니플(217)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면, 제1 니플(216), 튜브(232) 및 제2 니플(217)의 내부에는 연속적인 세제 유동경로(Fd)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nd 2321 of the tube 232 and the first nipple 216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end 2322 of the tube 232 and the second nipple 217 are completed, A continuous detergent flow path (Fd)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nipple 216, the tube 232, and the second nipple 217.

예시적으로 제1 니플(216)은 수평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니플(217)은 세제 유동경로(Fd)를 수평방향에서 토출구(218)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도록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nipple 216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linearly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nipple 217 may extend the detergent flow path (F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discharge port 218. It can have an L-shape to convert.

롤러(233)는, 튜브(232)를 가압하고 공전축이 되는 회전축선(Xc)을 따라 공전하면서 튜브(232)의 내부 통로를 따라 세제를 이동시켜 세제를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The roller 233 serves to pump the detergent by pressing the tube 232 and moving the detergent along the internal passage of the tube 232 while revolving along the rotation axis (Xc), which is the revolving axis.

도시된 실시예는 총 3개의 롤러(233)가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The illustrated embodiment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otal of three rollers 233 are provided inside the pump case 231.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3개의 롤러(233)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ree rollers 233 are provided.

편의상 이들 3개의 롤러(233)를 구분하기 위해서,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로 칭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in order to distinguish these three rollers 233, they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roller 2331, a second roller 2332, and a third roller 2333.

다만, 이들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서로 호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later,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nd be interchangeable with each other.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의 세부 구성은 도 1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4 and below.

캐리어(234)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를 각각 자전 및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arrier 234 serves to support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so that they can rotate and rotate, respectively.

보다 상세히는 캐리어(234)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와, 원판형 플레이트(2341)로부터 롤러(233)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롤러지지샤프트(2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arrier 234 may include a disc-shaped plate 2341 and a plurality of roller support shafts 2342 extending from the disc-shaped plate 2341 toward the roller 233.

원판형 플레이트(2341)는, 일측면이 후술하는 커버플레이트(235)에 면접촉되는 상태로 커버플레이트(235)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The disc-shaped plate 2341 may be supported by the cover plate 235 with one sid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2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원판형 플레이트(2341)는 커버플레이트(235)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자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shaped plate 2341 can be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over plate 235, preferably rotatably.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접촉하게 되는 커버플레이트(235)의 일면에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a ring-shaped guide rib 2353 arranged to surround the disk-shaped plate 2341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late 235 with which the disk-shaped plate 2341 comes into contact. there is.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에 의해서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The ring-shaped guide rib 2353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isk-shaped plate 2341 from deviat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타측면에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를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롤러지지샤프트(234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side of the disk-shaped plate 2341, a plurality of roller support shafts 2342 that respectively protrude toward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may be formed integrally. there is.

보다 상세히는 다수의 롤러지지샤프트(2342)는, 제1 롤러(23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샤프트(2342a)와, 제2 롤러(23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샤프트(2342b)와, 제3 롤러(23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샤프트(234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lurality of roller support shafts 2342 include a first shaft 2342a that rotatably supports the first roller 2331, and a second shaft 2342b that rotatably supports the second roller 2332. ) and a third shaft 2342c that rotatably supports the third roller 2333.

이들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는 각각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의 자전축로서 작용한다.These first shafts 2342a. The second shaft 2342b and the third shaft 2342c serve as rotation axes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respectively.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가 결합되는 제1 샤프트(2342a)는,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에 비해서 돌출 길이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1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haft 2342a to which the first roller 2331 is coupled may have a smaller protruding length than the second shaft 2342b and the third shaft 2342c. Detailed configuration regard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4 and below.

한편,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중앙에는 원형의 관통홀(2341a)이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341a)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가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a circular through hole 2341a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k-shaped plate 2341,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extend through the through hole 2341a.

출력샤프트(238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의 외주면(2331a, 2332a, 2333a)에 동시에 접촉하여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한다. As described later, the output shaft 2381 simultaneously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2331a, 2332a, and 2333a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to form the first roller 2331, A driving force that rotates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is transmitted, respectively.

이 때, 출력샤프트(2381)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관통홀(2341a)을 통과하되, 원판형 플레이트(2341)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shaft 2381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341a of the disc-shaped plate 2341 but not contact the disc-shaped plate 2341.

즉, 캐리어(234)는 출력샤프트(2381)에 의해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펌프케이스(231)와 커버플레이트(235)에 의해서 아이들 상태로 지지되고 수용될 수 있다.That is, the carrier 234 can be supported and accommodated in an idle state by the pump case 231 and the cover plate 235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s not transmitted by the output shaft 2381.

커버플레이트(235)는, 펌프케이스(231)의 개방된 제1 단부면(2311)에 결합되고, 펌프케이스(231)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The cover plate 235 is coupled to the open first end surface 2311 of the pump case 231 and serves to close the internal space of the pump case 231.

커버플레이트(235)가 펌프케이스(231)에 체결됨에 따라, 펌프케이스(231)와 커버플레이트(235)에 의해서 롤러(233), 튜브(232) 및 캐리어(234)가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이들의 회전축선(Xc)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As the cover plate 235 is fastened to the pump case 231, the roller 233, tube 232, and carrier 234 are attached to the pump case 231 by the pump case 231 and the cover plate 235. While accommodated inside, their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may be restricted.

캐리어(234)와 유사하게, 커버플레이트(235)의 중앙에는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관통홀(2351)이 형성될 수 있다.Similar to the carrier 234, a through hole 2351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extends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235.

전술한 바와 같이,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접촉하게 되는 커버플레이트(235)의 일면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ring-shaped guide rib 235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ne surface of the cover plate 235 where the disc-shaped plate 2341 comes into contact.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는 관통홀(2351)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고, 돌출 높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ring-shaped guide rib 2353 is formed to be concentric with the through hole 2351, and the protrusion height can be maintained approximately constant while advanc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는다.The ring-shaped guide rib 2353 has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disk-shaped plate 2341 from being deviat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다만, 접촉에 의한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자전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의 내경은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외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shaped guide rib 2353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k-shaped plate 234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isk-shaped plate 2341 due to contact.

펌프케이스(231)에 대한 체결을 위한 수단이 커버플레이트(235)의 각각의 에지부에 구비될 수 있다.Means for fastening to the pump case 231 may be provided at each edge portion of the cover plate 235.

예시적으로 체결수단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4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fastening means may be arrang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at four locations.

이 때, 이들 각각의 체결수단은 펌프케이스(231)에 대한 체결수단으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6)에 대한 체결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se fasten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act as a fastening means for the pump case 231 and at the same time act as a fastening means for the base plate 23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즉 각각의 체결수단은, 일측이 펌프케이스(231)에 체결될 수 있고, 타측이 베이스플레이트(236)에 체결될 수 있는 공통체결부(2352)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each fastening means may form a common fastening part 2352, where one side can be fastened to the pump case 231 and the other side can be fastened to the base plate 236.

이와 같이 체결수단을 공용화함으로써 세제펌프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By sharing the fastening means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detergent pump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베이스플레이트(236)는, 일측면에 펌프모터(238)가 결합되고 타측면에 전술한 커버플레이트(235)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들을 하우징(210)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base plate 236 is configured to have the pump motor 238 coupled to one side and the cover plate 235 described above to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serves to connect them so that they are fixed to the housing 210.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36)에는 커버플레이트(235)의 공통체결부(2352)가 체결될 수 있는 걸림부(2362)가 4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base plate 236 may be provided with four locking portions 2362 to which the common fastening portion 2352 of the cover plate 235 can be fastened.

또한, 커버플레이트(235)의 관통홀(2351)과 유사하게, 베이스플레이트(236)의 중앙에는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관통홀(236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through hole 2351 of the cover plate 235, a through hole 2361 extending through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36. there is.

또한, 하우징(210)의 지지리브(214)에 대한 체결을 위해서 베이스플레이트(236)에는 중앙의 관통홀(23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탭(236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탭(2363)에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asten the housing 210 to the support rib 214, the base plate 236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ion tabs 2363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through hole 2361, A bolt hole through which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bolt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tab 2363.

펌프모터(238)는, 제1 롤러(2331) 내지 제3 롤러(2333)를 자전 및 공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pump motor 238 serves to generate a rotational driving force that rotates and rotates the first roller 2331 to the third roller 2333.

적용가능한 모터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세제펌프(230)가 배치되는 공간의 제약을 고려하여 소형의 전동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of motor that can be applied, but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space where the detergent pump 230 is placed, it is preferable to use a small electric motor.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에 구비되는 세제펌프(230)는, 롤러(233)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롤러위치감지부(2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gent pump 230 provided i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ller position detection unit 239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3. It may further inclu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제펌프(230)가 작동하는 동안 롤러(233)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롤러(233)의 공전횟수를 연산하여 세제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supply amount of detergent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3 while the detergent pump 230 is operating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ller 233 accordingly. .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세제펌프(230)는 롤러(233)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롤러위치감지부(2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 mean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etergent pump 230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position detection unit 239 as a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3.

예시적으로 롤러위치감지부(239)는 롤러센서(23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roller position detection unit 239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ller sensor 2391.

롤러센서(2391)는, 전술한 탈착감지센서(260) 및 수위센서(240)와 동일하게 홀센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roller sensor 2391 may use the Hall sensor method in the same way as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and the water level sensor 240 described above.

롤러(233)의 위치변화 감지를 위해서, 제1 롤러(2331) 내지 제3 롤러(233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자기력을 방출하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detec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3,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s 2331 to 2333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that emits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이 때, 감지 성능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은 자성체를 향해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maximum sensing performance, the sensing surface 2391a of the roller sensor 2391 may be placed as close as possible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toward the magnetic material.

롤러센서(2391) 및 자성체가 구비되는 롤러(233)에 대한 상관 관계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rrelation between the roller sensor 2391 and the roller 233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한편, 롤러(233)에 배치되는 자성체의 체적을 최소화하고, 펌프모터(238)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롤러센서(2391)는 롤러(233)로부터 가장 가까우면서 펌프모터(238)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order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magnetic material disposed on the roller 233 and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pump motor 238, the roller sensor 2391 is closest to the roller 233 and the pump motor 238 ) is preferably placed in a position furthest from the

이러한 위치는,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이 될 수 있다. This location may be the second end surface 2312 of the pump case 231.

따라서 롤러(233)를 기준으로 보면 펌프모터(238)와 롤러센서(2391)는, 롤러(233)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roller 233 as a reference, the pump motor 238 and the roller sensor 2391 may be arrang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with the roller 233 interposed therebetween.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에는 롤러센서(2391)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센서홀더(2392)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A sensor holder 2392 capable of detachably supporting the roller sensor 2391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second end surface 2312 of the pump case 231.

센서홀더(2392)는,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서 자전 및 공전하는 롤러(233)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holder 2392 is preferably placed in a position where interference with the roller 233 rotating and revolving inside the pump case 231 does not occur.

이를 위해,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의 외측에 제2 단부면(2312)으로부터 회전축선(Xc)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롤러(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end surface 2312 of the pump case 231, a pump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nd surface 231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c) and away from the roller 233. can

이상에서는 단일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세제펌프(230)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가 이종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세제펌프(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추가되는 세제펌프(230)는 하우징(210)에 대해서 기존 세제펌프(230)에 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rgent pump 230 applied for supplying a single detergent has been described. However, whe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supplying different detergents, a detergent pump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 2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However, the added detergent pump 230 may be installed in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existing detergent pump 23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10.

[롤러의 세부 구조 및 자성체의 배치 구조][Detailed structure of roller and arrangement of magnetic material]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세제펌프(230)에 구비되는 롤러(233)의 세부 구조 및 자성체의 배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oller 233 provided in the detergent pump 230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agnetic materi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롤러(233)는 서로 동일한 외형 및 사이즈를 갖고 서로 호환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roller 233 includes a first roller 2331, a second roller 2332, and a third roller 2333 that have the same outer shape and size and can be arranged interchangeably.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이 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는 각각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한 상태로 캐리어(2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rotate and rotate on the carrier 234. ) can be supported by.

캐리어(234)에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각각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가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carrier 234 includes a first shaft 2342a, a second shaft 2342b, and a second shaft 2342b as mean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respectively. 3 The shaft 2342c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홀(2341a)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haft 2342a, the second shaft 2342b, and the third shaft 2342c can support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in a separated state. They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through hole 2341a.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에는 각각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중공부(2331b, 2332b, 2333b)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each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into which the first shaft 2342a, the second shaft 2342b, and the third shaft 2342c can be inserted. First hollow parts 2331b, 2332b, and 2333b may be formed.

제1 중공부(2331b, 2332b, 2333b)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의 제1 단부면(2331d, 2332d, 2333d)을 관통하여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제2 단부면(2331e, 2332e, 2333e)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hollow portions (2331b, 2332b, 2333b) pass through the first end surfaces (2331d, 2332d, 2333d)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along the rotation axis ( It may extend toward the second end surfaces 2331e, 2332e, and 2333e along the direction Xc).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자전 및 공전시키는 구동력은 캐리어(234)를 거치지 않고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로부터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에 직접 전달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that rotates and rotates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does not pass through the carrier 234, but is transmitted through the output shaft of the pump motor 238 ( 2381), i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이를 위해,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로 출력샤프트(2381)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can be transmitted from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while being simultaneously in contact with the output shaft 2381.

즉, 제1 롤러(2331)의 외주면(2331a), 제2 롤러(2332) 의 외주면(2332a) 및 제3 롤러(2333)의 외주면(2333a)과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의 마찰력에 의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가 구동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331a)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332a) of the second roller 2332,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333a) of the third roller 2333, and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may be driven by friction.

따라서 제1 롤러(2331)의 외주면(2331a), 제2 롤러(2332)의 외주면(2332a) 및 제3 롤러(2333)의 외주면(2333a)과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 사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출력샤프트(2381)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은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는 방법, 출력샤프트(2381)의 표면에 소정의 재질을 갖는 코팅재를 코팅하는 방법, 또는 출력샤프트(2381)의 표면을 튜브를 이용하여 덮는 방법이 될 수 있다.Therefor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331a)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332a) of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333a) of the third roller 2333 and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Means for increas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2381. Exemplarily, means for increasing the friction coefficient include a method of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a method of coating the surface of the output shaft 2381 with a coating material of a predetermined material, or This may be a method of covering the surface of the output shaft 2381 using a tube.

다만, 이와 같은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추가되더라도 높은 점성의 세제가 적용되는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튜브(232)의 경화 및 마모가 진행되는 경우,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와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 사이의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 등과 같이 펌프모터(238)의 작동시간 제어 또는 RPM 제어를 통해 추구하는 목표 세제공급량과,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통해 펌핑되어 공급되는 실제 세제공급량에는 상단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even if a means to increase the friction coefficient is added, if a high viscosity detergent is applied, and if hardening and wear of the tube 232 progresses over time, the first roller 2331 and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arget detergent supply amount pursued through operation time control or RPM control of the pump motor 238, such as when slip occurs between the third roller 2333 and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However, there may be significant deviation in the actual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by pumping through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제 세제공급량을 결정하는 롤러(233)의 공전 횟수를 롤러(233)의 위치변화 횟수를 통해 파악하여 목표 세제공급량에 대한 편차가 최소화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with minimal deviation from the target detergent supply amount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ller 233, which determines the actual detergent supply amount, through the number of position changes of the roller 233. You can.

이를 위해, 롤러(233)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술한 롤러센서(2391)와, 롤러(233)에 배치되는 자성체(2393)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above-described roller sensor 2391 and a magnetic body 2393 disposed on the roller 233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oller 233.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 모두에 자성체(2393)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어느 하나에만 자성체(2393)가 구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ll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to be provided with the magnetic material 2393, but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by configuring the magnetic material 2393 to be provided on only one of them. savings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2393)가 제1 롤러(2331)에만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s shown,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gnetic material 2393 is provided only on the first roller 2331.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자성체(2393)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magnetic material 2393 may exemplarily have an external shape having a square pillar shape.

이에 대응하여, 제1 롤러(2331)의 내부에는 자성체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중공부(2331c)가 형성될 수 있다.Correspondingly, a second hollow portion 2331c into which a magnetic material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roller 2331.

제2 중공부(2331c)는 자성체(2393)의 외형에 대응하여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low portion 2331c may be formed to have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magnetic material 2393.

이 때, 제2 중공부(2331c)는 제2 단부면(2331e)을 관통하여 제1 중공부(2331b)까지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hollow portion 2331c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through the second end surface 2331e to the first hollow portion 2331b.

제1 롤러(233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중공부(2332c, 2333c)가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Second hollow parts 2332c and 2333c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roller 2331 may be equally provided on the second roller 2332 and the third roller 2333.

또한, 자성체(2393)는 전체적으로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제2 중공부(2331c)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중공부(2331c)의 회전축선(Xc) 방향 길이는 자성체(2393)의 회전축선(Xc) 방향 길이보다는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gnetic material 2393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hollow portion 2331c so that it is entirely buried. To this end, the length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2331c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magnetic material 2393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이를 통해, 자성체(2393)가 제1 롤러(2331)의 제2 단부면(2331e)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성체(2393)의 추가에 따른 세제펌프(230)의 사이즈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agnetic material 2393 can be configured not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nd surface 2331e of the first roller 2331, and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detergent pump 230 due to the add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2393 can be prevented. You can.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2393)는 제1 롤러(2331)의 제1 단부면(2331d) 및 제2 단부면(2331e) 중에서 제2 단부면(2331e)에 더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the magnetic material 2393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end surface 2331e among the first end surface 2331d and the second end surface 2331e of the first roller 2331. .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제2 단부면(2331e)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서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에 롤러센서(2391)가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sensor 2391 is disposed on the second end surface 2312 of the pump case 23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d surface 2331e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이러한 위치는 펌프모터(238)로부터 방출되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로서 선택된다. This location is selected as a location that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emitted from the pump motor 238.

다만, 롤러센서(2391)가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롤러센서(2391)와 최대한 근접해서 자성체(2393)가 제1 롤러(2331)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roller sensor 2391 to effectively detect the magnetic material 2393 of the first roller 2331, the magnetic material 2393 is placed on the first roller 2331 as close to the roller sensor 2391 as possible. needs to be

이를 위해, 롤러센서(2391)로부터 회전축선(Xc) 방향으로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1 롤러(2331)의 제1 단부면(2331d)에 치우쳐서 자성체(239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material 2393 is provided with a bias toward the first end surface 2331d of the first roller 2331 disposed closest to the roller sensor 2391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롤러센서를 이용한 제1 튜브의 위치변화 감지][Detection of position change of first tube using roller sensor]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제1 롤러(2331)와 롤러센서(2391) 사이의 배치 관계 및 롤러센서(2391)를 이용한 자성체(2393)의 감지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oller 2331 and the roller sensor 2391 and the detection structure of the magnetic material 2393 using the roller sensor 2391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센서(2391)는 회전축선(Xc)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sensor 2391 may be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magnetic body 2393 of the first roller 2331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나아가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을 구비하고,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은 회전축선(Xc) 방향으로 자성체(2393)이 공전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roller sensor 2391 may have a sensing surface 2391a, and the sensing surface 2391a of the roller sensor 2391 may be arranged so that the magnetic material 2393 overlaps the orbital area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보다 상세히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면(2391a)을 자성체(2393)를 향해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평행이동시키게 되면, 자성체(2393)가 공전하면서 자성체(2393)가 지나는 영역과 센싱면(2391a)이 중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9, when the sensing surface 2391a is moved in parallel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c) toward the magnetic material 2393, the area through which the magnetic material 2393 passes while orbiting and the sensing surface 2391a may overlap.

이를 통해,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과 자성체(2393) 사이의 직선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의 자성체 및 소형의 롤러센서(2391)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제펌프(230)가 소형화될 수 있고 세제펌프(230)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traight-lin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surface (2391a) of the roller sensor 2391 and the magnetic material 2393 can be minimized, making it possible to apply a small magnetic material and a small roller sensor 2391, so that the detergent pump 230 ) can be miniaturiz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tergent pump 230 can be reduced.

이하, 롤러센서(2391)를 이용한 제1 롤러(2331)의 위치변화 감지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2331 using the roller sensor 2391 will be described.

롤러센서(2391)는 소정의 감지영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oller sensor 239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선(Xc)을 기준으로 센싱면(2391a)으로부터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까지의 거리(D)가, 기준거리범위(Dth)가 되는 회전축선(Xc)으로부터 감지면까지의 거리보다 더 가까운 영역은 롤러센서(2391)의 감지영역이 되고, 센싱면(2391a)으로부터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까지의 거리(D)가 기준거리범위보다 더 멀리 떨어진 영역은 미감지영역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the distance (D) from the sensing surface (2391a) to the magnetic material 2393 of the first roller 2331 based on the rotation axis (Xc) is the reference distance range (Dth). The area clos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 An area where D) is farth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range may be an undetected area.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가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롤러센서(2391)는 이를 감지하여 제1 롤러(2331)가 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제1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when the magnetic material 2393 of the first roller 2331 is within the detection area, the roller sensor 2391 detects this and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first roller 2331 is within the detection area. A first output signal can be generated.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가 공전방향(R)을 따라 회전하여 감지영역을 벗어나 미감지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롤러센서(2391)는 이를 감지하여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를 벗어나 미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0, when the first roller 2331 rotates along the revolution direction (R) and leaves the detection area and exists in the non-detection area, the roller sensor 2391 detects this and detects the first roller ( 2331) may generate a second output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that it i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2391 and is within a non-detection area.

이와 같은 제1 출력신호 및 제2 출력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 신호로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 또는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에 제1 롤러(2331)가 회전하여 제1 롤러(2331)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Such a first output signal and a second output signal can be transmitted as electrical signals to the control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 unit 100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oller sensor 2391 into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output signal. When the signal changes, or when the second output signal changes to the first output signal, the first roller 2331 rotates,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2331 has changed.

[세제컨테이너의 세부 구성][Detailed composition of detergent container]

이하,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에 구비되는 세제컨테이너(280)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provided i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to 24.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컨테이너(280)의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는 소정의 세제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detergent storage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81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세제저장공간에는 세제펌프(230)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될 액체 상태의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Liquid detergent to be supplied to the tub 20 through the detergent pump 230 may be stored in the detergent storage space.

다만, 컨테이너본체(281)의 투입구(2811)에 밀폐캡(283)이 결합되고,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컨테이너본체(281)의 세제저장공간은 밀폐 상태가 된다.However, when the sealing cap 283 is coupled to the inlet 2811 of the container body 281 and the container body 281 is mounted on the housing 210, the detergent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81 is sealed. do.

따라서 세제펌프(230)를 통해 세제의 공급이 진행되면, 공급이 진행되면서 줄어들게 되는 세제의 잔량에 대응하여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은 점차 감소될 수 있다.Therefore, as the supply of detergent progresses through the detergent pump 230,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may gradually decrease in response to the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that decreases as the supply progresses.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이 감소되면, 내부 압력(Pi)의 감소량에 대응하여 세제펌프(230)의 작동 부하가 증가될 수 있다.When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decreases, the operating load of the detergent pump 230 may increase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internal pressure (Pi).

이와 같은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의 감소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2812)이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281a)에 구비될 수 있다.As a means of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a vent 281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281a of the container body 281, as shown in FIG. 21.

통기구(2812)은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 세제저장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281a)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기구(2812)은 원형홀로서 구비될 수 있다.The vent 2812 may be formed through the rear side 281a of the container body 281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detergent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81 and the external space. Exemplarily, the ventilation hole 2812 may be provided as a circular hole.

이 때, 통기구(2812)을 통한 세제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 배열된 상태를 기준으로 통기구(2812)은 세제의 최대 저장수위(max) 및 최소 저장수위(min)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inimize the outflow of detergent through the vent hole 2812, the vent hole 2812 has the maximum storage level (max) and minimum storage level (min) of the detergent based on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 can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다만, 통기구(2812)이 세제의 최대 저장수위(max)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세제컨테이너(280)의 탈거 및 장착 과정에서 통기구(2812)을 통한 액체 상태의 세제의 유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However, even if the ventilation hole 2812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maximum storage level (max) of the detergent, the liquid detergent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812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and installing the detergent container 280. The possibility of a leak cannot be ruled out.

이와 같은 통기구(2812)을 통한 세제의 유출을 방지하고,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 감소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통기구(2812)을 차단하고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가변하는 멤브레인(2812a)을 구비할 수 있다.As a means to prevent the leakage of detergent through the vent 2812 and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a membrane 2812a is used to block the vent 2812 and vary in respons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can be provided.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2812a)은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통기구(2812)을 전체적으로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membrane 2812a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81 and may be arranged to entirely cover the ventilation hole 2812.

멤브레인(2812a)은 예시적으로 천연러버, 합성러버 등과 같이 박막 형태로 가공이 용이하며, 내부 압력(Pi)과 외부 압력(Po) 차이에 대응하여 형상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membrane 2812a can be easily processed into a thin film form, such as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and can be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can be easily changed in response to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al pressure (Pi) and external pressure (Po). You can.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모터(238)의 정방향 구동이 개시되어 롤러(233)의 정방향 공전이 진행됨에 따라 컨테이너본체(281)의 세제저장공간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이 점차 줄어들게 되면, 내부 압력(Pi)의 감소에 대응하여 멤브레인(2812a)이 세제저장공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3, when the forward driving of the pump motor 238 is initiated and the roller 233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81 gradually decreases, In response to a decrease in internal pressure Pi, the membrane 2812a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causing deformation.

이와 같은, 멤브레인(2812a)의 변형에 의해서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과 외부 압력(Po) 사이의 평형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By deforming the membrane 2812a, the bala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Pi) and the external pressure (Po)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can be maintained.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량의 세제공급이 완료된 이후에 펌프모터(238)의 역방향 구동이 개시되어 롤러(233)의 역방향 공전이 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 after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completed, the pump motor 238 may begin to drive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roller 233 may begin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롤러(233)의 역방향 공전이 개시됨에 따라 컨테이너본체(281)의 세제저장공간으로 튜브(232)를 통해 터브(20)로부터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As the roller 233 begins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air can be supplied from the tub 20 through the tube 232 to the detergent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81.

이와 같이, 롤러(233)의 역방향 공전에 의해서 세제저장공간으로 공기가 도입되면 내부 압력(Pi)의 점차 회복될 수 있고,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과 외부 압력(Po) 사이의 평형이 유지되면서 멤브레인(2812a)은 본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원복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storage space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roller 233, the internal pressure (Pi) can be gradually recovered, and the equilibrium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Pi) and the external pressure (Po)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can be achieved. While this is maintained, the membrane 2812a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롤러(233)의 정방향 구동 및 역방향 구동에 관한 세부 내용은 도 26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Details regarding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roller 233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6 and below.

[제어부의 구성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of the dishwasher]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00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5.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각 기능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5,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0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al configuration.

제어부(100)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icrocontroller, microcomputer, or microprocessor, as is known in the art.

먼저, 제어부(100)는 세제펌프(230)의 펌프모터(2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세척행정이 개시된 후에 제어부(100)는 펌프모터(238)에 전력을 공급하여 세제펌프(230)를 정방향구동시켜 세제를 터브(20)로 공급하거나 세제펌프(230)를 역방향 구동시켜 공기를 세제컨테이너(280)의 세제저장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First, the control unit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ump motor 238 of the detergent pump 230. After the washing cycle is initiated, the control unit 100 supplies power to the pump motor 238 to drive the detergent pump 230 in the forward direction to supply detergent to the tub 20, or drives the detergent pump 230 in the reverse direction to pump air into the detergent. It is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280.

또한, 제어부(100)는 세척행정 진행 중 제1 롤러(2331)의 위치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롤러센서(239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oller sensor 2391 to detec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2331 in real time during the cleaning process.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센서(2391)는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가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가 감지영역을 벗어나 미감지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sensor 2391 generates a first outpu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0 when the magnetic material 2393 of the first roller 2331 is present in the detection area, and the first roller 2331 ) If the magnetic material 2393 leaves the detection area and exists in the non-detection area, a second output signal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제1 출력신호에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출력신호에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를 벗어나 미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output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the first roller 2331 is within the detection area of the roller sensor 2391,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the first roller 2331 i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2391. Information that it is within an undetected area may be included.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 또는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에 제1 롤러(2331)가 공전하여 제1 롤러(2331)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operates the first roller 2331 whe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oller sensor 2391 changes from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r changes from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first output signa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2331 has changed by rotating.

한편, 제어부(100)는 세제컨테이너(280)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240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280.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수신된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를 통해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수위센서(240)를 통해 감지되는 세제의 잔량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33) 또는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세제의 잔량이 부족하는 정보가 포함된 시각적 알람 또는 음향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output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240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100 can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stor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81 through the received output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240.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At this time, if the remaining amount of detergent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24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a visual message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insufficient amount of detergent remaining through the display 33 or the sound output unit 38. It can be controlled to generate an alarm or acoustic alarm.

한편, 제어부(100)는 세제컨테이너(280)의 탈착을 감지하기 위한 탈착감지센서(2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디.Meanwhile, the control unit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for detecting detachme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수신된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를 통해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인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output signal of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mounted on the housing 210 through the received output signal of the detachment detection sensor 260.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in a state of being used or has been removed from the housing 210.

제어부(100)는, 세제컨테이너(280)가 탈거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33) 또는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세제컨테이너(280)가 장착되지 않았다는 정보가 포함된 시각적 알람 또는 음향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280 has been removed, the control unit 100 sends a visual alarm or sound through the display 33 or the sound output unit 38 that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not installed. You can control it to generate an alarm.

한편, 제어부(100)는 메모리 및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행정별 운전조건 및 시간조건 등을 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행정의 진행 및 중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나아가 메모리에는 세척행정 중 공급될 세제공급량(기설정량)에 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and timer. The control unit 100 calls operation conditions and time conditions for each stroke pre-stored in memory and uses them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progress and termination of the stroke. Furtherm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preset amount) may be further stored in the memory.

또한, 제어부(10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각각의 행정별 경과시간등을 연산하고, 미리 저장된 행정별 시간조건과 비교하여 각각의 행정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00 can use a timer to calculate the elapsed time for each stroke and determine whether each stroke is complete by comparing it with pre-stored time conditions for each stroke.

또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33) 및 음향출력부(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33 and the audio output unit 38.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33)를 통해서 식기세척기(1)의 작동 상태, 작동 시간 및 헹정완료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부저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출력부(38)를 통해서 식기세척기(1)의 동작 상태 또는 헹정완료에 관한 알람을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0 can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us, operating time, and whether rinsing is complete, etc. of the dishwasher 1 through the display 33, and an audio output unit 38 such as the above-described buzzer or speaker. It is possible to control an alarm regard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dishwasher 1 or the completion of rinsing to be output by voice or sound.

이하,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S1)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method (S1)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to 28.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단일 튜브(232)를 통해 펌프모터(238)의 정회전 구동시 세제를 터브(20)로 공급하고 펌프모터(238)의 역회전 구동시 공기를 세제컨테이너(280)의 세제저장공간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이를 위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S1)은, 롤러(233)가 정방향으로 공전하도록 펌프모터(238)를 정방향 구동시키고, 설정된 공전횟수만큼 롤러(233)를 정방향으로 공전시켜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S10)와,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이 결정되면 펌프모터(238)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S20)와, 펌프모터(238)를 역방향 구동시키고 설정된 공전횟수만큼 롤러(233)를 역방향으로 공전시켜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을 회복시키는 단계(S30)와,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이 회복된 것으로 결정되면 펌프모터(238)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detergent to the tub 20 through the single tube 232 when the pump motor 238 is driven in forward rotation, and the pump motor 238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air to the detergent storage sp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To this end, as shown in FIG. 26, the control method (S1)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roller (233). )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pump motor 238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oller 233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 set number of revolutions to supply a preset amount of detergent (S10), and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comple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pump motor 238 is stopped (S20), the pump motor 238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roller 233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t number of revolutions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S30) of recovering the detergent storage space, and a step (S40)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motor 238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has been recovered.

도 27에는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S10)의 세부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7 shows the detailed steps of supplying a preset amount of detergent (S10).

도 27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세제공급을 개시하기 위해 펌프모터(238)에 전력을 공급하여 펌프모터(238)를 정방향 구동시킬 수 있다. (S11) Referring to FIG. 27, the control unit 100 may drive the pump motor 238 in the forward direction by supplying power to the pump motor 238 to start supplying detergent. (S11)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S12)Next, 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an output signal including either a first output signal or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2391. (S12)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출력신호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되고, 제2 출력신호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다는 정보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utput signal i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that the first roller 2331 i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2391,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i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that the first roller 2331 i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2391. 2391) may be information that the location i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다음으로, 롤러센서(2391)로부터 출력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수신되는 출력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의 변화, 또는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3)Next, when an out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oller sensor 2391, the control unit 100 changes the received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r changes the received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first output signal. Determine whether change occurs for the first time. (S13)

다음으로, S13 단계에서 출력신호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한다. (S14)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has occurred for the first time in step S13,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initial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S14)

여기서, 최초 변화 상태는,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1 변화 상태, 또는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가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2 변화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hange state is a first change state in which the output signal of the roller sensor 2391 changes from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r the output signal of the roller sensor 2391 changes from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first change state. It can be any one of the second change states that change into the output signal.

다음으로, S14 단계에서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가 결정되면,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출력신호를 재수신한다. (S15)Next, when the initial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is determined in step S14, the control unit 100 re-receives the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2391. (S15)

이어서, 제어부(100)는 S15 단계에서 재수신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6)Next,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initial change state occurs from the output signal re-received in step S15. (S16)

즉, 제어부(100)는 S14 단계에서 최초 변화 상태가 제1 변화 상태인 것인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동일한 제1 변화 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14 단계에서 최초 변화 상태가 제2 변화 상태인 것인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동일한 제2 변화 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the first change state is the first change stat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same first change state occurs, and in step S14, if the first change state is the second change stat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hange state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the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ame second change state occurs.

다음으로, S16 단계에서 재수신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N)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N1)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17)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initial change state has occurred from the output signal re-received in step S16, the control unit 100 increases the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N) by one and updates the updated forward signal. Store the number of signal changes (N1) in memory. (S17)

여기서, 갱신되고 저장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N1)는 펌프모터(238)의 작동 개시 이후로부터 연산되는 제1 롤러(2331)의 정방향 공전횟수가 될 수 있다.Here, the updated and stored forward signal change number N1 may be the forward rotation number of the first roller 2331 calculated from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pump motor 238.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S17 단계에서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N1)와 미리 설정된 횟수(N_th)를 비교한다. (S18)Next, the control unit 100 compares the updated forward signal change count (N1) and the preset count (N_th) in step S17. (S18)

여기서 미리 설정된 횟수(N_th)는 예시적으로 100회가 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number of times (N_th) may be exemplarily 100 times.

한편, S18 단계의 비교 결과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N1)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펌프모터(238)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에 공급된 세제 공급량이 기설정된 세제공급량에 도달된 것으로 판정하고,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S19)Meanwhil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1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N1) has reached the preset number (N_th),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after the pump motor 238 starts operat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reset detergent supply amount has been reached,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detergent has been completed. (S19)

즉, 제어부(100)는 제1 롤러(2331)의 위치변화 횟수를 기초로 제1 롤러(2331)의 정방향 공전횟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제1 롤러(2331)의 정방향 공전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하면, 기설정된 세제공급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00 calculates the number of forward revolutions of the first roller 2331 based on the number of position changes of the first roller 2331, and the calculated number of forward revolutions of the first roller 2331 is a preset number. When (N_th) is reach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t detergent supply amount has been reached.

한편, S18 단계의 비교 결과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N1)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S15 단계로 복귀하여 이후 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N1) has not reached the preset number (N_t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18, the control unit 100 may return to step S15 and repeat the subsequent steps.

도 28에는 전술한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을 회복시키는 단계 (S30)의 세부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8 shows the detailed steps of the step (S30) of recovering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described above.

도 28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세제컨테이너(280)의 세제저장공간으로 공기 공급을 개시하기 위해 펌프모터(238)에 전력을 공급하여 펌프모터(238)를 역방향 구동시킬 수 있다. (S31) Referring to FIG. 28, the control unit 100 may drive the pump motor 238 in the reverse direction by supplying power to the pump motor 238 to start supplying air to the detergent storage sp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S31)

S31 단게에서, 펌프모터(238)의 역방향 구동이 개시되면서 제1 롤러(2331)의 역방향 공전이 개시될 수 있다.In step S31, reverse driving of the pump motor 238 may begin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2331 may begin.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S32)Next, 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an output signal including either a first output signal or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2391. (S32)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S32 단계에서 수신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최초 변화 상태와 반대되는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Next,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the initial change state occurs from the output signal received in step S32. (S33)

즉, 제어부(100)는 전술한 S14 단계에서의 최초 변화 상태가 제1 변화 상태인 것인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반대인 제2 변화 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14 단계에서 최초 변화 상태가 제2 변화 상태인 것인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반대인 제1 변화 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if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first change stat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4 is the first change stat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opposite second change state occurs, an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hange state occurs in step S14. 2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n a change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posite first change state occurs.

즉, 롤러(233)는 역방향으로 공전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제어부(100)는 최초 변화 상태와 반대되는 변화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roller 233 is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state that is opposite to the initial change state.

다음으로, S32 단계에서 수신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전술한 최초 변화 상태와 반대의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N2)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N2)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34)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the first change state described above has occurred from the output signal received in step S32, the control unit 100 increases the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N2) by one and updates it. The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N2) is stored in memory. (S34)

여기서, 갱신되고 저장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N2)는 펌프모터(238)의 작동 개시 이후로부터 연산되는 제1 롤러(2331)의 역방향 공전횟수가 될 수 있다.Here, the updated and stored reverse signal change number N2 may be the reverse rotation number of the first roller 2331 calculated from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pump motor 238.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S34 단계에서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N2)와 미리 설정된 횟수(N_th)를 비교한다. (S35)Next, the control unit 100 compares the updated reverse signal change count (N2) with the preset count (N_th) in step S34. (S35)

여기서 미리 설정된 횟수(N_th)는 전술한 S18 단계의 미리 설정된 횟수(N_th)와 동일하게 100회가 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number of times (N_th) may be 100, the same as the preset number of times (N_th) in step S18 described above.

한편, S35 단계의 비교 결과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N2)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펌프모터(238)의 역방향 구동이 개시된 이후에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이 회복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36)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reverse signal change count (N2) has reached the preset count (N_th) as a result of comparison in step S35, the control unit 100 stores the detergent storage space after the reverse drive of the pump motor 238 is star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has been recovered. (S36)

즉, 제어부(100)는 제1 롤러(2331)의 역방향 위치변화 횟수를 기초로 제1 롤러(2331)의 역방향 공전횟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제1 롤러(2331)의 역방향 공전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하면, S10 단계 동안 공급된 세제공급량에 대응한 공기량이 세제컨테이너(280)로 공급되고, 이를 통해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Pi)이 회복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00 calculates the number of reverse revolutions of the first roller 2331 based on the number of reverse position changes of the first roller 2331, and the calculated number of reverse revolutions of the first roller 2331 is preset. When the number (N_th) is reached, the amount of ai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during step S10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280, and through thi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has been recovered.

한편, S35 단계의 비교 결과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N2)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S32 단계로 복귀하여 이후 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35 that the updated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N2) has not reached the preset number (N_th), the control unit 100 may return to step S32 and repeat the subsequent step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는 제1 롤러(2331)의 정방향 공전횟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제1 롤러(2331)의 공전횟수를 기초로 하여 목표 세제공급량 도달여부를 판단하고, 정방향 공전횟수와 동일하게 제1 롤러(2331)를 역방향으로 공전시켜 세제저장공간이 내부 압력(Pi)이 회복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232)의 경화 또는 마모, 롤러(233)와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 사이의 마찰력 저하에 따른 슬립 발생에도 불구하고 실제 세제공급량에 대응하여 세제컨테이너(280)의 내부 압력(Pi)이 효과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In this way, the detergent supply device 200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number of revolution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2331 and supplies a target detergent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irst roller 2331. Since the detergent storage space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Pi) can be recover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upply amount has been reached and rotating the first roller 2331 in the reverse direction equal to the number of rotation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tube (2331) as described above Despite the hardening or wear of 232) and the occurrence of slip due to a decrease in friction between the roller 233 and the output shaft 2381 of the pump motor 238, the internal pressure (Pi) of the detergent container 280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actual detergent supply amount. ) has the effect of being effectively recove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100: 제어부 200: 세제공급장치
1: Dishwasher 10: Case
20: Tub 30: Door
40: driving part 50: storage part
100: Control unit 200: Detergent supply device

Claims (14)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및
상기 세척공간으로 제공될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하는 세제펌프를 구비하는 세제공급장치;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구와, 상기 통기구을 차단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가변하는 멤브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안내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가압하여, 회전축선 주위로 공전하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공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펌프모터;
상기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롤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롤러센서; 및
상기 롤러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가 정방향으로 공전하도록 상기 펌프모터를 정방향 구동시키고, 설정된 공전횟수만큼 상기 롤러를 정방향으로 공전시켜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펌프모터를 역방향 구동시키고 상기 설정된 공전횟수만큼 상기 롤러를 역방향으로 공전시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
를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A tub with a washing space formed inside;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ing a container having a detergent storage space in which detergent to be provided to the washing space is accommodated, and a detergent pump supplying the detergent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washing space;
In a dishwasher including,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that communicates the detergent storage space with the outside, and a membrane that blocks the ventilation hole and varies in respons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The detergent pump is,
a tube that guides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to the washing space;
a roller that pressurizes the tube and moves the detergent within the tube while revolving around a rotation axis;
A pump mo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rolle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roller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roller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ller sensor and driving the pump mot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pump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roll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otating the roller in the forward direction a set number of rotations to supply a preset amount of detergent; and
When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completed, driving the pump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rotating the roller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t number of revolutions to resto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A dishwasher that performs.
제1 항에서,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펌프모터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출력신호가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의 변화,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한 이후에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초 변화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와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1:
The step of supplying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receiving an output signal including either a first output signal or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output signal initially changes from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r changes from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first output signal;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ccurs, determining the first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After determining the first change state,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first change state occurs;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initial change state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identical to the initial change has occurred, the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is increased by one and updated, and the updated forward signal is updated. Storing the number of signal changes; and
Comparing the updated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with a preset number of times;
Dishwasher including.
제2 항에서,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롤러가 정방향으로 공전되도록 상기 펌프모터를 정방향 구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step of supplying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Before receiving the output signal, driving the pump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roll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 dishwasher further comprising:
제2 항에서,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step of supplying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has reached the preset number, determining that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has been completed;
A dishwasher further comprising:
제4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이 결정되면,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4: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preset amount of detergent is complete,
stopping operation of the pump motor;
Dishwasher performs better.
제2 항에서,
상기 제1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first output signal include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that the roller i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The second output signal includes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hat the roller is located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roller sensor.
제2 항에서,
상기 최초 변화 상태는,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1 변화 상태,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2 변화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first change state is,
A dishwasher that is in one of a first change state in which the first output signal changes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r a second change state in which the second output signal changes to the first output signal.
제2 항에서,
상기 정방향 신호변화 횟수는, 상기 롤러의 정방향 공전횟수가 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는, 100회가 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number of forward signal changes is the number of forward revolutions of the roller,
A dishwasher where the preset number of times is 100.
제2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추가로 재수신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control unit,
After determining the initial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additionally re-receiv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Dishwasher performs better.
제2 항에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는,
상기 펌프모터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출력신호가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와 반대되는 출력신호의 변화 상태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와 반대되는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초 변화와 반대되는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step of resto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is,
When the pump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receiving an output signal including either a first output signal or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roller sensor;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output signal,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an initial change state of the output signal is detect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the initial change state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pposite to the initial change has occurred, the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is increased by one and updated. storing the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and
Comparing the updated reverse signal change count with the preset count;
Dishwasher including.
제10 항에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롤러가 역방향으로 공전되도록 상기 펌프모터를 역방향 구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10:
The step of resto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is,
Before receiving the output signal, driving the pump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roller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 dishwasher further comprising:
제10 항에서,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을 회복시키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이 회복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10:
The step of resto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number of reverse signal changes has reached the preset number, determining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has been recovered;
A dishwasher further comprising:
제12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이 회복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12: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rgent storage space has been recovered,
stopping operation of the pump motor;
Dishwasher performs better.
제10 항에서,
상기 역방향 신호변화 횟수는, 상기 롤러의 역방향 공전횟수가 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10:
A dishwasher wherein the number of times the reverse signal changes is the number of times the roller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KR1020220179507A 2022-12-20 2022-12-20 Dish washer KR202400974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507A KR20240097451A (en) 2022-12-20 2022-12-20 Dish washer
PCT/KR2023/020856 WO2024136363A1 (en) 2022-12-20 2023-12-18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507A KR20240097451A (en) 2022-12-20 2022-12-20 Dish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7451A true KR20240097451A (en) 2024-06-27

Family

ID=9158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507A KR20240097451A (en) 2022-12-20 2022-12-20 Dish wash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97451A (en)
WO (1) WO2024136363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93B1 (en) * 2006-10-1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50006260A (en)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Auto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DE102015207342B4 (en) * 2015-04-22 2021-09-23 BSH Hausgeräte GmbH Laundry care device with a dosing system
KR102123792B1 (en) * 2019-02-19 2020-06-17 (주)수기솔루션 Cleanser pump for dishwasher
KR102582267B1 (en) * 2019-04-12 202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36363A1 (en) 202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569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US7350527B2 (en) Dishwasher filter system
CA2934870C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US20070006899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60054198A1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51720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KR100856783B1 (en) 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of dish washer
EP1758497A1 (en) Water level senso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20240097451A (en) Dish washer
KR20240097452A (en) Dish washer
KR20180136084A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rear panel of the same
KR20240097449A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3490486A (en) Control means for an automatic dishwasher
KR20190024466A (en) Dish washer
US7694689B2 (en) Dish washer and sump mounting structure thereof
KR20090025626A (en) Dish washer
KR20240097450A (en) Dish washer
US7771543B2 (en)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KR101054104B1 (en) Air brake structure of dishwasher
JP2006043123A (en) Moving type dish washer and dryer
JP3849260B2 (en) dishwasher
CN211704511U (en) Mute dish washing machine
KR102547552B1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4085627B2 (en) dishwa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