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048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3048A KR20240083048A KR1020230172135A KR20230172135A KR20240083048A KR 20240083048 A KR20240083048 A KR 20240083048A KR 1020230172135 A KR1020230172135 A KR 1020230172135A KR 20230172135 A KR20230172135 A KR 20230172135A KR 20240083048 A KR20240083048 A KR 202400830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wall
- battery pack
- base plate
- coupling member
- part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셀 조립체가 수용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상기 셀 조립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팩 케이스는, 상기 셀 조립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각 셀 조립체가 분리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셀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셀 조립체의 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셀 조립체가 분리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셀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을 결합부재로 나사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2V 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 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 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셀 조립체를 먼저 구성한다.
도 1은 셀 조립체(10)가 수용되는 종래의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2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팩 케이스(2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셀 조립체(10)가 각각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각 셀 조립체(10)는 팩 케이스(20)의 바닥에 해당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측벽(40)에 의해 측부가 지지되고, 격벽(50)에 의해 측부가 지지되면서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셀 조립체(10)가 모두 수용된 팩 케이스(20)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셀 조립체(10)가 격벽(5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추가로 상기 팩 케이스(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메인벽(6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각 셀 조립체(10)는 상기 메인벽(60)과 격벽(50)에 의해 독립된 공간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격벽(50)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도 3은 격벽(50) 및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용접을 간단히 나타낸 것으로, 상기 격벽(50)과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를 용접 토치(70)로 용접한다. 이때, 상기 용접에 의해 용접 비드(80)가 생성되는데, 상기 용접 비드(8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격벽(50)과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용접에 의해 형성된 용접 비드(80)로 인해 셀 조립체(10)의 안착이 방해받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팩 케이스(20)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격벽(50)의 양측 단부로 용접 비드(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접 비드(80)는 셀 조립체(10)가 베이스 플레이트(30) 상부에 안착될 때, 상기 셀 조립체(10)의 모서리와 간섭을 일으킨다. 즉, 상기 셀 조립체(10)는 안착되는 중에 상기 용접 비드(80)와 부딪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 상에 온전히 자리를 잡고 안착 되지 못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접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팩 케이스(20)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배터리 팩의 무게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셀 조립체(10)가 격벽(50)에 제대로 지지되지 못한다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셀 조립체의 측부가 제대로 지지되면서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셀 조립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팩 케이스는, 상기 셀 조립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각 셀 조립체가 분리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셀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상기 격벽은 하단부에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격벽의 나사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복수의 나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홈은 상기 격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팩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팩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냉각유로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냉각유로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격벽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격벽의 중단 높이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내부에 보강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격벽의 나사홈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바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는 원 기둥 및 다각 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복수의 보강바를 포함하고, 각 보강바는 상기 격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팩 케이스 내부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셀 조립체의 측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배터리 팩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셀 조립체가 열폭주 현상으로 인해 팽창하더라도 상기 열폭주되는 셀 조립체 및 주변의 타 셀 조립체의 변형 및 폭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셀 조립체를 수용한 종래의 팩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팩 케이스에 포함된 격벽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용접 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팩 케이스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팩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의 팩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후)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후)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전)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후)
도 14는 격벽 내부의 보강바 및 격벽 외부의 결합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격벽 내부의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와 결합된 결합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격벽의 보강바 및 결합부재의 결합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셀 조립체를 수용한 종래의 팩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팩 케이스에 포함된 격벽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용접 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팩 케이스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팩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의 팩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후)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후)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전)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합부재 결합 후)
도 14는 격벽 내부의 보강바 및 격벽 외부의 결합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격벽 내부의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와 결합된 결합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격벽의 보강바 및 결합부재의 결합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 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 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도면에 서의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비율은 실제적인 크기나 비율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셀 조립체가 수용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셀 조립체의 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셀 조립체가 분리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셀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을 결합부재로 나사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고, 도 12 내지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하, 각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100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팩 케이스(1000)의 저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5의 팩 케이스(1000)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복수의 셀 조립체(S)가 수용된다.
상기 셀 조립체(S)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셀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셀은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가 외부로 도출되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싸서 밀봉하는 전지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셀은 전극 조립체와 전지 케이스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셀, 각형 셀 및 파우치형 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셀은 전극 조립체가 롤 형태로 말려있으며, 원통형태의 전지 케이스 내에 삽입된다.
상기 각형 셀은 상기 전극 조립체가, 전극 및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쌓인 스택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폴딩된 시트형의 분리막 상에 전극 등이 제공된 스택-폴딩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각형 셀은 전극 조립체가 사각 박스형태의 전지 케이스 내에 삽입된다.
상기 파우치형 셀은 전극 조립체가 스택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스택-폴딩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셀은 전극 조립체가 파우치형태의 전지 케이스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셀 조립체는 원통형 셀, 각형 셀 및 파우치형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조립체(S)는 복수의 셀과 상기 각 셀에 포함된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셀 조립체(S)는 각 셀들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셀 블록의 둘레를 감싸는 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프레임은 상기 셀 블록의 일부만 지지하거나 보호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셀 블록을 외부와 완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셀 블록의 노출된 모든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상기 셀 조립체(S)의 측부 및 하부를 감싸서 지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상기 셀 조립체(S)가 직접 수용되는 팩 케이스(1000)를 포함한다. 또한, 각 셀 조립체(S)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팩 케이스(1000)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부 케이스는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성이 적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팩 케이스(1000)는 셀 조립체(S)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안착된 셀 조립체(S)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팩 케이스(100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0), 측벽(200) 및 격벽(3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셀 조립체(S)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셀 조립체(S)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로(120)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2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안착된 셀 조립체(S)의 측부를 지지하고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한다.
상기 격벽(30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각 셀 조립체(S)가 분리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셀 조립체(S)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결합된다.
상기 팩 케이스(10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결합되는 메인벽(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벽(400)은 팩 케이스(1000) 내부 공간을 크게 두 개로 구획하면서 셀 조립체(S)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벽(400)은 내부에 도선 및 버스바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팩 케이스(1000)에 수용된 복수의 셀 조립체(S)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격벽(300) 및 메인벽(400)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상기 팩 케이스(1000)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격벽(30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나사결합 된다. 즉, 상기 격벽(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부재(B)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결합부재(B)는 나사결합이 가능한 볼트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1000)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결합부재(B)를 격벽(300)과 결합하기 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결합부재(B)를 격벽(300)과 결합한 이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 의하면, 상기 격벽(300)은 하단부에 나사홈(31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상기 격벽(300)의 나사홈(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결합홀(1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격벽(30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일차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격벽(300)의 나사홈(310)과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결합홀(110)은 서로 일치된다.
상기 결합부재(B)는 상기 결합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31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격벽(300)을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고정시킨다.
상기 격벽(300)은 복수의 나사홈(3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각 나사홈(310)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홀(11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나사홈(310)은 상기 격벽(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부재(B)는 상기 격벽(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차례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냉각유로(120)가 적용될 경우, 상기 냉각유로(120)는 팩 케이스(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팩 케이스(100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홀(110) 및 나사홈(310)은 상기 냉각유로(120) 사이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B)는 상기 냉각유로(120) 사이에 삽입되어 격벽(3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격벽(300)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부재(B)의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1000) 일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결합부재(B)를 격벽(300)과 결합하기 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결합부재(B)를 격벽(300)과 결합한 이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B)는 상기 격벽(300)의 중단 높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길이가 긴 결합부재(B)를 사용할 경우, 상기 격벽(300)의 중단 높이 이상까지 삽입되어 격벽(30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즉, 상기 결합부재(B)로 인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격벽(300)이 버티는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수용된 셀 조립체(S)에 문제가 생겨 팽창할 경우, 상기 격벽(300) 및 상기 격벽(300)에 삽입된 결합부재(B)는 상기 셀 조립체(S)로부터 전해지는 팽창력을 온전히 견딜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격벽(300) 내부에 보강바(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B)가 상기 보강바(320)와 결합되어 격벽(300)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의 결합부재(B)에 보강바(320) 구성을 더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보강바(320)는 강철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 강도가 높고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어떠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팩 케이스(10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격벽(300) 내부의 보강바(320) 및 상기 보강바(32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B)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상기 도 12의 보강바(320)와 결합부재(B)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격벽(30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보강바(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B)는 상기 격벽(300)의 나사홈(310)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바(320)와 결합한다.
상기 보강바(320)는 상기 격벽(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격벽(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300)은 어느 한쪽에 치우쳐서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보강바(320)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격벽(300)은 상기 보강바(320)와 결합된 결합부재(B)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한 외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도 14는 격벽(300) 내부의 보강바(320) 및 격벽(300) 외부의 결합부재(B)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는 격벽(300) 내부의 보강바(320) 및 상기 보강바(320)와 결합된 결합부재(B)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강바(320)는 나사홈(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보강홀(32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나사홈(310)에 삽입된 결합부재(B)는 상기 보강바(320)의 보강홀(321)을 통과하면서 상기 보강바(3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32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원 기둥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 기둥일 수도 있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배터리 팩에 포함된 보강바(320)가 복수개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격벽(300)의 보강바(320) 및 결합부재(B)의 결합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격벽(300)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보강바(320)를 포함하고, 각 보강바(320)는 상기 격벽(3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보강바(320)는 격벽(300)에 삽입된 결합부재(B)가 모든 보강바(320)를 관통시키도록 위치한다.
이상, 도면과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또는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종래 기술) 셀 조립체
20: (종래 기술) 팩 케이스
30: (종래 기술) 베이스 플레이트
40: (종래 기술) 측벽
50: (종래 기술) 격벽
60: (종래 기술) 메인벽
70: (종래 기술) 용접 토치
80: (종래 기술) 용접 비드
1000: 팩 케이스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결합홀
120: 냉각유로
200: 측벽
300: 격벽
310: 나사홈
320: 보강바
321: 보강홀
400: 메인벽
S: 셀 조립체
B: 결합부재
20: (종래 기술) 팩 케이스
30: (종래 기술) 베이스 플레이트
40: (종래 기술) 측벽
50: (종래 기술) 격벽
60: (종래 기술) 메인벽
70: (종래 기술) 용접 토치
80: (종래 기술) 용접 비드
1000: 팩 케이스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결합홀
120: 냉각유로
200: 측벽
300: 격벽
310: 나사홈
320: 보강바
321: 보강홀
400: 메인벽
S: 셀 조립체
B: 결합부재
Claims (10)
- 복수의 셀 조립체가 수용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셀 조립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팩 케이스는,
상기 셀 조립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각 셀 조립체가 분리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셀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하단부에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격벽의 나사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는 배터리 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의 나사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은 상기 격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팩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팩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냉각유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배터리 팩.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냉각유로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격벽과 결합되는 배터리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격벽의 중단 높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배터리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내부에 보강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격벽의 나사홈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바와 결합되는 배터리 팩.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는 원 기둥 및 다각 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배터리 팩.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의 보강바를 포함하고,
각 보강바는 상기 격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터리 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9736 WO2024117879A1 (ko) | 2022-12-02 | 2023-12-01 | 배터리 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7128 | 2022-12-02 | ||
KR20220167128 | 2022-12-02 | ||
KR1020230035452 | 2023-03-17 | ||
KR1020230035452A KR20240082979A (ko) | 2022-12-02 | 2023-03-17 | 배터리 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3048A true KR20240083048A (ko) | 2024-06-11 |
Family
ID=9147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2135A KR20240083048A (ko) | 2022-12-02 | 2023-12-01 | 배터리 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83048A (ko) |
-
2023
- 2023-12-01 KR KR1020230172135A patent/KR20240083048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52620B1 (en) | Sealed storage battery and modular system therefor | |
JP5889418B2 (ja) | 信頼性が向上した電池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中大型電池パック | |
KR100590006B1 (ko) |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 |
EP2533350B1 (en)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heat exchange efficiency | |
US8932749B2 (en) | Battery module | |
KR101252952B1 (ko) | 배터리 셀의 유동을 방지하는 배터리 모듈 | |
EP2317587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EP2793289A2 (en) | Battery module | |
US20230238658A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CN112673520B (zh) | 电源装置和具备电源装置的车辆以及蓄电装置 | |
US20140356664A1 (en) | Battery module | |
KR20160094235A (ko) | 전력저장장치 | |
US20220231382A1 (en) | Battery pack with enhanced structure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and shock | |
KR20240083048A (ko) | 배터리 팩 | |
KR20240082979A (ko) | 배터리 팩 | |
KR20240083050A (ko) | 배터리 팩 | |
KR20240083049A (ko) | 배터리 팩 | |
JP6612893B2 (ja) | 組電池 | |
KR20170025628A (ko) | 전기 구동장치의 리듐전지 팩 구조 | |
KR102707212B1 (ko) |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 |
KR102639410B1 (ko) | 배터리 팩 | |
CN219873778U (zh) | 储能装置 | |
KR20240123765A (ko) | 배터리 팩 | |
KR102695974B1 (ko) | 셀 스택 조립체 및 상기 셀 스택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20240080355A (ko) | 배터리 패키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