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59097A -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 Google Patents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097A
KR20240059097A KR1020220139918A KR20220139918A KR20240059097A KR 20240059097 A KR20240059097 A KR 20240059097A KR 1020220139918 A KR1020220139918 A KR 1020220139918A KR 20220139918 A KR20220139918 A KR 20220139918A KR 20240059097 A KR20240059097 A KR 20240059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area
bridge portion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097A/ko
Priority to PCT/KR2023/014921 priority patent/WO2024076093A1/ko
Publication of KR2024005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모듈은, 탄성 부재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프레임은 브리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부는 절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브리지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홈 및 상기 브리지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이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 영역의 높이는 상기 브리지부의 두께의 5% 내지 25%이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는 다르다.

Description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ELASTICITY MEMBER MODULE AND ELASTICITY MEMBER}
실시예는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이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기 전에는 탄성 부재가 휘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 부재는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절단할 때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일부 잔류할 수 있다. 이러한 잔류 영역은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탄성 부재를 취급할 때, 안정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탄성 부재의 베젤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탄성 부재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베젤 영역이 감소된 탄성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모듈은, 탄성 부재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프레임은 브리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부는 절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브리지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홈 및 상기 브리지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이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 영역의 높이는 상기 브리지부의 두께의 5% 내지 25%이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는 다르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모듈은 접합부와 연결되는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들은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를 프레임과 분리하기 위해 브리지부를 절단할 때,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보다 내측에서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분리되는 상기 탄성 부재는 절단면이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절단면이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탄성 부재를 취급할 때, 절단 후 잔류하는 돌출 영역에 의해 안전 상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탄성 부재의 베젤 영역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 모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중첩 영역에서 브리지부가 절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이를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탄성 부재(100),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2000) 및 터치 패널(3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하는 지지기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온셀(On-Cell) 또는 인셀(In-Cell)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금속 물질 및 비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은 금속 물질 및 비금속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플렉서블 하거나 또는 폴더블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1 방향(1D)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2D)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1D)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폴딩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2D)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2 방향(2D)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폴딩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상기 표시 패널(2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영상만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30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패널(3000)이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3000)의 기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기재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터치 패널(3000)과 상기 표시 패널(200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0% 이상 내지 1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5% 이상 내지 105%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7% 이상 내지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이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0%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가 상기 표시 패널(2000) 또는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감소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의 언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이 상기 표시 패널(2000) 면적의 110%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에 의해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력은 확보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 패널(3000)의 상부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0)의 상부(터치 패널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접착층 등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탄성 부재(10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는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제 1 면(1S) 또는 상기 제 2 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패널들이 배치되는 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지거나 또는 상기 패널들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100)의 제 2 면 및 제 1 면이 교대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다수의 제 1 영역과 다수의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00)에서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탄성 부재(100)는 폴딩이 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 및 폴딩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탄성 부재(1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는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가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영역(2A)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영역(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탄성 부재(1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탄성 부재(1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 전체 면적의 1% 이상 내지 3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 전체 면적의 5% 이상 내지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 전체 면적의 10% 이상 내지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이 상기 탄성 부재(100) 전체 면적의 1%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 및 복원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의 경계면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폴딩 신뢰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이 상기 탄성 부재(100) 전체 면적의 3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기 표시 패널(2000)의 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이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이 탄성 부재(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가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탄성부재가 폴딩 된 후를 도시한 탄성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폴딩축(FAX)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폴딩 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 축을 따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하고,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들에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면(2S)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곡률 반경 증가)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하다가 증가하거나, 곡률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폴딩 형상은 U자형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폴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기 전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프레임(200)과 결합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이 결합된 탄성 부재 모듈(1000)로 제조하고, 상기 탄성 부재(100)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때는 상기 탄성 부재(100)를 상기 프레임(2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탄성 부재 모듈(100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 모듈(1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 상기 프레임(2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을 연결하는 브리지부(B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은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브리지부(BR)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부(BR)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가장자리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브리지부(B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부(BR)는 설정된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리지부(BR)의 폭은 상기 탄성 부재(100)에서 상기 프레임(200)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부(BR)는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이 연결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브리지부(BR)는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을 분리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상기 브리지부(BR)의 일 영역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브리지부(BR)를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를 상기 프레임(2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리지부(BR)를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해, 상기 브리지부(BR)의 일 영역에 절단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절단 영역을 설정 깊이로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의 절단 영역은 상기 브리지부(BR)의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브리지부(BR)에 형성된 홈 영역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에는 복수의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부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으로 진행되고, 이때,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 형상의 절단 영역의 폭이 증가하면서, 상기 절단 영역이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이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 모듈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은 탄성 부재 모듈(1000)에서 탄성 부재(100)와 브리지부(BR)의 절단 전 및 절단 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브리지부(B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브리지부(BR)가 상기 탄성 부재(100)에서 상기 프레임(200)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폭이 넓어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브리지부(BR)의 폭은 상기 탄성 부재(100)에서 상기 프레임(200)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폭이 동일하거나 또는 좁아질 수도 있다.
상기 브리지부(BR)는 절단 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 영역(CA)은 제 1 홈(G1) 및 제 2 홈(G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부(BR)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면과 대응되고, 상기 타면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타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브리지부(BR)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일면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브리지부(BR)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타면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 영역(CA)은 중첩 영역(O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첩 영역(OA)은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절단 영역(CA)에서 상기 제 1 방향(1D)으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절단 영역(CA)에서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설정된 폭 및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홈(G1)은 제 1 폭(W1) 및 제 1 높이(H1)를 가지고, 상기 제 2 홈(G2)은 제 2 폭(W2) 및 제 2 높이(H2)를 가진다.
상기 제 1 폭(W1) 및 상기 제 2 폭(W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폭(W1) 및 상기 제 2 폭(W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50% 이하, 40%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폭(W1) 및 상기 제 2 폭(W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25% 내지 50%, 30% 내지 45% 또는 35% 내지 4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폭(W1) 및 상기 제 2 폭(W2)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폭(W1) 및 상기 제 2 폭(W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이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25% 미만이면, 상기 브리지부(BR)에서 절단 영역(CA)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의 절단 영역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 1 폭(W1) 및 상기 제 2 폭(W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이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50% 초과하면, 상기 브리지부(BR)에서 절단 영역(CA)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의 크기가 증가하여 탄성 부재 모듈의 크기도 함께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리지부(BR)에서 식각되는 영역이 증가되고, 이에 의해 상기 브리지부(BR)의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 모듈을 취급할 때, 상기 브리지부(BR)가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50% 이하, 40%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25% 내지 50%, 30% 내지 45% 또는 35% 내지 4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25% 미만이면, 상기 절단 영역(CA)에서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에 의해 식각되지 않고 잔류하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를 절단할 때, 큰 힘이 요구되므로, 상기 브리지부(BR)의 절단 영역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50% 초과하면, 상기 절단 영역(CA)에서 식각되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의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 모듈을 취급할 때, 상기 브리지부(BR)가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H3)는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H3)는 상기 중첩 영역(OA)의 최대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첩 영역(OA)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높이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H3)는 상기 중첩 영역(OA)의 최대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H3)는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H3)는 5% 내지 25%, 10% 내지 20% 또는 15% 내지 18%일 수 있다.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H3)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5% 미만이면,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단 영역(CA)에 홀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브리지부(BR)의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 모듈을 취급할 때, 상기 브리지부(BR)가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H3)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25% 초과하면, 상기 절단 영역(CA)에서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에 의해 식각되지 않고 잔류하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를 절단할 때, 큰 힘이 요구되므로, 상기 브리지부(BR)의 절단 영역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의 피치(P)는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의 피치(P)는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의 피치(P)는 10% 내지 25% 또는 15%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의 피치(P)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10% 미만이면,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단 영역(CA)에 홀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브리지부(BR)의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 모듈을 취급할 때, 상기 브리지부(BR)가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의 피치(P)가 상기 브리지부(BR)의 두께(T)의 25% 초과하면, 상기 중첩 영역(OA)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첩 영역(OA)에 잔류하는 브리지부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BR)를 절단할 때, 큰 힘이 요구되므로, 상기 브리지부(BR)의 절단 영역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브리지부(BR)는 상기 절단 영역(CA)에서 절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부(BR)는 상기 절단 영역(CA)의 일 영역에서 절단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부(BR)는 상기 절단 영역(CA)의 중첩 영역(OA)에서 절단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리지부(BR)는 상기 절단 영역(CA)에서 작은 높이를 가지는 영역에서 절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모듈은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부는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부는 상기 브리지부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홈 및 제 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설정된 높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홈 및 제 2 홈의 폭 및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 모듈에 롤투롤 공정을 통해 패턴부를 형성할 때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브리지부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을 형성할 때, 공정 중 오차에 의해 브리지부에 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 모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모듈은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부는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들은 중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부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중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의 높이 및 폭을 감소하여도, 상기 브리지부는 상기 중첩 영역을 통해서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분리된 탄성 부재(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2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복수의 패턴부(P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투롤 공정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 모듈의 탄성 부재에 복수의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브리지부는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제 1 홈, 제 2 홈 및 중첩 영역을 포함하므로, 상기 탄성 부재에 패턴부를 형성할 때,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P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상기 탄성 부재(100)를 폴딩 및 원복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을 감소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패턴부(PA)는 상기 일면 또는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되는 영역인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상기 탄성 부재(100)를 용이하게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상기 탄성 부재(100)의 두께가 감소되고, 이에 의해 압축 응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00)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제 2 패턴부(P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제 2 패턴부(P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일면 및 상기 타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패턴부(PA)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일면 또는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인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물리적 특성을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는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모두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100)에 열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변형 차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가 휘어지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응력 불균일을 완화하여 탄성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장방향 및 단방향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장방향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장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도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단방향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단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는 힌지부(HN)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HN)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폴딩을 위해, 상기 탄성 부재(100)의 끝단 영역을 개구한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영역(1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탄성 부재(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서 상기 힌지부의 형성 유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돌출부(PR)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는 복수의 돌출부(P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PR)는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PR)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2 영역(2A)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PR)는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을 분리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PR)는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프레임(200)을 분리할 때 상기 브리지부가 잔류하는 상기 브리지부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PF)는 상기 탄성 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PR)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적용할 때, 상기 돌출부(PR)를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돌출부(PR)에 의해 얼라인 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PR)는 얼라인 마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100)는 별도의 얼라인 마크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얼라인 마크에 의해 탄성 부재의 비유효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과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과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서로 다른 표면 조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표면 조도는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의 표면 조도보다 클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상기 브리지부가 절단되는 영역이므로,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표면 조도는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의 표면 조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표면 조도는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의 표면 조도보다 작을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과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과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곡률은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곡률이 큰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은 곡률이 작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의 경사각도는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경사각도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의 경사각도는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경사각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은 상기 브리지부가 절단되는 영역이므로,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곡률 또는 경사각도는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의 곡률 또는 경사각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에서 상기 돌출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분리할 때, 복수의 돌출부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돌출부는 탄성 부재의 가장자리의 외측면과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OS1)과 상기 돌출부(PR)의 외측면(OS2)의 표면 조도 또는 형상을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의 크기가 감소하여도 상기 돌출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탄성 부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얼라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폴딩 지지체는 탄성 부재(100), 평탄화층(200), 접착층(300) 및 보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200)은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에는 홀 또는 홈 형상의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들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의 표면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직접 패널 등을 접착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의 표면 특성에 의해 패널과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상기 평탄화층(200)을 배치하여 상기 탄성 부재(100)가 상기 패널과 접착되는 접착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200)은 금속 또는 비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평탄화층(2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0)은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평탄화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0)은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평탄화층(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평탄화층(200)을 접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300)은 감압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블랙계열의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층(400)의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상기 보호층(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폴딩 지지체 및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폴딩 지지체 및 상기 폴딩 지지체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 및/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층(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패널층(600) 사이에는 접합층(500)이 배치되고, 상기 접합층(500)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패널층(600)이 접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는 평탄화층(200)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접착면을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층은 단차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패널층(600) 사이의 접착층(500)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제 3 층(300)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제 3 층(300)보다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500)의 두께는 5㎛ 내지 15㎛일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탄성 부재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프레임은 브리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부는 절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브리지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홈 및 상기 브리지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이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 영역의 높이는 상기 브리지부의 두께의 5% 내지 25%인 탄성 부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의 폭은 상기 브리지부의 두께의 25% 내지 50%인 탄성 부재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의 높이는 상기 브리지부의 두께의 25% 내지 50%인 탄성 부재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의 피치는 상기 브리지부의 두께의 10% 내지 25%인 탄성 부재 모듈.
  5.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는 다른 탄성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는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의 표면 조도보다 큰 탄성 부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 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의 곡률과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의 곡률은 서로 다른 탄성 부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면의 경사각도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의 경사각도는 서로 다른 탄성 부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 부재.
KR1020220139918A 2022-10-07 2022-10-27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KR20240059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918A KR20240059097A (ko) 2022-10-27 2022-10-27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PCT/KR2023/014921 WO2024076093A1 (ko) 2022-10-07 2023-09-26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918A KR20240059097A (ko) 2022-10-27 2022-10-27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097A true KR20240059097A (ko) 2024-05-07

Family

ID=9107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918A KR20240059097A (ko) 2022-10-07 2022-10-27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0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366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ending area and a panel-sheet coupling layer
US10673012B2 (en) Panel bottom she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08668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51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2689816A (zh) 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20180136750A1 (en) Method of assembling a display module
US1184174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3767429B (zh) 用于显示器的基板
KR20210061604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JP7466311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2689864B (zh) 可折叠显示屏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20240059097A (ko)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US2023000828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10019803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40052274A (ko)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KR102655238B1 (ko)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 및 이형 필름의 박리 방법
KR20240048734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4301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005362A (zh)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10142999A (ko) 탄성 부재
KR20240069417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20570916U (zh) 显示设备
US11844247B2 (en)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240117746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105531A1 (en)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attaching display module and window m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