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398A -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2398A KR20240052398A KR1020220132379A KR20220132379A KR20240052398A KR 20240052398 A KR20240052398 A KR 20240052398A KR 1020220132379 A KR1020220132379 A KR 1020220132379A KR 20220132379 A KR20220132379 A KR 20220132379A KR 20240052398 A KR20240052398 A KR 20240052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modular unit
- hole
- sleeve
-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15 distribution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31 expec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을 상,하 체결슬리브를 통해 수직 분할된 접합구조로 체결 조립하여 모듈러 유닛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적층 연결하여 필요한 높이와 면적구조의 건축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모듈러 유닛의 접합 오차를 최소화하여 별도의 부가작업, 예컨대 측면 조임작업 내지 그라우팅 작업 등을 필요함 없이도 견고한 체결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종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는 모듈러 유닛의 안착 유도 및 밀림방지 기능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의 간극 유동 및 벌어짐 방지기능에 의해 일체성을 강화함은 물론, 그에 따라 모듈러 구조체의 연속 붕괴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은, 상부체결슬리브가 하부 모듈러 유닛 상부연결부재의 상부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가 일부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모듈러유닛의 하부연결부재의 슬리브삽입공에 상부체결슬리브의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부 모듈러 유닛 상부연결부재의 가이드핀 체결공에 하단부가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상부 모듈러유닛의 하부연결부재의 한 쌍의 핀유도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핀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결슬리브의 모듈러유닛의 기둥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부체결슬리브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가 하부체결슬리브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메인연결봉이 구성되고, 하부체결슬리브와 상부체결슬리브를 수직구조로 연결하며 나사 결합되는 오차흡수봉을 더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은, 상부체결슬리브가 하부 모듈러 유닛 상부연결부재의 상부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가 일부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모듈러유닛의 하부연결부재의 슬리브삽입공에 상부체결슬리브의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부 모듈러 유닛 상부연결부재의 가이드핀 체결공에 하단부가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상부 모듈러유닛의 하부연결부재의 한 쌍의 핀유도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핀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결슬리브의 모듈러유닛의 기둥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부체결슬리브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가 하부체결슬리브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메인연결봉이 구성되고, 하부체결슬리브와 상부체결슬리브를 수직구조로 연결하며 나사 결합되는 오차흡수봉을 더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을 상,하 체결슬리브를 통해 수직 분할된 접합구조로 체결 조립하여 모듈러 유닛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적층 연결하여 필요한 높이와 면적구조의 건축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모듈러 유닛의 접합 오차를 최소화하여 별도의 부가작업, 예컨대 측면 조임작업 내지 그라우팅 작업 등을 필요함 없이도 견고한 체결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종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는 모듈러 유닛의 안착 유도 및 밀림방지 기능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의 간극 유동 및 벌어짐 방지기능에 의해 일체성을 강화함은 물론, 그에 따라 모듈러 구조체의 연속 붕괴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설산업은 현장 중심적이고, 노동집약적인 산업특성에 따라 생산성 저하가 항상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래 많은 건설현장에서는 모듈러 시스템이라는 건축방식 도입을 통해 노동중심에서 기술중심으로, 현장중심에서 공장중심으로 작업방식을 전환하여 건설생산성과 품질, 그리고 안전성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여기서, 모듈러 시스템이라 함은, 다수의 입방체로 구성되는 구조체, 예컨대 모듈러 유닛 내부에 각종 마감재, 기계설비, 전기배선 등을 미리 시공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하고, 현장으로 운반된 모듈러 유닛을 종/수평 방향(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인접 연결하여 필요한 높이와 면적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모듈러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방식에 있어, 모듈러 유닛을 상호 체결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접합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종 방향으로 적층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의 접합부위에 체결작업을 위한 공간확보 구성으로 소정면적의 마우스홀을 형성하고, 그와 같이 형성된 마우스홀을 작업공간으로 하여 적층 연결된 모듈러 유닛을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과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모듈러 유닛 접합구조는, 볼트 체결을 위한 작업공간으로 마우스홀을 필수 구성으로 마련해야 하는 것인바, 따라서 그와 같은 마우스홀로 인해 모듈러 유닛 연결부위(모재)에는 필연적으로 단면손실이 발생하고, 그러한 단면손실로 인해 응력전달을 불분명하게 하며, 시공되는 건축물의 구조내력을 저하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전술한 종래 모듈러 유닛 접합구조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모듈러 유닛(특허 제0923637호)”이 창안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 기술로서의“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모듈러 유닛”은, 일측에 상,하 기둥간 체결을 위한 제2볼트삽입홀과, 타측에 고정구삽입홀이 마련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고정구삽입홀에 삽입되며 서로 인접한 모듈러 유닛을 연결하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됨을 기술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선출원 등록기술인“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모듈러 유닛”은, 상부측 모듈러 유닛과 하부측 모듈러 유닛을 결합함에 있어, 단순히 기둥의 단부만을 결합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안정적인 횡력 저항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그로 인해 구조적 안전성이 결여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출원 등록기술인“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모듈러 유닛”은, 모듈러 유닛의 결합부위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특히 모듈러 유닛을 결합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위가 폐단면인 기둥내부에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별도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마우스홀 타공이 불가피하며, 그와 같이 마우스홀이 타공될 경우 모듈러 유닛 기둥부재의 단면결손과 그에 따른 국부좌굴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전술한 선등록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 최근에는 무수축몰탈 등의 습식공법을 적용하여 볼트와 너트의 사용을 최소화 한 상태로 모듈러 유닛을 결합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습식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유닛 접합구조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의 접합부위 오차에 대한 보정이 어렵고, 습식시공을 위해 모듈러 유닛 연결부위 일부 구간의 마감작업을 후시공으로 진행해야 하며, 특히 시공되는 건축물이 고층 건물인 경우 외부로부터 장비를 유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함에 따라 고층건물의 시공에는 적용이 어려운 폐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233559호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어 구성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된 사각형의 중앙부 및 중앙부의 각변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수평결합판과, 상기 수평결합판의 결합부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으로 구성되는 연결보강판을, 수평결합판의 중앙부가 수직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사이에 위치하되 가이드핀이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마구리판의 홀에 끼워져 고정되고, 결합부가 수직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보의 수직 결합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수직결합판은 수평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보 간의 수평 결합면 사이에 끼워 결합되도록 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긴결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보부재가 ㄱ, ㄷ 등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동일 위치에서 플랜지에 1개의 볼트만으로 접합되어 접합부 강도 및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러 유닛의 기둥부재 내측면에 체결슬리브를 상,하 분리구조 이격 설치하고, 또한 길이를 달리하며 상,하 분할구성으로 이루어진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을 더 마련한 상태하에, 상기 마련된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을 상,하 체결슬리브를 통해 수직분할된 접합구조로 체결 조립하여 모듈러 유닛의 시공작업을 신속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결합시공이 완료된 이후 오차흡수봉에 의한 받침지지 및 하중분산 기능에 의해 메인연결봉의 휨 변형 등 오차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써,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 그리고 내구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을 상,하 체결슬리브를 통해 수직 분할된 접합구조로 체결 조립하여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그에 따라 별도의 부가공정, 예컨대 모듈러 유닛 결합부위의 측면조임 또는 그라우팅 작업 등을 원천 배제되게 하여, 특히 고층건물 시공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효율성, 그리고 경제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모듈러 유닛의 체결 고정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진행되는 전단계, 예컨대 양중기에 의해 모듈러 유닛을 운반 적층하여 접합위치를 맞춤되도록 함에 있어, 길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에 의해 모듈러 유닛을 안정적으로 유도 삽입시켜 수직오차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그 접합위치를 잡아주도록 하고, 아울러, 가이드핀의 부가적인 걸림고정 기능에 의해 접합된 모듈러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밀림되며 위치가 변동되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공작업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적층구조를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접합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을 고정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견인 체결구조로 일체화 연결하여 그들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의 간극 유동 및 벌어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일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기둥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는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와, 기둥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측면에 단부가 결합되는 보부재로 형성된 입방체 형상의 모듈러 유닛 간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적층 연결시 접합부 구조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수평의 상부판과 상부판 하부에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판이 형성되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판은 암나사 구조로 관통된 상부체결공과 상부체결공의 외측에 한 쌍의 가이드핀 체결공을 암나사 구조로 더 관통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은 중앙부에 관통구조의 하부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중앙부에 수직으로 관통된 슬리브삽입공과 슬리브삽입공을 중심으로 그 외측에 상부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핀유도 삽입공을 더 관통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은,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강봉체결공이 통공되며 외주면의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체결부가 구성되는 상부체결슬리브의 수나사체결부가 하부 모듈러 유닛 상부연결부재의 상부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가 일부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모듈러유닛의 하부연결부재의 슬리브삽입공에 상부체결슬리브의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 일정구간은 원뿔형으로 구성되고 하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서 상부로 일정구간의 외주면에 나사산 가공이 되어 하부 모듈러 유닛 상부연결부재의 가이드핀 체결공에 하단부가 나사결합되어 상부로 돌출하여 상부 모듈러유닛의 하부연결부재의 한 쌍의 핀유도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핀이 구성되고, 하부체결공 상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중앙부에 수직으로 암나사공이 마련된 너트구조로 형성되어 밀착 결합되는 하부체결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슬리브의 모듈러유닛의 기둥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부체결슬리브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가 하부체결슬리브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메인연결봉이 구성되고, 하부체결슬리브와 상부체결슬리브를 수직구조로 연결하며 나사 결합되는 오차흡수봉을 더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직사각 판체구조를 취하며 상부면 좌,우 양측면 대칭 이격된 한쌍의 슬리브수용공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슬리브수용공 외측에 두쌍의 핀유도삽입공을 관통구조로 더 형성되는 고정연결 플레이가, 상,하 적층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모듈러 유닛의 상부 모듈러유닛의 하부연결부재와 하부의 모듈러유닛의 상부연결부재의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핀은 상단부 높이를 달리하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부연결부재의 하부측 기둥부재 내측면에 체결안내부가 마련되며, 상기 체결안내부는, 내측면에 센터링 보조판을 설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부체결슬리브는, 중앙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의 단면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부가 형성되는 볼트구조로 이루어지고, 강봉체결공 하부면에 사선 경사구조를 이루는 쐐기걸림공을 더 형성하며; 상기 강봉체결봉의 상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의 하단부를 나사 체결하고, 상기 쐐기걸림공의 하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의 상단부를 나사 체결하되, 상기 오차흡수봉은 쐐기걸림공 하부측으로 결합하는 외경면에 고정쐐기와, 고정쐐기를 지지하는 쐐기받침돌기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부체결슬리브는, 강봉체결공 하부면에 리니어 래칫이 마련된 원터치 커플러를 더 형성하며; 상기 강봉체결봉의 상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의 하단부를 나사 체결하고, 상기 원터치 커플러의 하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의 상단부를 삽입 체결하되, 상기 오차흡수봉은 원터치 커플러 하부측으로 삽입되는 외경면에 쐐기형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원터치 커플러와 래칫 치합구조로 원터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부체결슬리브는, 암나사공이 마련된 너트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공 내경 중앙부에 한쌍의 간극돌기를 대칭 돌출구조로 더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공의 상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의 하단부를 삽입 체결하고, 암나사공의 하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의 상단부를 나사 체결하되, 체결된 오차흡수봉과 메인연결봉의 결합 단부가 상기 간극돌기에 의해 이격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부체결슬리브는, 암나사공이 마련된 너트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너트구조로 이루어진 외측 중앙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공 내경 중앙부를 향해 나사체결구조로 돌출 결합하는 한쌍의 간극볼트를 대칭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공의 상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의 하단부를 삽입 체결하고, 암나사공의 하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의 상단부를 나사 체결하되, 체결된 오차흡수봉과 메인연결봉의 결합 단부가 상기 간극볼트에 의해 이격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센터링 보조판은, 중앙부에 하향경사구조를 이루며 깔대기 형상으로 관통된 체결안내공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고; 센터링 보조판의 상부 외측 사방면에 직각 구조로 절곡 연장된 고정설치편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듈러 유닛은, 상부연결부재에 형성된 상부체결공의 외측에 한쌍의 양중체결공이 암나사 구조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을 상,하 체결슬리브를 통해 수직 분할된 접합구조로 체결 조립하여 모듈러 유닛의 시공작업을 신속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듈러 유닛의 결합시공이 완료된 이후 오차흡수봉에 의한 받침지지 및 하중분산 기능에 의해 메인연결봉의 휨 변형 등 오차발생을 최소화되게 한 것으로, 이는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 그리고 내구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 그리고 상,하 체결슬리브를 이용한 체결 접합구조에 의해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모듈러 유닛 결합부위의 측면조임 또는 그라우팅 작업 등과 같은 불필요한 부가 공정을 배제되게 한 것인바, 따라서 이는 고층건물 시공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성과 효율성, 그리고 경제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모듈러 유닛을 운반 적층하여 접합위치를 맞춤되도록 함에 있어, 길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에 의해 모듈러 유닛을 안정적으로 유도 삽입시켜 수직오차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그 접합위치를 잡아주도록 하고, 아울러, 가이드핀의 부가적인 걸림고정 기능에 의해 접합된 모듈러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밀림되며 위치가 변동되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되게 한 것으로, 이는 시공작업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상,하 적층구조를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접합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을 고정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견인 체결구조로 일체화 연결하여 그들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의 간극 유동 및 벌어짐 현상을 방지되게 한 것으로, 이는 일체성을 강화되게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도 1a의 A부분을 중심으로 확대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체결슬리브의 결합관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체결슬리브의 또 다른 결합관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체결슬리브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체결슬리브의 또 다른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터링보조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양중고리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도 1a의 A부분을 중심으로 확대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체결슬리브의 결합관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체결슬리브의 또 다른 결합관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체결슬리브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체결슬리브의 또 다른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터링보조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양중고리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A부분을 중심으로 확대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100)은 일반적인 모듈러 유닛과 동일하게 수평과 수직으로의 적층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모듈러 유닛(100)간의 수직 접합시에 접합부에 끼워지는 상부체결슬리브(3), 하부체결슬리브(4), 가이드핀(7) 및 고정연결플레이트(8)와 모듈러 유닛(100)의 기둥부재(1)의 내부에 구성되는 메인연결봉(5) 및 오차흡수봉(6)이 구성되어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 그리고 구조 일체성을 강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모듈러 유닛(100)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며 필요한 높이와 면적규모의 건축물을 시공하는 통상의 구성이며, 모듈러 유닛(100)은 기둥부재(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는 상부연결부재(11) 및 하부연결부재(13)와, 기둥부재(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상부연결부재(11)와 하부연결부재(13)의 측면에 단부가 결합되는 보부재(2)로 형성된 입방체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모듈러 유닛(100)은 기둥부재(1)와 보부재(2)의 결합시에 상부연결부재(11) 및 하부연결부재(13)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데, 기둥부재(1)의 상단부에는 상부연결부재(11)가 결합되며 기둥부재(1)의 하단부에는 하부연결부재(13)가 결합된다.
이때, 상부연결부재(11) 및 하부연결부재(13)는 보부재(2)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ㄱ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부재(2)가 상부연결부재(11) 및 하부연결부재(13)의 측면에 끼워지거나 접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둥부재(1)의 내부에 체결안내부(12)를 구성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메인연결봉(5)이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데, 모듈러 유닛(100)에서 기둥부재(1) 상부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부재(11)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1)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기둥부재(1) 내측면에 공간구조를 이루는 체결안내부(12)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재(1) 하단부에 하부연결부재(13)를 결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 기둥부재(1)로 형성되는 상기 상부연결부재(11)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형상으로 상부측 상부판(111)과 하부측 하부판(112)을 상,하 이격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판(111)은 암나사 구조로 관통된 상부체결공(111-1)을 중심으로 그 외주면 대각선 방향에 대칭되는 한쌍의 양중체결공(111-2)과, 한쌍의 가이드핀 체결공(111-3)을 암나사 구조로 더 관통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구조의 하부체결공(112-1)을 더 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 기둥부재(1)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안내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 공간부에 센터링 보조판(121)을 더 설치 형성하되, 상기 센터링 보조판(12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하향 경사구조를 이루며 깔대기 형상으로 관통된 체결안내공(P)을 형성하고, 센터링 보조판(121)의 상부 외측 사방면에 직각 구조로 절곡 연장된 고정설치편(C)을 더 형성하여 메인연결봉(5)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기둥부재(11)의 내부에서 메인연결봉(5)의 센터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 기둥부재(1)로 결합 형성되는 상기 하부연결부재(13)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구조로 관통된 슬리브삽입공(131)을 형상하고, 상기 슬리브삽입공(131)을 중심으로, 그 외주면 대각선 방향에 대칭되는 한쌍의 핀유도 삽입공(132)을 더 관통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부체결슬리브(3)는 후술하는 메인연결봉(5) 및 오차흡수봉(6)을 안정적으로 체결 연결시키며 적층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100)에 접합 고정력을 부여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상부체결슬리브(3)는 일반적인 볼트 구성, 예컨대 도 1 또는 도 6으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31)와 수나사체결부(32)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기초구성에 더하여 상부체결슬리브(3) 내측 중앙부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 구조로 수직 관통하는 강봉체결공(33)과. 상기 강봉체결공(33) 관통부위 하부면에 사선 경사구조를 이루며 확장 연결되는 쐐기걸림공(34)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부체결슬리브(3)는, 중앙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의 단면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부(31)가 형성되는 볼트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체결슬리브(3)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터치 체결방식을 갖는 또 다른 구성으로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또 다른 구성의 상부체결슬리브(3)는, 상기 일실시예와 같은 일반적인 볼트 구성,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31)와 수나사체결부(32)를 기초구성으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기초구성에 더하여 상부체결슬리브(3) 내측 중앙부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 구조로 수직 관통하는 강봉체결공(33)과, 상기 강봉체결공(33) 관통부위 하부 내경면에 리니어 래칫(351)이 마련된 원터치 커플러(35)을 더 설치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체결슬리브(4)는. 전술한 상부체결슬리브(3)와 함께 후술하는 메인연결봉(5) 및 오차흡수봉(6)을 안정적으로 체결 연결시키며, 적층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100)에 접합 고정력을 부여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하부체결슬리브(4)는 일반적인 너트 구성, 예컨대 도 2 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관통된 암나사공(41)을 기초 구성으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기초구성에 더하여, 상기 암나사공(41) 내경 중앙부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간극돌기(42)를 대칭 돌출구조로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체결슬리브(3)의 모듈러유닛(100)의 기둥부재(1)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부체결슬리브(2)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가 하부체결슬리브(4)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메인연결봉(5)이 구성되고, 하부체결슬리브(4)와 상부체결슬리브(3)를 수직구조로 연결하며 나사 결합되는 오차흡수봉(6)을 더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체결슬리브(4)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극돌기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성으로 형성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또 다른 구성의 하부체결슬리브(4)는, 상기 일실시예와 같은 일반적인 너트 구성,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관통된 암나사공(41)을 기초 구성으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기초구성에 더하여, 상기 너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체결슬리브(4)의 외측 중앙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공(41) 내경 중앙부를 향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구조로 돌출 결합하는 한쌍의 간극볼트(43)를 대칭 설치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 메인연결봉(5)은 전술한 상부체결슬리브(3)와 하부체결슬리브(4)를 연결하며 기둥부재(1) 내측면으로 수직 설치되어 적층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100)에 접합 고정력을 부여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메인연결봉(5)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강봉 구성으로 형성하고, 그 메인연결봉(5) 일측과 타측 끝단부 외경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차흡수봉(6)은 전술한 메인연결봉(5)과 함께 상부체결슬리브(3)와 하부체결슬리브(4)를 연결하며 기둥부재(1) 내측면으로 수직 설치되어 적층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100)에 접합 고정력을 부여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오차흡수봉(6)은 전술한 메인연결봉(5)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강봉으로 형성하고, 그 오차흡수봉(5)의 상단부와 하단부 외경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오차흡수봉(5)의 상단부 외경면으로 형성된 나사산의 하부측 외경면 둘레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형성된 고정쐐기(61)와, 상기 고정쐐기(61)를 지지하는 쐐기받침돌기(62)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차흡수봉(6)은, 전술한 상부체결슬리브(3)의 또 다른 구성, 예컨대 원터치 체결방식을 갖는 상부체결슬리브(3)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구성으로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오차흡수봉(5)의 상단부와 하단부 외경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되. 상단부 외경면으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구성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수나사산(63)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핀(7)은, 적층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100)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수직오차를 최소시킨 상태로 그 모듈러 유닛(100)의 접합위치를 잡아주도록(맞춤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가이드핀(7)은, 하단부 외경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단부는 원뿔형상을 취하도록 한 강봉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7)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단부의 높이를 달리하는 한쌍의 분할 구성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수평력 작용시 수평력의 분담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며, 모듈러 유닛(100)의 수직 적층시에 접합부에서 가이드핀(7)이 높은 높이의 가이드핀(7)이 먼저 삽입되고 낮은 높이의 가이드핀(7)이 나중에 삽입되도록 하여 적층이 용이하면서도 외력에 의해 모듈러 유닛(100)간의 접합부 이탈이 일어날 시에도 높은 높이의 가이드핀(7)이 한번 더 저항하여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연결플레이트(8)는, 상,하 적층구조를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접합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100)을 견인 체결구조로 일체화 연결하여 그들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100)의 간극 유동 및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고정연결플레이트(8)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 판체구조로 하여, 그 직사각 판체구조를 취하며 상부면 좌,우 양측면 대칭 이격된 한쌍의 슬리브수용공(8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슬리브수용공(81) 외주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하는 좌,우 두쌍의 핀유도삽입공(82)을 관통구조로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 상부연결부재(11)의 보조고정판(112)으로 형성된 하부체결공(112-1) 상부면에 하부체결슬리브(4)를 밀착 결합시키고, 상부연결부재(11)로 형성된 상부체결공(111-1)에 상부체결슬리브(3)를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체결슬리브(3)와 하부체결슬리브(4)를 체결함에 있어, 그들 상부체결슬리브(3)와 하부체결슬리브(4)를 상호 수직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흡수봉(6)을 연계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연속하여 상부연결부재(11)로 형성된 가이드핀 체결공(111-3)에 한쌍의 가이드핀(7)을 분할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동일한 두 개의 모듈러 유닛(100)을 수평 방향으로 접하도록 밀착 배치하고, 밀착된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 각 기둥부재(1)로 결합된 상부커텍팅노드(11) 상부면에 고정연결플레이트(8)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안착되는 고정연결플레이트(8)는, 그 고정연결플레이트(8)로 형성된 핀유도 삽입공(82)에 가이드핀(7)이 삽입 걸림되며, 두 개의 구성으로 밀착된 모듈러 유닛(10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견인 체결구조로 일체화 연결고정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접합 연결된 모듈러 유닛(100)의 상부로 시공하고자 하는 모듈러 유닛(100)을 적층구조로 안착시킨다.
이때, 적층구조로 안착되는 모듈러 유닛(100)은, 하부연결부재(13)로 형성된 핀유도 삽입공(132)을 통해 하부측 모듈러 유닛(100)으로 결합된 한쌍의 가이드핀(7)이 유도 삽입되므로써, 모듈러 유닛(100)의 적층 접합위치를 오차 발생없이 잡아준다. 특히 가이드핀(7)은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한쌍의 구성을 취함에 따라 상대적을 길이가 긴 가이드핀(7)이 하나의 구성만으로 먼저 핀유도 삽입공(132)에 삽입되는 경우 그 하나의 가이드핀(7)에 의해 모듈러 유닛(100)이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나머지 길이가 짧은 가이핀(7)에 삽입 걸림됨으로써 시공성을 높일수 있다.
끝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하에 상부측으로 안착된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 기둥부재(1) 내측면에 메인연결봉(5)을 수직 구조로 삽입하여, 삽입되는 메인연결봉(5)의 하단부를 하부측 모듈러 유닛(100)으로 체결고정된 상부체결슬리브(3)에 결합시키므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를 구현한다.
이때, 기둥부재(1) 내측면에 수직 구조로 삽입되는 메인연결봉(5)은, 센터링 보조판(121)에 의한 유도작용에 의해 위치변형 없이 수직을 유지하며 삽입되어 상부체결슬리브(3)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련의 결합구조에 의해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모듈러 유닛(100)은, 양중체결공(111-2)에 양중고리(9)를 탈,부착 구조로 결합하고, 그와 같이 결합된 양중고리를 양중기(미도시)에 걸림되게 하여 시공하는 위치로 모듈러 유닛을 운반할 수 있다. 이때, 호이스트링 방식의 양중고리는 양중체결공(111-2)에 탈,부착되도록 할 수 있고, 트위스트락은 상부체결공(111-1)에 탈부착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 및 작용기능을 갖는 본 발명은 상,하부 연결부재(11)(13)와, 상,하부 체결슬리브(3)(4), 그리고 메인연결봉(5) 및 오차흡수봉(6) 등에 의해 모듈러 유닛(100) 구조체를 일체성을 강화시킨 형태로 접합 고정함에 따라 연속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을 상,하 체결슬리브를 통해 수직 분할된 접합구조로 체결 조립하여 모듈러 유닛의 시공작업을 신속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듈러 유닛의 결합시공이 완료된 이후 오차흡수봉에 의한 받침지지 및 하중분산 기능에 의해 메인연결봉의 휨 변형 등 오차발생을 최소화되게 한 것으로, 이는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 그리고 내구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메인연결봉과 오차흡수봉, 그리고 상,하 체결슬리브를 이용한 체결 접합구조에 의해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모듈러 유닛 결합부위의 측면조임 또는 그라우팅 작업 등과 같은 불필요한 부가 공정을 배제되게 한 것인바, 따라서 이는 고층건물 시공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성과 효율성, 그리고 경제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모듈러 유닛을 운반 적층하여 접합위치를 맞춤되도록 함에 있어, 길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에 의해 모듈러 유닛을 안정적으로 유도 삽입시켜 수직오차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그 접합위치를 잡아주도록 하고, 아울러, 가이드핀의 부가적인 걸림고정 기능에 의해 접합된 모듈러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밀림되며 위치가 변동되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되게 한 것으로, 이는 시공작업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는 상,하 적층구조를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접합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을 고정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견인 체결구조로 일체화 연결하여 그들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의 간극 유동 및 벌어짐 현상을 방지되게 한 것으로, 이는 일체성을 강화되게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0 : 모듈러 유닛 1 : 기둥부재
2 : 보부재 3 : 상부체결슬리브
4 : 하부체결슬리브 5 : 메인연결봉
6 : 오차흡수봉 7 : 가이드핀
8 : 고정연결 플레이트 9 : 양중고리
11 : 상부연결부재 12 : 체결안내부
13 : 하부연결부재 31: 머리부
32 : 수나사체결부 33 : 강봉체결공
34 : 쐐기걸림공 35 : 원터치 커플러
41 : 암나사공 42 : 간극돌기
43 : 간극볼트 61 : 고정쐐기
62 : 쐐기받침돌기 63 : 쐐기형 수나사산
81 : 슬리브 수용공 82 : 핀유도 삽입공
2 : 보부재 3 : 상부체결슬리브
4 : 하부체결슬리브 5 : 메인연결봉
6 : 오차흡수봉 7 : 가이드핀
8 : 고정연결 플레이트 9 : 양중고리
11 : 상부연결부재 12 : 체결안내부
13 : 하부연결부재 31: 머리부
32 : 수나사체결부 33 : 강봉체결공
34 : 쐐기걸림공 35 : 원터치 커플러
41 : 암나사공 42 : 간극돌기
43 : 간극볼트 61 : 고정쐐기
62 : 쐐기받침돌기 63 : 쐐기형 수나사산
81 : 슬리브 수용공 82 : 핀유도 삽입공
Claims (10)
- 기둥부재(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는 상부연결부재(11) 및 하부연결부재(13)와, 기둥부재(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상부연결부재(11)와 하부연결부재(13)의 측면에 단부가 결합되는 보부재(2)로 형성된 입방체 형상의 모듈러 유닛(100) 간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적층 연결시 접합부 구조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100)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1)는 수평의 상부판(111)과 상부판(111) 하부에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판(112)이 형성되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판(111)은 암나사 구조로 관통된 상부체결공(111-1)과 상부체결공(111-1)의 외측에 한 쌍의 가이드핀 체결공(111-3)을 암나사 구조로 더 관통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112)은 중앙부에 관통구조의 하부체결공(1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13)는 중앙부에 수직으로 관통된 슬리브삽입공(131)과 슬리브삽입공(131)을 중심으로 그 외측에 상부체결공(1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핀유도 삽입공(132)을 더 관통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100)은,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강봉체결공(33)이 통공되며 외주면의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체결부(32)가 구성되는 상부체결슬리브(3)의 수나사체결부(32)가 하부 모듈러 유닛(100) 상부연결부재(11)의 상부체결공(111-1)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가 일부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모듈러유닛(100)의 하부연결부재(13)의 슬리브삽입공(131)에 상부체결슬리브(3)의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 일정구간은 원뿔형으로 구성되고 하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서 상부로 일정구간의 외주면에 나사산 가공이 되어 하부 모듈러 유닛(100) 상부연결부재(11)의 가이드핀 체결공(111-3)에 하단부가 나사결합되어 상부로 돌출하여 상부 모듈러유닛(100)의 하부연결부재(13)의 한 쌍의 핀유도 삽입공(13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핀(7)이 구성되고,
하부체결공(112-1) 상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중앙부에 수직으로 암나사공(41)이 마련된 너트구조로 형성되어 밀착 결합되는 하부체결슬리브(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슬리브(3)의 모듈러유닛(100)의 기둥부재(1)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부체결슬리브(2)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가 하부체결슬리브(4)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메인연결봉(5)이 구성되고,
하부체결슬리브(4)와 상부체결슬리브(3)를 수직구조로 연결하며 나사 결합되는 오차흡수봉(6)을 더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직사각 판체구조를 취하며 상부면 좌,우 양측면 대칭 이격된 한쌍의 슬리브수용공(8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슬리브수용공(81) 외측에 두쌍의 핀유도삽입공(82)을 관통구조로 더 형성되는 고정연결 플레이트(8)가,
상,하 적층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모듈러 유닛(100)의 상부 모듈러유닛(100)의 하부연결부재(13)와 하부의 모듈러유닛(100)의 상부연결부재(11)의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핀(7)은 상단부 높이를 달리하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연결부재(11)의 하부측 기둥부재(1) 내측면에 체결안내부(12)가 마련되며, 상기 체결안내부(12)는, 내측면에 센터링 보조판(121)을 설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체결슬리브(3)는, 중앙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의 단면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부(31)가 형성되는 볼트구조로 이루어지고,
강봉체결공(33) 하부면에 사선 경사구조를 이루는 쐐기걸림공(34)을 더 형성하며;
상기 강봉체결봉(33)의 상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5)의 하단부를 나사 체결하고, 상기 쐐기걸림공(34)의 하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6)의 상단부를 나사 체결하되, 상기 오차흡수봉(6)은 쐐기걸림공(34) 하부측으로 결합하는 외경면에 고정쐐기(61)와, 고정쐐기(61)를 지지하는 쐐기받침돌기(62)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체결슬리브(3)는,
강봉체결공(33) 하부면에 리니어 래칫(351)이 마련된 원터치 커플러(35)를 더 형성하며;
상기 강봉체결봉(33)의 상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5)의 하단부를 나사 체결하고, 상기 원터치 커플러(35)의 하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6)의 상단부를 삽입 체결하되, 상기 오차흡수봉(6)은 원터치 커플러(35) 하부측으로 삽입되는 외경면에 쐐기형 수나사산(63)을 형성하여 원터치 커플러(35)와 래칫 치합구조로 원터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체결슬리브(4)는, 암나사공(41)이 마련된 너트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공(41) 내경 중앙부에 한쌍의 간극돌기(42)를 대칭 돌출구조로 더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공(41)의 상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6)의 하단부를 삽입 체결하고, 암나사공(41)의 하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5)의 상단부를 나사 체결하되, 체결된 오차흡수봉(6)과 메인연결봉(5)의 결합 단부가 상기 간극돌기(42)에 의해 이격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체결슬리브(4)는, 암나사공(41)이 마련된 너트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너트구조로 이루어진 외측 중앙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공(41) 내경 중앙부를 향해 나사체결구조로 돌출 결합하는 한쌍의 간극볼트(43)를 대칭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공(41)의 상부측을 통해 오차흡수봉(6)의 하단부를 삽입 체결하고, 암나사공(41)의 하부측을 통해 메인연결봉(5)의 상단부를 나사 체결하되, 체결된 오차흡수봉(6)과 메인연결봉(5)의 결합 단부가 상기 간극볼트(43)에 의해 이격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센터링 보조판(121)은, 중앙부에 하향경사구조를 이루며 깔대기 형상으로 관통된 체결안내공(P)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고;
센터링 보조판(121)의 상부 외측 사방면에 직각 구조로 절곡 연장된 고정설치편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100)은,
상부연결부재(11)에 형성된 상부체결공(111-1)의 외측에 한쌍의 양중체결공(111-2)이 암나사 구조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2379A KR20240052398A (ko) | 2022-10-14 | 2022-10-14 |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2379A KR20240052398A (ko) | 2022-10-14 | 2022-10-14 |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2398A true KR20240052398A (ko) | 2024-04-23 |
Family
ID=9088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2379A KR20240052398A (ko) | 2022-10-14 | 2022-10-14 |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239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704623A (zh) * | 2024-08-27 | 2024-09-27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可拆卸式增强型钢结构模块建筑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559B1 (ko) | 2012-09-20 | 2013-02-14 | 현대엠코 주식회사 |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
-
2022
- 2022-10-14 KR KR1020220132379A patent/KR202400523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559B1 (ko) | 2012-09-20 | 2013-02-14 | 현대엠코 주식회사 |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704623A (zh) * | 2024-08-27 | 2024-09-27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可拆卸式增强型钢结构模块建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2600B1 (ko) |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9680810B (zh) | 上层钢管柱与下层钢筋混凝土柱的转换节点及施工方法 | |
CN107447861A (zh) | 一种带斜撑的装配式钢结构方管柱梁柱节点连接装置 | |
KR20240052398A (ko) | 구조 일체성을 강화한 건축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조 | |
CN212689211U (zh) | 一种用于干式连接的预制柱连接节点 | |
KR20090050778A (ko) |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
KR20150055497A (ko) | 소켓타입 접합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CN109667385B (zh) | 一种钢筋混凝土超短柱 | |
CN209975802U (zh) | 一种带导向结构的预制墙体 | |
CN110630032A (zh) | 一种在既有钢筋砼柱梁上新增梁的节点连接装置 | |
JP4165648B2 (ja) | 耐モーメント性建築物骨組構造の構成要素および方法 | |
CN111997196B (zh) | 组合式钢模块结构体系及其建造方法 | |
US12129645B2 (en) | Connection node for modular building structures | |
KR102521464B1 (ko) | 습식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간 수직 접합구조 | |
EP3743567A1 (de) | Variables containersystem | |
WO2017195233A1 (ja) | 支保工 | |
CN112431325B (zh) | 模块墙板的拼装构造及施工方法 | |
CN114753510B (zh) | 基于套筒连接的钢木组合连接节点 | |
KR102554408B1 (ko) | 접합용 수직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매입형 접합부 구조 | |
CN218952751U (zh) | 一种用于空心建筑施工的操作平台 | |
KR102356035B1 (ko) | 포스트 텐션이 적용된 모듈러 유닛 체결 구조 | |
CN213143382U (zh) | 一种多层的钢结构斜拉支架 | |
CN114622657B (zh) | 基于套筒连接的钢木组合连接体系 | |
CN221589911U (zh) | 钢结构十字柱圆管柱转换接头 | |
JP6667273B2 (ja) |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