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214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0214A KR20240040214A KR1020220118991A KR20220118991A KR20240040214A KR 20240040214 A KR20240040214 A KR 20240040214A KR 1020220118991 A KR1020220118991 A KR 1020220118991A KR 20220118991 A KR20220118991 A KR 20220118991A KR 20240040214 A KR20240040214 A KR 202400402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oplastic resin
- resin composition
- polyaryl ether
- specimen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29920000110 poly(aryl ether sulfo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29920006260 polyaryletherketo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491 Polyphenyl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4695 VICTREX™ PEEK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27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LQHSBBZNDXTIV-UHFFFAOYSA-N 6-[5-[[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methyl]-4,5-dihydro-1,2-oxazol-3-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1CC(=NO1)C1=CC2=C(NC(O2)=O)C=C1 LLQHSBBZNDXT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0 Panthera le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95 Rade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9 data en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9 doub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2 mold releas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8 multi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67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9 sing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26 ultraviolet stabil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6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1 내지 4 중량부; 및 카본블랙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10,000배 및 50,000배 배율로 측정한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평균 크기가 0.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수지와 같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 수지는 내열성, 내화학성, 강성, 내피로성 등이 우수하여, 사무자동화 기기 분야, 자동차 분야 등에 쓰이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내충격성 등이 낮아, 내충격성 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아릴에테르술폰(PAES) 수지를 블렌드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와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블렌드는 제한된 혼화성으로 인하여, 강성, 내충격성 등 물성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져서 적용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와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블렌드를 반도체 공정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마모성 및 정전분산(electro-static dissipative: ESD)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 저하 없이,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636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4414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6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1 내지 4 중량부; 및 카본블랙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10,000배 및 50,000배 배율로 측정한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평균 크기가 0.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ASTM D3835에 의거하여, 400℃ 온도 및 1000 sec-1 전단율 조건에서 모세관식 점도관 유량계로 측정한 용융점도(melt viscosity)가 300 내지 500 Pa·s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는 ASTM D3835에 의거하여, 400℃ 온도 및 1000 sec-1 전단율 조건에서 모세관식 점도관 유량계로 측정한 용융점도(melt viscosity)가 200 내지 400 Pa·s일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용융점도비는 1 : 1 내지 4 : 1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이 3 내지 15 nm이고, 평균 길이가 10 내지 25 ㎛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카본블랙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 내지 50 nm이고, 공극률(void fraction)이 50 내지 90%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170℃이며, 싱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4060에 의거하여, 내마모 평가장비를 사용하여 1 kgf 하중, 연마기 휠 회전 속도 60 rpm 조건에서, 1,000 cycle 가동 후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시편의 무게 감소량(마모량)이 30 mg 이하일 수 있다.
11. 상기 1 내지 10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1 mm 두께 시편의 표면저항 값이 1 × 106 내지 1 × 109 Ω/sq일 수 있다.
12. 상기 1 내지 11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 또는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항복점 인장강도가 각각 93 내지 100 MPa이고, 인장탄성률이 각각 3.3 내지 4.0 GPa이며,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항복점 인장강도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항복점 인장강도의 차이가 2 MPa 이하이고,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인장탄성률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인장탄성률의 차이가 0.2 GPa 이하일 수 있다.
13. 상기 1 내지 12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 또는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각각 140 내지 150 MPa이고, 굴곡탄성률이 각각 3.2 내지 4.0 GPa이며,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굴곡강도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굴곡강도의 차이가 2 MPa 이하이고,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굴곡탄성률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굴곡탄성률의 차이가 0.2 GPa 이하일 수 있다.
14. 상기 1 내지 13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또는 3.2 mm 두께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으로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측정 시, 사출 시편이 깨지지 않을 수 있다.
15.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14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B)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C) 탄소나노튜브; 및 (D) 카본블랙;을 포함한다.
(A)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탄소나노튜브 및 카본블랙과 특정 함량으로 함께 적용되어,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등)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ASTM D3835에 의거하여, 400℃ 온도 및 1000 sec-1 전단율 조건에서 모세관식 점도관 유량계로 측정한 용융점도(melt viscosity)가 300 내지 500 Pa·s, 예를 들면 310 내지 490 Pa·s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이 우수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6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60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60 중량%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혼화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질 우려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혼화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B)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탄소나노튜브 및 카본블랙과 특정 함량으로 함께 적용되어,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폴리페닐술폰 수지 등)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구체예에서, 상기 변성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는 ASTM D3835에 의거하여, 400℃ 온도 및 1000 sec-1 전단율 조건에서 모세관식 점도관 유량계로 측정한 용융점도(melt viscosity)가 200 내지 400 Pa·s, 예를 들면 210 내지 390 Pa·s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이 우수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용융점도비는 1 : 1 내지 4 : 1, 예를 들면 1.05 : 1 내지 2.5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평균 크기가 0.5 ㎛ 이하일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싱글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작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는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1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10 중량%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혼화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질 우려가 있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혼화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C)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및 카본블랙과 특정 함량으로 함께 적용되어,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다발형 탄소나노튜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으로 측정한 평균 직경이 3 내지 15 nm, 예를 들면 5 내지 13 nm일 수 있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측정한 평균 길이가 10 내지 25 ㎛, 예를 들면 12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혼화성,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등이 우수할 수 있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작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 중량부, 예를 들면 1.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혼화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질 우려가 있고, 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정전분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카본블랙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카본블랙(carbon black)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와 특정 함량으로 함께 적용되어,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전도성 카본블랙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카본블랙은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으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20 내지 50 nm, 예를 들면 25 내지 45 nm일 수 있고, 공극률(void fraction)이 50 내지 90%, 예를 들면 65 내지 8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혼화성,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등이 우수할 수 있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작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카본블랙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2.5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정전분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및 상기 카본블랙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1 : 3, 예를 들면 1 : 1 내지 1 : 2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충진제, 산화방지제, 적하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10,000배 및 50,000배 배율로 측정한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평균 크기가 0.5 ㎛ 이하(도메인이 안 보이는 것 포함)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의 평균 크기가 0.5 ㎛를 초과할 경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이 저하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170℃, 예를 들면 150 내지 165℃이며, 싱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싱글 유리전이온도는 DMA 장치(제조사: TA, 장치명: Q800)를 사용하여, 2.5% strain, 1 Hz 조건에서 5℃/min의 승온 속도로 온도를 올리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의 모듈러스(modulus)를 측정 후, Tan Delta 값을 온도에 따라 플롯(plot)할 때, 1개의 피크(peak)만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350 내지 450℃, 예를 들면 380 내지 42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4060에 의거하여, 내마모 평가장비를 사용하여 1 kgf 하중, 연마기 휠 회전 속도 60 rpm 조건에서, 1,000 cycle 가동 후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시편의 무게 감소(마모량)가 30 mg 이하, 예를 들면 10 내지 25 mg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1 mm 두께 시편의 표면저항 값이 1 × 106 내지 1 × 109 Ω/sq, 예를 들면 2 × 106 내지 1 × 109 Ω/sq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항복점 인장강도가 93 내지 100 MPa, 예를 들면 95 내지 99 MPa일 수 있고, 인장탄성률이 3.3 내지 4.0 GPa, 예를 들면 3.4 내지 3.9 G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항복점 인장강도가 93 내지 100 MPa, 예를 들면 95 내지 99 MPa일 수 있고, 인장탄성률이 3.3 내지 4.0 GPa, 예를 들면 3.4 내지 3.9 G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항복점 인장강도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항복점 인장강도의 차이가 2 MPa 이하일 수 있고,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인장탄성률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인장탄성률의 차이가 0.2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40 내지 150 MPa, 예를 들면 141 내지 149 MPa일 수 있고, 굴곡탄성률이 3.2 내지 4.0 GPa, 예를 들면 3.3 내지 3.8 G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40 내지 150 MPa, 예를 들면 141 내지 149 MPa일 수 있고, 굴곡탄성률이 3.2 내지 4.0 GPa, 예를 들면 3.3 내지 3.8 G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굴곡강도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굴곡강도의 차이가 2 MPa 이하이고,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굴곡탄성률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굴곡탄성률의 차이가 0.2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으로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측정 시, 사출 시편이 깨지지 않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으로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측정 시, 사출 시편이 깨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 저하 없이, 내마모성, 정전분산성, 강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며,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작으므로, 웨이퍼 척(wafer chuck) 및 척 핀(chuck pin) 등 반도체 웨이퍼 세정용 설비, 웨이퍼 캐리어(wafer carrier) 및 FOUP 등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설비, 리테이닝 링(retaining ring) 등 반도체 고정용 설비, 트레이(tray) 및 다이(die) 등 반도체 웨이퍼 칩(wafer chip) 고정용 및 후작업용 설비의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A1)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제조사: Victrex, 제품명: 650G, 용융점도: 470 Pa·s)를 사용하였다.
(A2)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제조사: Victrex, 제품명: 450G, 용융점도: 350 Pa·s)를 사용하였다.
(A3)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제조사: Solvay, 제품명: KT880, 용융점도: 150 Pa·s)를 사용하였다.
(A4)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제조사: Victrex, 제품명: 90G, 용융점도: 90 Pa·s)를 사용하였다.
(B)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B1) 폴리페닐술폰 수지(제조사: BASF, 제품명: Ultrason P2010, 용융점도: 230 Pa·s)를 사용하였다.
(B2) 폴리페닐술폰 수지(제조사: BASF, 제품명: Ultrason P3010, 용융점도: 320 Pa·s)를 사용하였다.
(B3) 폴리페닐술폰 수지(제조사: Solvay, 제품명: Radel 5100, 용융점도: 360 Pa·s)를 사용하였다.
(C)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튜브(제조사: LG화학, 제품명: Lucan BT1003M)를 사용하였다.
(D) 카본블랙
카본블랙(제조사: Lion Specialty Chemicals, 제품명: KetjenBlack EC-600JD)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2, 3 및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40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40,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400℃, 금형 온도 15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3 및 4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도메인 평균 크기(단위: ㎛): 시편 표면을 백금으로 코팅한 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제조사: Hitachi, 장치명: S-4800)의 data Entry Tool을 사용하여 10,000배 및 50,000배 배율로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각각의 크기를 측정한 후 이의 평균 크기를 산출하였다.
(2) 유리전이온도(단위: ℃): DMA 장치(제조사: TA, 장치명: Q800)를 사용하여, 2.5% strain, 1 Hz 조건에서 5℃/min의 승온 속도로 온도를 올리면서 모듈러스(modulus)를 측정 후, Tan Delta 값을 온도에 따라 플롯(plot)하여 피크(peak)에 해당하는 온도를 확인하였다.
(3) 내마모성 평가: ASTM D4060에 의거하여, 내마모 평가장비(제조사: Taber Industries, 장치명: 5135, 마모 휠: CS-17)를 사용하여 1 kgf 하중, 연마기 휠 회전 속도 60 rpm 조건에서, 1,000 cycle 가동 후,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시편의 무게 감소량(마모량, 단위: mg)를 측정하였다.
(4) 표면저항 값(단위: Ω/sq): ASTM D257에 의거하여, 표면저항 측정기(제조사: TREK, 장치명: Model 152-1)로 1 mm 두께 시편의 표면저항 값을 측정하였다.
(5) 항복점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단위: MPa 및 GPa):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150 mm × 150 mm × 3.2 mm)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 또는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로 항복점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을 각각 측정하였다.
(6)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단위: MPa 및 GPa):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 또는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을 각각 측정하였다.
(7)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또는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의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NB: Non-Break)
실시예 | ||||||
1 | 2 | 3 | 4 | 5 | ||
(A) (중량%) | (A1) | 60 | 70 | 85 | 70 | 70 |
(A2) | - | - | - | - | - | |
(A3) | - | - | - | - | - | |
(A4) | - | - | - | - | - | |
(B) (중량%) | (B1) | 40 | 30 | 15 | 30 | 30 |
(B2) | - | - | - | - | - | |
(B3) | - | - | - | - | - | |
(A)/(B) 점도비 | 2.04 | 2.04 | 2.04 | 2.04 | 2.04 | |
(C) (중량부) | 2.5 | 2.5 | 2.5 | 1.5 | 3 | |
(D) (중량부) | 3 | 3 | 3 | 3 | 3 | |
도메인 평균 크기 (㎛) | 0.3 | 안보임 | 안보임 | 0.2 | 안보임 | |
유리전이온도 (℃) | 157 | 162 | 160 | 156 | 158 | |
내마모성 (mg) | 22 | 20 | 18 | 19 | 24 | |
표면저항 값 (Ω/sq) | 8.4×107 | 2.8×107 | 1.2×107 | 4.9×108 | 2.3×106 | |
M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96.2 | 96.1 | 97.5 | 96.1 | 97.3 | |
T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95.1 | 95.2 | 97.1 | 95.4 | 97.1 | |
MD 인장탄성율 (GPa) | 3.58 | 3.61 | 3.76 | 3.58 | 3.66 | |
TD 인장탄성율 (GPa) | 3.47 | 3.54 | 3.72 | 3.49 | 3.62 | |
MD 굴곡강도 (MPa) | 142.8 | 143.2 | 145.9 | 144.1 | 144.8 | |
TD 굴곡강도 (MPa) | 141.6 | 142.7 | 145.4 | 143.4 | 144.4 | |
MD 굴곡탄성율 (GPa) | 3.52 | 3.54 | 3.52 | 3.40 | 3.50 | |
TD 굴곡탄성율 (GPa) | 3.46 | 3.50 | 3.49 | 3.34 | 3.46 | |
M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NB | NB | NB | NB | NB | |
T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NB | NB | NB | NB | NB |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실시예 | |||||||
6 | 7 | 8 | 9 | 10 | 11 | ||
(A) (중량%) | (A1) | 70 | 70 | - | 70 | - | 70 |
(A2) | - | - | 70 | - | 70 | - | |
(A3) | - | - | - | - | - | - | |
(A4) | - | - | - | - | - | - | |
(B) (중량%) | (B1) | 30 | 30 | 30 | - | - | - |
(B2) | - | - | - | 30 | 30 | - | |
(B3) | - | - | - | - | - | 30 | |
(A)/(B) 점도비 | 2.04 | 2.04 | 1.52 | 1.47 | 1.09 | 1.31 | |
(C) (중량부) | 2.5 | 2.5 | 2.5 | 2.5 | 2.5 | 2.5 | |
(D) (중량부) | 2.5 | 4 | 3 | 3 | 3 | 3 | |
도메인 평균 크기 (㎛) | 안보임 | 안보임 | 안보임 | 안보임 | 0.15 | 안보임 | |
유리전이온도 (℃) | 163 | 164 | 165 | 162 | 156 | 159 | |
내마모성 (mg) | 17 | 25 | 23 | 22 | 22 | 21 | |
표면저항 값 (Ω/sq) | 1.8×108 | 8.7×106 | 5.4×107 | 8.1×107 | 1.9×108 | 1.0x 108 | |
M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96.0 | 95.2 | 96.8 | 97.2 | 98.2 | 97.4 | |
T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95.5 | 94.8 | 96.0 | 96.2 | 96.9 | 96.7 | |
MD 인장탄성율 (GPa) | 3.61 | 3.58 | 3.77 | 3.60 | 3.88 | 3.65 | |
TD 인장탄성율 (GPa) | 3.54 | 3.50 | 3.68 | 3.49 | 3.69 | 3.57 | |
MD 굴곡강도 (MPa) | 141.8 | 142.1 | 144.6 | 146.5 | 142.2 | 145.0 | |
TD 굴곡강도 (MPa) | 141.0 | 141.5 | 144.0 | 145.4 | 141.0 | 144.4 | |
MD 굴곡탄성율 (GPa) | 3.48 | 3.51 | 3.63 | 3.62 | 3.65 | 3.54 | |
TD 굴곡탄성율 (GPa) | 3.41 | 3.44 | 3.55 | 3.52 | 3.51 | 3.44 | |
M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NB | NB | NB | NB | NB | NB | |
T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NB | NB | NB | NB | NB | NB |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 |||||
1 | 2 | 3 | 4 | ||
(A) (중량%) | (A1) | 50 | 95 | 70 | 70 |
(A2) | - | - | - | - | |
(A3) | - | - | - | - | |
(A4) | - | - | - | - | |
(B) (중량%) | (B1) | 50 | 5 | 30 | 30 |
(B2) | - | - | - | - | |
(B3) | - | - | - | - | |
(A)/(B) 점도비 | 2.04 | 2.04 | 2.04 | 2.04 | |
(C) (중량부) | 2.5 | 2.5 | 0.5 | 4.5 | |
(D) (중량부) | 3 | 3 | 3 | 3 | |
도메인 평균 크기 (㎛) | Co-Continuous | 0.8 | 1.4 | 안보임 | |
유리전이온도 (℃) | 153/197 | 157/201 | 154/202 | 159 | |
내마모성 (mg) | 22 | 21 | 12 | 26 | |
표면저항 값 (Ω/sq) | 2.5×109 | 1.9×108 | 4.9×1010 | 3.2×103 | |
M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87.7 | 96.9 | 92.8 | 96.7 | |
T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81.9 | 89.2 | 86.9 | 95.9 | |
MD 인장탄성율 (GPa) | 2.92 | 3.80 | 3.63 | 3.61 | |
TD 인장탄성율 (GPa) | 2.62 | 3.44 | 3.18 | 3.54 | |
MD 굴곡강도 (MPa) | 136.6 | 147.9 | 141.9 | 146.4 | |
TD 굴곡강도 (MPa) | 129.8 | 140.2 | 133.5 | 145.1 | |
MD 굴곡탄성율 (GPa) | 3.12 | 3.52 | 3.33 | 3.58 | |
TD 굴곡탄성율 (GPa) | 2.79 | 3.22 | 3.00 | 3.52 | |
M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85 | 121 | 92 | NB | |
T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44 | 55 | 48 | NB |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 ||||||
5 | 6 | 7 | 8 | 9 | ||
(A) (중량%) | (A1) | 70 | 70 | - | - | - |
(A2) | - | - | 70 | - | - | |
(A3) | - | - | - | 70 | - | |
(A4) | - | - | - | - | 70 | |
(B) (중량%) | (B1) | 30 | 30 | - | - | 30 |
(B2) | - | - | - | 30 | - | |
(B3) | - | - | 30 | - | - | |
(A)/(B) 점도비 | 2.04 | 2.04 | 0.97 | 0.47 | 0.39 | |
(C) (중량부) | 2.5 | 2.5 | 2.5 | 2.5 | 2.5 | |
(D) (중량부) | 1 | 5.5 | 3 | 3 | 3 | |
도메인 평균 크기 (㎛) | 안보임 | 안보임 | 1.3 | 1.6 | 2.0 | |
유리전이온도 (℃) | 164 | 166 | 161/198 | 165/199 | 165/201 | |
내마모성 (mg) | 16 | 42 | 23 | 24 | 23 | |
표면저항 값 (Ω/sq) | 6.5×1010 | 2.2×104 | 3.1×109 | 9.2×109 | 6.1×109 | |
M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96.7 | 95.8 | 92.1 | 92.1 | 91.0 | |
TD 항복점 인장강도 (MPa) | 95.3 | 95.1 | 88.9 | 85.2 | 84.3 | |
MD 인장탄성율 (GPa) | 3.61 | 3.61 | 3.55 | 3.49 | 3.52 | |
TD 인장탄성율 (GPa) | 3.54 | 3.52 | 3.21 | 3.08 | 3.18 | |
MD 굴곡강도 (MPa) | 143.6 | 143.3 | 142.9 | 144.2 | 141.9 | |
TD 굴곡강도 (MPa) | 142.7 | 142.6 | 137.3 | 137.1 | 137.0 | |
MD 굴곡탄성율 (GPa) | 3.42 | 3.59 | 3.44 | 3.31 | 3.31 | |
TD 굴곡탄성율 (GPa) | 3.38 | 3.46 | 3.15 | 3.14 | 3.06 | |
M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NB | NB | NB | 155 | 145 | |
TD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 NB | NB | 118 | 121 | 100 |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평균 크기가 0.5 ㎛ 이하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혼화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고, 내마모성, 정전분산성(표면저항 값), 강성(인장강도, 인장탄성률,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내충격성(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등이 우수하며, 시편의 가공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TD (transverse direction))에 따른 물성 균일성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를 소량 적용하고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혼화성, 정전분산성(ESD 상한 초과),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및 TD)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졌음을 알 수 있고,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를 과량 적용하고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혼화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및 TD)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졌음을 알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혼화성, 정전분산성(ESD 상한 초과),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및 TD)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졌음을 알 수 있고, 탄소나노튜브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정전분산성(ESD 하한 미만)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낮은 표면저항 값은 외부의 정전기 또는 전기에 의해 전자 부품에 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카본블랙을 소량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정전분산성(ESD 상한 초과)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카본블랙을 과량 적용한 비교예 6의 경우, 내마모성, 정전분산성(ESD 하한 미만)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평균 크기가 0.5 ㎛를 초과하는 비교예 7 내지 9의 경우, 혼화성, 정전분산성(ESD 상한 초과),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시편의 가공 방향(MD 및 TD)에 따른 물성(강성, 내충격성 등) 편차가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6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1 내지 4 중량부; 및
카본블랙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10,000배 및 50,000배 배율로 측정한 매트릭스(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중 도메인(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평균 크기가 0.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는 ASTM D3835에 의거하여, 400℃ 온도 및 1000 sec-1 전단율 조건에서 모세관식 점도관 유량계로 측정한 용융점도(melt viscosity)가 300 내지 500 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는 ASTM D3835에 의거하여, 400℃ 온도 및 1000 sec-1 전단율 조건에서 모세관식 점도관 유량계로 측정한 용융점도(melt viscosity)가 200 내지 400 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수지의 용융점도비는 1 : 1 내지 4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이 3 내지 15 nm이고, 평균 길이가 10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 내지 50 nm이고, 공극률(void fraction)이 5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170℃이며, 싱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4060에 의거하여, 내마모 평가장비를 사용하여 1 kgf 하중, 연마기 휠 회전 속도 60 rpm 조건에서, 1,000 cycle 가동 후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시편의 무게 감소량(마모량)이 30 m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1 mm 두께 시편의 표면저항 값이 1 × 106 내지 1 × 109 Ω/sq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 또는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50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항복점 인장강도가 각각 93 내지 100 MPa이고, 인장탄성률이 각각 3.3 내지 4.0 GPa이며,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항복점 인장강도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항복점 인장강도의 차이가 2 MPa 이하이고,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인장탄성률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인장탄성률의 차이가 0.2 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을 사용하여,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 또는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각각 140 내지 150 MPa이고, 굴곡탄성률이 각각 3.2 내지 4.0 GPa이며,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굴곡강도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굴곡강도의 차이가 2 MPa 이하이고,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 굴곡탄성률 및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 굴곡탄성률의 차이가 0.2 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사출 시편의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 또는 3.2 mm 두께 사출 시편의 수직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으로 언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측정 시, 사출 시편이 깨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8991A KR20240040214A (ko) | 2022-09-21 | 2022-09-2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PCT/KR2023/014113 WO2024063490A1 (ko) | 2022-09-21 | 2023-09-19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8991A KR20240040214A (ko) | 2022-09-21 | 2022-09-2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0214A true KR20240040214A (ko) | 2024-03-28 |
Family
ID=9045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8991A KR20240040214A (ko) | 2022-09-21 | 2022-09-2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0214A (ko) |
WO (1) | WO202406349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738219A1 (en) * | 2012-11-28 | 2014-06-04 |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 PAEK/PAES compositions |
CN104987659A (zh) * | 2015-08-10 | 2015-10-21 | 广州索润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耐高温抗静电的导电聚合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US10829638B2 (en) * | 2016-04-29 | 2020-11-10 |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 Compatibilized polymer compositions |
EP3661994A1 (en) * | 2017-08-02 | 2020-06-10 |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 High flow polymer compositions |
EP4055082B1 (en) * | 2019-11-08 | 2023-12-06 |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 Blend of polyarylether ketone copolymer |
-
2022
- 2022-09-21 KR KR1020220118991A patent/KR20240040214A/ko unknown
-
2023
- 2023-09-19 WO PCT/KR2023/014113 patent/WO2024063490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63490A1 (ko) | 2024-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im et al. | BN-MWCNT/PPS core-shell structured composite for high thermal conductivity with electrical insulating via particle coating | |
CN101608067B (zh) | 一种导电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 | |
JP2009084561A (ja) | プラスチック複合材料及び前記材料を製造する方法 | |
EP1735376B1 (en) | Method of producing a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 |
JP2002080737A (ja) |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導電性樹脂成形体 | |
JP5029344B2 (ja) | 熱可塑性樹脂成形品 | |
KR100943125B1 (ko) | 대전방지용 수지 조성물 | |
KR20240040214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
KR20240040213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
KR20240040215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
KR20240023835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
KR102272920B1 (ko) |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2438416B1 (ko) | 친환경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
CN114525026B (zh) | 一种耐磨高刚性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Shinde et al. | Some studies on preparation and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poly-aryl-ether-ketone (PAEK)/MWNT polymer nanocomposite (PNC) | |
US12104053B2 (en) |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and conductive filler | |
KR101567450B1 (ko) | 대전방지 조성물 | |
KR102402957B1 (ko) |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16188359A (ja) | ポリエーテル芳香族ケトン樹脂組成物 | |
US12139606B2 (en) | High toughness electrically conductive peek for aircraft fuel system | |
KR102576652B1 (ko) |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2482344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 |
KR101281112B1 (ko) | 집적회로 테스트 소켓용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조성물 | |
US20220325100A1 (en) | High toughness electrically conductive peek for aircraft fuel system | |
KR20150142313A (ko) | 고분자/하이브리드 전도성 필러의 전기 전도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