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46A -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9746A KR20240009746A KR1020220087036A KR20220087036A KR20240009746A KR 20240009746 A KR20240009746 A KR 20240009746A KR 1020220087036 A KR1020220087036 A KR 1020220087036A KR 20220087036 A KR20220087036 A KR 20220087036A KR 20240009746 A KR20240009746 A KR 20240009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information
- content
- content image
- external device
- album a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FJJCIZWZNKZHII-UHFFFAOYSA-N [4,6-bis(cyanoamino)-1,3,5-triazin-2-yl]cyanamide Chemical compound N#CNC1=NC(NC#N)=NC(NC#N)=N1 FJJCIZWZNKZH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78113 Gyrotrema alb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기기 컨텐츠 구동앱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 기기 컨텐츠 구동앱에 의해 컨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고,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변화를 검증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장치와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콘텐츠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내에서 외부 기기(예,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악 등의 콘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음원의 앨범아트를 차량 장치가 직접 수신하거나, 외부 기기에 앨범아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외부 서버(예, 클라우드)로부터 앨범아트를 다운로드 받아 차량 장치의 화면에 재생중인 음원의 앨범아트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앨범아트를 전달하는 기능 자체가 한정된 OS와 앱에서만 현재 지원이 되고 있기 때문에 아직 호환성이 성숙되어 있지 않다. 즉, 모든 모바일 단말과 모든 뮤직앱에서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OS에서는 지원에 문제가 없더라도 앱의 고유 사양에 따라 개발이 달라지므로 차량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앨범아트 송수신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여 제대로 앨범아트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외부 기기의 OS 및 컨텐츠 실행 앱의 사양과 무관하게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차량 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기기 컨텐츠 구동앱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 기기 컨텐츠 구동앱에 의해 컨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고,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변화를 검증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 및 상기 외부 기기의 OS의 사양에 따라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이 변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는, 앨범 아트, 방송대표 이미지, 광고 이미지 또는 이들의 어느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외부 기기 컨텐츠 구동앱 별 앨범아트 요청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외부 기기 컨텐츠 구동앱 별 앨범아트 요청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 시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이 활성화되어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항목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1차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는, 앨범명, 곡명, 작곡가명, 앨범아트 ID 또는 이들의 어느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 가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에 해당하는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를 1차 요청한 시점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만큼 경과한 후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 요청을 2차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요청하여 수신된 컨텐츠 항목 정보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의 서버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여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 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했으나,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이미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외부의 서버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의 서버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한 후,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에 디폴트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실행중인 상기 컨텐츠 구동앱이 변경되거나, 재생중인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미리 정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재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한 개수의 컨텐츠에 대해 각각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재생중인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확인하고, 미리 정한 변경 주기가 도래하였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미리 정한 변경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미리 정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한 개수의 컨텐츠에 대해 각각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었으나, 타 미디어 동작 시, 백그라운드로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필요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필요 여부를 검증하는 중에, 상기 외부 기기의 구동앱이 실행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필요 여부 검증을 위해 이동했던 트랙을 검증 이전의 트랙으로 복귀하여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외부 기기와 컨텐츠 제공을 위한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에 의해 컨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변화를 검증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외부 기기의 OS 및 컨텐츠 실행 앱의 사양과 무관하게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차량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스트리밍 및 컨텐츠 이미지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장치에 앨범아트 요청 및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OS 및 컨텐츠 실행 앱의 사양과 무관하게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차량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증가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변경 예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변경 및 변경 주기 예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연동 미디어 재생 중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장치에 앨범아트 요청 및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OS 및 컨텐츠 실행 앱의 사양과 무관하게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차량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증가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변경 예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변경 및 변경 주기 예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연동 미디어 재생 중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 모바일 단말과 같은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앨범아트(커버 아트, 방송 대표 이미지, 광고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하 앨범아트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외부 기기의 OS 및 앱의 사양의 영향을 받는 모든 컨텐츠 이미지 정보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스트리밍 및 컨텐츠 이미지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 및 서버(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량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의 컨텐츠 구동앱(예, 뮤직앱의 종류)을 확인하고 외부 기기(200)의 컨텐츠 구동앱에 의해 컨텐츠(예, 음원) 재생이 시작되면,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예,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확인하여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이 도래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에 차량 장치(100)는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이 도래하면 컨텐츠 이미지 정보(예, 앨범 아트)를 외부 기기(200)로 요청하고,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변화를 검증하여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미지 정보는, 외부 기기(200)의 컨텐츠 구동앱 및 외부 기기(200)의 OS의 사양에 따라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이 변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컨텐츠 이미지 정보는, 앨범 아트, 방송대표 이미지, 광고 이미지 또는 이들의 어느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차량 장치(100)는 변경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이용하여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고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재생 중 화면에 표시한다.
외부 기기(200)는 차량 장치(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웨어러블 기기, 노트북 등 휴대가 가능하고 모든 이동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OS(Operating system)가 설치되고, OS 상에 컨텐츠 구동을 위한 앱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구동을 위한 앱들은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고, 앱의 업데이트 등에 따라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이 변화(감소, 증가)될 수 있다.
서버(300)는 뮤직앱,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외부 기기(200) 또는 차량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을 받으면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차량 내 장치들과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접속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을 통해 차량 외부의 서버, 인프라, 타 차량 등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술로는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200) 및 서버(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컨텐츠, 컨텐츠 항목 정보(앨범 제목, 곡명, 작곡가명, 앨범아트 ID 등) 및 컨텐츠 이미지 정보(예, 앨범아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프로세서(14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부(120)는 뮤직앱 타이머 관리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뮤직앱 타이머 관리 테이블은 뮤직앱별 앨범 안트 요청 딜레이값(Rd), 변경주기(Tp)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뮤직앱 타이머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클러스터, AVN(Audio Video Navigation), HMI(Human Machine Interface), USM (User Select Menu)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출력수단은 재생중인 음원의 정보(예, 곡명, 앨범명, 가수 등), 앨범 아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차량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다른 하위 제어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외부 기기(200)의 컨텐츠 구동앱이 활성화되어 컨텐츠가 재생되면, 외부 기기(200)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예,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확인하고,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항목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1차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항목 정보는, 앨범명, 곡명, 작곡가명, 앨범아트 ID 또는 이들의 어느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컨텐츠 항목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하면,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 가 존재하면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에 해당하는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컨텐츠 항목 정보를 1차 요청한 시점에서 외부 기기(200)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만큼 경과한 후 외부 기기(200)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곡정보 요청을 2차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2차 요청하여 수신된 곡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의 서버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여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 를 기반으로 외부 기기(200)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했으나,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이미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외부의 서버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외부의 서버(300)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한 후, 미리 정한 시간(예, 3000ms)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표시부(130)에 디폴트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실행중인 컨텐츠 구동앱이 변경되거나, 재생중인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확인하고,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요청하고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미리 정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재요청하고,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면,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한 개수의 컨텐츠에 대해 각각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재생중인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확인하고, 미리 정한 변경 주기가 도래하였는 지를 판단하여, 미리 정한 변경 주기가 도래한 경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미리 정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요청하고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면,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한 개수의 컨텐츠에 대해 각각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었으나, 타 미디어 동작 시, 백그라운드로 외부 기기(200)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필요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앨범아트 매니저(141), 딜레이 검증부(142), 및 이벤트 리스너(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앨범아트 매니저(141)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 곡정보 요청 시 외부 기기(200)로부터 앨범 아트(앨범아트 ID)가 존재한다고 응답이 오는 경우와 없다고 응답이 오는 경우에 대해서 처리하는 로직을 포함한다.
외부 기기(200)로부터 앨범아트가 있다고 응답이 오는 경우, 앨범아트 매니저(141)는 “AlbumArtID”값을 수신한다. 이 값이 있는 경우는 앨범아트 매니저(141)는 이 값을 이용하여 다시 외부 기기(200)로 getImage(AlbumArtID)를 이용하여 앨범아트를 다시 요청 하게 된다.
외부 기기(200)로부터 앨범아트가 없다고 응답이 오는 경우 앨범아트 매니저(141)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앨범아트를 받을 수 없는 경우이므로 차량에서 현재 재생 중인 곡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의 앨범아트를 제공하는 서버(300)에 앨범아트를 요청하게 된다.
앨범아트 매니저(141)는 앨범아트를 요청하는 시점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d)을 뮤직앱 타이머 관리 테이블로부터 확인 후에 설정한다.
앨범아트 매니저(141)는 앨범아트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앨범아트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뮤직앱에서 앨범아트 이미지가 준비 안된 경우(UID값이 null 값을 준 경우) 외부 기기(200)의 앱에서 앨범아트가 준비될 시간동안 잠시 대기후 다시 요청을 한다.
앨범아트 매니저(141)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앨범아트의 UID 를 보내왔으나 해당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도 잠시 대기후 다시 요청을 한다.
앨범 아트 재 요청기간에는 변경된 곡의 앨범아트를 표시하지 않고 이전 트랙의 앨범아트를 유지한다. 또한, 재 요청에도 외부 기기(200)에서 응답이 없다면 이때는 외부 기기(200)에 앨범아트가 없다고 판단하고 차량에서 서버(300)로 앨범아트를 요청한다. 그러나 서버(300)에서도 앨범아트가 없다면 이때 차량이 가지고 있는 디폴트 앨범아트를 표시하도록 한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Adaptive 앨범아트 전송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즉, 딜레이 검증부(142)는 차량과 외부 기기(200)가 연결되면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을 확인하고 앨범아트 응답 시간을 모니터링 하고 변경이 필요한 경우는 그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 자체적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의 연동 특성을 테스트하여 그 테스트 결과를 뮤직앱 타이머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를 한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에서 앨범아트 준비가 안된 경우 또는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에서 앨범아트 이미지가 준비되었다고 알려주었으나 실제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해 아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에서 앨범아트 전달에 대한 변경이 발생할 수 있는 변화는 두 가지이다.
첫째, 기존보다 더 빨리 앨범아트가 준비되어 차량으로 전달이 가능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차량에서 기존 보다 빨리 변경곡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빨리 앨범아트를 가져오도록 앨범아트 요청시간(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의 축소가 필요하다.
둘째, 기존보다 더 느리게 앨범아트가 준비 되어 기존의 로직으로는 정상적인 앨범아트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차량에서 기존과 같이 빨리 요청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앨범아트를 받아 올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이 외부 기기(200)로 앨범아트를 요청하는 시간(디폴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보다는 좀더 느리게 요청하도록 요청 시간의 증가가 필요하다.
이에 딜레이 검증부(142)는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이 선택되면 앨범아트 요청을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 외부 기기(200)는 뮤직앱의 변경될 때 마다 변경 정보를 차량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가 잘 수신되다가 갑자기 앨범아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뮤직앱의 앨범아트 준비시간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조금씩 늘려가면서 테스트 한다. 예를 들어, 곡 변경 시마다 기존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에서 단위값(예, 100ms)를 늘려 테스트하고, 앨범아트가 여전히 수신되지 않으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단위값만큼 더 증가시켜 테스트한다.
또한,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무한대로 늘리지 않고 미리 정한 최대값(Max) 까지만 늘려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x = 3000ms로 정의할 수 있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곡 변경 시 마다 앨범아트를 요청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앨범아트 ID가 전달이 되는지 확인하고, 앨범아트ID를 기반으로 앨범 아트를 요청하여 앨범아트가 수신되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앨범아트가 수신되어야만 변경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ID를 수신했으나 실제 외부 기기(200)에서 이미지 앨범아트 파일이 수신되지 않으면 실패로 판단하고,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다시 증가시킨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가 수신 성공한 경우, 해당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내에서 5회의 트랙 변경시마다 앨범아트가 모두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여, 모두 수신되면 해당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뮤직앱 타이머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갑자기 앨범아트가 빠르게 수신되는 경우, 이전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유지해도 사용자에게 큰 영향이 없다. 그러나 앨범아트가 먼저 수신되어 대기한 후 표시되므로, 너무 느리게 앨범아트가 표시되고 있는 것이므로 좀 더 빠르게 앨범아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개선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 앨범아트가 갑자기 안오는 것이 아니므로 뮤직앱의 앨범아트 준비 시간이 개선되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딜레이 검증부(142)는 주기적으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이 짧아졌는 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즉, 딜레이 검증부(142)는 일정 시간 Tp(점검주기) 마다 단위 타임(예, 100ms)을 줄여도 문제가 없는지 확인을 한다. 이때 단위 타임은 실험치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 있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한 상태에서 앨범아트를 요청하여 수신 성공하면, 트랙 변경 5회동안 해당 감소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기반으로 앨범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5회 모두 성공하면 해당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뮤직앱 타이머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
그러나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한 상태에서 앨범아트를 요청하여 수신 실패하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한번 더 축소한다. 이때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0으로 줄이지는 않고 최소값(Min) 까지만 축소하여 테스트하며, 최소값은 200ms일 수 있고 실험치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딜레이 검증부(142)는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의 업데이트 주기를 모두 감안하여 변경 주기(Tp)를 30일로 설정할 수 있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변경주기(Tp)를 매일 +1을 하고 30이 되면 차량과 연동하는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검증할 수 있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타미디어 모드에서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자동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딜레이 검증부(142)는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의 FM 라디오 등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검증할 수 있다. 즉 딜레이 검증부(142)는 사용자가 뮤직앱과 연동하는 블루투스 오디오를 활성화 하지 않아도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검증할 수 있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외부 기기(200)가 차량에 연결이 되면 차량에서 해당 모드를 선택해서 재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제어는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결된 외부 기기(200)에서 동작중인 뮤직앱을 확인하고 백그라운드로 트랙업(track up)하고 백그라운드로 앨범아트가 정상적으로 오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알아차리 지 못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검증할 수 있다.
다만 딜레이 검증부(142)는 앨범아트 테스트 도중에 고객이 외부 기기 연동 모드를 켤 수 있기 때문에, 백그라운드 테스트를 시작하는 시점의 곡에서 몇번의 트랙업(Track Up)을 하였는지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 기기(200) 연동 모드 진입 시 원복을 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FM 라디오를 청취 중 백그라운드로 3회 트랙업 후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검증하는 중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의 멜론앱을 활성화시켜 음원을 재생하고자하는 경우, 3회 트랙업 이전의 트랙으로 원복하여 그 시점부터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백그라운드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검증하는 중 트랙 원복 시점은 ①테스트를 완료한 시점 ②테스트 도중에 외부 기기 연동 모드로 진입한 경우이다.
딜레이 검증부(142)는 음원 재생중 검증과 달리 외부 기기가 연결된 시점에서 선택된 뮤직앱에 대해서만 1회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점검을 한다.
이벤트 리스너(143)는 외부 기기(2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 한다. 즉 이벤트 리스너(143)는 외부 기기(200)에서 트랙이나 뮤직앱이 변경이 되는 지를 모니터링하고 이벤트 발생 시 뮤직앱별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t)을 불러오거나 트랙 변경시 필요한 동작(곡정보 가져와서 표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장치에 앨범아트 요청 및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미디어 트랙이 변경되면 즉시 외부 기기(200)로 첫번째 곡정보 요청을 한다. 이후 차량 장치(100)는 곡정보가 수신되면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앨범 아트 ID 가 존재하면 첫번째 곡정보 요청 후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인 500ms 후 외부 기기(200)로 앨범아트를 요청하고 앨범 아트가 수신되면 표시한다.
차량 장치(100)는 첫번째 곡정보 요청 후 응답에서 앨범아트ID가 없는 경우, 곡정보 응답 시점에서 500ms 후 두번째 곡정보 요청을 한다. 이후 차량 장치(100)는 두번째 곡정보 요청에 대한 곡정보 응답 후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즉시 앨범아트 요청을 하고 앨범아트가 수신되면 앨범아트를 표시한다.
반면, 차량 장치(100)는 두번째 곡정보 요청에 대한 곡정보 응답 후 앨범아트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버(클라우드, 300)로 즉시 앨범 아트를 요청한다. 차량 장치(100)는 5000ms이내로 서버(300)로부터 앨범 아트가 수신되면 표시하고 5000ms이내로 서버(300)로부터 앨범 아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차량 장치(100)는 첫번째 곡정보 요청 후 응답에서 앨범아트ID가 있으나, 실제 앨범아트가 없는 경우, 서버(클라우드, 300)로 즉시 앨범 아트를 요청한다. 차량 장치(100)는 5000ms이내로 서버(300)로부터 앨범 아트가 수신되면 표시하고 5000ms이내로 서버(300)로부터 앨범 아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OS 및 컨텐츠 실행 앱의 사양과 무관하게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차량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OS 및 컨텐츠 실행 앱의 사양과 무관하게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차량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장치(100)가 도 3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3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차량 장치(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는 컨텐츠 중 음원을 스트리밍하는 경우 앨범아트를 표시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와 음원 스트리밍을 위해 무선 통신 연결되면(S101), 외부 기기(200)로 뮤직앱 확인을 요청한다(S102). 즉 외부 기기(200)에서 음원 스트리밍을 위해 사용되는 뮤직앱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직앱의 종류는 멜론, 유튜브뮤직, 스포티파이, 지니뮤직, 아마존 뮤직, 타이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뮤직 앱 확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S103), 해당 뮤직 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확인할 수 있다(S104). 이때 뮤직 앱별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은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뮤직 앱별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은 최초 디폴트 값이 저장될 수 있고, 추후 뮤직 앱의 업데이트 등에 따라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이 달라질 수 있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의 변화를 파악하여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을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장치(100)는 음원 재생 중 미디어 트랙의 변경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한다(S105). 미디어 트랙의 변경은 곡 변경을 의미한다.
차량 장치(100)는 미디어 트랙의 변경이 발생하면 i=0으로 설정하고(S106), 외부 기기(200)로 곡정보를 요청하고 i에 1을 더한다(S107). 이때, i는 곡정보 요청 횟수이다. 또한 곡정보는, 앨범명, 가수명, 곡명, 앨범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곡정보를 수신하고(S108), 곡정보 중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109).
차량 장치(100)는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면, 해당 앨범아트 ID에 대한 앨범아트를 외부 기기(200)로 요청한다. 이때, 앨범아트는 앨범의 겉표지 앞면에 인쇄되는 그림이나 사진을 의미한다.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앨범아트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S111), 앨범아트 이미지가 실제로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112).
이에 차량 장치(100)는 앨범아트 이미지가 존재하면, 표시부(130)에 앨범아트를 표시한다(S113). 반면, 앨범아트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 서버(300)에 앨범아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추후 S116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과정 S109에서 앨범아트 ID가 없는 경우, 차량 장치(100)는 곡정보 요청이 2회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114), 곡정보 요청이 2회 미만이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동안 대기 후 외부 기기(200)로 곡정보를 다시 요청할 수 있다(S115). 이때,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 곡정보 요청을 2회 요청하여 1회만 요청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곡정보 요청이 2회 이상이면, 즉 곡정보 요청을 2회 하였고 2회 모두 곡정보에 앨범아트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에 앨범아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서버(300)로 앨범아트를 요청할 수 있다(S116).
이어 차량 장치(100)는 타이머를 시작하고(S117), 타이머 시간 내에 서버(300)로부터 앨범아트를 수신하였는 지를 판단한다(S118).
차량 장치(100)는 타이머 시간 내에 서버(300)로부터 앨범아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디폴트 앨범아트를 표시한다(S119). 디폴트 앨범아트는 앨범아트가 없는 모든 음원들에 대해 디폴트로 표시하기 위해 미리 생성한 이미지로서 재생중인 음원과 상관없는 앨범아트 이미지이다.
차량 장치(100)는 타이머 시간 내에 서버(300)로부터 앨범아트를 수신한 겨우, 수신한 앨범아트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120).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증가 변경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증가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변경 예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앱별로 앨범아트 준비 시간이 증가되는 경우, 차량 장치(100)는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장치(100)가 도 4a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4a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차량 장치(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에서 실행중인 뮤직앱이 변경되는 지, 미디어 트랙이 변경되는 지를 미리 정한 주기마다 모니터링한다(S201, S211).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에서 멜론 앱을 사용하다가 유튜브 뮤직으로 변경하는 경우, 뮤직앱이 변경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a에서 과정 S201과 S211은 병렬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 S201에서 뮤직 앱이 변경된 경우, 차량 장치(100)는 변경된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d)을저장부(120)에 저장된 뮤직앱 타이머 관리 테이블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S202). 차량 장치(100)는 Mn(Rd)=Rd, i=0을 설정한다(S203). Mn(Rd)는 해당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d)을 의미한다. i는 앨범아트 ID 확인 횟수이다.
상기 과정 S211에서 미디어 트랙이 변경된 경우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 곡정보를 요청한다(S212). 차량 장치(100)는 Mn(Rd)=Rd로 설정하고(S213),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곡정보에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214). 이때, Mn(Rd)=Rd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 값으로 도 4b와 같이 500ms일 수 있다.
앨범아트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 장치(100)는 i=0으로 설정 후(S215), Mn(Rd)=Rd+100ms로 설정한다(S216). 이때, i 는 앨범아트 ID확인 횟수이며 곡정보 요청 횟수이다.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Rd(예, 500ms)으로 곡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였으나 앨범아트 ID가 없으므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100ms만큼 증가시킨다(예, 600ms).
이때, 차량 장치(100)는 변경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Mn(Rd)이 최대 제한치인 3000ms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217).
차량 장치(100)는 변경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Mn(Rd) 대기 후 곡정보를 요청한다(S212).
한편, 상기 과정 S214에서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면, 차량 장치(100)는 i= i +1로 설정 후(S218), i가 5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219). 곡정보 요청 횟수가 5회 이상이면, 차량 장치(100)는 현재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으로 결정하고(S220),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한다(S221). 이어 차량 장치(100)는 i=0으로 초기화한다(S222).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유튜브 뮤직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이 500ms 인 경우, 500ms만큼 딜레이 시켰을 때 앨범아트 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을 600ms로 증가시킨다. 이후 600ms로 5회 곡정보를 요청하고 앨범아트 ID가 5회 모두 수신된 경우, 차량 장치(100)는 유튜브 뮤직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을 500ms에서 600 ms으로 증가시켜 업데이트시킨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변경 및 변경 주기 예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앱별로 앨범아트 준비 시간이 축소된 경우, 차량 장치(100)가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하여 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다. 다만 앱별로 앨범아트 준비 시간이 축소된 경우, 차량 장치(100)는 미리 정한 변경주기(Tp)마다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증가 변경하는 것은 기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으로 앨범아트를 요청하는 경우 앨범아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즉시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증가 시키나, 앨범아트 준비 시간이 축소된 경우 기존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이용해도 앨범아트를 수신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시간 단축을 위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시키는 것이므로 매번 수행하기보다는 미리 정한 주기마다 모니터링하여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장치(100)가 도 5a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5a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차량 장치(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에서 실행중인 뮤직앱이 변경되는 지, 미디어 트랙이 변경되는 지를 미리 정한 주기마다 모니터링한다(S301, S311). 상기 과정 S301과 S311은 병렬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 S301에서 뮤직 앱이 변경된 경우, 차량 장치(100)는 변경된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d)을저장부(120)에 저장된 뮤직앱 타이머 관리 테이블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S302). 차량 장치(100)는 Mn(Rd)=Rd, i=0을 설정한다(S303). Mn(Rd)는 해당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d)을 의미한다. i는 곡정보 요청 횟수 즉 앨범아트 ID 확인 횟수이다.
차량 장치(100)는 뮤직앱 변경주기(Tp)가 30일 미만인지를 판단하고(S304), 변경주기가 30일 미만이 아니면 뮤직앱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다(S305). 이어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1로 설정한다(S306).
상기 과정 S311에서 미디어 트랙이 변경된 경우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 곡정보를 요청한다(S312). 차량 장치(100)는 Mn(Rd)=Rd로 설정하고(S313),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곡정보에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314). 이때, Mn(Rd)=Rd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 값으로 도 5b와 같이 500ms일 수 있다.
앨범아트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0으로 설정 후(S315), Mn(Rd)=Rd로 설정한다(S316).
한편 상기 과정 S314에서 앨범 아트 ID가 존재하는 경우,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1인지를 판단한다(S315).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1이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이 200ms보다 큰지를 판단하고(S318),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이 200ms보다 크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Mn(Rd)=Rd-100ms 로 설정한다(S319). 즉 차량 장치(100)는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100ms 만큼 감소시킨다. 감소 변경이 완료되면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0으로 설정한다(S320).
한편 상기 과정 S317에서 TpCh=1이 아니면, 차량 장치(100)는 i=i+1 로 i를 1만큼 증가시키고(S321), i가 5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322). 곡정보 요청 횟수가 5회 이상이면, 차량 장치(100)는 현재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으로 결정하고(S324),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한다(S325). 이어 차량 장치(100)는 i=0으로 초기화한다(S326).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유튜브 뮤직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이 500ms 인 경우, 500ms만큼 딜레이 시켰을 때 앨범아트 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을 600ms로 증가시킨다. 이후 600ms로 5회 곡정보를 요청하고 앨범아트 ID가 5회 모두 수신된 경우, 차량 장치(100)는 유튜브 뮤직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 값을 500ms에서 400 ms으로 감소시켜 업데이트시킨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연동 미디어 재생 중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연동 미디어 재생 중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감소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장치(100)가 도 6a 및 도 6b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차량 장치(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는 지를 판단한다(S401).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연동 미디어가 온 되는 지를 판단한다(S402). 외부 연동 미디어는 FM 라디오, AM 라디오 등 뮤직앱이 아닌 다른 미디어를 의미한다.
외부 기기(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연동 미디어가 온 되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에서 뮤직앱이 실제 실행되지 않았으나 백그라운드로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 장치(100)는 변경된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d)을저장부(120)에 저장된 뮤직앱 타이머 관리 테이블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S403). 이때 뮤직앱 타이머 관리 테이블은 도 5b와 동일하다.
차량 장치(100)는 Mn(Rd)=Rd, i=0을 설정한다(S404). Mn(Rd)는 해당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Rd)을 의미한다. i는 곡정보 요청 횟수 즉 앨범아트 ID 확인 횟수이다.
차량 장치(100)는 뮤직앱 변경주기(Tp)가 30일 미만인지를 판단하고(S405), 변경주기가 30일 미만이 아니면 뮤직앱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다(S406). 이어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필요 플래그 TpCh=1, 백그라운드 트랙변경횟수 Tkn=0으로 설정한다(S407).
이어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이 활성화되면(S408),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 곡정보를 요청하고(S409), TKn=Tkn+1로 설정한다(S410).
차량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곡정보에 앨범아트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411).
앨범아트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0으로 설정 후(S423), 이전으로 트랙을 변경한다(S420).
한편 상기 과정 S411에서 앨범 아트 ID가 존재하는 경우,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1인지를 판단한다(S412).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1이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이 200ms보다 큰지를 판단하고(S418),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이 200ms보다 크면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 Mn(Rd)=Rd-100ms 로 설정한다(S419). 즉 차량 장치(100)는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100ms 만큼 감소시킨다. 감소 변경이 완료되면 차량 장치(100)는 주기 변경 검사 플래그 TpCh=0으로 설정하고(S420), 트랙을 강제 변경한다(S407).
한편 상기 과정 S317에서 TpCh=1이 아니면, 차량 장치(100)는 i=i+1 로 i를 1만큼 증가시키고(S413), i가 5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413). 곡정보 요청 횟수가 5회 이상이면, 차량 장치(100)는 현재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으로 결정하고(S415),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한다(S416). 이어 차량 장치(100)는 i=0으로 초기화한 후(S417), 이전으로 트랙을 변경한다(S421).
도 6b를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외부 연동 미디어가 온 되었는 지를 판단하고(S431), 외부 기기의 재생을 정지한다(S432).
차량 장치(100)는 이전으로 트랙을 Tkn만큼 변경하고(S433),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을 활성화한다(S434).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의 뮤직앱이 아닌 차량 내 고유 미디어(FM, DMB 등)를 청취 중, 백그라운드로 뮤직앱의 앨범아트 요청 딜레이값을 검증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기기(200)의 OS 및 앱의 사양과 상관없이 차량 장치(100)가 앨범아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통 두 디바이스의 두 앱 간의 통신 시간의 변경이 발생하면, 보통 두 앱의 통신 방법(특정 데이터 전송 요청/수신 및 데이터 유효성 판단)이 같이 동시에 변경이 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한 디바이스의 앱이 변경이 되면 다른 디바이스의 앱이 통신 방법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통신 호환성 문제를 자동으로 보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에 의해 컨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고,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변화를 검증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 및 상기 외부 기기의 OS(Operating system) 사양에 따라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이 변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는,
앨범 아트, 방송대표 이미지, 광고 이미지 또는 이들의 어느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 별 앨범아트 요청 시간 및 변동 주기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 별 앨범아트 요청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 시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이 활성화되어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항목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1차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는,
앨범명, 곡명, 작곡가명, 앨범아트 ID 또는 이들의 어느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 가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에 해당하는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를 1차 요청한 시점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만큼 경과한 후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 요청을 2차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요청하여 수신된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의 서버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항목 정보에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가 존재하여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ID 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했으나,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이미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외부의 서버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의 서버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요청한 후,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에 디폴트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중인 상기 컨텐츠 구동앱이 변경되거나, 재생중인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미리 정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재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한 개수의 컨텐츠에 대해 각각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증가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재생중인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확인하고,
미리 정한 변경 주기가 도래하였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미리 정한 변경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시간을 미리 정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변경된 컨텐츠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한 개수의 컨텐츠에 대해 각각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감소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었으나, 타 미디어 동작 시,
백그라운드로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의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필요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필요 여부를 검증하는 중에, 상기 외부 기기의 구동앱이 실행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필요 여부 검증을 위해 이동했던 트랙을 검증 이전의 트랙으로 복귀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치.
- 외부 기기와 컨텐츠 제공을 위한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의 컨텐츠 구동앱에 의해 컨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변화를 검증하여 상기 구동앱별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7036A KR20240009746A (ko) | 2022-07-14 | 2022-07-14 |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 |
US18/077,852 US20240020087A1 (en) | 2022-07-14 | 2022-12-08 | Vehicle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content imag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7036A KR20240009746A (ko) | 2022-07-14 | 2022-07-14 |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9746A true KR20240009746A (ko) | 2024-01-23 |
Family
ID=8950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7036A KR20240009746A (ko) | 2022-07-14 | 2022-07-14 |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20087A1 (ko) |
KR (1) | KR20240009746A (ko)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29440B2 (ja) * | 2006-06-07 | 2011-07-20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情報処理装置 |
US8035023B2 (en) * | 2009-08-25 | 2011-10-11 | Volkswagen Ag | Predictive environment music playlist selection |
US20130254159A1 (en) * | 2011-10-25 | 2013-09-26 | Clip Interactive, Llc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audio services |
US10630407B2 (en) * | 2012-04-23 | 2020-04-21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vehicle image supplement |
WO2014012028A2 (en) * | 2012-07-12 | 2014-01-16 | Robert Bosch Gmbh | System and method of conversational assistance for automated tasks with integrated intelligence |
US9207671B2 (en) * | 2012-10-12 | 2015-12-08 |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Error diagnostics and prognostics in motor drives |
US9769546B2 (en) * | 2013-08-01 | 2017-09-19 | Hulu, LLC | Preview image processing using a bundle of preview images |
US20150199729A1 (en) * | 2014-01-13 | 2015-07-16 | Admobilize Llc. |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advertising on mobile and stationary platforms |
CR20170120A (es) * | 2014-09-04 | 2017-07-17 | Tagstation Llc | Sistema y metodo para facilitar una guia de estaciones de radio geográficamente relevantes y transmisión de contenido complementario a través de internet |
US9673926B2 (en) * | 2014-12-19 | 2017-06-06 |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 Determining presentation time in AVB networks |
US10474694B2 (en) * | 2015-02-25 | 2019-11-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Zero-data loss recovery for active-active sites configurations |
WO2016160629A1 (en) * | 2015-03-27 | 2016-10-06 | Google Inc. | Providing selected images from a set of images |
US9836335B2 (en) * | 2015-10-02 | 2017-12-05 | Qualcomm Incorporated | Behavior-based distracting application detection on vehicles |
WO2017075614A1 (en) * | 2015-10-29 | 2017-05-04 | Oy Vulcan Vision Corporation | Video imaging an area of interest using networked cameras |
US10367687B1 (en) * | 2018-04-20 | 2019-07-30 | Spotify Ab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settings of a media playback device |
KR102527296B1 (ko) * | 2018-05-04 | 2023-05-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프레임 구동 타이밍 동기 방법 |
US11288304B2 (en) * | 2018-06-03 | 2022-03-29 | Apple Inc. | Synchronized shared playlists |
JP6828719B2 (ja) * | 2018-06-27 | 2021-02-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載装置および制御方法 |
KR102637118B1 (ko) * | 2018-08-09 | 2024-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983583B2 (en) * | 2018-08-23 | 2021-04-20 | Apple Inc. | Electronic display reduced blanking duration systems and methods |
CN109314896B (zh) * | 2018-09-04 | 2021-03-0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小区切换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
WO2020076011A1 (ko) * | 2018-10-11 | 2020-04-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
JP2020166719A (ja) * | 2019-03-29 | 2020-10-0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WO2020220199A1 (en) * | 2019-04-29 | 2020-11-05 | Baidu. Com Times Technology (Beijing) Co., Ltd. | Multiple sensor data storage with compressed video stream in autonomous driving vehicles |
US11488209B2 (en) * | 2019-06-18 | 2022-11-01 | Manicka Institute Llc | Apparatus, process, and system for display of images on windows of vehicles |
US10811055B1 (en) * | 2019-06-27 | 2020-10-20 | Fuji Xerox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synchronization of video playback with user motion |
US11094319B2 (en) * | 2019-08-30 | 2021-08-17 | Spotify Ab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cleaned version of ambient sound |
US11394930B2 (en) * | 2019-10-11 | 2022-07-19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Filtering and correlating radio signals based on a field of view of a camera |
US11350185B2 (en) * | 2019-12-13 | 2022-05-31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Text-to-audio for interactive videos using a markup language |
EP4054251A3 (en) * | 2021-03-01 | 2022-11-23 | Nokia Technologies Oy | Clock synchronization |
US20220321777A1 (en) * | 2021-03-30 | 2022-10-06 | Teledyne Flir Commercial Systems, Inc. | Data rate control for image transmission |
-
2022
- 2022-07-14 KR KR1020220087036A patent/KR20240009746A/ko unknown
- 2022-12-08 US US18/077,852 patent/US20240020087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020087A1 (en) | 2024-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0273370B2 (en) | Cross-device handoffs | |
US11908479B2 (en) | Virtual assistant identification of nearby computing devices | |
US11711670B2 (en) | Method for activating service based on user scenario perception, terminal device, and system | |
DE102014009871B4 (de) | Vorhersagendes Weiterleiten von Meldungsdaten | |
US10064025B2 (en) | Offline peer-assisted notification delivery | |
EP2524290B1 (en) |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 |
CN104679716A (zh) | 第一装置接收输入及将输出呈现于第二装置的装置和方法 | |
US20150334171A1 (en) | Mobile device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infotainment headunits | |
US20180197099A1 (en) | User state predictions for presenting information | |
CN106503077A (zh) | 媒体内容的管理方法、装置和设备 | |
WO2020018109A1 (en) | Dynamically linking social media reactions to actions performed by remote applications | |
KR20240009746A (ko) |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장치 및 그 방법 | |
US20220350476A1 (en)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activating chat room of messenger application | |
WO2024107271A1 (en) | Context adaptive writing assistant | |
KR20140045761A (ko) |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