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082U - 신발 거치대 - Google Patents
신발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0082U KR20240000082U KR2020220001652U KR20220001652U KR20240000082U KR 20240000082 U KR20240000082 U KR 20240000082U KR 2020220001652 U KR2020220001652 U KR 2020220001652U KR 20220001652 U KR20220001652 U KR 20220001652U KR 20240000082 U KR20240000082 U KR 2024000008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plate
- opening
- shoes
- sho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386 air freshen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판의 상부 및 하부에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들이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향기가 제공되어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커버할 수 있는 신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신발이 안착되는 신발판(100)과, 신발판(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일측다리(200)와, 신발판(1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측다리(300)와, 신발판(100)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제(400)를 포함하고, 일측다리(2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앞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다리(3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뒷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신발이 안착되는 신발판(100)과, 신발판(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일측다리(200)와, 신발판(1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측다리(300)와, 신발판(100)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제(400)를 포함하고, 일측다리(2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앞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다리(3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뒷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신발판의 상부 및 하부에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들이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향기가 제공되어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커버할 수 있는 신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장은 대부분 건물의 출입문 내외측에 설치되어 신발을 가지런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정방형이나 장방형으로 형성한 틀의 내부에 다단의 선반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신발장은 그 대부분이 장방형 틀에 선반을 횡으로 다수 고정 설치하고, 설치된 선반에 신발을 올려서 보관토록 되어있으나, 이는 신발장이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적은 양의 신발만 보관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장기간 신고 다니는 신발을 신발장에 보관하는 경우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신발장에 머물게 되므로 신발을 사용하기 위해 신발장을 개방하는 사용자에게 악취가 풍겨서 불쾌감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신발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신발거치대(공개번호20-2012-0007665호)가 공개되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발판의 상부 및 하부에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들이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향기가 제공되어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커버할 수 있는 신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거치대는, 신발이 안착되는 신발판(100)과, 신발판(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일측다리(200)와, 신발판(1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측다리(300)와, 신발판(100)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제(400)를 포함하고, 일측다리(2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앞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다리(3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뒷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신발판(100)은 방향제(40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공기가 통과되는 바닥통공(121)이 형성되는 수용홈(120)과, 수용홈(120)을 개폐하면서 방향제(400)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통과되는 개폐통공(131)이 형성되는 개폐판(130)을 포함하고, 개폐판(130)의 상부에 신발이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턱(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개폐판(130)은 수용홈(120)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연결부분이 연성으로 되어 외압에 의해 쉽게 구부려지거나 또는 힌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홈(120)의 양측에 삽입홈(140)이 형성되고, 개폐판(130)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신발판(100)의 삽입홈(14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홈(120)은 신발판(100)의 중앙에 형성되고, 신발판(100)의 상부에서 양측에 신발이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턱(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방향제(400)는 식물의 향기가 발생되도록 패드형태로 가공된 아로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신발판의 상부 및 하부에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들이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향기가 제공되어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커버할 수 있어서, 신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신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신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거치대는, 신발이 안착되는 신발판(100)과, 신발판(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일측다리(200)와, 신발판(1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측다리(300)와, 신발판(100)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제(400)를 포함한다.
신발판(1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발판(100)의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돌기들이 분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발판(100)은 방향제(40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공기가 통과되는 바닥통공(121)이 형성되는 수용홈(120)과, 수용홈(120)을 개폐하면서 방향제(400)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통과되는 개폐통공(131)이 형성되는 개폐판(130)을 포함한다.
또한, 수용홈(120)에 방향제(400)가 수용된 상태에서 개폐판(130)이 수용홈(120)을 폐쇄하면 수용된 방향제(4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수용홈(120)의 바닥통공(12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수용홈(120)에 수용된 방향제(400)에서 발생되는 향기와 함께 개폐판(130)의 개폐통공(131)을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향기가 공기와 함께 신발의 주변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수용홈(120)의 테두리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개방홈(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사용자가 개방홈(122)으로 손가락을 삽입시켜서 개폐판(130)을 들어 올려서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판(130)이 개방되면 방향제(40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20)의 테두리에는 고정홈(123)도 형성된다.
개폐판(130)은 일단이 수용홈(120)의 테두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신발판(100) 및 개폐판(130)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다. 이때, 개폐판(130)이 수용홈(120)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연결부분이 연성으로 되어 외압에 의해 쉽게 구부려지거나 또는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판(130)이 수용홈(120)의 테두리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수용홈(120)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130)은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신발을 지지하는 지지턱(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진 신발판(100)에 안착된 신발이 미끄러져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폐판(130)의 끝단에는 수용홈(120)의 고정홈(123)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돌기(133)가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판(130)이 수용홈(120)을 폐쇄하면 고정돌기(133)가 수용홈(120)의 고정홈(123)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즉, 개폐판(130)의 폐쇄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개폐판(130)을 개방시키기 위해 개방홈(122)으로 손가락을 삽입시켜서 개폐판(13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돌기(133)가 고정홈(123)에서 강제로 분리된다.
일측다리(2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앞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다리(3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뒷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일측다리(200) 및 타측다리(300)에 양측이 지지되는 신발판(100)이 경사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경사진 상태를 이루는 신발판(100)의 상부에서 한쪽의 신발을 올리면 신발이 지지턱(132)에 걸려서 지지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신발을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신발이 신발판(100)의 상부 및 하부에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판(100)의 상부에 한쪽의 신발을 안착시키고 신발판(100)의 하부에 다른 신발을 삽입시킬 수 있어서 하나의 신발판(100)에 의해 한 쌍의 신발이 보관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이 신발장에 수용되어서 사용되는 경우 신발장의 좁은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신발판(100)은 방향제(40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공기가 통과되는 바닥통공(121)이 형성되는 수용홈(120)과, 수용홈(120)을 개폐하면서 방향제(400)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통과되는 개폐통공(131)이 형성되는 개폐판(130)을 포함한다.
방향제(400)는 식물의 향기가 발생되도록 패드형태로 가공된 아로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아로마는 공기가 통과되는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로 수용홈(12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제(400)에서 향기가 발생되어서 신발판(100)에 안착된 신발에 제공되면서 신발판(100)이 수용된 신발장의 내부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신발판(100)이 한 쌍의 신발보다 넓은 넓이로 제조되는 경우 한 쌍의 신발이 신발판(100)의 상부에 안착되고, 다른 한 쌍의 신발이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수용홈(120)은 신발판(100)의 중앙에 형성되고, 신발판(100)의 상부에서 양측에 신발이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턱(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신발판(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신발들이 걸림턱(110)들에 걸려서 지지되면 신발들이 신발판(1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보관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신발들은 걸림턱(110) 및 개폐판(130)의 지지턱(132)에 함께 걸리게 되므로 안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본 고안에 의해 두 쌍의 신발들이 상부 및 하부에 분리된 상태로 각각 보관될 수 있다. 1
더욱이, 신발판(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수용홈(120)에 수용된 방향제(400)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신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판(100)은 수용홈(120)의 양측에 삽입홈(140)이 형성된다.
개폐판(130)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신발판(100)의 삽입홈(140)에 삽입된다.
따라서, 개폐판(130)을 신발판(100)의 삽입홈(140)에 강제로 삽입시키면 개폐판(130)의 삽입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개폐판(130)의 지지턱(132)을 밀어서 개폐판(130)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개방홈(122)에 삽입시켜서 개폐판(130)을 밀어서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신발판의 상부 및 하부에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들이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향기가 제공되어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신발 거치대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신발판
110 : 걸림턱
121 : 바닥통공 120 : 수용홈
130 : 개폐판 131 : 개폐통공
132 : 지지턱 140 : 삽입홈
200 : 일측다리 300 : 타측다리
400 : 방향제
121 : 바닥통공 120 : 수용홈
130 : 개폐판 131 : 개폐통공
132 : 지지턱 140 : 삽입홈
200 : 일측다리 300 : 타측다리
400 : 방향제
Claims (6)
- 신발이 안착되는 신발판(100)과,
신발판(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일측다리(200)와,
신발판(1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측다리(300)와,
신발판(100)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제(400)를 포함하고,
일측다리(2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앞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다리(300)는 신발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신발 뒷부분 높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신발판(100)은
방향제(40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공기가 통과되는 바닥통공(121)이 형성되는 수용홈(120)과,
수용홈(120)을 개폐하면서 방향제(400)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통과되는 개폐통공(131)이 형성되는 개폐판(130)을 포함하고,
개폐판(130)의 상부에 신발이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턱(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개폐판(130)은 수용홈(120)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연결부분이 연성으로 되어 외압에 의해 쉽게 구부려지거나 또는 힌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홈(120)의 양측에 삽입홈(140)이 형성되고, 개폐판(130)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신발판(100)의 삽입홈(14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용홈(120)은 신발판(100)의 중앙에 형성되고,
신발판(100)의 상부에서 양측에 신발이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턱(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방향제(400)는 식물의 향기가 발생되도록 패드형태로 가공된 아로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652U KR200498530Y1 (ko) | 2022-07-06 | 신발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652U KR200498530Y1 (ko) | 2022-07-06 | 신발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082U true KR20240000082U (ko) | 2024-01-15 |
KR200498530Y1 KR200498530Y1 (ko) | 2024-11-15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1652Y1 (ko) | 의자 일체형 가구 | |
USD516757S1 (en) | Utility shelf for a dishwasher | |
US3298764A (en) | Cabinet | |
US10709295B2 (en) | Drying storage unit | |
KR20240000082U (ko) | 신발 거치대 | |
EP0709049B1 (en) | Display case or display rack with a means for making the upper part of the case or rack accessible by hand | |
KR200498530Y1 (ko) | 신발 거치대 | |
KR20220159669A (ko) | 다용도 신발장 | |
DE69617056D1 (de) | Mehrzweck-behälter, insbesondere für schischuhe, schlittschuhe oder rollerskates | |
KR101045319B1 (ko) | 의자용 착탈식 수납함 | |
KR200492131Y1 (ko) | 가방 보관대 | |
KR200253381Y1 (ko) | 신발장 | |
US20190309466A1 (en) | Laundry Transfer Contour for Side by Side Front Loading Washers and Dryers | |
CN212938725U (zh) | 一种内嵌式一体拉手门型的衣柜 | |
JP3386760B2 (ja) | シューズボックス | |
CN219578783U (zh) | 一种多功能的纸巾盒 | |
US628054A (en) | Shoe-polishing cabinet. | |
KR200422250Y1 (ko) | 식기건조대의 물받이 | |
CN219835354U (zh) | 一种鞋架及采用该鞋架的烘干鞋柜 | |
US1614096A (en) | Shoe-polishing cabinet | |
ITBS930061U1 (it) | Scarpiera con cassetti-contenitori oscillanti e con elementi di spugna per l'assetto delle calzature nei cassetti quando chiusi | |
CN211722318U (zh) | 一种具有防潮装置的衣物柜 | |
KR200409706Y1 (ko) | 싱크대 | |
KR101998817B1 (ko) | 신발 건조 스타일러스장치 | |
KR200357312Y1 (ko) | 옷 물림방지를 겸한 가구용 다목적 걸이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