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330A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6330A KR20230166330A KR1020220066159A KR20220066159A KR20230166330A KR 20230166330 A KR20230166330 A KR 20230166330A KR 1020220066159 A KR1020220066159 A KR 1020220066159A KR 20220066159 A KR20220066159 A KR 20220066159A KR 20230166330 A KR20230166330 A KR 202301663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muscle contraction
- muscle
- present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10000001087 myotubu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588214 Fraxinus chinensis subsp. rhynchophyll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0067 Spirodela polyrhiz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4249 Spirodela polyrhiz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40059981 glechoma hederacea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4000207740 Lemna minor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06439 Lemna min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01855 Portulaca olerac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29940059958 centella asiatica extract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06010040954 Skin wrink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63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108090000723 Insulin-Like Growth Factor I Proteins 0.000 description 19
- 102000004218 Insulin-Like Growth Factor 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9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108030001720 Bontoxily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29940053031 botulinum toxin Drugs 0.000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9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32823 cell di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08010006338 acetyl-glutamyl-glutamyl-methionyl-glutaminyl-arginyl-argininam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0663 muscl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AJLNZWYOJAWBCR-OOPVGHQCSA-N (4s)-4-acetamido-5-[[(2s)-1-[[(2s)-1-[[(2s)-5-amino-1-[[(2s)-1-[[(2s)-1-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1,5-dioxopentan-2-yl]amino]-4-methylsulfanyl-1-oxobutan-2-yl]amino]-4-car Chemical compound OC(=O)CC[C@H](NC(C)=O)C(=C)N[C@@H](CCC(O)=O)C(=O)N[C@@H](CCSC)C(=O)N[C@@H](CCC(N)=O)C(=O)N[C@@H](CCCN=C(N)N)C(=O)N[C@@H](CCCN=C(N)N)C(N)=O AJLNZWYOJAWBCR-OOPVGHQCSA-N 0.000 description 7
- 241000258920 Chi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29940095094 acetyl hexapeptide-8 Drug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17 hyper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098 my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097 faci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1398967 Colon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609 cell counting kit-8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6462 Centella asia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032 Centella asia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58 neurotransmitt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1710117542 Botulinum neurotoxin type 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7 Capsicum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CGLNKUTAGEVQW-UHFFFAOYSA-N Dim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OC LCGLNKUTAGEV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536358 Frax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ATUOYWHBWRKTHZ-UHFFFAOYSA-N Propane Chemical compound CCC ATUOYWHBWRK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0583 SNARE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41948 SNARE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87230 Sincal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7266 Type A Botulinum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IPILFWXSMYKGL-UHFFFAOYSA-N acetylcholine Chemical compound CC(=O)OCC[N+](C)(C)C OIPILFWXSMYK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373 acetyl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82 action potent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ESFRYSPDFLNCH-UHFFFAOYSA-N benz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C1=CC=CC=C1 SESFRYSPDFLN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9093 botox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ULWHHBHJGPPBCO-UHFFFAOYSA-N prop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O)O ULWHHBHJGPPB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ZTQOLKUZKXIRV-YRVFCXMDSA-N sincal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CSC)C(=O)NCC(=O)N[C@@H](CC=1C2=CC=CC=C2NC=1)C(=O)N[C@@H](CCSC)C(=O)N[C@@H](CC(O)=O)C(=O)N[C@@H](CC=1C=CC=CC=1)C(N)=O)NC(=O)[C@@H](N)CC(O)=O)C1=CC=C(OS(O)(=O)=O)C=C1 IZTQOLKUZKXIRV-YRVFCXMD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NYAEWCLZODPBN-JGWLITMVSA-N (2r,3r,4s)-2-[(1r)-1,2-dihydroxyethyl]oxolane-3,4-diol Chemical compound OC[C@@H](O)[C@H]1OC[C@H](O)[C@H]1O JNYAEWCLZODPBN-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RJZNPROJTJSYLC-LLINQDLYSA-N (4s)-4-acetamido-5-[[(2s)-1-[[(2s)-1-[[(2s)-5-amino-1-[[(2s)-1-[[(2s)-1-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1,5-dioxopentan-2-yl]amino]-4-methylsulfanyl-1-oxobutan-2-yl]amino]-4-car Chemical compound OC(=O)CC[C@H](NC(C)=O)C(=O)N[C@@H](CCC(O)=O)C(=O)N[C@@H](CCSC)C(=O)N[C@@H](CCC(N)=O)C(=O)N[C@@H](CCCNC(N)=N)C(=O)N[C@@H](CCCNC(N)=N)C(N)=O RJZNPROJTJSYLC-LLINQDLYSA-N 0.000 description 1
- WNWHHMBRJJOGFJ-UHFFFAOYSA-N 16-methylheptadecan-1-ol Chemical class CC(C)CCCCCCCCCCCCCCCO WNWHHMBRJJOG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874 Acne Vulga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469 A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5238 A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155 Clostridium botu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32 Ente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52 Gouania lupul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292 Gouania lupul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616 Hemopt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923 Lam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66 Lanol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510 Liliops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922 Magnoli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505 Myo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8487 Myo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554 Nepeta hed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755 Nepeta hed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710138657 Neurotox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3 Peanut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757 Reduction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747 Rheuma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83 Synaptosomal-Associated Protein 2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7722 Synaptosomal-Associated Protein 25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568 Urinary Bladder Calcul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218 acet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O)*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5 anim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4 anti-py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3 anti-wrink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1 antipy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0 bath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03 benzyl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1 bloc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51 bronch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5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73 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43 cotton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85 cottonsee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86 esse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3957 eudicotyledo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10 evaluation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91 fatty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9 gel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UMDYPCJJOFFON-UHFFFAOYSA-N isethionic acid Chemical class OCCS(O)(=O)=O SUMDYPCJJOFFO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717 lano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88 lanol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1 macro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56 molecular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QDGTJPVBWZJAZ-UHFFFAOYSA-N mono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 CQDGTJPVBWZJA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161 motor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IJDNQMDRQITEOD-UHFFFAOYSA-N n-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BQJSOFQDEBGM-UHFFFAOYSA-N n-pentane Natural products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536 negative regulation of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383 nep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15 neuromuscular junc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1 neur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8 neuro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4 non-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48 non-surgic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7 nonaqueous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6 or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01 parenter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2 peanut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WVDDGKGOMKODPV-ZQBYOMGUSA-N phenyl(114C)methanol Chemical compound O[14CH2]C1=CC=CC=C1 WVDDGKGOMKODPV-ZQBYOMGU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61 plant tissue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18 presyna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63 presynaptic termin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94 prop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31 protein hydro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04 synaptic ves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병풀꽃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또는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긴병풀꽃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근 섬유 크기 억제 및 근 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근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표정 주름의 개선 및 예방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긴병풀꽃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근 섬유 크기 억제 및 근 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근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표정 주름의 개선 및 예방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 수축이란 자극에 의해 근육 원섬유 마디가 짧아져서 근육이 수축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운동 뉴런의 하부는 근육 섬유막과 인접하여 있으며 흥분이 축삭돌기 말단에 도달하면 시냅스 소포에서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어 이로 인해 근육 섬유막에 활동 전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활동 전위로 인해 근육이 수축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주름은 크게 노화에 의한 주름과 안면 근육의 잦은 수축 등으로 인한 표정 주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습관적으로 얼굴을 찡그리는 등 특정 부위의 안면 근육을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하며 자주 사용할 경우 근육이 과장되게 발달하여 깊은 주름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주름은 단순 노화에 의한 주름과 구별하여 표정 주름이라 하며, 근육형 주름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렇듯 안면 근육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표정 주름은 개인적인 습관 등에 의해 나이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마, 미간, 눈가와 같은 부위에 자주 발생한다. 종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표정 주름의 생성 요인은 근 수축을 통한 기계적인 스트레스의 양 및 빈도이며, 즉 표정 주름의 정도는 일반적인 노화에 의한 주름과는 달리 근 수축 정도와 비례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 J Dermatol. 2010 Jun;162(6):1233-41).
표정 주름 개선을 위한 미용 시술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보톡스'는 보툴리눔 독소가 상품화되어 만들어진 약제의 이름이다. 보툴리눔 독소는 혐기성 박테리아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의 폴리펩타이드 생성물로 신경 독소의 일종이다. 보툴리눔 독소의 분자적 기전은 근신경 접합부에서 신경세포 내의 SNARE 단백질을 절단하여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시냅스 전 방출을 차단함으로써 포유류에게서 근육 마비를 야기시킨다. 이 독소를 인체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용량 이하를 주사약으로 사용하면 주사 부위의 근육만 부분적으로 마비시킬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해 눈가나 미간, 이마 등에 주름살을 만드는 근육을 마비시킴으로써 안면 상의 주름살을 비외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최근 보툴리눔 독소는 주름 개선 외 모공 축소, 여드름, 탄력 부여, 사각턱 완화 등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시술을 대체하고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보톡스 주사제의 기전과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펩타이드 소재가 개발되었다. 널리 사용되는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 가운데 Acetyl hexapeptide-8(ARGIRELINE®)는 SNARE 단백질의 일종인 SANP-25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SNAP-25와 경쟁적으로 작용, 신경 전달 물질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하게 한다. 이는 근육 운동을 약화시키고 근육 운동에 의한 표정 주름 생성을 억제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 소재들은 펩타이드의 특성상 생산과 정제에 많인 비용이 들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농도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 소재들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진 보툴리눔 독소와 비교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적은 것으로 보고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펩타이드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근수축 억제에 작용하는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소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주름 개선과 관련된 천연물 관련 특허가 다수 공개, 등록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공개 특허는 아래와 같다. 등록번호 제 10-2076334 B1호는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등록번호 10-0770512 B1호는 상기생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그에 따른 주름 또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콜라겐 합성 촉진 등에 의한 잔주름 개선 혹은 항산화로 인한 노화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천연 조성물 외에, 근 수축 억제 및 이를 통한 '표정 주름' 개선에 대해서는 효능이 우수한 천연 조성물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한약재로부터 단독 또는 알려진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사용하여 우수한 근수축 억제 효과 및 표정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에 관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긴병꽃풀, 개구리밥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이 우수한 근 섬유 크기 감소능 및 근 수축 억제능을 나타냄을 규명하여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지는 보툴리눔 독소에 비해 주름 개선 효과가 적은 원인은, 상기 펩타이드와는 다르게 보툴리눔 독소는 근 섬유 크기 감소 및 근 수축 횟수 감소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근 섬유 크기 조절 메커니즘을 보유하여 단독으로, 혹은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와 조합하여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표정 주름에 대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자원들로부터 우수한 근 수축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이 근 섬유 크기 감소 효과, 및 근 수축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이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또는 이를 통한 표정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상기 추출물의 이와 같은 효능은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 "근 수축 억제"는 액틴과 미오신의 상호작용을 일으켜 근육이 수축하는 일련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육 활동이 증대된 상황에서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근 세포 분열을 감소시키고 근 섬유 크기를 억제시켜 근 수축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근 수축 억제를 통한 본 발명의 효과로서, 안면 근육의 잦은 수축으로 인한 표정 주름이 개선될 수 있다. 표정 주름은 단순 노화에 의한 주름과 구별되는 근육형 주름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근 수축 억제를 통한 주름 개선 효과는 콜라겐 합성 촉진 및 항산화로 인한 노화 주름 개선 효과 등과는 구별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은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만주,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덩굴로 자라는 습성이 있으며 잎과 줄기에서는 향기를 풍긴다. 초여름에 대롱 모양의 꽃이 피어난다.
한방에서 긴병꽃풀은 금전초(金錢草)라고도 하며, 강장, 해열, 이뇨 및 방광결석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기, 폐렴, 신장염, 각혈 및 당뇨병 등의 치료제로 이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은 피자식물문 외떡잎식물강 개구리밥과에 속하는 부유성 여러해살이풀로, 국내 전국 각 지역의 연못이나 논 등에 서식하며, 호주, 인도,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표면은 연한 녹색, 뒷면은 적자색을 나타내며, 중앙에 하얀 수중근이 나고 끝은 검은 뿌리골무로 싸여 있다. 꽃은 백색으로 드물게 관찰된다.
한방에서 상기 개구리밥은 부평(浮萍)이라고도 하며, 강장, 발한, 이뇨 및 해독제로 이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는 쌍떡잎식물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한국이나 중국 등지의 산기슭이나 골짜기 물가에 주로 분포한다. 높이는 10m이고, 잎은 마주나기로 나고 열매는 시과로 9월에 익는다.
한방에서 물푸레나무는 그 나무껍질을 건조한 것을 진피(秦皮) 또는 진백피(秦白皮)라고도 하며, 해열, 진통, 청간 및 소염 등에 효능이 있다 하여 류머티스 질환, 통풍, 기관지염 및 장염 등의 치료제로 이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효능들이 종래에 알려져 있으나, 상기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의 근 수축 억제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가 최초로 규명하였다. 발명의 목적상 상기 긴병꽃풀, 개구리밥 및 물푸레나무는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재배한 것을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는 등 그 출처에 제한 없이 모든 긴병꽃풀, 개구리밥 및 물푸레나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물푸레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또는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각 식물의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상기 긴병꽃풀, 개구리밥 또는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근 수축 억제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70%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 역시 근 수축 억제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긴병꽃풀, 개구리밥 또는 물푸레나무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이들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 ℃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또는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추출 이후 농축, 여과, 분획, 건조, 분쇄 등 식물의 추출물에 적용될 수 있는 통상의 추가적 공정에 의해 제조된, 농축물, 여과물, 분획물, 건조물, 분쇄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축물'은 화학 물질에서 용매 등을 제거하여 주요 고체 성분의 농도를 높인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물'은 액체와 고체가 혼합된 물질을 입자의 크기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물질, 상기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 상기 '건조물'은 소량의 물을 함유하는 물질에서 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물, 상기 '분쇄물'은 고체입자에 힘을 가해 잘게 부수거나 잘라내어 작은 입자로 만드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축물, 여과물, 분획물, 건조물, 분쇄물 등은 해당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대비 0.00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래 목적하는 활성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기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 수축을 억제하거나 근 섬유 크기를 감소시켜 표정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 "표정 주름"은 얼굴표정을 짓는데 쓰이는 표정근에 의한 주름으로 얼굴의 근 수축에 의해 형성되게 되며, 전반적 또는 국소적으로 피부가 쇠하여 생기는 잔주름이나 노화에 의한 노화주름과는 구분되어 근육형 주름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정 주름을 만드는 근육 활동이 증대된 상황을 IGF-1 처리를 통해 모사한 뒤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근 섬유 크기를 감소시켜 근 수축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분열이 억제되어 근육 과활성화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이 표정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보툴리눔 독소 유사펩타이드와 근수축 억제에 작용하는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정 주름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예방"은 표정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표정 주름 생성을 지연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 또는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 등의 근 섬유 축소능을 가지는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보툴리눔 독소 또는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와 조합시 근 수축 억제 및 이를 통한 표정 주름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물푸레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긴병꽃풀", "개구리밥", "물푸레나무", 및 "추출물" 등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식품 조성물은 근 수축 억제 또는 근 섬유 크기 감소를 통한 표정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근 수축 억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근 수축 억제에 의한 표정 주름을 개선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긴병꽃풀", "개구리밥", "물푸레나무", "표정 주름" 및 "추출물" 등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근 수축 억제 또는 그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근 수축 억제 또는 근 섬유 크기 감소를 통한 표정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긴병꽃풀", "개구리밥", "물푸레나무", "표정 주름" 및 "추출물" 등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 방법 또는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긴병꽃풀", "개구리밥","물푸레나무", "표정 주름" 및 "추출물" 등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근 수축 억제 및 이를 통한 표정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특성상,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피부에 도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근 수축에 의한 피부 주름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IGF-1을 처리하여 활성화된 상태의 근육 세포에 대해 본 발명의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분열을 감소시켜 근육 과활성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IGF-1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정도로까지 근 섬유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근 섬유 크기 감소, 근 수축 억제 및 근육 과활성화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지며, 그로 인해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 수축 억제용 또는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용 화장품, 의약품 및 의약외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 섬유 크기 감소 활성 등을 보유하여 보툴리눔 독소 유사 펩타이드와 조합할 경우 서로 다른 근 수축 억제 메커니즘의 발현을 통해 표정 주름 개선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Acetyl hexapeptide-8 (AH8) 및 보툴리눔 독소(BoNT/A)를 근육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근 섬유의 크기를 비교한 도이며, 상기 AH8과 BoNT/A는 근육 수축 정도는 동일하지만 근 섬유 크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2는 IGF-1을 근육세포에 처리하여 근육 세포가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세포 분열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IGF-1을 근육 세포에 처리하여 근육 세포가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근 섬유 크기 및 근 섬유 수축정도 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IGF-1 처리 조건에서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근육 세포 분열능을 확인한 것으로, 상기 소재들의 근육 과활성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IGF-1 처리 조건에서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근 섬유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IGF-1을 근육세포에 처리하여 근육 세포가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세포 분열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IGF-1을 근육 세포에 처리하여 근육 세포가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근 섬유 크기 및 근 섬유 수축정도 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IGF-1 처리 조건에서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근육 세포 분열능을 확인한 것으로, 상기 소재들의 근육 과활성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IGF-1 처리 조건에서 긴병꽃풀 추출물, 개구리밥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근 섬유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신경 전달 차단 소재가 근섬유에 미치는 영향 비교(도 1)
1) 실험방법
마우스 유래 myoblast인 C2C12를 이용하였다. C2C12는 12-well plate에 seeding하고 일반적인 성장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S(penicillin-streptomycin)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을 사용하여 well 표면에 가득 차도록 배양하였다. 가득 찬 후 10% HS(horse serum) 및 1% PS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을 분화용 배양액으로 하여 4일간 분화를 유도하여 근육 섬유를 만들었다. 분화 4일째, 물질을 처리하고 48시간 후 근육 섬유의 두께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Well당 20회 이상 측정하였고 조건 별로 3 well 이상 실험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2) 실험결과
in vitro 상에서 유사한 근수축 억제 효능을 갖는 100 ppm의 acetyl hexapeptide-8(비드텍 원료과 0.01 U/mL의 보툴리눔 독소(메디톡스 사의 이노톡스 사용)가 근섬유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을 때, acetyl hexapeptide-8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보툴리눔 독소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도 1). 이 때, 100 ppm의 acetyl hxapeptide-8과 0.01 U/mL의 보툴리눔 독소는 처리 직후 근수축 억제능은 유사하나, 효능의 지속성 측면에서는 보툴리눔 독소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acetyl hexapeptide-8과 보툴리눔 독소 사이의 차이를 보이는 근섬유 두께의 조절을 통해 해당 효능의 수준 및 지속성의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실험예 2. 근육 평가 모델 구축: 근섬유 두께 및 근수축 (도 2)
1) 실험방법
1-1) 분열능 평가
마우스 유래 myoblast인 C2C12를 이용하였다. C2C12는 96-well plate well 당 4x103 개의 세포 농도로 seeding하고 일반적인 성장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S(penicillin-streptomycin)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1일째, 사용한 성장 배양액에 FBS가 빠진 배양액을 용매로 하여 IGF-1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IGF-1 처리 16시간 후, Cell Counting Kit-8 (Dojindo)를 이용하여 세포 분열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Dojindo의 technical manual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분열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IGF-1 처리 16시간 후, 배양액의 1/10에 해당하는 CCK-8 용액을 각 well에 분주하였다. 한시간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분열능을 확인하였다.
1-2) 근섬유 크기(myotube diameter) 평가
마우스 유래 myoblast인 C2C12를 이용하였다. C2C12는 12-well plate에 seeding하고 일반적인 성장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S(penicillin-streptomycin)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을 사용하여 well 표면에 가득 차도록 배양하였다. 가득 찬 후 10% HS(horse serum) 및 1% PS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을 분화용 배양액으로 하고 IGF-1을 함께 처리하여 4일간 분화를 유도하여 근육 섬유를 만들었다. 분화 4일째, 근육 섬유의 두께를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Well 당 20회 이상 측정하였고 조건별로 3 well 이상 실험하였다. 분화 6일째, 근수축 횟수를 well 당 세 곳 이상 측정하였고 조건별로 3 well 이상 실험하였다. 근수축 횟수는 광학 현미경을 통해 30초간 수축한 횟수를 카운팅하였다.
2) 실험결과
근육을 자주 사용하거나 회복할 때 분비되는 인자로 잘 알려져 있는 IGF-1을 분화용 배양액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근육 세포 증식율이 농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도 2)으며, 근섬유 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고 (p<0.001), 근수축 횟수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1)(도 3). 즉, 이를 통해 근육을 자주 사용하거나 회복할 때 분비되는 주요 인자로 잘 알려져 있는 IGF-1이 세포 수준에서 myoblast의 증식을 유도, 세포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근섬유의 두께 조절이 근수축능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이 근육이 자주 사용되는 상황을 IGF-1 처리 조건으로 세포 수준에서 모사하여, 근섬유 두께 조절을 통해 근수축을 억제시키는 소재 발굴 툴을 마련하였다.
실시예 1. 근섬유 두께 감소 효과
1) 실험방법
1-1) 물푸레나무 추출물, 긴병꽃풀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의 제조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네추럴솔루션에서 제공하는 Phytobright-FR(PD) 원료를 사용하였다. 물푸레나무 잎 5g을 40% propanediol 95g을 가하여 50℃에서 초음파를 1일에 1시간씩 병행하여 72시간 추출한 후 두 차례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긴병꽃풀 추출물은 네츄럴솔루션에서 제공하는 긴병꽃 추출물 원료를 사용하였다. 긴병꽃풀 5g을 30% butylene glycol, 5% glycerin 95g을 가하여 50℃에서 초음파를 1일에 1시간씩 병행하여 72시간 추출한 후 두 차례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개구리밥 추출물은 네츄럴솔루션에서 제공하는 부평초추출물-L 원료를 사용하였다. 개구리밥 1g을 40% propanediol 99g을 가하여 50℃에서 초음파를 1일에 1시간씩 병행하여 72시간 추출한 후 두 차례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1-2)
근육 과활성화 억제 소재 확인
마우스 유래 myoblast인 C2C12를 이용하였다. C2C12는 96-well plate well 당 4x103 개의 세포 농도로 seeding하고 일반적인 성장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S(penicillin-streptomycin)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1일째, 사용한 성장 배양액에 FBS가 제외된 배양액을 용매로 하여 20ng/mL IGF-1와 물푸레나무잎 추출물, 긴병꽃풀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각각 0.01, 0.05, 0.1%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6시간 경과 후, Cell Counting Kit-8 (Dojindo)를 이용하여 Dojindo의 technical manual을 참고하여 세포 분열능을 평가하였다. 배양액의 1/10에 해당하는 CCK-8 용액을 각 well에 분주하였으며, 한시간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분열능을 확인하였다.
1-3)
근섬유 두께의 측정
마우스 유래 myoblast인 C2C12를 이용하였다. C2C12는 12-well plate에 seeding하고 일반적인 성장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S(penicillin-streptomycin)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을 사용하여 well 표면에 가득 차도록 배양한다. 가득 찬 후 10% HS(horse serum) 및 1% PS를 함유한 high glucose DMEM을 분화용 배양액으로 하여 4일간 분화를 유도하여 근육 섬유를 만들었다. 분화 4일째, 근육 섬유의 두께를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Well 당 20회 이상 측정하였고 조건 별로 3 well 이상 실험하였다.
2) 실험결과
그 결과로, 물푸레나무잎 추출물, 긴병꽃풀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은 IGF-1을 처리한 조건에서 세포 분열 및 그에 따른 근육 과활성화를 유의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IGF-1을 처리하여 과활성화된 근 섬유(myotube diameter가 대조군 대비 약130%로 증가한 상태)에 물푸레나무추출물, 긴병꽃풀추출물, 개구리밥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근섬유 크기를 IGF-1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까지 현저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p<0.001)(도 5). 이로써 물푸레나무 추출물, 긴병꽃풀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 각각 근육의 잦은 사용으로 두꺼워진 근섬유 두께를 감소시켜 근 수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라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억제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로써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yotube diameter (%) | ||
대조군 | 100% | |
20 ng/mL IGF-1 | - | 120.75 % |
물푸레나무잎추출물 | 104.33 % | |
긴병꽃풀추출물 | 102.02 % | |
개구리밥추출물 | 105.17 % |
Claims (5)
-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 수축을 억제하거나 근 섬유 크기를 감소시켜 표정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물푸레나무잎(Fraxinus Rhynchophylla Leaf)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의약외품 조성물.
-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추출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추출물 및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에 의한 표정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6159A KR20230166330A (ko) | 2022-05-30 | 2022-05-30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6159A KR20230166330A (ko) | 2022-05-30 | 2022-05-30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6330A true KR20230166330A (ko) | 2023-12-07 |
Family
ID=8916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6159A KR20230166330A (ko) | 2022-05-30 | 2022-05-30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66330A (ko) |
-
2022
- 2022-05-30 KR KR1020220066159A patent/KR20230166330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381834B (zh) | Abnormal protein removal composition | |
KR101059471B1 (ko) |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83781A (ko) |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 |
KR102113193B1 (ko) |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 |
KR20200063855A (ko) |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 |
KR101989407B1 (ko) |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 |
KR102462347B1 (ko) |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101295368B1 (ko) |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20180077927A (ko) |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 |
CN113631227A (zh) |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 |
KR102077708B1 (ko) |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577528B1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221137B1 (ko) |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KR102047461B1 (ko) |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20230166330A (ko)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 |
KR101695372B1 (ko) |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 |
KR20190130543A (ko) |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475143B1 (ko) | 바닐라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 |
KR102644047B1 (ko) |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2721819B1 (ko) | 녹차 뿌리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TWI857919B (zh) | 抗炎症劑以及化妝品 | |
KR102110903B1 (ko) |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 |
KR102182735B1 (ko) | 흰가시광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240160700A (ko) | 대마줄기의 발효 추출물에 대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240076126A (ko) | 진득찰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