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6573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737A
KR20230165737A KR1020230167094A KR20230167094A KR20230165737A KR 20230165737 A KR20230165737 A KR 20230165737A KR 1020230167094 A KR1020230167094 A KR 1020230167094A KR 20230167094 A KR20230167094 A KR 20230167094A KR 20230165737 A KR20230165737 A KR 2023016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ive shaft
washing machine
washing
filt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재
김준호
이정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6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737A/ko
Publication of KR2023016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737A/ko
Priority to KR1020240126921A priority patent/KR2024014237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세탁기는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드럼과, 드럼의 내벽에 배치되고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고 드럼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드럼 내부에서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수류가 형성되어도 필터 유닛이 드럼 내부에 배치되어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세탁수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필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세탁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 형상의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종류에는 드럼을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 드럼이 수평축에 대하여 회전할 때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을 대략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드럼이 수직 축에 대하여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세탁기가 있다.
드럼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방식의 세탁기는 전방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므로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세탁기라고 하며, 드럼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방식의 세탁기는 상부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므로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라고 한다.
한편, 종래의 세탁기는 하나의 세탁장치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2회 이상 세탁기를 구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탁물이 상대적으로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세탁기를 구동시켜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세탁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복수의 세탁장치 중 상부에 마련되는 세탁장치 내부에서 이물질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세탁장치 중 상부에 마련되는 세탁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벽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고,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 1개구와 상기 제 1개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제 1개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 1밸브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에 대해 반대측으로 개방되는 제 2개구와 상기 제 2개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 2밸브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수가 상기 제 1개구를 통해 상기 필터 유닛 내측으로 유동될 시, 상기 제 2밸브부재는 상기 필터 유닛 내측으로 유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제 2개구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배출부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세탁수가 상기 제 2개구를 통해 상기 필터 유닛 내측으로 유동될 시, 상기 제 1밸브부재는 상기 필터 유닛 내측으로 유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제 1개구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배출부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는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세탁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제 2프레임이 상기 회전축을 향해 회전될 시 외부로 노츨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개구 또는 상기 제 2개구를 통해 상기 필터 유닛 내측으로 유동하는 세탁수는 상기 필터 부재를 투과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필터 유닛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 1개구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개구는 상기 커버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밸브부재와 상기 제 2밸브부재는 상기 제 2프레임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드럼의 내벽과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드럼의 내벽에서부터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상기 드럼에 연결시키는 구동축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 플랜지의 중심측에서 상기 구동축 플랜지의 최외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드럼의 반경의 1/2이하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 플랜지는 제 1면과 상기 제 1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면과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2 면에 대해 수직 형성되고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2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 하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하부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제 1도어와 상기 하부 드럼으로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제 2도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벽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필터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유닛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통과시키고 상기 필터 유닛의 타측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 유닛의 일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1밸브부재와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필터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유닛의 타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통과시키고 상기 필터 유닛의 일측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 유닛의 타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2밸브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유닛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밸브부재는 상기 필터 유닛의 일측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제 1밸브부재는 상기 필터 유닛의 타측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1드럼과 상기 드럼 하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2드럼과 상기 제 1드럼 및 상기 제 2드럼을 커버하고, 상기 제 1드럼과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 1개구와 상기 제 2드럼과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개방되는 제 2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드럼의 내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고, 상기 제 1드럼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드럼과 상기 제 2드럼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드럼에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상기 제 1드럼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드럼 하단에 배치되는 구동축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 플랜지의 중심측에서 상기 구동축 플랜지의 최외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드럼의 반경의 1/2이하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복수의 세탁장치를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드럼의 내부에 필터 유닛이 마련되고 드럼 내부의 수류가 드럼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필터 유닛에 의해 수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축과 연결되는 구동축 플랜지의 고정 암 길이를 줄여도 단면을 강화하여 안정적으로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1 세탁장치와 제2 세탁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2 세탁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필터가 제 2드럼 내부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2 세탁장치의 필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필터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필터의 일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필터의 타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구동축 플랜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전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제1 세탁공간(115)의 전방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로딩 방식의 제1 세탁장치와 제2 세탁공간(215)의 상부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탑 로딩 방식의 제2 세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내부에 제1 세탁공간(115)이 형성되는 제1 드럼(110)과 내부에 제1 드럼(110)을 수용하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1 터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럼(110) 및 제1 터브(12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개방된 일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드럼(110)은 전방에 세탁물 투입을 위한 개구(11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터브(120)는 전방에 세탁물 투입을 위한 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내부에 제1 드럼(110) 및 제1 터브(120)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제1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3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측판(131)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1 후판(134)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판(131)과 제1 후판(13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제1 터브(120)를 제1 하우징(130)에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151) 및 댐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댐퍼(150)는 제1 터브(120)의 외면과 하판(132)을 연결하여 제1 터브(12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고, 스프링(151)은 제1 터브(120)의 외면과 제1 측판(131)의 상부에 마련된 스프링 결합부(133)를 연결하여 제1 터브(120)를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151)과 댐퍼(150)는 제1 터브(1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프링(151)과 댐퍼(150)의 설치 위치는 제1 측판(131)의 상부와 하판(132)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1 터브(120)의 일면과 제1 하우징(130)의 다른 일 부분을 연결하여 제1 터브(12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세탁기(1)는 제1 터브(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드럼(110)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럼(110)의 후면에는 제1 구동모터(1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구동축(141)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드럼(11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제1 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드럼(110)의 내주면에는 제1 드럼(11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1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드럼(110)의 전방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제1 드럼(1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밸런서(112)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드럼(110)과 제1 구동모터(140) 사이에는 제1 구동축(14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축(141)의 일단은 제1 드럼(11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제1 구동축(141)의 타단은 제1 터브(1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구동모터(140)가 제1 구동축(141)을 구동하면, 제1 구동축(141)에 연결된 제1 드럼(110)이 제1 구동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터브(120)의 후벽에는 제1 구동축(1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142)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4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터브(120)를 사출 성형할 때 제1 터브(1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42)과 제1 구동축(141) 사이에는 제1 구동축(1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143)들이 설치된다.
세탁기(1)는 고온의 물로 세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고온의 물을 얻기 위하여, 제1 터브(120)의 저면에는 제1 터브(120)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180)가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터브(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터브(120) 내부의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수펌프(170)와, 제1 터브(120) 내부의 물이 제1 배수펌프(1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터브(120)의 제1 배수구(173)와 제1 배수펌프(170)를 연결하는 제1 연결호스(171)와, 제1 배수펌프(170)로 유입된 물을 제1 터브(120)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 배수펌프(170)와 제1 터브(120)를 연결하는 순환호스(174)와, 제1 배수펌프(17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 배수호스(17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세탁공간(115)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1 투입구(41)가 마련된 전방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 커버(40)에는 제1 투입구(41)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16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160)는 제1 투입구(41)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전방 커버(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160)는 제1 도어 프레임(161), 제1 도어 커버(162) 및 도어 글래스(1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도어 프레임(161)을 대략 환형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대략 사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도어 커버(162) 및 도어 글래스(163)는 제1 도어(160)가 제1 투입구(41)를 닫은 상태에도 세탁기(1)의 외부에서 제1 드럼(1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글래스(163)는 제1 도어 프레임(161)으로부터 제1 드럼(11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도어(160)를 닫았을 때, 도어 글래스(163)는 제1 투입구(41)의 안 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도어(160)가 전방 커버(4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1 투입구(41)의 주변에 제1 힌지가 마련되어, 제1 도어 프레임(16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다. 제1 도어 프레임(161)의 타측에는 제1 후크(166)가 마련되고, 제1 후크(166)에 대응하여 전방 커버(40)에는 제1 후크 수용부(42)가 마련되어 제1 도어(160)가 제1 투입구(41)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도어(16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1 세탁공간(115)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1 도어(160)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와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를 여닫기 위한 보조도어(16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164)는 제1 도어 커버(16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도어(160)의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를 통해 세탁물을 세탁기 내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세탁물이 도어 글래스(163)를 관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어 글래스(163)에는 글래스 관통 홀(168)이 마련된다. 대안으로서, 도어 글래스의 상부를 함몰시켜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의 후방으로는 도어 글래스가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도어(160)의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와 도어 글래스(163)의 글래스 관통 홀(168)을 연결하기 위해, 제1 도어(160)는 연결가이드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부(165)는 양단이 개방되며, 중공부를 갖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가이드부(165)의 일단은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와 연결되고, 타단은 글래스 관통 홀(168)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가이드부(165)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와 연결된 연결가이드부(165)의 일단이 타단 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167)를 통해 제1 드럼(110)의 내부로 세탁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어(160)에 보조도어(164)가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도어(160)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 보조 도어 및 연결가이드부 등이 마련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전방 커버(40)의 제1 투입구(41)와 제1 터브(120)의 개구(123)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1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121)은 제1 투입구(41)로부터 제1 드럼(110)의 개구(114)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제1 드럼(110)의 회전 시에 전방 커버(40)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121)의 일부분은 제1 도어(160)와 전방 커버(4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터브(120)의 세탁수가 세탁기(1)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탁기(1)는 내부에 제2 세탁공간(215)이 형성되는 제2 드럼(210)과 내부에 제2 드럼(210)을 수용하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2 터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럼(210) 및 제2 터브(22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개방된 일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내부에 제2 드럼(210) 및 제2 터브(220)가 배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제2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2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제2 터브(220)가 지지되는 로어 프레임(231)과, 제2 세탁공간(215)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2 투입구(234)가 마련되고 로어 프레임(231)의 상부에 안착되는 어퍼 프레임(2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30)은 좌측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233)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2 하우징(230)에 배치되고, 제2 투입구(234)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260)는, 제2 투입구(234)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어퍼 프레임(2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260)는 제2 도어 프레임(261)과 제2 도어 커버(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 커버(262)는 제2 도어(260)가 제2 투입구(234)를 닫은 상태에도 세탁기(1)의 외부에서 제2 터브(220) 및 제2 드럼(210)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어(260)가 어퍼 프레임(232)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2 도어 프레임(261)의 좌우 양측에는 제2 힌지가 마련되어, 제2 투입구 주변에 형성되는 제2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다. 제2 도어 프레임(261)의 전방 측에는 래치 수용부(263)가 마련되고, 어퍼 프레임(232)에는 제2 도어 프레임(261)의 래치 수용부(263)에 대응하여 래치 장치가 마련되어, 제2 도어(260)가 제2 투입구(234)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드럼(21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제2 터브(22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드럼(210)의 측면 및 저면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제2 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드럼(210)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제2 드럼(2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밸런서(212)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드럼(210)의 저면에는 수류 발생을 위한 굴곡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드럼(210)의 내측면에는 세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마련된 필터 유닛(300)이 부착될 수 있다. 필터 유닛(300)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2 터브(22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현가장치(250)에 의해 로어 프레임(231)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터브(220)는 4개의 현가장치(250)에 의해 로어 프레임(231)에 매달려있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터브(220)의 상면에는 제2 투입구(234)에 대응하도록 제3 투입구(214)가 마련될 수 있고, 제3 투입구(214)를 개폐하기 위한 제3 도어(280)가 결합될 수 있다.
제3 도어(280)는 제3 도어 프레임(281)과 제3 도어 커버(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어 커버(282)는 제3 도어(280)가 제3 투입구(214)를 닫은 상태에도 제2 터브(220)의 외부에서 제2 드럼(2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도어(280)가 제2 터브(22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3 투입구(214)의 주변에 제3 힌지가 마련되어, 제3 도어 프레임(28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다. 제3 도어 프레임(281)의 타측에는 제3 도어(280)를 개방할 수 있는 손잡이(283)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283)에는 제2 후크(28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터브(220)에는 제2 후크(284)에 대응하여 제2 후크 수용부가 마련되어 제3 도어(280)가 제3 투입구(214)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손잡이(283)를 당겼을 때 제2 후크(284)가 제2 후크 수용부에서 이탈되어 제3 도어(280)를 열 수 있다.
세탁기(1)는 제2 터브(220)의 하측 외부에 배치되고 제2 드럼(210)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럼(210)의 저면에는 제2 구동모터(2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구동축(241)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축(241)의 일단은 제2 드럼(210)의 저면판에 연결되고, 제2 구동축(241)의 타단은 제2 터브(220)의 하측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동모터(240)가 제2 구동축(241)을 구동하면, 제2 구동축(241)에 연결된 제2 드럼(210)가 제2 구동축(2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세탁기(1)는 제2 터브(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터브(220) 내부의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펌프(270)와, 제2 배수펌프(27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 배수호스(2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배수펌프(270)는 제1 하우징(13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터브(220)의 저면에는 제2 터브(220)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제2 배수구(273)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터브(220)의 물이 제2 배수펌프(2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배수구(273)와 제2 배수펌프(270)는 제2 연결호스(27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터브(120)와 제2 터브(22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400)는 제2 하우징(2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장치(400)는 어퍼 프레임(232)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투입구(23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제1 터브(120)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500)는 제2 하우징(2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공급장치(500)는 어퍼 프레임(232)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투입구(23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하우징(130)과 제2 하우징(230)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고정 브래킷(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30)은 제1 하우징(130)의 전방 및 제2 하우징(2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전방 커버(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세탁기(1)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패널(50)은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드럼(210)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3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2 세탁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필터가 제 2드럼 내부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2 세탁장치의 필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2세탁장치의 필터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의 경우 드럼 내측에 배치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하였다. 펄세이터는 드럼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수와 세탁물이 교반되어 세탁물이 세탁되도록 마련된다.
세탁물이 세탁되면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세탁수와 함께 드럼 내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유동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여 드럼 내부로 유동시키는 필터가 마련되었다.
또는 별도의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도록 드럼의 외측에 필터가 마련되었다. 필터는 펄세이터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고 다시 하측으로 유동되어 드럼으로 유입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드럼식 세탁기 형태의 제 1드럼(110)과 제 1드럼(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전자동 세탁기 형태의 제 2드럼(21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개의 세탁기(1)의 하우징 내부에 제 1드럼(110)과 제 2드럼(210)이 모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의 제약에 의해 제 2드럼(210)의 내측에는 펄세이터가 배치되지 않고 제 2드럼(210)의 회전력만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드럼(210) 내의 세탁수는 상하 방향으로 수류가 형성되지 않고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 유닛(300)은 제 2드럼(210)의 내벽(216)에 배치되어, 즉, 제 2드럼(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류에 의해 유동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유닛(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드럼(110,210)을 포함하는 세탁기(1)뿐만 아니라, 하나의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류를 가지는 세탁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300)은 제 2드럼(210)의 내벽(216)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유닛(300)은 필터 유닛(300)의 후측에서 연장되는 후크부재(315)를 포함하고, 후크부재(315)는 내벽(216)의 일측에 마련되는 후크 홈(217)과 후크 결합되어 필터 유닛(300)이 내벽(21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필터 유닛(300)의 후측과 내벽(216)이 스크류 체결되어 필터 유닛(300)이 제 2드럼(210)의 내벽(216)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300)은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필터 유닛(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드럼(210)이 일 방향(R)으로 회전될 시 제 2드럼(210)의 회전력에 의해 제2드럼(210) 내부의 세탁수는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수류(W)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수류(W)는 제 2드럼(210)의 내벽(216)을 따라 필터 유닛(300)의 제 1개구(311)를 통과하여 필터 유닛(3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유닛(300)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의 내측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배출부(355)를 통해 필터 유닛(3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세탁수는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필터 유닛(300) 내부로 유입되고 필터 유닛(300) 내부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제2드럼(210)의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필터 유닛(3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필터 유닛(300)의 일측에는 제 1밸브 부재(341)가 배치되어 제1개구(311)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부(355)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필터 유닛(300)의 내측에 유입된 세탁수가 제 1개구(311)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하여 세탁수의 수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또한 필터 유닛(300)은 제2드럼(210)의 내벽(216)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류(W)는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세탁물은 수류(W)와 함께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세탁될 수 있다.
이 때, 세탁수의 수류(W)가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의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세탁물이 수류(W)와 함께 회전되어 세탁물이 뭉친 상태에서 수류(W)와 함께 회전되어 세탁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다만, 필터 유닛(300)은 제 2드럼(2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 수류(W)와 함께 회전되는 세탁물과 충돌되어 세탁물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은 회전되는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세탁물의 세탁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필터 유닛(300)은 세탁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수류(W)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 세탁물과 세탁수가 다양한 방향에서 교반되어 세탁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유닛(300)은 한 개의 제 1개구(311)만을 포함하여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만 필터 유닛(30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300)은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개구(311)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 2개구(312)를 포함하여, 제 2드럼(21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도 그 반대 방향으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필터 유닛(3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300)은 제 2개구(31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밸브부재(342)를 포함하여, 제 2개구(312)로 유입된 세탁수가 제 2개구(312)로 배출되지 않고 배출부(355)로 유동되도록 세탁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제 2드럼(210)은 세탁 행정 시 일 방향(R) 및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세탁수의 수류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필터 유닛(300)은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제 1개구(311)와 제 2개구(312)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어 세탁수의 필터링을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부재(300)는 제 1개구(311)가 형성되는 일측면과 제 2개구(312)가 형성되는 타측면을 포함하고 제 1프레임(320)과 제 2프레임(330)을 커버하는 커버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310)는 제 1개구(311) 또는 제 2개구(312)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유동 방향이 전환되면서 필터 부재(350)에 의해 필터링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310)의 후측은 개방되어 있으나 제 2드럼(210)의 내벽(216)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310)의 전면측은 제 2프레임(3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프레임(320)은 커버부재(3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프레임(320)은 제 2프레임(3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프레임(330)도 커버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1프레임(320)은 필터 유닛(300)의 후측으로 포집된 이물질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프레임(320)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321)는 매쉬부재 등을 포함하여 필터부재(350)에 의해 포집된 이물질이 필터 유닛(300)의 후측으로 통해 제 2드럼(210) 내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프레임(320)의 일측에는 제 2프레임(330)이 제 1프레임(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돌기(322)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돌기(322)는 상측 하측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프레임(330)에는 한 쌍의 회전돌기(322)가 삽입되는 삽입 홈(미도시)이 마련되어 회전돌기(322)를 중심으로 제 2프레임(330)이 제 1프레임(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프레임(320)의 타측에는 제 2프레임(330)이 제 1프레임(32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고정부(323)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23)는 제 2프레임(330)이 제1프레임(320)과 인접한 상태에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 1프레임(320)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프레임(330)의 일측을 가압할 경우, 제 2프레임(330)은 고정부(323)에서 이탈되어 제 1프레임(32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제 2프레임(3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320)에 대해 결합될 수 있다. 제 2프레임(330)의 전면에는 필터 유닛(300)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부(335)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335)는 복수의 배출구(33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335)는 제 2드럼(210)의 반경의 내측 방향 또는 제 2드럼(210)의 회전축(A)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는 세탁수가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프레임(330)의 일측에는 회전돌기(322)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가 마련되며, 제 2프레임(330)의 타측에는 사용자가 제 2프레임(3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3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프레임(330)은 제 1밸브부재(341)와 제 2밸브부재(342)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밸브부재(341)와 제 2밸브부재(342)는 제 1프레임(320)에 지지되거나 커버 부재(3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 1밸브부재(341)와 제 2밸브부재(342)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 2프레임(330)의 후면측에는 필터 유닛(300)의 내측으로 유동된 세탁수가 배출부(335)를 통해 배출되기 전 이물질이 필터링되는 필터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350)는 제 1프레임(320)과 제 2프레임(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350)는 제 2프레임(330)의 후면측 배출부(33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드럼(2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류는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드럼(210)의 원주 방향으로 필터 유닛(300)에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부재(350)를 거쳐 배출부(335)를 통해 필터 유닛(3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개구(311) 또는 제 2개구(312)를 통해 필터 유닛(300)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부재(350)를 투과하여 배출부를 통해 필터 유닛(3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재(350)는 매쉬부재와 같이 복수의 미세한 관통공을 포함하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재(350)를 투과하는 세탁수 상의 이물질이 필터부재(350)에 포집되고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세탁수만 배출부(335)를 통해 제 2드럼(210) 내부로 다시 유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프레임(330)의 핸들(331)을 잡고 제 2프레임(3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프레임(330)은 커버 부재(310)의 개방부(313)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331)를 잡고 제 2프레임(3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프레임(330)이 회전될 시 제 2프레임(330)의 후면에 배치되는 필터 부재(350)도 제 2프레임(330)과 함께 회전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터부재(350)에 포집되었거나 필터부재(350)에 의해 제 1프레임(320)와 필터부재(350) 사이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필터 유닛(300)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밸브부재(341)와 제 2밸브부재(342)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필터의 일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필터의 타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드럼(210)이 일 방향(R)으로 회전할 시 수류(W)는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의 제 1개구(311)를 통해 필터 유닛(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개구(311)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 1개구(311)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밸브부재(341)를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밸브부재(341)가 개방 위치(O)로 위치하게 하여 제 1프레임(320)과 제 2프레임(330) 사이에 형성되는 포집부(325)로 유동될 수 있다.
포집부(325)의 일측은 제1밸브부재(341)에 의해 필터 유닛(300)의 외부로부터 개방된 상태이고 포집부(325)의 타측은 제 2밸브부재(342)가 차단 위치(C)에 위치되어 필터 유닛(30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이다.
제 2밸브부재(341)는 세탁수에 의해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도 개방 위치(O)로 이동되지 않고 차단 위치(C)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집부(325)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 2밸부부재(341)에 의해 제 2개구(312) 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 2밸브부재(341)에 의해 가이드되어 배출부(335)로 유동될 수 있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드럼(210)이 반대 방향(R)으로 회전할 시 수류(W)는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의 제 2개구(312)를 통해 필터 유닛(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2개구(312)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 2개구(31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밸브부재(342)를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2밸브부재(342)가 개방 위치(O)로 위치하게 하여 포집부(325)로 유동될 수 있다.
포집부(325)의 타측은 도8에 도시된 상태와 반대로 제 2밸브부재(342)에 의해 필터 유닛(300)의 외부로부터 개방된 상태이고 포집부(325)의 일측은 제 1밸브부재(341)가 차단 위치(C)에 위치되어 필터 유닛(30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이다.
제 2밸브부재(341)는 세탁수에 의해 제 2드럼(210)의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도 개방 위치(O)로 이동되지 않고 차단 위치(C)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개구(312)를 통해 포집부(325)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 1밸부부재(341)에 의해 제 1개구(311) 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 1밸브부재(342)에 의해 가이드되어 배출부(335)로 유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드럼(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축(241)을 제 2드럼(210)과 연결시키는 구동축 플랜지(29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2세탁장치의 구동축 플랜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2세탁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구동축 플랜지(290)는 제2구동 모터(24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제 2구동축(241)을 통해 제 2드럼(210)에 전달되도록 제 2드럼(210)과 제 2구동축(241)을 연결시킬 수 있다.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축 플랜지의 경우, 강성 확보를 위해 드럼 하부의 전면적에 걸쳐 배치되고 특히 상하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구조물로 형성되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제 2드럼(210)이 제 1드럼(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1드럼(110) 및 제 2드럼(210)이 하우징(130,230) 내부에 배치되는 바 제 2드럼(210)의 하방측과 제 1드럼(110)의 상방측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동축 플랜지와 같이 강성 확보를 위해 구동축 플랜지(290)의 높이를 길게 형성될 경우, 제 1드럼(110)과 제 2드럼(210) 사이의 거리가 좁아 구동축 플랜지(290)의 배치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 1드럼(110)과 제 2드럼(210) 사이에는 구동축 플랜지(290) 외 세탁기(1)를 구동시키는 각종 구성이 배치되어 구동축 플랜지(29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협소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 플랜지(290)는 종래의 구동축 플랜지가 배치되는 공간보다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어야 하는 바 그 부피가 축소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구동축 플랜지(290)의 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의 구동축 플랜지(290)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은 부피로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구동축 플랜지(290)는 제 2구동축(241)이 삽입되는 중심부(291)에서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드럼(210)과 연결되는 암부재(292)의 길이(d)가 제 2드럼(210)의 반경 길이(r)의 1/2이하로 형성되어, 구동축 플랜지(290)가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 종래의 구동축 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마련되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구동축 플랜지(290)의 높이가 짧게 형성되는 대신 상하방향으로 평행한 제 1면(295)와 제 2면(296)을 포함하고, 제 1면(295)과 제 2면(296)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97)가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외력이 발행하는 것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 플랜지(290)는 제 2구동축(241)이 삽입되는 중심부(291)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구동축(241)은 중심부(291)에 삽입된 상태로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축 플랜지(290)는 제 2구동축(241)과 함께 연동되어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축 플랜지(290)는 중심부(291)를 중심으로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드럼(210)의 하면과 결합되는 암부재(292)를 포함할 수 있다. 암부재(292)는 중심부(291)에서 방사형태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암부재(292)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부(291)에서 연장되며 암부재(292)의 타단측에는 결합부재에 의해 제 2드럼(210)의 하부와 결합되는 드럼 결합부(293)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드럼(210)은 드럼 결합부(293)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결합홀(219)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219)과 드럼 결합부(293)는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구동축(241)의 회전으로 중심부(291)가 회전되고 중심부(291)의 회전에 의해 중심부(291)에서 연장되는 암부재(292)가 중심부(291)에 연동되어 회전되는데, 암부재(292)와 제 2드럼(210)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바 암부재(292)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2드럼(210)이 회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 플랜지(29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면(295)과 제 2면(296), 제 1면(295)과 제 2면(296)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1면(295)과 제 2면(296)을 수직하게 연장하는 연장부(297)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97)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연장부(297)는 각각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 1면(295)과 제 2면(296) 및 하나의 연장부(297)는 'H빔' 형태(H)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면(295)과 제 2면(296) 및 복수의 연장부(297)는 각각 복수의 연장부(297)가 제 1면(295)과 제 2면(296)을 연결하는 지점에서 'H빔'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H빔'은 상하 방향에 대한 외압, 또는 상하 방향의 압력에 의해 부재에 형성되는 전단력에 강한 단면 1차 모멘트 값을 가지고 있어 상하 방향의 외압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 플랜지(290)의 상하 방향으로의 단면은 복수의 'H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축 플랜지(290)의 단면 1차 모멘트 값이 크게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축 플랜지(29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도 외압에 대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부피를 가져도 구동축 플랜지(290)의 강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도 연장되는 길이가 짧아도 제 2드럼(21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구동축 플랜지(290)의 암부재(292)의 중심부(291)에서 암부재(292)의 최외단(292a)까지의 거리(d)는 제 2드럼(210)의 반경 길이(r)에 대해 1/2 값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지 않아도 구동축 플랜지(290)는 제 1면(295)과 제 2면(296)과 연결부(297)의 단면 구조에 의해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동축 플랜지(290)는 제 2드럼(210)의 회전축의 연장 방향인 상하 방향 및 제 2드럼(210)의 반경 방향으로 작은 부피로 형성되어도 강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제 2구동축(241)의 회전력을 제 2드럼(2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좁은 공간에서도 제 2드럼(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30: 고정 브래킷
40: 전방 커버 50: 컨트롤 패널
110, 210: 드럼 120, 220: 터브
130, 230: 하우징 140, 240: 구동 모터
160, 260, 280: 도어 290: 구동축 플랜지
300: 필터 400: 급수장치
500: 세제공급장치

Claims (7)

  1. 드럼;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상기 드럼에 연결시키는 구동축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 플랜지는 제 1면과, 상기 제 1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면과,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2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2면 및 상기 연결부의 단면은 'H' 형상을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제 1면의 일단과 상기 제 2면의 일단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제 1면의 일단과 상기 제 2면의 일단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서의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단면은 'H'형상으로 마련되는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축 플랜지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H' 형상으로 마련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플랜지는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럼의 하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암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2면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중심부 및 상기 복수의 암부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KR1020230167094A 2016-12-23 2023-11-27 세탁기 Ceased KR20230165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7094A KR20230165737A (ko) 2016-12-23 2023-11-27 세탁기
KR1020240126921A KR20240142377A (ko) 2016-12-23 2024-09-19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555A KR102639680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KR1020230167094A KR20230165737A (ko) 2016-12-23 2023-11-27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555A Division KR102639680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26921A Division KR20240142377A (ko) 2016-12-23 2024-09-19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737A true KR20230165737A (ko) 2023-12-05

Family

ID=6040922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555A Active KR102639680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KR1020230167094A Ceased KR20230165737A (ko) 2016-12-23 2023-11-27 세탁기
KR1020240126921A Pending KR20240142377A (ko) 2016-12-23 2024-09-19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555A Active KR102639680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26921A Pending KR20240142377A (ko) 2016-12-23 2024-09-19 세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858776B2 (ko)
EP (2) EP3339492B1 (ko)
KR (3) KR102639680B1 (ko)
CN (2) CN108239846B (ko)
AU (1) AU2017380379B2 (ko)
CA (1) CA3048165A1 (ko)
WO (1) WO20181174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680B1 (ko) * 2016-12-23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13106708B (zh) * 2020-01-10 2024-03-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WO2021213543A1 (zh) 2020-05-29 2021-10-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JP7561528B2 (ja) * 2020-06-19 2024-10-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US11598043B2 (en) 2021-02-18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Vertical axis washer standalone filter
US12043944B2 (en) * 2021-03-03 2024-07-23 Whirlpool Corporation Removable fluid pumping and filtration apparatus
US20240173655A1 (en) * 2022-11-25 2024-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plastic filter for washing machines or other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3822A (en) * 1923-12-17 1925-12-01 Conlon Corp Washing-machine cylinder
US2095370A (en) * 1933-09-20 1937-10-12 Winchester Repeating Arms Co Laundry machine
US2939305A (en) * 1956-12-05 1960-06-07 Gen Motors Corp Lint filter for washing machine
US3040552A (en) * 1960-12-29 1962-06-26 Whirlpool Co Lint filter for use with washing machines
FR1278560A (fr) * 1962-03-26 1961-12-08 Thomson Houston Comp Francaise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achines à laver
US3481164A (en) * 1968-05-08 1969-12-02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559426A (en) * 1969-03-19 1971-02-02 Gen Electric Cover for washing machine tub
US3603118A (en) * 1970-04-30 1971-09-07 Gen Motors Corp Plastic tub assembly for use with clothes washer
JPS5419563A (en) * 1977-07-15 1979-02-14 Hitachi Ltd Filter for removing ravellings
GB2189511B (en) * 1986-04-26 1989-12-06 Faini Spa A drum housing particularly for washing machines
US4848105A (en) * 1988-07-25 1989-07-1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Self-cleaning lint filt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
US5373715A (en) * 1992-12-03 1994-12-20 Whirlpool Corporation Rotatable wash basket for an automatic washer
US5509283A (en) * 1993-12-14 1996-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washer having water recirculation system
KR0122423Y1 (ko) * 1995-03-23 1998-10-01 김광호 전자동 세탁기
ID20692A (id) * 1997-08-16 1999-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untuk mesin cuci
TW363627U (en) * 1997-08-16 1999-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TW366015U (en) * 1997-08-16 1999-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KR100223415B1 (ko) * 1997-08-16 1999-10-15 윤종용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KR100455187B1 (ko) * 2002-01-17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조 구조
CN100519892C (zh) * 2002-03-26 2009-07-29 阿塞里克有限公司 滚筒
EP1378852A1 (de) * 2002-07-03 2004-01-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Unterstützung der Therapieplanung, insbesondere bei Vorliegen multipler Defizite
ES2237976B1 (es) * 2002-07-19 2007-06-01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Procedimiento de fijacion del tambor de una lavadora y la correspondiente fijacion.
KR100502010B1 (ko) * 2003-03-03 2005-07-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필터
KR101054408B1 (ko) * 2004-04-19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05118940A1 (en) * 2004-06-01 2005-12-15 Lg Electronics, Inc. A laundry machine and lint filter thereof
FR2875214B1 (fr) 2004-09-16 2008-01-25 Airbus France Sas Dispositif pour le raccordement en vol d'un aeronef a un dispositif de ravitaillement en carburant d'un avion ravitailleur
DE102004047996A1 (de) * 2004-10-01 2006-04-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agstern für eine Waschmaschine
JP4854206B2 (ja) 2005-02-17 2012-01-18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KR100686017B1 (ko) * 2005-05-11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275198B1 (ko) * 2005-05-23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에 적용되는 드럼 제조방법
DE102006038467B4 (de) * 2005-08-18 2013-11-07 Lg Electronics Inc. Bottichanordnung und Waschmaschine, die diese enthält
KR101224391B1 (ko) * 2005-12-13 2013-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 축계의 조립방법
CN101046054B (zh) * 2006-03-30 2010-04-07 江门市洗衣机厂 波轮式或搅拌式洗衣机用过滤器及具有该过滤器的洗衣机
WO2007132953A1 (en) * 2006-05-12 2007-11-22 Lg Electronics Inc. A tub for a washing machine with a bearing housing
KR101273587B1 (ko) * 2006-06-01 201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WO2008010674A2 (en) * 2006-07-20 2008-01-24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laundry machine
KR101432585B1 (ko) * 2007-03-06 2014-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의 청소방법
KR101348718B1 (ko) * 2007-03-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392911B1 (ko) * 2007-03-06 201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441917B1 (ko) * 2007-03-06 2014-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348719B1 (ko) * 2007-03-06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EP2129822A1 (en) * 2007-04-02 2009-12-09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KR20090014646A (ko) * 2007-08-06 200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222861B1 (ko) * 2007-10-15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샤프트플랜지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0465698Y1 (ko) 2007-11-02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297998B1 (ko) * 2007-11-05 2013-08-2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EP2063012B1 (en) *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481516B1 (ko) * 2008-03-12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필터장치
KR101481519B1 (ko) * 2008-03-12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필터장치
KR20100119451A (ko) * 2009-04-30 201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8601836B2 (en) * 2009-07-31 2013-12-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1752895B1 (ko) 2010-09-15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4216B1 (ko) 2011-03-04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9206540B2 (en) * 2011-03-23 2015-12-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814397B1 (ko) * 2011-04-11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30016932A (ko) 2011-08-09 2013-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3038432A1 (en) * 2011-09-13 2013-03-21 Meccanica Generale S.R.L. A plastic pulley for driving drum for washing machine into rotation.
US9080279B2 (en) * 2011-10-24 2015-07-1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motion
US9512551B2 (en) * 2011-10-24 2016-12-0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motion
KR20130116633A (ko) * 2012-04-16 2013-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뎀핑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EP2728058B1 (en) * 2012-05-03 2017-12-27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Filter device of washing machine
US9708740B2 (en) * 2012-06-07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lancer, balancer housing,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81901A1 (zh) * 2012-06-08 2013-12-12 海尔集团公司 一种自清洁洗衣机及控制方法
KR102091549B1 (ko) * 2013-06-13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밸런서의 제조 방법
JP6060388B2 (ja) * 2013-09-12 2017-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KR102160971B1 (ko) * 2013-11-05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555757B1 (ko) * 2013-11-21 2015-09-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165600B1 (ko) * 2013-11-29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3092334B1 (en) 2013-12-27 2017-09-20 Arçelik Anonim Sirketi A drum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4775282B (zh) * 2014-01-09 2018-11-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自动去除线屑的线屑过滤装置及具有该装置的洗衣机
CN104775284B (zh) 2014-01-10 2018-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盒式溢水过滤装置
CN105274795B (zh) * 2014-07-04 2019-08-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线屑过滤装置及洗衣机
JP6590225B2 (ja) * 2014-07-07 2019-10-16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内槽底のフランジ構造および洗濯機
KR102244839B1 (ko) * 2014-08-01 2021-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436160B (zh) * 2014-09-29 2019-08-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KR20160059489A (ko) * 2014-11-07 2016-05-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방법
KR102252508B1 (ko) * 2015-01-05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4562550A (zh) * 2015-02-15 2015-04-29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内筒及滚筒洗衣机
CN204474980U (zh) * 2015-02-26 2015-07-15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滚筒洗衣机内筒及滚筒洗衣机
CN104846583B (zh) * 2015-04-29 2018-06-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
CN106192295B (zh) * 2015-05-05 2019-04-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轴密封安装结构
KR20170011116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917235B (zh) * 2015-12-28 2019-09-1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洗衣设备
CN205347800U (zh) * 2015-12-29 2016-06-29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衣机内筒法兰组件、洗衣机内筒和洗衣机
KR102482654B1 (ko) * 2016-01-05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U2017203834B2 (en) * 2016-06-08 2019-10-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21871A1 (ko) * 2016-07-28 201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0704180B2 (en) * 2016-09-22 2020-07-07 Whirlpool Corporation Reinforcing cap for a tub rear wall of an appliance
KR20180070406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및 다이캐스팅 주물
KR102639680B1 (ko) * 2016-12-23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DE102017112136A1 (de) * 2017-06-01 2018-12-06 Miele & Cie. Kg Flanschwellenvorrichtung und Waschmaschine
KR102426575B1 (ko) * 2017-08-18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409237B1 (ko) * 2017-11-29 202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6949204B2 (ja) * 2018-02-07 2021-10-13 ▲無▼▲錫▼小天鵝電器有限公司Wuxi Little Swan Electric Co.,Ltd.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417A2 (en) 2018-06-28
CA3048165A1 (en) 2018-06-28
AU2017380379A1 (en) 2019-07-11
KR20240142377A (ko) 2024-09-30
KR102639680B1 (ko) 2024-02-26
CN108239846A (zh) 2018-07-03
US20180179693A1 (en) 2018-06-28
EP3653775A1 (en) 2020-05-20
CN114481522B (zh) 2024-05-28
EP3653775B1 (en) 2022-05-04
US20210062398A1 (en) 2021-03-04
US10858776B2 (en) 2020-12-08
AU2017380379B2 (en) 2023-04-06
KR20180074910A (ko) 2018-07-04
US11898298B2 (en) 2024-02-13
CN108239846B (zh) 2022-03-08
US20240125036A1 (en) 2024-04-18
US12331449B2 (en) 2025-06-17
CN114481522A (zh) 2022-05-13
EP3339492B1 (en) 2020-01-01
EP3339492A1 (en) 2018-06-27
WO2018117417A3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313B1 (ko) 세탁기
KR102639680B1 (ko) 세탁기
KR102466277B1 (ko) 세탁기
KR102646998B1 (ko) 세탁기
KR102632054B1 (ko) 세탁기
KR102620364B1 (ko) 세탁기
KR102421544B1 (ko) 세탁기
CN110291243A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122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7855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4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40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31215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4101002043

Request date: 202409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10020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40919

Effective date: 202502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502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40919

Decision date: 20250226

Appeal identifier: 202410100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