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837A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6837A KR20230146837A KR1020220045755A KR20220045755A KR20230146837A KR 20230146837 A KR20230146837 A KR 20230146837A KR 1020220045755 A KR1020220045755 A KR 1020220045755A KR 20220045755 A KR20220045755 A KR 20220045755A KR 20230146837 A KR20230146837 A KR 202301468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or
- coaxial connector
- housing
- coaxi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동축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연체의 원통형의 슬리브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한다.
상기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연체의 원통형의 슬리브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coaxial) 커넥터란, 동축 케이블끼리 연결하거나, 또는 하나의 동축 케이블을 타측의 다른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이다. 응용 분야 및/또는 용도에 따라 구조가 다소 상이할 수는 있으나, 동축 케이블의 일예는 중앙의 절연된 구리선(심)을 관 형태의 전도체가 둘러싸고 있는 구조의 전송 케이블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동축 케이블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하는 신호의 주파수 또한 여러 범위일 수 있으며, 예컨대, RF(radio frequency; 고주파,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종류에 따라, 바다 밑이나 땅 속에 묻어도 성능이 발휘되기도 하며, 차량에서 단말기와 연결되기도 하고,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더 작은 전자 기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동축 케이블의 크기와 용도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끼리 연결하거나, 하나의 동축 케이블을 타측의 다른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가 사용된다.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케이블 측에 수(male) 커넥터, 기기 측에 암(female) 커넥터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양측이 모두 케이블 측일 수도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커넥터가 소형화되면서 커넥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진 측면도 있다. 부재가 작으므로 이전보다 작은 힘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 커넥터의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동축 커넥터로서,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연체의 원통형의 슬리브를 갖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는, 동축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내측에는, 상기 동축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내측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리브가 적어도 1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리브가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외측 곡면으로부터 방사(radiate)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인 제1 위치에 형성된 메인 오목홈
을 가지며,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결합할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메인 돌출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메인 오목홈에 의해 가이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외측 곡면으로부터 방사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위치와 반대 방향인 제2 위치에 형성된 피로크부
를 가지며,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메인 돌출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메인 오목홈에 의해 가이드되기 시작한 후에, 상기 피로크부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로크부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메인 오목홈으로부터 상기 동축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서브 오목홈
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서브 오목홈은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결합할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적어도 1개의 서브 돌출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서브 오목홈에 의해 가이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는, 상기 동축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원통형 슬리브의 내측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 방지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 방지부에 의해, 상기 단자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내 단자 삽입 상태에서 단자 선단부쪽 단자 보호 구조체를 적용함으로써, 단자의 돌출을 방지하고, 상대물의 경사 삽입을 방지하고, 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단자 보호 구조체의 내부에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단자 유동 방지가 극대화된다.
또한, 오조립(오결합) 방지 가이드의 적용으로, 상대 커넥터와의 오결합이 방지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FAKRA 구조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H)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하우징(H)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 단자(T)를 제거하고,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우측 절반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서 단자(T) 및 케이블(C)을 제거하고 하우징(H)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10)의 하우징(H)와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의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동축 커넥터(10) 부분을 제거하고,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과 동축 커넥터(1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H)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하우징(H)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 단자(T)를 제거하고,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우측 절반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서 단자(T) 및 케이블(C)을 제거하고 하우징(H)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10)의 하우징(H)와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의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동축 커넥터(10) 부분을 제거하고,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과 동축 커넥터(1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FAKRA 구조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이러한 유형의 동축 커넥터용 플라스틱 하우징은 FAKRA 하우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차량 기술 분야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케이블은 일례로 전기 전도체에 기초한 동축 케이블이거나 이와 유사한 케이블이다. 인터페이스 영역(interface region), 즉 두 플라스틱 하우징 간의 기계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서 상보형 플러그와 협동하는 하우징의 축방향 영역에서 이러한 유형의 FAKRA 하우징의 기계적 크기는 2004년 10월 개정판인 DIN(독일 공업 규격, 이하 "DIN"이라 함) 표준 72594-1에 따른다. 이러한 DIN 표준 72594-1에 기재된 "도로용 차량 - 50Ω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50 RFI) - 1부: 크기 및 전기적 요건(Road vehicles - 50 Ohm radio frequency interface (50Ω-RFI) - part 1: Dimensions and electrical requirements)"이라는 부분에서는 도로 차량용 무선 주파수 적용 분야에 대해 50Ω(50Ω-RFI)의 임피던스를 갖는 인터페이스의 플러그와 커플러를 규정하고 있으며 차량 내외로의 통신을 보증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는 크기 및 전기적 요건과 특성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들의 상호 교환성을 보증하고 있다. 모든 유명 차량 제조업체에서는 제조시 이러한 표준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의 내용은 차량 표준 협회(FAKRA)에 의해 정해진다.
물론, 차량에 주로 사용되는 커넥터이기는 하나, 사용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a)와 (b)는, 거의 동일한 구조를, 다만 각도를 다소 달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비교예의 FAKRA 커넥터에서는 단자(PT)와 동축 케이블(PC)이 연결되어 있고, 그 중에서 특히 '단자(PT)' 및 '단자(PT)와 동축 케이블(PC)의 연결부'를 하우징(PH)이 둘러싸고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난 비교예에서는, 단자의 외측면과 하우징 내벽은 공간을 두고 있으며 그 사이에 단자 보호 구조체(도 2 등에서 후술함)가 특별히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10)는 단자(T), 동축 케이블(C), 단자(T)와 케이블(C)의 접속 부분을 덮는 하우징(H)을 갖는다. 다만,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 1의 비교예와는 달리, 단자(T)를 직접 감싸는 단자 보호 구조체(H-PR)를 갖는다. 단자 보호 구조체(H-PR)는 하우징(H)과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H)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H)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비교예에서도 하우징(PH)이 단자(PT)를 주변에 있기는 했으나, 단자(PT)의 외측 곡면(특히, 단자(PT) 중에서, 케이블(PC)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단부 부분)을 하우징(PH)이 직접 접하면서 감싸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감싸고 있다.
반면에, 도 2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H)의 일부인 슬리브 형상의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적어도 일부가 단자(T)를 직접(즉, 단자(T)의 외측 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면서) 감싸고 있다.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H)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다.
도 2에서 하우징(H)을 제거하면, 단자(T)와 동축 케이블(C)의 결합체를 확인 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C)은 예컨대, (i) 가장 내부의 중심 도체, (ii) 중심 도체를 감싸는 유전 절연체, (iii) 유전 절연체를 감싸는 외부 도체, (iv) 외부 도체를 감싸는 외부 절연체의 4개층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케이블(C)의 일단에서 상기 (ii)~(iv)의 구조물을 벗겨내고, (i)의 중심 도체를 감싸는 구조물을 형성하며, 이 감싸는 구조물을 단자(T)라 칭한다.
도 4는 도 2의 하우징(H)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비교예에서는, 적어도 도 4의 화살표 부분의 길이만큼에 해당하는 단자 보호 구조체(H-PR)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도 2 및 도 4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형상의 단자 보호 구조체(H-PR)가 존재한다. 특히, 도 4에서는 하우징의 우측 절반을 절개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므로, 도 3의 단자(T)의 외측 곡면이 드러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하우징(H) 내에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의 선단부쪽(즉, -Y 방향)에 단자 보호 구조체(H-PR)를 적용함으로써,
(i) 단자(T)의 돌출을 방지하고,
(ii) 상대물의 경사 삽입을 방지하고,
(iii) 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i)에 대해 먼저 설명하자면, 우선, 원통형의 슬리브인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존재 자체만으로 단자(T)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단자(T)가 -Y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단자 보호 구조체(H-PR)가 없다면, 단자(T)와 하우징(H)이 단지 끼워맞추는 힘만으로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면 원치 않게 단지 및 케이블이 -Y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Y 방향으로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Y 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우가 더 많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보호 구조체(H-PR)가 단자(T)에 대한 고정력을 발휘하므로 이러한 돌출에 대한 우려가 줄어든다.
특히, 돌출 방지부(H-PR-F)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면, 단자(T)가 -Y 방향으로 돌출되려는 힘은 더욱더 확실히 방지된다. 즉,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고정력만으로,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돌출 방지부(H-PR-F)의 추가 고정력에 의해, 상기 (i)의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상기 (ii)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비교예를 보면, 그의 (b)에서 단자(PT)가 존재하지만, 그 방사 방향으로 외측에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 하우징(PH)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1의 비교예의 구성에서는 상대 커넥터(미도시)가 정확하게 +Y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다소 비스듬하게 진입(즉, 경사 삽입)할 가능성도 있다. 이는 단자(PT)와 하우징(PH) 사이가 방사 방향으로 상당히 이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원치 않는 경사 삽입이 행해지는 경우, 동축 커넥터(10)에 원치 않는 큰 힘이 걸려서 결합시에 동축 커넥터(10) 또는 상대 커넥터가 파손되거나, 또는 즉시 파손되지는 않더라도 다소간의 대미지를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단자 보호 구조체(H-PR)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사 삽입이 되기 어렵고, +Y 방향으로의 정확한 진입이 유도되기 쉽다.
이하, 상기 (iii)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상기 (i)의 효과와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며, 더욱 엄밀하게는 상기 (i)은 단자(T) 및 커넥터(C)가 -Y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 살펴본 효과이나, 상기 (iii)은 전후 좌우의 어떤 방향에 있어서도 유동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존재로 인하여, Y축 방향 뿐만 아니라, X축 및/또는 Z축 방향의 단자(T)의 움직임도 방지된다.
또한,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내부에 리브(H-PR-R)가 형성됨으로써, 단자 유동 방지가 극대화되는데, 이는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참고로, 하우징(H)에 도 3의 단자(T)를 끼워서 도 2와 같은 조립체를 만드는 경우가 많으므로,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내측 전체면이 단자(T)의 외측 곡면 전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은 (비록 배제되지는 않지만)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한, 전체면끼리 정확히 접하도록 하는 것은 제조상으로도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난 리브(H-PR-R)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 단자(T)를 제거하고,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우측 절반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다.
즉, 도 5는 도 4와는 다소 다르게, 하우징(H) 전체를 절반으로 절개한 것이 아니라,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H)의 외측은 부분은 그대로 두고, 내측의 단자 보호 구조체(H-PR)만의 우측 절반을 제거하여 보여주고 있다.
도 5에서, 슬리브 형상의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내측 곡면을 보면 리브(H-PR-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리브(H-PR-R)는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내측 곡면에 형성되어,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내부에 끼워맞춤되는 단자의 외측 곡면에 접한다. 이와 같은 단자 보호 구조체(H-PR) 및 리브(H-PR-R)의 구성을 통해, 단자(T)는 하우징(H)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상대 커넥터(후술함)가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H) 및 단자(T)에 결합되는 경우에 단자(T)의 위치가 원치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의 비교예를 상정해 보면, 단자(PT)의 외측 곡면에 직접 접해서 보호하는 구조체가 없으므로, 상대 커넥터가 도 1의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에 결합되는 경우에 단자(PT)가 원치 않게 상하 좌우로 이동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는 도 2~4 등에 나타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다.
도 6은 도 2에서 단자(T) 및 케이블(C)을 제거하고 하우징(H)만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6은 도 5와는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절개 여부만이 상이하고 그 외의 점은 동일하다.
도 6에는 하우징(H)의 상부에 피로크부(H-L)가 존재한다. 이 피로크부(H-L)는 후술할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CH)의 로크부(CH-L)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 6의 하우징(H)의 하부에 메인 오목홈(H-M)과 복수의 서브 오목홈(H-S)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메인 오목홈(H-M)은 상대 커넥터의 메인 돌출부에 결합될 부분이며, 서브 오목홈(H-S)은 상대 커넥터의 서브 돌출부에 결합될 부분이다. 상대 커넥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도 6에 나타난 메인 오목홈(H-M) 및/또는 서브 오목홈(H-S)는 '오조립(오결합) 방지 가이드'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동축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도 7, 도 8의 20)와의 오결합이 방지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10)의 하우징(H)와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의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동축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는 각각 그의 하우징(H, CH)만을 도시하였고, 편의상 각각의 단자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동축 커넥터(10)에 상대 커넥터(20)가 접근하여 끼워질 때에, 상대 커넥터(20)의 원통형부의 내측 곡면이 동축 커넥터(10)의 단자 보호 구조체(H-PR)의 외측 곡면을 덮는 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대 커넥터(20)의 원통형부의 아래에는 메인 돌출부(CH-M)와 서브 돌출부(CH-S)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원통형부의 위)에는 로크부(CH-L)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위인지 아래인지의 편의상 정한 것이며, 그 위치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도 7에서, 상대 커넥터(20)의 메인 돌출부(CH-M) 및/또는 서브 돌출부(CH-S)는 동축 커넥터(10)의 메인 오목홈(H-M) 및/또는 서브 오목홈(H-S)에 가이드되어 결합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도 7에 나타난 결합의 초기에 로크부(CH-L)는 아직 피로크부(H-L)에 결합되어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즉, 메인 돌출부(CH-M)와 로크부(CH-L)는 그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상이하여 메인 돌출부(CH-M)가 먼저 결합된 후에 로크부(CH-L)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에 의하면 결합이 더욱 용이해진다. 일예로, 상대 커넥터(20)의 상부에 있는 로크부(CH-L)의 위치와 메인 돌출부(CH-M)의 위치가 동일하다면(즉, 도 7에서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의 가장 오른쪽에 둘다 위치하는 경우), 두개의 결합 부위의 위치 선정을 거의 동시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7의 경우처럼 Y축 방향에 있어서 다소의 위치 차이가 있다면, 메인 돌출부(CH-M)에 의해서 먼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는 도중에 로크부(CH-L)가 결합되므로 더욱 원활한 결합이 행해질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동축 커넥터(10) 부분을 제거하고,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20)에서 그 단자 부분은 도시가 생략되어, 하우징(CH)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도 7의 도시와는 다소 다르게, 메인 돌출부(CH-M)가 서브 돌출부(CH-S)보다 +Y 방향으로 더 나와 있을 수도 있다.
즉, 도 7의 도시에서는 메인 돌출부(CH-M)와 서브 돌출부(CH-S)의 +Y 방향 끝점이 동일하였으나, 도 8의 도시에서는 메인 돌출부(CH-M)가 서브 돌출부(CH-S)보다 +Y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도 8의 경우 모두 가능하며,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돌출부(CH-M)의 단부가 로크부(CH-L)의 단부보다 더 +Y 방향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과 동축 커넥터(1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래는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은 상대 커넥터(20)의 단자(미도시)를 감싸고 있어야 하나, 설명의 편의상, 상대 커넥터(20)와 동축 커넥터(10)의 결합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20)의 단자는 도시가 생략된 상태이다.
즉,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10)에, 도 8에 도시된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CH)이 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결합되는 도중(완전히 결합되기 전)을 나타내며, 도 9는 결합된 후를 나타내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PH: (비교예의) 하우징
PT: (비교예의) 단자
PC: (비교예의) 케이블
10: 동축 커넥터
H: 하우징
T: 단자
C: 케이블
H-PR: 단자 보호 구조체(원통형의 슬리브)
H-L: 피로크부
H-PR-R: 리브(rib)
H-PR-F: 돌출 방지부
H-M: 메인 오목홈
H-S: 서브 오목홈
20: 상대 커넥터
CH: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CH-M: 메인 돌출부
CH-S: 서브 돌출부
PT: (비교예의) 단자
PC: (비교예의) 케이블
10: 동축 커넥터
H: 하우징
T: 단자
C: 케이블
H-PR: 단자 보호 구조체(원통형의 슬리브)
H-L: 피로크부
H-PR-R: 리브(rib)
H-PR-F: 돌출 방지부
H-M: 메인 오목홈
H-S: 서브 오목홈
20: 상대 커넥터
CH: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CH-M: 메인 돌출부
CH-S: 서브 돌출부
Claims (6)
-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동축 커넥터로서,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연체의 원통형의 슬리브를 갖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내측에는, 상기 동축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내측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리브가 적어도 1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리브가 상기 단자의 외측 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는, 동축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외측 곡면으로부터 방사(radiate)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인 제1 위치에 형성된 메인 오목홈
을 가지며,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결합할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메인 돌출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메인 오목홈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축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의 외측 곡면으로부터 방사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위치와 반대 방향인 제2 위치에 형성된 피로크부
를 가지며,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메인 돌출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메인 오목홈에 의해 가이드되기 시작한 후에, 상기 피로크부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로크부에 결합되는, 동축 커넥터.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메인 오목홈으로부터 상기 동축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서브 오목홈
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서브 오목홈은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결합할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적어도 1개의 서브 돌출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서브 오목홈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축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슬리브는, 상기 동축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원통형 슬리브의 내측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 방지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 방지부에 의해, 상기 단자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축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755A KR20230146837A (ko) | 2022-04-13 | 2022-04-13 | 동축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755A KR20230146837A (ko) | 2022-04-13 | 2022-04-13 | 동축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6837A true KR20230146837A (ko) | 2023-10-20 |
Family
ID=8851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5755A KR20230146837A (ko) | 2022-04-13 | 2022-04-13 | 동축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46837A (ko) |
-
2022
- 2022-04-13 KR KR1020220045755A patent/KR202301468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80894B1 (en) | Coaxial connector with a cable receptor with an outer contact | |
CN110011105B (zh) | 高频电连接器 | |
US8449326B2 (en) | Coaxial connector jack with multipurpose cap | |
JP3012116B2 (ja) | 同軸コネクタ組立体 | |
US10027073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 | |
US6146196A (en) | Mated coaxial contact system | |
JP2003297493A (ja) | 同軸コネクタ | |
CN107863634B (zh) | 具有可旋转壳体的电缆连接器 | |
JP7032978B2 (ja) |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4729307B2 (ja) | 一体品の誘電性カバーを有する回路基板用コネクタ | |
TW201828548A (zh) | 電連接器及電連接器之鎖定構件 | |
CN112086784A (zh) | 用于传输超高频信号的同轴线缆阳连接器 | |
KR102627870B1 (ko) | 커넥터 조립체 | |
US10468837B2 (en) | Coaxial connector assembly | |
EP3750215A1 (en) | Electrical ferrule, electrical connecting unit as well as method for pre-assembling an electrical cable | |
EP4101034A1 (en) |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 |
CN109698441B (zh) | 同轴线缆用连接器 | |
KR20230146837A (ko) | 동축 커넥터 | |
US7014480B1 (en) | Groun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or assemblies | |
CN110504597A (zh) | 屏蔽连接器 | |
CA2419352C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 |
US20180375258A1 (en) | Self-aligning cable mating connector | |
US12003061B2 (en) |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 |
CN110011137A (zh) | 电的插塞连接器 | |
US20140065879A1 (en) | F-Connector with Chamfered Lock 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